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243B1 - 응급상황 대응약물이 내장된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응급상황 대응약물이 내장된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243B1
KR102606243B1 KR1020230059536A KR20230059536A KR102606243B1 KR 102606243 B1 KR102606243 B1 KR 102606243B1 KR 1020230059536 A KR1020230059536 A KR 1020230059536A KR 20230059536 A KR20230059536 A KR 20230059536A KR 102606243 B1 KR102606243 B1 KR 102606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user
bezel
lever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벌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벌희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벌희연
Priority to KR1020230059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61M2005/172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the body parameters being measured at, or proximate to, the infusion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베젤개구부(311)가 형성된 베젤(310); 상기 베젤개구부(311)에 삽입되어 상측으로 노출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프론트플레이트(320);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20)가 조립되는 어퍼케이스(350);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20) 및 어퍼케이스(3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20)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표시 장치(160); 상기 표시 장치(160) 및 어퍼케이스(3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장치(16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197); 상기 어퍼케이스(350)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로어개구부(391)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케이스(350)에 조립되는 로어케이스(390); 상기 어퍼케이스(350) 및 로어케이스(39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케이스(350)의 저면에 밀착되는 배터리(189); 상기 배터리(189) 및 로어케이스(390) 사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360)과, 상기 로어개구부(391)에 삽입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176); 상기 로어케이스(390) 또는 베젤(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모듈(176)에서 감지된 혈당 수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피부에 직접 약액을 투여할 수 있는 긴급투여어셈블리(400);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긴급투여어셈블리를 통해 응급상황에서 약액을 직접 투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응급상황 대응약물이 내장된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with built-in emergency response medication}
본 발명은 응급상황에서 약액을 투여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다양한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측정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앱(App)'이라고도 한다)들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와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안경 등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메모 작성, 알림, 일정 관리, 생체정보 수집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5762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5762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5762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232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1164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11646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여 각종 질환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혈당 수치가 저혈당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 후 위급상태에서 약액을 직접 투여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베젤개구부(311)가 형성된 베젤(310); 상기 베젤개구부(311)에 삽입되어 상측으로 노출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프론트플레이트(320);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20)가 조립되는 어퍼케이스(350);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20) 및 어퍼케이스(3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20)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표시 장치(160); 상기 표시 장치(160) 및 어퍼케이스(3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장치(16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197); 상기 어퍼케이스(350)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로어개구부(391)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케이스(350)에 조립되는 로어케이스(390); 상기 어퍼케이스(350) 및 로어케이스(39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케이스(350)의 저면에 밀착되는 배터리(189); 상기 배터리(189) 및 로어케이스(390) 사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360)과, 상기 로어개구부(391)에 삽입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176); 상기 로어케이스(390) 또는 베젤(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모듈(176)에서 감지된 혈당 수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피부에 직접 약액을 투여할 수 있는 긴급투여어셈블리(400);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긴급투여어셈블리(400)는,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케이스(39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탄성플레이트(410); 상기 탄성플레이트(410) 하측면에 결합된 약액탱크(420); 상기 약액탱크(4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니들(430); 상기 탄성플레이트(410)를 관통하게 조립되고, 상기 약액탱크(420)와 상태 이동되게 배치된 조작레버(440); 상기 조작레버(440)의 단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310)에 노출되며, 상기 베젤(310)과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작버튼(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케이스(390)는, 저면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로어언더월(392); 상기 로어언더월(39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모듈(176)의 일부를 하측으로 노출시키는 로어개구부(391); 상기 로어언더월(392)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어퍼케이스(350) 또는 베젤(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조립되는 로어사이드월(394); 상기 니들(430)이 관통되는 니들개구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플레이트(410)는, 상기 로어케이스(39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제1 탄성부(411); 상기 제1 탄성부(411)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로어케이스(390)의 상측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제2 탄성부(412); 상기 제2 탄성부(41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레버관통홀(415);을 포함g할 수 있다.
