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405A - 주행 중 신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행 중 신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405A
KR20180022405A KR1020160107804A KR20160107804A KR20180022405A KR 20180022405 A KR20180022405 A KR 20180022405A KR 1020160107804 A KR1020160107804 A KR 1020160107804A KR 20160107804 A KR20160107804 A KR 20160107804A KR 20180022405 A KR20180022405 A KR 20180022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port
violation
vehicle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석
Original Assignee
(주)브링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링유 filed Critical (주)브링유
Priority to KR1020160107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2405A/ko
Publication of KR2018002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차량 주행 중 교통법규 위반 신고를 접수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차량의 운전대 인근에 위치하는 신고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차량과 무선 통신으로 미리 연결된 스마트폰에서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으로 미리 연결된 영상 촬영 장치에 영상 제공을 요청하는 A 단계;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영상 제공을 요청받은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영상을 수신하는 B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은, 시간 정보,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영상을 첨부하여 신고 접수 서버에 교통 법규 위반 신고를 전송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행 중 신고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REPORT DURING DRIVE}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 중, 실시간으로 교통 법규 위반 등을 신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사용자는 운전 중에도 스마트폰의 자동 신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블루투스 등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블랙박스 장치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교통 법규 위반 신고를 접수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블랙박스 장치는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불법 차선 변경 등 교통 법규 위반 상황인지 판단하고, 해당 영상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상기 영상을 확인하고 신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종래 스마트폰으로 교통 위반을 신고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웹사이트가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은 운전 중 실시간으로 신고를 할 수 없으며 신고를 위해서는 블랙박스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영상을 추출하고 변환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종래 경찰청에서 운영하는 국민제보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교통법규 위반 신고가 가능하나, 영상 첨부가 요구된다. 영상을 첨부하기 위해 사용자는 블랙박스 장치로부터 메모리 카드를 추출하여 컴퓨터에 연결하고 영상을 시간대별로 검색하고 신고 가능한 영상을 탐색해야 하며, 탐색된 영상은 용량이 너무 크기 때문에 별도의 편집 및 압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후 압축된 영상을 다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비로소 신고를 접수하는 일련의 절차를 밟아야 하고 이러한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제도의 취지가 제대로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 중에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교통 법규 위반을 신고할 수 있도록 하여 법규 위반 신고의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주행 중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 운전 차량의 차선 이탈, 전방 추돌 경고, 앞차 출발 등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 및/또는 블랙 박스 장치만으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스마트폰이 차량 주행 중 교통법규 위반 신고를 접수하는 방법은, 차량의 운전대 인근에 위치하는 신고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차량과 무선 통신으로 미리 연결된 스마트폰에서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으로 미리 연결된 영상 촬영 장치에 영상 제공을 요청하는 A 단계;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영상 제공을 요청 받은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영상을 수신하는 B 단계; 상기 스마트폰은, 시간 정보,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영상을 첨부하여 신고 접수 서버에 교통 법규 위반 신고를 전송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운전 중에도 실시간으로 보복 운전, 불법 차선 변경 등 교통 법규 위반을 신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운전 중 영상으로부터 차선 이탈 여부, 앞차 차량과의 간격, 앞차 출발 여부 등을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교통 법규 위반 신고를 접수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운전 보조 시스템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현된다. 그리고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교통 법규 위반 신고를 접수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교통 법규 위반 신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운전대 (110), 사용자의 스마트폰 (120), 차량에 위치하는 블랙 박스 장치 (130), 및 교통 법규 위반 신고 접수 서버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대(110)는 사용자가 운전 중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전대 (110)는 버튼 등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스마트폰(12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운전대 (110)는 신고 접수를 위한 전용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버튼은 운전대 인근에 위치하는 푸쉬 버튼은 물론 블랙박스나 네비게이션에 위치하는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버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운전대 (110)는 비상등, 차량문 개폐, 방향 지시등 제어를 위한 종래의 버튼의 설정을 변경하여 신고 접수를 위한 버튼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같은 맥락에서 운전대는 별도의 하드웨어 입력장치 없이 사용자의 터치, 두드림 등 미리 설정된 신고 접수를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자동차의 경적 발생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조건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120)은 해당 자동차의 경적 소리를 파장 등의 형태로 미리 저장하고, 동일한 파장의 경적이 발생하는 것을 조건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신고 버튼의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위하여 자동차 내부에 위치하는 시가잭에 전용 장치를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전용 