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658A -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 Google Patents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658A
KR20180024658A KR1020160111302A KR20160111302A KR20180024658A KR 20180024658 A KR20180024658 A KR 20180024658A KR 1020160111302 A KR1020160111302 A KR 1020160111302A KR 20160111302 A KR20160111302 A KR 20160111302A KR 20180024658 A KR20180024658 A KR 20180024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ane control
unit
present
set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우
Original Assignee
강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우 filed Critical 강준우
Priority to KR102016011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658A/ko
Publication of KR20180024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5Glued to surface, e.g.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가 차선규제봉을 타이어가 밟고 지나가더라도 신속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차선규제봉의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튜브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를 결합하기 위한 걸림부와 받침부로 구성되고 체결용 암나사부가 구비된 튜브고정링과 상기 튜브고정링의 내부에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튜브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 및 받침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세트앵커에 설치하기 위한 암나사가 구비된 튜브받침대로 구성되며, 튜브받침대를 고정하기 위한 세트앵커는 확장관의 하부가 확개되도록 볼트의 하부에 구배부가 형성되고 확장관의 상부가 확개되도록 슬리브와 너트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의 실수나 운전미숙으로 차선규제봉을 타이어가 밟고 지나가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신속하게 입설되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도 차선규제봉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튜브가 파손될 시 신속하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와, 튜브고정링과 튜브받침대는 내구성의 크게 향상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특히, 세트앵커의 경우에는 도로에 박음되어 확장관이 상,하에서 확개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가압작용 또는 당기는 작용이 발생하여도 견고한 박음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An easy-to-replace the tube lane control bong}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 경계부나 갓길, 안전지대에 자동차의 진입을 방지하고 안전한 주행을 유도하기 위하여 도로에 설치되는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는 운전자의 실수나 운전미숙으로 차선규제봉을 타이어가 밟고 지나가더라도 차선규제봉이 신속하게 세워질 수 있고 튜브가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교체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규제봉은 도로의 중앙 경계부에 설치되어 불법 중앙선침범과 유턴을 방지토록 하고, 또 교통안전지대에 자동차가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 도로의 각종 도로교통규제의 목적을 달성하고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광범위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상기와 같은 용도로 도로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차선규제봉의 대표적인 구조를 보면, 합성수지로 봉형태로 구성된 차선규제봉 튜브의 하부에 플랜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세트앵커를 도로에 박아 고정한 상태에서 차선규제봉 튜브의 하부에 플랜지부를 세트앵커를 구성하는 볼트에 결합하고 너트로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차선규제봉은 운전자의 실수나 운전미숙으로 차선규제봉을 타이어가 밟고 지나가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면, 세트앵커가 도로에서 뽑히거나 차선규제봉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쉽게 파손되는 구조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차선규제봉의 튜브 하부에는 도로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분교체가 불가능하고 세트앵커의 경우에 도로에 박음되었을 때 세트앵커의 구조상 세트앵커의 하부만 확개되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어 반복되는 가압력에 의해서 쉽게 뽑혀지는 단점이 있는 관계로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선규제봉의 튜브와 플랜지부가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차선규제봉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나, 튜브와 플랜지부 조립구조의 대부분은 복잡하고 합성수지로 구성된 사출물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의 대표적인 차선규제봉의 조립구조를 등록특허 제10-1030775호에서 살펴보면, 튜브의 하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암나사가 형성된 바닥지지대에 체결되고, 그 위에 고정커버를 씌우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차선규제봉은 타이어가 밟고 지나가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되면서 나사체결부가 손상되고 또 서로 이탈하면서 분리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구조가 쉽게 손상되기 대문에 부분교체가 불가능하다는 등 구조적으로 많은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실용 제20-2008-0004839호(2008년10월23일.