상기 조작레버(440)는, 상기 레버관통홀(415)에 삽입되어 결합된 레버수직부(441); 상기 레버수직부(441)의 상단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레버수평부(442);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수평부(442)의 외측단에 상기 조작버튼(450)이 조립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긴급투여어셈블리를 통해 응급상황에서 약액을 직접 투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저혈당 확인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당의 섭취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긴급투여어셈블리를 통해 약액을 피하 주사를 통해 투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조작버튼이 로어케이스에 지지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니들의 삽입깊이를 제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니들이 니들커버에 삽입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조작버튼의 조작을 통해 약액탱크에 직접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조작버튼의 이동 후, 조작후크가 로어케이스에 상호 걸림되기 때문에, 니들이 지속적으로 돌출되게 하여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오작동방지모듈을 통해 조작레버를 지지하기 때문에, 저혈당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버튼에 조작력을 가하여도 니들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스마트워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긴급투여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투여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투여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 게임 콘솔,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스마트워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스마트워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워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마트워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스마트워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스마트워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스마트워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스마트워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스마트워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스마트워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스마트워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스마트워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스마트워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스마트워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스마트워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스마트워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스마트워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스마트워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스마트워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스마트워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스마트워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워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스마트워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스마트워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스마트워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예, 전자 장치(101 또는 102))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센서 모듈(176), 통신 모듈(190) 및 출력 장치(2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장치(210)는 음향 출력장치(155), 표시 장치(160), 및 햅틱 모듈(17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센서 모듈(176)을 통해 생체 신호를 측정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에 의해 측정된 생체 정보를 통신 모듈(19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전반적인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에 기반하여 저혈당증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저혈당증과 관련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운동, 비 활동(sedentary), 수면, 식사 또는 음주 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건강 기록(health record)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건강 기록은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의료 기관)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록은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체중, 질환 정보(예, 당뇨 유무 또는 저혈당 발생 빈도), 복약 정보, 인종, 가족력, 알레르기 유무 또는 가족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전자 장치(200)의 주변 환경과 관련된 정보로써, GPS 정보, 온도 또는 습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장치(160)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에 대한 알림이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의 형태로 출력되도록 상기 표시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모듈(176)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온도 센서, 또는 생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센서는 비침습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접촉(또는 근접)됨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생체 신호를 통해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광혈류(photoplethysmography: PPG), 임피던스 혈량(impedance plethysmography), 체온, 혈당,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 혈압, 심장 