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244A - 알람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알람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5244A KR20180025244A KR1020170109169A KR20170109169A KR20180025244A KR 20180025244 A KR20180025244 A KR 20180025244A KR 1020170109169 A KR1020170109169 A KR 1020170109169A KR 20170109169 A KR20170109169 A KR 20170109169A KR 20180025244 A KR20180025244 A KR 201800252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arm
- display
- display area
- area
- col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larm System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인 완료된 우선도가 높은 알람의 발생을 놓쳐 버릴 우려를 없애는 것을 과제로 한다.
우선도가 높은 알람(A)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전체 혹은 일부)를 적색으로 점멸 표시시킨다(#1).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 중, 알람(A)의 발생원이 확인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를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변경한다.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 중, 우선도가 낮은 알람(B)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누어, 제1 표시 영역(AR1)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고, 제2 표시 영역(AR2)을 남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한다.
우선도가 높은 알람(A)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전체 혹은 일부)를 적색으로 점멸 표시시킨다(#1).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 중, 알람(A)의 발생원이 확인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를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변경한다.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 중, 우선도가 낮은 알람(B)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누어, 제1 표시 영역(AR1)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고, 제2 표시 영역(AR2)을 남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선도가 정해진 복수의 알람의 발생 상태를 화면 상에 정해진 하나의 표시 영역에서 표시하는 알람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프로세스의 상태 등을 관리하는 감시 제어 시스템에서는, 중앙의 감시실에 마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에서 각종 관리 포인트로부터의 알람을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알람의 통지는, 항시 인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소리나 색으로 오퍼레이터에게 전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특히, 색에 관해서는, 긴급도에 따라 색을 변화시키거나, 점멸시키는 등에 의해, 알람의 발생 상태나 중요도를 전하고 있다(예컨대, 비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알람 통지 방법의 일례로서, 긴급도에 따라 우선도가 정해진 복수의 알람의 발생 상태를 화면 상에 정해진 하나의 표시 영역(이하, 이 하나의 표시 영역을 알람 표시 영역이라고도 부름)에 있어서 표시한다고 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예컨대, 우선도가 높은 순서로 알람을 이멀전시 알람, 하이 알람, 로우 알람으로서 정하여, 이멀전시 알람이 발생하면 알람 표시 영역을 적색으로 점멸 표시하고, 하이 알람이 발생하면 알람 표시 영역을 황색으로 점멸 표시하고, 로우 알람이 발생하면 알람 표시 영역을 남색으로 점멸 표시한다.
이 경우, 적, 황, 남 등의 색으로 점멸 표시되어 있는 알람 표시 영역을 마우스로 클릭하는 등에 의해 선택하면, 발생 중인 알람에 관한 상세한 화면이 나타난다. 이 상세한 화면에서, 알람의 발생원을 확인하면, 점멸 표시되어 있던 알람 표시 영역이 점등 표시로 변한다.
이에 의해, 예컨대, 알람 표시 영역이 적색으로 점멸 표시되어 있으면, 이멀전시 알람의 발생 중이며, 그 알람이 미확인의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알람 표시 영역이 적색으로 점등 표시되어 있으면, 이멀전시 알람의 발생 중이지만, 그 알람이 확인된 상태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발생 중 또한 미확인의 알람을 전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확인 완료된 우선도가 높은 알람을 놓쳐 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 문제에 대해서, 도 12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AR은 화면 상에 정해진 알람 표시 영역이고, #X, #Y, #Z는 천이 후의 표시 상태이다.
지금, 이멀전시 알람(E)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그렇게 되면, 화면 상의 알람 표시 영역(AR)이 적색으로 점멸한다(#X). 알람 표시 영역(AR)을 마우스로 클릭하는 등에 의해 선택하면, 발생 중인 알람에 관한 상세한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세한 화면에서, 이멀전시 알람(E)의 발생원을 확인하면, 화면 상의 알람 표시 영역(AR)이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변한다(#Y).
