KR20180032163A -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163A
KR20180032163A KR1020170037537A KR20170037537A KR20180032163A KR 20180032163 A KR20180032163 A KR 20180032163A KR 1020170037537 A KR1020170037537 A KR 1020170037537A KR 20170037537 A KR20170037537 A KR 20170037537A KR 20180032163 A KR20180032163 A KR 20180032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ower transmission
ecu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9585B1 (ko
Inventor
김동현
김학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Publication of KR2018003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충전부와, ECU에서 스마트키로 송출하는 L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LF 안테나와, 상기 LF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ECU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에 대한 상기 LF 안테나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충전부의 충전실행을 제어하는 LF 검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ECU와 스마트키 사이의 신호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OT 발전에 따라 차량 내 많은 전자기기들이 탑재되어 통신을 하고 있다. 그리고 통신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량 제조사마다 고유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규격을 공유하고 전장기기 확대하려 하고 있으나 보안이슈가 나타나면서 이러한 규격과 물리적 연결 단자들을 타기업에 제공하는 것을 차단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CAN/LIN 등 통신을 적용하여 무선충전기의 ON/OFF 제어가 불가능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기존 유도형 방식의 무선전력전송을 통해 무선충전을 하는 기기들은
차량용 스마트 키와 동일 주파수 대역 또는 이웃 주파수대역을 사용함으로써 차량
과 스마트 키간 통신을 방해하여 차량이 스마트 키를 찾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CAN통신을 기반으로 한 무선전력전송 기기를 제어 스마트 키를 찾는 시점에 무선충전을 중단시키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차량용 무선충전기 위에 스마트 키를 얹어 놓을 때 차량의 ECU에서 스마트 키를 검출하지 못하여 스마트 키를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 키의 수신부의 주파수 125KHz(LF)와 무선충전기의 충전 주파수 105~115KHz가 서로 간섭을 주기 때문이다.
결국, 차량내 무선충전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 스마트폰이 아닌 스마트 키를 놓아 둘 수 있고, 이는 충전하는 주파수의 스마트 키의 수신 주파수 간에 유사한 주파수 사용에 따른 간섭으로 자동차 내에 스마트 키를 찾는 ECU가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차량내 정상적인 정보교환이 발생하지 않고 오동작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관점은 무선충전기에 스마트 키와 동일한 수신회로를 장착하고 차량내 ECU가 스마트 키를 검출하려는 시점에 해당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충전을 일시 중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ECU와 스마트 키와의 신호 간섭을 방지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무선충전기에 스마트 키를 올려 놓더라도, ECU가 스마트키를 정상적으로 인식하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가 불편함이 없도록 신호 간섭을 방지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충전부와, ECU에서 스마트키로 송출하는 L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LF 안테나와, 상기 LF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ECU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에 대한 상기 LF 안테나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충전부의 충전실행을 제어하는 LF 검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부 및 LF 검출 및 제어부는 전력 전송장치 본체에 내재되고, 상기 LF 안테나는 상기 전력 전송장치 본체의 외부에서 와이어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는 상기 ECU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가 상기 LF 안테나에 수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무선충전부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는 상기 ECU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가 상기 LF 안테나에 수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무선충전부가 상기 LF 신호와 다른 영역의 주파수를 상기 스마트폰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는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무선충전부가 상기 LF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충전부와, ECU에서 스마트키로 송출하는 L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LF 안테나와, 상기 LF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ECU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에 대한 상기 LF 안테나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충전부의 충전실행을 제어하는 LF 검출 및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키에서 상기 ECU로 송출하는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안테나와, 상기 RF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키에서 송출된 상기 RF 신호에 대한 상기 RF 안테나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충전부의 충전실행을 제어하는 RF 검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는 상기 ECU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가 상기 LF 안테나에 수신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RF 검출 및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에서 송출된 상기 RF 신호가 상기 RF 안테나에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무선충전부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는 상기 ECU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가 상기 LF 안테나에 수신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RF 검출 및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에서 송출된 상기 RF 신호가 상기 RF 안테나에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무선충전부가 상기 LF와 다른 영역의 주파수를 상기 스마트폰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는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무선충전부가 상기 LF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충전기에 스마트 키와 동일한 수신회로를 장착하고, 차량내 ECU가 스마트 키를 검출하려는 시점에 해당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충전을 일시 중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ECU와 스마트 키와의 신호 간섭을 방지하고, 무선충전기에 스마트 키를 올려 놓더라도, ECU가 스마트키를 정상적으로 인식하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가 불편함이 없도록 신호 간섭을 방지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1000)은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 ECU(1200) 및 스마트키(1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ECU(1200)는 스마트키(1300)와 주파수 송수신을 통해 차량내 스마트키(1300)의 유무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ECU(1200)는 스마트키(1300)에 LF(Low Frequency)를 송출하고, 스마트키(1300)는 이에 대하여 ECU(1200)에 RF(Radio Frequency)를 송출한다. 