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673B1 -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673B1
KR101495673B1 KR20130096386A KR20130096386A KR101495673B1 KR 101495673 B1 KR101495673 B1 KR 101495673B1 KR 20130096386 A KR20130096386 A KR 20130096386A KR 20130096386 A KR20130096386 A KR 20130096386A KR 101495673 B1 KR101495673 B1 KR 101495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anding
spacecraft
space vehicle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6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희
구철회
주광혁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96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은, 우주비행체와 상기 우주비행체가 이착륙하는 지표면을 포함하는 배경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우주비행체의 이착륙 제어를 위한 사용자 행동을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 그리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 행동에 따라 상기 우주비행체의 이착륙 움직임을 처리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이 우주비행체라고 인식하고 지표면에 안전한 착륙 또는 이륙 체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우주비행체 설계 데이터 또는 별, 행성, 유성 및 위성의 실제 지표면 데이터를 통해 모델링한 우주비행체 모델 정보 및 배경 모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실제와 매우 유사하게 표현된 3차원 공간에서 실제 우주비행체를 이착륙 제어하는 체험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SPACECRAFT TAKE OFF AND LANDING EXPERIENCE SYSTEM}
본 발명은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우주비행체의 이착륙을 화면에 시뮬레이션하는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수직 이착륙을 하는 우주비행체를 이착륙시키는 체험 시스템의 기술은 체험자가 컴퓨터 기반의 키보드, 마우스를 조작하여 이착륙을 성공시키는 단순 조작 아케이드 게임 형태였다. 이 형태는 이용자의 흥미와 현장감을 떨어뜨리고 식상해지기 쉽다.
기존의 수직 이착륙 우주비행체를 이착륙시키는 체험 시스템의 기술에서 수직 이착륙 우주비행체를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기(추력기, 반작용 휠 등)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단순히 상하좌우 화살표 키보드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현실감을 떨어뜨렸다.
기존의 수직 이착륙 우주비행체를 이착륙시키는 체험 시스템의 기술에서 수직 이착륙 우주비행체를 표현하기 위해 단순한 2D 평면 형태의 애니메이션용 가상 우주비행체를 사용하여 실제 우주비행체의 복잡하고 세부적인 모습과 표현된 질감 등이 달라 현실감을 떨어뜨렸다.
기존의 수직 이착륙 우주비행체를 이착륙시키는 체험 시스템의 기술은 우주비행체를 포함한 배경을 표현하기 위해서 단순히 1차원으로 시선을 움직일 수 있는 2D 평면을 구성하기 때문에 공간감을 체험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기존의 수직 이착륙 우주비행체를 이착륙시키는 체험 시스템의 기술에서 체험자는 1인용의 개별적 체험에 국한되어 2인 이상의 단체 체험으로는 부적합하였다.
기존의 수직 이착륙 우주비행체를 이착륙시키는 체험 시스템의 기술에서 이착륙을 위한 지표면이 실제 고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지 않아 현실감이 부족하였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0559983호는 탑승자에게 게임 영상의 변화나 조이스틱과 같은 사용자 입력장치의 조작과 연동하여 운동을 주어 가상현실을 체감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여전히 사용자 입력이 조이스틱 등을 통한 단순 입력방법만을 제시하고 있고 개별적인 체험만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KR 0559983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인터페이스하여 우주비행체 이착륙 제어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우주비행체라고 인식하고 지표면에 안전하게 착륙 또는 이륙을 체험할 수 있는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은, 우주비행체와 상기 우주비행체가 이착륙하는 지표면을 포함하는 배경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우주비행체의 이착륙 제어를 위한 사용자 행동을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 그리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 행동에 따라 상기 우주비행체의 이착륙 움직임을 처리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우주비행체 모델 정보, 상기 배경 모델 정보 및 난이도별 초기 설정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측정하는 운동 감지 센서, 그리고 사용자가 내는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측정하는 비전 장치, 그리고 사용자가 내는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움직임은 사용자의 점프 동작이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점프 세기에 비례하여 상기 우주비행체가 상기 화면에서 수직 상승하는 것으로 처리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소리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우주비행체가 지속적으로 수직 상승하는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움직임은 사용자의 기울기 자세이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기울기 방향에 따라 상기 우주비행체가 기울어지는 것으로 화면에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배경 모델 정보에 포함된 지표면 데이터는 사용자가 설정한 별, 행성, 위성 및 유성 중 하나에 대해 실제 측정한 데이터를 기초로 구성되고, 상기 초기 설정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난이도에 대응하는 구동기의 개수, 구동기의 장착 위치, 장착 각도, 착륙 지지 다리의 길이, 초기 연료량 및 초기 자세 기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상기 우주비행체의 움직임이 안전한 이착륙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 결과를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운동 감지 센서 및 상기 마이크는 복수의 사용자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이 우주비행체라고 인식하고 지표면에 안전 착륙 또는 이륙 체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우주비행체 설계 데이터 또는 