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418A -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418A
KR20180022418A KR1020160107826A KR20160107826A KR20180022418A KR 20180022418 A KR20180022418 A KR 20180022418A KR 1020160107826 A KR1020160107826 A KR 1020160107826A KR 20160107826 A KR20160107826 A KR 20160107826A KR 20180022418 A KR20180022418 A KR 20180022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pring wire
current
type electrod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571B1 (ko
Inventor
홍성태
박기동
임만승
여태식
남민재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7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5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methods other than heat treatment or de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00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 B21F3/02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5/00Making springs from w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링 성형될 스프링 선재에 접촉 배치하며, 스프링 선재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형 전극, 롤러형 전극에 연결 설치하며, 롤러형 전극이 스프링 선재에 접촉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접촉 지지부, 롤러형 전극에 연결하며, 롤러형 전극을 통해 스프링 선재에 전류를 공급하면서 포밍툴로 코일링된 스프링 선재 내 잔류응력을 저감시키는 전류공급제어부를 포함하는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는, 롤러형 전극이 스프링 선재에 접촉 배치되고, 접촉지지부는 롤러형 전극을 스프링 선재에 안정적인 접촉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바, 전류공급제어부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스프링 선재로 안정적인 전달이 이루어지면서 코일링 성형완료된 스프링 선재 내 잔류응력을 작아지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Residual stress control apparatus for coil spring}
본 발명은 선재를 코일 스프링으로 성형시, 코일 스프링 내 잔류응력을 감소시키는 코일링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은, 재료가 가진 탄성을 살려 그 탄성력과 반발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제품으로 재질에 따라 금속과 비금속 스프링으로 구분되며, 금속스프링은 재료의 형상에 따라 크게 판 스프링과 코일스프링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스프링은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작게는 가정용 장난감에서 크게는 자동차/항공산업에 이르기까지 실로 스프링의 사용부분은 무궁무진하다.
특히, 코일 스프링은 직선기에 선재를 통과시켜서 직선화한 후 서보모터 또는 캠에 의해 위치결정되는 포밍툴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벤딩각도로 포밍하면서 원하는 턴수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제조에 사용되는 선재는 그 단면형태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된 것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사각의 선재는 단일의 성형롤러에 의해 한번에 압축성형되기 때문에 단면의 급격한 변화로 응력이 발생되어 이를 코일 스프링에 이용하는 경우 프레스 금형이나 자동차의 현가장치, 엔진의 흡배기 밸브와 같이 중하중이 빈번하게 작용되는 사용조건하에서는 잔류응력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되면서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코일 스프링의 성형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19698호(2014.07.09)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포밍툴로 선재를 코일 스프링으로 성형시, 코일 스프링 내 잔류응력을 감소시키는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코일링 성형될 스프링 선재에 접촉 배치하며, 상기 스프링 선재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형 전극, 상기 롤러형 전극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롤러형 전극이 상기 스프링 선재에 접촉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접촉 지지부, 상기 롤러형 전극에 연결하며, 상기 롤러형 전극을 통해 상기 스프링 선재에 전류를 공급하면서 상기 포밍툴로 코일링된 상기 스프링 선재 내 잔류응력을 저감시키는 전류공급제어부를 포함하는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촉지지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롤러형 전극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지지하도록 상기 롤러형 전극 외측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보조롤러,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은 상기 보조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롤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수직하게 설치되며, 관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관이 더 형성되며, 상기 보조롤러의 축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관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가이드봉을 연결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봉 외측에 삽입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공급제어부는, 상기 포밍툴로 상기 스프링 선재를 코일링 성형중에 상기 스프링 선재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롤러형 전극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공급제어부는, 