그리고 ECU(1200)의 송신주파수는 저주파수대 영역인 125KHz 정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는 스마트폰(2000)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는 무선충전부(1110), LF 검출 및 제어부(1120) 및 LF 안테나(1130)을 포함한다. 또한 무선충전부(1110)는 송신부인 Tx 코일부를 포함하고, 스마트폰의 수신부인 Rx 코일부와 전자기유도를 통해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무선충전부(1110)의 충전 주파수는 105~115KHz 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LF 안테나(1130)는 ECU(1200)에서 스마트키(1300)로 송출되는 L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LF 검출 및 제어부(1120)는 LF 안테나(1130)와 연결되고, ECU(1200)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에 대한 상기 LF 안테나(1130)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고, 무선충전부(1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무선충전부(1110), LF 검출 및 제어부(1120)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본체에 내장되고, LF 안테나(1130)는 연장와이어(W)를 통해 LF 검출 및 제어부(1120)와 연결되고,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외부로 인출되어 차량내에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는 ECU(1200)의 스마트키(1300) 인식을 LF 안테나(11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LF 검출 및 제어부(1120)는 무선충전부(1110)의 작동을 제어함에 따라 무선충전부(1110)의 충전 주파수에 의해 스마트키의 수신 주파수가 간섭받지 않고, 주파수 간섭에 의한 ECU의 인식오류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ECU(1200)는 스마트키(1300)에 LF신호(125Khz)를 송출하고, 스마트키(1300)은 이에 대하여 RF신호(433Khz)를 송출한다.
이때,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는 스마트폰(2000)에 충전 개시 요청이 입력된 경우,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의 LF 검출 및 제어부(1120)는 LF 안테나(1130)를 통해 ECU(1200)가 스마트키(1300)를 인식하기 위해 송출된 LF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ECU(1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충전을 대기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 무선충전을 실행한다. 예를들어 3초 내지 5초 가량 대기한 후 무선충전을 실행한다.
한편, ECU(1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는 무선충전을 실행한다.
상기한 방식으로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제어됨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의 충전주파수 간섭에 의해 스마트키의 LF 신호 수신은 영향을 받지 않고, 주파수 간섭이 배제됨에 따라 ECU의 오작동 문제가 해결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ECU(1200)는 스마트키(1300)에 LF신호(125Khz)를 송출하고, 스마트키(1300)은 이에 대하여 RF신호(433Khz)를 송출한다.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는 스마트폰(2000)에 충전 개시 요청이 입력된 경우,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의 무선충전부(1110)는 스마트폰(2000)에 충전을 실행한다.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의 LF 검출 및 제어부(1120)는 LF 안테나(1130)를 통해 ECU(1200)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충전을 중지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 무선충전을 재실행하고 충전을 재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ECU(1200)는 스마트키(1300)에 LF신호(125Khz)를 송출하고, 스마트키(1300)은 이에 대하여 RF신호(433Khz)를 송출한다.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는 스마트폰(2000)에 충전 개시 요청이 입력된 경우,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의 LF 검출 및 제어부(1120)는 LF 안테나(1130)를 통해 ECU(1200)가 스마트키(1300)를 인식하기 위해 송신된 LF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ECU(1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충전 주파수를 LF신호와 중첩되지 않도록 변경하고 충전을 실행한다.
예를들어, 145khz 이상의 주파수에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충전 주파수를 다시 복원한다.
한편, ECU(1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는 무선 충전을 실행한 상태로 유지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ECU(1200)는 스마트키(1300)에 LF신호(125Khz)를 송출하고, 스마트키(1300)은 이에 대하여 RF신호(433Khz)를 송출한다.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는 스마트폰(2000)에 충전 개시 요청이 입력된 경우, 충전을 실행한다.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의 LF 검출 및 제어부(1120)는 LF 안테나(1130)를 통해 ECU(1200)가 스마트키(1300)를 인식하기 위해 송신된 LF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ECU(1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일정시간 동안 무선충전 주파수를 LF신호와 중첩되지 않도록 변경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 무선충전 주파수를 다시 복원한다.
한편, ECU(1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는 무선 충전을 실행한 상태로 유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 기술구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은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1100)과 비교하여 RF안테나와 RF 검출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ECU에서 스마트키에 전송하는 LF신호에 더하여 스파트키에서 ECU에 전송하는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3000)은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 ECU(3200) 및 스마트키(3300)를 포함한다.
