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284A - 싱크대 - Google Patents
싱크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1284A KR20180031284A KR1020160119544A KR20160119544A KR20180031284A KR 20180031284 A KR20180031284 A KR 20180031284A KR 1020160119544 A KR1020160119544 A KR 1020160119544A KR 20160119544 A KR20160119544 A KR 20160119544A KR 20180031284 A KR20180031284 A KR 201800312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members
- adjusting
- working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배수구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물건을 세척하기 위한 물을 유입받으며, 유입된 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개수부; 상기 개수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물건을 놓을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부; 및 상기 작업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작업부의 상부를 덮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이 배수구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는 주방에 설치되어 음식 조리 및 설거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수대와 수납장이 구성된 주방가구로서, 통상적으로 상부에는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 개수대와 상기 개수대의 측면에는 조리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대와 상기 개수대의 하부에는 식기 및 주방도구를 수납하는 수납장이 구비되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6470호(2009.10.24 등록)는 보조작업판이 구비된 싱크대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배수구가 설치된 개수대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작업판이 형성된 싱크대상판의 하단에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가 설치되고, 작업판의 하단으로는 작업판을 관통하는 인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보조작업판이 설치된 권취축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앙이 하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를 이룬 후 배수공이 형성된 권취실로 이루어진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은 양끝단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작업판은 권취축에 말단이 고정된 후 권취축의 둘레방향으로 감기며, 타단은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인출구에 고정되되, 육면체형으로 일측면에 통공이 구비된 회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돌기가 형성된 일측면과 대응되는 타측면에 통공이 구비된 회동홈이 형성된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돌기와 회동홈의 통공을 회동핀이 끼워져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권취실의 내측 일면에는 자외선램프가 형성되고, 상기 개수대의 측면으로 보조작업판을 인출시 보조작업판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끼워져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5927호(2009.09.02 등록)는 싱크대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조리를 행하는 조리대와, 상기 조리대의 일측에 형성된 세척통과, 상기 세척통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개폐레버와, 상기 조리대의 하측에 형성된 수납실과, 상기 수납실을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진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의 천정면과 바닥면의 일측에는 한쌍의 라운딩부가 각각 연장형상되고, 상기 도어는 전체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의 상, 하측에는 종방향으로 라운드진 형상의 손잡이패널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패널은 일면과 양측이 개방됨과 아울러 이의 길이방향으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천정의 일면에는 턱부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바닥의 양측에는 상기 도어의 전,후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부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납실의 천정면은 싱크대의 상부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는 상기 싱크대의 상부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개의 레일부와, 일측이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하부 양측에 주행롤러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공간의 내/외측으로 이동하는 도마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싱크대는, 조리를 하거나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작업판이 형성되어 있긴 하지만,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를 하거나 물건을 올려놓았을 때 물기가 빠지지 않고 고여 악취가 발생하거나 물기가 빨리 마르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판을 덮기 위한 구성이 별도로 없기 때문에 작업판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물이 배수구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며, 작업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부를 형성한 싱크대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물건을 세척하기 위한 물을 유입받으며, 유입된 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개수부; 상기 개수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물건을 놓을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부; 및 상기 작업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작업부의 상부를 덮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는 싱크대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작업부는, 상부면이 상기 개수부 쪽으로 갈수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작업부는, 상부 테두리 부분 중 상기 개수부 쪽을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물건에 묻어있는 물이 상기 작업부 쪽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하부면에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작업부를 덮기 위한 다수개의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재 사이를 절첩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절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부재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재를 절첩하였을 경우에 상기 덮개부재 사이가 늘어날 수 있도록 탄력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부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경사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덮개부의 일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동하면서 상기 덮개부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부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조리 작업 시 발생하는 물이 배수구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여 물이 고이지 않기 때문에 악취가 발생하지 않으며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덮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작업부의 상부를 덮어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건을 올려놓거나 조리 작업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덮개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덮개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덮개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덮개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덮개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덮개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싱크대(10)는, 본체부(100), 개수부(200), 작업부(300), 덮개부(4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상부에 물건을 세척하기 위한 개수부(200)가 형성되고, 하부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개수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일정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물건을 세척하기 위한 물을 유입받으며, 유입된 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개수부(200)는, 바닥면에 배출공(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공(210)의 하부에 배수관(220)이 연결 설치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수부(200)는, 스테인레스나 금속재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수부(200)는, 좌측면, 우측면, 전면, 후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일정각도(예를 들어, 5ㅀ~ 20ㅀ)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물이 고이지 않고 배출공(210) 쪽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작업부(300)는, 개수부(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며, 물건(예를 들어, 식기, 수저 등)을 올려놓거나 조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부(300)는, 상부면이 개수부(200) 쪽으로 갈수록 일정 각도(예를 들어, 5ㅀ~ 20ㅀ)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물이 개수부(200) 쪽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부(300)는, 걸림턱(310)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턱(310)은, 작업부(300)의 상부 테두리 부분 중 개수부(200) 쪽을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부에 덮개부(400)를 위치시켜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턱(310)은, 개수부(200) 쪽을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할 수 있다.
