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814A -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814A
KR20180027814A KR1020160114944A KR20160114944A KR20180027814A KR 20180027814 A KR20180027814 A KR 20180027814A KR 1020160114944 A KR1020160114944 A KR 1020160114944A KR 20160114944 A KR20160114944 A KR 20160114944A KR 20180027814 A KR20180027814 A KR 20180027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cale
pair
upper structure
adjacent u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368B1 (ko
Inventor
유재석
Original Assignee
한국씨엠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씨엠이엔지(주) filed Critical 한국씨엠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160114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36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25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elongated objects, e.g. pipes, masts, towers or railw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에 설치된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눈금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눈금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눈금판부와; 종단이 상기 눈금의 특정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나머지 일방에 설치되는 지시침과;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눈금판부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눈금판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소정의 설계신축량산출식에 반영하여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의 이론적 신축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측정된 신축량을 평가할 기준신축량을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에 설치되어 교량 상부구조의 신축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차량 등의 하중을 1차적으로 받는 상부구조와, 상부구조가 받은 하중을 기초지반으로 전달하는 하부구조(교대, 교각 등)와, 상부구조에서 받은 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해주는 받침장치(Bearing, 도1의 205 참조)을 갖고 있다.
상부구조는 콘크리트에 포함된 건조수축, 크리프(Creep)현상, 지점(支點)에서의 회전변위 등에 따라 신축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신축변형을 고려하여 상부구조는 복수의 경간으로 분할하여 불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상부구조의 불연속구간에서 발생하는 차량의 주행성 확보문제와 낙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상부구조의 불연속 구간에는 신축이음장치(도1의 203 참조)가 설치된다.
상부구조는 콘크리트, 강재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구조라는 용어는 난간(도1의 210 참조)과 연석(도2의 206 참조)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상부구조(202)의 분할구간 중 인접하는 한 쌍의 분할구간을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도1의 202a 참조)이라고 한다.
상부구조의 신축변형 중 상부구조에 포함된 건조수축과 크리프(Creep)현상에 따른 신축 변형량은 교량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작아진다.
상부구조의 신축변형 중 지점(支點)에서의 회전변위에 따른 신축변형량은 상부구조의 각 분할구간의 길이와 상부구조의 중립축과 지지점과의 높이차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상부구조의 신축변형 중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변형량은 온도변화량(ΔT), 상부구조의 각 분할구간의 선팽창계수(α) 및 상부구조의 각 분할구간의 길이(ℓ)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변형량은 교량 전체의 신축량의 적어도 50% 이상을 차지한다.
한편 교량 상부구조의 신축은 교량의 안전에 치명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부구조의 신축량을 수시로 측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4 및 도15는 각각 종래의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가 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202a)에 나누어 설치되는 눈금판부(110) 및 지시침(121)을 갖고 있다.
눈금판부(110)에는 눈금(111)이 표시되어 있다.
눈금판부(110)는 눈금(111)이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인접상부구조구간(202a)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다. 눈금판부(110)의 설치는 자신이 설치된 인접상부구조구간(202a)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지시침(121)은 종단에 첨부(121a)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지시침(121)은 첨부(121a)가 눈금(111)의 특정위치에 정렬된 상태에서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인접상부구조구간(202a) 중 나머지 일방에 설치된다. 눈금(111)의 특정위치는 영점(零點) 등이 될 수 있다.
