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546A -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 Google Patents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546A
KR20180021546A KR1020160106263A KR20160106263A KR20180021546A KR 20180021546 A KR20180021546 A KR 20180021546A KR 1020160106263 A KR1020160106263 A KR 1020160106263A KR 20160106263 A KR20160106263 A KR 20160106263A KR 20180021546 A KR20180021546 A KR 20180021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in
supporter
swash plate
slot
thrus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825B1 (ko
Inventor
송세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6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8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95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8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ervoirs in the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에 관한 것으로, 일단이 엔진의 풀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100)과, 상기 구동축(100)의 상기 풀리 쪽 일측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트러스트 베어링을 지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와,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와 이격 배치되며, 경사각에 따라 냉매 토출량 및 압력을 조절하는 사판(500)과, 상기 구동축(100)과 상기 사판(500)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축(100)의 구동력을 상기 사판(500)으로 전달하는 힌지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터를 생략함으로써 압입 공정이 없어지고, 압입 시 변형에 따른 PCE 및 angle의 변형량이 최소화된다. 또한, 트러스트 베어링을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가 별도 지지함으로써 베어링의 회전을 지지하는 레이스 역시 생략할 수 있어 구조가 단순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Air blower for vehicle}
본 발명은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킨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시스템에 적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를 거친 냉매 가스를 흡입해 고온고압의 냉매 가스 상태로 압축하여 응축기로 토출하는 기능을 하며, 왕복동식, 회전식, 스크롤식, 사판식 등 다양한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 중 동력원으로 전동 모터를 사용하는 압축기를 통상적으로 전동식 압축기라고 하며, 압축기의 종류 중 사판식 압축기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사판식 압축기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에 디스크 형상의 사판(swash plate)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구동축에 의해 회전하며, 사판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냉매 가스를 흡입 또는 압축하여 배출하는 원리이다. 일 예로, 한국특허공개 2012-010018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는, 열 부하에 따라 구동축에 설치된 사판의 경사각이 가변되는 것으로, 사판의 경사각이 가변됨에 따라 피스톤의 왕복 이송량이 변화되어 냉매 토출량이 조절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용량 가변형 사판 압축기의 구동부는 허브에 위치 고정된 힌지핀이 회전축에 고정된 로터에 대해 슬라이딩(sliding) 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슬라이딩하는 샤프트 부쉬를 통해 사판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힌지 메카니즘은 회전축에 로터를 압입하는 공정이 필요해 작업 공정과 제품 구조가 복잡해 중량적으로나 프로세스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낮으며, 힌지 메카니즘의 clearance로 인한 구성품간 유격이 상대적으로 큰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2015-0017401호(공개일 2015. 02. 17)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킨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는, 일단이 엔진의 풀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100)과, 상기 구동축(100)의 상기 풀리 쪽 일측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트러스트 베어링을 지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와,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와 이격 배치되며, 경사각에 따라 냉매 토출량 및 압력을 조절하는 사판(500)과, 상기 구동축(100)과 상기 사판(500)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축(100)의 구동력을 상기 사판(500)으로 전달하는 힌지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100)은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100)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 플랜지(110) 상에는 제1 슬롯(112) 및 제2 슬롯(114)이 상호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슬롯(112) 및 제2 슬롯(114)은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의 이격 간격보다 타단의 이격 간격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슬롯(112)과 제2 슬롯(114)의 타단은 상기 구동축(100)의 외주면보다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7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양단 사이가 절곡된 한 쌍의 회동 링크(710)와, 상기 회동 링크(71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힌지핀(730)과, 상기 회동 링크(71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3 힌지핀(770)과, 상기 제1 힌지핀(730) 및 제3 힌지핀(770)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2 힌지핀(7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힌지핀(730)은 상기 제1 슬롯(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제1 슬롯(112)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양단이 상기 회동 링크(710)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힌지핀(750)은 상기 제2 슬롯(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제2 슬롯(114)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양단이 상기 회동 링크(710)에 절곡된 부위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힌지핀(770)은 상기 사판암(5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사판암(5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양단이 상기 회동 링크(710)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판(500)은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를 향하는 판면에 돌출 형성된 사판암(510)과, 상기 사판암(510)과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허브(530)를 포함한다.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는 상기 사판(500)을 향하는 판면에 구비된 원판 형상의 서포터 플랜지(310)를 포함하고, 상기 사판(500)의 최대 경사각에서 상기 허브(530)가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한다.
