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823A -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823A
KR20180028823A KR1020160116671A KR20160116671A KR20180028823A KR 20180028823 A KR20180028823 A KR 20180028823A KR 1020160116671 A KR1020160116671 A KR 1020160116671A KR 20160116671 A KR20160116671 A KR 20160116671A KR 20180028823 A KR20180028823 A KR 20180028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lood glucose
unit
user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7629B1 (ko
Inventor
이제훈
임덕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6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61B5/04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61M2005/3126Specific display means related to do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혈당량을 측정하며, 상기 혈당량을 토대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혈당량종합정보를 관리하는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소정의 약제를 투약하며, 상기 약제에 관한 투약정보를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 전송하는 투약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투약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투약정보를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반영하여 관리하므로 사용자의 혈당량 증감정도에 대한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혈당량관리능률을 증진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Wearable Blood Suga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혈당량을 측정하고 저장 등을 하여 혈당량을 관리하기 위한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혈당량을 측정하여 얻어지는 혈당량측정정보와 사용자의 생활패턴정보를 연계시킨 혈당량종합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혈당량종합정보를 저장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혈당 수치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시켜야한다. 혈당량을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호르몬들의 길항작용에 의해 인체의 혈당수치는 통상 90mg/dl 정도로 유지된다.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분비에 이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인체의 혈당 수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 당뇨병이다. 이러한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치료도 중요하지만, 지속적으로 혈당량을 측정하고 관리하여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혈당량을 측정하고 일정수준으로 혈당 수치가 유지시키기 위한 혈당량관리가 요구된다.
이처럼 혈당량을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많은 기술이 연구되고 제안되어져 왔다. 이러한 기술들 중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8572호(발명의 명칭 : 다색상LED를 이용한 사용자 알림기능을 갖는 혈당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알림방법. 이하 선행기술 1)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1251호(발명의 명칭 : 만보기 기능을 가지는 혈당측정기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 이하 선행기술 2) 등이 있다.
선행기술1에는, LED 광원 색상을 다양화하여 측정된 혈당 결과에 따라 색상을 달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등이 측정된 혈당량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1에 따르면, 측정된 혈당량 수치에 관한 정보만 제공할 뿐 이므로, 혈당량관리에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2에 따르면, 만보기 기능을 구비한 혈당측정기에서 운동량과 혈당량을 선택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운동량에 따른 혈당변화량을 비교분석하여 운동후 예상되는 혈당량 측정치는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 2에 따르면, 단지 만보기를 통한 운동량을 통해 운동전후의 혈당량정보만 제공하므로, 실생활 전반에 걸친 다양한 신체활동에 대한 혈당량관리에는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혈당량측정시 혈당량측정정보와 사용자의 생활패턴정보등을 포함하는 혈당량종합정보를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혈당량관리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혈당량을 측정하며, 상기 혈당량을 토대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혈당량종합정보를 관리하는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소정의 약제를 투약하며, 상기 약제에 관한 투약정보를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 전송하는 투약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투약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투약정보를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반영하여 관리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가 섭취하는 음식물에 관한 섭취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섭취정보를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 전달하는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섭취정보를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반영하여 관리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혈당량을 측정하여 혈당량측정치를 획득하는 혈당측정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센싱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상기 혈당측정부에 의하여 획득된 상기 혈당량측정치가 포함된 혈당량측정정보 또는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획득된 상기 움직임센싱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혈당측정부 또는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며, 상기 혈당량측정치 또는 상기 움직임센싱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혈당량측정치가 측정된 혈당량측정시각을 상기 혈당량측정치에 연계시켜서 상기 혈당량측정정보를 생성시키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움직임센싱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생활패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혈당량측정정보 및 상기 생활패턴정보가 포함된 혈당량종합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시키되, 임의의 시각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서로 매칭될 수 있는 상기 혈당량측정정보 및 상기 생활패턴정보를 서로 연계시켜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생활패턴정보에는 생활패턴시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생활패턴시간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취침시각, 수면시간, 기상시각, 식사시작시각, 식사시간, 식사종료시각, 이동에 따른 움직임시작시각 및 이동에 따른 움직임종료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감지부는 자이로 또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내 건강상태에 관한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생체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정보를 획득하는 심박펄스센서, 상기 사용자의 혈중산소농도를 측정하는 혈중산소농도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정보가 획득된 시각을 상기 생체정보에 