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398A - 멀티 에어컨 - Google Patents

멀티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398A
KR20180023398A KR1020160108624A KR20160108624A KR20180023398A KR 20180023398 A KR20180023398 A KR 20180023398A KR 1020160108624 A KR1020160108624 A KR 1020160108624A KR 20160108624 A KR20160108624 A KR 20160108624A KR 20180023398 A KR20180023398 A KR 20180023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lenoid valve
refrigerant
indoor unit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호
김재덕
박정렬
전재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60108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3398A/ko
Publication of KR20180023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25B41/003
    • F25B41/04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2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between evaporator and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with bypasses
    • F25B2313/0232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with bypasses dur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9Improving heat transf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에어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멀티 에어컨은,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로 공급하도록 가설되는 실외배관; 상기 실외기의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밸브를 거쳐 제1실내기 및 제2실내기로 공급하도록 가설되는 제1인입배관 및 제2인입배관; 상기 제1실내기 및 제2실내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토출하는 제1토출배관 및 제2토출배관; 상기 실외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인입배관의 팽창밸브의 토출구 측에 연결되는 제1바이패스배관; 상기 제2토출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인입배관의 팽창밸브의 인입구 측에 연결되는 제2바이패스배관; 상기 제2토출배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토출배관의 냉매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1바이패스배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외배관에 흐르는 냉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바이패스배관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2바이패스배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토출배관에 흐르는 냉매가 상기 제2바이패스배관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압축기의 구동 상태 및 상기 제1실내기의 시간 대비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제1,2,3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에어컨{MULTI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멀티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격능력 이상의 부하에 대비할 수 있는 멀티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Air conditioner)은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온도를 저하시키고, 온도가 저하된 찬 공기를 실내로 재 송풍함으로써 실내를 냉방시키는 기기이다.
즉, 냉각사이클을 이용하는 에어컨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축기(compressor)에서 냉매를 압축하면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압축기에서 응축기(condenser)로 들어가고, 상기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가 응축기를 유동하면서 열을 밖으로 방출하여 기체상태의 냉매가스가 응축되면서 상태 변화가 일어난다. 이런 과정에서 냉매는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하게 되고,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액체 상태의 냉매가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과하면서 상기 액체 상태의 냉매는 다시 기체 상태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냉매는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가 증발기(evaporation)를 통과하면서 실내 온도와 열교환을 통하여 저온 저압의 기체가 액체 상태로 변화하여 최종으로 압축기로 들어가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에어컨은 설치 위치에 따라 벽에 부착시키는 벽걸이형 에어컨과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에어컨 및 실내의 바닥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스탠드형 에어컨 등으로 그 종류가 구분된다.
또한, 에어컨은 크게 실내기와 실외기로 나누어지고, 이 실내기와 실외기가 한 몸체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일체형 에어컨이라 하며, 각각 별도로 설치된 것을 분리형 에어컨이라 한다. 일체형 에어컨으로는 창문형 에어컨이 사용되며, 분리형 에컨으로는 룸 에어컨(Room Air Conditioner, RAC)과 패키지 에어컨(Package Air Conditioner, PAC)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분리형 에어컨은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를 통해 실내기의 증발기에서 다시 기화시켜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실내를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분리형 에어컨의 일종인 멀티 에어컨은 실외에 하나 이상의 압축기를 설치하고, 다수개의 실내기를 냉방시켜야 할 다수의 공간 각각에 설치하여 실내를 냉방시키는 것이다.
