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133A -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 - Google Patents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133A
KR20180031133A KR1020160119089A KR20160119089A KR20180031133A KR 20180031133 A KR20180031133 A KR 20180031133A KR 1020160119089 A KR1020160119089 A KR 1020160119089A KR 20160119089 A KR20160119089 A KR 20160119089A KR 20180031133 A KR20180031133 A KR 20180031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trument
simulated
pane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현우
Original Assignee
권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현우 filed Critical 권현우
Priority to KR1020160119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1133A/ko
Publication of KR2018003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0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 G05D1/101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에에 구비되며, 모의 비행체의 조종을 위하여 전방향의 회전 또는 기울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핸들 타입의 조종부; 상기 조종부의 전후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상하 센싱부; 상기 조종부의 좌우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좌우 센싱부; 상기 조종부의 회전 변위를 측정하는 회전 센싱부; 상기 상하 센싱부, 상기 좌우 센싱부, 상기 회전 센싱부에서 측정한 각각의 변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모의 비행체로 무선통신하되,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한 각각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모의 비행체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조종부의 상부에는 입력 크기를 변화하면서 입력받을 수 있는 조작부; 상기 조종부의 조작에 따른 조작감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소정의 감도값을 부여하는 감도조작부; 상기 조종부상에 내장되어, 소정의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서 측정한 크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획득한 값을 근거로 모의 비행체에 대한 출력 크기 제어를 수행하는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을 제공한다.
따라서, 민항기용 모의 비행체 훈련을 위한 최적화된 조종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 {REMOTE CONTROL MODULE FOR FLIGHT TRAINING SIMULATOR}
본 발명은,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건트롤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훈련자가 비행기 동체에 탑승 후부터 지상에 접지할 때까지 비행기 운행상태에서의 훈련환경을 제공하되, 가상 또는 실제의 모의 비행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의 비행 훈련 등을 위한 기존의 조종 방식은 획일적으로 아날로그 스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아날로그 스틱에는 모의 비행체의 각종 동작을 위한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날로그 스틱의 경우 그 구조 상 특징으로 인하여 민항기에 해당하는 모의 비행 훈련에는 매우 부적합하다. 즉, 여러 종류의 모의 비행체 훈련을 위한 조종 수단이 있음에도 민항기용 모의 비행체 훈련을 위한 최적화된 조종수단이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모의 비행 훈련을 통해 각종 항공 기상 상황을 실감나고 효과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수단이 미비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실제 비행체의 조종시 직면하게 되는 각종 기상 상황 등을 체험할 수 가 없어, 모의 비행 훈련만으로는 실제 비행체를 안전하고 용이한 조종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모의 비행 훈련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8-0049595호
본 발명은, 훈련자가 비행기 동체에 탑승 후부터 지상에 접지할 때까지 비행기 운행상태에서의 훈련환경을 제공하되, 가상 또는 실제의 모의 비행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에에 구비되며, 모의 비행체의 조종을 위하여 전방향의 회전 또는 기울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핸들 타입의 조종부; 상기 조종부의 전후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상하 센싱부; 상기 조종부의 좌우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좌우 센싱부; 상기 조종부의 회전 변위를 측정하는 회전 센싱부; 상기 상하 센싱부, 상기 좌우 센싱부, 상기 회전 센싱부에서 측정한 각각의 변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모의 비행체로 무선통신하되,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한 각각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모의 비행체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조종부의 상부에는 입력 크기를 변화하면서 입력받을 수 있는 조작부; 상기 조종부의 조작에 따른 조작감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소정의 감도값을 부여하는 감도조작부; 상기 조종부상에 내장되어, 소정의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서 측정한 크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획득한 값을 근거로 모의 비행체에 대한 출력 크기 제어를 수행하는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민항기용 모의 비행체 훈련을 위한 최적화된 조종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실제 비행체의 조종시 직면하게 되는 각종 기상 상황에 대응되는 상황을 체험할 수 있어 안전하고 용이한 실체 비행체 조종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의 구성들 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의 구성들 중 계기패널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의 구성들 중 표시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의 구성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은 조종부(11), 몸체부(12), 상하 센싱부(15). 좌우 센싱부(16), 회전 센싱부(17), 제어부(21), 무선통신부(22), 조작부(14), 감도조작부(23), 진동부(N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2)는 소정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조종부(11)는 상기 몸체부(12) 상에 구비되며, 모의 비행체의 조종을 위하여 전방향의 회전 또는 기울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핸들 타입으로 구비된다.