연계시켜서 생활패턴생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활패턴생체정보는 상기 생활패턴정보에 포함되며, 상기 생활패턴생체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거리, 이동속도, 걸음걸이 수, 시간대별 심박수, 단위시간 당 심박수, 혈중산소농도, 체온, 음식섭취량, 램수면시간, 숙면시간 및 약물투약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활패턴생체정보가 포함된 상기 생활패턴정보를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시키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수정 또는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제어부 측으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된 내용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혈당량종합정보를 외부기기 측으로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혈당측정부, 상기 감지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섭취하는 상기 음식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가 상기 음식물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촬영제어부; 상기 촬영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부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전달받아서 저장하는 영상저장부; 및 상기 촬영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웨어러블디바이스 측으로 상기 영상정보를 전달하는 영상정보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목에 착용될 수 있는 목걸이 형태 또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또는 안면에 착용될 수 있는 안경의 형태를 갖춘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투약 디바이스는, 상기 약제가 저장되고, 일정한 양만큼 사용자의 신체 내로 상기 약제를 투약시키는 투약부; 상기 투약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투약부에 의해 투약될 약제의 투약량을 설정받는 투약량설정부; 상기 투약량설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투약량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상기 투약량만큼 상기 투약부가 상기 약제를 투약하도록 제어하는 투약제어부; 및 상기 투약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투약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투약정보를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 전달하는 투약정보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투약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투여된 상기 약제의 명칭, 상기 약제의 투약시간 및 상기 약제의 투여량이 포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투약정보에는, 상기 약제의 투여횟수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투약된 상기 약제의 누적량이 더 포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투약 디바이스의 상기 투약부는,상기 사용자의 신체 내로 상기 약제가 투약되도록 가이드하는 투약니들; 상기 투약니들의 상측에서 상기 투약니들과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기 투약니들을 통해 투약될 상기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실; 및 상기 약제실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약제실 내에 저장된 상기 약제가 상기 투약니들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내로 일정한 양만큼 투약되도록 상기 투약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약제를 밀어주는 피스톤기;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투약 디바이스의 상기 투약량설정부는,반사패턴과 무반사패턴이 패터닝된 원형의 회전디스크; 상기 원형의 회전디스크 측으로 발광하는 발광기;상기 발광기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회전디스크의 상기 반사패턴에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기; 상기 투약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상기 수광기로 입사된 빛의 간격 수를 계수하는 엔코더기; 및 상기 원형의 회전디스크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체, 상기 수광체 및 상기 엔코더기가 장착되는 고정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엔코더기를 통해 계수된 상기 빛의 간격수가 상기 투약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투약제어부가 상기 투약량을 계산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는 손목시계형태 또는 밴드형태로 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은 사용자의 혈당량측정시 혈당량측정정보와 사용자의 생활패턴정보가 연계되어 혈당량종합정보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따른 혈당량의 증감정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나아가 혈당량 증감정도에 대한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사용자에게 예측된 혈당값에 따라 온동량 증대, 투약량 증대, 식사량 조절등을 가이던스하여 주므로 혈당량종합정보의 신뢰성을 증진 및 사용자의 혈당량관리능률을 증진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의 혈당량 측정만으로도 측정시각, 사용자의 상태 등의 각종 정보가 자동으로 연계되어 저장 또는 갱신되므로 사용자의 혈당관리의 편의성을 증진시켜주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투약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은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투약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혈당량을 측정하며, 혈당량을 토대로 사용자에 대한 혈당량종합정보를 관리한다.
투약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소정의 약제를 투약하며, 약제에 관한 투약정보를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투약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달받은 투약정보를 혈당량종합정보에 반영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반영한다는 것은 포함한다는 의미 또한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섭취하는 음식물에 관한 섭취정보를 획득하며, 섭취정보를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달된 섭취정보를 혈당량종합정보에 반영하여 관리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투약디바이스 및 제2웨어러블디바이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투약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혈당측정부, 감지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입력부, 출력부, 통신부 및 전원공급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혈당측정부(120)는 사용자의 혈당량을 측정하여 혈당량측정치를 획득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 및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하여 혈당량측정정보, 움직임센싱정보, 생활패턴정보 및 혈당량종합정보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 후에 감지부(140), 저장부(130), 제어부(110), 입력부(150), 출력부(160), 통신부(170) 및 전원공급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혈당량측정정보는 혈당측정부(120)에서 사용자의 혈당량을 측정하여 얻어지는 정보로서 혈당측정시각과 혈당량측정치가 포함된 정보를 말한다. 혈당측정부(120)에서 측정하여 얻어진 혈당량측정치를 제어부(110)가 전달받아서 혈당측정시각을 연계시켜서 혈당량측정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혈당측정시각은 혈당량을 측정한 시각을 말한다.
움직임센싱정보는, 후술할 감지부(140)에 포함되는 자이로 또는 가속도센서가 사용자의 팔 등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획득되는 정보로서 식사, 수면 또는 운동 등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적 움직임에 따른 활동을 판단할 수 있도록 제어부(110)에 전달된다.
