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035A -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035A
KR20150050035A KR1020130131361A KR20130131361A KR20150050035A KR 20150050035 A KR20150050035 A KR 20150050035A KR 1020130131361 A KR1020130131361 A KR 1020130131361A KR 20130131361 A KR20130131361 A KR 20130131361A KR 20150050035 A KR20150050035 A KR 20150050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signal
vehicle
coil pad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언호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035A/ko
Publication of KR20150050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60R25/406Power supply in the remote ke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은, 제1 코일 패드를 포함한 스마트 키,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제2 코일 패드,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을 위한 LF(Low Frequency) 신호를 송신하는 LF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LF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송신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RF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LF 신호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코일 패드와 상기 제2 코일 패드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제1 코일 패드에 유도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를 충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a smart key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원하는 기기로 전달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은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나 레이저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 또한 무선 방식에 의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자기 유도, 자기 공진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거리 송신 기술 등이 있다.
무선 충전 기술이란 무선 전력 기술의 다른 말로써, 예를 들어, 전자기기를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접촉식으로서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충전이 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동 칫솔이나 무선 면도기의 배터리 충전이 상기 기술로 충전되며, 이러한 기술은 일반인들에게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은 전자 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한다는 점에서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고, 유선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기기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어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2589호에는 차량용 자기공명 무선충전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에 설치된 스마트 키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이용하여 차량용 스마트 키를 무선 충전하며, 특히, 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에 설치된 스마트 키 ECU를 이용하여 차량용 스마트 키를 무선 충전하며, 특히, 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제1 코일 패드를 포함한 스마트 키,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제2 코일 패드,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을 위한 LF(Low Frequency) 신호를 송신하는 LF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LF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송신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RF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LF 신호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코일 패드와 상기 제2 코일 패드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제1 코일 패드에 유도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를 충전한다.
여기에서, 상기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은, 상기 LF 신호 송신부와 상기 RF 신호 수신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송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통신 모드 또는 충전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드와 상기 충전 모드를 교대로 반복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LF 신호의 주파수는 125kHz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방법의 일 실시예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LF 신호 송신부를 통해 LF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LF 신호에 대응하여, 스마트 키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RF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통신 모드 또는 충전 모드 설정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키에 대해 충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스마트 키 내부에 포함된 제1 코일 패드와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제2 코일 패드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제1 코일 패드에 유도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를 충전한다.
여기에서, 상기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방법은, 상기 통신 모드와 상기 충전 모드를 교대로 반복하여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F 신호의 주파수는 125kHz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자기 유도를 통한 무선 충전 방식을 제공하므로, 유선 충전에 필요한 케이블 또는 외부 포트가 필요없어 차량 및 스마트 키의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기존에 차량 내에 설치되는 스마트 키 ECU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부가 장비 설치없이 스마트 키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키를 무선 충전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스마트 키의 충전 모드 설정을 위한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용 스마트 키에 무선으로 전력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키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하므로 차량 내에 스마트 키가 존재시 스마트 키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되며, 기존의 배터리 교환식과 달리, 배터리 소진에 따른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키를 무선 충전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스마트 키의 충전 모드 설정을 위한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은 스마트 키(10), 스마트 키 ECU(100), LF 신호 송신부(200), LF 신호 송신 안테나(210), 제2 코일 패드(220), RF 신호 수신부(300),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스마트 키(10)는 제1 코일 패드(40)를 포함한다. 제1 코일 패드(40)는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한 유도 전류를 통해 스마트 키 배터리(50)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스마트 키(10)는 차량의 스마트 키 ECU(100)와 통신하여,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를 원격으로 개폐할 수 있다. 스마트 키(10)가 스마트 키 ECU(100)와 통신하는 신호는 LF(Low Frequency) 신호와 RF(Radio Frequency) 신호이다.