상하 센싱부(15)는 상기 조종부(11)의 전후 이동 변위를 측정하며, 좌우 센싱부(16)는 상기 조종부(11)의 좌우 이동 변위를 측정한다. 회전 센싱부(17)는 상기 조종부(11)의 회전 변위를 측정한다.
제어부(21)는 상기 상하 센싱부(15), 상기 좌우 센싱부(16), 상기 회전 센싱부(17)에서 측정한 각각의 변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통신부(22)는 상기 모의 비행체로 무선통신하되, 상기 제어부(21)로부터 획득한 각각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모의 비행체로 송신한다.
조작부(14)는 상기 조종부(11)의 상부에는 입력 크기를 변화하면서 입력받을 수 있다. 감도조작부(23)은 상기 조종부(11)의 조작에 따른 조작감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소정의 감도값을 부여한다.
진동부(N2)는 상기 조종부(11)상에 내장되어, 소정의 진동을 부여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조작부(14)에서 측정한 크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획득한 값을 근거로 모의 비행체에 대한 출력 크기 제어를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계기패널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표시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은 패널부(100), 표시부(200), 및 결정부(300)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표시장치는 비행 훈련을 위한 모의 비행체에 탑재되어, 비행과 관련된 계기정보를 탑승자(조종사)에게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패널부(100)는 계기정보를 표시하는 다수의 계기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계기패널은 화면 상에서 탑승자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각 계기패널에 표시되는 계기정보에는 예컨대, 모의 비행체의 비행 상태가 표시되는 계기판(예: 속도계, 고도계, 수평계, 레이더, 연료 게이지, RPM)과 탑승자로부터 조종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다양한 기능버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모의 비행체의 조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버튼의 경우에는 계기패널의 터치 스크린 기능을 이용하여 계기패널에 표시된 상태에서 손가락 접촉을 통해서, 탑승자가 원하는 비행체의 기능을 설정하거나, 내지는 해제할 수 있다. 계기패널 상부에는, 표시중인 계기판 및 기능버튼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탈착 가능한 베젤판(도시안됨)이 추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는 실제 비행체의 실내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모의 비행체에 구현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의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훈련에 있어서 그 훈련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모의 비행체의 환경을 실제 비행체의 환경과 동일하도록 구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실제 비행체와 동일한 계기정보를 패널부(100)에 표시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모의 비행체의 탑승자가 실제 비행체와 동일한 비행 환경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위와 같이 실제 비행체와 동일한 계기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패널부(100)에 표시되는 계기정보는, 비행 훈련을 위해 실제 비행체 중 특정 기종의 비행체에서의 계기정보의 위치 및 형상을 본떠 구성한 것으로서, 고정된 레이아웃(Lay-out)의 표시 형태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제 비행체에서의 계기정보의 위치 및 형상은 그 기종마다 상이하기 마련인데, 위에서 처럼 모의 비행체에서 표시되는 계기정보가 특정 기종에 국한된 고정된 레이아웃의 표시 형태를 가질 경우, 그 훈련 효과를 장담할 순 없을 것이다. 결국, 모의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훈련에 있어서 그 훈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실제 비행체에서 기종마다 상이한 계기정보의 위치 및 형상을 고려할 수 있는 훈련 환경이 절실히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제 비행체에서 기종마다 상이한 계기정보의 위치 및 형상을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 모의 비행체는, 다양한 실제 비행체 중 헬리콥터의 비행 훈련을 위한 것임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결정부(300)는 패널부(100)의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300)는 모의 비행체의 기종 선택과 관련된 선택정보가 입력되면, 모의 비행체의 계기정보가 표시되는 패널부(100)의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선택정보에는, 선택된 기종의 실제 비행체에서 비행 상태가 표시되는 계기판과, 탑승자로부터 조종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기능버튼의 위치 및 형상을 포함하는 계기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결정부(300)는 선택정보에 포함된 실제 비행체의 계기정보를 패널부(100)에서 표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패널부(100)의 상태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결정부(300)는 패널부(100)의 상태로서 패널부(100)를 구성하고 있는 각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위에서와 같이 패널부(100)의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 이전에, 모의 비행체의 기종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에 대한 안내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운영자 내지는 탑승자로 하여금 상기 제공된 안내화면에 따라 패널부(100)를 구성하고 있는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결정부(300)는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에 대한 표시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300)는 패널부(100)의 상태로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확인되면, 확인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선택된 기종의 실제 비행체에서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결정부(300)는 확인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실제 비행체의 상기 계기판과 상기 기능버튼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패널부(100)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모두 표시하기 위해선, 전면에 위치하는 계기패널 3개와, 좌측 탑승자를 위한 좌측 계기패널 8개, 및 우측 탑승자를 위한 우측 계기패널 8개와, 그리고 중앙 계기패널 4개가 요구되는 경우를 가정해 볼 수 있다. 