장치는 상시로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신고 기능 외에도 내부에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자동차 위치 추적 기능에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전용 장치는 내부에 센싱 모듈을 장착하여 자동차에 시동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되거나 차량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을 감지하고 사용자 스마트폰에 알람을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운전대 (110)는 차량 운행 중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차량 내부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며, 운전대 그 자체로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스마트 폰(120)은 운전대(110) 및 블랙 박스(130)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폰 (120), 운전대 (110) 및 블랙 박스 (13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폰, 운전대, 블랙박스 장치 내부에 포함될 수 있지만, 동글(dongle) 형태로 장착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차량에 시동을 걸면, 운전대(110)와 블랙박스(13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차량에 시동이 걸리고 상기 운전대와 블랙 박스에 전원이 공급되면, 운전대 및 블랙 박스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 표준에 따라 주소와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공고 신호 (connectable advertising signal)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폰은 상기 신호를 스캔하고 연결 요청 신호를 상기 운전대와 블랙박스에 전송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신고 접수 어플리케이션을 오픈 마켓 등에서 다운로드를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운전대 (15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블랙박스 장치(130)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추가 데이터와 함께 신고 접수 서버에 레포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블랙 박스 장치 (130)는 차량 주행 중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블랙 박스 장치 (130)와 스마트폰 (120)이 별개의 장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스마트폰이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스마트폰에서 차량 주행 중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의 단계 150에서 교통 법규 위반을 목격한 사용자는 운전대 인근의 신고 버튼을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신고 버튼은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자동차 경적 버튼으로 해당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운전대 (110)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에 신고 절차를 진행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55)
단계 160에서 스마트폰(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신고 접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후 스마트폰은 영상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블랙박스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65)
이후 블랙 박스 장치 (13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80)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블랙박스 장치는 신호 버튼 입력 시간을 기준으로 전후 2분씩의 영상, 즉 총 4분의 영상을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영상 추출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다.
단계 180에서 스마트폰은 수신한 영상을 신고 접수 서버가 요구하는 포멧으로 변환하고, 압축하는 등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스마트폰은 신고 접수 서버에서 요구하는 서식에 따라 레포트를 작성할 수 있다. (단계 190) 예를 들어 교통 위반 신고 레포트는 위반 항목, 위반 일자, 위반 시간, 위반 위치, 차량 번호, 연락처, 성명 정보를 필수 항목으로 요구될 수 있다.
상기 위반 항목은 세부 내역으로 보복운전, 난폭운전, 폭주 레이싱, 신호위반, 끼여들기 금지 위반, 통행의 금지 및 제한 위반, 교차로 통행 방법 위반 (꼬리물기), 제차 신호 조작 불이행 (방향지시등), 중앙선 침범, 적재물 추락방지 조치 위반, 지정차로 위반, 진로 변경 위반, 교차로 통행방법 위반, 고속도로 갓길통행 위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반 항목의 세부 항목은 사용자가 운전을 종료하고 개별 입력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스마트폰 (120)은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위반 항목의 범주를 분류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은 상기 위반 항목의 패턴을 분석하여 미리 체크 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지시등 위반의 경우, 스마트폰은 영상에서 앞차 차량이 끼어든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시점의 영상에서 앞차 차량 방향 지시등에 해당하는 이미지 객체를 파악하고 해당 객체의 색상 변화 여부를 체크하는 방식으로 방향 지시등 위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보복운전의 경우, 스마트폰은 해당 시점의 자이로 센서 등 센서 값을 확인하여 차량의 흔들림을 파악할 수 있으며, 영상에서 앞차 차량의 움직임 변화값을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보복 운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꼬리 물기의 경우, 종래의 꼬리 물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의 형태를 미리 패턴으로 생성하고 획득한 영상에서 같은 방식으로 패턴을 추출하여 상기 패턴들의 일치확률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꼬리 물기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위반 일자 및 위반 시간 항목의 경우, 스마트폰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위반 위치는 스마트폰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연락처, 성명 정보 항목은 미리 설정된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폰은 신고 접수 서버가 요구하는 신고 항목들을 기입하여 레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95)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블랙 박스 (120)가 획득한 차량 주행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졸음운전을 하거나 한눈을 팔아 사용자가 차선을 이탈하거나, 전방 추돌이 의심되거나, 앞차 출발 이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도 차량이 출발하지 않은 경우, 블랙 박스는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170에서 블랙박스는 촬영한 영상을 판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속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 (예를 들어 50 km/s) 이상인 경우, 블랙박스 장치는 촬영된 영상에서 차선에 해당하는 객체를 인식하고 차량이 이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175에서 소리나 깜박임 등 사용자의 감각을 자극하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알람 제공과 함께, 블랙박스는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의 영상을 추출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어플리케이션의 신고 접수 기능을 이용하여 교통 법규 위반 신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a는 이와 같이 차선 이탈 경고를 