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946A -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946A
KR20180025946A KR1020187003382A KR20187003382A KR20180025946A KR 20180025946 A KR20180025946 A KR 20180025946A KR 1020187003382 A KR1020187003382 A KR 1020187003382A KR 20187003382 A KR20187003382 A KR 20187003382A KR 20180025946 A KR20180025946 A KR 20180025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transport network
information
probe frame
radio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 주
셩후아 바오
창니앤 리
위청 양
징신 탄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25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a supervisory or additional signal
    • H04B10/0775Performance monitoring and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 H04B10/25752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베이스밴드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됨 - ; 및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가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탐측 정보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베이스밴드 장치는 경로를 탐측하는 데 사용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하고,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관련 포트 정보를 기록하고 베이스밴드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회신하며, 베이스밴드 장치는 무선 EMS에 탐측 결과를 보고하므로, 무선 EMS는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탐측 결과에 따라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분산형 기지국의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 또는 "Radio Head", "RH"로 약칭) 및 베이스밴드 유닛(Base Band Unit, "BBU")은 일반적으로 광섬유 또는 케이블을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공통 공용 무선 인터페이스(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로 약칭) 프로토콜이 서비스 측면에서 사용된다. 원격 위치에 배치된 BBU는 중앙 집중 설비실에 중앙 집중식으로 배치되며 광섬유를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유닛에 연결된다. BBU와 무선 주파수 유닛 사이의 거리는 수 킬로미터 또는 수십 킬로미터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깨끗한 중앙 처리 장치, 협업 무선, 실시간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ean, Centralized processing, Collaborative radio, real-time 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로 약칭)라고 한다. 따라서 설비실에 대한 요구가 감소하고 네트워크 배치를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운영자의 설치된 광섬유를 사용하고 CRAN 배치의 전체 비용을 줄이기 위해, 운영자는 프런트홀(Fronthaul)에 광 전송 장치(일반적으로 OTN 장치)를 도입하고 기존 광섬유를 스테이션에 재사용하여 전반적인 비용을 절감한다. 광전송 장치는 대개 쌍으로 배치되는데, 즉, 하나의 광 전송 장치가 스테이션 측에 배치되고, 하나의 광 전송 장치가 이에 상응하여 중앙 설비실에 배치된다.
전송 장치가 도입되기 전에, 무선 주파수 유닛과 베이스밴드 유닛 사이의 경로는 다음과 같다: 무선 주파수 유닛 → 무선 주파수 유닛의 광 모듈 → 광섬유 →베이스밴드 유닛의 광 모듈 → 베이스밴드 유닛. 통신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 위치를 결정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원격 단계별 소프트 루프백(명령 제어 장치가 루프백을 형성하는 데 사용됨)과 같은 장애 위치 파악 수단이 사용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루프 포인트 간의 연결 관계를 알아야 한다.
송신 장치가 도입됨으로써, 무선 장치와 송신 장치 사이의 경로는 다음과 같이 된다: 무선 주파수 유닛 → 무선 주파수 유닛의 광 모듈 → 무선 주파수 측에 있는 필드 전송 장치의 광 모듈 → 필드 전송 장치 → 베이스밴드 측에 있는 필드 전송 장치의 광 모듈 → 광섬유 → 무선 주파수 측에 있는 설비실 내의 전송 장치의 광 모듈 → 설비실 내의 전송 장치 → 베이스밴드 측에 있는 설비실 내의 전송 장치 광 모듈 → 베이스밴드의 광 모듈 → 베이스밴드 유닛. 마찬가지로, 장애를 찾기 위해서는, 무선 주파수 유닛, 필드 전송 장치, 설비실 내의 전송 장치 및 베이스밴드 유닛 간의 정확한 연결 관계가 알려져야 한다.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와 무선 장치 사이에 있으면서 무선 또는 전송 측의 운영 및 유지 관리 플랫폼에서 얻은 포트 연결 관계는 사실상 프런트홀 토폴로지 정보의 한 유형이다. 현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는 모두 베이스밴드 장치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인터페이스의 완전한 토폴로지를 나타낼 능력이 없다. 종래기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설 도면을 사용해야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건축 도면은 전자화될 수 없으며 협의 효율성이 극도로 낮고 건축 도면은 쉽게 손실되어 제시간에 업데이트 될 수 없다. 결론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 상에서 루프백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피어 엔드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포트조차 알려져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포트 상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포트에 연결된 특정 무선 주파수 장치 또는 베이스밴드 장치 역시 알려져 있 않다.
또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측 또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측에 토폴로지 연결 관계를 정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구성을 부가하면,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포트 간의 접속 관계를 구성될 필요가 있다. 기존의 문제점은 무선 장치의 시스템 및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시스템이 결합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이러한 구성은 수행하기가 어렵고, 구성의 정확성을 지속적으로 보장하기가 어렵다. 데이터 구성은 일반적으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장치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데이터 구성 담당자의 협력은 장치 유지 관리의 어려움을 상당히 크게 증가시킨다.
토폴로지 연결 관계의 정적 구성 데이터는 네트워크의 변경에 따라 연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반면, 네트워크의 조정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데, 무선 장치 및 전송 장치 모두가 자주 조정될 수 있다. 지속적인 구성 및 유지 보수 작업에서, 어떠한 실수로 실제 토폴로지 및 구성 데이터의 불일치를 유발할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구성된 연결 정보의 정확성을 장치에서 검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오류를 식별하기 어려우며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해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관점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베이스밴드 장치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소스 라우팅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됨 - ;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고,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함 - ;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가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함 - ; 및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가 상기 탐측 정보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실시에서,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1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1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탐측 결과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1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1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1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1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가 상기 EMS에 의해 송신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제2 관점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됨 - ; 상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함 - ; 상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되며,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반송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관점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실시에서,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2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2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2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제3 관점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무선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탐측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한다.
제3 관점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실시에서,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전송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2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탐측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 및 입력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한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2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2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2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탐측 정보는 수신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2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관점 및 제3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2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다.