이 상태에서, 예컨대, 로우 알람(L)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그렇게 되면, 화면 상의 알람 표시 영역(AR)이 남색으로 점멸한다(#Z). 이 경우, 이멀전시 알람(E)을 확인한 오퍼레이터는, 아직 이멀전시 알람(E)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화면 상의 알람 표시 영역(AR)은 남색으로의 점멸로 변해 있기 때문에, 다른 오퍼레이터는 화면 상의 알람 표시 영역(AR)을 본 것만으로는, 로우 알람(L)이 발생 중인 것밖에 인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이멀전시 알람(E)을 놓쳐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확인 완료된 우선도가 높은 알람의 발생을 놓쳐 버릴 우려가 없는 알람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우선도가 높은 제1 알람과 이 제1 알람보다 우선도가 낮은 제2 알람을 포함하는 우선도가 정해진 복수의 알람의 발생 상태를 화면 상에 정해진 하나의 표시 영역[알람 표시 영역(AR)]에 있어서 표시하는 알람 표시 장치로서, 제1 알람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을 제1 알람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제1 색으로 점멸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처리 수단(1)과, 알람 표시 영역의 제1 색으로의 점멸 표시 중, 제1 알람의 발생원이 확인된 경우, 알람 표시 영역의 제1 색으로의 점멸 표시를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변경하는 제2 표시 처리 수단(2)과, 알람 표시 영역의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 중, 제2 알람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누어, 제1 표시 영역을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고, 제2 표시 영역을 제2 알람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제2 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하는 제3 표시 처리 수단(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선도가 높은 제1 알람(예컨대, 이멀전시 알람)이 발생하면, 알람 표시 영역이 제1 알람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제1 색(예컨대, 적색)으로 점멸 표시된다. 또한, 이 경우의 알람 표시 영역의 점멸 표시는, 알람 표시 영역 전체를 점멸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알람 표시 영역의 일부의 영역을 점멸 표시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제1 표시 영역(AR1)을 적색으로 점등시키고, 제2 표시 영역(AR2)을 적색으로 점멸시키는 등의 방법이 생각된다.
이 알람 표시 영역의 제1 색으로의 점멸 표시 중, 제1 알람의 발생원이 확인되면, 알람 표시 영역의 제1 색으로의 점멸 표시가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변경된다. 이 알람 표시 영역의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 중, 제2 알람(예컨대, 로우 알람)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이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으로 나뉘어, 제1 표시 영역이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가 되고, 제2 표시 영역이 제2 알람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제2 색(예컨대, 남색)으로의 점멸 표시가 된다.
이에 의해, 확인 완료된 우선도가 높은 제1 알람과 발생 중인 우선도가 낮은 제2 알람이 동시에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 중에 표시되게 되어, 확인 완료된 우선도가 높은 알람을 놓쳐 버릴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발명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도면 상의 구성 요소를, 괄호를 붙인 참조 부호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이상 설명한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 상의 알람 표시 영역이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으로 나뉘어, 우선도가 높은 확인 완료된 알람이 제1 표시 영역에, 우선도가 낮은 미확인의 알람이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게 되어, 확인 완료된 우선도가 높은 알람의 발생을 놓쳐 버릴 우려가 없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알람 표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알람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CPU가 알람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는 처리 동작의 제1 예(실시형태 1)를 설명하는 도면(알람 발생 시의 표시 상태의 천이도)이다.
도 3은 알람(A)의 발생 시에 알람 영역의 일부를 점멸 표시시키도록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알람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알람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CPU가 알람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는 처리 동작의 제2 예(실시형태 2)를 설명하는 도면(알람 발생 시의 표시 상태의 천이도)이다.
도 6은 이멀전시 알람(E)의 발생 시에 알람 영역의 일부를 점멸 표시시키도록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알람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알람 표시 영역에 마크 및 미확인 수를 표시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알람 표시 영역을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으로 나눈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알람 표시 영역을 3개의 알람 표시 영역으로 나누도록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알람 표시 영역에 마크 및 미확인 수를 표시하는 기능을 실시형태 1의 알람 표시 장치에 추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종래의 알람 발생 시의 표시 상태의 천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알람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CPU가 알람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는 처리 동작의 제1 예(실시형태 1)를 설명하는 도면(알람 발생 시의 표시 상태의 천이도)이다.
도 3은 알람(A)의 발생 시에 알람 영역의 일부를 점멸 표시시키도록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알람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알람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CPU가 알람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는 처리 동작의 제2 예(실시형태 2)를 설명하는 도면(알람 발생 시의 표시 상태의 천이도)이다.
