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647A - 데이터 송신 방법,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신 방법,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647A
KR20180030647A KR1020187004363A KR20187004363A KR20180030647A KR 20180030647 A KR20180030647 A KR 20180030647A KR 1020187004363 A KR1020187004363 A KR 1020187004363A KR 20187004363 A KR20187004363 A KR 20187004363A KR 20180030647 A KR20180030647 A KR 20180030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bandwidth
access point
channel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068B1 (ko
Inventor
얀춘 리
조우 란
윤보 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30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04W28/022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power availability o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1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할 때,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따라서,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이 주 채널을 포함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여전히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이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대역폭 리소스들의 일부만 차지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나머지 채널을 사용하여 여전히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제외한 액세스 포인트의 모든 대역폭 리소스들이 동시에 데이터 송신에 또한 사용될 수 있어, 액세스 포인트의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신 방법,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송신 방법,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큰 시스템 처리량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현재 통신 시스템은 모든 스테이션들(STA)에게 80 MHz 송신 대역폭 모드를 지원하라고 강요한다. 큰 대역폭을 사용하여, 스테이션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데이터 송신을 완료할 수 있어, 데이터 송신 시간을 감소시키고 데이터 송신 전력 및 수신 전력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요건이 존재할 때,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큰 대역폭은 대부분의 시간 동안 유휴 상태에 있다. 이러한 경우, 스테이션은 채널을 지속적으로 청취하여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 요건이 존재할 때, 스테이션은, 청취에 의해 획득되는 채널 상태에 따라, 데이터 송신이 수행될 수 있는지 결정한다. 채널 상태는 "채널 유휴(channel idle)" 및 "채널 사용 중(channel busy)"을 포함한다. 의심할 여지없이, 상대적으로 넓은 채널을 계속 청취하는 프로세스는 스테이션의 전력 소비를 크게 증가시킨다. 또한, 스테이션의 간섭 방지 능력은 약하다.
이러한 것에 기초하여, 동작 동안 스테이션에 의해 대역폭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이 종래 기술에서 소개된다. 구체적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요건이 존재할 때,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80 MHz 송신 대역폭 모드를 대역폭 절전 모드(Bandwidth Power Saving Mode, BWPS 모드)로 전환하고, 동작 모드 통지 프레임(Operating Mode Notification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스테이션에 의해 현재 지원되는 대역폭 모드의 액세스 포인트에게 통지한다. 대역폭 절전 모드는 스테이션의 가용 대역폭이 80 MHz 미만인 대역폭 모드를 지칭한다(예를 들어, 가용 대역폭이 20 MHz, 40 MHz 또는 60 MHz임). 대역폭 절전 모드에서, 스테이션이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채널은 주 채널을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요건이 존재할 때 스테이션의 채널 청취 전력 소비를 어느 정도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데이터가 전송될 필요가 있을 때,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은 주 채널을 차지하기 때문에, 주 채널을 차지하는 스테이션과의 통신 동안, 액세스 포인트는 이러한 스테이션만으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는 이러한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스테이션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이러한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대역폭 리소스들의 일부만을 차지하고, 이러한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제외한 모든 대역폭 리소스들이 낭비된다. 이것은 액세스 포인트의 리소스 이용률을 감소시킨다.
본 출원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이 주 채널을 차지할 때 그리고 주 채널을 차지하는 스테이션과의 통신 동안 액세스 포인트의 리소스 이용률이 낮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액세스 포인트가 스테이션만으로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송신 방법,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제1 양상은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 제1 스테이션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제1 스테이션의 가용 채널임 -; 및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할 때,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함 -를 포함한다.
제1 양상을 참조하여, 제1 양상의 제1 구현에서,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제1 스테이션에게,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명령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제1 스테이션에게,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명령하는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
제1 시그널링을,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제1 시그널링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명령하고 제1 스테이션에 이용 가능한 제1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1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를 포함한다.
제1 양상을 참조하여, 제1 양상의 제2 구현에서,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는 요청을,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요청은 제2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2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서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가용 채널이고, 제2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및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제1 스테이션에 요청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요청 응답은 제3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3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양상, 제1 양상의 제1 구현, 또는 제1 양상의 제2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양상의 제3 구현에서, 본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업데이트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 업데이트 명령어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할당되는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양상, 제1 양상의 제1 구현, 제1 양상의 제2 구현, 또는 제1 양상의 제3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양상의 제4 구현에서,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기 시작하는 데이터를,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명시됨 -를 포함하고;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제2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기 시작하는 데이터를,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1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2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할 때,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2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과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중첩되지 않는다.
제1 양상의 제4 구현을 참조하면, 제1 양상의 제5 구현에서,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트리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제1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액세스 포인트가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기 이전에,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트리거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제1 트리거 프레임은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제1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되고, 제2 트리거 프레임은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제2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됨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양상, 제1 양상의 제1 구현, 제1 양상의 제2 구현, 제1 양상의 제3 구현, 제1 양상의 제4 구현, 또는 제1 양상의 제5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양상의 제6 구현에서,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는,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제1 스테이션에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PPDU는 서비스 데이터, 제1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 방식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표시 시그널링,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앰블, 및 제1 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 리소스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함 -를 포함하고;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는,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스테이션에 PPDU를,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PPDU는 서비스 데이터, 제2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 방식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표시 시그널링, 및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앰블을 포함함 -를 포함하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1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2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할 때,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이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2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2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가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이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과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중첩되지 않는다.
제1 양상, 제1 양상의 제1 구현, 제1 양상의 제2 구현, 제1 양상의 제3 구현, 제1 양상의 제4 구현, 제1 양상의 제5 구현, 또는 제1 양상의 제6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양상의 제7 구현에서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테이션이 존재한다.
