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631A -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631A
KR20180021631A KR1020160174920A KR20160174920A KR20180021631A KR 20180021631 A KR20180021631 A KR 20180021631A KR 1020160174920 A KR1020160174920 A KR 1020160174920A KR 20160174920 A KR20160174920 A KR 20160174920A KR 20180021631 A KR20180021631 A KR 20180021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terahertz pulse
pulse signal
femtosecond laser
pa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472B1 (ko
Inventor
권태혁
박태형
이기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80021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9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tunable la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2302/00Amplification / lasing wavelength
    • H01S2302/02THz - lasers, i.e. lasers with emission in the wavelength range of typically 0.1 mm to 1 m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하여 생계면활성제를 정량적 그리고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정량적 수치값과 정성적인 분석내용을 스크린을 통해 실시간으로 바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장비에서 분석 및 결과 출력까지 가능하도록 한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생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샘플을 향하여 방출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에서 방출되어 샘플을 통과한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를 수신하고, 프로브 빔을 입력받아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위상각 및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세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수신부;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포함하는 레이저 신호를 발생시켜, 펌프 빔은 일정 시간동안 시간 지연시켜 상기 송신부에 제공하고, 프로브 빔은 상기 수신부에 제공하는 펨토초 레이저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위상각 및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세기를 입력받아 샘플에 대한 정량적 수치값을 산출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및 방법{Analyzing apparatus and method of biosurfactant using terahertz pulse}
본 발명은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하여 생계면활성제를 정량적 그리고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정량적 수치값과 정성적인 분석내용을 스크린을 통해 실시간으로 바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장비에서 분석 및 결과 출력까지 가능하도록 한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생계면활성제 정량분석으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배지에 계면활성제를 반응시켜 원형모양으로 퍼지는 길이를 재어 정량분석을 하나, 이는 모든 종류의 계면활성제에 반응하지 않으며 정성적인 계면활성제 분석은 가능하나 정밀한 정량적 분석은 불가능하다.
그 외 생계면활성제 정량분석 방법으로는 도 1b에서 처럼 오일과 생계면활성제 용액을 반응시켜 오일이 붕괴되어 퍼지는 길이를 재어 정량분석을 하나, 이는 정밀한 정량적 분석이 불가능하다.
정확한 생계면활성제 정량화 방법으로는 배양된 미생물 배지를 원심분리하여 미생물을 제거한 후 상등액을 이용하여 계면활성제를 추출하여 비교적 정확한 정량적 분석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수차례의 원심분리와 분리 과정 등으로 인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석유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저유가의 문제로 새로운 시추보다, 3차 생산기법(EOR)에 대한 수요가 매우 커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친환경 생산기술에 대한 수요 증대로, 미생물을 이용한 석유회수증진(MEOR)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2012년에 게재된 Xu, L. 과 Fu, Q.의 논문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을 때 오일 및 가스 추출 량이 기존 보다 각각 25%, 50% 더 증가 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계면활성제 유무 여부가 오일 및 가스 추출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접근으로 미생물을 이용한 생계면활성제에 대한 정량화 작업을 하고자 한다.
미생물이 생산하는 생계면활성제는 저류층 공극 내 오일-물간의 표면물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모세관 압력 변화로 인한 오일의 유동성을 증대 및 석유회수증진에 매우 중요한 부산물이다.
