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054A - 차온을 이용한 펌프의 유량 연산 방법 - Google Patents

차온을 이용한 펌프의 유량 연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054A
KR20180026054A KR1020160112963A KR20160112963A KR20180026054A KR 20180026054 A KR20180026054 A KR 20180026054A KR 1020160112963 A KR1020160112963 A KR 1020160112963A KR 20160112963 A KR20160112963 A KR 20160112963A KR 20180026054 A KR20180026054 A KR 20180026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fluid
pressure
efficienc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빈
전인
김대희
송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Priority to KR1020160112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054A/ko
Publication of KR20180026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1/00Testing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2Motor parameters of rotating electric motors
    • F04B2203/0201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2Motor parameters of rotating electric motors
    • F04B2203/0202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5/00Fluid parameters
    • F04B2205/07Pressure difference over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5/00Fluid parameters
    • F04B2205/09Flow through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5/00Fluid parameters
    • F04B2205/10Inle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5/00Fluid parameters
    • F04B2205/11Outlet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에 있어서, 흡입배관과 토출배관의 온도차이, 압력차이 그리고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파악하여 열역학적 펌프 효율 측정방법과 수력학적 펌프 효율 측정방법을 조합한 연산식을 이용하여 펌프가 공급하는 유량을 연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량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펌프가 공급하는 유량을 연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펌프가 최고회전수로 작동하건 혹은 인버터 제어를 받아 회전수 제어되건 상관없이 펌프가 공급하는 유량을 연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펌프의 흡입배관과 토출배관에 각각 압력센서와 온도센서를 장착하고,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전력계를 장착한다. 측정 요소로 흡입배관과 토출배관의 온도차이, 압력차이 그리고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며, 이를 열역학적 효율 측정방법과 수력학적 효율 측정방법으로 도출한 식에 대입함으로써 펌프가 공급하는 유량을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유량계가 없어도 펌프가 공급하는 유량을 연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불필요한 유량 및 양정을 즉각적으로 모니터링 하며, 이를 펌프의 제어를 위한 정보로 활용함으로써 펌프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온을 이용한 펌프의 유량 연산 방법{Flow rate calculation method using different temperature at pump}
본 발명은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에 있어서, 펌프가 공급하는 유량을 펌프 전후단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연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배관과 토출배관의 온도차이, 압력차이 그리고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파악하여 열역학적 펌프 효율 측정방법과 수력학적 펌프 효율 측정방법을 조합한 연산식을 이용하여 펌프가 공급하는 유량을 연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펌프가 공급하는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유량계를 토출배관에 설치하는 것이다. 하지만, 유량계는 가격이 고가인데다 유지 및 보수하는데 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펌프를 실제로 사용하는 현장에서는 유량계를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펌프가 공급하는 유체의 양은, 펌프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이지만 유량계를 사용하지 않고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곤란하기 때문에 이전까지는 토출배관의 압력만으로 펌프를 제어한다.