본 출원의 제2 양상은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고, 이는,
대역폭 절전 모드를, 스테이션에 의해, 인에이블하는 단계; 및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스테이션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송신을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단계- 동작 채널은 스테이션의, 대역폭 절전 모드에서의, 가용 채널이고, 액세스 포인트는,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때,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함 -를 포함한다.
제2 양상을 참조하여, 제2 양상의 제1 구현에서, 대역폭 절전 모드를, 스테이션에 의해, 인에이블하는 단계는,
스테이션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요청은 제4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4 채널 세트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가용 채널이고, 제4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및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요청 응답을, 스테이션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요청 응답은 제5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5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를 포함한다.
제2 양상을 참조하여, 제2 양상의 제2 구현에서, 대역폭 절전 모드를, 스테이션에 의해, 인에이블하는 단계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스테이션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제2 시그널링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스테이션에게 명령하고, 스테이션에 이용 가능한 제6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6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를 포함한다.
제2 양상, 제2 양상의 제1 구현, 또는 제2 양상의 제2 구현을 참조하여, 제2 양상의 제3 구현에서, 대역폭 절전 모드를, 스테이션에 의해, 인에이블하는 단계 이후, 본 방법은, 스테이션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에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업데이트 요청은 제7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7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제7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 및
업데이트 요청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리턴되는 응답을, 스테이션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응답은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를 제7 채널 세트로 변경하라고 명령하는데 사용됨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양상, 제2 양상의 제1 구현, 또는 제2 양상의 제2 구현을 참조하여, 제2 양상의 제4 구현에서, 대역폭 절전 모드를, 스테이션에 의해, 인에이블하는 단계 이후, 본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업데이트 명령어를, 스테이션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업데이트 명령어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스테이션에 할당되는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3 양상은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고, 이는,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데이터 송신 유닛- 제1 스테이션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제1 스테이션의 가용 채널임 -; 및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이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될 때,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2 데이터 송신 유닛-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함 -을 포함한다.
제3 양상을 참조하여, 제3 양상의 제1 구현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이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되기 이전에, 제1 스테이션에 제1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 전송 유닛- 제1 시그널링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명령하고 제1 스테이션에 이용 가능한 제1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1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3 양상을 참조하여, 제3 양상의 제2 구현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이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되기 이전에,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요청은 제2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2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서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가용 채널이고, 제2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및
제1 스테이션에 요청 응답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응답 유닛- 요청 응답은 제3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3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3 양상, 제3 양상의 제1 구현, 또는 제3 양상의 제2 구현을 참조하여, 제3 양상의 제3 구현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업데이트 명령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명령어 전송 유닛- 업데이트 명령어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할당되는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3 양상, 제3 양상의 제1 구현, 제3 양상의 제2 구현, 또는 제3 양상의 제3 구현을 참조하여, 제3 양상의 제4 구현에서, 제1 데이터 송신 유닛이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제1 데이터 송신 유닛이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기 시작하는 데이터를,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명시됨 -;
제2 데이터 송신 유닛이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제2 데이터 송신 유닛이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제2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기 시작하는 데이터를,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1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2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할 때,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2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과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중첩되지 않는다.
제3 양상의 제4 구현을 참조하면, 제3 양상의 제5 구현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1 데이터 송신 유닛이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기 이전에,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트리거 프레임을, 제1 스테이션에, 전송하도록; 그리고 제2 스테이션 송신 유닛이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기 이전에,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트리거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트리거 프레임 전송 유닛- 제1 트리거 프레임은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제1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되고, 제2 트리거 프레임은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제2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됨 -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3 양상, 제3 양상의 제1 구현, 제3 양상의 제2 구현, 제3 양상의 제3 구현, 제3 양상의 제4 구현, 또는 제3 양상의 제5 구현을 참조하여, 제3 양상의 제6 구현에서, 제1 데이터 송신 유닛이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제1 데이터 송신 유닛이 구체적으로,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제1 스테이션에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PPDU는 서비스 데이터, 제1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 방식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표시 시그널링,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앰블, 및 제1 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 리소스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함 -을 포함하고;
제2 데이터 송신 유닛이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제2 데이터 송신 유닛이 구체적으로,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스테이션에 PP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 PPDU는 서비스 데이터, 제2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 방식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표시 시그널링, 및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앰블을 포함함 -을 포함하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1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2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할 때,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이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2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2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가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이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과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중첩되지 않는다.
제3 양상, 제3 양상의 제1 구현, 제3 양상의 제2 구현, 제3 양상의 제3 구현, 제3 양상의 제4 구현, 제3 양상의 제5 구현, 또는 제3 양상의 제6 구현을 참조하여, 제3 양상의 제7 구현에서, 제2 데이터 송신 유닛이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제2 데이터 송신 유닛이 구체적으로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하나 이상의 제2 스테이션이 존재함 -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4 양상은 스테이션을 제공하고, 이는,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되는 대역폭 절전 모드 인에이블 유닛을 포함하고,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송신을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동작 채널은 스테이션의, 대역폭 절전 모드에서의, 가용 채널이고, 액세스 포인트는,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때,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한다.
제4 양상을 참조하여, 제4 양상의 제1 구현에서, 대역폭 절전 모드 인에이블 유닛은,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요청 전송 서브유닛- 요청은 제4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4 채널 세트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가용 채널이고, 제4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및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요청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서브유닛- 요청 응답은 제5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5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을 포함한다.
제4 양상을 참조하여, 제4 양상의 제2 구현에서, 대역폭 절전 모드 인에이블 유닛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대역폭 절전 모드 인에이블 유닛이 구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제2 시그널링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스테이션에게 명령하고, 스테이션에 이용 가능한 제6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6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을 포함한다.