박동수(heart rate: HR) 또는 땀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센서 모듈(176)을 통해 감지된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상기 센서 모듈(176)로부터 측정된 움직임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운동 중인지, 비 활동 상태인지, 수면 중인지, 또는 식사 중인지 등 다양한 상황에서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에 따른 적정 혈당 수치, 혈당 변화 방향 또는 혈당 변화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운동, 비 활동, 수면, 또는 식사 중인 상태에서의 혈당 수치가 적정 혈당 수치 미만이거나, 혈당 변화 방향이 감소를 나타내거나 또는 혈당 변화 속도가 지정된 값 이상임에 따라, 저혈당증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평소에 정상 혈당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급격한 운동으로 인해 혈중포도당 농도가 낮아져 일시적인 저혈당증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저혈당증이 발병한 경험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종료한 이후에 저혈당증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지 예측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저혈당증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예, 이미지 데이터 또는 진동 데이터)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운동을 중단하고 혈당을 측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수면 중인 상태에서 극도로 낮은(extreme low) 혈당 수치를 보이는 야간 저혈당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움직임 상태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야간 저혈당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건강 정보에 기반하여 야간 저혈당증 발생이 예상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특정 시간(예, 오전 2~3시)에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알람(예, 진동 데이터)을 출력하거나 자동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저혈당 발생 상태에 따른 측정 주기를 설정하여 혈당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혈당 발생 상태는, 미 발생 상태, 저혈당 초기 상태, 저혈당 예측 상태, 저혈당 확인 상태 또는 회복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미 발생 상태는 저혈당이 이전에 발생되지 않은 사용자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제1 주기(예, 일주일) 마다 혈당을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저혈당 초기 상태는 평소 혈당 수치보다는 낮은 사용자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예, 5분) 마다 혈당을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저혈당 예측 상태는 이전에 측정된 혈당 정보에 기반하여, 혈당 수치의 감소 속도가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저혈당증 발생이 예측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상기 저혈당증 발생의 예측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하고, 제2 주기보다도 짧은 제3 주기(예, 1분) 마다 혈당을 측정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혈당 변화를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저혈당 확인 상태는 사용자의 혈당수치가 저혈당증에 해당하는 값 미만으로 측정되어 사용자에게 저혈당증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일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제3 주기보다 짧은 제4 주기(예, 30초) 마다 혈당을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저혈당 예측 상태 또는 저혈당 확인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에게 가장 신속히 혈당을 흡수할 수 있는 당질(예, 콜라, 오렌지 주스, 우유, 각설탕 등)의 섭취를 권유하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연락처, 또는 의료 기관으로 사용자의 저혈당증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거나 비상 통화를 발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회복 상태는 이전에 사용자에게 저혈당증이 발생된 이력이 있으나, 일정 기간 동안 정상적인 혈당 수치로 측정되는 상태일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대한 이전의 저혈당증 발생 이력을 확인함에 따라, 제1 주기보다는 짧은 제2 주기보다는 긴 제5 주기(예, 24시간) 마다 혈당을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에서는 다양한 판단 조건에 기반하여 저혈당 발생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저혈당 발생 상태에 따른 혈당 측정 주기를 설정하고 저혈당 예측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표 1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저혈당 발생 상태에 대해 미리 설정된 혈당 측정 주기 및 저혈당 예측 알림의 출력 설정에 관한 것이다.
상태 구분
상태 판단 조건 측정 주기 알림 출력 설정
비 발생 상태 움직임 정보(예,트레드밀(treadmill) 동작,걷기(walking),달리기(running),하이킹(hiking) 등) 발생 판단
생체 신호(예, 혈당, 심박, 땀 량, 체온,혈압) 정상으로 확인
5분 - 알림 없음
저혈당 예측 상태 - 혈당 수치가 100 mg/dl 미만의 값으로 측정
- 혈당 수치가 1분에 1mg/dl 이상 감소
- 생체 신호의 변화 확인
1분 - 포도당 섭취 권장 (15g의 당질)
- 저혈당 발생 가능성 및 발생 예정시간 정보 알림
저혈당 발생 상태 - 혈당 수치가 70mg/dl 이하의 값으로 측정
- 생체신호의 변화 확인
30초 - 포도당 섭취 권장 (15g 당질)
- 지정된 연락처 및 의료 기관으로 생체 신호 정보 및 혈당 정보 전송
회복 상태 - 지정된 시간(예, 30분) 동안 혈당 수치가 70 mg/dl 이상의 값으로 측정 5분 - 알림 없음- 저혈당 예측 알림 출력중지