제4 관점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무선 송신 장치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무선 송신 장치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관점을 참조해서, 제4 관점의 실시에서,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전송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4 관점 및 제4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4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제4 관점 및 제4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4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4 관점 및 제4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4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송신 장치가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제4 관점 및 제4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4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다.
제5 관점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 모듈 - 상기 소스 라우팅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됨 - ; 상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 모듈 -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고,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함 - ;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모듈 - 상기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함 - ; 및 상기 탐측 정보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5 관점을 참조해서, 제5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5 관점 및 제5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5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제5 관점 및 제5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5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탐측 결과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제5 관점 및 제5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5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제5 관점 및 제5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5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제5 관점 및 제5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5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제5 관점 및 제5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5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는: 상기 EMS에 의해 송신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제6 관점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 모듈 -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됨 - ;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모듈 -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함 - ;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 모듈; 상기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 모듈 - 상기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되며,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반송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6 관점을 참조해서, 제6 관점의 실시에서,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6 관점 및 제6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6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제6 관점 및 제6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6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제6 관점 및 제6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6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제7 관점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는: 무선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 - 상기 탐측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을 포함한다.
제7 관점을 참조해서, 제7 관점의 실시에서,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전송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7 관점 및 제7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7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탐측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 및 입력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한다.
제7 관점 및 제7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7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7 관점 및 제7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7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제7 관점 및 제7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7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7 관점 및 제7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7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제7 관점 및 제7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7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탐측 정보는 상기 수신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제7 관점 및 제7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7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7 관점 및 제7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7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다.
제8 관점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모듈 -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8 관점을 참조해서, 제8 관점의 실시에서,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전송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8 관점 및 제8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8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제8 관점 및 제8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8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8 관점 및 제8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8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제8 관점 및 제8 관점의 전술한 실시를 참조해서, 제8 관점의 다른 실시에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무선 송신 장치는 경로를 탐측하는 데 사용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무선 수신 장치에 송신하므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포트를 기록하고, 무선 수신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전송 포트를 기록하며, 무선 송신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회신한다. 그런 다음,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EMS에 탐측 결과를 보고할 수 있으므로,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라우트 탐측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라우트 프레임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라우트 프레임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라우트 프레임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밴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밴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통신 시스템으로는 이동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로 약칭) 시스템,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로 약칭) 시스템, 광대역 코드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로 약칭)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로 약칭),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로 약칭)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로 약칭)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로 약칭), 범용 이동 전기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로 약칭), 및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로 약칭)를 들 수 있다.
분산 기지국의 무선 주파수 유닛과 베이스밴드 장치는 광섬유 또는 케이블을 사용해서 통상적으로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CPRI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운영자의 설치된 광섬유를 사용하므로, CRAM 배치의 전체적인 비용을 절감하며, 운영자는 프런트홀 프로세스에서 광 전송 장치(통상적으로 OTN 장치)를 도입하고 스테이션에 기존의 광섬유를 재사용하여 전체적인 비용을 절감한다.
전송 장치가 도입된 후, 무선 장치와 송신 장치 사이의 경로는 다음과 같이 된다: 무선 주파수 유닛 → 무선 주파수 유닛의 광 모듈 → 무선 주파수 측에 있는 필드 전송 장치의 광 모듈 → 필드 전송 장치 → 베이스밴드 측에 있는 필드 전송 장치의 광 모듈 → 광섬유 → 무선 주파수 측에 있는 설비실 내의 전송 장치의 광 모듈 → 설비실 내의 전송 장치 → 베이스밴드 유닛 측에 있고 설비실 내의 전송 장치의 광 모듈 → 베이스밴드 유닛의 광 모듈 → 베이스밴드 유닛. 장애를 찾기 위해 루프백 작업을 수행하여 장애를 검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주파수 유닛, 필드 전송 장치, 설비실 내의 전송 장치 및 베이스밴드 유닛 간의 정확한 연결 관계가 알려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은 프런트홀 토폴로지 스캔 프로토콜(Fronthaul Topology Scan Protocol, "FTSP"로 약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탐측 방법에 따라, 프론트홀 토폴로지 스캔 프로토콜은 LFTSP(루프백 FTSP)와 SFTSP(단방향 FTSP)의 두 범주로 나눌 수 있다. 두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실시예는 자동 동작과 수동 동작의 두 가지 유형으로 더 나뉠 수 있다. 즉, 총 4개의 방법이 있으며, 이 4가지 방법은 각각 ALFTSP(자동 루프백 FTSP), MLFTSP(수동 루프백 FTSP), ASFTSP(자동 단방향 FTSP) 및 MSFTSP(수동 단방향 FTSP)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100)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방법(100)은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100)은 LFTSP(루프백 FTSP)이라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00)은 다음을 포함한다:
S110. 베이스밴드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며, 상기 소스 라우팅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된다.
