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348A - 의류 리프레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리프레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348A
KR20180024348A KR1020160110365A KR20160110365A KR20180024348A KR 20180024348 A KR20180024348 A KR 20180024348A KR 1020160110365 A KR1020160110365 A KR 1020160110365A KR 20160110365 A KR20160110365 A KR 20160110365A KR 20180024348 A KR20180024348 A KR 20180024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ort
hanger
moving moto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3162B1 (ko
Inventor
김종석
박대윤
양인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1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7/00Details of ironing machines provided for in groups D06F61/00, D06F63/00, or D06F65/00
    • D06F67/005Stands or cabin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9/00Iron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리프레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는,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오버랩되는 흡기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와 상기 흡기구를 연결하는 삽입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삽입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은 토출구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지지부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는 행거,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무빙 모터, 상기 무빙 모터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링크, 상기 지지부 내부에 형성되는 팬모터 및 상기 팬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지지부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리프레쉬 장치{CLOTHES REFRE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리프레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 건조 작업 및 의류 주름 제거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행하는 다림질은 세탁된 의복을 다림대판에 올려놓고 습기를 가한 후 각 부위별로 돌아가면서 다리미로 가압하여 주름을 펴는 작업을 의미한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을 이용한 다림질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다림질 방법은 주로 세탁된 옷을 다릴 때 사용되며, 한번 입었던 옷이나, 옷장 속에 보관하는 중에 주름이 잡힌 옷이나, 꾸겨진 옷의 경우에도 일일이 다림질을 한다는 것은 상당한 가사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직장인들을 포함하여 1인 1가족 세대가 많은 현대인들의 경우에는 퇴근 후 또는 저녁 시간에 다림질을 하기가 여의치 않다.
특히, 직장인의 경우에는 양복이나, 외출복, 바지 등을 하루종일 착용하고 근무를 수행하므로, 특정 부위, 즉, 상의의 경우 팔이 접히는 부분, 의자에 앉는 부분, 의자에 기대는 부분, 바지의 경우 무릎 부분에 주름이 집중적으로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다양한 의류 리프레쉬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서, '의류 리프레쉬'는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의류를 건조시킴으로써 의류를 다림질 또는 세탁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부여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의류 리프레쉬 장치(10)는 밀폐된 의류수용공간 및 걸고리부가 형성된 하우징(15), 하우징의 상부 내부에 형성된 진동 발생부(20), 진동 발생부(20)에 연결되며, 의류 수용공간에서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의류 리프레쉬 장치(10)는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5)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의류 리프레쉬 장치(10) 자체가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설치 공간에도 제약이 따른다.
또한 종래의 의류 리프레쉬 장치(10)는 거치부(25)에 진동을 발생시켜 의류를 흔들어주는 방식으로 의류의 주름을 제거한다. 즉, 거치부(25)가 진동 발생부(20)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것이 아니라 진동 발생부(20)에 고리를 통해 연결된 것인바, 거치부(25)가 흔들릴 때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10)가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작업만 수행할 뿐 의류를 건조시키는 작업은 수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류 리프레쉬 장치(10)를 통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한 후, 별도로 의류를 건조시키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나아가, 종래의 의류 리프레쉬 장치(10)는 진동 발생부(20)를 통해 거치부(25)를 흔들어주는 동작만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작거나 미세한 주름은 제거되었지만, 큰 주름은 제거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벽면 또는 공조기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한바, 종래에 비해 공간상 설치 장소의 제약이 적은 의류 리프레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행거를 지지부에 일체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행거를 흔들 때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 주름 제거 작업 및 의류 건조 작업을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의류를 보다 빠르게 리프레쉬할 수 있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 주름 제거 작업시 행거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의류의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밀폐된 캐비닛 또는 하우징을 필요로 하는바, 공간상 설치 장소의 제약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 공간을 포함하지 않고, 걸이부를 통해 벽면 또는 공조기에 설치됨으로써, 공간상 설치 장소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행거를 흔들 때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거를 지지부에 결합시킨다. 즉, 본 발명에서는, 행거의 고리 부분을 의류 리프레쉬 장치에 거치하는 구조 대신에 행거가 지지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행거가 흔들릴 때 고리 부분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의류 주름 제거 작업 및 의류 건조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빙 모터 및 팬모터를 포함함으로써, 의류 주름 제거 작업 및 의류 건조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의류 주름 제거 작업시 행거를 진동을 통해 흔들어주는 동작만 가능하여, 의류 주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 주름 제거 작업시 행거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과 동시에 행거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의류의 주름을 종래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조기 또는 벽면에 설치 가능한바, 공간상 설치 장소의 제약이 적다. 