또한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시에도 염수층 내 이산화탄소의 유동성 확보를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함께 주입하는데, 이때에도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저장을 위해서 계면활성제의 정성적, 정량적 분석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기존의 계면활성제 정량 분석법들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정확한 정량적 분석이 힘들어 적용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Rahman, P. K. S. M. et al. (2010). Production of rhamnolipid biosurfactants by Pseudomonas aeruginosa DS10-129 in a microfluidic bioreactor. Biotechnology and Applied Biochemistry, 55 (1), 45-52. Kermanshahi, R. K., and Peymanfar, S. (201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i from cheese, yoghurt and silage by 16S rDNA gene and study of bacteriocin and biosurfactant production. Jundishapur journal of Microbiology, 5(4), 528-53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하여 생계면활성제를 정량적 그리고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정량적 수치값과 정성적인 분석내용을 스크린을 통해 실시간으로 바로 확인 가능한,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생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샘플을 향하여 방출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에서 방출되어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프로브 빔을 입력받아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위상각 및 세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수신부;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포함하는 레이저 신호를 발생시켜, 펌프 빔은 일정 시간동안 시간 지연시켜 상기 송신부에 제공하고, 프로브 빔은 상기 수신부에 제공하는 펨토초 레이저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위상각 및 세기를 입력받아 샘플에 대한 정량적 수치값을 산출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위상각, 샘플 두께 및 빛의 속도를 이용하여 샘플의 굴절률을 산출하고, 굴절률을 이용하여 투과계수를 산출하며, 투과계수와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흡수 계수를 산출한 후에 산출된 흡수 계수에 비례하는 정량적 수치값을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흡수 계수를 이용하여 정성적인 분석을 수행하여 정성적 분석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를 제어하여 펌프빔과 프로브빔을 포함하는 레이저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여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발생시켜 샘플을 향하여 조사하며,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여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와 프로브 빔을 수신하여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위상각 및 세기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굴절률과, 흡수 계수 그리고 투과 계수를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는 P 편광(parallel 편광)된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포함하는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펨토초 레이저; 상기 펨토초 레이저에서 생성된 레이저 신호의 직경을 좁혀주는 펄스 압축기; 입력되는 펌프 빔을 시간 지연시켜 상기 송신부로 제공하는 시간 지연기; 및 상기 펄스 압축기에서 입력되는 레이저 신호를 P 편광(parallel 편광)된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2개의 평행 빔으로 나누어 펌프 빔은 상기 시간 지연기로 입사되도록 하고, 프로브 빔은 상기 수신부로 입사되도록 하는 빔스플리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펨토초 레이저부가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포함하는 레이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가 펌프 빔을 일정 시간동안 시간 지연시켜 송신부에 제공하고, 프로브 빔을 수신부에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송신부가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생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샘플을 향하여 방출하는 단계; (D) 상기 수신부가 상기 송신부에서 방출되어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프로브 빔을 입력받아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위상각 및 세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E) 데이터 처리부가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위상각 및 세기를 입력받아 샘플에 대한 정량적 수치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E) 단계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위상각, 샘플 두께 및 빛의 속도를 이용하여 샘플의 굴절률을 산출하고, 굴절률을 이용하여 투과계수를 산출하며, 투과계수와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흡수 계수를 산출한 후에 산출된 흡수 계수에 비례하는 정량적 수치값을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F)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흡수 계수를 이용하여 정성적인 분석을 수행하여 정성적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E) 단계의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굴절률과, 흡수 계수 그리고 투과 계수를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A) 단계는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의 펨토초 레이저가 P 편광(parallel 편광)된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포함하는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의 펄스 압축기가 상기 펨토초 레이저에서 생성된 레이저 신호의 직경을 좁혀주는 단계; (B-2)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의 빔스플리터가 상기 펄스 압축기에서 입력되는 레이저 신호를 P 편광(parallel 편광)된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2개의 평행 빔으로 나누어 펌프 빔은 상기 시간 지연기로 입사되도록 하고, 프로브 빔은 상기 수신부로 입사되도록 하는 단계; 및 (B-3)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의 시간 지연기가 입력되는 펌프 빔을 시간 지연시켜 상기 송신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액 내 생계면활성제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석유회수,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등 모세관압 변화를 위한 계면활성제 활용 시 용액 내 계면활성제 여부 및 정량적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량적 분석 및 정성적 분석결과를 장비의 스크린을 통해 바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 및 정성적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및 다른 기타 외부 연결장치 없이 장비 하나로 정량적 분석 및 정성적 분석이 가능하여 사용성 및 공간확보에 편리하다.
도 1a과 1b는 기존의 생계면활성제 정량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경우(Surf2)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Surf1)보다 오일과 가스의 추출량이 각각 25%, 50% 더 증가하였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펨토초 레이저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샘플 홀더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는 펨토초 레이저부(1), 송신부(2), 수신부(3), 제어부(4), 데이터 처리부(5), 출력부(6) 및 전원부(7)를 포함한다.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1)는 독립적이고, P 편광(parallel 편광)된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발생시켜, 펌프 빔은 일정 시간동안 시간 지연시켜 송신부(2)에 제공하고, 프로브 빔은 수신부(3)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시간 지연은 수 fs(펨토세컨드)이다.
상기 송신부(2)는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1)에서 제공되는 펌프 빔을 이용하여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1010~1013Hz의 범위를 가진다)를 발생시켜 샘플을 향하여 방출한다.