S120. 베이스밴드 장치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고,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S130.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S140. 베이스밴드 장치는 탐측 정보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프런트홀 토폴로지 정보를 탐측하기 위해, 무선 EMS는 토폴로지 탐측을 주기적으로 또는 무작위로 수행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고,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할 수 있다.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고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한다.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한다.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계속 포워딩된다.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될 때,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다.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제1 포트 정보와 제2 포트 정보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기록된 후,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형성된다.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회신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한다.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그런 다음, 결정된 탐측 정보가 무선 EMS에 송신되므로, 무선 EMS는 수신된 탐측 정보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및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밴드 장치는 경로를 탐측하는 데 사용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하므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포트의 포트 정보 및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포트 정보가 기록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에 회신되고,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결과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결과 정보를 무선 EMS에 보고하므로,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며, 여기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된다.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프런트홀(Fronthaul)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데 사용되고, 즉 베이스밴드 장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및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특정한 연결 관계를 탐측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임의의 포트의 연결 관계를 탐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CPRI 프로토콜의 하나의 하이퍼프레임 내의 제어 워드(control words within one hyperframe)의 벤더 지정 필드에 정의될 수 있다. 선택된 서브채널 번호 Ns 및 Xs는 예시이다. 실제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벤더 지정 필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해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목표 포트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임의의 검출될 포트(to-be-detected por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장치 1은 복수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목표 포트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임의의 포트, 예를 들어 포트 5일 수 있다.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를 지시하는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포트 5와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탐측하는 데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도 3에 도시될 수 있으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플래그(Flag)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목표 포트는 포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장치 유형, 목표 포트의 서브랙 번호, 목표 포트의 캐비닛 번호, 목표 포트의 슬롯 번호, 베이스밴드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검출될 목표 포트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가 검출되고, 즉 목표 포트는 포트 5이다. 목표 포트에 대응하는 포트는 무선 주파수 장치 1의 포트 0일 수 있다.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 5를 지시하는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주파수 장치 1의 포트 0을 지시하는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수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도 3에 도시될 수 있으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플래그(Flag)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는 포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유형, 수신 포트의 서브랙 번호, 수신 포트의 캐비닛 번호, 수신 포트의 슬롯 번호,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밴드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의 관리 도구, 예를 들어, 무선 EMS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지시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이 방법에서, 프런트홀 토폴로지는 언제든 탐측될 수 있다. 무선 EMS는 탐측을 수행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언제든 명령한다. 이 방법은 MLFTSP(수동 루프백 FTSP)이라 지칭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스밴드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밴드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5시간마다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방법은 ALFTSP(자동 루프백 FTSP)이라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120에서, 베이스밴드 장치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다.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고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 형성되며, 즉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고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 획득된다.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고,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밴드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한다.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를 통과할 때,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를 통과할 때,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제1 포트 정보가 기록되어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한다.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된다.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한다. 입력 포트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고,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즉 도 2에서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고,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입력 포트 4의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유형,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트 번호는 탐측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예로 사용될 수 있다. 탐측 필드는 구체적으로 인코딩 유형,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ID, 캐비넷 번호, 서브랙 번호, 슬롯 번호, 포트 번호 및 작동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탐측 필드에 입력 포트의 포트 정보를 부가한 후,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획득된다.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를 반송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 획득된다.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다음 수준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계속 전송될 수 있다.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포트 정보를 계속 부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새로운 탐측 필드를 계속 부가하고 이 새로운 탐측 필드에 포트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뒤에 위치하면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통과하는 각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MS)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때문에,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포트 정보를 기록해서는 안 되며, 재기록 또는 부가 없이 수신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포워딩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밴드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한다.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 획득된다.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될 때까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서 포워딩된다.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직접 연결된다.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제2 포트 정보를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기록하여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한다.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된다.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출력 포트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2이며, 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 후,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2는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포트 7의 포트 정보를 기록한다. 포트 7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0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유형,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탐측 필드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도시한다. 탐측 필드 1은 제1 포트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제2 포트 정보는 새로 부가된 탐측 필드 2에 위치할 수 있다. 탐측 필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도 예로 사용될 수 있다. 탐측 필드 2는 구체적으로 인코딩 유형,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ID, 캐비넷 번호, 서브랙 번호, 슬롯 번호, 포트 번호 및 작동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탐측 필드에 출력 포트의 포트 정보를 부가한 후, 즉 탐측 필드에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포함시켜,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 획득된다.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 획득된다. 이 경우,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다음 수준 장치가 무선 주파수 장치이다.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를 반송하면, 다음 수준 장치가 무선 주파수 장치임을 검출할 때,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회신할 수 있고,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포워딩 후 베이스밴드 장치에 회신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를 반송하더라도, 다음 수준 장치가 무선 주파수 장치임을 검출한 후,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여전히 계속 송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를 반송하지 않으면,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계속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장치가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 후, 무선 주파수 장치는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를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기록하여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는 포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유형, 수신 포트의 서브랙 번호, 수신 포트의 캐비넷 번호, 수신 포트의 슬롯 번호, 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새로 부가된 탐측 필드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도시한다.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탐측 필드 1은 제1 포트 정보를 반송할 수 있고, 제2 포트 정보는 탐측 필드 2에 위치할 수 있으며,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는 탐측 필드 3에 부가될 수 있다. 탐측 필드 3의 특정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도 예로 사용될 수 있다. 탐측 필드 3은 구체적으로 인코딩 유형,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식별자 ID, 캐비넷 번호, 서브랙 번호, 슬롯 번호, 포트 번호 및 작동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가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탐측 필드에 부가된 후, 즉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탐측 필드는 제1 포트 정보, 제2 포트 정보 및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그 결정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회신할 수 있다.
S130에서,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하고, 여기서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밴드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로부터 회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 내의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무선 주파수의 목표 포트의 포트 정보,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제2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40에서, 베이스밴드 장치는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므로, EMS는 탐측 정보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및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MS는 베이스밴드 장치와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된 무선 EMS일 수 있다. 무선 EMS는 탐측 정보를 수신하고,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의 포트 정보 그리고 탐측 정보 내에 있는 제1 포트 정보, 제2 포트 정보 및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고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가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무선 EMS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밴드 장치의 복수의 포트의 탐측 정보를 수신하고, 각각의 포트의 탐측 정보에 따라 각각의 포트, 대응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하며, 연결 관계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밴드 장치는 경로를 탐측하는 데 사용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하므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포트의 포트 정보 및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포트 정보가 기록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에 회신되고,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결과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결과 정보를 무선 EMS에 보고하므로,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을 베이스밴드 장치의 관점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을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색하는 방법(200)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방법(200)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200)은 이하를 포함한다:
S210.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된다.
S220.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한다.
S230.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한다.