제4 양상, 제4 양상의 제1 구현, 또는 제4 양상의 제2 구현을 참조하여, 제4 양상의 제3 구현에서,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한 이후, 액세스 포인트에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요청 전송 유닛- 업데이트 요청은 제7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7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제7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 및
업데이트 요청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리턴되는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명령어 수신 유닛- 응답은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를 제7 채널 세트로 변경하라고 명령하는데 사용됨 -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상, 제4 양상의 제1 구현, 또는 제4 양상의 제2 구현을 참조하여, 제4 양상의 제4 구현에서, 업데이트 명령어 수신 유닛은,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한 이후,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업데이트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업데이트 명령어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스테이션에 할당되는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를 표시하도록 사용되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 추가로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할 때,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한다.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이 주 채널을 포함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여전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이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대역폭 리소스들의 일부만을 차지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여전히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제외한 액세스 포인트의 모든 대역폭 리소스들이 동시에 데이터 송신에 또한 사용될 수 있어, 액세스 포인트의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또는 종래 기술에서 기술적 해결책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는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데 요구되는 첨부 도면들을 간단히 설명한다. 명백하게,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단지 일부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관련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이러한 첨부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여전히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WLAN 배치 시나리오에서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물리 레이어 프로토콜 데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물리 레이어 프로토콜 데이터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개략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해결책들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에 적용될 수 있다. 현재, WLAN에 의해 사용되는 표준은 전기 및 전자 엔지니어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시리즈이다. WLAN은 다수의 기본 서비스 세트들(Basic Service Set, BSS)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기본 서비스 세트들에서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스테이션들(Station, STA)이다.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라고도 알려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 및 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None-Access Point Station, Non-AP STA)을 포함한다. 각각의 기본 서비스 세트는 하나의 AP 및 이러한 AP와 연관된 다수의 비-AP STA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인 커버리지 반경이 수십 내지 수백 미터인 AP들은 가정, 건물, 및 캠퍼스 내부에 주로 배치된다. 물론, AP들이 실외에 배치될 수도 있다.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접속하는 브리지와 등가인 AP는,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들을 함께 접속하고, 다음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더넷에 접속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AP는 와이어리스 피델리티(Wireless Fidelity, WiFi) 칩을 갖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AP는 802.11ax 표준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AP는 802.11ac, 802.11n, 802.11g, 802.11b, 및 802.11a와 같은 다양한 WLAN 표준들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비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은 무선 통신 칩, 무선 센서, 또는 무선 통신 단말, 예를 들어, WiFi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 전화, WiFi 통신을 지원하는 태블릿 PC, WiFi 통신을 지원하는 셋 톱 박스, WiFi 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 TV, WiFi 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WiFi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통신 디바이스, 및 WiFi 통신을 지원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테이션은 802.11ax 표준을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스테이션은 802.11ac, 802.11n, 802.11g, 802.11b, 및 802.11a와 같은 다양한 WLAN 표준들을 지원한다.
도 1은 통상적인 WLAN 배치 시나리오에서의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하나의 AP와 3개의 STA들이 포함되고, AP가 STA1, STA2, 및 STA3과 개별적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대역폭은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대역폭보다 크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대역폭이 20 MHz이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대역폭은 40 MHz, 80 MHz, 160 MHz 등일 수 있다. 비-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대해, 이러한 스테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대역폭보다 크지 않지만,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대역폭보다 크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대역폭이 20 MHz이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대역폭이 80 MHz 또는 160 MHz이면, 비-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대역폭은 80 MHz 또는 160 MHz 등일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확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부라기 보다는 오히려 단지 일부이다.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관련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되는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실시예 1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201.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함- 제1 스테이션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고, 동작 채널은 제1 스테이션의 가용 채널임 -.
S202.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할 때, 액세스 포인트가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함-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함 -.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데이터는 MAC 레이어 및 상위 레이어, MAC 레이어 관리 프레임, 및 MAC 레이어 제어 프레임으로부터의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조합(수렴)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스테이션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스테이션이다. 대역폭 절전 모드는 최대 가용 송신 대역폭이 시스템의 가용 송신 대역폭 미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의 송신 대역폭이 80 MHz이면, 대역폭 절전 모드에서의 송신 대역폭은 20 MHz, 40 MHz, 또는 60 MHz일 수 있다. 물론,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스테이션의 가용 송신 대역폭은 시스템의 가용 송신 대역폭 미만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송신은 데이터 수신 및 전송을 포함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한다는 것은,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것, 및 액세스 포인트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1 스테이션에 ,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액세스 포인트가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나머지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한다는 것은, 액세스 포인트가, 제2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나머지 채널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것, 및 액세스 포인트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2 스테이션에, 나머지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전송 프로세스는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테이션이 존재할 수 있다. 다수의 제2 스테이션들이 존재할 때, 그리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제2 스테이션들의 동작 채널들이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일부일 때,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스테이션 및 하나의 제2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시에 다른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션들의 양은 시스템 채널의 대역폭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및 액세스 포인트와 스테이션 사이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공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스테이션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할 수 있거나 또는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에 따르면,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할 때,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즉,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과 상이한 다른 채널이다. 따라서,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이 주 채널을 포함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여전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이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대역폭 리소스들의 일부만을 차지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여전히 수행할 수 있어서,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제외한 액세스 포인트의 모든 대역폭 리소스들이 동시에 데이터 송신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액세스 포인트의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2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른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업링크 송신의 관점에서 추가의 설명들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301.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시그널링을 제1 스테이션에 전송함- 제1 시그널링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제1 스테이션에게 명령하고 제1 스테이션에 이용 가능한 제1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1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의 대역폭 미만임 -.