지시침(121)의 설치는 자신이 설치된 인접상부구조구간(202a)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에 따르면 지시침(121)의 첨부(121a)가 가리키는 눈금(111)을 보고 상부구조(202)의 신축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에 따르면, 측정된 신축량을 평가할 기준신축량이 없기 때문에 상부구조(202)의 측정신축량을 가지고 측정 현장에서 바로 교량의 신축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상부구조의 측정신축량을 가지고 측정 현장에서 바로 교량의 신축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게 되면, 측정 현장을 떠난 후 교량의 안전진단을 위해 현장을 다시 방문해야 하고 이에 따라 교량의 안전진단절차가 지연된다는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20-0265797호(등록일자: 2002년 2월 9일, 발명의 명칭 : 도로 구조물 및 교량의 안전진단용 측정시스템)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된 신축량을 평가할 기준신축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눈금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눈금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눈금판부와; 종단이 상기 눈금의 특정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나머지 일방에 설치되는 지시침과;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눈금판부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눈금판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소정의 설계신축량산출식에 반영하여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의 이론적 신축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또는 상호 직선상으로 정렬되도록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에 나누어 설치되고 일방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난간노출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난간가로바를 구비한 난간을 갖는 교량에 설치된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눈금판노출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눈금판노출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눈금판노출장공이 상기 난간노출장공에 정렬되고 상기 눈금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난간가로바 중 상기 난간노출장공이 형성된 난간가로바에 설치되는 눈금판부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난간가로바의 내부로 진입하고 일측 종단이 상기 눈금의 특정위치에 정렬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난간가로바 중 상기 난간노출장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난간가로바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시부재와;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눈금판부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눈금판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소정의 설계신축량산출식에 반영하여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의 이론적 신축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또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눈금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눈금판부와;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나머지 일방에 설치되는 지시침지지체와; 종단이 상기 눈금의 특정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시침지지체에 결합된 지시침과;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지시침지지체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지시침지지체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소정의 설계신축량산출식에 반영하여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의 이론적 신축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실제 신축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의 특정위치에 정렬되는 지시부재의 종단이 채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부에 표시된 이론적 산출량이 경험칙에 따른 예상값을 벗어나는 경우 표시부에 표시된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장치 고장여부(제어부의 이론적 산출량의 산출동작과 표시동작상 에러가 없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어느 일방에 온도센서를 설치하는 한편,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소정의 설계신축량산출식에 반영하여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의 이론적 신축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표시부에 표시된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기준신축량으로 삼아 상부구조의 측정신축량을 가지고 측정 현장에서 바로 교량의 신축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1, 도2,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가 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의 눈금판부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의 지시침과 지시침지지체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의 제어블럭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가 연석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의 눈금판부를 도시한 도면,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가 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의 눈금판부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의 지시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4 및 도15는 각각 종래의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가 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도2,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가 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의 눈금판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의 지시침과 지시침지지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210)에 설치된 눈금판부(10) 및 지시침지지체(22)와, 지시침지지체(22)에 결합된 지시침(21)과, 인접상부구조구간(202a)에 설치된 온도센서(52)와, 지시침지지체(22)에 설치된 표시부(53, 54) 및 제어부(55)와, 표시부(53, 54)와 제어부(55)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1)를 갖고 있다.
난간(210)은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와, 한 쌍의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를 연결하는 연결관(212)과,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를 연석(206)에 대하여 지지하는 난간세로바(213)를 갖고 있다.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는 상호 직선상으로 정렬되도록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202a)에 나누어 설치되어 있다.
눈금판부(10)에는 눈금(11)이 표시되어 있고,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 중 일방에 설치된다.
눈금판부(10)의 설치는 눈금(11)이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자신이 설치된 난간가로바(21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지시침지지체(22)는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 중 나머지 일방에 설치된다.
지시침지지체(22)의 설치는 자신이 설치된 난간가로바(21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지시침(21)은 종단이 눈금(11)의 특정위치에 정렬되고,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지시침지지체(22)에 결합된다.
눈금(11)의 특정위치는 영점(零點) 등이 될 수 있다.
지시침(21)의 결합은 지시침(21)의 종단에 나사탭을 형성하고 지시침지지체(22)에 나사홈을 형성하는 방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센서(52)는 도선(52a)을 통해 제어부(55)에 연결되어 있다.
온도센서(52)는 인접상부구조구간(202a)의 그늘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53, 54)는 이론신축량표시부(54)와 실측온도표시부(53)로 분할되어 있다.
표시부(53, 54)는 액정화면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55)는 온도센서(52)의 측정값을 소정의 설계신축량산출식에 반영하여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202a)의 이론적 신축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이론신축량표시부(54)에 표시한다.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은 상한값과 하한값을 갖는 형태로 이론신축량표시부(54)에 표시될 수 있다.
소정의 설계신축량산출식은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변형량을 구하는 일반적인 식(ΔT×α×ℓ, ΔT: 온도변화량, α: 상부구조의 각 분할구간의 선팽창계수, ℓ: 상부구조의 각 분할구간의 길이)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여유량을 부가한 식((ΔT× α×ℓ)±β, β : 여유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신축량산출식은 제어부(55)의 연결된 메모리에 업데이트하는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5)는 온도센서(52)의 측정값을 실측온도표시부(53)에 표시한다.
전원공급부(51)는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셀을 지시침지지체(22)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구현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지시침(21)이 가리키는 눈금(11)을 보고 상부구조(202)의 신축량을 확인한다.
한편 제어부(55)는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이론신축량표시부(54)에 표시하고, 온도센서(52)의 측정값을 실측온도표시부(53)에 표시한다.