제공하기 위해 촬영된 영상에서 차선 객체를 판단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다른 예로 블랙박스 장치는 단계 17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전방 차량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전방 차량 객체와 주행 중인 차량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로 좁혀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 175에서 소리나 깜박임 등 사용자의 감각을 자극하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b는 이와 같이 전방 추돌 경고를 제공하기 위해 촬영된 영상에서 앞차와의 간격을 파악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다른 예로 블랙박스 장치는 단계 17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전방 차량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전방 차량 객체가 출발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도 차량이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 175에서 소리나 깜박임 등 사용자의 감각을 자극하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c는 이와 같이 앞차 출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촬영된 영상에서 앞차에 해당하는 객체를 파악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게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3)

  1. 스마트폰이 차량 주행 중 교통법규 위반 신고를 접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대 인근에 위치하는 신고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차량과 무선 통신으로 미리 연결된 스마트폰에서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으로 미리 연결된 영상 촬영 장치에 영상 제공을 요청하는 A 단계;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영상 제공을 요청받은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의 영상을 수신하는 B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은, 시간 정보, 위치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영상을 첨부하여 신고 접수 서버에 교통 법규 위반 신고를 전송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접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교통 법규 위반 항목을 분류하고, 분류된 항목에 해당하는 교통 법규 위반 영상의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이 상기 패턴과 일치하는 확률을 계산하고, 상기 확률이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일치하는 교통 법규 위반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영상을 상기 신고 접수 서버가 요구하는 포멧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접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알람 제공 항목을 분류하고, 분류된 항목에 해당하는 영상의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촬영한 영상이 상기 패턴과 미리 설정된 확률 이상으로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 및
    신고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을 상기 신고 접수 서버가 요구하는 포멧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접수 방법.
KR1020160107804A 2016-08-24 2016-08-24 주행 중 신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22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804A KR20180022405A (ko) 2016-08-24 2016-08-24 주행 중 신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804A KR20180022405A (ko) 2016-08-24 2016-08-24 주행 중 신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405A true KR20180022405A (ko) 2018-03-06

Family

ID=6172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804A KR20180022405A (ko) 2016-08-24 2016-08-24 주행 중 신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24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194A (ko) * 2018-10-15 2020-04-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이벤트 자동 신고 장치
KR102231366B1 (ko) * 2020-01-03 2021-03-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블랙박스 카메라를 이용한 생활 불편신고 시스템
US11235756B2 (en) 2018-12-07 2022-02-0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detection of falling of loa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194A (ko) * 2018-10-15 2020-04-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이벤트 자동 신고 장치
US11235756B2 (en) 2018-12-07 2022-02-0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detection of falling of load
KR102231366B1 (ko) * 2020-01-03 2021-03-2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블랙박스 카메라를 이용한 생활 불편신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08388B (zh) 自主警车
CN204037450U (zh) 多功能行车记录仪
JP6385851B2 (ja) 路上監視装置、路上監視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314424B (zh) 基于汽车的超车辅助方法、装置及汽车
CN109421715A (zh) 自适应巡航控制系统中车道条件的检测
JP2019079413A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システム
CN107730902B (zh) 车辆录像的录制方法、摄像设备及存储介质
KR20180022405A (ko) 주행 중 신고 방법 및 시스템
KR101525151B1 (ko)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9808A (ko) 차량 후방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장치
US11335136B2 (en) Method for ascertaining illegal driving behavior by a vehicle
KR20150101850A (ko) 차량 단속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2319383B1 (ko) 블랙박스 영상을 이용하여 교통 법규 위반 차량을 자동으로 신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27697A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128656A (ko) 실시간 교통사고 정보 제공시스템
JP7470967B2 (ja) システム、プログラム、機械学習方法、及び機械学習モデル等
KR101788086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자전거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
KR100469972B1 (ko) 이동식 수배차량 검거시스템
KR20190040658A (ko) 위법운전 자동 촬영, 분석, 신소 및 전송 시스템
US20180362050A1 (en) Mobile object management apparatus, mobile object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127511B1 (ko) 이벤트 발생 정보 및 캐스팅 정보를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시스템
CN112061132A (zh) 驾驶辅助方法和驾驶辅助装置
RU170052U1 (ru) Специальный видеорегистратор дорожно-транспортных происшествий
JP7129147B2 (ja) 車両用装置、安全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安全運転支援方法
KR20200109132A (ko) 블랙박스 기반 공공 제보 및 교통사고 대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