상기 사판(500)의 판면이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의 판면과 서로 평행한 최소 경사각 상태에서 상기 허브(530)가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에 접촉되는 최대 경사각 상태로 경사각이 변경될 때, 상기 제1 힌지핀(730)은 상기 제1 슬롯(112)의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제2 힌지핀(750)은 상기 제2 슬롯(114)의 타단에서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회동 링크(710)의 상기 제1 힌지핀(730) 쪽 일단은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회동 링크(710)의 상기 제2 힌지핀(750) 결합부위는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에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힌지핀(730)은 상기 구동축(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힌지핀(750)은 상기 구동축(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허브(530)가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에 접촉되는 최대 경사각 상태에서 상기 사판(500)의 판면이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의 판면과 서로 평행한 최소 경사각 상태로 경사각이 변경될 때, 상기 제1 힌지핀(730)은 상기 제1 슬롯(112)의 타단에서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제2 힌지핀(750)은 상기 제2 슬롯(114)의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회동 링크(710)의 상기 제1 힌지핀(730) 쪽 일단은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회동 링크(710)의 상기 제2 힌지핀(750) 결합부위는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힌지핀(730)은 상기 구동축(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힌지핀(750)은 상기 구동축(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는 상기 회동 링크(710)의 작동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회동 링크(710)의 작동 영역 이외의 부분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는, 로터를 생략함으로써 압입 공정이 없어지고, 압입 시 변형에 따른 PCE 및 angle의 변형량이 최소화된다. 또한, 트러스트 베어링을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가 별도 지지함으로써 베어링의 회전을 지지하는 레이스 역시 생략할 수 있어 구조가 단순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10)는 실린더 블록 및 프런트, 리어 하우징으로 구성된 압축기 내부에 삽입된다. 구동부(10)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미도시)와, 풀리에 결합되어 풀리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100)과, 구동축 상에 결합되는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및 사판(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축(100)은 일단이 풀리에 연결되어 프런트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리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축(100)의 풀리 쪽 일측에는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사판(500)이 삽입된다.
구동축(100)에는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와 연결되는 축 플랜지(110)가 구비되고, 축 플랜지(110) 상에 제1 슬롯(112) 및 제2 슬롯(114)이 관통 형성된다.
축 플랜지(110)는 구동축(100)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 부분으로, 제1 슬롯(112) 및 제2 슬롯(114)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만큼의 크기를 갖는다.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슬롯(112)은 제2 슬롯(114)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슬롯(114)은 상측에 배치된다.
도 3을 기준으로 제1 슬롯(112)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구동축(100)의 하측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형태이고, 제2 슬롯(114)은 구동축(100)의 상측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형태이다. 또한, 제1 슬롯(112)과 제2 슬롯(114)의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고, 제1 슬롯(112)과 제2 슬롯(114)의 타단은 일단쪽보다 넓은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다. 따라서 축 플랜지(110)는 구동축(100)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가 된다. 제1 슬롯(112)과 제2 슬롯(114)에는 후술할 힌지부(700)가 연결된다.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는 종래의 러그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로터를 대체하는 구조로, 트러스트 베어링(미도시)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사판에 대향되는 위치에 종래의 로터가 배치되는 이유는 사판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과, 구동축(100) 상에 중량체(mass)가 구비될 때 무게 불균형에 의해 요잉(yawing)이 발생하는데, 이 때 다시 균형을 맞춰주는 기능을 하기 위함이다(static balance 기능). 종래에는 이러한 역할을 러그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로터가 수행하였으나, 크기와 무게가 크고 힌지 구조가 복잡해 구동부의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로터를 압입 과정에 의해 구동축(10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구동축(100)이나 주변 부품에 변형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로터를 대체하는 구조로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를 제안하는 것이다.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는 원판 형상의 구조물로, 기존 로터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기존에는 로터의 외주면 일측에 로터보다 큰 반경을 갖는 반원 형태의 러그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편심 하중을 갖는 형태였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는 편심 하중을 부가하지 않는 원판 형태로 구비된다.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의 사판(500) 쪽 판면에는 서포터 플랜지(310)가 결합된다.