S240.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되며,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반송(搬送)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S250.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에 따르면,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고 이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그 결정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하며, 여기서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부가한 후 형성되고,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하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므로,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결과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결과 정보를 무선 EMS에 보고하며,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루프백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프런트홀 부품에 대해 장애 검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S120에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다.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함으로써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된다.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및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탐측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임의의 포트의 연결 관계를 탐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CPRI 프로토콜의 하나의 하이퍼프레임 내의 제어 워드(control words within one hyperframe)의 벤더 지정 필드에 정의될 수 있다. 선택된 서브채널 번호 Ns 및 Xs는 예시이다. 실제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벤더 지정 필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해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목표 포트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임의의 검출될 포트(to-be-detected por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장치 1은 복수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목표 포트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임의의 포트, 예를 들어 포트 5일 수 있다.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를 지시하는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포트 5와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탐측하는 데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도 3에 도시될 수 있으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플래그(Flag)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목표 포트는 포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장치 유형, 목표 포트의 서브랙 번호, 목표 포트의 캐비닛 번호, 목표 포트의 슬롯 번호, 베이스밴드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검출될 목표 포트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가 검출되고, 즉 목표 포트는 포트 5이다. 목표 포트에 대응하는 포트는 무선 주파수 장치 1의 포트 0일 수 있다.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 5를 지시하는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주파수 장치 1의 포트 0을 지시하는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수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도 3에 도시될 수 있으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플래그(Flag)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는 포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유형, 수신 포트의 서브랙 번호, 수신 포트의 캐비닛 번호, 수신 포트의 슬롯 번호,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220에서,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를 통과할 때,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제1 포트 정보가 기록되어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한다.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한다. 입력 포트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고,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즉 도 2에서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고, 이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입력 포트 4의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유형,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트 번호는 탐측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예로 사용될 수 있다. 탐측 필드는 구체적으로 인코딩 유형,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ID, 캐비넷 번호, 서브랙 번호, 슬롯 번호, 포트 번호 및 작동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탐측 필드에 입력 포트의 포트 정보를 부가한 후,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획득된다.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를 반송한다.
S230에서,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므로,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다.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 획득된다.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다음 수준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계속 전송될 수 있다.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포트 정보를 계속 부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새로운 탐측 필드를 계속 부가하고 이 새로운 탐측 필드에 포트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뒤에 위치하면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통과하는 각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MS)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때문에,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포트 정보를 기록해서는 안 되며, 재기록 또는 부가 없이 수신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포워딩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240에서,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다.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 형성되며, 여기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반송하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다음 수준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한다.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될 때까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서 1회 또는 복수 회 포워딩된다.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직접 연결된다.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제2 포트 정보를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기록하여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한다.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된다.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출력 포트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2이면,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 후,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2는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포트 7의 포트 정보를 기록한다. 포트 7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0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유형,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탐측 필드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도시한다. 탐측 필드 1은 제1 포트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제2 포트 정보는 새로 부가된 탐측 필드 2에 위치할 수 있다. 탐측 필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도 예로 사용될 수 있다. 탐측 필드 2는 구체적으로 인코딩 유형,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ID, 캐비넷 번호, 서브랙 번호, 슬롯 번호, 포트 번호 및 작동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탐측 필드에 출력 포트의 포트 정보를 부가한 후, 즉 탐측 필드에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포함시켜,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 획득된다. 이 경우,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다음 수준 장치가 무선 주파수 장치이다.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를 반송하면, 다음 수준 장치가 무선 주파수 장치임을 검출할 때,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회신할 수 있고,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포워딩 후 베이스밴드 장치에 회신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를 반송하더라도, 다음 수준 장치가 무선 주파수 장치임을 검출한 후,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여전히 계속 송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를 반송하지 않으면,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계속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장치가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 후, 무선 주파수 장치는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를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기록하여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는 포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유형, 수신 포트의 서브랙 번호, 수신 포트의 캐비넷 번호, 수신 포트의 슬롯 번호, 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새로 부가된 탐측 필드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도시한다.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탐측 필드 1은 제1 포트 정보를 반송할 수 있고, 제2 포트 정보는 탐측 필드 2에 위치할 수 있으며,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는 탐측 필드 3에 부가될 수 있다. 탐측 필드 3의 특정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도 예로 사용될 수 있다. 탐측 필드 3은 구체적으로 인코딩 유형,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식별자 ID, 캐비넷 번호, 서브랙 번호, 슬롯 번호, 포트 번호 및 작동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가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탐측 필드에 부가된 후, 즉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탐측 필드는 제1 포트 정보, 제2 포트 정보 및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그 결정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회신할 수 있다.
S250에서,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므로,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베이스밴드 장치는 무선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므로, EMS는 탐측 정보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및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스의 순번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행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프로세스의 기능 및 내부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 프로세스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에 따르면,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고 이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그 결정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하며, 여기서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부가한 후 형성되고,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하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므로,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결과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결과 정보를 무선 EMS에 보고하며,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정한 실시예를 예로 사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S301에서, 무선 EMS는 경로를 탐측하고 베이스밴드 장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및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탐측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EMS는 베이스밴드 장치가 검출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베이스밴드 장치가 검출을 수행하도록 무작위로 촉발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302에서, 베이스밴드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명령에 따라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표 포트를 사용해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한다.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로부터 목표 포트를 경유하여 무선 주파수 장치까지의 경로를 탐측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S303에서,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고, 이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한다.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제1 포트 정보를 송신한다.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장치이고,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이다. 또한,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다른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존재한다. 이 경우, 다른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에 기록될 수도 있고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다른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기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밴드 장치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까지의 경로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만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및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동일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304에서,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그 결정된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으로서 결정할 수 있으며, S306이 수행된다.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계속 송신할 수 있으며, S305 및 S307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S302에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반송하지 않을 때, S304에서,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계속 송신할 수 있으므로 무선 주파수 장치의 관련 정보가 계속 기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302에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반송할 때,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결정한 후,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계속 송신할 수 없지만 S306을 수행하고, 즉 베이스밴드 장치에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회신한다.
