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337A -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 - Google Patents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337A
KR20180031337A KR1020160119819A KR20160119819A KR20180031337A KR 20180031337 A KR20180031337 A KR 20180031337A KR 1020160119819 A KR1020160119819 A KR 1020160119819A KR 20160119819 A KR20160119819 A KR 20160119819A KR 20180031337 A KR20180031337 A KR 20180031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bridge
fixed
shaft
lower bas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택영
Original Assignee
(주)위너스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너스마린 filed Critical (주)위너스마린
Priority to KR1020160119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1337A/ko
Publication of KR2018003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01D15/20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collapsible, expandable, inflatable or the like with main load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nly of non-rigi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이 부잔교에 도착했을 때 승객을 육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도교(渡橋)가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 및 회전 유동성을 향상시켜 안정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선된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잔교와 육상을 연결하는 도교가 바람이나 파도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교 고정장치의 잦은 파손을 막아 선박 탑승객의 안전한 하선을 도모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유지 보수기간을 늘려 이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및 인력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Lifting up, down and turn left, right floating apparatus for foot bridge}
본 발명은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이 부잔교에 도착했을 때 승객을 육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도교(渡橋)가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 및 회전 유동성을 향상시켜 안정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개선된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교(渡橋)란 부잔교(浮棧橋)와 부두 또는 창고 사이에 가설한 다리나 사다리를 일컫는다.
이때, 부잔교는 선박의 접안 및 하역용으로 수상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이러한 부잔교는 특히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해상에서 해수면의 변동에 관계없이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항만시설의 일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교는 주로 선박에서 승객이 내릴 때 육상과 부잔교를 연결하여 승객이 안전하게 육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외에 별다른 특징이 없기 때문에 단순히 육상과 부잔교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장치로만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해상에서 부는 바람이나 파도는 부유되어 있는 부잔교를 동요시키므로 결국 부잔교와 육상을 연결하는 도교도 심하게 흔들릴 수 밖에 없고, 이를 이용하는 승객은 불편함을 넘어 안전상 불안감이 증폭될 뿐만 아니라, 도교 및 육상에 고정되어 있는 도교 고정장치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다.
뿐만 아니라, 도교 고정장치 파손시에는 이를 유지 보수해야 하는데 그에 따른 비용과 시간 및 작업인력의 과다한 낭비가 초래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63146호(2013.05.03.) '연동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용 도교'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25525호(2013.10.30.) '도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11689호(2015.04.01.)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부잔교와 육상을 연결하는 도교가 바람이나 파도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교 고정장치의 잦은 파손을 막아 선박 탑승객의 안전한 하선을 도모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유지 보수기간을 늘려 이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및 인력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된 원통형상의 축지지통; 상기 축지지통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단과 이격설치되고, 상면에는 도교가 연결 고정된 상부베이스;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단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크게 이격된 한 쌍의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힌지고정된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축지지통에는 상기 회전축의 삽입단을 완전히 감싸도록 하부는 밀폐되고 상부만 개방된 원통형상의 윤활부재가 더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유동을 빡빡하게 유지시키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윤활부재는 MC 나일론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축지지통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베이스에는 직각삼각형상을 갖는 다수의 보강비드가 더 용접되어 상기 축지지통과 하부베이스 간의 고정력을 증대시킨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잔교와 육상을 연결하는 도교가 바람이나 파도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교 고정장치의 잦은 파손을 막아 선박 탑승객의 안전한 하선을 도모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유지 보수기간을 늘려 이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및 인력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의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의 예시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이기 위해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예시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는 하부베이스(1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베이스(100)는 판상의 부재로서, 다수의 고정볼트(110)를 통해 지면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하부베이스(100)의 고정은 보통 콘트리트를 지면에 타설, 양생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만든 상태에서 이 콘크리트 블럭에 고정볼트(110), 이를 테면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베이스(100)의 상면, 바람직하게는 상면 중앙부에는 원통형상의 축지지통(200)이 고정되어 일체를 이룬다.