또한 본 발명이 걸이부를 통해 욕실 내 공조기에 설치되는 경우, 욕실 내 다습한 환경, 무빙 모터에 의한 흔드는 동작 및 공조기의 온풍이 시너지를 일으켜서 의류 리프레쉬 작업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공간상 설치 장소의 제약이 적은 이점을 이용하여 다수의 의류보다는 단일 의류의 주름 제거 및 건조에 집중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일 행거에 걸린 의류의 주름 제거 및 건조 작업에 집중하기 때문에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부피를 종래 기술 대비 저감할 수 있고, 휴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부피를 저감함으로써, 무빙 모터 및 팬모터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종래 기술 대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행거를 지지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행거를 흔들 때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행거가 흔들릴 때마다 고리 부분에 마찰이 생기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리 부분 마모로 인한 행거 교체 문제 및 이로 인한 교체 비용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빙 모터 및 팬모터를 통해 의류 주름 제거 작업 및 의류 건조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류 주름 제거 작업과 별도로 의류 건조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 주름 제거 작업시 행거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과 동시에 행거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의류의 주름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주름이 제거된 의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의류 리프레쉬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하우징 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의류 리프레쉬 장치를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가 공조기에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제어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하우징 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의류 리프레쉬 장치를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가 공조기에 장착된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3은 하우징(100) 내부의 일부 구성요소들이 생략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의류 리프레쉬 장치를 A-A' 방향으로 자르되, 무빙 모터 및 송풍팬이 배치되는 지지부 상단 부분은 B -B'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1)는 하우징(100), 삽입부(200), 지지부(300), 행거(400), 무빙 모터(500), 회전판(505), 링크(510, 520), 연결핀(540), 고정부(550), 팬모터(350), 송풍팬(360), 전원부(600), 걸이부(8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120)와,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형성되고 개구부(120)와 오버랩되는 흡기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개구부(120)와 흡기구(110)를 연결하도록 삽입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세로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하우징(100)의 개구부(120)와 삽입부(200) 사이에 지지부(30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측면에는 걸이부(80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의 일면은 하면일 수 있고, 타면은 상면일 수 있다.
하우징(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120)의 직경은 타면에 형성되는 흡기구(11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삽입부(200)의 외주면의 직경은 개구부(120)의 직경보다 작고, 흡기구(100)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이는 지지부(300)가 삽입부(200)와 개구부(120) 사이에 결합되기 때문이다. 물론, 개구부(120)의 직경은 흡기구(110)의 직경과 동일할 수도 있고, 흡기구(110)의 직경보다 작을 수도 있다.
또한 개구부(120)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이는, 개구부(120)와 삽입부(200)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부(300)의 상단의 단면이 원형이기 때문이다. 물론, 지지부(300)의 상단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경우 개구부(120)의 단면도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개구부(120)의 직경이 흡기구(110)의 직경보다 크고, 개구부(120)의 단면은 원형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00)의 타면에 형성되는 흡기구(110)는 복수의 흡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팬(360)에 의해 지지부(3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흡기구(110)를 통해 지지부(3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흡기구(110)에 형성된 복수의 흡기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지지부(3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흡기구(110)는 복수의 흡기공이 아닌 단일한 흡기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흡기구(110)는 복수의 흡기공 각각보다 직경이 큰 단일한 흡기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흡기구(110)가 복수의 흡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00)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측면에는 전원부(600)와 연결된 충전 포트(6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충전 포트(610)가 형성되는 측면은 걸이부(800)가 형성되는 측면과 다른 측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충전 포트(610)가 형성되는 측면은 걸이부(800)가 형성되는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충전 포트(610)가 형성되는 측면은 상면 또는 하면일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충전 포트(610)가 걸이부(800)가 형성되는 측면과 다른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삽입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개구부(120)와 흡기구(11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부(200)는 상, 하면이 개방된 형태이고, 내부가 빈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삽입부(200)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삽입부(200)의 상면과 하면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바, 흡기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삽입부(200)를 통과하여 지지부(300)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삽입부(200)의 외주면의 직경은 흡기구(110)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고, 개구부(12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삽입부(200)와 개구부(120) 사이에 지지부(300)가 결합되기 때문이다.