스테이션의 배터리 전력이 상대적으로 낮을 때는,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애플리케이션 레이어가 스테이션에게 명령하거나,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양이 감소되거나, 또는 다수 채널들이 큰 간섭을 수신하고, 일부 채널들만 우수한 상태에 있을 때는,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스테이션을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액세스 포인트가 착수할 수 있고,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스테이션은 그 스테이션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와 합의된 (제1 채널 세트와 같은) 채널 세트 상에서만 데이터를 청취 및/또는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시그널링은 제1 스테이션의 식별자를 운반할 수 있고, 제1 스테이션의 식별자와 제1 채널 세트 사이에 일-대-일 대응 관계가 존재한다.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한 이후, 제1 스테이션은, 제1 스테이션의 식별자와 제1 채널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 및 제1 스테이션의 식별자에 따라, 제1 시그널링에 의해 표시되는 제1 채널 세트를 결정한다.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제1 스테이션을 액세스 포인트가 제어할 때,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ACK(acknowledgment)를 획득하지 않고도, 제1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였고 액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고 고려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제1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명령되는 바와 같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성공적으로 인에이블하지 않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정상적으로 여전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S302.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액세스 포인트가 제2 스테이션을 제어함. 구체적으로, 제어 방식에 대해서는, S301이 참조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제2 스테이션 또한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이다. 본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2개의 스테이션들과의 데이터 송신을 동시에 수행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또한 수행할 때, 다른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이면, 제1 시그널링은 다른 스테이션의 식별자를 또한 운반할 수 있다. 다른 스테이션이 다수의 스테이션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스테이션들이 그룹 스테이션들이면, 제1 시그널링은 그룹 스테이션들의 그룹 어드레스를 운반할 수 있다. 물론, 제1 시그널링은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를 대안적으로 운반할 수 있고,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서비스되는 모든 스테이션들에 대응한다.
단계 S301 및 단계 S302의 실행 시퀀스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즉, 단계 S301이 단계 S302 이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단계 S302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S303.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트리거 프레임을, 제1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트리거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함.
제1 트리거 프레임은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제1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되고, 제2 트리거 프레임은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제2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된다.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제1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다.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트리거 프레임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되고, 이러한 트리거 프레임은 제1 스테이션 및 제2 스테이션으로의 데이터 전송의 시작 시간들을 표시하는 것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정렬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스테이션에 할당하는 제1 채널 세트는 액세스 포인트가 제2 스테이션에 할당하는 채널 세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채널 세트들이 동일한지에 관계없이, 데이터 전송 동안 2개의 스테이션들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FDMA 방식(OFDMA와 같은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사용될 때, 2개의 채널 세트들에 기초하는 동작 채널들은 중첩되지 않아야 한다. (MU-MIMO와 같은) 다른 방식이 사용될 때, 2개의 채널 세트들의 채널들은 중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는 채널 세트 또는 채널 세트의 일부를 포함한다.
S304. 제1 스테이션이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액세스 포인트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함.
S305. 제2 스테이션이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액세스 포인트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함.
단계 S304 및 단계 S305의 실행 시퀀스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즉, 단계 S304는 단계 S305 이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단계 S305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S306. 액세스 포인트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업데이트 명령어를 전송함 - 업데이트 명령어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를 할당하라고 액세스 포인트에 명령하는데 사용되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의 대역폭 미만이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
본 실시예에서, 업데이트 명령어는 스테이션의 절전 모드를 업데이트하는데 사용된다. 제1 스테이션 또는 제2 스테이션에 관계없이,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는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와 상이하며, 구체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이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과 상이할 때,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은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과 완전히 상이함; 및/또는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은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과 중첩됨; 및/또는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은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과 정확히 동일함.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이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과 동일할 때,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은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과 완전히 상이함; 및/또는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은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과 중첩됨.
본 실시예에서, A가 B와 중첩된다는 것은 A와 B의 교차가 존재한는 것만을 의미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업데이트 되기 이전 및 이후의 채널 세트들의 전술한 경우들에 대해, 설명을 위해 예가 제공된다.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대역폭이 80MHz라고 가정하면, 가용 대역폭은 4개의 채널들: 채널 1, 채널 2, 채널 3, 및 채널 4로 분할될 수 있다. 채널 1은 서브-채널 1과 서브-채널 2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채널은 20 MHz의 대역폭을 차지하고, 각각의 서브-채널은 10 MHz의 대역폭을 차지한다.
업데이트 되기 이전에 설정되는 채널이 채널 1을 포함하면, 업데이트되기 이전의 채널 세트에 대응하는 채널 대역폭이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 대응하는 채널 대역폭과 상이할 때,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채널 3 및 채널 4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채널들이 완전히 상이한 경우이다.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채널 1 및 채널 2를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채널들은 중첩되고, 중첩 채널은 채널 2이다.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채널 1의 서브-채널 1을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채널들은 정확히 동일하다(즉, 모든 채널들은 채널 1이다).
업데이트되기 이전에 설정된 채널은 채널 1 및 채널 2를 포함한다고 가정된다.
업데이트되기 이전의 채널 세트에 대응하는 채널 대역폭이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 대응하는 채널 대역폭과 동일할 때,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채널 3 및 채널 4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채널 2 및 채널 3을 포함할 수 있고, 중첩 채널은 채널 2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테이션 및 제2 스테이션은 양자 모두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들이다.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스테이션 및 제2 스테이션에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고, 이러한 트리거 프레임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제1 스테이션 및 제2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되어, 제1 스테이션 및 제2 스테이션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정렬을 구현한다. 또한,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이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과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의 액세스 포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2개의 스테이션들의 업링크 데이터의 하이브리드 전송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액세스 포인트의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제1 채널 세트가 미리 결정된 이후, 제1 스테이션은, 여러 번, 액세스 포인트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과 통신을 수행할 때,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스테이션과의 통신을 나머지 채널을 사용하여 또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전술한 단계들로부터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리소스 이용률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 다른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운링크 송신의 관점에서 설명들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401. 제1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을 전송함- 이러한 요청은 제4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4 채널 세트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가용 채널이고, 제4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의 대역폭 미만임 -.