도 6은 이멀전시 알람(E)의 발생 시에 알람 영역의 일부를 점멸 표시시키도록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알람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알람 표시 영역에 마크 및 미확인 수를 표시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알람 표시 영역을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으로 나눈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알람 표시 영역을 3개의 알람 표시 영역으로 나누도록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알람 표시 영역에 마크 및 미확인 수를 표시하는 기능을 실시형태 1의 알람 표시 장치에 추가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종래의 알람 발생 시의 표시 상태의 천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알람 표시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개략을 나타낸다.
이 알람 표시 장치(100)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101)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2)와, 읽기 전용 메모리(ROM)(103)와,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104)와, 각종 인터페이스(105∼107)를 구비한 컴퓨터로 이루어지고, 주변 기기로서, 디스플레이(108)나 키보드(109), 마우스(110) 등이 접속되어 있다.
이 알람 표시 장치(100)에는, 본 실시형태의 특유의 프로그램으로서, 알람 표시 프로그램(PG1)이 인스톨되어 있다. 이 알람 표시 프로그램(PG1)은, 예컨대 CD-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태로 제공되고, 이 기록 매체로부터 읽혀 기억 장치(104)에 기록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로서 알람 표시 장치(100)에 인스톨되어 있다.
이 알람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CPU(101)는, 인터페이스(105∼107)를 통해 주어지는 각종 입력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RAM(102)이나 ROM(103), 기억 장치(104)에 액세스하면서, 알람 표시 장치(100)에 인스톨되어 있는 알람 표시 프로그램(PG1)에 따라 동작한다.
〔실시형태 1〕
먼저, 실시형태 1로서, 도 2에 나타내는 표시 상태의 천이도를 이용하여, 알람 표시 프로그램(PG1)에 따라 CPU(101)가 실행하는 처리 동작의 제1 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가장 단순한 예로서, 발생하는 알람은, 우선도가 높은 알람(A)과, 알람(A)보다 우선도가 낮은 알람(B)의 2개로 한다. 또한, 알람 표시 영역(AR)은, 디스플레이(108)의 화면의 상부에 다른 기능의 표시 영역과 더불어 인디케이터의 버튼으로서 항상 표시되어 있고, 알람의 미발생 시의 색은 그레이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알람(A)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우선도가 높은 제1 알람에 상당하고, 알람(B)이 우선도가 낮은 제2 알람에 상당한다.
CPU(101)는, 알람(A)이 발생하면, 알람 표시 영역(AR)을 알람(A)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색(이 예에서는, 적색)으로 점멸 표시(적색↔그레이)시킨다(#1). CPU(101)는, 알람 표시 영역(AR)이 마우스(110)로 클릭하는 등에 의해 선택되면, 발생 중인 알람에 관한 상세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 상세한 화면에서, 알람(A)의 발생원이 확인되면, CPU(101)는,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바꾼다(#2).
이 상태(#2의 표시 상태)에서, 알람(B)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그렇게 되면, CPU(101)는,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왼쪽 위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오른쪽 아래 영역)(AR2)으로 나누어, 제1 표시 영역(AR1)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고, 제2 표시 영역(AR2)을 알람(B)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색(이 예에서는, 남색)으로의 점멸 표시(남색↔그레이)로 한다(#3).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면 상의 알람 표시 영역(AR)이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뉘어, 우선도가 높은 확인 완료된 알람(A)이 제1 표시 영역(AR1)에, 우선도가 낮은 미확인의 알람(B)이 제2 표시 영역(AR2)에 표시되게 되어, 확인 완료된 우선도가 높은 알람(A)의 발생을 놓쳐 버릴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3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 제2 표시 영역(AR2)이 마우스(110)로 클릭하는 등에 의해 선택되면, CPU(101)는, 발생 중인 알람에 관한 상세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 상세한 화면에서, 알람(B)의 발생원이 확인되면, CPU(101)는, 2개로 나뉘어 있는 알람 표시 영역(AR1, AR2)을 원래의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으로 복귀시키고, 그 복귀된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한다(#2).
또한, #2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 알람(A)이 발생한 경우, CPU(101)는,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한다(#1). 또한, #3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 알람(A)이 발생한 경우, CPU(101)는, 2개로 나뉘어 있는 알람 표시 영역(AR1, AR2)을 원래의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으로 복귀시키고, 그 복귀된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한다(#1).