S305에서,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며, 여기서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S306에서,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으로서 결정하고, 여기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반송하며,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다시 사용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회신하므로,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S307에서,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 후, 무선 주파수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를 제2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부가하여,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수신 포트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대응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그 결정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회신하므로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한다.
S308에서,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고, 여기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S306에서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회신될 수 있거나, 또는 S307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의해 회신될 수 있으며,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하며, 여기서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베이스밴드 장치는 무선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므로, 무선 EMS는 수신된 탐측 정보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및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EMS는 복수 편(piece)의 탐측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복수 편의 탐측 정보는 상이한 베이스밴드 장치/상이한 포트에 지정된다. 이 경우, 무선 EMS는 복수 편의 탐측 정보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및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스의 순번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행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프로세스의 기능 및 내부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 프로세스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밴드 장치는 경로를 탐측하는 데 사용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하므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포트의 포트 정보 및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포트 정보가 기록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에 회신되고,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결과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결과 정보를 무선 EMS에 보고하므로,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색하는 방법(400)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방법(400)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400)은 SFTSP(단방향 FTSP)로 지칭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400)은 다음을 포함한다:
S410.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한다.
S420.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탐측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며, 이에 따라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S410에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송신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이고,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가 무선 주파수 장치이면,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1이다. 마찬가지로, 무선 송신 장치가 무선 주파수 장치이고,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이면,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2이다.
이하에서는 무선 송신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인 예를 설명에 사용한다.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고,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전송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CPRI 프로토콜의 하나의 하이퍼프레임 내의 제어 워드(control words within one hyperframe)의 벤더 지정 필드에 정의될 수 있다. 선택된 서브채널 번호 Ns 및 Xs는 예시이다. 실제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벤더 지정 필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해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한다. 전송 포트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임의의 검출될 포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장치 1은 복수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전송 포트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임의의 포트, 예를 들어 포트 5일 수 있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를 지시하는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해서, 포트 5와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도 3에 도시될 수 있으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탐측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베이스밴드 장치의 전송 포트의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송 포트는 포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장치 유형, 전송 포트의 서브랙 번호, 전송 포트의 캐비넷 번호, 전송 포트의 슬롯 번호, 또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대응하는 무선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즉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검출될 목표 포트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가 검출되고, 즉 목표 포트는 포트 5이다. 목표 포트에 대응하는 포트는 무선 주파수 장치 1의 포트 0일 수 있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 5를 지시하는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주파수 장치 1의 포트 0을 지시하는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수신된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의 전송 포트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도 3에 도시될 수 있으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플래그(Flag)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신 장치의 포트 정보 및 무선 수신 장치의 포트 정보가 탐측 필드 1 및 탐측 필드 2에 각각 위치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는 포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유형, 수신 포트의 서브랙 번호, 수신 포트의 캐비닛 번호, 수신 포트의 슬롯 번호,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무선 송신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일 때,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전송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수신단의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 장치가 무선 주파수 장치일 때,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수신단의 베이스밴드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420에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다. 탐측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전송단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 후,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 및 무선 전송단의 포트 정보를 EMS에 송신할 수 있으므로, EMS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때,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정보를 EMS에 송신할 수 있으므로, EMS는 무선 전송단,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수신단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탐측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무선 송신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 1이면,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대응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1이고,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1에 의해 송신된 탐측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1의 포트 4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즉 포트 4의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유형,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위치하는 입력 포트의 서브랙의 번호,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위치하는 캐비넷의 번호,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또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EMS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EMS일 수 있다.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EMS는 수신된 탐측 정보에 따라 무선 송신 장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수신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EMS에 송신된 탐측 정보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의 포트 정보 및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면, EMS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탐측 정보가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면, EMS는 무선 송신 장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수신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EMS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1에 의해 송신된 탐측 정보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1의 포트 4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2에 의해 송신된 탐측 정보에 따라, 무선 주파수 장치 1의 포트 0이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2의 포트 7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EMS는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가 무선 주파수 장치 1의 포트 0에 대응한다는 사실에 따라 한 편의 토폴로지 정보, 즉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로부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1의 포트 4를 경유하여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1까지의 경로, 베이스밴드 장치 1로부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2까지의 경로, 및 마지막으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2의 포트 7로부터 무선 주파수 장치 1의 포트 0까지의 경로를 학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EMS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탐측 정보에 따라 또는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가 무선 주파수 장치 1의 포트 0에 대응한다는 것을 학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EMS는 탐측 정보를 획득하고, 토폴로지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토폴로지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EMS에 저장될 수 있거나, 토폴로지 정보는 무선 EMS에 송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EMS는 무선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EMS는 토폴로지 정보를 결정한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전송 포트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며, 이에 따라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색하는 방법(500)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방법(500)은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500)은 SFTSP(단방향 FTSP)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500)은 다음을 포함한다:
S510. 무선 송신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생성하며,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한다.
S520. 무선 송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전송 포트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며, 이에 따라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S510에서, 무선 송신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생성한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송신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이면,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장치 1은 무선 주파수 장치 1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여기서의 무선 송신 장치가 무선 주파수 장치이면,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장치 3은 베이스밴드 장치 2에 대응한다.