- 지정된 연락처로 저혈당 예측 알림 출력 중지됨을 통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저혈당증 예측 또는 저혈당증 발생의 내용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 출력 장치(15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에 대한 알림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 출력 장치(155)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20)는 생체 정보 예측에 대한 중요도에 따라 음색 또는 음량을 설정하여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179)은 진동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저혈당증 예측 또는 저혈당증 발생을 알리기 위해 진동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햅틱 모듈(179)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에 대한 알림에 대한 진동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햅틱 모듈(179)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20)는 생체 정보 예측에 대한 중요도에 따라 진동 주기 또는 진동 세기를 설정하여 진동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90)은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혈당 수치가 일정 시간 이내에 지정된 값 이하로 측정됨이 예측되는 경우, 상기 예측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 모듈(19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연락처는 미리 지정된 특정 사용자의 연락처 또는 의료 기관의 연락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메시지가 전송된 후 지정된 시간 이내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 혈당 수치가 지정된 값 이하로 측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저혈당증에 대한 자가 조치를 취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구조 기관의 연락 번호(예, 119)로 긴급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190)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센서 모듈(176), 출력 장치(210)(예, 표시 장치(160)); 상기 센서 모듈(176) 및 상기 출력 장치(21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120) 및 상기 프로세서(12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130)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센서모듈(176)을 통해 제1 주기마다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 수치를 확인하고, 상기 혈당 수치의 감소 변화량이 지정된 제1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출력 장치(210)를 통해 저혈당증 예측 알림을 출력하고, 상기 알림이 출력된 후 확인된 혈당 수치가 지정된 제2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주기보다 작은 제2 주기마다 혈당 수치를 측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2 주기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에 기반하여 저혈당증의 발생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저혈당증의 발생을 알리는 제1 알림을 상기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2 주기마다 상기 제1 알림을 상기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혈당 수치의 감소 변화량에 대응하는 제3 주기 마다 상기 제1 알림을 상기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통신 모듈(1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비상 통화를 발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출력 장치(210)는 햅틱 모듈(179) 또는 음향 출력 장치(15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혈당증 예측 알림에 포함되는 데이터 종류는, 상기 햅틱 모듈(179)을 통해 출력되는 진동 데이터, 상기 음향 출력 장치(155)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 상기 표시 장치(160)를 통해 출력되는 텍스트, 또는 상기 표시 장치(160)를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센서 모듈(176)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수면 중인 상태임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면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1 주기마다 측정된 혈당 수치의 감소 속도가 지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기상을 유도하는 상기 음성 데이터 또는 상기 진동 데이터를 상기 출력 장치(210)(예, 햅틱 모듈(179))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센서 모듈(176)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기상 상태임을 확인하면, 포도당 섭취를 유도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저혈당증 예측 알림을 상기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저혈당증 예측 알림을 출력한 이후 지정된 시간 이내에 미리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저혈당증 예측 알림을 상기 출력 장치(21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101)는,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베젤개구부(311)가 형성된 베젤(310)과, 상기 베젤개구부(311)에 삽입되어 상측으로 노출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프론트플레이트(320)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20)가 조립되는 어퍼케이스(350)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20) 및 어퍼케이스(3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20)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표시 장치(160)와, 상기 표시 장치(160) 및 어퍼케이스(3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장치(16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197)와, 상기 어퍼케이스(350)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로어개구부(391)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케이스(350)에 조립되는 로어케이스(390)와, 상기 어퍼케이스(350) 및 로어케이스(39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케이스(350)의 저면에 밀착되는 배터리(189)와, 상기 배터리(189) 및 로어케이스(390) 사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360)과, 상기 로어개구부(391)에 삽입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176)과, 상기 로어케이스(390) 또는 베젤(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모듈(176)에서 감지된 혈당 수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피부에 직접 약액(예 : 글루카곤)을 투여할 수 있는 긴급투여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1920년대에 킴볼(Kimball)과 멀린(Murlin)은 이자추출물을 연구했고 그 결과 고혈당(hyperglycemia)을 야기하는 물질을 발견했다. 이것이 글루카곤이다. 그 후 글루카곤의 아미노산 서열은 1950년대에 밝혀졌다. 체내에서 하는 기능과 관련된 질병은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밝혀졌다.