또한,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알람(A)의 발생 시, 알람 표시 영역(AR) 전체를 적색으로 점멸 표시시키도록 하였지만,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누어, 제1 표시 영역(AR1)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고, 제2 표시 영역(AR2)을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알람 발생 영역(AR)의 전체가 아니라, 알람 발생 영역(AR)의 일부가 점멸 표시되는데, 알람(A)의 발생 시의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로서, 이러한 형태의 점멸 표시도 포함되는 것이다.
도 4에, 실시형태 1의 알람 표시 장치(100)(100A)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 알람 표시 장치(100A)는, CPU(101)의 처리 기능으로서, 우선도가 높은 알람(A)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을 알람(A)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색(이 예에서는, 적색)으로 점멸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처리부(1)와,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 중, 알람(A)의 발생원이 확인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를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변경하는 제2 표시 처리부(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알람 표시 장치(100A)는,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 중, 우선도가 낮은 알람(B)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으로 나누어, 제1 표시 영역(AR1)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고, 제2 표시 영역(AR2)을 알람(B)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색(이 예에서는, 남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하는 제3 표시 처리부(3)와,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눈 알람의 표시 중, 알람(B)의 발생원이 확인된 경우,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뉘어 있는 알람 표시 영역(AR)을 원래의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으로 복귀시키고, 그 복귀된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는 제4 표시 처리부(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알람 표시 장치(100A)에 있어서, 제1 표시 처리부(1)는, 전술한 기능에 더하여,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등 중이나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눈 알람의 표시 중, 알람(A)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실시형태 2로서, 도 5에 나타내는 표시 상태의 천이도를 이용하여, 알람 표시 프로그램(PG1)에 따라 CPU(101)가 실행하는 처리 동작의 제2 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 발생하는 알람은, 이멀전시 알람(E), 하이 알람(H), 로우 알람(L)의 3가지로 한다. 또한, 알람 표시 영역(AR)은, 디스플레이(108)의 화면의 상부에 다른 기능의 표시 영역과 더불어 인디케이터의 버튼으로서 항상 표시되어 있고, 알람의 미발생 시의 색은 그레이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 2에서는, 이멀전시 알람(E)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알람에 상당하고, 로우 알람(L)이 제2 알람에 상당하고, 하이 알람(H)이 제3 알람에 상당한다. 이들 알람은, 이멀전시 알람(E), 하이 알람(H), 로우 알람(L)의 순서로 우선도가 높은 알람으로 되어 있다.
CPU(101)는, 이멀전시 알람(E)이 발생하면, 알람 표시 영역(AR)을 이멀전시 알람(E)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색(이 예에서는, 적색)으로 점멸 표시(적색↔그레이)시킨다(#11). CPU(101)는, 알람 표시 영역(AR)이 마우스(110)로 클릭하는 등에 의해 선택되면, 발생 중인 알람에 관한 상세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 상세한 화면에서, 이멀전시 알람(E)의 발생원이 확인되면, CPU(101)는,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바꾼다(#12).
이 상태(#12의 표시 상태)에서, 하이 알람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그렇게 되면, CPU(101)는,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왼쪽 위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오른쪽 아래 영역)(AR2)으로 나누어, 제1 표시 영역(AR1)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고, 제2 표시 영역(AR2)을 하이 알람(H)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색(이 예에서는, 황색)으로의 점멸 표시(황색↔그레이)로 한다(#13).