이하에서는 무선 송신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인 예를 설명에 사용한다. 생성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전송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CPRI 프로토콜의 하나의 하이퍼프레임 내의 제어 워드(control words within one hyperframe)의 벤더 지정 필드에 정의될 수 있다. 선택된 서브채널 번호 Ns 및 Xs는 예시이다. 실제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벤더 지정 필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해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한다. 전송 포트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임의의 검출될 포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장치 1은 복수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전송 포트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임의의 포트, 예를 들어 포트 5일 수 있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를 지시하는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해서, 포트 5와 무선 주파수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도 3에 도시될 수 있으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의 탐측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송 포트는 포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장치 유형, 목표 포트의 서브랙 번호, 목표 포트의 캐비닛 번호, 목표 포트의 슬롯 번호, 베이스밴드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대응하는 무선 수신단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즉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검출된 전송 포트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장치 1의 포트 5가 검출되고, 즉 목표 포트는 포트 5이다. 전송 포트에 대응하는 포트는 무선 주파수 장치 1의 포트 0일 수 있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전송 포트 5를 지시하는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주파수 장치 1의 포트 0을 지시하는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장치는 수신된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베이스밴드 장치의 전송 포트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트 탐측 프레임이 도 3에 도시될 수 있으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플래그(Flag)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신 장치의 포트 정보 및 무선 수신 장치의 포트 정보가 탐측 필드 1 및 탐측 필드 2에 각각 위치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식별자 및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는 포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장치 유형, 수신 포트의 서브랙 번호, 수신 포트의 캐비닛 번호, 수신 포트의 슬롯 번호, 무선 주파수 장치의 작동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520에서, 무선 송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므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정보를 EMS에 송신하여 토폴로지 정보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송신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일 때,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전송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 즉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 장치가 무선 주파수 장치일 때,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 즉 베이스밴드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무선 송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의 관리 도구, 예를 들어, 무선 EMS는 무선 송신 장치에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지시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무선 송신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이 방법에서, 프런트홀 토폴로지는 언제든 탐측될 수 있으며, 무선 EMS는 탐측을 수행하도록 무선 송신 장치에 언제든 명령한다. 이 방법은 MLFTSP(수동 루프백 FTSP)이라 지칭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송신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밴드 장치 및 무선 주파수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5시간마다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방법은 ALFTSP(자동 루프백 FTSP)이라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프로세스의 순번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행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프로세스의 기능 및 내부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 프로세스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포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전송 포트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므로,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을 베이스밴드 장치의 관점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밴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밴드 장치(600)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 모듈(610) - 상기 소스 라우팅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됨 - ;
상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 모듈(620) -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고,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함 - ;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모듈(630) - 상기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함 - ; 및
상기 탐측 정보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 모듈(640)
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베이스밴드 장치는 경로를 탐측하는 데 사용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하므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포트의 포트 정보 및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포트 정보가 기록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에 회신되고,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결과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결과 정보를 무선 EMS에 보고하므로,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탐측 결과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밴드 장치(600)는: 상기 EMS에 의해 송신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밴드 장치(600)는 그에 대응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100)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베이스밴드 장치(600)의 모듈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1 내지 도 6의 방법의 대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데 개별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간략화를 위해,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베이스밴드 장치는 경로를 탐측하는 데 사용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하므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포트의 포트 정보 및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포트 정보가 기록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에 회신되고,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결과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결과 정보를 무선 EMS에 보고하므로,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700)은: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 모듈(710) -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됨 - ;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모듈(720) -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함 - ;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 모듈(730);
상기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 모듈(740) - 상기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되며,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반송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 모듈(750)
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 후,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그 결정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하며, 여기서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부가한 후 형성되고,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하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므로,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결과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결과 정보를 무선 EMS에 보고하며,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루프백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프런트홀 부품에 대해 장애 검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반송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700)는 그에 대응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200)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700)의 모듈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7의 방법의 대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데 개별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간략화를 위해,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 후,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그 결정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하며, 여기서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부가한 후 형성되고,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하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므로,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결과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결과 정보를 무선 EMS에 보고하며,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루프백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프런트홀 부품에 대해 장애 검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800)는:
무선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810) -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820) - 상기 탐측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며, 이에 따라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전송 포트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전송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탐측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 및 입력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입력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탐측 정보는 상기 수신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800)는 그에 대응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400)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800)의 모듈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9의 방법의 대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데 개별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간략화를 위해,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전송 포트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며, 이에 따라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900)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모듈(910) -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920)
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무선 송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며,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전송 포트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탐측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므로,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전송 포트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전송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900)는 그에 대응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500)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무선 송신 장치(900)의 모듈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10의 방법의 대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데 개별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간략화를 위해,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무선 송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며,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전송 포트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탐측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므로,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베이스밴드 장치(1000)를 추가로 제공한다. 베이스밴드 장치(1000)는 프로세서(1010), 메모리(1020), 송수신기(1030) 및 버스 시스템(104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010), 메모리(1020), 송수신기(1030)는 버스 시스템(1040)을 사용해서 연결된다. 메모리(1020)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실행하여 송수신기(1030)가 신호를 송수신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1010)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스 라우팅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된다. 송수신기(1030)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한다.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프로세서(1010)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송수신기(1030)는 탐측 정보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베이스밴드 장치는 경로를 탐측하는 데 사용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하므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포트의 포트 정보 및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포트 정보가 기록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에 회신되고,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결과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결과 정보를 무선 EMS에 보고하므로,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101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장치,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스 등이 될 수도 있다.
메모리(1020)는 리드-온리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010)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102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20)는 장치 유형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버스 외에, 버스 시스템(1040)은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만,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도면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버스를 버스 시스템(1040)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의 단계는 프로세서(1010)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논리회로를 사용하거나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해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기술분야에서의 보급된 저장 매체,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리드-온리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리드-온리 메모리,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1020)에 위치한다.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20)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1010)의 하드웨어와의 조합으로 전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반복을 파하기 위해,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탐측 결과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030)는 EMS에 의해 송신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밴드 장치(10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베이스밴드 장치(60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100)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실행 본체에 대응할 수 있으며, 베이스밴드 장치(1000)의 모듈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1의 방법의 대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데 개별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간략화를 위해,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베이스밴드 장치는 경로를 탐측하는 데 사용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하므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포트의 포트 정보 및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있으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포트 정보가 기록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에 회신되고,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결과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결과 정보를 무선 EMS에 보고하므로,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11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1100)는 프로세서(1110), 메모리(1120), 송수신기(1130) 및 버스 시스템(114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10), 메모리(1120), 송수신기(1130)는 버스 시스템(1140)을 사용해서 연결된다. 메모리(1120)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실행하여 송수신기(1130)가 신호를 송수신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수신기(1130)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된다. 프로세서(1110)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한다. 송수신기(1130)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고; 상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 상기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되며,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반송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함 - ; 그리고 상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 후,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그 결정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하며, 여기서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부가한 후 형성되고,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하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므로,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결과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결과 정보를 무선 EMS에 보고하며,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루프백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프런트홀 부품에 대해 장애 검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111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장치,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스 등이 될 수도 있다.