삽입부(200)는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드 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00)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210)은 후술하는 지지부(300)의 슬라이드 돌기(310)와 결합되는바, 지지부(300)는 삽입부(200)와 결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300)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일단은 삽입부(200)와 개구부(120)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은 토출구(3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00)의 일단은 삽입부(200)와 개구부(120) 사이에 결합되는 상단이고, 타단은 토출구(310)를 포함하는 하단일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부(300)의 상단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이는, 지지부(300)가 무빙 모터(50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지지부(300)의 상단이 삽입부(2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해야하기 때문이다. 물론 지지부(300)의 상단의 단면은 다른 모양일 수도 있으나, 지지부(300)의 상단의 단면이 다른 모양인 경우, 이에 맞추어, 개구부(120) 또는 삽입부(200)의 단면도 다른 모양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00)는 상단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310)를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드 돌기(310)를 통해 삽입부(200)의 슬라이드 홈(21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300)의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300)의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폭은 지지부(300)의 상단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물론, 지지부(300)의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단면도 원형일 수 있고, 지지부(300) 전체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는, 지지부의 상단의 단면은 원형이고, 지지부(300)의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단면은 사각형이며, 지지부(300)의 상단의 폭이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폭보다 넓은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토출구(310)는 지지부(300)의 타단 즉, 지지부(3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구(310)는 지지부(300)의 하단의 전면 및 측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송풍팬(360)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행거(400)에 거치되어 있는 의류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토출구(310)는 지지부(300)의 하단의 전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토출구(310)의 위치가 지지부(300)의 하단의 전면 및 측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토출구(310)가 지지부(300)의 하단의 전면 및 측면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구(310)는 송풍팬(360)에 의해 지지부(3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는 부분이다. 즉, 송풍팬(360)에 의해 생성된 바람이 토출구(310)를 통해 의류에 제공됨으로써, 의류 건조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행거(400)는 지지부(300)에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일면과 지지부(300)의 타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행거(400)는 지지부(30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며, 지지부(300)를 기둥으로 하여, 양 옆으로 대칭되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행거(400)는 의류를 거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지지부(30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바, 지지부(300)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물론, 행거(400)는 지지부(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행거(400)가 지지부(30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무빙 모터(500)는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어, 지지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빙 모터(500)는 회전판(505)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판(505)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판(505)과 연결된 링크(510, 520)도 같이 이동하게 되고, 링크(510, 520)의 이동을 통해, 지지부(300)가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지지부(300)는 무빙 모터(50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회전판(505)은 무빙 모터(500)의 하단에 형성되고, 무빙 모터(50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판(505)은 무빙 모터(500)에 연결되고, 무빙 모터(500)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505)은 연결핀(540)을 통해 제1 링크(51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505)의 회전 방향을 따라 링크(510, 520)가 이동하게 되고, 링크(510, 520)의 이동을 통해 지지부(300)가 회전하게 된다.
링크(510, 520)는 무빙 모터(500)와 지지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510, 520)는 회전축 나사(530)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링크(510) 및 제2 링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링크(510)는 일단이 회전판(505)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링크(520)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 링크(520)는 일단이 제1 링크(51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510)는 연결핀(540)을 통해 회전판(505)과 연결될 수 있다.