가용 채널은 채널 번호, 현재 액세스 포인트의 주 채널로부터의 위치 오프셋의 표시, 또는 채널의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채널 세트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되는 요청에 운반되는 채널 세트와 동일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2 채널 세트(second channel set)", "제3 채널 세트(third channel set)", 및 "제4 채널 세트(fourth channel set)"에 대해, "제X(Xth)"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만 사용된다. 액세스 포인트가 스테이션과 상호 작용하는 시나리오에서, 전송기에 의해 전송되는 채널 세트는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채널 세트이다.
S402. 액세스 포인트가 요청 응답을 전송함- 이러한 요청 응답은 제5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5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의 대역폭 미만임 -.
본 실시예에서, 제1 스테이션이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프로세스는 제1 스테이션 자체에 의해 착수된다. 이러한 경우, 제1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리턴되는 요청 응답을 수신한 이후에만, 응답에서 운반되는 채널 세트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요청에서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채널 세트가 제4 채널 세트이더라도, 로드 밸런싱 고려 사항에 기초하여, 제1 스테이션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리턴되는 채널 세트가 반드시 제4 채널 세트일 필요는 없다. 즉, 이러한 경우, 제4 채널 세트는 제5 채널 세트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4 채널 세트에 대응하는 채널 상의 로드가 지나치게 심하고, 제5 채널 세트에 대응하는 채널 상의 로드가 상대적으로 경미할 때, 제1 스테이션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리턴되는 채널 세트는 제5 채널 세트이다.
물론,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제4 채널 세트가 액세스 포인트의 로드 밸런싱 고려 사항을 충족할 때, 제1 스테이션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리턴되는 제5 채널 세트는 제4 채널 세트와 동일하다. 즉, 이러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제4 채널 세트에 동의하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피드백되는 요청 응답에서 설정되는 제5 채널은 제4 채널 세트이다.
S403.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제1 스테이션에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전송함.
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PPDU는 서비스 데이터, 제1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 방식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표시 시그널링(시그널링 A 및 시그널링 B),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앰블, 및 제1 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 리소스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리앰블은 호환 가능한 프리앰블일 수 있다. 상이한 시그널링 B 정보가 상이한 20 MHz 채널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제1 스테이션에 전송되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표시 정보는 제1 채널 세트에서 송신된다.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일부 프리앰블 신호들이 제1 채널 세트에 있지 않는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어, 제1 채널 세트에 있지 않는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을 수행하는 사용자들을 서비스한다.
S404. 액세스 포인트가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스테이션에 PPDU를 전송함.
제1 스테이션이 주 채널을 차지할 때, 제2 스테이션이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스테이션에 전송되는 PPDU는 서비스 데이터, 제2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 방식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표시 시그널링, 및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며, 표시 정보, 즉, 비컨 프레임이,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에서 운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1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2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할 때,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2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과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중첩되지 않는다.
S405. 제1 스테이션이 업데이트 요청을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함- 업데이트 요청은 제7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7 채널 세트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이고, 제7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의 대역폭 미만이고, 제7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
물론, 제2 스테이션 또한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고, 상세 사항들이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S406. 액세스 포인트가 업데이트 요청에 대한 응답하여 명령어를 전송함- 이러한 명령어는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를 제7 채널 세트로 변경하라고 명령하는데 사용됨 -.
단계 S403 및 단계 S404의 실행 시퀀스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즉, 단계 S403은 단계 S404 이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단계 S404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스테이션의 대역폭 절전 모드에 대한 업데이트가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착수되더라도, 업데이트되기 이전의 및 이후의 채널 세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이전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테이션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이고, 제2 스테이션은 비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이다.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스테이션 및 제2 스테이션에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이러한 프리앰블은 제1 스테이션 및 제2 스테이션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 채널들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중첩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동시에 여러 스테이션들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노드의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들에 대해, 도 3에서는,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액세스 포인트가 스테이션을 제어하고(S301 및 S302), 도 4에서는,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스테이션이 사전에 요청한다(S401 및 S402)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2개의 방식들은 상호 교환 가능하며, 이들 중 어느 방식도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시나리오에 강제적으로 적용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스테이션의 대역폭 절전 모드에 대한 업데이트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착수될 수 있거나(S306), 사전에 스테이션에 의해 착수될 수 있다(S405). 이러한 2개의 방식들은 상호 교환 가능하며, 이들 중 어느 방식도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시나리오에 강제적으로 적용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4
데이터 송신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응하여,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고, 이는,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데이터 송신 유닛(710)- 제1 스테이션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제1 스테이션의 가용 채널임 -; 및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이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될 때,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2 데이터 송신 유닛(720)-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함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이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되기 이전에, 제1 스테이션에 제1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 전송 유닛(730)- 제1 시그널링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명령하고 제1 스테이션에 이용 가능한 제1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1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이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되기 이전에,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740)- 요청은 제2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2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서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가용 채널이고, 제2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및
제1 스테이션에 요청 응답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응답 유닛(750)- 요청 응답은 제3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3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시그널링 전송 유닛은 액세스 포인트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스테이션을 사전에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수신 유닛 및 응답 유닛은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의 인에이블을 사전에 트리거할 때 스테이션과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액세스 포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업데이트 명령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명령어 전송 유닛(760)- 업데이트 명령어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할당되는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 적응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1 데이터 송신 유닛이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기 이전에,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트리거 프레임을, 제1 스테이션에, 전송하도록; 그리고 제2 스테이션 송신 유닛이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기 이전에,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트리거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트리거 프레임 전송 유닛(770)- 제1 트리거 프레임은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제1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되고, 제2 트리거 프레임은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제2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됨 -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 송신 동안, 제1 데이터 송신 유닛이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구체적인 구현은,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기 시작하는 데이터를,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것-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특정됨 -일 수 있다. 제2 데이터 송신 유닛이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구현은,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제2 스테이션에 의해 송신되기 시작하는 데이터를,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1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2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할 때,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2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과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중첩되지 않는다.