메모리(1120)는 리드-온리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10)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112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20)는 장치 유형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버스 외에, 버스 시스템(1140)은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만,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도면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버스를 버스 시스템(1140)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의 단계는 프로세서(1110)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논리회로를 사용하거나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해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기술분야에서의 보급된 저장 매체,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리드-온리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리드-온리 메모리,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1120)에 위치한다.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20)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1110)의 하드웨어와의 조합으로 전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반복을 파하기 위해,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반송한다.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밴드 장치(1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70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200)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실행 본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1100)의 모듈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7의 방법의 대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데 개별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간략화를 위해,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한 후,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며, 여기서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그 결정된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하며, 여기서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부가한 후 형성되고,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하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므로, 베이스밴드 장치는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결과 정보를 결정하고 이 탐측 결과 정보를 무선 EMS에 보고하며, 무선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루프백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프런트홀 부품에 대해 장애 검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1200)를 추가로 제공한다.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1200)는 프로세서(1210), 메모리(1220), 송수신기(1230) 및 버스 시스템(124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10), 메모리(1220), 송수신기(1230)는 버스 시스템(1240)을 사용해서 연결된다. 메모리(1220)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1210)는 메모리(12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실행하여 송수신기(1230)가 신호를 송수신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수신기(1230)는: 무선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고 -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함 - ; 그리고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탐측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며, 이에 따라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121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장치,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스 등이 될 수도 있다.
메모리(1220)는 리드-온리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210)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122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20)는 장치 유형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버스 외에, 버스 시스템(1240)은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만,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도면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버스를 버스 시스템(1240)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의 단계는 프로세서(1210)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논리회로를 사용하거나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해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기술분야에서의 보급된 저장 매체,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리드-온리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리드-온리 메모리,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1220)에 위치한다. 프로세서(1210)는 메모리(1220)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1210)의 하드웨어와의 조합으로 전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반복을 파하기 위해,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전송 포트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전송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탐측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 및 입력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입력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입력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탐측 정보는 상기 수신 포트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무선 송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1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90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400)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실행 본체에 대응할 수 있으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1200)의 모듈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9의 방법의 대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데 개별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간략화를 위해,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 및/또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며, 이에 따라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송신 장치(1300)를 추가로 제공한다. 무선 송신 장치(1300)는 프로세서(1310), 메모리(1320), 송수신기(1330) 및 버스 시스템(134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310), 메모리(1320), 송수신기(1330)는 버스 시스템(1340)을 사용해서 연결된다. 메모리(1320)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1310)는 메모리(13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실행하여 송수신기(1330)가 신호를 송수신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1310)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한다. 송수신기(1330)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무선 송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며,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전송 포트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탐측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므로,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131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장치,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스 등이 될 수도 있다.
메모리(1320)는 리드-온리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10)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132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20)는 장치 유형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버스 외에, 버스 시스템(1340)은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만,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도면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버스를 버스 시스템(1340)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시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의 단계는 프로세서(1310)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논리회로를 사용하거나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해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기술분야에서의 보급된 저장 매체,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리드-온리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리드-온리 메모리,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1320)에 위치한다. 프로세서(1310)는 메모리(1320)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1310)의 하드웨어와의 조합으로 전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반복을 파하기 위해,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전송 포트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전송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한다.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330)는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시 정보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1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무선 송신 장치(90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500)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실행 본체에 대응할 수 있으며, 무선 송신 장치(1300)의 모듈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10의 방법의 대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데 개별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간략화를 위해,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무선 송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며, 여기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전송 포트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탐측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음을 지시하므로, EMS는 탐측 결과에 따라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고, 무선 장치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토폴로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다양한 장치의 포트 간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설명된 예와 조합해서,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식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식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기능들이 하드웨어로 수행되는지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는 특별한 애플리케이션 및 기술적 솔루션의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다르다. 당업자라면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나, 그 실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으로 파악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에 대한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하면 된다는 것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수 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유닛의 분할은 단지 일종의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의 실행 동안 다른 분할 방식으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를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의 특징은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커플링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일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식, 기계식 또는 다른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별도의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별개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도시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실제의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실시예의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거나,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어 독립 제품으로 시판되거나 사용되면, 이 통합 유닛은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필수적인 기술적 솔루션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솔루션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이것은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이 될 수 있다)에 명령하는 수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플래시 디스크, 휴대형 하드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한 실행 방식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설명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현하는 모든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있게 된다.

Claims (54)

  1.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으로서,
    베이스밴드 장치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소스 라우팅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됨 - ;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고,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함 - ;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가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함 - ; 및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가 상기 탐측 정보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탐측 결과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가 상기 EMS에 의해 송신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9.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으로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됨 - ;
    상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함 - ;
    상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되며,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반송(搬送)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14.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으로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무선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탐측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전송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탐측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 및 입력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탐측 정보는 상기 수신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22.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송신 장치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무선 송신 장치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전송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가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는,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27.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인,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28. 베이스밴드 장치로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 모듈 - 상기 소스 라우팅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됨 - ;
    상기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 모듈 -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고,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함 - ;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탐측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모듈 - 상기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가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과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가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함 - ; 및
    상기 탐측 정보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베이스밴드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베이스밴드 장치.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탐측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하는, 베이스밴드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탐측 결과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하는, 베이스밴드 장치.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하는, 베이스밴드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하는, 베이스밴드 장치.
  34. 제2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하는, 베이스밴드 장치.
  35. 제2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는,
    상기 EMS에 의해 송신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는, 베이스밴드 장치.