작업자는 이론신축량표시부(54)에 표시된 이론적 산출량과 지시침(21)을 통해 확인한 상부구조(202)의 측정신축량을 비교하여 현장에서 바로 교량의 신축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이론적 산출량과 측정신축량의 차이의 절대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측정신축량이 표시부에 표시된 이론적 산출량의 범위 내에 포함된 경우 등에는 교량의 신축상태가 정상인 것을 판단할 수 있음).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를 난간(210)에 설치하고 있으나,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석(206)에 설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표시부(53, 54) 및 제어부(55)를 지시침지지체(22)에 설치하고 있으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 및 제어부를 눈금(11")이 표시된 눈금판부(10")에 설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표시부(53, 54)를 이론신축량표시부(54)와 실측온도표시부(53)로 분할하고 있으나, 표시부를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시침(21)과 지시침지지체(22)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침과 지시침지지체를 생략하고 난간(210)의 일부를 지시침 대신으로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가 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의 눈금판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의 지시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는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를 구비한 난간(210)을 갖는 교량에 적용할 수 있다.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는 상호 직선상으로 정렬되도록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202a)에 나누어 설치되고, 일방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난간노출장공(2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는 난간세로바(213)를 통해 연석(206)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 중 난간노출장공(211a)이 형성된 난간가로바에 설치되는 눈금판부(10')와,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 중 난간노출장공(211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난간가로바에 결합된 지시부재(21')와,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202a)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와, 눈금판부(10')에 설치된 표시부(53, 54) 및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와, 표시부(53, 54)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1)를 갖고 있다.
눈금판부(10')에는 눈금판노출장공(12')이 형성되어 있고, 눈금판노출장공(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11')이 표시되어 있다.
눈금판부(10')의 설치는 눈금판노출장공(12')이 난간노출장공(211a)에 정렬되고, 눈금(11')이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자신이 설치된 난간가로바(21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지시부재(21')는 양단이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의 내부로 진입하고 일측 종단이 눈금(11')의 특정위치에 정렬되도록 설치된다.
눈금(11')의 특정위치는 영점(零點)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지시부재(21')는 나머지 일단이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 중 난간노출장공(211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난간가로바에 고정 결합된다.
지시부재(21')는 봉이나 관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눈금(11')의 특정위치에 정렬되는 종단이 채색(彩色)되어 있다.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도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표시부(53, 54)는 이론신축량표시부(54)와 실측온도표시부(53)로 분할되어 있다.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의 측정값을 소정의 설계신축량산출식에 반영하여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202a)의 이론적 신축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이론신축량표시부(54)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실측온도표시부(53)에 표시한다.
전원공급부(51)는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셀을 눈금판부(10')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구현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태양전지셀을 사용하여 전원공급부(51)를 구현하고 있으나, 상용전원 또는 배터리 등을 사용하여 전원공급부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202a) 중 어느 일방에 온도센서(52)를 설치하는 한편, 온도센서(52)의 측정값을 소정의 설계신축량산출식에 반영하여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202a)의 이론적 신축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표시부(53, 54)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표시부(53, 54)에 표시된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기준신축량으로 삼아 상부구조(202)의 측정신축량을 가지고 측정 현장에서 바로 교량의 신축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측정 현장에서 바로 교량의 신축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면, 교량의 신축상태를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측정 현장에서 바로 교량의 안전진단절차(받침장치의 거동이 구속되어 있는 지 여부, 거더의 신축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있는 지 여부, 상부구조에 손상된 부분이 있는 지 여부 등)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론적 산출량과 측정신축량의 차이에 기초하여 해당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203)의 용량(이론적 산출량에 기초하여 선택됨)이 적정한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신축이음장치(203)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해당 교량의 신축이음장치(203)의 교체작업을 실시하고 신축이음장치의 용량이 과한 경우에는 다른 신축 교량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의 용량을 다시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난간가로바(211)를 연결하는 부분 즉 지시부재(21')를 지시침 대신 사용함으로써, 장치구조가 간단해지고 측정신축량을 가리키는 부분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눈금(11)의 특정위치에 정렬되는 지시부재(21')의 종단을 채색함으로써, 실제 신축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온도센서(52)의 측정값을 표시부(53)에 표시함으로써, 표시부(54)에 표시된 이론적 산출량이 경험칙에 따른 예상값을 벗어나는 경우 표시부(53)에 표시된 온도센서(52)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장치 고장여부(제어부의 이론적 산출량의 산출동작과 표시동작상 에러가 없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10, 10', 10", 110 : 눈금판부
11, 11', 11", 111 : 눈금 21, 121 : 지시침
21' : 지시부재 22 : 지시침지지체
51 : 전원공급부 52 : 온도센서
53 : 실측온도표시부 54 : 이론신축량표시부
55 : 제어부 202 : 상부구조
202a : 인접상부구조구간 206 : 연석
210 : 난간

Claims (6)

  1. 교량에 설치된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눈금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눈금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눈금판부와;