글루카곤은 이자에 있는 내분비선 조직인 랑게르한섬(langerhans)에 있는 알파세포(α-cells)에서 만들어지고 분비된다. 혈당량이 낮을 때 분비되서 혈당량을 높이는 기능을 하여 혈당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작동기작은 다음과 같다. 간세포(hepatocyte)에 있는 글루카곤 수용체(glucagon receptor)와 결합하여 간세포로 하여금 저장해둔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해서 혈액으로 분비하게 한다.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과정을 글리코겐분해(glycogenolysis)라고 한다. 저장해둔 글리코겐이 바닥나면, 글루카곤은 간으로 하여금 글루코네오제네시스(gluconeogenesis)를 통해 포도당을 만들게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포도당도 마찬가지로 혈액으로 분비된다. 이 두 과정을 통해 글루카곤은 간에서 포도당을 분비하게 하고, 저혈당을 막는다. 글루카곤과 마찬가지로 이자에서 분비되는 인슐린(insulin)과 반대 작용을 하며, 인슐린과 함께 혈당량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요소 생산과 혈중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s), 케토산(ketoacids)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스마트워치(101)는 상기 베젤(31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스트랩(370)과, 상기 베젤(310)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 스트랩(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투여어셈블리(400)는 상기 프로세서(120)에서 판단된 상술한 저혈당 확인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긴급투여어셈블리(400)는,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케이스(39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탄성플레이트(410)와, 상기 탄성플레이트(410) 하측면에 결합된 약액탱크(420)와, 상기 약액탱크(4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니들(430)과, 상기 탄성플레이트(410)를 관통하게 조립되고, 상기 약액탱크(420)와 상태 이동되게 배치된 조작레버(440)와, 상기 조작레버(440)의 단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310)에 노출되며, 상기 베젤(310)과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작버튼(450)을 포함한다.
상기 베젤(310)의 우측면에 제1 입력버튼(312) 및 제2 입력버튼(313)이 배치되고, 상기 조작버튼(450)는 상기 제1 입력버튼(312) 및 제2 입력버튼(313)의 반대편인 좌측면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조작버튼(450)이 의도치 않게 작동되어 니들(43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제1 입력버튼(312) 및 제2 입력버튼(313)이 사용자의 손등 쪽을 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접근성이 양호하고, 상기 조작버튼(450)는 사용자의 팔꿈치 쪽을 향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작동시켜야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버튼(45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버튼(450)과 연결된 조작레버(440)가 상기 약액탱크(4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더불어 상기 약액(예: 글루카곤)을 상기 니들(430)로 압축하고, 상기 니들(430)이 사용자의 피부로 주사 한다.
상기 탄성플레이트(4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60), 센서 모듈(176) 또는 로어케이스(39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플레이트(410)는 상기 로어케이스(39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제1 탄성부(411)와, 상기 제1 탄성부(411)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로어케이스(390)의 상측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제2 탄성부(4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탄성부(412)가 상기 제1 탄성부(411)에 대해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고, 제2 탄성부(412)의 끝단(413)이 외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휨변형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로어케이스(390)는, 스마트워치(101)의 저면을 형성하는 로어언더월(392)과, 상기 로어언더월(39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모듈(176)의 일부를 하측으로 노출시키는 로어개구부(391)와, 상기 로어언더월(392)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어퍼케이스(350) 또는 베젤(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조립되는 로어사이드월(394)과, 상기 니들(430)이 관통되는 니들개구부(39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언더월(392)의 상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하측면 중 일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니들개구부(395)가 형성된 부분의 하측면은 중심측이 낮고 반경방향 외측이 높은 경사면(396)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어케이스(390)는 상기 로어언더월(392)의 상측면 또는 로어사이드월(394)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케이스지지부(39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탄성부(412)가 하측으로 휨변경될 경우, 상기 제2 탄성부(412)의 끝단(413)이 상기 케이스지지부(393)에 지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2 탄성부(412)의 휨변경이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니들개구부(395)를 통해 상기 약액탱크(4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니들개구부(395)에 니들커버(460)이 더 배치되고, 상기 니들커버(460)에 상기 니들(430)이 끼워지며, 상기 로어언더월(392)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니들커버(460)는 약액과 반응성이 낮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약액탱크(420)의 내부에 약액이 저장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약액은 글루카곤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다양한 약물이 저장될 수 있다. 인슐린의 경우 고혈당 확인 상태에서 투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저혈당 및 고혈당에 모두 대응하기 위해 2개의 약액탱크 및 2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약액탱크(420)는 상기 제2 탄성부(412)의 저면에 결합된다.
상기 니들(430)은 상기 약액탱크(420)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약액이 상기 니들(43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약액을 토출시키는 힘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통해 구현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전자기적인 힘 또는 기계적인 힘을 통해 자동으로 상기 약액이 분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니들(430)은 상기 약액탱크(4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니들(430)은 3개가 배치되고,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제1 니들(431), 제2 니들(432) 및 제 3 니들(433)이라 한다.