무빙 모터(500)의 회전 및 이에 따른 제1 링크(510) 및 제2 링크(520)의 이동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연결핀(540)은 회전판(505)과 링크(510, 52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핀(540)은 연결핀 헤드(543)와 연결핀 헤드(543)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핀 바디(547)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핀 헤드(543)는 회전판(505)과 연결되고, 연결핀 바디(547)는 제1 링크(51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핀 헤드(543)는 고정부(550)의 고정턱(557)을 통해 회전판(50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부(550)는 고정부 바디(553)와 고정부 바디(553)의 하부에 형성되어 연결핀 헤드(543)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턱(55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 바디(553)는 회전판(505) 하부에 고정되어, 연결핀 헤드(543)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고정턱(557)은 고정부 바디(553)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연결핀 헤드(543)의 아래 부분을 지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연결핀 헤드(543)가 회전판(50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부 바디(553)의 세로 방향 폭은 연결핀 헤드(543)의 세로 방향 폭과 동일할 수 있다.
팬모터(350)는 지지부(3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모터(350)는 지지부(300) 내부에 형성되고, 송풍팬(36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팬모터(350)는 지지부(300)의 상단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송풍팬(360)을 구동시킨다.
송풍팬(360)은 팬모터(350)에 의해 구동되어 흡기구(110)를 통해 지지부(300)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토출구(310)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 즉, 송풍팬(360)은 팬모터(350)와 연결되고, 의류에 제공되는 바람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송풍팬(360)에 의해 지지부(3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흡기구(110)를 통해 삽입부(200)를 거쳐서 지지부(300)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송풍팬(360)은 복수의 회전날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송풍팬(360)은 복수의 회전날이 아닌 단일 회전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부(600)는 하우징(100) 내에 형성되고, 무빙 모터(500) 및 팬모터(3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600)는 예를 들어, 배터리일 수 있다. 또한 전원부(600)는 충전 포트(610)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즉, 전원부(600)는 충전 포트(610)를 통해 충전된 전력을 무빙 모터(500) 및 팬모터(35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원부(60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무빙 모터(500) 및 팬모터(350)와 전선(미도시)과 같은 연결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600)는 무선 충전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600)가 무선 충전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경우, 충전 포트(610)를 통하지 않고도 충전 가능하다.
걸이부(800)는 하우징(100)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이부(800)는 벽면 또는 공조기와 같은 다른 기구에 의류 리프레쉬 장치(1)를 설치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의류 리프레쉬 장치(2)가 걸이부(800)를 통해 공조기(900)에 설치되는 경우, 공조기에서 제공되는 온풍 또는 냉풍은 걸이부(800)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통과하여 의류(920)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의류 리프레쉬 장치(1)는 걸이부(800)를 통해 공조기(900)의 거치부(910)에 설치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조기의 온풍 또는 냉풍을 이용하여 의류 건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제어 신호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제어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참고로, 입력부(50) 및 제어부(7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의류 리프레쉬 장치(1)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입력부(50)는 예를 들어, 의류 리프레쉬 장치(1)의 외관, 즉, 하우징(100) 또는 지지부(300)의 외면에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입력부(50)가 예를 들어, 의류 리프레쉬 장치(1) 내부, 즉, 하우징(100) 내부에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입력부(50)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부(50)는 사용자로부터 무빙 모터(500) 및 팬모터(350)의 작동 모드에 대한 입력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입력을 제어부(7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입력부(50)로부터 제공받은 입력을 토대로 무빙 모터(500) 또는 팬모터(350)를 제어할 수 있다.