스마트 키 ECU(100)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통해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LF 신호 송신부(200), LF 신호 송신 안테나(210), 제2 코일 패드(220), RF 신호 수신부(300),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LF 신호 송신부(20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스마트 키(10)의 인증을 위한 LF 신호(S1)를 송신한다. 즉, 차량 주위에 스마트 키(10)가 존재하는지 LF 신호(S1)를 송신하고, 스마트 키(10)가 송신하는 RF 신호(S2)를 통해 차량에 적합한 스마트 키(1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LF 신호 송신부(200)는 차량 제어 이벤트 또는 차량 정보 이벤트가 발생하면, 각 이벤트에 대응하는 LF 신호(S1)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LF 신호 송신부(200)는 차량 제어 이벤트가 발생하면,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LF 신호(S1)를 송신하며, 차량 정보 이벤트가 발생하면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LF 신호(S1)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차량 제어 이벤트는 차량 시동 온/오프나, 차량 도어 열림/잠김 등이 요청됨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이며, 차량 정보 이벤트는 OBD 경고 메시지, 주행거리, 연료량이나, 진단 정보 등을 수신함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LF 신호 송신 안테나(210)는 LF 신호 송신부(200)에서 송신한 LF 신호(S1)를 주위로 방사한다. 여기에서, LF 신호(S1)의 주파수는 125kHz일 수 있다. LF 신호 송신 안테나(210)를 통해 방사된 LF 신호(S1)는 스마트 키(10)에 포함된 LF 신호 수신 안테나(30)를 통해서 스마트 키 LF 신호 수신부(20)로 수신될 수 있다.
제2 코일 패드(22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LF 신호 송신부(200) 주위에 설치되거나, LF 신호 송신부(200) 내에 포함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코일 패드(220)는 LF 신호 송신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켜, 스마트 키(10)의 제1 코일 패드(40)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 키 배터리(50)를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RF 신호 수신부(30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LF 신호(S1)에 응답하여 스마트 키(10)로부터 송신된 RF 신호(S2)를 수신한다. 즉, 스마트 키(10) 인증을 위해 송신한 LF 신호(S1)에 대응하여, 차량에 적합한 스마트 키(10)가 존재시에 스마트 키(10)는 RF 신호(S2)를 송신하고, 이를 RF 신호 수신부(300)에서 수신한다. 또한, RF 신호(S2)에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여, 다른 이벤트에 대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스마트 키 ECU(100) 내에서, LF 신호 송신부(200) 및 RF 신호 수신부(300)와 연결되고, 스마트 키(10)로부터 송신된 RF 신호(S2)를 이용하여 스마트 키(10)의 통신 모드 또는 충전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제어한다. 즉, 스마트 키(10)로부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S2)가 수신된 경우, 이에 따라 시동 온/오프 및 차량 도어 개폐 등을 제어한다. 그리고, 스마트 키(10)가 내부에 존재하게 되면, 스마트 키(10)와 통신하여 스마트 키(10)의 충전 여부를 제어한다. 스마트 키(10)를 충전 모드로 설정하여 스마트 키(10)가 충전되는 동안에도, 제어부(400)는 스마트 키(10)를 통신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수행하여 차량 내에 스마트 키(1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차량 제어 이벤트가 발생하면, 차량 내부 인터페이스(또는 차량 네트워크)에 기 설정된 차량 정보를 요청하고, 차량 내부 인터페이스(또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그에 대응하는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400)는 차량 내부 인터페이스(또는 차량 네트워크)로부터 차량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차량 정보 이벤트가 발생하면, 차량 정보를 일정 단위로 분할하여 LF 신호 송신부(200)를 통해 일정 단위의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LF 신호(S1)를 송신한다.
이하에서, 스마트 키(10)의 충전 모드 설정을 위한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LF 신호 송신부(200)를 통하여 LF 신호(S1)를 전송한다(S100). 스마트 키(10)로부터 송신된 RF 신호(S2)를 수신하여 스마트 키(10)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S110). 스마트 키(1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Immobilizer 통신을 수행한다(s120). 만약 스마트 키(10)가 감지된 경우에는 스마트 키 배터리(50)의 충전 여부를 판단한다(S130). 스마트 키 배터리(50)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S140), 스마트 키 배터리(50)를 충전한다(S150). 스마트 키 배터리(50)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종료하고,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무선 전력을 전송하도록 한다(S160). 만약 스마트 키 배터리(50)의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마트 키(10)는 스마트 키 ECU(100)와 LF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 모드로 설정된다(S17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과 달리, 제어부(400)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스마트 키(10)의 통신 모드 또는 충전 모드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0)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므로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차량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은 존재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차량 내부에 설치된 LF 신호 송신부를 통해 LF 신호를 송신한다(S1000). LF 신호는 스마트 키의 인증을 위해서 송신된다. 여기에서, LF 신호의 주파수는 125kHz일 수 있다.
