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591A -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591A
KR20180026591A KR1020160112970A KR20160112970A KR20180026591A KR 20180026591 A KR20180026591 A KR 20180026591A KR 1020160112970 A KR1020160112970 A KR 1020160112970A KR 20160112970 A KR20160112970 A KR 20160112970A KR 20180026591 A KR20180026591 A KR 20180026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room
control system
user
environme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리
장혜경
문경숙
최성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터디온에어
최성웅
문경숙
장혜경
황영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터디온에어, 최성웅, 문경숙, 장혜경, 황영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터디온에어
Priority to KR102016011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591A/ko
Publication of KR2018002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05B37/021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30Artificial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자서 공부할 수 있는 좁은 공간의 환경 조건을 입실한 사용자의 독서룸 내에서의 습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의 독서룸 정보를 추출하고, 독서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독서룸의 온도 측정값, 습도측정값을 제공받아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된 온도값, 습도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값을 기반으로 온도조절장치(7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한편, 제공받은 가스농도 측정값과 기준 가스농도값을 비교하여 높은 경우 공조장치(800)를 제어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100); 및 환경 제어 시스템(100)의 측정값 요청 신호에 응하여 독서룸 내의 온도, 습도,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환경 제어 시스템(100)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값, 습도값을 환경 제어 시스템(100)에 제공하며, 주기적으로 독서룸 내의 온도, 습도, 가스농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환경 제어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는 룸 환경 감지장치(200)을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로 하여금 학습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Reading room environment control system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혼자서 공부할 수 있는 좁은 공간의 환경 조건을 입실한 사용자의 독서룸 내에서의 습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실이라 하면 좁은 공간에 칸막이 책상을 나란히 연결시켜 사람들이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 공부나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독서실의 경우 전체 공간에 대해서 동일한 온도로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독서실에 있는 사람들 중 에어컨에 가까이 있는 사람은 춥고, 멀리 있는 사람은 더울 수 있으며, 에어컨 또는 히터와의 거리에 따라 그 격차가 크기 때문에 독서실 내의 많은 사람들이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공부를 할 경우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독서실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한 공간에 있기 때문에 호흡으로 인해 좁은 공간 내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렇게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산소의 농도는 낮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집중력이 떨어지고 졸리워 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377900 호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혼자서 공부할 수 있는 좁은 공간의 환경 조건을 입실한 사용자의 독서룸 내에서의 습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조명의 밝기를 원하는 밝기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명 밝기 설정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 분리하여 사용자가 조정하기 이전에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석 시간을 체크하여, 일정 시간마다 일어나서 간단한 운동이나 움직여 줄 수 있도록 알람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서룸 내에 입실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측정된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독서룸 내의 환경조건을 재설정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서룸을 간단하게 조립하게 해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의 독서룸 정보를 추출하고, 독서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독서룸의 온도 측정값, 습도측정값을 제공받아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된 온도값, 습도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값을 기반으로 온도조절장치(7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한편, 제공받은 가스농도 측정값과 기준 가스농도값을 비교하여 높은 경우 공조장치(800)를 제어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100); 및 환경 제어 시스템(100)의 측정값 요청 신호에 응하여 독서룸 내의 온도, 습도,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환경 제어 시스템(100)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값, 습도값을 환경 제어 시스템(100)에 제공하며, 주기적으로 독서룸 내의 온도, 습도, 가스농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환경 제어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는 룸 환경 감지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조명제어메뉴를 제공하고, 조명제어메뉴를 통해 조명(500)의 밝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조명(500)의 밝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조명(500)의 밝기 정도 조절이 완료되면 조명 밝기 설정신호를 출력하는 작동장치(300); 및 작동장치(300)의 조명 밝기 설정신호에 응하여 점등된 조명(500)의 밝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조명 제어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룸 환경 감지장치(200)는, 의자에 마련된 압력감지부(250)를 통해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환경 제어 시스템(100)으로 제공하고, 환경 제어 시스템(100)은, 룸 환경 감지장치(200)의 착석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착석 유지 시간을 산출하고 미리 설정된 착석 시간보다 긴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600)로 알람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환경 제어 시스템(100)은, 독서룸 내에서의 사용자 습성정보를 수집하고, 기간별, 시간별로 분류하며 사용자의 습성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독서룸 내의 환경 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독서룸 내의 의자에 열감지부(260)를 마련하고, 열감지부(260)를 