덮개부(400)는, 작업부(30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작업부(300)의 상부를 덮는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400)는, 걸림턱(310)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400)는, 작업부(300)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400)는, 일측이 경사진 작업부(300)와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즉,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평평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부에 물건을 올려놓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400)는, 조리 작업을 하거나 물건으로부터 발생하는 물이 하부(즉, 작업부(300))로 빠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출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400)는, 상부에 형성되어,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싱크대(10)는 작업부(300)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조리 작업 시 발생하는 물이 배수구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여 물이 고이지 않기 때문에 악취가 발생하지 않으며 위생적이다. 또한, 덮개부(400)를 형성함으로써, 작업부(300)의 상부를 덮어 작업부(300)가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평하게 설치되는 덮개부(400)의 상부에 물건을 올려놓거나 작업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덮개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부(400)는, 배출홀(410), 미끄럼방지부재(420)를 포함한다.
배출홀(410)은, 조리 작업 시 발생하는 물 또는 물건에 묻어있는 물이 작업부(300) 쪽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다수개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배출홀(410)은, 물건이 빠지지 않도록 작은 구멍 형태(예를 들어, 지름이 약 0.5cm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재(420)는, 덮개부(400)의 하부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덮개부(4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부재(420)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부재(420)는, 덮개부(400)의 하부면에 돌출된 엠보싱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평평한 패드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덮개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덮개부(400)는, 다수개의 덮개부재(430), 다수개의 절첩부재(440)를 포함한다.
덮개부재(430)는, 다수개로 형성되어 작업부(300)의 상부를 덮는다.
절첩부재(440)는, 다수개의 덮개부재(430)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덮개부재(430) 사이를 절첩시킨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 절첩부재(440)가 덮개부재(430)의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절첩부재(440)가 하부로 가도록 뒤집어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첩부재(440)는, 경첩으로 형성하여 다수개의 덮개부재(430) 사이를 절첩시킬 수 있으며, 경첩 외에 다양한 절첩수단으로 형성하여 덮개부재(430)를 절첩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첩부재(440)는, 다수개의 덮개부재(430)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덮개부재(430)를 원형으로 돌돌 말아 보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관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보관시 차지하는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덮개부(400)는, 덮개부재(430a, 430b, 430c)는, 탄력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탄력부재(450)는, 다수개의 덮개부재(430) 사이에 형성되어, 덮개부재(430)를 절첩하거나 말아서 보관하는 경우에 덮개부재(430) 사이가 늘어나도록 하여 덮개부재(430)를 원활하게 절첩 또는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부재(450)는, 탄력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덮개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덮개부(400)는, 덮개부재(430a, 430b, 430c), 다수개의 절첩부재(440a, 440b)를 포함한다.