여기에서, 샘플은 시료를 의미하며, 생계면활성제가 물에 녹아있는 액상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3)는 샘플을 통과한 상기 송신부(2)에서 방출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1)에서 제공되는 프로브 빔을 입력받아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위상각, 세기 및 진동수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5)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4)는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1)를 제어하여 펌프빔과 프로브빔을 발생시키고, 상기 송신부(2)를 제어하여 샘플을 향하여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조사하며, 상기 수신부(3)를 제어하여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와 프로브 빔을 수신하여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위상각, 세기 및 진동수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5)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5)는 상기 수신부(3)에서 수신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위상각, 세기 및 진동수를 이용하여 굴절률과, 흡수 계수 그리고 투과 계수를 산출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5)는 샘플의 양이온 또는 유기물 등의 생계면횔성제의 양이 변화함에 따라 굴절률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투과계수와 흡수 계수가 변화한다.
이때, 흡수 계수가 증가하면 생계면활성제의 정량적인 수치값도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는데, 실험적으로 각각의 흡수 계수에 따른 생계면활성제의 정량적 수치값을 구할 수 있으며 이를 데이터 처리부(5)는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가 이를 참조하여 흡수계수에 따른 정량적 수치값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생계면활성제 유무에 따라 흡수 계수가 달라지니, 데이터 처리부(5)를 이를 이용하여 정성적인 분석도 수행한다.
상기 출력부(6)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5)에서 산출한 정량적 수치값과 정성적 분석 내용을 스크린을 통하여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프린트를 사용하여 프린트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7)는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1), 송신부(2), 수신부(3), 제어부(4), 데이터 처리부(5) 및 출력부(6)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4는 도 3의 펨토초 레이저부(1)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펨토초 레이저부(1)는 펨토초 레이저(10), 펄스 압축기(pluse compressor)(11), 빔스플리터(12) 및 시간 지연기(13)를 포함한다.
상기 펨토초 레이저(10)는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레이저 신호는 P 편광(parallel 편광)된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포함한다.
상기 펄스 압축기(11)는 상기 펨토초 레이저(10)에서 생성된 레이저 신호의 직경을 좁혀준다.
상기 빔스플리터(12)는 상기 펄스 압축기(11)에서 입력되는 레이저 신호를 P 편광(parallel 편광)된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의 2개의 평행 빔으로 나누어 펌프 빔은 시간 지연기(12)로 입사되도록 하고, 프로브 빔은 수신부(3)로 입사되도록 한다.
상기 시간 지연기(13)는 상기 빔 스플리터(12)에서 입력되는 펌프 빔을 일정 시간동안 시간 지연시켜 송신부(2)로 제공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샘플을 아래에 출력부(6)로 스크린(6')을 구비하여, 샘플에 대한 정량적 수치값과 정성적 분석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6')의 아래에 펨토초 레이저(10)의 온/오프 스위츠 등이 구비된 제어 선택 박스(4')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용이하게 분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샘플 홀더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샘플 홀더(Sample holder)는 혐기성 미생물을 키우며 실시간으로 미생물이 생산하는 생계면활성제를 분석할 수 있도록 고무 셉터(rubber septa)(20)를 통해 주사기로 샘플을 주입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샘플 홀더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사각형 반응조 2개 사이에 석영 유리가 위치하며 고무 셉터(rubber septa) 두개가 압력 유지를 위한 오링 기능 및 주사기 관통이 가능하게 되어 샘플을 그곳에 주입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러한 샘플 홀더는 샘플시료의 두께만큼 파인 샘플홀더(덮개용 석영 유리 미사용)와 석영 유리위로 두께만큼의 공간이 있는 홀더위에 윈도우를 얹혀서 사용하는 두가지 타입의 셀 사용이 가능하며 이때의 굴절율 및 흡수율 계산은 경계면의 조건에따라 다르게 계산되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방법은 펌토초 레이저에서 펌프 빔과 프로브 빔을 포함한 레이저 신호를 발생한다(S100).
그리고, 펄스 압축기는 레이저 신호의 직경이 좁혀지도록 한다(S102).
다음으로, 빔 스플리터는 펌프 빔과 프로브 빔을 분리하여 시간 지연기로 펌프 빔을 전송하고, 프로브 빔은 수신부로 전송한다(S104).
이후에, 시간 지연기는 펌프 빔을 시간 지연시켜 송신부로 출력하며(S106) 이에 따라 송신부는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발생시켜 샘플을 향하여 방출한다(S108).