또한, ECU(3200)는 스마트키(3300)와 주파수 송수신을 통해 차량내 스마트키(1300)의 유무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ECU(3200)는 스마트키(3300)에 LF신호를 송출하고, 스마트키(3300)는 ECU(3200)에 RF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스마트키(3300)의 수신주파수는 125KHz 정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는 스마트폰(2000)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는 무선충전부(3110), LF 검출 및 제어부(3120), LF 안테나(3130), RF 검출 및 제어부(3140) 및 RF 안테나(3150)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충전부(3110), LF 검출 및 제어부(3120), LF 안테나(3130)는 도 1을 통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의 무선충전부(1110), LF 검출 및 제어부(1120) 및 LF 안테나(1130)와 동일하고, 전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RF 안테나(3150)는 스마트키(3300)에서 ECU(3200)로 송출하는 RF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RF 검출 및 제어부(3140)는 RF 안테나(3130)와 연결되고, RF 안테나(3130)로부터 ECU(3200)의 LF 신호 송출 여부의 확인을 통해 무선충전부(3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는 ECU(3200)가 스마트키(3300)로 LF를 송신하는 것을 LF 안테나(31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LF 검출 및 제어부(3120)는 무선충전부(3110)의 작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키(3300)에서 ECU(3200)로 송출하는 RF신호를 RF 안테나(31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RF 검출 및 제어부(3140)는 무선충전부(3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충전부(3110)의 충전 주파수에 의해 스마트키의 수신 주파수가 간섭받지 않고, 주파수 간섭에 의한 ECU의 인식오류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는 도 6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ECU(3200)는 스마트키(3300)에 LF신호(125Khz)를 송출하고, 스마트키(3300)은 이에 대하여 RF신호(433Khz)를 송출한다.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는 스마트폰(2000)에 충전 개시 요청이 입력된 경우,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의 LF 검출 및 제어부(3120)는 LF 안테나(3130)를 통해 ECU(3200)로 부터 송출된 LF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ECU(3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RF 검출 및 제어부(3140)는 RF 안테나(3150)를 통해 스마트키(3300)로부터 송출된 RF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RF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충전을 대기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 무선충전을 실행한다. 예를들어, 3초 내지 5초 가량 대기한 후 무선충전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ECU(1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무선충전을 대기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 무선충전을 실행한다.
또한, R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충전을 바로 실행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는 무선충전 실행이 입력되면 스마트폰(2000)에 충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의 LF 검출 및 제어부(3120)는 LF 안테나(3130)를 통해 ECU(3200)에서 송출된 LF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ECU(3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RF 검출 및 제어부(3140)는 RF 안테나(3150)를 통해 스마트키(3300)에서 송출된 RF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RF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충전을 대기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 무선충전을 재실행한다.
한편, ECU(1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무선충전을 대기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 무선충전을 재실행한다.
또한, R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충전을 재실행한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는 스마트폰(2000)에 충전 개시 요청이 입력된 경우,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의 LF 검출 및 제어부(3120)는 LF 안테나(3130)를 통해 ECU(3200)에서 송출된 LF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ECU(3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RF 검출 및 제어부(3140)는 RF 안테나(3150)를 통해 스마트키(3300)에서 송출된 RF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RF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충전 주파수를 LF신호와 중첩되지 않도록 변경하고 충전을 개시한다.
예를들어, 145khz 이상의 주파수에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충전 주파수를 다시 복원한다.
한편, ECU(1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무선충전 주파수를 LF신호와 중첩되지 않도록 변경하고 충전을 개시한다.
또한, R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충전을 유지한다.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는 무선충전 실행이 입력되면 스마트폰(2000)에 충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장치(3100)의 LF 검출 및 제어부(3120)는 LF 안테나(3130)를 통해 ECU(3200)에서 송출된 LF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ECU(3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RF 검출 및 제어부(3140)는 RF 안테나(3150)를 통해 스마트키(3300)에서 송출된 RF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RF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충전 주파수를 LF신호와 중첩되지 않도록 변경하고 충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무선충전 주파수를 다시 복원한다.
한편, ECU(1200)로부터의 L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무선충전 주파수를 LF신호와 중첩되지 않도록 변경하고 충전을 개시한다.