또한, #12의 표시 상태에서, 로우 알람(L)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그렇게 되면, CPU(101)는, 알람 표시 영역(AR)를 제1 표시 영역(AR1)(왼쪽 위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오른쪽 아래 영역)(AR2)으로 나누어, 제1 표시 영역(AR1)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고, 제2 표시 영역(AR2)을 로우 알람(L)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색(이 예에서는, 남색)으로의 점멸 표시(남색↔그레이)로 한다(#14).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면 상의 알람 표시 영역(AR)이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뉘어, 우선도가 가장 높은 확인 완료된 이멀전시 알람(E)이 제1 표시 영역(AR1)에, 우선도가 낮은 미확인의 하이 알람(H)이나 로우 알람(L)이 제2 표시 영역(AR2)에 표시되게 되어, 확인 완료된 우선도가 가장 높은 이멀전시 알람(E)의 발생을 놓쳐 버릴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14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 하이 알람(H)이 발생하면, CPU(101)는, 제2 표시 영역(AR2)을 황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한다. 이에 의해, #14의 표시 상태는, #13의 표시 상태로 천이한다. #13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 로우 알람(L)이 발생한 경우, CPU(101)는, #13의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13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 제2 표시 영역(AR2)이 마우스(110)로 클릭하는 등에 의해 선택되면, CPU(101)는, 발생 중인 알람에 관한 상세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 상세한 화면에서, 하이 알람(H)의 발생원이 확인되면, CPU(101)는, 2개로 나뉘어 있는 알람 표시 영역(AR1, AR2)을 원래의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으로 복귀시키고, 그 복귀된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한다(#12).
또한, #14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 제2 표시 영역(AR2)이 마우스(110)로 클릭하는 등에 의해 선택되면, CPU(101)는, 발생 중인 알람에 관한 상세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 상세한 화면에서, 로우 알람(L)의 발생원이 확인되면, CPU(101)는, 2개로 나뉘어 있는 알람 표시 영역(AR1, AR2)을 원래의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으로 복귀시키고, 그 복귀된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한다(#12).
또한, #12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 이멀전시 알람(E)이 발생한 경우, CPU(101)는,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한다(#11). 또한, #13의 표시 상태나 #14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 이멀전시 알람(E)이 발생한 경우, CPU(101)는, 2개로 나뉘어 있는 알람 표시 영역(AR1, AR2)을 원래의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으로 복귀시키고, 그 복귀된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한다(#11).
또한,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이멀전시 알람(E)의 발생 시, 알람 표시 영역(AR) 전체를 적색으로 점멸 표시시키도록 하였지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누어, 제1 표시 영역(AR1)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고, 제2 표시 영역(AR2)을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알람 발생 영역(AR)의 전체가 아니라, 알람 발생 영역(AR)의 일부가 점멸 표시되지만, 이멀전시 알람(E)의 발생 시의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로서, 이러한 형태의 점멸 표시도 포함되는 것이다.
도 7에, 실시형태 2의 알람 표시 장치(100)(100B)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 알람 표시 장치(100B)는, CPU(101)의 처리 기능으로서, 이멀전시 알람(E)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을 이멀전시 알람(E)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색(이 예에서는,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하는 제1 표시 처리부(11)와,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 중, 이멀전시 알람(E)의 발생원이 확인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를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변경하는 제2 표시 처리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알람 표시 장치(100B)는,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 중, 로우 알람(L)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으로 나누어, 제1 표시 