무빙 모터(500)는 제어부(70)로부터 제공받은 작동 모드에 대한 입력을 토대로 회전판(505)을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부(300)에 결합된 행거(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무빙 모터(500)의 작동 모드는 다수의 작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작동 모드에 따라, 회전판(505)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팬모터(350)는 제어부(70)로부터 제공받은 작동 모드에 대한 입력을 토대로 송풍팬(360)을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부(300)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즉, 팬모터(350)는 송풍팬(360)을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부(300) 내부로 흡입되는 바람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팬모터(350)의 작동 모드는 다수의 작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작동 모드에 따라, 송풍팬(360)의 회전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참고로, 회전판(505)의 회전 방향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회전판(50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판(50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행거(4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했다가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제1 링크(510)는 회전판(505)에 고정되어 있는바, 회전판(505)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 나사(530)를 통해 제1 링크(510)와 연결된 제2 링크(520)도 제1 링크(510)의 이동 위치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다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2 링크(520)의 이동 방향은 지지부(300), 즉, 행거(400)의 회전 방향을 이끌게 된다. 따라서, 제2 링크(520)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행거(40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링크(520)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행거(40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1)는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밀폐된 캐비닛 또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대신에, 공조기와 같은 기구 또는 벽면에 설치 가능한 걸이부(800)를 포함한다. 즉, 의류 리프레쉬 장치(1)는, 걸이부(800)를 통해 벽면 또는 공조기와 같은 기구에 설치됨으로써, 공간상 설치 장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의류 리프레쉬 장치(1)가 걸이부(800)를 통해 욕실 내 공조기에 설치되는 경우, 욕실 내 다습한 환경, 무빙 모터(500)에 의한 흔드는 동작 및 공조기의 온풍이 시너지를 일으켜서 의류 리프레쉬 작업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의류 리프레쉬 장치(1)는, 공간상 설치 장소의 제약이 적은 이점을 이용하여 다수의 의류보다는 단일 의류의 주름 제거 및 건조에 집중한다. 즉, 의류 리프레쉬 장치(1)는, 단일 행거에 걸린 의류의 주름 제거 및 건조 작업에 집중하기 때문에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부피를 종래 기술 대비 저감할 수 있고, 휴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의류 리프레쉬 장치(1)는 부피 저감을 통해 무빙 모터(500) 및 팬모터(350)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종래 기술 대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1)는 지지부(300)에 결합된 행거(400)를 포함한다. 즉, 의류 리프레쉬 장치(1)는, 행거의 고리 부분을 의류 리프레쉬 장치에 거치하는 구조 대신에 행거(400)가 지지부(300)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행거가 흔들릴 때 고리 부분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의류 리프레쉬 장치(1)는 고리 부분 마모로 인한 행거 교체 문제 및 이로 인한 교체 비용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1)는 무빙 모터(500) 및 팬모터(350)를 포함함으로써, 의류 주름 제거 작업 및 의류 건조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리프레쉬 장치(1)는 사용자가 의류 주름 제거 작업 및 의류 건조 작업을 별개로 해야 하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1)와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하고는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의류 리프레쉬 장치(2)의 삽입부(200)는 외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나사형 슬라이드 홈(220)을 포함하고, 지지부(300)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형 슬라이드 돌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의류 리프레쉬 장치(1)와 달리, 도 10의 의류 리프레쉬 장치(2)에서는, 지지부(300)가 나사형 슬라이드 홈(220)을 따라 회전하면서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세로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하는바, 지지부(300)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나사형 슬라이드 돌기(320)는 나사형 슬라이드 홈(220)과 암수 관계로 서로 맞물려 돌아갈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지지부(300)의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기 위해, 도 10의 의류 리프레쉬 장치(2)는 도 1의 의류 리프레쉬 장치(1)와 다른 연장형 고정부(560) 및 연장형 연결핀(5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형 고정부(560)는 고정부 바디(563) 및 고정턱(567)을 포함할 수 있고, 연장형 연결핀(570)은 연결핀 헤드(573) 및 연결핀 바디(57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부 바디(563)의 세로 방향 폭은 연결핀 헤드(573)의 세로 방향 폭보다 넓고, 연결핀 바디(577)의 세로 방향 폭은 고정턱(567)의 세로 방향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이는 지지부(3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 지지부(300)와 연결된 제1 링크(510) 및 제2 링크(520)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링크(510)와 연결된 연장형 연결핀(570)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즉, 지지부(30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위해, 연장형 연결핀(570)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의류 리프레쉬 장치(2)의 고정부 바디(563)는 연결핀 헤드(573)의 세로 방향 폭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연장형 연결핀(57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고정부 바디(563)의 세로 방향 폭은 연결핀 바디(577)의 세로 방향 폭과 동일하고, 고정턱(567)의 세로 방향 폭은 연결핀 헤드(573)의 세로 방향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물론, 고정부 바디(563)의 세로 방향 폭은 고정턱(567)의 세로 방향 폭보다 넓을 수 있고, 연결핀 바디(577)의 세로 방향 폭은 연결핀 헤드(573)의 세로 방향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여기에서, '동일하다'의 의미는 제조 공정상 오차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의류 리프레쉬 장치(2)의 행거(4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도 9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판(50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행거(4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다가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만, 도 11에서는, 행거(4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이동하는 모습에 중점을 두고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11에서는 행거(4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삽입부(200)의 나사형 슬라이드 홈(220)의 모양에 따라 행거(400)는 반시계 방향이 아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이동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행거(4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무빙 모터(500)는 회전판(505)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9에서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회전판(50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행거(40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링크(510)는 회전판(505)에 고정되어 있는바, 회전판(505)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 