서포터 플랜지(3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후술할 힌지부(700)가 작동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힌지부(700)의 작동 영역에 해당하는 가장자리 일부가 다른 쪽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 이렇게 요입된 부분을 도 1 및 도 4에 표시하였다(요입부, 312). 또한, 서포터 플랜지(310)는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하측에 해당하는 부분이 후술할 사판(500)의 허브(530)와 접촉되어 사판(500)의 경사각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사판(500)은 실린더 블록 내에 구비된 실린더 보어에 삽입된 피스톤(미도시)에 연결된다. 사판(500)의 회전에 따라 실린더 보어의 내부에서 피스톤이 직선 운동하며 냉매를 흡입하거나, 실린더 보어 내부의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사판(500)의 경사 각도 조절에 의해 냉매 토출량 및 압력이 조절된다.
사판(500)은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를 향하는 판면에 사판암(510)과 허브(530)가 돌출 형성된다. 사판암(510)은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고, 허브(530)는 사판암(510)과 이격되되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된다.
사판암(510)에는 후술할 힌지부(700)의 제3 힌지핀(77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허브(530)는 대략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를 향해 사판암(510)보다 돌출된다. 허브(530)는 사판(500)의 경사각이 조절될 때 사판(500)이 설정 각도 이상으로 경사 배치되지 못하도록 사판(5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허브(530)는 사판(500)의 경사각이 최대일 때 서포터 플랜지(310)의 하부에 접촉될 정도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판(500)은 힌지부(700)에 의해 구동축(1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힌지부(7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회동 링크(710)와, 회동 링크(710)에 결합되는 제1 힌지핀(730), 제2 힌지핀(750) 및 제3 힌지핀(770)으로 구성된다.
회동 링크(710)는 대략 'ㄱ'자 형상의 판재로, 일단에 제1 힌지핀(730)이 결합되고, 타단에 제3 힌지핀(770)이 결합된다. 절곡된 부분에는 제2 힌지핀(750)이 결합되며, 이를 위해, 회동 링크(710)의 양단과 절곡된 부분에는 제1 힌지핀(730) 내지 제3 힌지핀(770)이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회동 링크(710)의 절곡된 정도는 사판(500)의 최대 경사각(후술함)에서 제1 힌지핀(730)이 가려질 수 있는 정도이다(도 4 참조). 회동 링크(710)는 제1 힌지핀(730)과 제2 힌지핀(750)이 결합되는 관통홀간의 간격보다 제2 힌지핀(750)과 제3 힌지핀(770)이 결합되는 관통홀간의 간격이 넓게 형성된다. 이는 제1 슬롯(112) 및 제2 슬롯(114)의 간격, 사판(500)의 경사각에 따른 제1 슬롯(112) 및 제2 슬롯(114)과 사판암(510)의 간격에 따른 구성이다.
제1 힌지핀(730)은 제1 슬롯(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제1 슬롯(112)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돌출된 양단이 회동 링크(710)의 일단에 각각 결합된다.
제2 힌지핀(750)은 제2 슬롯(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제2 슬롯(114)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돌출된 양단이 회동 링크(710)에 절곡된 부위에 각각 결합된다.
제3 힌지핀(770)은 사판암(5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사판암(5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돌출된 양단이 회동 링크(710)의 타단에 각각 결합된다.
이렇게 회동 링크(710)가 제1 힌지핀(730) 내지 제3 힌지핀(770)에 의해 사판(500)과 연결되고, 제1 힌지핀(730) 및 제2 힌지핀(750)이 구동축(100)의 제1 슬롯(112) 및 제2 슬롯(114)에 각각 삽입되어 연동되므로 구동축(100)의 회전력이 사판(5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사판(500)의 판면이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의 판면과 서로 평행한 상태(사판이 구동축과 수직인 상태)를 사판(500)의 경사각이 최소인 상태라고 하고(도 1 참조), 사판(500)이 기울어져 허브(530)가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에 접촉할 때를 사판(500)의 경사각이 최대인 상태라고 한다(도 4 참조).
냉방부하가 클 때 크랭크실의 압력이 감소되면 사판(500)의 경사각이 최소각 상태에서 최대각을 향해 증가하므로, 피스톤의 행정 역시 증가되어 냉매 압축 및 토출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도 4를 기준으로 상측에 해당하는 사판암(510) 쪽인 사판(500)의 상부와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간의 거리는 허브(530) 쪽인 사판(500)의 하부와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간의 거리보다 커진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핀(730)은 제1 슬롯(112)의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도 3의 A --> A'방향 참조), 그에 따라 회동 링크(710)의 제1 힌지핀(730) 쪽 일단 역시 서포터 플랜지(31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도 1의 위치에서 도 4의 위치로 사판이 이동 시 회동 링크의 위치 참조). 제1 힌지핀(730)의 이동 궤적을 보면 구동축(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셈이다.