상기 포밍툴로 상기 스프링 선재를 일정길이로 코일링한 상태에서 상기 롤러형 전극으로 전류를 공급하고, 다시 상기 포밍툴로 상기 스프링 선재를 일정길이로 코일링한 후 상기 롤러형 전극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상태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공급제어부는, 상기 포밍툴로 상기 스프링 선재를 성형완료된 후에 상기 스프링 선재로 전류가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롤러형 전극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는, 롤러형 전극이 스프링 선재에 접촉 배치되고, 접촉지지부는 롤러형 전극을 스프링 선재에 안정적인 접촉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바, 전류공급제어부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스프링 선재로 안정적인 전달이 이루어지면서 코일링 성형완료된 스프링 선재 내 잔류응력을 작아지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접촉지지부의 구성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접촉지지부의 구성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는, 롤러형 전극(100), 접촉지지부(200), 전류공급제어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롤러형 전극(100)은 이후 설명될 전류공급제어부(30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포밍툴(20)에 의해 코일링 성형되는 스프링 선재(10)로 전달하는 전극이다. 이러한, 상기 롤러형 전극(100)은 상기 포밍툴(20)로 이동하는 상기 스프링 선재(10)에 접촉되게 배치한다. 이때, 상기 롤러형 전극(100)은 상기 스프링 선재(10)에 각각 독립적으로 접촉되도록 한 쌍을 배치되며, 일측의 롤러형 전극(101)은 양(+)극, 타측의 상기 롤러형 전극(102)은 음(-)극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형 전극(100)은 상기 스프링 선재(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선재(1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선재(10)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상기 스프링 선재(10)와 상기 롤러형 전극(100)의 맞닿는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형 전극(100)은 연결부재(110)에 의해 이후 설명될 접촉지지부(200)의 보조롤러(220)에 마련된 가이드봉(221) 일측에 연결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촉지지부(200)의 베이스(210) 일측 또는 별도의 지지프레임(도면미도시)에 연결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형 전극(100)은 이후 설명될 전류공급제어부(300)와 케이블과 같은 유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공급제어부(30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은 후, 상기 스프링 선재(1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접촉지지부(200)는 상기 롤러형 전극(100)을 상기 스프링 선재(10)에 접촉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접촉지지부(200)는 상기 롤러형 전극(100)과 상기 스프링 선재(10)를 안정적인 접촉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롤러형 전극(100)을 통한 상기 스프링 선재(10)로의 안정적인 전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지지부(200)는 상기 롤러형 전극(100)을 상기 스프링 선재(10) 방향으로 밀림 지지하도록 상기 롤러형 전극(100)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접촉지지부(200)는 베이스(210), 보조롤러(220), 탄성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10)는 보조롤러(220) 및 탄성부재(230)를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210)의 일측면은 상기 스프링 선재(10)에 대향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10)의 일측면에 보조롤러(220) 및 탄성부재(230)를 연결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210)의 일측면에는 보조롤러(220)를 상기 스프링 선재(10)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관(210)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관(210)은 중공을 가지는 관 구조로 형성되며, 보조롤러(220)의 가이드봉(22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게 된다.
상기 보조롤러(220)는 상기 롤러형 전극(100) 외측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롤러이다. 즉, 상기 보조롤러(220)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을 상기 롤러형 전극(100)으로 전달하여, 상기 롤러형 전극(100)이 상기 스프링 선재(10)에 밀착 유지되게 하는 롤러로써,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롤러형 전극(10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롤러(220)는 상기 베이스(210)의 가이드관(2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롤러(220)의 축 양단에 각각 상기 가이드관(211)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가이드봉(221)이 연결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롤러(220)는 상기 롤러형 전극(100)으로 전달된 전류를 전달받지 않도록 부도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도체로 이루어진 상태로 표면에 부도체인 고무나 합성수지가 도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보조롤러(22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베이스(210) 상에서 상기 보조롤러(220)를 상기 스프링 선재(10) 방향으로 밀림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보조롤러(220)와 맞닿게 되는 상기 롤러형 전극(100)도 상기 스프링 선재(10) 방향으로 밀림되게 하여, 상기 롤러형 전극(100)이 상기 스프링 선재(10)에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베이스(100) 일측면 및 상기 보조롤러(220)를 