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141A -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141A
KR20180024141A KR1020160109769A KR20160109769A KR20180024141A KR 20180024141 A KR20180024141 A KR 20180024141A KR 1020160109769 A KR1020160109769 A KR 1020160109769A KR 20160109769 A KR20160109769 A KR 20160109769A KR 20180024141 A KR20180024141 A KR 20180024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박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우 filed Critical 박정우
Priority to KR1020160109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141A/ko
Publication of KR2018002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천연 혼합물은 오트밀, 백복령, 감초, 당귀, 백수오, 해삼, 다시마, 미역, 김 및 미강을 혼합한 것이며, 이는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PA comprising natural mixture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조직 중 직접적으로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인체의 내부와 외부환경 사이의 방어벽 역할을 하여 화학물질이나 자외선을 포함한 외부 환경오염 물질 및 미생물의 침입을 방어함으로써 주위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한다. 또한 피부는 멜라닌, 헤모글로빈(hemoglobin), 카로틴(carotene) 등에 의해 색이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도 멜라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것 이외에도 자외선 흡수 작용, 자유 라디칼 소거제(free radical scavenger) 등과 같은 피부 보호 작용을 수행한다. 그러나 자외선의 과다 노출, 대기 오염, 스트레스 등과 같은 외부의 환경 변화에 의하여 멜라닌이 과다하게 생성되면 피부 내에서 색소 침착 현상을 일으켜 피부의 흑화(melanism) 또는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이 된다. 피부의 흑화는 내적 및 외적 요인에 대한 피부 세포의 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요인은 자외선 노출로 인한 것이다. 즉,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가 활성화되는데, 상기 티로시나아제가 피부조직에 존재하는 티로신에 작용하여 도파(DOPA) 및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는 산화 과정에 의하여, 피부 색소 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내의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멜라닌이라는 중합체가 합성되며, 이러한 멜라닌이 피부의 각질 형성 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로 전달되고 각질화 과정에 의해 피부 표면에 도달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게 된다. 따라서, 멜라닌은 우리 인체에 없어서는 안되는 자외선 방어제이며, 또한 단백질, 지질, 핵산 등과 같은 생체성분을 변형시키는 다양한 라디칼을 제거하는 효과적인 자유 라디칼 소거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멜라닌이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합성되거나, 피부 병변 및 노화에 따른 피부의 생리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멜라닌이 피부 표면에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 및 다양한 색소 침착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부 흑화의 원인과 기작이 밝혀지면서, 미백 화장료의 제조에 있어 피부 흑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물질들을 화장료에 배합하거나, 또는 멜라닌 생성 과정 중에서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합성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코직산, 비타민 유도체, 알부틴, BHT(dibutylated hydroxytoluene) 등은 가격도 저렴하고 항산화 활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지만, 과다 사용하게 되면 질병을 유발하는 등 안전성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사용량을 규제하고 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천연물로부터 기능성 성분의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관련 기술의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1492196호에는 백복령 및 감초를 포함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549447호에는 감초 및 당귀를 포함하는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8-0111813호에는 해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본원 발명의 오트밀, 백복령, 감초, 당귀, 백수오, 해삼, 다시마, 미역, 김 및 미강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아직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천연 혼합물은 오트밀, 백복령, 감초, 당귀, 백수오, 해삼, 다시마, 미역, 김 및 미강을 혼합한 것이며, 이를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 혼합물은 오트밀, 백복령, 감초, 당귀, 백수오, 해삼, 다시마, 미역, 김 및 미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 혼합물은 오트밀 25~35 중량%, 백복령 15~25 중량%, 감초 15~20 중량%, 당귀 3~7 중량%, 백수오 5~15 중량%, 해삼 2~5 중량%, 다시마 2~5 중량%, 미역 2~5 중량%, 김 1~2 중량% 및 미강 5~8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트밀, 백복령, 감초, 당귀, 백수오, 해삼, 다시마, 미역, 김 및 미강으로 이루어진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피부 미백을 위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오트밀, 백복령, 감초, 당귀, 백수오, 해삼, 다시마, 미역, 김 및 비강으로 이루어진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 사진이다.
아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트밀 25~35 중량%, 백복령 15~25 중량%, 감초 15~20 중량%, 당귀 3~7 중량%, 백수오 5~15 중량%, 해삼 2~5 중량%, 다시마 2~5 중량%, 미역 2~5 중량%, 김 1~2 중량% 및 미강 5~8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트밀은 귀리를 분쇄하여 가루 형태로 가공한 것으로, 피부 보습, 각질 제거, 미백 등에서 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트밀의 사용량은 25~35 중량%가 바람직하며, 3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백복령은 1~2년 지난 베어낸 소나무에서 기생하는 버섯으로, 예로부터 백복령은 기미에 효과가 있어 민간에서는 많이 이용되는 천연팩 재료이고, 기혈의 순환을 돕고 신진 대사를 원활하게 해주고 다당류, 유기산, 레시틴, 무기질 등이 있어 여드름, 기미에도 좋을 뿐 아니라 특히 임산부의 주근깨 예방, 미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복령의 사용량은 15~25 중량%가 바람직하며, 2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감초는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뿌리를 국로(國老)라고 하며 그 맛이 달아 감초라고 불리고, 주로 소화기, 순환계, 이비인후과 질환을 다스리는 약재로 이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여드름, 아토피, 건성 피부에도 좋은 한방 재료이다. 특히 얼굴이 울긋불긋한 피부에 좋아서 피부톤을 맑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초의 사용량은 15~20 중량%가 바람직하며, 18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당귀는 깊은 산속에서 자생하나 주로 재배되며, 주성분은 정유, 자궁흥분성 성분, 자당, 비타민 E 등이 있고, 핏속의 노폐물과 독소를 피부 밖으로 배출시켜 잡티 등의 문제를 일으킨 근본 원인을 치유함으로써 잡티를 서서히 옅어지게 만들고, 디톡스 효과가 뛰어나 봄철 생기기 쉬운 잡티, 화장독을 가라앉혀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당귀의 사용량은 3~7 중량%가 바람직하며, 5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백수오는 예로부터 흰머리를 검게 만들고 탈모를 방지하며 산삼과 견줄 만한 자양강장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약용식물로, 피부를 밝게 하는 미백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수오의 사용량은 5~15 중량%가 바람직하며, 1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해삼은 해삼강에 속하는 극피동물의 총칭으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켜 미백 효능이 있을 뿐 아니라 보습, 주름 및 피부장벽 개선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삼의 사용량은 2~5 중량%가 바람직하며, 3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다시마는 갈조식물문 다시마과에 속하는 갈조류로, 피부의 열을 내려 피부 트러블 및 피지 제거 효과가 있으며, 천연보습성분, 미네랄 성분, 비타민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시마의 사용량은 2~5 중량%가 바람직하며, 3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미역은 갈조식물문 미역과에 속하는 갈조류로, 피부 진정 및 피부의 영양 공급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역의 사용량은 2~5 중량%가 바람직하며, 3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김은 보라털과에 속하는 해조로, 피부의 열을 내려 피부 트러블 및 피지 제거 효과가 있으며, 천연보습성분, 미네랄 성분, 비타민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김의 사용량은 1~2 중량%가 바람직하며, 1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미강은 쌀의 도정과정에서 발생되며, 주로 쌀눈과 쌀겨로 구성되고,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피부 영양공급, 미백 효과, 기미 잡티 제거, 노화피부 방지, 각질 제거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강의 사용량은 5~8 중량%가 바람직하며, 7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트밀, 백복령, 감초, 당귀, 백수오, 해삼, 다시마, 미역, 김 및 미강은 건조 과정을 거쳐 당업계에서 알려진 분쇄 방법, 예를 들면 고속 분쇄기로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 곡물 분말의 입자 직경은 10~100㎛가 바람직하며, 10㎛ 미만인 입자 직경을 갖는 분말을 사용했을 때 피부 흡수, 각질 제거 효과를 볼 수 없고, 100㎛를 초과하는 입자 직경을 갖는 분말은 피부에 바를 시 물리적 자극이 커 피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미백 활성 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피부 미백 활성 성분으로는 코지산 및 이의 유도체,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및 이의 유도체, 레조르시놀, 사이클로알카논, 메틸렌디옥시페닐 알칸올, 2,7-디니트로인다졸 또는 덩굴귤 추출물, 쌀 추출물과 같은 식물 추출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트밀, 백복령, 감초, 당귀, 백수오, 해삼, 다시마, 미역, 김 및 미강을 건조하여 15~30㎛의 입자직경으로 분쇄한 후, 오트밀 30 중량%, 백복령 20 중량%, 감초 18 중량%, 당귀 5 중량%, 백수오 10 중량%, 해삼 3 중량%, 다시마 3 중량%, 미역 3 중량%, 김 1 중량%, 미강 7 중량%로 혼합하여 파우더 제형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파우더 제형은 도 1과 같다.