한편, 에어컨은 정격능력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높은 부하에 의해서 에어컨의 능력이 부족하게 된다. 예를 들어, 폭염의 날씨에 거실에 사람이 많이 모이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에어컨의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즉, 과부하가 발생하면 에어컨이 설치된 곳의 온도가 설정치 만큼 낮아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9988호(공개일 : 2009.07.01.공개)인 "멀티에어컨의 냉매 분배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정격능력 이상의 부하가 발생한 경우, 부하에 대응하여 에어컨의 능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멀티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 에어컨은,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로 공급하도록 가설되는 실외배관; 상기 실외기의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밸브를 거쳐 제1실내기 및 제2실내기로 공급하도록 가설되는 제1인입배관 및 제2인입배관; 상기 제1실내기 및 제2실내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토출하는 제1토출배관 및 제2토출배관; 상기 실외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인입배관의 팽창밸브의 토출구 측에 연결되는 제1바이패스배관; 상기 제2토출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인입배관의 팽창밸브의 인입구 측에 연결되는 제2바이패스배관; 상기 제2토출배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토출배관의 냉매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1바이패스배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외배관에 흐르는 냉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바이패스배관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2바이패스배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토출배관에 흐르는 냉매가 상기 제2바이패스배관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압축기의 구동 상태 및 상기 제1실내기의 시간 대비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제1,2,3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상기 제1실내기의 온도가 일정 시간 대비 설정치 이상으로 변화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일정 시간 이내에 정지하거나,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상기 제1실내기의 온도가 일정 시간 대비 설정치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닫고,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는 노멀 클로즈(normal close)형 밸브로 형성되고,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는 노멀 오픈(normal open)형 밸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인입배관에서 상기 제2바이패스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의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로 냉매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은, 정격능력 이상의 부하가 발생한 경우, 부하에 대응하여 에어컨의 능력을 상승시킴으로써, 과부하 상태에서도 실내 온도를 원하는 만큼 낮출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의 냉매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의 냉매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멀티 에어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은, 압축기(110)와 상기 압축기(110)에 연결되는 응축기(120)를 포함하는 실외기(100)와, 상기 실외기(100)에 연결되는 제1열교환기(220)를 구비하는 제1실내기(200) 및 제2열교환기(320)를 구비하는 제2실내기(300)를 포함하며, 냉매가 흐르는 배관들에 위치한 솔레노이드밸브(310, 140, 330)의 개폐 및 압축기(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열교환기(220) 및 제2열교환기(320)가 제1실내기(200) 및 제2실내기(300)에 포함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제1열교환기(220) 및 제2열교환기(320) 자체가 제1실내기(200) 및 제2실내기(300)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배관 및 밸브 등을 포함하여 설명하기 위해 실내기를 넓은 범위로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내기(200)와 제2실내기(300)는 용량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실내기(200)는 거실과 같이 넓은 장소에 설치되는 패키지 에어컨(Package Air Conditioner, PAC), 제2실내기(300)는 방에 설치되는 룸 에어컨(Room Air Conditioner, RAC)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평상시에는 일반모드로 제어하고, 정격능력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면 초월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일반모드일 때의 냉매사이클을 간략히 보면, 실외기(100)에 위치한 압축기(110)에서 냉매를 압축하면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가 상기 압축기(110)에서 실외기(100)에 위치한 응축기(120)로 들어가고, 상기 응축기(120)에서 액화가 된 냉매는 제1팽창밸브(131) 및 제2팽창밸브(132)를 각각 거쳐 저온저압의 냉매가 된다. 그리고, 제1팽창밸브(131) 및 제2팽창밸브(132)를 거친 냉매는 각각 제1열교환기(220) 및 제2열교환기(320)를 통과하면서 실내 온도와 열교환을 통하여 주위를 차갑게 만든다.
그러나, 초월모드일 때의 냉매사이클은, 압축기(110)에서 응축기(120)로 흐르는 냉매 중 일부가 우회하여 제2팽창밸브(132)를 거치지 않고 제2열교환기(320)로 흐른다. 이때, 압축기(110)에서 바로 제2열교환기(320)로 흘러온 냉매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이므로, 제2열교환기(320)가 응축기(120)의 역할을 하게 되고, 제2열교환기(320)에서 액화가 된 냉매는 제1팽창밸브(131)을 거쳐 제1열교환기(220)로 흐르게 된다. 즉, 제1실내기(200)가 과부하 되어 성능이 떨어진 경우, 초월모드로 설정하여 제2실내기(300)가 응축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전환함으로써, 응축기(120)의 면적이 늘어나는 효과를 가져와 제1실내기(200)의 능력이 증대된다.
예를 들어, 제1실내기(200)가 거실에 설치되고, 제2실내기(300)가 방에 설치되며, 명절에 많은 사람들이 거실에 모인 경우, 거실에 설치된 제1실내기(200)가 정격능력 이상의 부하 발생으로 설정된 온도까지 온도가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사용하지 않는 제2실내기(300)를 응축 역할로 사용함으로써, 제1실내기(200)를 설정된 온도까지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은, 실외기(110)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1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실외배관(11)을 포함한다. 즉, 실외배관(11)은 실외기(100)에 위치한 압축기(110)와 응축기(120)가 연결되도록 가설된 배관이다.
그리고, 실외기(100)의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를 각각 제1열교환기(220) 및 제2열교환기(320)로 공급하도록 가설되는 제1인입배관(12) 및 제2인입배관(13)을 포함한다.