연결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30)은 상기 가이드관(211)과 상기 가이드봉(221) 외측에 삽입 배치하며, 상기 탄성부재(230)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100) 일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단은 상기 보조롤러(220)에 연결되게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가이드관(211) 내측에 삽입 설치된 상태로 상기 보조롤러(220)의 가이드봉(221) 일단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30)는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보조롤러(220)를 상기 스프링 선재(10) 방향으로 밀림되도록 지지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선택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류공급제어부(300)는 상기 포밍툴(20)로 코일링된 상기 스프링 선재(10)의 잔류응력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스프링 선재(10)로 전류를 공급되게 한다. 즉, 상기 전류공급제어부(300)는 상기 롤러형 전극(100)과 케이블과 같은 유선수단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롤러형 전극(100)으로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롤러형 전극(100)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스프링 선재(10)로 전류를 전달하여, 상기 스프링 선재(10) 내 잔류응력을 저하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전류공급제어부(300)에서 상기 스프링 선재(10)로 전류가 전달되면, 상기 스프링 선재(10)의 유동응력을 감소시키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전류공급제어부(300)는 상기 스프링 선재(10)로 전달되는 전류의 값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변압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같이, 상기 전류공급제어부(300)가 상기 롤러형 전극(100)으로 전류를 공급하면서 상기 스프링 선재(10)로 전류를 전달하게 되면, 금속재료인 상기 스프링 선재(10)의 유동응력이 감소하면서 탄성복원에너지도 줄어 스프링백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스프링 선재(10)로 전류가 전달되면서 스프링백의 제어를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스프링백의 원인인 잔류응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전류공급제어부(300)는 전류를 상기 스프링 선재(10)의 코일링 성형중에 연속적으로 전달하거나, 코일링 성형 중에 주기적으로 전달하거나, 코일링 성형완료후에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류공급제어부(300)가 상기 전류를 상기 스프링 선재(10)의 코일링 성형중에 연속적으로 전달되게 할 경우, 즉, 상기 포밍툴(20)로 상기 스프링 선재(10)를 코일링 성형하는 중에 상기 스프링 선재(10)에 전류가 연속적으로 전달되게 상기 롤러형 전극(100)으로 전류를 공급하면, 코일링 성형완료된 상기 스프링 선재(10) 내 잔류응력이 작아짐과 더불어 스프링백 및 성형하중이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류공급제어부(300)가 상기 전류를 상기 스프링 선재(10)의 코일링 성형 중에 주기적으로 전달되게 할 경우, 즉, 상기 전류공급제어부(300)는 상기 포밍툴(20)로 상기 스프링 선재(10)를 일정길이로 코일링한 상태에서 상기 포밍툴(20)에 의한 스프링 선재(10)의 코일링 작업을 일시 정지시킨 후, 상기 롤러형 전극(100)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스프링 선재(10)로 전달되게 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포밍툴(20)로 상기 스프링 선재(10)를 일정길이로 코일링 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포밍툴(20)에 의한 상기 스프링 선재(10)의 코일링 작업을 다시 일시정지시킨 후, 상기 전류공급제어부(300)는 상기 롤러형 전극(100)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스프링 선재(10)로 전달되게 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일링 성형이 완성된 상기 스프링 선재(10) 내 잔류응력이 작아짐과 더불어 스프링백도 작아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류공급제어부(300)가 상기 전류를 상기 스프링 선재(10)의 코일링 성형완료후에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류공급제어부(300)가 상기 전류를 상기 스프링 선재(10)의 코일링 성형완료후에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전달되게 할 경우, 즉, 상기 포밍툴(20)로 상기 스프링 선재(10)를 코일링 성형완료한 후에 상기 스프링 선재(10)에 전류가 연속적 또는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전달되게 상기 롤러형 전극(100)으로 전류를 공급하면, 코일링 성형완료된 상기 스프링 선재(10) 내 잔류응력이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는, 상기 롤러형 전극(100)이 상기 스프링 선재(10)에 접촉 배치되고, 상기 접촉지지부(200)는 상기 롤러형 전극(100)을 상기 스프링 선재(10)에 안정적인 접촉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바, 상기 전류공급제어부(30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스프링 선재(10)로 안정적인 전달이 이루어지면서 코일링 성형완료된 상기 스프링 선재(10) 내 잔류응력을 작아지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1,102: 롤러형 전극 200: 접촉지지부
210: 베이스 220: 보조롤러
230: 탄성부재 300: 전류공급제어부

Claims (6)

  1. 코일링 성형될 스프링 선재에 접촉 배치하며, 상기 스프링 선재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형 전극과;
    상기 롤러형 전극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롤러형 전극이 상기 스프링 선재에 접촉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접촉 지지부; 및