생활패턴정보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사용자의 일상생활패턴에 관한 정보로서, 통계적으로 사용자가 어느 시각 또는 어느 시간대에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 또는 어떠한 활동을 하는지 등과 같이 사용자의 일상적인 생활활동이나 상태에 관한 통계적 정보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패턴정보에는 생활패턴시간정보와 생활패턴생체정보가 포함된다. 생활패턴시간정보는 감지부로부터 획득된 움직임센싱정보를 토대로 생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취침시간, 기상시간, 식사시작시간, 식사종료시간, 이동에 따른 움직임시작시각, 이동에 따른 움직임종료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생활패턴시간정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생활패턴시간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누적되는 움직임센싱정보를 토대로 하여 얻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생체정보는 사용자 생체의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말하며, 감지부(140)를 통해 획득된다. 그리고 생체정보에 시각정보를 연계시킨 것이 생활패턴생체정보이다.
감지부(140)로부터 생체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110)는 생체정보와 시각정보를 연계시켜서 생활패턴생체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시각정보는 생체정보가 감지부를 통해 획득된 시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체온측정값이 37도 라는 생체정보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생체정보에는 시각정보가 없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체온측정값이 37도 라는 생체정보에 체온측정시각인 오전 7시를 시각정보로서 연계시킨다.
이처럼 생체정보에 시각정보를 반영시켜서 '오전 7시 사용자의 체온은 37도' 라는 생활패턴생체정보가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생활패턴생체정보가 반복적으로 누적이 되어 업데이트된다.
이러한 생활패턴생체정보에는 얕은 램 수면 시간, 깊은 숙면 시간, 시간대별 이동거리와 이동속도, 걸음걸이 수, 사용자의 단위시간 당 심박수를 포함하는 심박정보, 사용자의 혈중산소농도 및 사용자의 체온, 음식 섭취량, 약물투약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활패턴생체정보 또한 감지부(140)로부터 획득된 움직임센싱정보를 토대로 생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생활패턴생체정보를 생성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감지부(140)에 포함되는 자이로 또는 가속도센서로부터 획득된 움직임센싱정보가 제어부(110)으로 전달되면, 제어부(110)는 움직임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값을 획득할 수도 있으며, 감지부(140)내에 포함되는 심박펄스센서, 혈중산소농도센서, 체온센서 등으로부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또는 입력부 혹은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생활패턴생체정보는 생활패턴시간정보와 함께 생활패턴정보에 포함된다. 그리고, 혈당량종합정보는 혈당량측정정보와 생활패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생활패턴정보는 혈당량측정정보와 함께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시각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서로 매칭되는 혈당량측정정보 및 생활패턴정보가 서로 연계되어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된다. 다시 말해서, 생활패턴정보는 임의의 시각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매칭되는 혈당량측정정보와 연계되어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매칭된다라는 것은, 예를 들어 23일 오후 1시를 기준으로 이 시각에 해당되는 생활패턴정보 및 혈당량측정정보가 서로 결합되어 23일 오후 1시의 혈당량종합정보가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혈당량종합정보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30)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된다.
조금 더 예를 들면, 오전 7시에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로부터, 감지부(140)에 포함된 자이로 또는 가속도센서가 일정시간동안 상기 사용자의 활발한 움직임을 감지하면, 이러한 움직임센싱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오전 7시에 램수면상태에서 기상 상태로 변화하였다고 판단하고, 이를 생활패턴정보에 업데이트한다.
이후 오전 7시 30분에 사용자가 아침 식사를 시작하여 오전 8시에 아침 식사를 종료한 것을 감지부(140)를 통해 획득하고, 이 시간대(오전 7시 30분부터 오전 8시까지 30분의 시간)를 아침식사시간으로 판단하고, 생활패턴정보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한다.
만일 사용자가 오전 7시 30분에 자가혈당 측정을 한 경우 혈당측정시간과 혈당량측정치 등 혈당량측정정보는, 기상시간 이후이고 아침식사시작시까지 거의 동일하므로, 아침공복시의 혈당량측정치인 것으로 제어부(110)가 판단하여 혈당량종합정보에 업데이트하여 저장부(1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시각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혈당량측정정보와 생활패턴정보는 서로 연계되어지며, 이와 같이 서로 연계되어진 혈당량측정정보와 생활패턴정보는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되어진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임의의 시각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혈당량측정정보 및 생활패턴정보를 서로 연계시키고,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시켜서 저장부(130)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시킨다.