그리고, 수신부는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와 프로브빔을 수신하여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위상각과 세기 그리고 진동수를 추출하여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한다(S110).
이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는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수행한 후에 수행 결과를 출력부에 제공한다(S112).
출력부는 정량적 분석의 정량적 수치값과 정성적 분석의 분석 내용을 표시하여 제공하거나 프린트하여 제공한다(S114).
본 발명에 따르면, 용액 내 생계면활성제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석유회수,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등 모세관압 변화를 위한 계면활성제 활용 시 용액 내 계면활성제 여부 및 정량적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량적 분석 및 정성적 분석결과를 장비의 스크린을 통해 바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 및 정성적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및 다른 기타 외부 연결장치 없이 장비 하나로 정량적 분석 및 정성적 분석이 가능하여 사용성 및 공간확보에 편리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펨토초 레이저부 2 : 송신부
3 : 수신부 4 : 제어부
5 : 데이터 처리부 6 : 출력부
7 : 전원부 10 : 펨토초 레이저
11 : 펄스 압축기 12 : 빔 스플리터
13 : 시간 지연기

Claims (12)

  1.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생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샘플을 향하여 방출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에서 방출되어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프로브 빔을 입력받아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위상각 및 세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수신부;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포함하는 레이저 신호를 발생시켜, 펌프 빔은 일정 시간동안 시간 지연시켜 상기 송신부에 제공하고, 프로브 빔은 상기 수신부에 제공하는 펨토초 레이저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위상각 및 세기를 입력받아 샘플에 대한 정량적 수치값을 산출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위상각, 샘플 두께 및 빛의 속도를 이용하여 샘플의 굴절률을 산출하고, 굴절률을 이용하여 투과계수를 산출하며, 투과계수와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흡수 계수를 산출한 후에 산출된 흡수 계수에 비례하는 정량적 수치값을 산출하는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3.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흡수 계수를 이용하여 정성적인 분석을 수행하여 정성적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를 제어하여 펌프빔과 프로브빔을 포함하는 레이저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여 샘플을 향하여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조사하며,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여 샘플을 통과한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와 프로브 빔을 수신하여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위상각,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세기 및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굴절률과, 흡수 계수 그리고 투과 계수를 산출하는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는
    P 편광(parallel 편광)된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포함하는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펨토초 레이저;
    상기 펨토초 레이저에서 생성된 레이저 신호의 직경을 좁혀주는 펄스 압축기;
    입력되는 펌프 빔을 시간 지연시켜 상기 송신부로 제공하는 시간 지연기; 및
    상기 펄스 압축기에서 입력되는 레이저 신호를 P 편광(parallel 편광)된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2개의 평행 빔으로 나누어 펌프 빔은 상기 시간 지연기로 입사되도록 하고, 프로브 빔은 상기 수신부로 입사되도록 하는 빔스플리터를 포함하는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7. (A) 펨토초 레이저부가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포함하는 레이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가 펌프 빔을 일정 시간동안 시간 지연시켜 송신부에 제공하고, 프로브 빔을 수신부에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송신부가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발생시켜 생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샘플을 향하여 방출하는 단계;
    (D) 상기 수신부가 상기 송신부에서 방출되어 샘플을 통과한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프로브 빔을 입력받아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위상각 및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세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E) 데이터 처리부가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위상각 및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세기를 입력받아 샘플에 대한 정량적 수치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방법.
  8.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진동수,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위상각, 샘플 두께 및 빛의 속도를 이용하여 샘플의 굴절률을 산출하고, 굴절률을 이용하여 투과계수를 산출하며, 투과계수와 샘플을 통과한 테라헤르츠 펄스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흡수 계수를 산출한 후에 산출된 흡수 계수에 비례하는 정량적 수치값을 산출하는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방법.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F)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흡수 계수를 이용하여 정성적인 분석을 수행하여 정성적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방법.
  10.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굴절률과, 흡수 계수 그리고 투과 계수를 산출하는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방법.
  11.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의 펨토초 레이저가 P 편광(parallel 편광)된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포함하는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방법.
  12.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의 펄스 압축기가 상기 펨토초 레이저에서 생성된 레이저 신호의 직경을 좁혀주는 단계;
    (B-2)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의 빔스플리터가 상기 펄스 압축기에서 입력되는 레이저 신호를 P 편광(parallel 편광)된 펌프 빔 및 프로브 빔을 2개의 평행 빔으로 나누어 펌프 빔은 상기 시간 지연기로 입사되도록 하고, 프로브 빔은 상기 수신부로 입사되도록 하는 단계; 및
    (B-3) 상기 펨토초 레이저부의 시간 지연기가 입력되는 펌프 빔을 시간 지연시켜 상기 송신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방법.