영역(AR1)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고, 제2 표시 영역(AR2)을 로우 알람(L)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색(이 예에서는, 남색)으로서의 점멸 표시로 하는 제3 표시 처리부(13)와,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눈 알람의 표시 중, 로우 알람(L)의 발생원이 확인된 경우,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뉘어 있는 알람 표시 영역(AR)을 원래의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으로 복귀시키고, 그 복귀된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는 제4 표시 처리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알람 표시 장치(100B)는,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 중, 하이 알람(H)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으로 나누어, 제1 표시 영역(AR1)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고, 제2 표시 영역(AR2)을 하이 알람(H)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색(이 예에서는, 황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하는 제5 표시 처리부(15)와,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눈 알람의 표시 중, 하이 알람(H)의 발생원이 확인된 경우,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뉘어 있는 알람 표시 영역(AR)을 원래의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으로 복귀시키고, 그 복귀된 하나의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는 제6 표시 처리부(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알람 표시 장치(100B)에 있어서, 제1 표시 처리부(11)는, 전술한 기능에 더하여, 알람 표시 영역(AR)의 적색으로의 점등 중이나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눈 알람의 표시 중, 이멀전시 알람(E)이 발생한 경우,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5 표시 처리부(15)는, 제3 표시 처리(13)에 의한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눈 알람의 표시 중, 하이 알람(H)이 발생한 경우, 제2 표시 영역(AR2)을 하이 알람(H)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색(이 예에서는, 황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알람 표시 영역(AR)의 색을 알람의 우선도에 따라 변화시키거나, 점멸/점등시키는 등에 의해, 알람의 발생 상태를 전하도록 하였지만, 이 알람 표시 영역(AR)에 이 영역이 알람의 발생 상태를 통지하는 영역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알람 표시 영역(AR)에 발생원이 확인되어 있지 않은 알람의 총 수를 미확인 수로서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람 표시 영역(AR)에 이 영역이 알람의 발생 상태를 통지하는 영역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M1)(이 예에서는, 벨의 마크)를 표시시키도록 한다. 또한, 발생원이 확인되어 있지 않은 알람의 총 수를 구하고, 이 구한 알람의 총 수를 미확인 수(M2)로서 알람 표시 영역(AR)에 표시시키도록 한다. 이 예에 있어서, 미확인 수(M2)는 최대 3자릿수로 하고, 3자릿수 미만인 경우 제로 충전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알람 표시 영역(AR)을 적색으로 점멸 표시시키는 것 같은 경우에는, 마크(M1)나 미확인 수(M2)의 배경의 색을 적색으로 하고, 이 적색이 된 배경을 점멸시키도록 하면 좋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으로 나누고, 제2 표시 영역(AR2)을 적색이나 황색, 남색으로 점멸 표시시키는 것 같은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크(M1)나 미확인 수(M2)가 비쳐 보이는 형태로 점멸 표시시키도록 하면 좋다.
도 11에, 알람 표시 영역(AR)에 마크(M1)나 미확인 수(M2)를 표시하는 기능을 실시형태 1의 알람 표시 장치(100A)에 추가한 예를 알람 표시 장치(100A')로서 나타낸다. 이 알람 표시 장치(100A')에서는, 도 4에 나타낸 알람 표시 장치(100A)에 대하여, 마크 표시부(5)와 미확인 수 산출 표시부(6)가 추가되어 있다. 이 알람 표시 장치(100A')에 있어서, 마크 표시부(5)는, 알람 표시 영역(AR)에 마크(M1)를 표시한다. 미확인 수 산출 표시부(6)는, 발생원이 확인되지 않은 알람의 총 수를 구하고, 이 구한 알람의 총 수를 미확인 수(M2)로서 알람 표시 영역(AR)에 표시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화면 상의 알람 표시 영역(AR)을 제1 표시 영역(AR1)과 제2 표시 영역(AR2)의 2개로 나누도록 하였지만, 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람 표시 영역(AR)을 3개의 표시 영역(AR1, AR2, AR3)으로 나누도록 하여, 표시 영역(AR1)에 확인 완료된 이멀전시 알람(E)을 표시하도록 하고, 표시 영역(AR2)에 미확인의 하이 알람(H)을 표시하도록 하고, 표시 영역(AR3)에 미확인의 로우 알람(L)을 표시하는 등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우선도가 정해진 알람의 수를 이멀전시 알람, 하이 알람, 로우 알람의 3가지로 하였지만, 우선도가 정해진 알람의 수(알람의 종별)를 더욱 늘려도 좋다.
〔실시형태의 확장〕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경을 할 수 있다.