이때, 제1인입배관(12)은 실외기(100)와 제1열교환기(220)가 연결되도록 가설된 배관으로, 제1팽창밸브(131) 및 체크밸브(150)가 설치된다. 제1팽창밸브(131)는 응축기(120)로부터 흘러오는 냉매 및 제2열교환기(3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흘러오는 냉매를 팽창시켜 제1열교환기(220)로 흘려보낸다. 여기서, 제1팽창밸브(131)는 전자 팽창 밸브(EEV, Electric Expansion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크밸브(150)는 제1인입배관(12)에서 제2바이패스배관(24)이 연결되는 부분의 후 측에 설치되어 응축기(120)로 냉매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2열교환기(320)로부터 흘러오는 냉매가 응축기(120)로 흐르지 않고, 제1팽창밸브(131)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다. 제2바이패스배관(24)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2인입배관(13)은 실외기(100)와 제2열교환기(320)가 연결되도록 가설된 배관으로, 제2팽창밸브(132)가 설치된다. 제2팽창밸브(132)는 응축기(120)로부터 흘러오는 냉매를 팽창시켜 제2열교환기(320)로 흘려보낸다. 또한, 제2팽창밸브(132)는 제1팽창밸브(131)와 같이 전자 팽창 밸브(EEV, Electric Expansion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인입배관(12)을 통해 흘러 제1열교환기(220)를 거친 냉매는 제1토출배관(22)을 통해 압축기(110)로 돌아간다. 즉, 제1토출배관(22)은 제1열교환기(220)와 압축기(110)가 연결되도록 가설되는 배관으로, 제1열교환기(220)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압축기(110)로 토출한다.
또한, 제2인입배관(13)을 통해 흘러 제2열교환기(320)를 거친 냉매는 제2토출배관(23)을 통해 압축기(110)로 돌아간다. 즉, 제2토출배관(23)은 제2열교환기(320)와 압축기(110)가 연결되도록 가설되는 배관으로, 제2열교환기(320)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압축기(110)로 토출한다. 다만, 제2토출배관(23)에는 초월모드 시 냉매가 제2바이패스배관(24)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제1솔레노이드밸브(310)가 설치된다.
즉, 제1솔레노이드밸브(310)는 제2토출배관(23)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제어부(400)에 제어에 의해 제2토출배관(23)의 냉매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솔레노이드밸브(310)는 노멀 오픈(normal open)형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모드에서 개방되어 있고, 초월모드에서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닫힐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초월모드 시 냉매를 우회시켜 제2실내기(300)를 응축 역할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제1바이패스배관(14) 및 제2바이패스배관(24)을 포함한다.
제1바이패스배관(14)은 실외배관(11)에서 분기되어 제2인입배관(13)의 제2팽창밸브(132)의 토출구 측에 연결된다. 이때, 제1바이패스배관(14)에는 제2솔레노이드밸브(140)가 설치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제1바이패스배관(14)을 개폐하며, 실외배관(11)에 흐르는 냉매 중 적어도 일부가 제1바이패스배관(14)으로 흐르도록 한다.
즉, 초월모드가 설정되면, 제2솔레노이드밸브(140)가 개방되어 응축기(120)뿐만 아니라 제2열교환기(320)에도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솔레노이드밸브(140)는 노멀 클로즈(normal close)형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모드에서 닫혀있고, 초월모드에서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제2바이패스배관(24)은 제2토출배관(23)에서 분기되어 제1인입배관(12)의 제1팽창밸브(131)의 인입구 측에 연결된다. 이때, 제2바이패스배관(24)에는 제3솔레노이드밸브(330)가 설치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제2바이패스배관(24)을 개폐하며, 제2토출배관(23)에 흐르는 냉매가 제2바이패스배관(24)으로 흐르도록 한다.
즉, 초월모드가 설정되면, 제3솔레노이드밸브(330)가 개방되어 제2열교환기(320)에서 토출된 냉매가 제1인입배관(12)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바이패스배관(24)이 제1팽창밸브(131)의 인입구 측에 연결되어, 냉매가 제1팽창밸브(131)를 거쳐 제1열교환기(220)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솔레노이드밸브(330)는 제2솔레노이드밸브(140)와 같이 노멀 클로즈형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모드에서 닫혀있고, 초월모드에서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제1솔레노이드밸브(310), 제2솔레노이드밸브(140)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330)의 개폐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00)는 초월모드에 진입하면, 제1솔레노이드밸브(310), 제2솔레노이드밸브(140)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330) 각각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압축기(110)의 구동 상태 및 제1실내기(200)의 시간 대비 온도변화에 따라 과부하 상태를 판단하여 초월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00)는 압축기(110)의 구동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제1실내기(200)의 온도가 일정 시간 대비 설정치 이상으로 변화하지 않는 경우, 과부하 상태라고 판단하여 초월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즉, 압축기(110)가 일정 시간 이상 구동되는데도 설정한 온도까지 온도가 떨어지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제2솔레노이드밸브(140)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330)를 개방하고, 제1솔레노이드밸브(310)를 닫는다.