펌프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은, 수력학적 측정방법과 열역학적 측정방법이 있다. 수력학적 측정방법은 전통적인 방법으로써, 펌프에 공급하는 전력과 펌프가 한 일의 비율을 바탕으로 펌프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 요소는 전력, 압력, 유량이다. 열역학적 측정방법은 새로이 사용되는 방법으로써, 펌프에 의해 손실된 열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펌프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 요소는 전력, 압력 그리고 흡입배관과 토출배관의 온도 차이이다.
열역학적 효율 측정 방법은, 유량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운용되고 있는 펌프도 손쉽게 효율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현재는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열역학적 효율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효율과 수력학적 효율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효율이 상당히 일치하고 있어서, 현재는 열역학적 측정 방법을 많이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량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펌프가 공급하는 유량을 연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펌프가 최고회전수로 작동하건 혹은 인버터 제어를 받아 회전수 제어되건 상관없이 펌프가 공급하는 유량을 연산할 수 있어야 한다.
유량계를 사용하지 않고 펌프가 공급하는 유량을 알아내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펌프의 흡입배관과 토출배관에 각각 압력센서와 온도센서를 장착하고,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전력계를 장착한다. 측정 요소로 흡입배관과 토출배관의 온도차이, 압력차이 그리고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며, 이를 열역학적 효율 측정방법과 수력학적 효율 측정방법으로 도출한 식에 대입함으로써 펌프가 공급하는 유량을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유량계가 없어도 펌프가 공급하는 유량을 연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불필요한 유량 및 양정을 즉각적으로 모니터링 하며, 이를 펌프의 제어를 위한 정보로 활용함으로써 펌프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펌프가 받는 일과 하는 일.
도 2. 펌프가 받는 일과 하는 일 그리고 전동기의 전력.
도 3. 전동기의 전력과 펌프가 하는 일.
도 4. 본 발명의 개략도.
도 5. 본 발명을 통해 구한 온도차이에 대한 유량.
도 6. 본 발명의 흐름도.
본 발명은, 펌프(10)의 효율을 측정하는 열역학적 방법과 수력학적 방법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먼저 열역학적 펌프 효율 측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펌프가 받는 일과 하는 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에서 펌프(10)의 효율은 다음의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η은 열역학적으로 측정한 펌프(10)의 효율, Wi는 펌프(10)가 공급받은 에너지, Wo는 펌프(10)가 한 일의 양, Losses는 펌프(10)가 손실한 에너지, dT는 펌프(10) 전후단의 온도 차이, Cp는 유체의 비열, Q는 유량, g는 중력가속도, H는 양정이다. 전양정 H는 압력으로 환산이 가능하다. 상기 수학식 1에서 유량 Q는 서로 상쇄되어, 최종적으로는 dT, Cp, g, H만 알면 펌프(10)의 열역학적 효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Cp와 g는 상수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dT와 H만 알면 효율(η열)을 알 수 있다.
도 2는 펌프가 받는 일과 하는 일 그리고 전동기의 전력이다. 상기의 수학식 1에서 dT는 도시한 바의 To와 Ti의 차이이고, H는 도시한 바의 Ho와 Hi의 차이이다. 여기서, Ho와 Hi는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환산이 가능한데, 양정(H)과 압력(p) 사이의 관계는 다음의 수학식 2로 환산이 가능하다.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po와 pi는 각각 토출배관(31)과 흡입배관(21)의 압력이고, ρ는 유체의 밀도 그리고 g는 중력가속도이다. 즉, 상기 수학식 2를 통해 펌프(10) 전, 후단의 압력을 측정하면 H를 알 수 있다.