1: 제1 표시 처리부
2: 제2 표시 처리부
3: 제3 표시 처리부 4: 제4 표시 처리부
5: 마크 표시부 6: 미확인 수 산출 표시부
11: 제1 표시 처리부 12: 제2 표시 처리부
13: 제3 표시 처리부 14: 제4 표시 처리부
15: 제5 표시 처리부 16: 제6 표시 처리부
AR: 알람 표시 영역 AR1: 제1 표시 영역
AR2: 제2 표시 영역 AR3: 제3 표시 영역
M1: 마크 M2: 미확인 수
100(100A, 100B): 알람 표시 장치 101: CPU
102: RAM 103: ROM
104: 기억 장치 105∼107: 인터페이스
108: 디스플레이 109: 키보드
110: 마우스
3: 제3 표시 처리부 4: 제4 표시 처리부
5: 마크 표시부 6: 미확인 수 산출 표시부
11: 제1 표시 처리부 12: 제2 표시 처리부
13: 제3 표시 처리부 14: 제4 표시 처리부
15: 제5 표시 처리부 16: 제6 표시 처리부
AR: 알람 표시 영역 AR1: 제1 표시 영역
AR2: 제2 표시 영역 AR3: 제3 표시 영역
M1: 마크 M2: 미확인 수
100(100A, 100B): 알람 표시 장치 101: CPU
102: RAM 103: ROM
104: 기억 장치 105∼107: 인터페이스
108: 디스플레이 109: 키보드
110: 마우스
Claims (10)
- 우선도가 높은 제1 알람과 상기 제1 알람보다 우선도가 낮은 제2 알람을 포함하는 우선도가 정해진 복수의 알람의 발생 상태를 화면 상에 정해진 하나의 표시 영역에서 표시하는 알람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알람이 발생한 경우, 상기 표시 영역을 상기 제1 알람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제1 색으로 점멸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처리 수단과,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색으로의 점멸 표시 중, 상기 제1 알람의 발생원이 확인된 경우,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색으로의 점멸 표시를 상기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변경하는 제2 표시 처리 수단과,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 중, 상기 제2 알람이 발생한 경우, 상기 표시 영역을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으로 나누어,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상기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상기 제2 알람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제2 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하는 제3 표시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을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 나눈 알람의 표시 중, 상기 제2 알람의 발생원이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 나뉘어 있는 표시 영역을 원래의 하나의 표시 영역으로 복귀시키고, 그 복귀된 하나의 표시 영역을 상기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는 제4 표시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을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 나눈 알람의 표시 중, 상기 제1 알람보다 우선도가 낮고 상기 제2 알람보다 우선도가 높은 제3 알람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상기 제2 알람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제3 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이 영역이 알람의 발생 상태를 통지하는 영역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표시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생원이 확인되어 있지 않은 상기 알람의 총 수를 미확인 수로서 구하고, 상기 구한 미확인 수를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표시 장치. - 우선도가 높은 제1 알람과 상기 제1 알람보다 우선도가 낮은 제2 알람을 포함하는 우선도가 정해진 복수의 알람의 발생 상태를 화면 상에 정해진 하나의 표시 영역에서 표시하는 알람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알람이 발생한 경우, 상기 표시 영역을 상기 제1 알람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제1 색으로 점멸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처리 단계와,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색으로의 점멸 표시 중, 상기 제1 알람의 발생원이 확인된 경우,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색으로의 점멸 표시를 상기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변경하는 제2 표시 처리 단계와,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 중, 상기 제2 알람이 발생한 경우, 상기 표시 영역을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으로 나누어,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상기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상기 제2 알람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제2 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하는 제3 표시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표시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을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 나눈 알람의 표시 중, 상기 제2 알람의 발생원이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 나뉘어 있는 표시 영역을 원래의 하나의 표시 영역으로 복귀시키고, 그 복귀된 하나의 표시 영역을 상기 제1 색으로의 점등 표시로 하는 제4 표시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표시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을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으로 나눈 알람의 표시 중, 상기 제1 알람보다 우선도가 낮고 상기 제2 알람보다 우선도가 높은 제3 알람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상기 제2 알람에 대하여 정해져 있는 제3 색으로의 점멸 표시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표시 방법. -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이 영역이 알람의 발생 상태를 통지하는 영역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표시 방법. -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생원이 확인되어 있지 않은 상기 알람의 총 수를 미확인 수로서 구하고, 상기 구한 미확인 수를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67686A JP6694783B2 (ja) | 2016-08-30 | 2016-08-30 | アラーム表示装置および方法 |
JPJP-P-2016-167686 | 2016-08-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5244A true KR20180025244A (ko) | 2018-03-08 |