공개) 한국 등록특허 제10-1030775호(2011년04월15일.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가 차선규제봉을 타이어가 밟고 지나가더라도 신속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하고, 조립구조에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튜브의 파손시 교체가 신속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세트앵커를 도로에 박음하였을 때 매립된 확장관이 상하부에서 확개되어 세트앵커가 도로에 견고하게 박음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여 튜브받침대가 견고하게 체결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은, 튜브의 하단에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를 결합하기 위한 걸림부와 받침부로 구성되고 체결용 암나사부가 구비된 튜브고정링과 상기 튜브고정링의 내부에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튜브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 및 받침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세트앵커에 설치하기 위한 암나사가 구비된 튜브받침대로 구성되며, 튜브받침대를 고정하기 위한 세트앵커는 확장관의 하부가 확개되도록 볼트의 하부에 구배부가 형성되고 확장관의 상부가 확개되도록 슬리브와 너트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의 실수나 운전미숙으로 차선규제봉을 타이어가 밟고 지나가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신속하게 입설되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도 차선규제봉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튜브가 파손될 시 신속하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튜브고정링과 튜브받침대는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특히, 세트앵커의 경우에는 도로에 박음되어 확장관이 상,하에서 확개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가압작용 또는 당기는 작용이 발생하여도 견고한 박음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규제봉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규제봉의 요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규제봉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규제봉의 작용을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차선규제봉(1)은, 튜브고정링(6)와 튜브받침대(12) 사이에 서 튜브(2)가 조립되고, 상기와 같이 튜브가 조립된 튜브받침대(12)를 세트앵커(20)에 조립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선규제봉(1)을 구성하는 튜브(2)의 하단에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3)가 결합되어 상부가 걸리고, 하부는 받쳐지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4)와 받침부(5)와 암나사부(7)가 내면에 형성된 튜브고정링(6)이 구성된다.
상기 튜브고정링(6)에 형성된 암나사부(7)에 체결하기 위한 수나사부(8)가 형성되고 튜브(2)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3)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9) 및 받침부(10)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세트앵커에 설치하기 위한 암나사(11)가 구비된 튜브받침대(12)가 구성된다.
튜브받침대(12)를 고정하기 위한 세트앵커(20)는 확장관(23)의 하부가 확개되도록 볼트(21)의 하부에 구배부(22)가 형성되고 그 위에 확장관(23)의 상부가 확개되도록 슬리브(24)와 너트(25)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50은 도로면, 51은 세트앵커 설치홈, 52는 나사부, 53은 체결공구 결합구멍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공기를 이용하여 도로면(50)에 세트앵커 설치홈(51)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세트앵커 설치홈(51)으로 나사부(52)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세트앵커(20)를 삽입하여 세트앵커(20)를 구성하는 나사부(52)가 도로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노출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트앵커(20)를 구성하는 볼트(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25)를 조여주면 볼트(21)가 상부로 당겨지는 작용을 하고 이러한 작용으로 볼트의 하부에 형성된 구배부(22)가 확장관(23)의 하부로 확개시키게 되고 한편, 슬리브(24)가 하강하여 확장관(23)의 상부를 확장시켜준다.
이상과 같이 세트앵커(20)를 구성하는 확장관(23)의 상부와 하부가 확개되어 세트앵커 설치홈(51)의 상하부의 내면을 파고들어가는 형태로 세트앵커(20)가 도로면(50)에 확실하게 설치된다.
이렇게 도로면에 세트앵커(20)가 설치되면, 플랜지(3)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9) 및 받침부(10)가 구비된 튜브받침대(12)의 중앙에 형성된 암나사(11)를 세트앵커(20)를 구성하는 볼트(21)의 상부 나사부(52)에 체결하는데, 이때 튜브받침대(12)에 형성된 체결공구 결합구멍(53)에 공구를 넣고 튜브받침대(12)를 회전시켜 체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튜브(2)의 하부를 튜브받침대(12)에 형성된 지지부(9)에 결합하여 플랜지(3)의 하단을 받침부(10)에 밀착시킨 다음, 튜브고정링(6)을 튜브의 상부에서 하부로 결합하여 걸림부(4)와 받침부(5) 사이에 플랜지(3)가 위치되게 한 후, 튜브고정링(6)에 형성된 암나사부(7)를 튜브받침대(12)에 형성된 수나사부(8)에 체결하는 것으로 차선규제봉(1)이 도로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할 수 있고 또 다른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튜브(2)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3)를 튜브고정링(6)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4)와 받침부(5) 사이에 결합시킨 다음, 튜브받침대(12)를 구성하는 수나사부(8)를 튜브고정링(6)에 형성된 암나사부(7)에 체결하여 튜브(2)의 하부 내면으로 튜브받침대(12)를 구성하는 지지부(9)가 결합되고, 받침부(10)가 플랜지(3)의 하단을 받쳐주도록 하여 튜브를 튜브고정링(6)과 튜브받침대(12)에 고정한 다음, 도로면에 세트앵커(20)가 설치되어 노출된 나사부(52)에 튜브받침대(12)의 중앙에 형성된 암나사(11)를 체결하는 것으로 차선규제봉(1)이 도로면에 설치된다.