그리고, 혈당측정부(120)에 의하여 혈당량을 측정하는 방식은 특정방식에 국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혈당량 측정 방식으로 측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혈당측정부(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후술할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혈당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하여 얻어진 혈당량측정치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혈당량측정의 횟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이 있지 않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자가혈당측정은 취침전, 기상후 공복상태 및 하루 3식의 식전과 식후의 혈당량을 측정함으로써, 1일 총 8회의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운동전후 또는 간식 등의 음식물 섭취 전후 등과 같이 혈당량의 변동을 야기할 수 있는 어떤 이벤트나 상황의 전후에도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혈당량을 꾸준히 측정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측정되어 얻어지는 혈당량측정정보의 양이 많이 누적될수록 혈당량측정정보 및 혈당량종합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혈당량 증감 정도에 대한 예측의 정확성 또한 증진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감지부(14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센싱정보를 획득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또한 획득한다.
이러한 감지부(140)에는 다양한 센서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심박펄스센서, 자이로, 가속도센서, 체온감지센서, 혈중산소농도, GPS센서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심박펄스센서는 심박수와 같이 사용자의 심박상태에 대한 심박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그리고, 혈중산소농도센서는 사용자의 혈중산소농도를 측정하고 제어부(110)측으로 혈중산소농도정보를 전달한다. GPS 센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고, 하루간 총 이동거리정보를 트래킹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그리고, 자이로 또는 가속도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움직임센싱정보를 획득하며, 움직임센싱정보를 토대로 생활패턴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는 손목시계나 밴드와 같은 형태의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을 자이로 또는 가속도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110)측으로 움직임센싱정보를 전달한다.
제어부(110)는 자이로 또는 가속도센서측으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센싱정보를 토대로 하여 사용자의 취침시각, 기상시각, 얕은 렘(REM) 수면시간, 깊은 숙면시간, 식사시작시간, 식사종료시간을 판단 및 계산하며, 사용자의 걸음걸이 수 또한 산출해낸다.
이를 위해 저장부(130)에는 움직임센싱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비교대상이 되는 움직임표준모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움직임센싱정보와 움직임표준모델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이 어떤 상태 또는 상황에 해당되는 움직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또는 가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움직임센싱정보를 제어부(110)가 식사 중의 팔의 움직임표준모델정보와 비교하여 식사시작 및 식사종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식사시작시각 및 식사종료시각을 판단하여 생활패턴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시키게 된다.
저장부(130)에는 혈당측정부(120)에 의하여 획득된 혈당량측정치가 포함된 혈당량측정정보 또는 감지부(140)에 의하여 획득된 움직임센싱정보가 저장된다.
제어부(110)는 혈당측정부(120), 저장부(130) 또는 감지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더 포함되는 입력부(150), 출력부(160) 또는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혈당측정부(120)측으로부터 혈당량측정치를 전달받으며, 감지부(140)측으로부터 움직임센싱정보를 전달받는다. 이와 같이 전달받은 혈당량측정치 또는 움직임센싱측정정보를 제어부(110)가 업데이트하여 저장부(130)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감지부(140)로부터 얻어진 움직임센싱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생활패턴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임의의 시간 또는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혈당량측정정보와 생활패턴정보가 연계된 혈당량종합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시킨다.
일 예로 다음의 표 1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내용이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일시 시각 혈당측정치 비고
2016.04.14. 오전 11시 30분 163 중식전혈당
2016.04.14 오후 12시 15분 150 중식 시작
2016.04.14 오후 12시 45분 270 중식 종료
2016.04.14 오후 2시 30분 283 중식후 혈당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혈당량종합정보에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임의의 시각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혈당량측정정보 또는 생활패턴정보와 연계되어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시켜서 저장부(130)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 시킨다.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포함된 혈당량종합정보의 일부에 대한 예시적 형태를 다음의 표 2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일 시 심박수
(회/분)
체온 혈당측정치 비 고 이동
거리
이동
속도
2016.04.16.AM 11:30 83 37.4 163 중식전
혈당
0 0
2016.04.16PM 12:15 85 37.6 160 중식 시작 0 0
2016.04.16PM 12:45 84 37.5 272 중식 종료 0 0
2016.04.16PM 02:30 80 37.5 283 중식후 혈당 0 0
2016.04.16PM 03:00 82 37.5 207 운동 시작 1.5Km 1m/sec
2016.04.16PM 03:30 90 37.6 151 운동 종료
종래에는 투약되는 약의 종류, 투약시간 그리고 투약량은 사용자가 직접 기록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에는 인슐린과 같은 약제의 투약이 이루어질 경우, 투약된 약의 종류, 투약시간 및 투약량 정보를 함께 관리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약디바이스(200)가 포함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220은 원형의 회전디스크이고 도면부호 230은 고정디스크이며, 투약디바이스(200)에서 단면으로 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잠시 투약디바이스(200)에 대하여 설명을 하기로 한다.