Claims (2)

  1. 오트밀, 백복령, 감초, 당귀, 백수오, 해삼, 다시마, 미역, 김 및 미강으로 이루어진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혼합물은 오트밀 25~35 중량%, 백복령 15~25 중량%, 감초 15~20 중량%, 당귀 3~7 중량%, 백수오 5~15 중량%, 해삼 2~5 중량%, 다시마 2~5 중량%, 미역 2~5 중량%, 김 1~2 중량% 및 미강 5~8 중량%으로 이루어진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09769A 2016-08-29 2016-08-29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4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69A KR20180024141A (ko) 2016-08-29 2016-08-29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69A KR20180024141A (ko) 2016-08-29 2016-08-29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141A true KR20180024141A (ko) 2018-03-08

Family

ID=6172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769A KR20180024141A (ko) 2016-08-29 2016-08-29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1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19B1 (ko) * 2018-06-04 2019-11-06 주식회사 익스플즌 피부 상처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10613675A (zh) * 2019-10-28 2019-12-27 烟台华康海洋食品有限公司 一种海参洗面奶配方及制作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419B1 (ko) * 2018-06-04 2019-11-06 주식회사 익스플즌 피부 상처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10613675A (zh) * 2019-10-28 2019-12-27 烟台华康海洋食品有限公司 一种海参洗面奶配方及制作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507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01026670A1 (fr) Agents de soin de la peau, agents anti-ages pour la peau, agents de blanchiment de la peau et preparations pour la peau, a usage externe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6428B1 (ko) 해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4240A (ko)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2811A (ko) 녹차추출물의 효모발효액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4141A (ko) 천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7129B1 (ko) 구주소나무 솔방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94832A (ko) 여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위한 여주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021580B1 (ko) 콩나물 및 콩나물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45642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6227B1 (ko) 나도개감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5485B1 (ko)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5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4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6678A (ko) 참지네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방법
KR102051581B1 (ko) 프리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27080B1 (ko) 백장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가르타닌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5643B1 (ko) 닻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2714A (ko) 미더덕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또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