  36.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로서,
    베이스밴드 장치에 의해 송신된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수신 모듈 -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장치에 송신됨 - ;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1 포트 정보를 기록하여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모듈 -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함 - ;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 모듈;
    상기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수신 모듈 - 상기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제2 포트 정보를 기록한 후에 형성되며,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제1 포트 정보 및 제2 포트 정보를 반송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출력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에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 정보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포트 정보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출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출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제2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장치의 포트 정보는 베이스밴드 장치의 목표 포트를 지시하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하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40. 제36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의 포트 정보는 무선 주파수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하는, 제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41.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로서,
    무선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에 따라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탐측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 - 상기 탐측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전송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탐측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 및 입력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입력 포트를 지시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입력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입력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45. 제4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탐측 정보는 상기 수신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48. 제4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인,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
  49. 무선 송신 장치로서,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모듈 -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전송 포트를 지시함 - ; 및
    상기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장치에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무선 송신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포트 정보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전송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전송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장치.
  51. 제49항 또는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트 탐측 프레임은 무선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수신 포트를 지시하는, 무선 송신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포트 정보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장치 식별자, 장치 유형,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서브랙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번호, 수신 포트가 위치하는 슬롯의 번호, 수신 포트의 포트 번호, 또는 무선 수신 장치의 작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장치.
  53. 제49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엘리먼트 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라우트 탐측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베이스밴드 장치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송신 장치.
  54. 제49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주파수 장치이고,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베이스밴드 장치인, 무선 송신 장치.
KR1020187003382A 2015-08-20 2015-08-20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259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87644 WO2017028303A1 (zh) 2015-08-20 2015-08-20 探测前传拓扑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946A true KR20180025946A (ko) 2018-03-09

Family

ID=5805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382A KR20180025946A (ko) 2015-08-20 2015-08-20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139634A1 (ko)
EP (1) EP3306872B1 (ko)
JP (1) JP2018522480A (ko)
KR (1) KR20180025946A (ko)
CN (1) CN107078949B (ko)
MY (1) MY192955A (ko)
WO (1) WO20170283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0194B1 (en) * 2015-10-21 2018-08-08 Alcatel Lucent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US10791527B2 (en) 2018-10-17 2020-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signaling of control messages for fronthaul interface
CN113994720B (zh) * 2019-08-01 2024-01-09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中继装置、车辆通信系统、车辆、通信方法及通信程序
CN113316212B (zh) * 2021-05-26 2022-08-2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基站前传数据流的传输方法及装置
CN117354822A (zh) 2022-06-29 2024-01-05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基站管理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749B1 (ko) * 2003-12-03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네트워크의 단대단 망관리를 위한 통합 이엠에스및 그 망관리 방법
JP4373271B2 (ja) * 2004-05-14 2009-11-25 富士通株式会社 ノード網における仮想lanの網構成を把握す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064631A (zh) * 2006-04-25 2007-10-31 华为技术有限公司 拓扑结构扫描方法和扫描系统
CN100479408C (zh) * 2007-03-12 2009-04-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堆叠系统内部转发表的实现方法
DE602007004633D1 (de) * 2007-11-08 2010-03-18 Alcatel Lucent Digitale Kombinationsvorrichtung für ein Innenraum-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dafür
WO2011080871A1 (ja) * 2009-12-28 2011-07-07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トポロジー情報作成方法
CN102217378B (zh) * 2011-05-27 2014-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探测路径信息的方法、设备及系统
CN102255775A (zh) * 2011-07-18 2011-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路由跟踪的方法、装置和系统
JP6089940B2 (ja) * 2013-05-08 2017-03-08 富士通株式会社 障害判定プログラム、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341229B2 (en) * 2013-10-04 2019-07-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optical network nodes
US9100138B2 (en) * 2013-10-14 2015-08-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topology discovery i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network
ES2660622T3 (es) * 2013-11-29 2018-03-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sistema y dispositivo de descubrimiento de enlaces
WO2016190641A1 (ko) * 2015-05-22 2016-12-0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6872A1 (en) 2018-04-11
CN107078949B (zh) 2021-01-15
WO2017028303A1 (zh) 2017-02-23
MY192955A (en) 2022-09-19
US20180139634A1 (en) 2018-05-17
CN107078949A (zh) 2017-08-18
JP2018522480A (ja) 2018-08-09
EP3306872B1 (en) 2020-04-29
EP3306872A4 (en)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269B1 (ko) 업링크 도달 시간차에 대한 로케이팅 방법 및 그의 장치
KR20180025946A (ko) 프런트홀 토폴로지를 탐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012138A (zh) 用于上行链路覆盖范围的最小化路测
US10383083B2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based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CN104579733A (zh) 故障诊断的方法、设备及系统
CN102571492B (zh) 检测路由设备故障的方法和装置
US20190069255A1 (en)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6535234A (zh) 测量报告与用户关联和上网问题的定位方法和装置
TWI753484B (zh) 測量上報方法、接收方法、終端及網路側定位設備
CN104754533A (zh) 一种短信拦截的方法、装置及终端
EP43461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ault of passive wavelength division device, and server and storage medium
CN111586740B (zh) 最小化路测技术配置方法和基站
CN112782567B (zh) 芯片测试系统、方法、装置、介质及设备
CN102970233A (zh) 获取路由的方法、装置、设备、集中器及系统
CN108650253B (zh) 双主机的多协议通讯方法及系统
CN113810238A (zh) 网络监测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448528B (zh) 确定故障原因的方法及装置
TWI599255B (zh) 導頻的配置方法及裝置
CN107529183B (zh) 一种通讯设备的检测方法、装置及通讯设备
CN103595636A (zh) 维护实体组端点mac地址获取的方法、装置及系统
CN104038386A (zh) 用于业务环网检测的方法、节点和网管
CN114665990B (zh) 一种无线中继器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5745978B (zh) 时间同步方法、装置及通信系统
WO2020211503A1 (zh) 一种最小化路测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1699658B (zh) 用于云无线电接入网中的前传网络验证的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