상기 제1 니들(431), 제2 니들(432) 및 제 3 니들(433)의 하단이 상기 니들커버(460)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니들(431), 제2 니들(432) 및 제 3 니들(433)는 상기 로어언더월(392)의 경사면(396)에 대응된다. 그래서 상기 제1 니들(431)이 가장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3 니들(433)이 가장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니들(432)이 그 중간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약액탱크(420)가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니들(431), 제2 니들(432) 및 제 3 니들(433)이 상기 니들커버(46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약액탱크(420)의 상부가 개구되고, 상기 조작레버(440)가 상기 약액탱크(420)의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약액을 가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탄성부(41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레버관통홀(415)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관통홀(415)의 하측에 상기 약액탱크(420)가 배치된다.
상기 레버관통홀(415)은 상기 로어개구부(39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이로 인해 상기 조작버튼(450)과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조작레버(440)는 상기 레버관통홀(415)에 삽입되어 결합된 레버수직부(441)와, 상기 레버수직부(441)의 상단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레버수평부(442)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수평부(442)는 상기 로어개구부(39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버수직부(441)의 하단이 상기 약액탱크(420)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상기 레버수직부(441)가 상기 로어사이드월(394)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되고, 제1 높이(H1)를 형성한다.
상기 조작버튼(450)이 상기 레버수평부(442)의 외측단에 결합된다. 상기 조작버튼(450)이 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로어사이드월(394)의 상단에 지지되어 작동거리가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탄성부(412)의 끝단(413)과 상기 케이스지지부(393) 사이에 제2 높이(H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높이(H2)가 상기 제1 높이(H1) 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제2 높이(H2)는 상기 제2 탄성부(412)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는 높이다. 상기 조작버튼(450)이 하측으로 제2 높이(H2)만큼 이동된 후, 제2 탄성부(412)가 상기 케이스지지부(393)에 지지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긴급투여어셈블리(4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세서(120)의 판단에 따라 저혈당 확인 상태인 경우, 표시 장치(160)에 사용자에게 가장 신속히 혈당을 흡수할 수 있는 당질(예, 콜라, 오렌지 주스, 우유, 각설탕 등)의 섭취를 권유하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이동이 어렵거나 당질의 섭취가 용이하지 않은 상황일 경우, 상기 조작버튼(45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약액을 직접 투여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조작버튼(450)이 베젤(3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 높이(H2)까지는 조작레버(440) 및 제2 탄성부(412)가 함께 이동되고, 상기 제2 높이(H2)를 초과할 경우 상기 끝단(413)이 상기 케이스지지부(393)에 지지되어 상기 제2 탄성부(412)의 이동이 멈춘다.
이후 상기 조작버튼(450)이 계속 이동되어 상기 로어사이드월(394)의 상단에 정지될 때까지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조작버튼(45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니들(430)이 니들커버(460)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과 함께, 상기 레버수직부(441)의 하단이 상기 레버관통홀(415)을 관통하여 약액탱크(420) 내부로 이동되어 약액을 니들(430)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레버수직부(441)의 이동 및 약액의 가압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약액탱크(420)의 이동이 멈춘 후에 상기 레버수직부(441)가 상기 약액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는 상기 니들커버(460)를 관통하여 돌출된 니들(430)을 통해 약액이 사용자의 피부로 직접 삽입되어 주사된다.