별, 행성, 유성 및 위성의 실제 지표면 데이터를 통해 모델링한 우주비행체 모델 정보 및 배경 모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실제와 매우 유사하게 표현된 3차원 공간에서 실제 우주비행체를 이착륙 제어하는 체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개념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100)은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30), 저장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는 우주비행체 이착륙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행동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행동은 사용자가 뛰는 점프 동작, 자세를 좌향, 우향, 전향 또는 후향으로 기울이는 동작 및 사용자가 소리를 내는 동작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는 운동 감지 센서(111), 마이크(113), 비전 장치(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감지 센서(111)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발바닥 압력감지 매트 등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가슴 등의 신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무선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탑재하여 무선으로 신체 움직임 측정 데이터를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100)의 본체 측에 구비된 무선 모듈(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발바닥 압력감지 매트는 사용자가 위치한 바닥면 위의 매트 위에서 발바닥이 닿는 압력을 감지하여 측정 데이터를 무선 및 유선으로 송신하도록 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마이크(113)는 사용자가 내는 소리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113)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무선으로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100)의 본체 측에 구비된 무선 모듈(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마이크(113)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 주변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유선으로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100)의 본체 측으로 전달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전 장치(115)는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는 운동 감지 센서(111)와 마이크(113)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운동 감지 센서(111)와 마이크(113)를 부착하고 우주비행체 이착륙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행동을 시스템(100)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비전 장치(115)를 이용한 경우에는 하나의 촬영 영상에서 복수의 사용자를 각각 분리 인식하여 사용자 신체 움직임 및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주비행체 이착륙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행동이 복수로 입력되는 경우 각 입력에 대해서 우주비행체가 동작하는 것으로 구현하거나, 복수의 입력이 동일하게 입력될 경우에만 유효한 데이터로 처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는 서로 협력해야만 가상의 우주비행체를 안전하게 지면에서 이륙시키거나 착륙시킬 수 있다.
저장부(150)는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13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저장부(150)는 영상 구성을 위한 모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모델 정보는 우주비행체 모델, 배경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우주비행체 모델은 실제 우주비행체의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여 우주비행체 모양 및 사양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경 모델은 이착륙 체험 대상의 지표면을 실측한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모델 정보는 3D 모델이나 애니메이션용 모델로 구현될 수 있다. 우주비행체 모델 정보는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우주비행체 기종 별로 저장될 수 있다. 배경 모델 정보도 실제 별/행성/위성/유성 별로 실제로 측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체험 난이도 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체험 난이도 별 정보는 사용자가 체험 난이도를 선택 시 비행체 별 초기 제공 연료량, 초기 기울기 자세량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빔프로젝션 스크린, LCD 모니터 또는 LED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에서 전달되는 우주비행체와 우주비행체가 이착륙하는 지표면이 포함된 배경을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30)는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행동에 기초하여 우주비행체의 이착륙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우주비행체의 이착륙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물리 엔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부(150)에 저장된 우주비행체 모델 및 지면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환경 구성 요청을 받아 처리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체험 대상 우주비행체 기종 및 지면 선택 요청을 받을 수 있으며, 착륙 체험 및 이륙 체험 중 하나의 체험 모드 선택 요청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지면은 행성, 위성, 유성, 별을 선택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착륙 체험 환경이 설정되면, 그에 따라 우주비행체 별 안전한 이착륙을 위한 조건(예컨대, 수평방향: 1m/s, 수직방향: 3m/s, 착지면 경사도: 15도)이 결정되고, 해당 조건의 데이터는 저장부(150)로부터 받아 설정한다.
그리고 착륙인 경우 중력권 내의 원하는 고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난이도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도와 난이도 조건에 대한 초기 구동기의 개수와 장착 위치 그리고 장착 각도, 착륙지지 다리의 길이, 초기 연료의 양과 초기 우주비행체의 기울기 자세를 결정하고, 해당 조건의 데이터는 저장부(150)로부터 받아 설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개념도이다.