투약디바이스(2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인슐린과 같은 소정의 약제를 투약하며, 사용자의 신체에 투약된 약제에 관한 투약정보를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10)측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투약디바이스(200) 측으로부터 전달받은 투약정보를 혈당량종합정보에 반영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투약디바이스(200)는 투약부, 투약량설정부, 투약제어부 및 투약정보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투약정보에는 사용자에게 투여된 약제의 명칭, 약제의 투여시간 및 약제의 투여량이 포함된다.
그리고 투약정보에는 약제의 투여횟수 또는 사용자에게 투약된 약제의 누적량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투약부는 약제가 저장되고, 일정한 양만큼 사용자의 신체 내로 약제를 토약시킨다. 이러한 투약부에는 투약니들(211), 약제실(213) 및 피스톤기(215)가 포함된다.
투약니들(211)은 사용자의 신체 내로 약제가 투약되도록 가이드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투약니들(211)의 일부분이 사용자의 피부를 찔러서 신체 내로 일부 인입되고, 투약니들(211)을 통해 약제실(213)내에 저장된 약제가 투약된다.
약제실(213)은 투약니들(211)의 상측에서 투약니들(211)과 연통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투약니들(211)을 통해 투약될 인슐린과 같은 약제가 저장된다.
피스톤기(215)는 약제실(213)의 상측에 위치하고, 약제실(213) 내에 저장된 약제가 투약니들(211)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내로 일정한 양만큼 투약되도록 투약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약제를 밀어준다.
투약량설정부는 투약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투약부에 의해 투약될 약제의 투약량을 설정받는다. 이러한 투약량설정부는 회전디스크, 발광기, 수광기, 엔코더기 및 고정디스크를 포함하며, 엔코더기를 통해 계수된 빛의 간격수를 투약제어부에 전달하여 투약제어부가 약제의 투약량을 계산한다.
원형의 회전디스크(220)에는 반사패턴(223)과 무반사패턴(221)이 패터닝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패턴(223)과 무반사패턴(221)이 교번하여 나타나되, 반사패턴(223)과 무반사패턴(221)의 폭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기(251)는 원형의 회전디스크(220)측으로 발광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회전디스크(220)의 표면에 패터닝된 반사패턴(223)과 무반사패턴(221) 측으로 빛을 조사한다. 반사패턴(223)에 조사된 빛이 반사를 일으키게되면 후술할 수광기로 빛이 유입된다.
수광기(251)는 발광기(251)로부터 발광되어 회전디스크(220)의 반사패턴(223)에 반사된 빛을 수광한다. 그리고, 후술할 엔코더기(240) 측으로 빛이 수광되었다는 신호를 전달한다.
엔코더기(240)는 약제의 투약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수광기(251)로 입사된 빛의 간격 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계수된 빛의 간격수가 투약제어부로 전달되어 투약제어부가 투약량을 계산하게 된다.
고정디스크(230)는 원형의 회전디스크(2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며, 발광기(251), 수광기(253) 및 엔코더기(240)가 고정디스크(230)에 장착된다. 고정디스크(230)는 장착된 발광기(251), 수광기(253) 및 엔코더기(240)를 지지한다.
투약제어부(미도시)는 투약량설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투약량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투약량만큼 투약부가 약제를 투약하도록 제어한다.
투약정보통신부(260)는 투약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투약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투약정보를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10 도 2참조)측으로 전달한다.
사용자는 투약디바이스(200)의 노브(270)를 회전시키면 앞서 설명한 회전디스크가 회전하게 되고, 이를 통해 투약제어부는 약제의 투여량을 설정받게된다.
여기서 사용자 또한 노브(270)를 돌리면서 설정되는 투여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약량표시창(280)이 투약디바이스(200)의 외면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투약디바이스(200)의 노브(270)를 회전시키면 투약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약제실(213) 내부의 약제가 설정된 양 만큼 사용자의 신체 내에 투약된다.
이러한 투약디바이스(200)은 필요에 따라 수회에서 수십회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하나 혹은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약제를 투약할 수 있으며, 이들 약제 각각은 각기 다른 투약디바이스(200)에 저장된다. 이처럼 다수종의 약제를 이용할 경우 투약디바이스(200) 또한 다수 구비될 수도 있다.