이어서, LF 신호에 대응하여, 스마트 키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한다(S1100).
이어서, RF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키의 통신 모드 또는 충전 모드 설정을 제어한다(S1200). 이 때, 스마트 키에 대해 충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도 스마트 키를 통신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수행하여 차량 내에 스마트 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스마트 키에 대해 충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스마트 키 내부에 포함된 제1 코일 패드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제2 코일 패드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한다(S1300). 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은, 차량 내의 LF 신호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자기장에 의하여 제1 코일 패드에 유도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스마트 키를 충전한다(S140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스마트 키 100: 스마트 키 ECU
200: LF 신호 송신부 300: RF 신호 수신부
400: 제어부

Claims (7)

  1. 제1 코일 패드를 포함한 스마트 키;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제2 코일 패드;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을 위한 LF(Low Frequency) 신호를 송신하는 LF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LF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송신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RF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LF 신호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코일 패드와 상기 제2 코일 패드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제1 코일 패드에 유도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를 충전하는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F 신호 송신부와 상기 RF 신호 수신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송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통신 모드 또는 충전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드와 상기 충전 모드를 교대로 반복하여 설정하는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F 신호의 주파수는 125kHz인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5. 차량 내부에 설치된 LF 신호 송신부를 통해 LF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LF 신호에 대응하여, 스마트 키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RF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통신 모드 또는 충전 모드 설정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키에 대해 충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스마트 키 내부에 포함된 제1 코일 패드와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제2 코일 패드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제1 코일 패드에 유도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를 충전하는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와 상기 충전 모드를 교대로 반복하여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LF 신호의 주파수는 125kHz인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방법.
KR1020130131361A 2013-10-31 2013-10-31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0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361A KR20150050035A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361A KR20150050035A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035A true KR20150050035A (ko) 2015-05-08

Family

ID=5338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361A KR20150050035A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00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163A (ko) * 2016-09-21 2018-03-29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20190055981A (ko) * 2017-11-16 2019-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과 근접한 이동 통신 단말의 충전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163A (ko) * 2016-09-21 2018-03-29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20190055981A (ko) * 2017-11-16 2019-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과 근접한 이동 통신 단말의 충전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06192B (zh) 无线充电装置和控制无线充电的方法
US11356145B2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CN110476362B (zh) 在无线电力传输系统中执行通信的设备和方法
US9721404B2 (en) Apparatus for a security system of a vehicle
EP2652877B1 (en) Wireless energy transfer and continuous radio station signal coexistence
US20130214735A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300826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CN104584363B (zh) 用于无线电力传送系统中的电力输出控制的系统和方法
CN107054108A (zh) 无线充电系统中的磁场对准方法和装置及使用的初级垫
CN103872721A (zh) 无线充电系统的收发排列状态显示方法及装置
CN103840532B (zh) 汽车无线充电系统
KR20140085557A (ko) 무선 키 포브 및 상호작용 시스템을 위한 신호 구분
CN105226785A (zh) 无线充电系统
US20190054829A1 (en) Charging control method,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3921683A (zh) 车载系统、电子钥匙系统、及控制单元
CN110996320A (zh) 电动车辆的充电端口授权
US9742213B2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of vehicle
KR102217265B1 (ko)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150050035A (ko) 차량용 스마트 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
US20150357830A1 (en) Vehicular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power-feeding device, and non-transitory tangibl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877994B1 (ko) 차량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1031A (ko)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0483224Y1 (ko) 차량의 무선충전장치
CN102856966A (zh) 一种车载无线充电器工作状态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
KR20170122617A (ko)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적응형 오비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