덮개부재(430a, 430b, 430c)는, 다수개로 형성되어 작업부(300)의 상부를 덮는다. 도면에서는 덮개부재(430a, 430b, 430c)가 3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2개로 형성하거나 4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절첩부재(440a, 440b)는, 덮개부재(430a, 430b, 430c) 사이에 형성되어, 덮개부재(430a, 430b, 430c) 사이를 절첩시킨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 덮개부재(430a, 430b, 430c)의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절첩부재(440a, 440b)가 하부로 가도록 뒤집어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첩부재(440a, 440b)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경첩으로 형성하여 절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덮개부(400)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부(300)에서 개수부(200) 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게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의 덮개부재를 접어 사용하는 등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재(430a, 430b, 430c)는, 탄력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탄력부재(450)는, 덮개부재(430a, 430b, 430c) 사이에 형성되어, 덮개부재(430a, 430b, 430c)를 절첩하였을 경우에 덮개부재(430a, 430b, 430c) 사이가 늘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부재(450)는, 탄력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부재(450)는, 도면에서 오른쪽의 덮개부재(430c)를 좌측으로 절첩한 후에 왼쪽의 덮개부재(430a)를 우측으로 절첩하기 위해 두 개의 덮개부재(430b, 430c)를 합친 두께만큼 늘어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덮개부(400)는, 덮개부재(430a, 430b, 430c) 사이를 절첩하여 덮개부재(430a, 430b, 430c)를 서로 적층시켜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덮개부재가 4개 이상의 다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5처럼 돌돌 말아 보관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싱크대(10)는, 본체부(100), 개수부(200), 작업부(300), 덮개부(400), 경사조절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개수부(200), 작업부(300), 덮개부(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경사조절부(500)는, 작업부(300)의 일 말단과 덮개부(400)의 일 말단 사이에 형성되어, 덮개부(400)의 경사를 조절한다. 즉, 평평하게 설치된 덮개부(400)를 작업부(300)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부(300) 보다 더 크거나 작은 경사를 가지도록 조절하여 물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덮개부(400)가 가장 큰 경사 각도를 가지는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경사조절부(500)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경사조절부(500)는, 조절부재(510), 고정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재(510)는, 덮개부(400)의 일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회동하면서 덮개부(400)의 일 말단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덮개부(400)의 경사를 조절한다.
고정부재(520)는, 조절부재(510)의 일측 방향에 해당하는 덮개부(400)의 일 말단에 돌출 형성되어, 회동하는 조절부재(510)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520)는, 조절부재(510)를 고정하기 위해 정면에서 봤을 때는 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측면에서 봤을 때는 단면이 1/4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520)는,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설치 간격이 조절부재(51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조절부재(5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520)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등)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520)는, 장착홈(530), 스프링(54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홈(530)은, 고정부재(520)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내부에 스프링(540)과 고정부재(520)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스프링(540)은, 일 말단은 고정부재(520)와 체결하고, 다른 일 말단은 장착홈(530)과 체결한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510)가 A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고정부재(520)가 눌려 스프링(540)이 탄성 압축되면서 고정부재(520)가 장착홈(530)에 삽입되었다가, 조절부재(510)가 지나가면 스프링(540)의 탄성에 의해 고정부재(520)가 원위치로 돌아오면서 조절부재(510)가 B 방향으로 돌아가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경사조절부(500)는, 평상시에는 조절부재(510)가 수평인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가 덮개부(400)의 경사를 조절할 때 조절부재(510)를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조절부재(510)가 고정부재(520)를 가압하여 고정부재(520)가 스프링(540)의 탄성에 의해 장착홈(53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며, 조절부재(510)를 회동시키면 고정부재(520)가 스프링(540)의 탄성에 의해 장착홈(530)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조절부재(510)를 고정하여 덮개부(40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싱크대