또한, RF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충전을 유지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 1100: 무선 전력 전송장치
1110: 무선충전부 1120: LF 검출 및 제어부
1130: LF 안테나 1200: ECU
1300: 스마트키 2000: 스마트폰
3000: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 3100: 무선 전력 전송장치
3110: 무선충전부 3120: LF 검출 및 제어부
3130: LF 안테나 3140: RF 검출 및 제어부
3150: RF 안테나 3200: ECU
3300: 스마트키

Claims (9)

  1.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충전부;
    ECU에서 스마트키로 송출하는 L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LF 안테나; 및
    상기 LF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ECU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에 대한 상기 LF 안테나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충전부의 충전실행을 제어하는 LF 검출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부 및 LF 검출 및 제어부는 전력 전송장치 본체에 내재되고,
    상기 LF 안테나는 상기 전력 전송장치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와이어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에 연결된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는
    상기 ECU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가 상기 LF 안테나에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무선충전부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는
    상기 ECU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가 상기 LF 안테나에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무선충전부가 상기 LF 신호와 다른 영역의 주파수를 상기 스마트폰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는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무선충전부가 상기 LF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6.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충전부;
    ECU에서 스마트키로 송출하는 L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LF 안테나;
    상기 LF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ECU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에 대한 상기 LF 안테나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충전부의 충전실행을 제어하는 LF 검출 및 제어부;
    상기 스마트키에서 상기 ECU로 송출하는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안테나; 및
    상기 RF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키에서 송출된 상기 RF 신호에 대한 상기 RF 안테나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충전부의 충전실행을 제어하는 RF 검출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는 상기 ECU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가 상기 LF 안테나에 수신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RF 검출 및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에서 송출된 상기 RF 신호가 상기 RF 안테나에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무선충전부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는 상기 ECU에서 송출된 상기 LF 신호가 상기 LF 안테나에 수신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RF 검출 및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에서 송출된 상기 RF 신호가 상기 RF 안테나에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무선충전부가 상기 LF와 다른 영역의 주파수를 상기 스마트폰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LF 검출 및 제어부는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무선충전부가 상기 LF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1020170037537A 2016-09-21 2017-03-24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101949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377 2016-09-21
KR20160120377 2016-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163A true KR20180032163A (ko) 2018-03-29
KR101949585B1 KR101949585B1 (ko) 2019-02-19

Family

ID=6190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537A KR101949585B1 (ko) 2016-09-21 2017-03-24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5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2479A (zh) * 2018-12-07 2019-04-23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消除车载无线充电对peps干扰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2044277B1 (ko) * 2019-06-18 2019-11-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CN113013966A (zh) * 2019-12-20 2021-06-22 新加坡商华科全球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及其警示信号产生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209A (ko) * 2012-12-24 2014-07-0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무선충전시스템
KR20140082208A (ko) * 2012-12-24 2014-07-0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무선충전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50035A (ko) * 2013-10-31 2015-05-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6260A (ko) * 2014-10-20 2016-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무선 충전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209A (ko) * 2012-12-24 2014-07-0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무선충전시스템
KR20140082208A (ko) * 2012-12-24 2014-07-0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무선충전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50035A (ko) * 2013-10-31 2015-05-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6260A (ko) * 2014-10-20 2016-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무선 충전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2479A (zh) * 2018-12-07 2019-04-23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消除车载无线充电对peps干扰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9672479B (zh) * 2018-12-07 2020-04-03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消除车载无线充电对peps干扰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2044277B1 (ko) * 2019-06-18 2019-11-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CN113013966A (zh) * 2019-12-20 2021-06-22 新加坡商华科全球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及其警示信号产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585B1 (ko)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1509B1 (en) Combined vehicle passive entry/passive start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wireless charging system
US9502922B2 (en) Charging apparatus
US9973237B2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CN103297086B (zh) 无线功率和数据设备、系统和方法
KR101949585B1 (ko)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US9941706B2 (en) Wireless power safety component
US9260079B2 (en) Keyless entry system
JP6053442B2 (ja) 通信システム、受信装置、送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216530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Fixed Informa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EP2529984A1 (en) Remote keyless entry relay module and system.
US20150357830A1 (en) Vehicular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power-feeding device, and non-transitory tangibl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877994B1 (ko) 차량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30179030A1 (e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and device
EP3802235A1 (en) Passive entry passive start device providing wireless charger resources and method to operate such a device
CN114041296A (zh) 无线通信设备、用于无线通信设备的方法和计算机程序
KR20180092093A (ko) 충전 제어 장치
KR20150011031A (ko)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0419141B (zh) 通过近场通信对电池充电的方法
CN110525378B (zh) 提供无线充电器资源的peps装置及操作该装置的方法
JP6116513B2 (ja) 携帯機、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制御システム
KR20160046324A (ko) 무선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6758B1 (ko) 무선 충전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서의 스마트키 탐색 방법 및 장치
EP3228018B1 (en) Nfc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improved power harvesting
CN111431294A (zh) 提供无线充电器资源的无钥匙进入启动设备及其操作方法
US20220247228A1 (en) Automotive key fob interference prevention in wireless charg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