먼저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환경에 따라 선택된 기종의 우주비행체 모양과 배경을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에 표시되게 한다. 예컨대 이륙 체험이 선택된 경우에는 설정된 우주비행체(20)가 선택된 지면에 위치된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정해진 개수의 구동기(21)가 정해진 위치에 장착되고, 착륙지지 다리(23)도 정해진 길이로 우주비행체(20)에 장착된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초기 연료의 양, 배경 등도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설정된 우주비행체 기종 및 지면의 모델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그래픽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우주비행체(20)가 이륙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10)의 점프가 운동 감지 센서(111) 또는 비전 장치(115)를 통해 입력되면,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는 추력 펄스를 발생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전달된 추력 펄스에 따라 우주비행체(20)가 수직 상승하는 것으로 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물리 엔진을 통해 전달된 추력 펄스에 해당하는 연료소모량을 계산하여 초기 연료량으로부터 차감하여 현재 연료량을 갱신하고, 현재 연료량이 화면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즉 초기 조건으로 설정된 초기 연료량에 따라 사용자가 우주비행체(20)의 구동기(21)를 구동할 수 있는 시간이나 횟수가 제한되게 된다. 난이도가 높을수록 초기 연료량이 적게 설정되어 사용자가 우주비행체(20)의 이착륙 제어를 위한 조작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적게 된다. 한편 초기 우주비행체의 기울기 자세도 난이도가 높을수록 안정적인 이착륙 조건의 자세와 차이가 많이 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이착륙이 어렵도록 구현할 수 있다.
운동 감지 센서(111)에서 측정된 사용자(10)의 점프 세기는 가속도 센서를 신체에 부착하는 경우 점프 가속도 측정치, 발바닥 압력 감지 매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발바닥이 매트를 누르는 압력 측정치에 비례적으로 추력 펄스의 총시간으로 환산되고, 우주비행체(20)는 그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구동기(21)가 동작하여 우주비행체(20)를 수직 상승하는 것으로 영상에 표현된다. 비전 장치(115)의 경우에는 사용자(10)의 점프 높이 또는 영상 기반의 수직 가속도 측정치가 비례적으로 추력 펄스의 총시간으로 환산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추력 펄스에 의해 구동기(21)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마이크(113)를 통해 사용자(10)가 내는 소리(추력음)가 입력되면 구동기(21)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처리하여 우주비행체(20)가 지속적으로 수직 상승하는 것으로 영상에 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주비행체(20)의 측면에 구동기(22)가 장착된 모델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가 몸을 기울인 각속도와 방향에 대응하는 추력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10)가 왼쪽으로 몸을 기울인 것이 운동 감지 센서(111) 또는 비전 장치(115)를 통해 입력되면,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는 반대 방향의 구동기(22R)를 구동시키는 추력 펄스를 발생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자이로 센서를 신체에 부착할 경우 각속도 측정치를 이용하고, 발바닥 압력 감지 매트를 사용할 경우 수직 압력 감지 부분 외에 기준점으로부터 상하좌우 부분의 압력 감지 부분을 키보드의 상하좌우 방향키에 대응하는 신호 입력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비전 장치를 사용할 경우는 신체에 부착된 마커의 자세 기울기에 해당하는 신호를 이용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전달된 추력 펄스에 따라 우주비행체(20)가 사용자(10)의 자세 변화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기울어져서 상승하는 것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추력 펄스의 총시간은 사용자가 몸을 기울인 각속도에 비례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0)가 수직으로 점프하면 고도 제어용 구동기(22L, 22R)를 모두 구동시키는 추력 펄스를 발생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함으로써 우주비행체(20)가 수직 상승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행동에 따라 우주비행체(20)를 움직이면서 안전한 이착륙 조건으로 동작한 경우에는 안전 이착륙 표시를 출력하고, 반대로 안전한 이착륙 조건에 벗어난 경우에는 안전 이착륙 실패를 화면에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10)가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에 보다 흥미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우주비행체와 상기 우주비행체가 이착륙하는 지표면을 포함하는 배경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우주비행체의 이착륙 제어를 위한 사용자 행동을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 행동에 따라 상기 우주비행체의 이착륙 움직임을 처리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우주비행체의 모델 정보, 상기 배경의 모델 정보 및 난이도별 초기 설정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측정하는 운동 감지 센서 및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측정하는 비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사용자가 내는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감지 센서 또는 상기 비전 장치에 의해 측정된 신체 움직임이 사용자의 점프 동작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점프 세기에 비례하여 상기 우주비행체가 상기 화면에서 수직 상승하는 것으로 처리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소리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우주비행체가 지속적으로 수직 상승하는 것으로 처리하며,
    상기 운동 감지 센서 또는 상기 비전 장치에 의해 측정된 신체 움직임이 사용자의 기울기 자세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기울기 방향에 따라 상기 우주비행체가 기울어지는 것으로 화면에 처리하고,
    상기 배경의 모델 정보에 포함된 지표면 데이터는 사용자가 설정한 별, 행성, 위성 및 유성 중 하나에 대해 실제 측정한 데이터를 기초로 구성되고,