다운링크 송신 동안, 제1 데이터 송신 유닛이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구체적인 구현은,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제1 스테이션에 PPDU를 전송하는 것- PPDU는 서비스 데이터, 제1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 방식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표시 시그널링,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앰블, 및 제1 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 리소스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함 -일 수 있다. 제2 데이터 송신 유닛이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나머지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구체적인 구현은,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스테이션에 PPDU를 전송하는 것- PPDU는 서비스 데이터, 제2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 방식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표시 시그널링, 및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앰블을 포함함 -일 수 있다.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1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2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할 때,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2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과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중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테이션이 존재할 수 있다.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과의 통신을 수행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나머지 채널을 사용하여 여전히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제외한 액세스 포인트의 모든 대역폭 리소스들이 데이터 송신에 또한 사용될 수 있어, 액세스 포인트의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5
본 출원의 실시예는 스테이션을 추가로 제공하고, 이는,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되는 대역폭 절전 모드 인에이블 유닛을 포함한다.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송신을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동작 채널은 스테이션의, 대역폭 절전 모드에서의, 가용 채널이고, 액세스 포인트는,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때,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역폭 절전 모드 인에이블 유닛은 구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요청 전송 서브유닛(810)- 요청은 제4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4 채널 세트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가용 채널이고, 제4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및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요청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서브유닛(820)- 요청 응답은 제5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5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대역폭 절전 모드 인에이블 유닛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구체적인 구현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 제2 시그널링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스테이션에게 명령하고, 스테이션에 이용 가능한 제6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6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한 이후, 액세스 포인트에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요청 전송 유닛(830)- 업데이트 요청은 제7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제7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제7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 및
업데이트 요청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리턴되는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명령어 수신 유닛(840)- 응답은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를 제7 채널 세트로 변경하라고 명령하는데 사용됨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업데이트 명령어 수신 유닛은, 스테이션이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한 이후,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업데이트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업데이트 명령어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스테이션에 할당되는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할 때,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다른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즉, 본 출원의 해결책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 및 다른 스테이션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이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대역폭 리소스들의 일부만 차지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나머지 채널을 사용하여 여전히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제외한 액세스 포인트의 모든 대역폭 리소스들이 동시에 데이터 송신에 또한 사용할 수 있어, 액세스 포인트 측의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다른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은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사용되는 동작 채널과는 상이한 나머지 채널이다. 따라서,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이 주 채널을 포함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나머지 채널을 사용하여 여전히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의 방법의 기능들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되면, 이러한 기능들은 컴퓨터 디바이스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종래 기술 또는 기술적 해결책들 중 일부에 기여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라고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에게 명령하기 위한 여러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착탈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모두 점진적 방식으로 설명되고, 실시예들에서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에 대해, 이러한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고, 각각의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들과의 상이함에 중점을 둔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관련분야에서의 숙련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구현하거나 또는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설명된다.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관련분야에서의 숙련자에게 명백하고,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6)

  1.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가용 채널임 -;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할 때,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상기 제1 스테이션에게,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명령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상기 제1 스테이션에게,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명령하는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
    제1 시그널링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명령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에 이용 가능한 제1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는 요청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은 제2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상기 제2 채널 세트는,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서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가용 채널이고, 상기 제2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상기 제1 스테이션에 요청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 응답은 제3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상기 제3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업데이트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명령어는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할당되는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기 시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명시됨 -를 포함하고;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상기 제2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기 시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할 때,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2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과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중첩되지 않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트리거 프레임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상기 제1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트리거 프레임을, 상기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제1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2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제2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됨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스테이션에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PPDU는 서비스 데이터,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 방식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표시 시그널링,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앰블, 및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 리소스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함 -를 포함하고;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스테이션에 PPDU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PPDU는 서비스 데이터,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 방식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표시 시그널링, 및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앰블을 포함함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1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할 때,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2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과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중첩되지 않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스테이션이 존재하는 방법.