100 : 본체부
200 : 개수부
210 : 배출공
220 : 배수관
300 : 작업부
310 : 걸림턱
400 : 덮개부
410 : 배출홀
420 : 미끄럼방지부재
430, 430a, 430b, 430c : 덮개부재
440, 440a, 440b : 절첩부재
450 : 탄력부재
500 : 경사조절부
510 : 조절부재
520 : 고정부재
530 : 장착홈
540 : 스프링
100 : 본체부
200 : 개수부
210 : 배출공
220 : 배수관
300 : 작업부
310 : 걸림턱
400 : 덮개부
410 : 배출홀
420 : 미끄럼방지부재
430, 430a, 430b, 430c : 덮개부재
440, 440a, 440b : 절첩부재
450 : 탄력부재
500 : 경사조절부
510 : 조절부재
520 : 고정부재
530 : 장착홈
540 : 스프링
Claims (10)
-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물건을 세척하기 위한 물을 유입받으며, 유입된 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개수부;
상기 개수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물건을 놓을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부; 및
상기 작업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작업부의 상부를 덮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는 싱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부면이 상기 개수부 쪽으로 갈수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부 테두리 부분 중 상기 개수부 쪽을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물건에 묻어있는 물이 상기 작업부 쪽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하부면에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작업부를 덮기 위한 다수개의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재 사이를 절첩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절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재를 절첩하였을 경우에 상기 덮개부재 사이가 늘어날 수 있도록 탄력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경사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덮개부의 일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동하면서 상기 덮개부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9544A KR101847729B1 (ko) | 2016-09-19 | 2016-09-19 | 싱크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9544A KR101847729B1 (ko) | 2016-09-19 | 2016-09-19 | 싱크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1284A true KR20180031284A (ko) | 2018-03-28 |
KR101847729B1 KR101847729B1 (ko) | 2018-04-11 |
Family
ID=6190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9544A KR101847729B1 (ko) | 2016-09-19 | 2016-09-19 | 싱크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7729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56315B2 (ja) * | 1991-10-28 | 2001-04-16 | ミノルタ株式会社 | ポリマー微粒子の製造方法 |
CN2226435Y (zh) * | 1993-08-11 | 1996-05-08 | 刘颖昊 | 一种高效方便的切菜砧板 |
-
2016
- 2016-09-19 KR KR1020160119544A patent/KR10184772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7729B1 (ko) | 2018-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5100774A4 (en) | Multifunctional Cookware | |
US9907453B2 (en) | Combination dish drying mat and rack | |
US8973763B2 (en) | Dish drying rack and tray assembly | |
US7090094B2 (en) | Handle for cookware | |
US20140246445A1 (en) | Angled collapsible container | |
US20130312176A1 (en) | Kitchen Sink with Integrated Dish Strainer | |
US10709295B2 (en) | Drying storage unit | |
JP5975695B2 (ja) | 台所用シンク及びシステムキッチン | |
CA2953050A1 (en) | Rollable drawer system | |
KR200475450Y1 (ko) | 찜 용 조리 용기 | |
USD555981S1 (en) | Camping, kitchen accessory for a cooking pot | |
US20110284546A1 (en) | Multipurpose cooking stove container | |
JP6054619B2 (ja) | 流し台用シンク | |
KR101847729B1 (ko) | 싱크대 | |
US20180132614A1 (en) | Rollable drawer system and rollable appliance support system | |
US20090095728A1 (en) | Domestic equipment group | |
JP5441355B2 (ja) | アイランド型調理台およびアイランド型調理台の配置構造 | |
KR102714062B1 (ko) | 조리기구에 거치 가능한 조리기구용 뚜껑 | |
CN210961699U (zh) | 一种隐藏式调料放置台 | |
KR100515234B1 (ko) | 싱크대용 보조 작업대 | |
CA3008255C (en) | Rollable drawer system and rollable appliance support system | |
JP6234062B2 (ja) | 台所用シンク | |
KR20130000239U (ko) | 주방용 가구 | |
LU100619B1 (en) | Cabinet facilitating cooking | |
KR20170108299A (ko) | 편리한 급식을 위한 식판용 컵 홀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