한편, 펌프(10)의 효율을 수력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의 수학식 3을 이용한다.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 3에서 γ는 유체의 비중, Q는 유량, Wi는 펌프(10)가 공급받은 에너지, Pm은 전동기(11)의 전력 그리고 ηm은 전동기(11)의 효율이다. 즉, 수력학적으로 펌프(10)의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유량(Q)과 양정(H)을 측정하고 전동기(11)의 전력(Pm)과 효율(ηm) 값을 알면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펌프에 있어서, 열역학적으로 측정한 효율(η)과 수력학적으로 측정한 효율(η)은 근사하므로 이를 동일하게 놓고 수식을 풀면 다음의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pat00004
상기 수학식 4는, 수학식 1과 수학식 3을 통해 구한 것이며, 이를 통해 유량(Q)을 연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수학식 4를 참조하여 유량을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동기(11)의 동력 Pm은 전동기(11)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이러한 전력의 측정은 도시한 바의 연산부(40)에서 전동기(11)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전류 그리고 역률을 측정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전동기(11)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과 전류 그리고 역률을 측정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에 포함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동기(11)의 효율인 ηm은 실제로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한데, 전동기(11)의 효율(ηm)은 통상적으로 전동기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값을 사용한다. 유체의 비중인 γ는 유체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값인데, 통상적으로 펌프는 사용 유체가 결정되어있으므로 이를 온도에 따라 유체별 고유한 값을 그대로 사용한다. 중력가속도 g도 펌프를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결정되므로, 특정한 값을 입력하여 사용한다.
양정인 H는 수학식 2에서와 같이, 펌프(10) 전, 후단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에서 흡입배관(21)에 장착된 압력센서(22)를 통해 펌프(10) 전단의 압력인 pi를 측정하고, 토출배관(31)에 장착된 압력센서(32)를 통해 펌프(10) 후단의 압력인 po를 측정한다. 그런다음, 유체의 밀도 ρ와 중력가속도 g를 수학식 2에 대입하여 양정 H를 구한다.
펌프(10) 전후단의 온도 차이인 dT는, 펌프(10) 전, 후단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에서 흡입배관(21)에 장착된 온도센서(23)를 통해 펌프(10) 전단의 온도를 측정하고, 토출배관(31)에 장착된 온도센서(33)를 통해 펌프(10) 후단의 온도를 측정한다. Cp는 유체의 비열이므로, 사용 유체에 따라 고유한 상수값을 적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을 통해 구한 온도차이에 대한 유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는, 펌프(10)를 실제로 구동하면서 수학식 4에서 필요로 하는 각 값들을 측정하고 각 상수를 대입함으로써 유량(Q)을 구한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차이(dT)에 대한 유량(Q)은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동기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51)에서는, 연산부(40)에서 전동기(11)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전류 그리고 역률을 측정하여 전력을 측정한다. 그런다음, 토출배관의 압력(po)과 흡입배관의 압력(pi)을 측정하고,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양정 H를 구하는 단계(52)에서는, 토출배관(31)의 압력(po)을 압력센서(32)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흡입배관(21)의 압력(pi)을 압력센서(22)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가능하다.
토출배관의 온도(To)와 흡입배관의 온도(Ti)를 측정하여 온도차이 dT를 구하는 단계(53)에서는, 토출배관(31)의 온도(To)를 온도센서(33)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흡입배관(21)의 온도(Ti)를 온도센서(23)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단계에서 측정한 값들과 상수 값(ηm, g, γ, Cp)들을 수학식 4에 대입하여 유량을 구하는 단계(54)에서는, 전동기의 효율(ηm), 중력가속도(g), 유체의 비중(γ) 그리고 유체의 비열(Cp)을 상수로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수학식 4에 대입함으로써 유량을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10...펌프 11...전동기
21...흡입배관 22, 32...압력센서
23, 33...온도센서 31...토출배관
40...연산부