나사(530)를 통해 제1 링크(510)와 연결된 제2 링크(520)도 제1 링크(510)의 이동 위치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 링크(520)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지지부(300)는 제2 링크(520)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부(300)에 결합된 행거(40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300)는 도 1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200)의 나사형 슬라이드 홈(220)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지지부(300)의 반시계 방향 회전시, 나사형 슬라이드 돌기(320)는 나사형 슬라이드 홈(22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행거(4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면, 의류 리프레쉬 장치(2)의 행거(4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2는 도 11의 연장선 상의 도면이며, 도 11에서 회전판(50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행거(40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부분까지의 모습이 서술되었다면, 도 12에서는, 행거(400)가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서술하고자 한다.
한편, 도 11에서는 행거(4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아래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삽입부(200)의 나사형 슬라이드 홈(220)의 모양에 따라 행거(400)는 시계 방향이 아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아래로 이동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행거(4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아래로 이동하는 모습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무빙 모터(500)는 회전판(505)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9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판(50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행거(4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했다가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12에서는, 행거(400)가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부분이 서술되어 있고, 이를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링크(510)는 회전판(505)에 고정되어 있는바, 회전판(505)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 나사(530)를 통해 제1 링크(510)와 연결된 제2 링크(520)도 제1 링크(510)의 이동 위치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 링크(520)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지지부(300)는 제2 링크(520)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부(300)에 결합된 행거(40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300)는 도 1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200)의 나사형 슬라이드 홈(220)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지지부(300)의 시계 방향 회전시, 나사형 슬라이드 돌기(320)는 나사형 슬라이드 홈(22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행거(4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2)는 의류 주름 제거 작업시 행거(400)를 흔들어주는 동작과 동시에 행거(4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의류의 주름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의류 리프레쉬 장치(2)는 사용자에게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주름이 제거된 의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2)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리프레쉬 장치(1)의 효과도 동일하게 가지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8)

  1.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오버랩되는 흡기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와 상기 흡기구를 연결하는 삽입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삽입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은 토출구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지지부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는 행거;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무빙 모터;
    상기 무빙 모터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링크;
    상기 지지부 내부에 형성되는 팬모터; 및
    상기 팬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지지부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모터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무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을 더 포함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회전축 나사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일단이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링크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복수의 흡기공을 포함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지지부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삽입부를 거쳐서 상기 지지부 내부로 제공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무빙 모터 및 상기 팬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지지부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모터 및 팬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입력을 제공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는 상단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 홈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타면 사이의 측면에 형성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11.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외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나사형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는 삽입부;
    내주면을 따라 상기 나사형 슬라이드 홈에 결합되는 나사형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삽입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지지부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행거;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무빙 모터; 및
    상기 무빙 모터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나사형 슬라이드 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내부에 형성되는 팬모터; 및
    상기 팬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오버랩되는 흡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상단은 상기 흡기구와 연결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단은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지지부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슬라이드 홈의 상기 세로 방향 폭은 상기 나사형 슬라이드 돌기의 상기 세로 방향 폭보다 넓은 의류 리프레쉬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모터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무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과 상기 링크를 연결하는 연장형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을 고정시키는 연장형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형 연결핀은 연결핀 헤드와, 상기 연결핀 헤드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형 고정부는 고정부 바디와, 상기 고정부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 헤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턱을 포함하는 의류 리프레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바디의 상기 세로 방향 폭은 상기 연결핀 헤드의 상기 세로 방향 폭보다 넓고,
    상기 연결핀 바디의 상기 세로 방향 폭은 상기 고정턱의 상기 세로 방향 폭보다 넓은 의류 리프레쉬 장치.