투약디바이스(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페어링된다. 그리고 투약디바이스(200)에 저장된 약제의 종류 또는 약제의 명칭이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10) 측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투약량과 투약시간 또한 투약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투약정보통신부를 통해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 전달된다.제1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제어부(110)는 투약디바이스(200) 측으로부터 전달되어온 투약정보에 따라 투약시점의 사용자 상태를 아침식사전, 점심식사전, 저녁식사전등 상태를 기록하고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사용자의 투약정보가 포함된 혈당량종합정보의 일부에 대한 예시적 형태를 다음의 표 3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일 시 약의 종류 투약량 (단위) 상태
2016.04.16.AM 12:00 노보래피드 6 점심식사전
종래에는 식사시간 동안 식사시작시간, 섭취되는 음식물의 종류, 음식물의 단위는 사용자가 직접 기록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에서는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식사시작시간, 섭취되는 음식물의 종류, 음식물의 양 등을 자동적으로 기록하고 관리를 할 수가 있다.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될 수 있는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통해 식사시작시각, 식사종료시각, 및 식사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안경 혹은 목걸이 형태의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촬영부(320), 촬영제어부(310), 영상정보통신부(340) 및 영상저장부(330)를 포함한다.
촬영부(320)는 사용자가 섭취하는 음식물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그리고 촬영제어부(310)는 촬영부(320)가 음식물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영상저장부(330)는 촬영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촬영부(320)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전달받아서 저장한다.
영상정보통신부(340)는 촬영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10) 측으로 음식물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서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시킨다.
이러한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될 수 있는 목걸이 형태 또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안면에 착용될 수 있는 안경의 형태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식사시작을 인식하면,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영상정보통신부(340)측으로 촬영시작신호를 송달한다. 촬영시작신호를 영상정보통신부(340)를 통해 전달받은 촬영제어부(310)는 촬영부(320)를 제어하여 음식물을 촬영한다.
촬영은 식사시간 동안 일정 주기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식사종료를 인식할 경우 기존 촬영된 영상정보 중 가장 최근의 영상정보를 영상저장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촬영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식사전 음식 영상과 식사후 음식 영상, 그리고 주기적으로 촬영된 식사영상 등과 같은 섭취영상이 포함된 영상정보가 영상저장부(330)에 저장되고, 통신부(340)을 통해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 전송된다.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부(110)는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식물에 관한 영상정보를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시키고, 이를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저장부(130)에 저장시킨다.
음식물에 관한 영상정보가 포함된 혈당량종합정보의 일부에 대한 예시적 형태를 다음의 표 4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일 시 섭취영상 상태 상세
2016.04.16.AM 12:00 160416lunch1.jpg 점심 점심식사전영상
2016.04.16.AM 12:05 160416lunch2.jpg 점심 점심식사중영상
2016.04.16.AM 12:10 160416lunch3.jpg 점심 점심식사중영상
2016.04.16.AM 12:15 160416lunch4.jpg 점심 점심식사중영상
2016.04.16.AM 12:20 160416lunch5.jpg 점심 점심식사후영상
이처럼,사용자의 혈당량이 측정되어 저장될 때 이에 연관되는 각종 정보들이 함께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되어 저장되므로, 사용자는 특별한 동작없이 단지 자가혈당측정과 투약을 수행하면 자동으로 혈당측정시각, 혈당측정치, 투약시간, 투약되는 약제의 종류, 투약량, 식사시간, 식사량을 계산하기 위한 식사 전후 음식사진, 혈당측정시 상태 등 당뇨병 환자가 기본적으로 기록해야 할 혈당량정보뿐만 아니라, 수면시간, 식사시간, 수면의 질, 음식섭취량, 약물투약량, 시간대별 움직임 정보 등 운동 정보를 망라하는 모든 정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혈당량관리의 능률성과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입력부(15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혈당량종합정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수정 또는 추가적인 사항 등을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아서 제어부(110)측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50)는 쿼티키보드와 같은 작은 크기의 키패드 또는 스크린 상의 터치패드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정보를 혈당량종합정보에 업데이트시켜서 저장부(130)에 저장시키게 된다.