이 경우, 상기 축지지통(200)의 수직도를 유지하면서 고정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축지지통(200)의 둘레에는 상기 축지지통(200)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베이스(100)에 각각 용접고정되는 직각삼각형상의 보강비드(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축지지통(200)에는 원통형상의 회전축(300)이 끼워진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축지지통(200)에 약간의 유격을 갖고 끼워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격은 윤활부재(400)에 의해 없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윤활부재(400)를 통해 상기 회전축(300)이 다소 빡빡하게 축 고정되게 함으로써 일반적인 베어링에 의한 가벼운 회전유동 구조가 아니라, 빡빡함을 가진 상태로 다소 무겁게 회전유동하는 구조를 갖춘 것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렇게 구성하는 이유는 도교가 승객들의 이동통로이므로 쉽게 움직이거나 흔들릴 경우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때문에, 상술한 요건을 충족시킬 윤활부재(400)로는 MC 나일론이 바람직하며, 상기 윤활부재(400)는 상기 회전축(3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부만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00)이 끼워지기 전에 상기 축지지통(200)에 먼저 끼워진다. 그런 다음, 회전축(300)이 끼워져 빡빡한 조립 관계를 구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윤활부재(400)인 MC 나일론은 주원료인 나일론 모노머를 대기압하에서 중합, 성형하는 것으로 사출, 압출 성형이 가능하고, 금속, 목재류의 대체 소재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MC 나일론의 특징으로는 유기 용제, 유지, 알카리성 약품에 침범되기 어려운 내약품성을 가지고 있고, 종래 나일론 수지에 비해 기계적 강도, 내구성이 현저히 뛰어나며, 자기 윤활성이 있어 미끄럼짐 성능이 우수한 특징을 가진 소재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00)과 축지지통(200) 사이에 개재시키되, 반드시 상기 회전축(300)을 완전히 감싸도록 상부만 개방되고 하부는 밀봉된 원통형상을 갖도록 윤활부재(400)를 구현함으로써 회전축(300)이 다소 빡빡한 상태로 360°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00)의 상단부, 즉 상기 축지지통(200)에 끼워지고 남은 부분, 다시 말해 축지지통(200)에 대해 상부로 돌출된 노출부분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공(310)이 관통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관통공(310)에는 고정핀(500)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윤활부재(400)는 상기 축지지통(200)에 삽입되는 높이를 갖기 때문에 상기 고정핀(500)이 관통공(310)에 끼워질 때 간섭 등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상기 회전축(300)의 상부에는 상부베이스(600)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베이스(600)의 하단면에는 상기 회전축(300)의 직경보다 큰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힌지브라켓(610)이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힌지브라켓(610)에는 힌지공(620)이 천공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핀(500)은 상기 힌지브라켓(610)의 힌지공(620)과 상기 회전축(300)의 관통공(310)을 관통하여 끼워짐으로써 상기 상부베이스(600)가 상기 회전축(30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다만, 상기 상부베이스(600)의 회전방향은 상기 힌지브라켓(610)에 핀고정되는 고정핀(500)이 끼워지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만 회전유동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축지지통(200)에 대해 360°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조이므로 결국 상기 상부베이스(600)는 상기 회전축(300)에 대해서는 정해진 방향으로만 회전유동할 수 있지만, 상기 하부베이스(100)에 대해서는 360°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베이스(600)의 상면에는 도교(F)가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500)의 양단은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와셔형 고정부재(630)를 통해 체결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때문에, 도교(F)가 임의로 막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빡빡함을 유지한 채 360°회전가능하기 때문에 바람, 파도 등의 영향에 의해 받은 힘을 회전유동으로 자유롭게 분산시키면서 승강되는 방향은 힌지브라켓(610)과 회전축(300)의 결합에 의해 정해진 방향으로만 유발되게 하여 도교(F)의 흔들림과 출렁거림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승객들이 안전하게 하선 또는 승선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구조를 갖게 되면 이중 회전유동방식에 의한 외력 흡수, 분산 효과가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고정장치가 받은 힘이 줄어 들어 피로강도가 낮아지고, 응력 집중이 최소화되므로 그 만큼 파손, 파단의 문제가 억제되어 장수명화가 가능하게 된다.