Claims (3)

  1. 펌프를 구동하는 전동기(11)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전류, 역률을 연산부(40)에서 측정함으로써 전동기(11)의 전력(Pm)을 측정하는 단계(51);
    토출배관(31)의 압력(po)을 압력센서(32)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흡입배관(21)의 압력(pi)을 압력센서(22)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유체의 밀도(ρ)와 중력가속도(g)를 다음의 수학식
    Figure pat00005

    에 대입하여 양정 H를 구하는 단계(52);
    토출배관(31)의 온도(To)를 온도센서(33)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흡입배관(21)의 온도(Ti)를 온도센서(23)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토출배관과 흡입배관의 유체의 온도차이 dT를 구하는 단계(53); 및
    상기 단계에서 측정한 값들과 전동기의 효율(ηm), 중력가속도(g), 유체의 비중(γ) 그리고 유체의 비열(Cp)을 다음의 수학식
    Figure pat00006

    에 대입하여 유량(Q)을 구하는 단계(5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온을 이용한 펌프의 유량 연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토출배관(31)의 압력(po)을 압력센서(32)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흡입배관(21)의 압력(pi)을 압력센서(22)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유체의 밀도(ρ)와 중력가속도(g)를 다음의 수학식
    Figure pat00007

    에 대입하여 양정 H를 구하는 단계(52);와
    전동기의 효율(ηm), 중력가속도(g), 유체의 비중(γ) 그리고 유체의 비열(Cp)을 다음의 수학식
    Figure pat00008

    에 대입하여 유량(Q)을 구하는 단계(54)에서
    유체의 밀도(ρ)와 유체의 비중(γ)은 온도에 따라 변하는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온을 이용한 펌프의 유량 연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토출배관(31)의 압력(po)을 압력센서(32)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흡입배관(21)의 압력(pi)을 압력센서(22)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유체의 밀도(ρ)와 중력가속도(g)를 다음의 수학식
    Figure pat00009

    에 대입하여 양정 H를 구하는 단계(52);와
    전동기의 효율(ηm), 중력가속도(g), 유체의 비중(γ) 그리고 유체의 비열(Cp)을 다음의 수학식
    Figure pat00010

    에 대입하여 유량(Q)을 구하는 단계(54)에서
    중력가속도(g)는 펌프의 사용 장소에 따라 변하는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온을 이용한 펌프의 유량 연산 방법.
KR1020160112963A 2016-09-02 2016-09-02 차온을 이용한 펌프의 유량 연산 방법 KR20180026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63A KR20180026054A (ko) 2016-09-02 2016-09-02 차온을 이용한 펌프의 유량 연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63A KR20180026054A (ko) 2016-09-02 2016-09-02 차온을 이용한 펌프의 유량 연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054A true KR20180026054A (ko) 2018-03-12

Family

ID=6172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963A KR20180026054A (ko) 2016-09-02 2016-09-02 차온을 이용한 펌프의 유량 연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0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0530A (zh) * 2019-10-21 2019-12-31 江苏国泉泵业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软监测的低比转速离心泵流量预测方法
CN112065706A (zh) * 2020-09-10 2020-12-11 北京通嘉宏瑞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功能检测工位的真空泵及其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0530A (zh) * 2019-10-21 2019-12-31 江苏国泉泵业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软监测的低比转速离心泵流量预测方法
CN112065706A (zh) * 2020-09-10 2020-12-11 北京通嘉宏瑞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功能检测工位的真空泵及其使用方法
CN112065706B (zh) * 2020-09-10 2022-05-10 北京通嘉宏瑞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功能检测工位的真空泵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6054A (ko) 차온을 이용한 펌프의 유량 연산 방법
US9422940B2 (en) Sensorless control method for a multipump system
RU2018116575A (ru) Оценка расхода в насосе
JP2010539380A5 (ko)
KR20120132776A (ko) 열역학적 펌프효율측정을 이용한 펌프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921217A (zh) 磨粒流加工的在线温度修正补偿方法
JP6500126B2 (ja) 配管ネットワーク評価装置および方法
JP2013532831A (ja) 排気ガス流量センサでの合成全流量を求める方法
KR101447595B1 (ko) 인버터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성능 검증방법
CN104279153A (zh) 发动机机油泵开发系统
RU2564475C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техн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насоса
JP2009282819A5 (ko)
RU2610637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ПД насоса
CN108019344B (zh) 一种电动给水泵组效率测试方法
RU2450253C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техн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насоса
JP6183052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の検査方法
EP2869037B1 (en) Flow rate measurement device
RU261268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техн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насоса
KR102266742B1 (ko) 부스터 펌프 시스템 운전방법
KR101353051B1 (ko) 펌프 효율 측정 시스템
RU1390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техн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насоса
KR101275004B1 (ko) 압축공기 사용량 측정 방법 및 장치
RU2441153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экстремальных скоростей потока жидкости в скважине (варианты)
JP2011179708A (ja) ボイラ水位制御方法及び装置
CN104179670A (zh) 应用再制造技术后水泵机组节能率的测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