  9.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대역폭 절전 모드를, 스테이션에 의해, 인에이블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상기 스테이션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송신을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동작 채널은 상기 스테이션의,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서의, 가용 채널이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때,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함 -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대역폭 절전 모드를, 스테이션에 의해, 인에이블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은 제4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상기 제4 채널 세트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가용 채널이고, 상기 제4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요청 응답을, 상기 스테이션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 응답은 제5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상기 제5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대역폭 절전 모드를, 스테이션에 의해, 인에이블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상기 스테이션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상기 스테이션에게 명령하고, 상기 스테이션에 이용 가능한 제6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6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역폭 절전 모드를, 스테이션에 의해, 인에이블하는 단계 이후, 상기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요청은 제7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상기 제7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상기 제7 채널 세트는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 및
    상기 업데이트 요청에 대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리턴되는 응답을, 상기 스테이션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은 상기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를 상기 제7 채널 세트로 변경하라고 명령하는데 사용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역폭 절전 모드를, 스테이션에 의해, 인에이블하는 단계 이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업데이트 명령어를, 상기 스테이션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명령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에 할당되는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액세스 포인트로서,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데이터 송신 유닛- 상기 제1 스테이션은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가용 채널임 -; 및
    상기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될 때,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2 데이터 송신 유닛-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함 -
    을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제1 스테이션에 제1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 전송 유닛-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명령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에 이용 가능한 제1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상기 요청은 제2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상기 제2 채널 세트는,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서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가용 채널이고, 상기 제2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및
    상기 제1 스테이션에 요청 응답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응답 유닛- 상기 요청 응답은 제3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상기 제3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업데이트 명령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명령어 전송 유닛- 상기 업데이트 명령어는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할당되는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상기 제1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기 시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명시됨 -; 및
    상기 제2 데이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상기 제2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기 시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할 때,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2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과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중첩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송신 유닛이 상기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트리거 프레임을, 상기 제1 스테이션에, 전송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2 스테이션 송신 유닛이 상기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트리거 프레임을, 상기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트리거 프레임 전송 유닛- 상기 제1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제1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2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전송 시점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제2 스테이션을 트리거하는데 사용됨 -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송신 유닛이 상기 제1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제1 데이터 송신 유닛이 구체적으로,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스테이션에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상기 PPDU는 서비스 데이터,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 방식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표시 시그널링,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앰블, 및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데이터 전송 리소스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함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송신 유닛이 상기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제2 데이터 송신 유닛이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스테이션에 PP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 상기 PPDU는 서비스 데이터,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 방식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표시 시그널링, 및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앰블을 포함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1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할 때,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제2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과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중첩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송신 유닛이 상기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제2 데이터 송신 유닛이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하나 이상의 제2 스테이션이 존재함 -을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22. 스테이션으로서,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되는 대역폭 절전 모드 인에이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는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송신을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상기 동작 채널은 상기 스테이션의,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서의, 가용 채널이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때,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 및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동작 채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스테이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 인에이블 유닛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요청 전송 서브유닛- 상기 요청은 제4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상기 제4 채널 세트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스테이션에 의해 요청되는 가용 채널이고, 상기 제4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요청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서브유닛- 상기 요청 응답은 제5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상기 제5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
    을 포함하는 스테이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 인에이블 유닛이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 인에이블 유닛이 구체적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하라고 상기 스테이션에게 명령하고, 상기 스테이션에 이용 가능한 제6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6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임 -을 포함하는 스테이션.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한 이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요청 전송 유닛- 상기 업데이트 요청은 제7 채널 세트를 운반하고, 상기 제7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상기 제7 채널 세트는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 및
    상기 업데이트 요청에 대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리턴되는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명령어 수신 유닛- 상기 응답은 상기 스테이션의 채널 세트를 상기 제7 채널 세트로 변경하라고 명령하는데 사용됨 -
    을 추가로 포함하는 스테이션.
  26.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명령어 수신 유닛은,
    상기 스테이션이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를 인에이블한 이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는 업데이트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상기 업데이트 명령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에 할당되는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에서의 채널들의 총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채널들의 대역폭 미만이고, 상기 업데이트된 채널 세트는 상기 대역폭 절전 모드에 있는 상기 스테이션의 업데이트될 채널 세트와 상이함 - 추가로 구성되는 스테이션.
KR1020187004363A 2015-07-16 2015-07-16 데이터 송신 방법,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 KR102053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84232 WO2017008303A1 (zh) 2015-07-16 2015-07-16 一种数据传输方法、接入点及站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647A true KR20180030647A (ko) 2018-03-23
KR102053068B1 KR102053068B1 (ko) 2019-12-06

Family

ID=5775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363A KR102053068B1 (ko) 2015-07-16 2015-07-16 데이터 송신 방법,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20180139696A1 (ko)
EP (2) EP3310106B1 (ko)
JP (1) JP6534488B2 (ko)
KR (1) KR102053068B1 (ko)
CN (2) CN107432005B (ko)
AU (1) AU2015401995C1 (ko)
BR (1) BR112018000842B1 (ko)
CA (1) CA2992630A1 (ko)
MX (1) MX2018000631A (ko)
RU (1) RU2687162C1 (ko)
WO (1) WO2017008303A1 (ko)
ZA (1) ZA2018008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0106B1 (en) * 2015-07-16 2023-10-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ccess point