따라서,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배관(11)을 통해 응축기(120)로 유입될 때, 제2솔레노이드밸브(140)가 개방되어 제1바이패스배관(14)을 통해서도 냉매가 흐르게 된다. 이때, 제2인입배관(13)에는 제1바이패스배관(14)을 통해 유입된 팽창되지 않은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가 흐르게 되어, 제2열교환기(320)가 응축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3솔레노이드밸브(330)는 개방되고, 제1솔레노이드밸브(310)는 닫혀 있으므로 제2열교환기(320)에서 응축된 냉매가 제2바이패스배관(24)으로 흘러 제1열교환기(220)로 유입된다.
반면, 제어부(400)는 압축기(110)의 구동이 일정 시간 이내에 정지하거나, 압축기(110)의 구동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제1실내기(200)의 온도가 일정 시간 대비 설정치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 제2솔레노이드밸브(140)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330)를 닫고, 제1솔레노이드밸브(310)를 개방한다. 즉, 제어부(400)는 멀티 에어컨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여 일반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은, 정격능력 이상의 부하가 발생한 경우, 부하에 대응하여 에어컨의 능력을 상승시킴으로써, 과부하 상태에서도 실내 온도를 원하는 만큼 낮출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실외기 200 : 제1실내기
110 : 압축기 220 : 제1열교환기
120 : 응축기 12 : 제1인입배관
131 : 제1팽창밸브 22 : 제1토출배관
132 : 제2팽창밸브 300 : 제2실내기
140 : 제2솔레노이드밸브 310 : 제1솔레노이드밸브
150 : 체크밸브 320 : 제2열교환기
11 : 실외배관 330 : 제3솔레노이드밸브
14 : 제1바이패스배관 13 : 제2인입배관
24 : 제2바이패스배관 23 : 제2토출배관

Claims (5)

  1.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로 공급하도록 가설되는 실외배관;
    상기 실외기의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밸브를 거쳐 제1실내기 및 제2실내기로 공급하도록 가설되는 제1인입배관 및 제2인입배관;
    상기 제1실내기 및 제2실내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토출하는 제1토출배관 및 제2토출배관;
    상기 실외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인입배관의 팽창밸브의 토출구 측에 연결되는 제1바이패스배관;
    상기 제2토출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인입배관의 팽창밸브의 인입구 측에 연결되는 제2바이패스배관;
    상기 제2토출배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토출배관의 냉매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1바이패스배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실외배관에 흐르는 냉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바이패스배관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2바이패스배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토출배관에 흐르는 냉매가 상기 제2바이패스배관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압축기의 구동 상태 및 상기 제1실내기의 시간 대비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제1,2,3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 에어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상기 제1실내기의 온도가 일정 시간 대비 설정치 이상으로 변화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일정 시간 이내에 정지하거나,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상기 제1실내기의 온도가 일정 시간 대비 설정치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닫고,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는 노멀 클로즈(normal close)형 밸브로 형성되고,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는 노멀 오픈(normal open)형 밸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입배관에서 상기 제2바이패스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의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로 냉매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컨.





KR1020160108624A 2016-08-25 2016-08-25 멀티 에어컨 KR20180023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624A KR20180023398A (ko) 2016-08-25 2016-08-25 멀티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624A KR20180023398A (ko) 2016-08-25 2016-08-25 멀티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398A true KR20180023398A (ko) 2018-03-07

Family

ID=6168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624A KR20180023398A (ko) 2016-08-25 2016-08-25 멀티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33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7406B1 (en) Air conditioner
US10107533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with subcooling heat exchanger
EP1659348B1 (en) Freezing apparatus
JP3925545B2 (ja) 冷凍装置
US20110154834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857088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06013938A1 (ja) 冷凍装置
KR101706865B1 (ko) 공기조화기
US20100139312A1 (en) Refrigeration apparatus
JP2008170063A (ja) マルチ型空気調和機
JPWO2019053876A1 (ja) 空気調和装置
KR102082881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KR101186331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JP2007232265A (ja) 冷凍装置
EP3961126A1 (en) Multi-air conditioner for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s
WO2020262624A1 (ja) 冷凍装置
GB2533042A (en) Air conditioner
CN106949657B (zh) 带过冷装置的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JP4720641B2 (ja) 冷凍装置
US20220268498A1 (en) Intermediate unit for refrigeration apparatus, and refrigeration apparatus
KR20120114997A (ko) 공기 조화기
KR100885566B1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GB2533041A (en) Air conditioner
KR20180023398A (ko) 멀티 에어컨
KR101144805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상기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