    상기 롤러형 전극에 연결하며, 상기 롤러형 전극을 통해 상기 스프링 선재에 전류를 공급하면서 상기 포밍툴로 코일링된 상기 스프링 선재 내 잔류응력을 저감시키는 전류공급제어부를 포함하는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지지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롤러형 전극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지지하도록 상기 롤러형 전극 외측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보조롤러,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은 상기 보조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롤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수직하게 설치되며, 관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관이 더 형성되며,
    상기 보조롤러의 축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관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가이드봉을 연결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봉 외측에 삽입 배치하는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공급제어부는, 상기 포밍툴로 상기 스프링 선재를 코일링 성형중에 상기 스프링 선재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롤러형 전극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공급제어부는, 상기 포밍툴로 상기 스프링 선재를 일정길이로 코일링한 상태에서 상기 롤러형 전극으로 전류를 공급하고, 다시 상기 포밍툴로 상기 스프링 선재를 일정길이로 코일링한 후 상기 롤러형 전극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상태를 반복하는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공급제어부는, 상기 포밍툴로 상기 스프링 선재를 성형완료된 후에 상기 스프링 선재로 전류가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롤러형 전극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


KR1020160107826A 2016-08-24 2016-08-24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 KR101879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826A KR101879571B1 (ko) 2016-08-24 2016-08-24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826A KR101879571B1 (ko) 2016-08-24 2016-08-24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418A true KR20180022418A (ko) 2018-03-06
KR101879571B1 KR101879571B1 (ko) 2018-07-19

Family

ID=6172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826A KR101879571B1 (ko) 2016-08-24 2016-08-24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4330A (zh) * 2021-07-15 2021-10-29 马鞍山市恒利达机械刀片有限公司 一种高韧性的齿圆刀加工用内应力消除装置及其实施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133A (ja) * 1984-07-17 1986-02-06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コイルばねの温間成形方法
JPS63128125A (ja) * 1986-11-18 1988-05-31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線材通電加熱装置
WO2012014672A1 (ja) * 2010-07-26 2012-02-02 中央発條株式会社 ばねの製造方法及び通電加熱装置
JP2014148730A (ja) * 2013-02-04 2014-08-21 Neturen Co Ltd 通電装置及び加熱装置
KR20150048273A (ko) * 2013-10-25 2015-05-07 대원강업주식회사 냉간 코일스프링의 내측 압축잔류응력 개선 및 내구수명 향상을 위한 열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133A (ja) * 1984-07-17 1986-02-06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コイルばねの温間成形方法
JPS63128125A (ja) * 1986-11-18 1988-05-31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線材通電加熱装置
WO2012014672A1 (ja) * 2010-07-26 2012-02-02 中央発條株式会社 ばねの製造方法及び通電加熱装置
JP2014148730A (ja) * 2013-02-04 2014-08-21 Neturen Co Ltd 通電装置及び加熱装置
KR20150048273A (ko) * 2013-10-25 2015-05-07 대원강업주식회사 냉간 코일스프링의 내측 압축잔류응력 개선 및 내구수명 향상을 위한 열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4330A (zh) * 2021-07-15 2021-10-29 马鞍山市恒利达机械刀片有限公司 一种高韧性的齿圆刀加工用内应力消除装置及其实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571B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571B1 (ko) 코일 스프링 성형용 잔류응력 제어장치
CN104532315A (zh) 卧式孔类零部件电刷镀机床
RU25855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рнования отверстий
CN105215618A (zh) 一种组对装置及利用该装置焊接的方法
CN101386118B (zh) 电阻焊用夹具及其使用方法
CN207109074U (zh) 一种自动电弧喷涂装置
KR101607844B1 (ko) 탈자장치
CN206689249U (zh) 一种气动弯管装置
CN115254493A (zh) 一种石油化工用防腐喷涂设备
CN205701943U (zh) 一种大型折扳机
CN204912543U (zh) 红冲机械手冲压高度补偿装置
CN105510337B (zh) 一种防腐涂料测试装置
US20170355011A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coil sp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il spring
KR101551178B1 (ko) 코일 스프링 피그테일 성형장치
US11224911B2 (en) Barrel tank seam welder system
CN107932380B (zh) 一种c形冠簧自动化装配用夹具
JP5089197B2 (ja) 線材の圧造機及び圧造方法
CN103817268A (zh) 使用螺杆式夹紧装置的镍铬合金材质炉丝弯曲工艺
CN210795372U (zh) 一种放线机用线盘定芯杆
CN203091946U (zh) 双簧侧压外电极式新型电焊钳
CN219643452U (zh) 一种穿线装置
CN104455657B (zh) 液压电磁换向阀
CN217167125U (zh) 一种双向不锈钢生产用便于调节焊接位置的焊接装置
CN204498451U (zh) 一种适用于pet薄膜生产线的母卷除静电装置
CN208527922U (zh) 用于圆弧修正的钢筋弯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