통해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독서룸 내의 온도조절장치(7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독서룸은 조립식이며, 골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이 상호 끼움 형태로 결합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혼자서 공부할 수 있는 좁은 공간의 환경 조건을 입실한 사용자의 독서룸 내에서의 습성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학습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조명의 밝기를 원하는 밝기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명 밝기 설정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 분리하여 사용자가 조정하기 이전에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장 편안하게 느끼는 밝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석 시간을 체크하여, 일정 시간마다 일어나서 간단한 운동이나 움직여 줄 수 있도록 알람을 해줌으로써,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생길 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서룸 내에 입실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측정된 체온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독서룸 내의 환경조건을 재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서룸을 간단하게 조립하게 해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룸 환경 감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독서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룸 환경 감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독서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지능 기반의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의 독서룸 정보를 추출하고, 독서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독서룸의 온도 측정값, 습도측정값을 제공받아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된 온도값, 습도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값을 기반으로 온도조절장치(7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한편, 제공받은 가스농도 측정값과 기준 가스농도값을 비교하여 높은 경우 공조장치(800)를 제어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100)과, 환경 제어 시스템(100)의 측정값 요청 신호에 응하여 독서룸 내의 온도, 습도,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환경 제어 시스템(100)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값, 습도값을 환경 제어 시스템(100)에 제공하며, 주기적으로 독서룸 내의 온도, 습도, 가스농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환경 제어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는 룸 환경 감지장치(200)와, 조명제어메뉴를 제공하고, 조명제어메뉴를 통해 조명(500)의 밝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조명(500)의 밝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조명(500)의 밝기 정도 조절이 완료되면 조명 밝기 설정신호를 출력하는 작동장치(300)와, 작동장치(300)의 조명 밝기 설정신호에 응하여 점등된 조명(500)의 밝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조명 제어장치(400)로 이루어진다.
룸 환경 감지장치(200)는 의자에 마련된 압력감지부(250)를 통해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환경 제어 시스템(100)으로 제공하고, 환경 제어 시스템(100)은, 룸 환경 감지장치(200)의 착석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착석 유지 시간을 산출하고 미리 설정된 착석 시간보다 긴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600)로 알람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룸 환경 감지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룸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독서룸 내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측정값을 출력하는 온도 감지부(210)와, 독서룸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독서룸 내의 습도를 측정하여 습도 측정값을 출력하는 습도 감지부(220)와, 독서룸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독서룸 내의 가스농도를 측정하여 가스농도 측정값을 출력하는 가스농도 감지부(230)와, 온도 측정값, 습도 측정값, 가스농도 측정값, 착석 감지신호, 체온 측정값을 입력받아 독서룸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환경 제어 시스템(100)으로 송출하는 컨트롤러(240)와, 독서룸 내의 의자에 마련되며, 착석여부를 감지하여 착석 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컨트롤러(240)로 출력하는 압력 감지부(250)와, 독서룸 내의 의자에 마련되며, 착석시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체온 측정값을 컨트롤러(240)로 출력하는 열 감지부(260)로 이루어진다.
환경 제어 시스템(100)은 독서룸 내에서의 사용자 습성정보를 수집하고, 기간별, 시간별로 분류하며 사용자의 습성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독서룸 내의 환경 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독서룸 내의 의자에 열감지부(260)를 마련하고, 열감지부(260)를 통해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환경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독서룸 내의 온도조절장치(7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한다.
이때, 독서룸은 조립식이며, 골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프레임(1000)들이 상호 끼움 형태로 결합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된다.
즉 프레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0)은 "ㄷ"자 형상을 이루며 재질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외측으로 보이는 단면에 홈(1100)을 형성하고 있는 보강재(1200)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프레임(1000)의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보강재(1200)의 재질은 나무이며, 보강재(1200)는 보강재(1200)의 일부가 프레임(10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임(1000)에 결합된다.
그리고 홈(1100)에는 면을 이루는 일정 두께의 강화유리(1300)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체크장치(900)에 손가락이나 사용자 식별정보가 저장된 매체를 접촉시켜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인식시키면, 출입체크장치(900)는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여 출입문을 개방시킨다.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출입체크장치(900)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환경 제어 시스템(100)으로 송출시킨다.
환경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독서룸 정보를 읽어들이고, 독서룸 정보를 기반으로 독서룸 내의 룸 환경 감지장치(200)를 통해 독서룸 내의 현재 환경 감지 정보를 제공(S110)받는다.
환경 제어 시스템(100)은 제공받은 독서룸 내의 환경정보를 저장된 독서룸 환경정보와 비교하여 환경조건을 조절해야 하는지를 판단(S120)한다.
S120 단계의 판단 결과, 환경조건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 환경 제어 시스템(100)은 저장된 독서룸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환경 조절 신호를 생성하고, 환경 조절 신호를 환경 조절 신호를 생성하고, 환경 조절 신호를 온도조절장치(700) 및 공조장치(800)로 송출(S130)되도록 한다.