상기 조작버튼(450)이 상기 로어사이드월(394)의 상단에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니들(430)이 과도하게 사용자의 피부로 삽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투여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긴급투여어셈블리(400)는 상기 일실시예와 달리 하측으로 이동된 조작레버(440) 및 및 로어케이스(390)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일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약액의 투입이 완료될 때까지 조작버튼(450)을 누르고 있어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 다른 긴급투여어셈블리(400)는 조작레버(440)에 조작후크(448)가 더 배치되고, 상기 로어사이드월(394)의 내측면(394a)에 사이드걸림부(398)이 더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후크(448)는 레버수평부(442)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작후크(448)는 상기 케이스지지부(393)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조작후크(448)는 레버수평부(442)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후크연장부(448a)와, 상기 후크연장부(448a)에서 로어사이드월(394) 측으로 돌출되어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후크부(448b)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걸림부(398)는 상기 로어사이드월(394)의 내측면에서 상기 레버수직부(441)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사이드걸림부(398)는 상기 조작후크(448)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평하게 형성된 걸림면(398a)과, 상기 걸림면(398a) 및 로어사이드월(394) 내측면(394a) 및 걸림면(398a)을 연결하는 걸림부경사면(398b)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448b)가 하강될 때, 상기 걸림부경사면(398b)이 조작후크(448)를 안내한다.
상기 후크부(448b)의 상측면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면(398a)이 상하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이후 사용자가 조작버튼(450)에서 조작력을 제거하여도 상기 조작후크(448) 및 사이드걸림부(398)이 상호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약액이 주입될 동안 상기 니들(430)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투여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긴급투여어셈블리(400)는 오작동방지모듈(470)이 더 배치된다. 상기 오작동방지모듈(470)은 의도치 않게 상기 조작버튼(450)이 가압되어도 상기 조작버튼(450) 또는 조작레버(440)를 지지하여 약액탱크(420)가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니들(430)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오작동방지모듈(470)은 상기 로어케이스(390)에 배치된 오작동방지모터(472)와, 상기 오작동방지모터(472)에 조립되어 소정각도 회전되고, 상기 조작레버(440)의 하단을 지지하는 서포트바(474)를 포함한다.
상기 오작동방지모터(472)는 상기 케이스지지부(393)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사이드월(394)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서포트바(474)는 하측이 상기 오작동방지모터(472)에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레버수평부(442)의 저면을 지지한다. 초기상태에서 상기 서포트바(474)가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오작동방지모듈(470)에 의해 상기 레버수평부(442)가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조작버튼(45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도 상기 조작버튼(450)이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저혈당 확인 상태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오작동방지모터(472)를 제어하여 상기 서포트바(474)를 적어도 45도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조작레버(440)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작동방지모듈(470)은 상기 일실시예 또는 다른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고, 나머지 구성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 스마트워치 120 : 프로세서
160 : 표시 장치 176 : 센서 모듈
189 : 배터리 197 : 안테나 모듈
310 : 베젤 320 : 프론트플레이트
350 : 어퍼케이스 360 : 인쇄회로기판
390 : 로어케이스 400 : 인슐리어셈블리
410 : 탄성플레이트 420 : 약액탱크
430 : 니들 440 : 조작레버
450 : 조작버튼 470 : 오작동방지모듈

Claims (5)

  1.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베젤개구부(311)가 형성된 베젤(310);
    상기 베젤개구부(311)에 삽입되어 상측으로 노출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프론트플레이트(320);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20)가 조립되는 어퍼케이스(350);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20) 및 어퍼케이스(3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20)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표시 장치(160);
    상기 표시 장치(160) 및 어퍼케이스(3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장치(16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197);
    상기 어퍼케이스(350)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로어개구부(391)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케이스(350)에 조립되는 로어케이스(390);
    상기 어퍼케이스(350) 및 로어케이스(39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케이스(350)의 저면에 밀착되는 배터리(189);
    상기 배터리(189) 및 로어케이스(390) 사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360)과, 상기 로어개구부(391)에 삽입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176);
    상기 로어케이스(390) 또는 베젤(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모듈(176)에서 감지된 혈당 수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피부에 직접 약액을 투여할 수 있는 긴급투여어셈블리(400);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투여어셈블리(400)는,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케이스(39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탄성플레이트(410);
    상기 탄성플레이트(410) 하측면에 결합된 약액탱크(420);
    상기 약액탱크(4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니들(430);
    상기 탄성플레이트(410)를 관통하게 조립되고, 상기 약액탱크(420)와 상태 이동되게 배치된 조작레버(440);
    상기 조작레버(440)의 단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310)에 노출되며, 상기 베젤(310)과 상대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작버튼(450);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케이스(390)는,
    저면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로어언더월(392);
    상기 로어언더월(39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모듈(176)의 일부를 하측으로 노출시키는 로어개구부(391);
    상기 로어언더월(392)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어퍼케이스(350) 또는 베젤(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조립되는 로어사이드월(394);
    상기 니들(430)이 관통되는 니들개구부(395);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플레이트(410)는,
    상기 로어케이스(39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제1 탄성부(411);
    상기 제1 탄성부(411)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로어케이스(390)의 상측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제2 탄성부(412);
    상기 제2 탄성부(41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레버관통홀(415);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440)는,
    상기 레버관통홀(415)에 삽입되어 결합된 레버수직부(441);
    상기 레버수직부(441)의 상단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레버수평부(442);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수평부(442)의 외측단에 상기 조작버튼(450)이 조립된 웨어러블 장치.