여기서, 모의 비행체에 대해 확인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위 예에서 언급한 개수 및 위치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패널부(100)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모의 비행체에 대해 확인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위에서 언급한 개수 및 위치로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패널부(100)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함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서,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모두 표시하기 위해선, 앞쪽 탑승자와 뒤쪽 탑승자에 대해 동일하게, 전면 계기패널 1개씩과, 좌측 계기패널 4개씩, 및 우측 계기패널 4개씩이 요구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모의 비행체에 대해 확인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위 예에서 언급한 개수 및 위치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서만, 상기 패널부(100)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결정부(300)는 상기 패널부(100)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모의 비행체에 배치되어 있는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보정정보를 패널부(100)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운영자 내지는 탑승자로 하여금, 상기 보정정보에 따라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를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선, 위에서 모의 비행체에 대해 확인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모두 표시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해,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대 전제로 하나, 이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예외될 수 있다. 즉, 선택정보에는, 선택된 기종의 실제 비행체에서 비행 상태가 표시되는 계기판과, 탑승자로부터 조종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기능버튼뿐만 아니라, 선택된 기종을 이용하여 훈련하고자 하는 특정 비행 훈련과 관련된 정보인훈련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비행 훈련의 경우에는 예컨대, 착륙, 인명 구조, 운송 등 선택된 기종의 모든 기능을 모두 이용하는 것이 아닌, 훈련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되는 일부의 기능만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훈련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되는 일부의 기능만이 이용된다는 것은, 나아가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 전체 중 일부만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결정부(300)는 선택정보에 특정 비행 훈련과 관련된 훈련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모의 비행체에 대해 확인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선택된 기종의 실제 비행체의 계기정보 전체를 표시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닌, 상기 특정 비행 훈련에만 요구되는 일부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투 비행 훈련의 경우, 기본적인 비행 기능 이외에 미사일 추적, 레이더, 기동 비행 등 전투 기능을 포함하는 비행체의 모든 기능이 요구되는데 반해, 인명 구조 등의 비행 훈련의 경우 기본적인 비행 기능만 요구될 뿐 위에서 언급한 전투 기능은 필요치 않을 것이다. 이 경우, 모의 비행체에 대해 확인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기본적인 비행 기능과 관련된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지만 판단하면 되므로, 패널부(100)를 구성하는 계기패널의 개수를 최소화한 상태에서도 비행 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표시부(200)는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패널부(100)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부(200)는 결정부(300)에서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기저장되어 있는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로딩하여, 모의 비행체에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계기패널 상에 표시함으로써, 모의 비행체의 탑승자가 실제 비행체와 동일한 비행 환경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따르면, 모의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훈련을 수행함에 있어서 훈련을 위한 기종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실제 비행체와 동일하게 변경 표시함으로써, 비행 훈련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다.