출력부(160)는,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된 내용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목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밴드(13)을 통해 사용자의 손목 등에 안정적으로 착용되며, 디스플레이패널(161)을 통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혈당량종합정보의 내용을 인식할수 있도록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혈당량정보의 일부분이 전시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11월5일에 5시간 32분 가량 수면을 취하였으며, 수면상태는 뒤척임없이 숙면도 87%의 숙면을 취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도 2처럼 예시적으로 나타낸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의 혈당량종합정보의 내용을 전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장된 스피커또는 버저와 같은 소리 또는 진동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청각 또는 촉각적으로 혈당량종합정보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통신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혈당량종합정보를 외부기기 측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PC 또는 러닝머신과 같은 운동기구와 무선으로 혈당량종합정보 등과 같은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의 기기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신호 또는 정보를 통신부(170)가 수신하여 제어부(11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미도시)는 혈당측정부(120), 감지부(140), 저장부(130) 또는 제어부(11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이러한 전원공급부에는 태양전지가 포함된 것 또한 바람직하다. 또는 USB 충전식 배터리가 포함된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혈당메니지먼트 시스템은 당뇨병환자나 혈당량을 자가측정하고 관리하려는 사용자 등이 혈당량을 측정하면, 혈당량측정정보와 사용자의 생활패턴정보가 연계되어 혈당량종합정보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따른 혈당량의 증감정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나아가 혈당량 증감정도에 대한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되므로 혈당량종합정보의 신뢰성을 증진 및 사용자의 혈당량관리능률을 증진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의 혈당량 측정만으로도 측정시각, 사용자의 상태 등의 각종 정보가 연계되어 저장 또는 갱신되므로 사용자의 혈당관리의 편의성을 증진시켜주는 장점 또한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 제어부 120 : 혈당측정부
130 : 저장부 140 : 감지부
150 : 입력부 160 : 출력부
170 : 통신부
200: 투약디바이스 300 :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

Claims (21)

  1.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혈당량을 측정하며, 상기 혈당량을 토대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혈당량종합정보를 관리하는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소정의 약제를 투약하며, 상기 약제에 관한 투약정보를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 전송하는 투약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투약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투약정보를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반영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가 섭취하는 음식물에 관한 섭취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섭취정보를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 전달하는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섭취정보를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반영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혈당량을 측정하여 혈당량측정치를 획득하는 혈당측정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센싱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상기 혈당측정부에 의하여 획득된 상기 혈당량측정치가 포함된 혈당량측정정보 또는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획득된 상기 움직임센싱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혈당측정부 또는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며, 상기 혈당량측정치 또는 상기 움직임센싱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혈당량측정치가 측정된 혈당량측정시각을 상기 혈당량측정치에 연계시켜서 상기 혈당량측정정보를 생성시키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움직임센싱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생활패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혈당량측정정보 및 상기 생활패턴정보가 포함된 혈당량종합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시키되, 임의의 시각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서로 매칭될 수 있는 상기 혈당량측정정보 및 상기 생활패턴정보를 서로 연계시켜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패턴정보에는 생활패턴시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생활패턴시간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취침시각, 수면시간, 기상시각, 식사시작시각, 식사시간, 식사종료시각, 이동에 따른 움직임시작시각 및 이동에 따른 움직임종료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감지부는 자이로 또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내 건강상태에 관한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정보를 획득하는 심박펄스센서, 상기 사용자의 혈중산소농도를 측정하는 혈중산소농도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정보가 획득된 시각을 상기 생체정보에 연계시켜서 생활패턴생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활패턴생체정보는 상기 생활패턴정보에 포함되며,
    상기 생활패턴생체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거리, 이동속도, 걸음걸이 수, 시간대별 심박수, 단위시간 당 심박수, 혈중산소농도, 체온, 음식섭취량, 램수면시간, 숙면시간 및 약물투약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활패턴생체정보가 포함된 상기 생활패턴정보를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시키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수정 또는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제어부 측으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된 내용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혈당량종합정보를 외부기기 측으로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혈당측정부, 상기 감지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섭취하는 상기 음식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가 상기 음식물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촬영제어부;
    상기 촬영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부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전달받아서 저장하는 영상저장부; 및
    상기 촬영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 상기 영상정보를 전달하는 영상정보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혈당량종합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목에 착용될 수 있는 목걸이 형태 또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또는 안면에 착용될 수 있는 안경의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 디바이스는,
    상기 약제가 저장되고, 일정한 양만큼 사용자의 신체 내로 상기 약제를 투약시키는 투약부;
    상기 투약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투약부에 의해 투약될 약제의 투약량을 설정받는 투약량설정부;
    상기 투약량설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투약량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상기 투약량만큼 상기 투약부가 상기 약제를 투약하도록 제어하는 투약제어부; 및