    종단이 상기 눈금의 특정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나머지 일방에 설치되는 지시침과;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눈금판부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눈금판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소정의 설계신축량산출식에 반영하여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의 이론적 신축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2. 상호 직선상으로 정렬되도록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에 나누어 설치되고 일방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난간노출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난간가로바를 구비한 난간을 갖는 교량에 설치된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눈금판노출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눈금판노출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눈금판노출장공이 상기 난간노출장공에 정렬되고 상기 눈금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난간가로바 중 상기 난간노출장공이 형성된 난간가로바에 설치되는 눈금판부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난간가로바의 내부로 진입하고 일측 종단이 상기 눈금의 특정위치에 정렬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난간가로바 중 상기 난간노출장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난간가로바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시부재와;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눈금판부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눈금판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소정의 설계신축량산출식에 반영하여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의 이론적 신축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재는 상기 눈금의 특정위치에 정렬되는 종단이 채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5. 교량에 설치된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눈금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눈금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눈금판부와;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나머지 일방에 설치되는 지시침지지체와;
    종단이 상기 눈금의 특정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시침지지체에 결합된 지시침과;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지시침지지체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지시침지지체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소정의 설계신축량산출식에 반영하여 상기 한 쌍의 인접상부구조구간의 이론적 신축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론적 산출량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KR1020160114944A 2016-09-07 2016-09-07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KR101867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944A KR101867368B1 (ko) 2016-09-07 2016-09-07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944A KR101867368B1 (ko) 2016-09-07 2016-09-07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814A true KR20180027814A (ko) 2018-03-15
KR101867368B1 KR101867368B1 (ko) 2018-06-15

Family

ID=6165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944A KR101867368B1 (ko) 2016-09-07 2016-09-07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0693A (zh) * 2023-11-24 2023-12-26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基于IoT智慧感知的伸缩缝装置实时服役性能评估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135B1 (ko) * 2018-10-16 2019-06-13 유명희 안전 진단을 위한 구조물 교량 받침 최대 이동량 측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816A (ko) * 2002-01-02 2003-07-07 주식회사 광국실업 교량 신축 계측장치
KR101522194B1 (ko) * 2015-03-26 2015-05-28 한국시설기술단(주) 교량의 상부 구조물 변위 측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77B1 (ko) * 2004-12-09 2005-04-06 (주)대한이엔씨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100922380B1 (ko) * 2008-04-02 2009-10-19 서울메트로 레일 신축길이 측정장치
KR200451212Y1 (ko) * 2009-06-30 2010-12-02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신축이음관 변위량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816A (ko) * 2002-01-02 2003-07-07 주식회사 광국실업 교량 신축 계측장치
KR101522194B1 (ko) * 2015-03-26 2015-05-28 한국시설기술단(주) 교량의 상부 구조물 변위 측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0693A (zh) * 2023-11-24 2023-12-26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基于IoT智慧感知的伸缩缝装置实时服役性能评估方法
CN117290693B (zh) * 2023-11-24 2024-02-20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基于IoT智慧感知的伸缩缝装置实时服役性能评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368B1 (ko)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g et al. A bridge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prestressed composite box-girder bridges with corrugated steel webs based on in-situ loading experiments and a long-term monitoring database
JP6839960B2 (ja) 支承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モニタリング方法
KR101041332B1 (ko) 변형률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변위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변위측정장치
CN104567641B (zh) 一种中小跨径桥梁挠度测量装置
KR101867368B1 (ko) 교량용 신축량 측정장치
CN104132630A (zh) 一种大跨度桥梁用长期挠度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111561175B (zh) 一种预应力托换静力切割拔柱施工工艺
CN206646412U (zh) 一种桥梁施工监控系统
CN105423880B (zh) 一种悬挂主缆测量桥梁挠度的方法
CN105334014B (zh) 一种测试桥梁挠度的可调节式悬索方法
CN108387453A (zh) 一种建筑围护构件抗垂直荷载性能的检测系统及方法
KR100879601B1 (ko)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토목 구조물의 변형 측정 장치 및 그방법
CN106403858B (zh) 一种超高空大悬挑钢平台端部挠度监测方法
CN112095484A (zh) 全桥单幅顶升监测系统
CN116657922A (zh) 一种机库钢结构拼装施工工艺
Beltempo et 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the Colle Isarco viaduct
Burdet Automatic deflection and temperature monitoring of a balanced cantilever concrete bridge
De Battista et al. Monitoring the axial displacement of a high-ris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using embedded distributed fibre optic sensors
CN213579995U (zh) 一种主梁挠度监测装置
de Battista et al. Distributed fibre optic sensor system to measure the progressive axial shortening of a high-rise building during construction
KR100565848B1 (ko) 교량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안전진단장치
CN104458567A (zh) 一种预应力筋局部偏差摩擦系数的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205317387U (zh) 用于监测桁式组合拱桥的车辆荷载横向分布效应的装置
RU2533343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прогибов балок
CN118392250A (zh) 一种a字形独塔斜拉桥空间施工监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