결정부(300)는 모의 비행체의 기종(예: 500MD, BO-105, UH-1H, UH-60, AH-1S, CH-47) 선택과 관련된 선택정보가 입력되면, 모의 비행체의 계기정보가 표시되는 패널부(100)의 상태를 확인한다(S110-S120). 이때, 결정부(300)는 패널부(100)의 상태로서 패널부(100)를 구성하고 있는 각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결정부(300)는 패널부(100)의 상태로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확인되면, 확인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선택된 기종의 실제 비행체에서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130-S150). 이때, 결정부(300)는 확인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실제 비행체의 상기 계기판과 상기기능버튼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패널부(100)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모의 비행체에 대해 확인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모두 표시할 수 있는 개수 및 위치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패널부(100)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만약, 모의 비행체에 대해 확인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위에서 언급한 개수 및 위치로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패널부(100)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함은 물론이다. 한편, 단계 'S130'에서 선택정보에 특정 비행 훈련과 관련된 훈련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결정부(300)는 모의 비행체에 대해 확인된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선택된 기종의 실제 비행체의 계기정보 전체를 표시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닌, 상기 특정 비행 훈련에만 요구되는 일부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결정부(300)는 상기 패널부(100)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표시부(200)로 하여금 모의 비행체에 배치되어 있는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보정정보를 패널부(100)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운영자 내지는 탑승자로 하여금, 상기 보정정보에 따라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160). 이후, 표시부(200)는 결정부(300)에서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기 저장되어 있는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로딩하여, 모의 비행체에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계기패널 상에 표시함으로써, 모의 비행체의 탑승자가 실제 비행체와 동일한 비행 환경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S170-S18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 조종부
12 : 몸체부
14 : 조작부
15 : 상하 센싱부
16 : 좌우 센싱부
17 : 회전 센싱부
18 : 센싱부
21 : 제어부
22 : 송신부
100 : 패널부
200 : 표시부
300 : 결정부

Claims (4)

  1. 소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에에 구비되며, 모의 비행체의 조종을 위하여 전방향의 회전 또는 기울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핸들 타입의 조종부;
    상기 조종부의 전후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상하 센싱부;
    상기 조종부의 좌우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좌우 센싱부;
    상기 조종부의 회전 변위를 측정하는 회전 센싱부;
    상기 상하 센싱부, 상기 좌우 센싱부, 상기 회전 센싱부에서 측정한 각각의 변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모의 비행체로 무선통신하되,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한 각각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모의 비행체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조종부의 상부에는 입력 크기를 변화하면서 입력받을 수 있는 조작부;
    상기 조종부의 조작에 따른 조작감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소정의 감도값을 부여하는 감도조작부;
    상기 조종부 상에 내장되어, 소정의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서 측정한 크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획득한 값을 근거로 모의 비행체에 대한 출력 크기 제어를 수행하는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비행체의 조정과 관련된 계기정보들이 각각 표시되는 2 이상의 계기패널을 포함하는 패널부와,
    상기 모의 비행체의 기종 선택과 관련된 선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정보를 기초로 상기 패널부에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2 이상의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패널부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에 대한 표시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표시부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상기 패널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결정부와,
    기상환경을 가정하기 위하여, 상기 모의 비행체에 대한 기상환경에 대한 복수의 난이도 레벨을 부여하는 난이도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의 표시 여부는, 상기 패널부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실제 비행체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2 이상의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실제 비행체에서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서,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이도 레벨이 기반하여 상기 조작감도의 상기 감도값과 상기 진동부의 진동값을 제어하는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는 상기 몸체부 상에서 텐션에 의하여 초기 중립 상태로 원상 복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정보에는,