그러면 온도조절장치(700) 및 공조장치(800)는 환경 조절 신호에 응하여 작동한다. 이때 환경 제어 시스템(100)은 환경 감지 장치(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제어하여 독서룸 내의 현재 환경정보를 제공받고, 저장된 독서룸 내의 환경정보를 제공받아 독서룸 내의 현재 환경정보와 기저장된 독서룸 내의 환경정보를 비교(S140)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S150)하고 일치하는 경우 온도조절장치(700) 및 공조장치(800)의 작동상태가 중단되도록 제어(S160)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환경 제어 시스템
200 : 룸 환경 감지장치
300 : 작동장치
400 : 조명 제어장치
500 : 조명
600 : 사용자 단말장치
700 : 온도 조절장치
800 : 공조장치
900 : 출입체크부
950 : 통신망

Claims (6)

  1.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의 독서룸 정보를 추출하고, 독서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독서룸의 온도 측정값, 습도측정값을 제공받아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된 온도값, 습도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값을 기반으로 온도조절장치(7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한편, 제공받은 가스농도 측정값과 기준 가스농도값을 비교하여 높은 경우 공조장치(800)를 제어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100); 및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100)의 측정값 요청 신호에 응하여 독서룸 내의 온도, 습도,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100)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온도값, 습도값을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100)에 제공하며, 주기적으로 독서룸 내의 온도, 습도, 가스농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환경 제어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는 룸 환경 감지장치(200);
    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조명제어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조명제어메뉴를 통해 조명(500)의 밝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명(500)의 밝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명(500)의 밝기 정도 조절이 완료되면 조명 밝기 설정신호를 출력하는 작동장치(300); 및
    상기 작동장치(300)의 조명 밝기 설정신호에 응하여 점등된 조명(500)의 밝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조명 제어장치(400)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룸 환경 감지장치(200)는, 의자에 마련된 압력감지부(250)를 통해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100)으로 제공하고,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룸 환경 감지장치(200)의 착석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착석 유지 시간을 산출하고 미리 설정된 착석 시간보다 긴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600)로 알람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100)은, 독서룸 내에서의 사용자 습성정보를 수집하고, 기간별, 시간별로 분류하며 사용자의 습성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독서룸 내의 환경 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룸 내의 의자에 열감지부(260)를 마련하고, 상기 열감지부(260)를 통해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독서룸 내의 온도조절장치(7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룸은 조립식이며, 골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프레임들이 상호 끼움 형태로 결합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
KR1020160112970A 2016-09-02 2016-09-02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 KR20180026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70A KR20180026591A (ko) 2016-09-02 2016-09-02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70A KR20180026591A (ko) 2016-09-02 2016-09-02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591A true KR20180026591A (ko) 2018-03-13

Family

ID=6166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970A KR20180026591A (ko) 2016-09-02 2016-09-02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5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8454A (zh) * 2018-07-12 2018-12-18 华北理工大学 一种图书馆馆内恒温自净装置
KR102020306B1 (ko) 2018-09-19 2019-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1059716A (zh) * 2019-12-30 2020-04-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调整空调参数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8454A (zh) * 2018-07-12 2018-12-18 华北理工大学 一种图书馆馆内恒温自净装置
KR102020306B1 (ko) 2018-09-19 2019-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1059716A (zh) * 2019-12-30 2020-04-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调整空调参数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sma et al. Machine learning method for real-time non-invasive prediction of individual thermal preference in transient conditions
JP6111499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指示装置
US991543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regulating an environmental variable within a target zone having multiple inhabitants
JP6837199B2 (ja) 覚醒誘導装置及び覚醒誘導システム
CN204650264U (zh) 智慧浴室系统及浴室镜
JP2005172288A (ja) 空気調和装置の制御システム
CN107084795A (zh) 人体热源识别方法、装置及具有该装置的设备
US99097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an environmental variable within a target zone having multiple inhabitants
US201602586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automatically regulating an environmental variable within a target zone
KR20180026591A (ko)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룸 환경 제어 시스템
EP2985540B1 (en) Air environment regulating system, and controlling device
KR102210505B1 (ko) 무선 복합센서 모듈
CN110822616A (zh) 空调自动调节方法及装置
JP2007323526A (ja) 環境制御システム及び入力装置
JP2012251731A (ja) 空調システム
US11280510B2 (en) Climate controller that determines occupancy status from barometric data
KR101206522B1 (ko) 상황인지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H09105545A (ja) 空調装置
JP2022146524A (ja) 空調制御システム
JP2518099B2 (ja) 換気装置
JPH06147600A (ja) 室内環境測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2033817B1 (ko) 인체 열용량을 이용한 공조장치 및 그 공조장치의 공기조화방법
JP2713532B2 (ja) 空気調和機
JP2005249441A (ja) 生活アドバイスシステム
WO2019126470A1 (en) Non-invasive detection of infant bilirubin levels in a smart hom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