    상기 투약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투약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투약정보를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 측으로 전달하는 투약정보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투약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투여된 상기 약제의 명칭, 상기 약제의 투약시간 및 상기 약제의 투여량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정보에는,
    상기 약제의 투여횟수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투약된 상기 약제의 누적량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 디바이스의 상기 투약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내로 상기 약제가 투약되도록 가이드하는 투약니들;
    상기 투약니들의 상측에서 상기 투약니들과 연통되게 결합되고, 상기 투약니들을 통해 투약될 상기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실; 및
    상기 약제실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약제실 내에 저장된 상기 약제가 상기 투약니들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내로 일정한 양만큼 투약되도록 상기 투약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약제를 밀어주는 피스톤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 디바이스의 상기 투약량설정부는,
    반사패턴과 무반사패턴이 패터닝된 원형의 회전디스크;
    상기 원형의 회전디스크 측으로 발광하는 발광기;
    상기 발광기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회전디스크의 상기 반사패턴에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기;
    상기 투약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상기 수광기로 입사된 빛의 간격 수를 계수하는 엔코더기; 및
    상기 원형의 회전디스크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체, 상기 수광체 및 상기 엔코더기가 장착되는 고정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엔코더기를 통해 계수된 상기 빛의 간격수가 상기 투약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투약제어부가 상기 투약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는 손목시계형태 또는 밴드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KR1020160116671A 2016-09-09 2016-09-09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KR101857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671A KR101857629B1 (ko) 2016-09-09 2016-09-09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671A KR101857629B1 (ko) 2016-09-09 2016-09-09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823A true KR20180028823A (ko) 2018-03-19
KR101857629B1 KR101857629B1 (ko) 2018-05-14

Family

ID=61911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671A KR101857629B1 (ko) 2016-09-09 2016-09-09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6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1838A1 (en) * 2019-08-29 2021-03-04 Medtronic Minimed, Inc. Prediction based delivering or guiding of therapy for diabetes
WO2021177747A1 (ko) * 2020-03-04 2021-09-10 이오플로우(주)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KR20220030107A (ko) * 2020-09-02 2022-03-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영상을 이용한 강인한 연속 혈당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22145744A1 (ko) * 2021-01-04 2022-07-07 (주)씨에스이엔엘 센싱 마스크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338B1 (ko) 2020-08-19 2021-12-29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606243B1 (ko) 2023-05-09 2023-11-29 주식회사 글로벌희연 응급상황 대응약물이 내장된 웨어러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379B1 (ko) * 2015-08-03 2016-03-07 (주) 비비비 당뇨병 환자를 위한 혈당 관리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1838A1 (en) * 2019-08-29 2021-03-04 Medtronic Minimed, Inc. Prediction based delivering or guiding of therapy for diabetes
CN114286696A (zh) * 2019-08-29 2022-04-05 美敦力迷你迈德公司 针对糖尿病的疗法的基于预测的递送或引导
US11551812B2 (en) 2019-08-29 2023-01-10 Medtronic Minimed, Inc. Prediction based delivering or guiding of therapy for diabetes
US11710562B2 (en) 2019-08-29 2023-07-25 Medtronic Minimed, Inc. Gesture-based control of diabetes therapy
WO2021177747A1 (ko) * 2020-03-04 2021-09-10 이오플로우(주) 약액 제어 주입 디바이스
KR20220030107A (ko) * 2020-09-02 2022-03-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영상을 이용한 강인한 연속 혈당 측정 방법 및 장치
US11967114B2 (en) 2020-09-02 2024-04-23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obust continuous blood sugar using skin image
WO2022145744A1 (ko) * 2021-01-04 2022-07-07 (주)씨에스이엔엘 센싱 마스크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629B1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629B1 (ko)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KR101933912B1 (ko) 혈당량관리 네트워크시스템
US11628251B2 (en) Activity mode for artificial pancreas system
US11511039B2 (en) Insulin delivery methods, systems and devices
JP6175049B2 (ja) 患者の長期薬剤投与計画の最適化システム
CN107073207A (zh) 连续葡萄糖监测注射装置
US20120143021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al detection for interfacing with and controlling auxiliary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JP2009183692A (ja) 時刻同期式血中グルコースシステム
US20220409805A1 (en) Time management for time-dependent therapy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JP2009183692A5 (ko)
US20220211944A1 (e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trend-enabled dose calculator
CN115039183A (zh) 将胰岛素治疗系统的治疗参数转换为用于不同胰岛素治疗系统的转换的治疗参数
JP2014038489A (ja) 処方情報管理装置、処方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処方情報管理装置の制御方法
DK2888684T3 (en) INSULIN PUMP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INSULIN PUMP
US20210313037A1 (en) Early exercise detection for diabetes management
US11439754B1 (en) Optimizing embedded formulations for drug delivery
US20230248909A1 (en) Techniques for determining medication correction factors in automatic medication delivery systems
CA3145377C (en) Automatic drug delivery system for delivery of a glp-1 therapeutic
US20210361865A1 (en) Intelligent drug delivery system
US20210260284A1 (en) Intelligent drug delivery system
KR20180089146A (ko) 운동부하량제공기
CA3217836A1 (en) Intelligent drug delivery system
WO2023014787A1 (en) Intelligent drug delivery system
JP6117497B2 (ja) 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生体情報管理方法
TWM394097U (en) Health care wrist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