이렇게 차선규제봉을 도로면에 설치하여 차선규제봉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중에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자동차 타이어가 차선규제봉을 밟고지나가면, 합성수지로 구성된 튜브(2)가 도로면에 밀착되었다가 합성수지 자체의 탄성에 의해서 최초의 상태로 세워지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동차 타이어에 합성수지로 구성된 튜브(2)가 눌려지면, 튜브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3)가 튜브고정링(6)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4)와 받침부(5) 및, 튜브받침대(12)를 구성하는 지지부(9)와 받침부(10)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튜브가 파손되었을 때에는 튜브고정링(6)에 형성된 암나사부(7)를 튜브받침대(12)를 구성하는 수나사부(8)에서 풀어주면, 튜브고정링(6)과 함게 튜브가 튜브받침대(12)에서 분리되므로 튜브(2)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3)를 튜브고정링(6)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4)와 받침부(5) 사이에서 빼내고 새 튜브를 결합시킨 다음 조립하면 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차선규제봉 2:튜브
3: 플랜지 4: 걸림부
5,10: 받침부 7: 암나사부
8: 수나사부 9: 지지부
11: 암나사 12: 튜브받침대
20: 세트앵커 23: 확장관

Claims (1)

  1. 튜브의 하단에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가 결합되어 상부가 걸리고 하부가 받쳐지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와 받침부(5)로 구성되고 체결용 암나사부가 구비된 튜브고정링과,
    상기 튜브고정링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하기 위한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튜브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 및 받침부(10)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세트앵커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암나사가 구비된 튜브받침대와,
    튜브받침대를 고정하기 위한 세트앵커는 확장관의 하부가 확개되도록 볼트의 하부에 구배부가 형성되고 확장관의 상부가 확개되도록 슬리브와 너트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KR1020160111302A 2016-08-31 2016-08-31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KR20180024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302A KR20180024658A (ko) 2016-08-31 2016-08-31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302A KR20180024658A (ko) 2016-08-31 2016-08-31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658A true KR20180024658A (ko) 2018-03-08

Family

ID=6172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302A KR20180024658A (ko) 2016-08-31 2016-08-31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6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5628A (zh) * 2020-08-10 2020-11-17 华蓝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可修复的装配式组合防撞护栏及其施工方法
KR102539324B1 (ko) * 2021-11-30 2023-06-02 (주)솔림 차선규제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5628A (zh) * 2020-08-10 2020-11-17 华蓝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可修复的装配式组合防撞护栏及其施工方法
KR102539324B1 (ko) * 2021-11-30 2023-06-02 (주)솔림 차선규제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4658A (ko) 튜브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KR20070065802A (ko) 배관 지지구
KR101873708B1 (ko) 도로용 시선유도봉 어셈블리
AU2010279851B2 (en) Separable lane-control bollard assembly
KR10190667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379245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CN105810092A (zh) 一种城市道路指示牌的紧固装置
KR101832618B1 (ko) 오뚜기 기능을 갖는 차선규제봉
KR101544516B1 (ko) 제거식 세트앙카볼트
CN105735165A (zh) 一种改良型道路交通指示牌紧固组件
KR100906411B1 (ko) 시선 유도봉
CN109958282B (zh) 混凝土框架用底托框架
KR20160003082U (ko) 전원공급레일용 고정구
KR101567705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KR101242716B1 (ko)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CN211572196U (zh) 一种用于集成吊顶龙骨安装的吊件
KR101445563B1 (ko) 가로보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1586298B1 (ko) 차선 규제봉
KR20160001505U (ko) 레저용 랜턴스탠드
CN109461367A (zh) 易拆卸标牌及其安装工艺
CN205116065U (zh) 一种道路桥梁防护栏支承底座
KR101578402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KR101578409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CN219069897U (zh) 套环窗帘杆
CN209947320U (zh) 一种新型led单色显示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