KR1020230059536A 2023-05-09 2023-05-09 응급상황 대응약물이 내장된 웨어러블 장치 KR102606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536A KR102606243B1 (ko) 2023-05-09 2023-05-09 응급상황 대응약물이 내장된 웨어러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536A KR102606243B1 (ko) 2023-05-09 2023-05-09 응급상황 대응약물이 내장된 웨어러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243B1 true KR102606243B1 (ko) 2023-11-29

Family

ID=8896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536A KR102606243B1 (ko) 2023-05-09 2023-05-09 응급상황 대응약물이 내장된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2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646A (ko) 2016-07-25 2018-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내 물질 추정 장치 및 방법, 단위 스펙트럼 획득 장치 및 웨어러블 기기
KR101857629B1 (ko) 2016-09-09 2018-05-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KR20200110860A (ko) * 2019-03-18 2020-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23279B1 (ko) 2014-07-08 2021-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US10967119B1 (en) * 2019-04-01 2021-04-06 Azizi Bilal Wearable medication injecting device
US11197625B1 (en) * 2017-11-16 2021-12-14 Verily Life Sciences Llc Apparatus for automated glucose tolerance test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279B1 (ko) 2014-07-08 2021-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80011646A (ko) 2016-07-25 2018-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내 물질 추정 장치 및 방법, 단위 스펙트럼 획득 장치 및 웨어러블 기기
KR101857629B1 (ko) 2016-09-09 2018-05-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US11197625B1 (en) * 2017-11-16 2021-12-14 Verily Life Sciences Llc Apparatus for automated glucose tolerance testing
KR20200110860A (ko) * 2019-03-18 2020-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0967119B1 (en) * 2019-04-01 2021-04-06 Azizi Bilal Wearable medication injec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07955A1 (en) Method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EP3210137B1 (en) User interfaces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EP3443446B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orce sensor
KR102398716B1 (ko) 생체 정보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575272B1 (ko) 유전 정보에 기반하여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202002972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notifica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by electronic device
EP4252646A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93683B1 (ko)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330973A1 (en) Device for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102492279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180090507A (ko) 생체 정보 인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CN110192383A (zh)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KR102365678B1 (ko) 외부 장치를 이용한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883172B2 (en)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health information on basis of plurality of biosignal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80103376A (ko) 복수의 인증 수단들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90097878A (ko) 생체 정보에 기반한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38301B2 (en) Controlling medication delivery system operation and features based on automatically detected muscular movements
KR20180089088A (ko) 전자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연동된 생체 센서의 제어 방법
KR20170045584A (ko) 건강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606243B1 (ko) 응급상황 대응약물이 내장된 웨어러블 장치
JP2024503604A (ja) グラフィック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薬剤送達システム
KR10255522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3054912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생체 정보 알림 방법
KR102628512B1 (ko) 전자 장치
US20230032033A1 (en) Adaptation of medicament delivery in response to user stress lo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