KR1020160174920A 2016-08-22 2016-12-20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928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38 2016-08-22
KR20160106238 2016-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631A true KR20180021631A (ko) 2018-03-05
KR101928472B1 KR101928472B1 (ko) 2019-03-12

Family

ID=6172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920A KR101928472B1 (ko) 2016-08-22 2016-12-20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149A (ko) 2018-06-20 2019-12-30 (주)레이텍 영상보정 테라헤르츠파 물체검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496A (ja) * 2004-03-26 2005-10-06 Tochigi Nikon Corp 成分分析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成分分析装置
JP2013029461A (ja) * 2011-07-29 2013-02-07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テラヘルツ波発生装置、テラヘルツ波検出装置、およびテラヘルツ波分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496A (ja) * 2004-03-26 2005-10-06 Tochigi Nikon Corp 成分分析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成分分析装置
JP2013029461A (ja) * 2011-07-29 2013-02-07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テラヘルツ波発生装置、テラヘルツ波検出装置、およびテラヘルツ波分光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ermanshahi, R. K., and Peymanfar, S. (201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i from cheese, yoghurt and silage by 16S rDNA gene and study of bacteriocin and biosurfactant production. Jundishapur journal of Microbiology, 5(4), 528-532.
Rahman, P. K. S. M. et al. (2010). Production of rhamnolipid biosurfactants by Pseudomonas aeruginosa DS10-129 in a microfluidic bioreactor. Biotechnology and Applied Biochemistry, 55 (1), 45-5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149A (ko) 2018-06-20 2019-12-30 (주)레이텍 영상보정 테라헤르츠파 물체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472B1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tusiewicz et al. Determination of major and trace elements in biological materials by microwave induc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MIP-OES) following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H) solubilization
JP2016075691A (ja) 吸収分光に基づく土壌中の硝酸性窒素濃度の測定
EP2144047B1 (en) Bacteria analyzer, bacteria analyz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09061367A3 (en) Optical sensor for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an analyte
TN2014000331A1 (en) Monitoring and control of soil conditions
KR101928472B1 (ko) 테라헤르츠 펄스를 이용한 생계면활성제 분석 장치 및 방법
MX2007013637A (es) Sistema para el analisis rapido de materiales microbiologicos en muestras liquidas.
Zhang et al. Ultrasound-assisted emulsification solidified floating organic drop microextrac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trace cadmium in water samples by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Zhu et al. Determination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extiles using solid-phase microextraction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uynh et al. Ultrasound modulated imaging of luminescence generated within a scattering medium
Qin et al. Dual-frequency ultrasound assisted-enzyme digestion coupled with atomic fluorescence spectrometry as a green and efficient tool for cadmium detection in rice flour samples
Amri et al. Three-pesticide residue analysis in tomato using a fast pressure variation in-syringe dispersive liquid-phase microextraction technique coupl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by assisting experimental design
Liu et al. Enzyme and inhibition assay of urease by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ammonium formation based on capillary electrophoresis
JP2006266905A (ja) クロロフィル分析装置及びクロロフィルの分析方法
Rodrigues et al. Automatic flow system with voltammetric detection for diacetyl monitoring during brewing process
CN105954349A (zh) 一种定性分析氧化石墨烯的方法
EP2397841A1 (en) Fluorescence detection device and fluorescence detection method
CN102234609A (zh) 水体综合毒性检测系统及方法
CN115201179A (zh) 植物营养液养分元素检测装置及方法
Popa et al. Degassed versus pristine: Evaluating melt inclusions with a new ATR-FPA-FTIR calibration and water imaging method in rhyolitic melts
Ye et al. Determination of sixteen pyrethroids in water using dispersive liquid–liquid microextraction based on dissolved carbon dioxide flotation after emulsification microextraction using gas chromatography with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ry
Miller et al. Capillary electrophoresis micro X-ray fluorescence: A tool for benchtop elemental analysis
Brabant et al. A robust approach for the determination of dimethylsulfoxide in sea ice
MX2014014236A (es) Instrumento de medición de coeficientes de difusión por la técnica de recuperación de fluorescencia.
Drouin et al. Casino V2. 0: An advance simulation tool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