KR101941782B1 KR101941782B1 (ko) | 2019-01-23 |
Family
ID=6153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9169A KR101941782B1 (ko) | 2016-08-30 | 2017-08-29 | 알람 표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694783B2 (ko) |
KR (1) | KR101941782B1 (ko) |
CN (1) | CN10779778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73083B (zh) * | 2021-06-29 | 2022-09-16 |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 显示屏的控制方法及装置 |
CN117769385A (zh) * | 2021-09-28 | 2024-03-26 |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 医用设备及其信息显示方法和界面的显示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22012A (ja) | 2000-11-07 | 2002-08-09 | Fisher Rosemount Syst Inc | プロセス制御ネットワークに於ける統合されたアラーム表示 |
JP2006012023A (ja) * | 2004-06-29 | 2006-01-12 | Yokogawa Electric Corp | アラーム監視装置 |
JP2006260219A (ja) * | 2005-03-17 | 2006-09-28 | Mitsubishi Electric Corp | 警報表示装置 |
JP2012008649A (ja) * | 2010-06-22 | 2012-01-12 | Hioki Ee Corp | 状態表示装置及び状態表示方法 |
JP2014182766A (ja) * | 2013-03-21 | 2014-09-29 | Fujitsu Ltd | 警報表示装置、警報表示方法、および警報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329542B (en) * | 1997-09-17 | 2002-03-27 | Sony Uk Ltd | Secur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
JP2007536634A (ja) * | 2004-05-04 | 2007-12-13 | フィッシャー−ローズマウント・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のためのサービス指向型アーキテクチャ |
US8458619B2 (en) * | 2004-12-14 | 2013-06-0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screensaver breakthrough of prioritized messages |
KR100667789B1 (ko) * | 2005-01-04 | 2007-0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비상경보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장치 및 그 비상경보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
US8269620B2 (en) * | 2008-12-19 | 2012-09-18 | Honeywell Internatonal Inc. | Alarm trend summary display system and method |
-
2016
- 2016-08-30 JP JP2016167686A patent/JP6694783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8-28 CN CN201710749349.9A patent/CN107797782B/zh active Active
- 2017-08-29 KR KR1020170109169A patent/KR1019417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22012A (ja) | 2000-11-07 | 2002-08-09 | Fisher Rosemount Syst Inc | プロセス制御ネットワークに於ける統合されたアラーム表示 |
JP2006012023A (ja) * | 2004-06-29 | 2006-01-12 | Yokogawa Electric Corp | アラーム監視装置 |
JP2006260219A (ja) * | 2005-03-17 | 2006-09-28 | Mitsubishi Electric Corp | 警報表示装置 |
JP2012008649A (ja) * | 2010-06-22 | 2012-01-12 | Hioki Ee Corp | 状態表示装置及び状態表示方法 |
JP2014182766A (ja) * | 2013-03-21 | 2014-09-29 | Fujitsu Ltd | 警報表示装置、警報表示方法、および警報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797782B (zh) | 2020-11-24 |
JP2018036748A (ja) | 2018-03-08 |
JP6694783B2 (ja) | 2020-05-20 |
CN107797782A (zh) | 2018-03-13 |
KR101941782B1 (ko) | 2019-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70416B1 (en) | Cctv automatic selection monitoring system, and cctv automatic selection monitoring management server and management method | |
JP4564452B2 (ja) | プラント監視装置 | |
JP7206580B2 (ja) | アラーム発信源タイプ及び/またはアラーム目的に基づいて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のアラームを選別する方法及び装置、及び有形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 |
CN107766533B (zh) | 话务量异常的自动检测方法及系统、存储介质、电子设备 | |
US10423313B2 (en) | Alarm displaying method and apparatus | |
CN104011611A (zh) | 用于管理工业过程的系统和方法 | |
CN109242300B (zh) | 一种业务指标值的展示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 |
JP5694297B2 (ja) | 警報管理システム | |
JP6458858B2 (ja) | 監視制御装置 | |
CN108780312B (zh) | 用于使用路径追踪针对装配线的根本原因分析的方法和系统 | |
CN104272235A (zh) | 改变显示给用户的动画 | |
KR101941782B1 (ko) | 알람 표시 장치 및 방법 | |
JP2015075807A (ja) | 管理プログラム、管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 |
JP2015088191A5 (ko) | ||
CN103810823A (zh) | 报警处理方法和装置 | |
JP2013205894A (ja) | 異常検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異常検出方法 | |
JP2010015246A (ja) | 故障情報分析管理システム | |
CN113627754A (zh) | 指标检测的操作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CN116450907A (zh) | 工艺路线可视化设置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 |
CN116504039A (zh) | 一种室内设备的异常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 |
US8868712B2 (en) | Effective visualization of an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hrough social scoring | |
CN117149560A (zh) | 指标数据的异常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KR101524876B1 (ko) | 추가 경고 심볼을 이용한 경고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 |
US9940214B2 (en) | Index filter for visual monitoring | |
CN112561208B (zh) | 用于指标生成系统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