US10623133B2 (en) * 2016-06-21 2020-04-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ng mod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WO2020024266A1 (zh) * 2018-08-03 2020-02-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随机接入控制方法和随机接入控制装置
CN112398601B (zh) * 2019-08-12 2023-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通信传输中感知信息的方法及相关设备
WO2023050160A1 (zh) * 2021-09-29 2023-04-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道接入参数的更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493A (ko) * 2008-07-17 2010-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캐리어를 이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전력절감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00130608A (ko) * 2008-06-25 2010-12-13 인텔 코포레이션 무선 멀티 통신 장치에서의 공유 리소스의 관리 기술
US20140254452A1 (en) * 2011-11-18 2014-09-11 Panasonic Corporation Active bandwidth indicator for power-saving ues
US20140328195A1 (en) * 2013-05-03 2014-11-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ownlink frequency domain multiplexing transmissions
KR20140130693A (ko) * 2012-01-31 2014-11-1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협대역 채널 선택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50022874A (ko) * 2012-05-28 2015-03-04 소니 주식회사 인지 라디오 시스템, 그것의 자원 할당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1115B (fi) * 1995-08-14 1998-04-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Tietoliikenneyhteyden tahdistaminen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US7453844B1 (en) * 2002-10-22 2008-11-18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Dynamic allocation of channels in a wireless network
US7508781B2 (en) * 2003-03-25 2009-03-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saving mechanism for wireless LANs via schedule information vector
WO2008087465A1 (en) * 2007-01-15 2008-07-24 Nokia Corporation A method of transmitting between two nodes
CN101662401B (zh) * 2008-08-27 2012-06-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链式无线网络的组建方法及网络节点
US20100177756A1 (en) * 2009-01-14 2010-07-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ssociation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using multiple channels
US8144657B2 (en) * 2009-02-26 2012-03-2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Clustering based resource allocation in multi-cell OFDMA networks
US8830847B1 (en) * 2009-05-19 2014-09-09 Dust Networks, Inc. Determining path stability using source routed packets in wireless networks
EP3070984B1 (en) * 2009-10-28 2019-03-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ower sav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99798A2 (ko) * 2010-02-12 201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무선랜 통신 장치
EP2365711B1 (de) * 2010-03-12 2016-02-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Drahtlosnetzwerk, insbesondere für Automatisierungs-, Echtzeit- und/oder Industrie-Anwendungen
US8526346B1 (en) 2010-04-28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e communication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2073027B1 (ko) * 2011-04-05 2020-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타임 정렬 타이머 운용 방법 및 장치
US8811426B1 (en) * 2011-05-06 2014-08-19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switching an operating bandwidth of a wireless transceiver
US9210731B2 (en) * 2011-07-25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Direct link setup through an extended service set
US9014190B2 (en) * 2011-11-11 2015-04-21 Itron, Inc. Routing communications based on node availability
WO2013130793A1 (en) * 2012-03-01 2013-09-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user parallel channel access in wlan systems
KR20130142932A (ko) * 2012-06-19 2013-12-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US9585091B2 (en) 2012-08-17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wake up signal and operations for WLAN
US9179455B2 (en) * 2012-10-05 2015-11-03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frequency selective transmission
US9402240B2 (en) * 2013-01-28 2016-07-2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oper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CN104168662B (zh) * 2013-05-16 2018-07-2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接入方法和接入设备
CN103476037B (zh) * 2013-09-03 2016-05-25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面向蜂窝通信网络的低功耗多信道频谱感知方法及其系统
KR101701556B1 (ko) * 2013-10-14 2017-0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채널 저전력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4661224B (zh) * 2013-11-19 2018-05-11 新华三技术有限公司 应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信道分配方法和装置
EP3136807A4 (en) * 2014-04-21 2017-12-20 Kabushiki Kaisha Toshiba Integrated circuit for radio communication
US9681335B2 (en) * 2014-06-19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for bandwidth efficient operation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KR20160008971A (ko) * 2014-07-15 2016-01-25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하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에 응답하는 상향링크 확인응답
US10667292B2 (en) * 2014-10-31 2020-05-26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saving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US9699807B2 (en) * 2014-11-19 2017-07-04 Intel IP Corporation High-efficiency Wi-Fi (HEW) station and access point (AP)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contention
US10334571B2 (en) * 2014-12-05 2019-06-25 Marvell World Trade Ltd. Trigger frame format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communication
US9883490B1 (en) * 2015-01-26 2018-01-30 Newracom, Inc. Implicit sounding for OFDMA operation
US10153857B1 (en) * 2015-04-10 2018-12-11 Marvell International Lt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protection
EP3286940A4 (en) * 2015-04-24 2018-12-26 Newracom, Inc. Multi-user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CN106341898B (zh) * 2015-07-09 2020-07-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站点的传输指示、触发、执行方法及装置
EP3310106B1 (en) * 2015-07-16 2023-10-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ccess poi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608A (ko) * 2008-06-25 2010-12-13 인텔 코포레이션 무선 멀티 통신 장치에서의 공유 리소스의 관리 기술
KR20100009493A (ko) * 2008-07-17 2010-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캐리어를 이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전력절감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40254452A1 (en) * 2011-11-18 2014-09-11 Panasonic Corporation Active bandwidth indicator for power-saving ues
KR20140130693A (ko) * 2012-01-31 2014-11-1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협대역 채널 선택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50022874A (ko) * 2012-05-28 2015-03-04 소니 주식회사 인지 라디오 시스템, 그것의 자원 할당 장치 및 그 방법
US20140328195A1 (en) * 2013-05-03 2014-11-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ownlink frequency domain multiplexing transmis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068B1 (ko) 2019-12-06
CN112333775A (zh) 2021-02-05
CN107432005B (zh) 2020-10-09
MX2018000631A (es) 2018-05-11
AU2015401995C1 (en) 2019-05-02
EP4096310A1 (en) 2022-11-30
JP2018527791A (ja) 2018-09-20
WO2017008303A1 (zh) 2017-01-19
BR112018000842A2 (pt) 2018-09-11
EP3310106C0 (en) 2023-10-04
CA2992630A1 (en) 2017-01-19
AU2015401995A1 (en) 2018-02-15
EP3310106B1 (en) 2023-10-04
CN107432005A (zh) 2017-12-01
RU2687162C1 (ru) 2019-05-07
AU2015401995B2 (en) 2019-01-03
JP6534488B2 (ja) 2019-06-26
US20200260375A1 (en) 2020-08-13
ZA201800862B (en) 2019-07-31
US11350359B2 (en) 2022-05-31
BR112018000842B1 (pt) 2021-09-08
EP3310106A4 (en) 2018-06-13
US20220256455A1 (en) 2022-08-11
US20180139696A1 (en) 2018-05-17
CN112333775B (zh) 2024-04-09
EP3310106A1 (en)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228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EP3338510B1 (en) Prose relay delay reduction
US9538368B2 (en)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on basis of grouping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JP5809758B2 (ja)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けるグルーピングに基づく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それをサポートする装置
US1135035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ccess point, and station
EP3499940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levant device
KR20130121982A (ko) 감소된 오버헤드 단문 메시지 송신을 위한 방법
US100507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power-saving poll transmission
EP3255928B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user equipment
KR102054052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CN112105075B (zh) 唤醒帧发送方法、节点醒来后发送第一帧的方法及设备
US20210307106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CN108476476B (zh) 功率指示系统和方法
US11974317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ystem
KR20220097893A (ko)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WO2024067270A1 (zh) 一种切换方法及通信装置
KR102566554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CN118077246A (en) Aggregated link establishment and releas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20094276A (ko) 와이파이 접속점에 의한 와이파이 단말의 송신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