즉, 도 6의 예시와 같이, 승객들이 도교(F)를 따라 승선 또는 하선을 위해 움직일 때 도교(F)가 직접 고정되어 있는 상부베이스(600)가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베이스(100)에 대해 원주방향으로는 임의로 자유롭되 다소 빡빡하게 회전유동되게 하고, 원주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는 특정방향, 즉 힌지브라켓(610)에 끼워진 고정핀(5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만 회전유동되게 구속함으로써 외력이 충분히 흡수, 분산되되 도교(F)의 출렁거림이나 흔들림은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때문에, 승객들은 안전한 승,하선이 가능하게 되고, 도교(F)를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장치 또한 장수명화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0: 하부베이스 200: 축지지통
300: 회전축 400: 윤활부재
500: 고정핀 600: 상부베이스

Claims (4)

  1.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된 원통형상의 축지지통;
    상기 축지지통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단과 이격설치되고, 상면에는 도교가 연결 고정된 상부베이스;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단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크게 이격된 한 쌍의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힌지고정된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통에는 상기 회전축의 삽입단을 완전히 감싸도록 하부는 밀폐되고 상부만 개방된 원통형상의 윤활부재가 더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유동을 빡빡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윤활부재는 MC 나일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통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베이스에는 직각삼각형상을 갖는 다수의 보강비드가 더 용접되어 상기 축지지통과 하부베이스 간의 고정력을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
KR1020160119819A 2016-09-20 2016-09-20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 KR20180031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819A KR20180031337A (ko) 2016-09-20 2016-09-20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819A KR20180031337A (ko) 2016-09-20 2016-09-20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337A true KR20180031337A (ko) 2018-03-28

Family

ID=6190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819A KR20180031337A (ko) 2016-09-20 2016-09-20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13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180212A1 (no) * 2018-02-09 2019-08-12 Seawalk As Fleksible ledd mellom lektere
KR102132956B1 (ko) * 2019-12-31 2020-07-13 주식회사 한강산업 부력식 스윙도교
KR102184752B1 (ko) * 2019-08-08 2020-12-02 (주)대력에프에이에스 부유구조물용 도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5454A (ja) * 2001-02-07 2002-08-23 Toyo Tire & Rubber Co Ltd 制振ダンパ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5454A (ja) * 2001-02-07 2002-08-23 Toyo Tire & Rubber Co Ltd 制振ダンパー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180212A1 (no) * 2018-02-09 2019-08-12 Seawalk As Fleksible ledd mellom lektere
KR102184752B1 (ko) * 2019-08-08 2020-12-02 (주)대력에프에이에스 부유구조물용 도교
KR102132956B1 (ko) * 2019-12-31 2020-07-13 주식회사 한강산업 부력식 스윙도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0537B1 (ja) 洋上構造物の施工方法
KR20180031337A (ko) 도교용 상하좌우 유동장치
KR101813440B1 (ko) 부유식 기반을 가진 부유식 풍력 터빈, 및 이 풍력 터빈의 설치 방법
US10267003B2 (en) Pile guide
US4162551A (en) Footbridge for connection between a fixed installation and an oscillating installation
US9957024B2 (en) Floating boat lifting apparatus for raising or lowering the boat from or onto the water
KR101342135B1 (ko) 유동형 안전난간
KR101508549B1 (ko) 부잔교와 파일의 연결장치
US4726313A (en) Mooring boats
KR20180101893A (ko) 고강도 콘크리트 폰툰을 포함한 선박 계류장치
CN109720512A (zh) 海洋平台及其登乘舷梯
DE1963551A1 (de) Einpunkt-Verankerungsboje zum Be- und Entladen von Schiffen
KR102027577B1 (ko) 계류 장치
CN220225215U (zh) 一种适用于桥墩上游漂浮物的自动清理装置
KR101727011B1 (ko)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
US20110274494A1 (en) Boom Mooring System
CN204021207U (zh) 一种组合式登船装置
US8439601B2 (en) Containment boom mooring system
US9061737B2 (en) Vertical glide mooring system
KR101184599B1 (ko) 와이어로프 토출구 기밀 장치
US9085868B2 (en) Oil boom
JP2010132307A (ja) 浮屋根揺動防止装置
RU2280735C1 (ru) Люк смотрового колодца
KR101658615B1 (ko)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
KR101063726B1 (ko) 육안 연결교용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