    상기 초기 설정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난이도에 대응하는 구동기의 개수, 구동기의 장착 위치, 구동기의 장착 각도, 착륙 지지 다리의 길이, 초기 연료량 및 우주비행체의 초기 자세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상기 우주비행체의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수평방향 속도, 수직방향 속도 및 착지면 경사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우주비행체가 안전하게 이착륙한 것으로 판단한 결과를 출력되게 하는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서,
    상기 운동 감지 센서 및 상기 마이크는 복수의 사용자에 각각 부착되는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
KR20130096386A 2013-08-14 2013-08-14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 KR101495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386A KR101495673B1 (ko) 2013-08-14 2013-08-14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386A KR101495673B1 (ko) 2013-08-14 2013-08-14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673B1 true KR101495673B1 (ko) 2015-02-25

Family

ID=5259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6386A KR101495673B1 (ko) 2013-08-14 2013-08-14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6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0294A (zh) * 2018-03-02 2018-09-18 深圳市鹰硕技术有限公司 模拟星球登陆的教学方法以及装置
CN113916236A (zh) * 2021-10-13 2022-01-11 北京卫星环境工程研究所 一种基于三维实物模型的航天器全景视图导航方法
KR20230128742A (ko) 2022-02-28 2023-09-05 부재희 가상 우주 체험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259A (ko) * 2007-06-25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체험 장치
KR100896450B1 (ko) 2008-07-29 2009-05-12 신동호 가상현실 체험용 게임 시뮬레이터 부스 시스템
KR20100084597A (ko) * 2009-01-17 2010-07-27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모션 캡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cave를 사용하는 협업형 실감 환경
KR101159090B1 (ko) 2011-08-30 2012-06-26 주식회사 미래엔에스 지리 정보를 이용한 4d 기반의 체험형 패러글라이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259A (ko) * 2007-06-25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체험 장치
KR100896450B1 (ko) 2008-07-29 2009-05-12 신동호 가상현실 체험용 게임 시뮬레이터 부스 시스템
KR20100084597A (ko) * 2009-01-17 2010-07-27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모션 캡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cave를 사용하는 협업형 실감 환경
KR101159090B1 (ko) 2011-08-30 2012-06-26 주식회사 미래엔에스 지리 정보를 이용한 4d 기반의 체험형 패러글라이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0294A (zh) * 2018-03-02 2018-09-18 深圳市鹰硕技术有限公司 模拟星球登陆的教学方法以及装置
CN113916236A (zh) * 2021-10-13 2022-01-11 北京卫星环境工程研究所 一种基于三维实物模型的航天器全景视图导航方法
CN113916236B (zh) * 2021-10-13 2023-08-15 北京卫星环境工程研究所 一种基于三维实物模型的航天器全景视图导航方法
KR20230128742A (ko) 2022-02-28 2023-09-05 부재희 가상 우주 체험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4145B2 (en) Sensory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for guiding users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CN110352086B (zh) 增强乘坐系统和方法
CN106471505B (zh) 使用物理引擎控制物理玩具
Bolte et al. The jumper metaphor: an effective navigation technique for immersive display setups
US105101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374313B2 (ja) 仮想環境における乗り物の運転方法、装置、端末及びプログラム
Christou et al. Navigation in virtual reality: Comparison of gaze-directed and pointing motion control
KR101608342B1 (ko) 무인 부스 형태의 체감형 모션 라이딩 시스템과 그의 작동방법
Kim et al. Scaled jump in gravity-reduced virtual environments
KR101495673B1 (ko) 우주비행체 이착륙 체험 시스템
US9996149B1 (en) Method for one-touch translational navigation of immersive,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KR20220038733A (ko) 모션 과장 가상 현실 라이드 시스템 및 방법
CN209821674U (zh) 多自由度虚拟现实运动装置
ITTO20090058A1 (it) Visualizzazione di uno spazio virtuale tridimensionale generato da un sistema elettronico di simulazione
KR101364594B1 (ko) 사용자의 움직임과 모션 플랫폼 사이의 양방향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한 실감형 스노보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665058B2 (ja) シミュレータシナリオ製作支援プログラム及びシミュレータ装置
KR20190016841A (ko) 10축 센서를 이용한 멀티콥터 무인비행장치 시뮬레이터 시스템
Papa et al. A new interactive railway virtual simulator for testing preventive safety
US6226002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pseudo-three-dimensional image and machine-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recorded computer program
KR20180031133A (ko) 모의 비행 훈련용 무선 조종 컨트롤 모듈
Clark et al. Analysis of human spatial perception during lunar landing
US10994216B2 (en) Virtual reality motion simulator
KR102239618B1 (ko) 가상현실 조종수 시뮬레이터용 제어 시스템
JP4386049B2 (ja) 飛翔体評価装置
Clark Human spatial orientation perceptions during simulated lunar la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