KR1020160110365A 2016-08-29 2016-08-29 의류 리프레쉬 장치 KR102523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365A KR102523162B1 (ko) 2016-08-29 2016-08-29 의류 리프레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365A KR102523162B1 (ko) 2016-08-29 2016-08-29 의류 리프레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348A true KR20180024348A (ko) 2018-03-08
KR102523162B1 KR102523162B1 (ko) 2023-04-17

Family

ID=6172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365A KR102523162B1 (ko) 2016-08-29 2016-08-29 의류 리프레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1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60A1 (en) * 2020-09-04 2022-03-1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20120818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트래딧 의류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
CN115125712A (zh) * 2022-06-17 2022-09-30 杭州乐妍服装有限公司 一种用于服装生产的摆动式吹干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210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식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200441938Y1 (ko) * 2008-06-12 2008-09-22 김국환 빨래 건조용 열풍 건조장치
KR200450902Y1 (ko) * 2008-08-21 2010-11-09 김현우 의복건조장치
KR20150059197A (ko) * 2013-11-21 2015-06-0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물을 꺼내기 쉬운 전자동 세탁기
KR20150004095U (ko) * 2014-04-30 2015-11-09 장규환 옷장 내부에 먼지떨이 기능을 갖는 옷걸이 봉을 갖는 옷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210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식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200441938Y1 (ko) * 2008-06-12 2008-09-22 김국환 빨래 건조용 열풍 건조장치
KR200450902Y1 (ko) * 2008-08-21 2010-11-09 김현우 의복건조장치
KR20150059197A (ko) * 2013-11-21 2015-06-0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물을 꺼내기 쉬운 전자동 세탁기
KR20150004095U (ko) * 2014-04-30 2015-11-09 장규환 옷장 내부에 먼지떨이 기능을 갖는 옷걸이 봉을 갖는 옷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60A1 (en) * 2020-09-04 2022-03-1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976412B2 (en) 2020-09-04 2024-05-0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20120818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트래딧 의류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
CN115125712A (zh) * 2022-06-17 2022-09-30 杭州乐妍服装有限公司 一种用于服装生产的摆动式吹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162B1 (ko)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9767B2 (ja) 送風装置および当該送風装置が装着される衣服
RU25120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EP2692939A1 (en) Dryer-iron single-body machine
EP2392721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180024348A (ko) 의류 리프레쉬 장치
KR10167228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24400B1 (ko) 빨래 건조기
US8621892B2 (en) Cloth treating apparatus
AU2015309202A1 (en) Laundry dryer
KR20220161137A (ko) 의류처리장치
US20180340290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408117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9208334A1 (ja) 乾燥装置
EP2436831A1 (en) Laundry drying processor
CN109082849A (zh) 壁装式洗衣机及其后面板
KR20110099913A (ko) 의류처리장치
CN112301685B (zh) 一种干衣机
CN106930079B (zh) 具有烘干功能的衣物处理装置
JP5449919B2 (ja) 洗濯機
CN220876178U (zh) 吹风结构
JP2013192659A (ja) 乾燥機
CN220665753U (zh) 衣架及衣物护理机
EP4428290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130037573A (ko) 의류건조기
CN112301701A (zh) 一种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