    비행 상태가 표시되는 계기판과, 탑승자로부터 조종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기능버튼을 포함하는 상기 실제 비행체에서의 계기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2 이상의 계기패널의 개수 및 위치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실제 비행체의 상기 계기판과 상기 기능버튼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패널부가 상기 선택된 기종의 계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
KR1020160119089A 2016-09-19 2016-09-19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 KR20180031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089A KR20180031133A (ko) 2016-09-19 2016-09-19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089A KR20180031133A (ko) 2016-09-19 2016-09-19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133A true KR20180031133A (ko) 2018-03-28

Family

ID=6190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089A KR20180031133A (ko) 2016-09-19 2016-09-19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11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4827A (zh) * 2018-08-23 2019-01-08 杭州华耕土地规划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数据采集系统
CN109885091A (zh) * 2019-03-21 2019-06-14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无人机自主飞行控制方法及系统
KR20230083071A (ko) 2021-12-02 2023-06-09 에이엠알오 주식회사 회전익 항공기의 구조훈련 시뮬레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350B1 (ko) * 2012-04-24 2013-09-11 국방과학연구소 그래픽 이미지를 이용한 다기종의 가변형 비행시뮬레이터의 계기패널 구현방법 및 구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350B1 (ko) * 2012-04-24 2013-09-11 국방과학연구소 그래픽 이미지를 이용한 다기종의 가변형 비행시뮬레이터의 계기패널 구현방법 및 구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4827A (zh) * 2018-08-23 2019-01-08 杭州华耕土地规划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数据采集系统
CN109164827B (zh) * 2018-08-23 2021-08-03 杭州华耕土地规划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的数据采集系统
CN109885091A (zh) * 2019-03-21 2019-06-14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无人机自主飞行控制方法及系统
KR20230083071A (ko) 2021-12-02 2023-06-09 에이엠알오 주식회사 회전익 항공기의 구조훈련 시뮬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98232B (zh) 用于提供具有集成自动驾驶功能的显示的显示系统和方法
EP1491444B1 (en) Display system for a vehicle
CN106796761B (zh) 用于支持模拟移动的系统和方法
JP6026088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
RU2173660C2 (ru) Трехмерный дисплей бокового отклонения
KR100687798B1 (ko) 항공기 훈련용 시뮬레이터 및 항공기용 블랙박스 분석용영상정보 표시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9493237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ircraft
KR20180031133A (ko)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
CN1217076A (zh) 飞行数据的输入与控制方法和设备
JP2787061B2 (ja) 操縦制御用ディスプレイ
US20150362332A1 (en) Display of Aircraft Altitude
KR20220030028A (ko) 모듈형 콕핏을 구비하는 탁상형 비행 시뮬레이터, 이를 이용한 비행 전술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ITTO20090058A1 (it) Visualizzazione di uno spazio virtuale tridimensionale generato da un sistema elettronico di simulazione
CN105590496A (zh) 一种便携式无人直升机飞行操作员模拟训练系统
US201700219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t least one position indicator for an aircraft
US20210327295A1 (en) Head tracking with virtual avionics training products
US5675327A (en) Optoelectronic device for assistance in the piloting of an aircraft
JP4344080B2 (ja) フライトシミュレータ装置
KR101495673B1 (ko)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
KR200406135Y1 (ko) 항공기 훈련용 시뮬레이터 및 항공기용 블랙박스 분석용영상정보 표시장치
US6505119B2 (en) Control unit and mission planning station for a manned paragliding system
KR20160013481A (ko) 시뮬레이션용 조종석 시현장치 및 그 방법
JP2872994B1 (ja) 計器表示装置
Adamski et al. Study of the pilot’s attention in the cabin during the flight
RU2441813C2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й авиационный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индик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