제2 힌지핀(750)은 제2 슬롯(114)의 타단에서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으로 이동하게 되고(도 3의 B --> B'방향 참조), 그에 따라 회동 링크(710)의 제2 힌지핀(750) 결합부위는 서포터 플랜지(310)에 가까워지게 된다(도 1의 위치에서 도 4의 위치로 사판이 이동 시 회동 링크의 위치 참조). 제2 힌지핀(750)의 이동 궤적을 보면 구동축(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셈이다.
냉방부하가 작을 때 크랭크실의 압력이 증가되면 사판(500)의 경사각이 최대각 상태에서 최소각을 향해 감소하므로, 피스톤의 행정 역시 감소되어 냉매 압축 및 토출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도 4를 기준으로 상측에 해당하는 사판암(510) 쪽인 사판(500)의 상부와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간의 거리가 사판(500)이 최대각 쪽으로 이동할 때보다 작아진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핀(730)은 제1 슬롯(112)의 타단에서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도 3의 A' --> A 방향 참조), 그에 따라 회동 링크(710)의 제1 힌지핀(730) 쪽 일단 역시 서포터 플랜지(310)를 향해 가까워지게 된다(도 4의 위치에서 도 1의 위치로 사판이 이동 시 회동 링크의 위치 참조). 제1 힌지핀(730)의 이동 궤적을 보면 구동축(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셈이다.
제2 힌지핀(750)은 제2 슬롯(114)의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게 되고(도 3의 B' --> B 방향 참조), 그에 따라 회동 링크(710)의 제2 힌지핀(750) 결합부위는 서포터 플랜지(31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도 4의 위치에서 도 1의 위치로 사판이 이동 시 회동 링크의 위치 참조). 제2 힌지핀(750)의 이동 궤적을 보면 구동축(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셈이다.
전술한 힌지핀의 이동에 따르면, 사판각의 증가에 따라 제1 슬롯(112)을 따라 움직이는 제1 힌지핀(730) 및 제2 슬롯(114)을 따라 움직이는 제2 힌지핀(750)의 구동축(100) 길이 방향 중심축선과의 거리가 제3 힌지핀(770)의 구동축(100) 길이 방향 중심축선과의 거리를 상쇄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중량(mass) 불균형이 상쇄되어 정적 평형(static balance)이 맞춰지게 된다(소음 및 진동 개선).
또한, 전술한 힌지핀의 이동에 따라 밸런스 웨이트(counter weight)를 최소화해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10)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구조적 단순화를 통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사판각을 조정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PEC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풀리의 회전력이 구동축을 통해 사판으로 직접 전달되므로 로터가 삭제되어도 풀리의 회전력을 사판에 전달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100: 구동축 110: 축 플랜지
112: 제1 슬롯 114: 제2 슬롯
300: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 310: 서포터 플랜지
500: 사판 510: 사판암
530: 허브 700: 힌지부
710: 회동 링크 730: 제1 힌지핀
750: 제2 힌지핀 770: 제3 힌지핀

Claims (16)

  1. 일단이 엔진의 풀리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100)과,
    상기 구동축(100)의 상기 풀리 쪽 일측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트러스트 베어링을 지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와,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와 이격 배치되며, 경사각에 따라 냉매 토출량 및 압력을 조절하는 사판(500)과,
    상기 구동축(100)과 상기 사판(500)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축(100)의 구동력을 상기 사판(500)으로 전달하는 힌지부(700)를 포함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0)은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100)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 플랜지(110) 상에는 제1 슬롯(112) 및 제2 슬롯(114)이 상호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112) 및 제2 슬롯(114)은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의 이격 간격보다 타단의 이격 간격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112)과 제2 슬롯(114)의 타단은 상기 구동축(100)의 외주면보다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7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양단 사이가 절곡된 한 쌍의 회동 링크(710)와, 상기 회동 링크(71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힌지핀(730)과, 상기 회동 링크(71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3 힌지핀(770)과, 상기 제1 힌지핀(730) 및 제3 힌지핀(770)의 사이에 결합되는 제2 힌지핀(750)을 포함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핀(730)은 상기 제1 슬롯(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제1 슬롯(112)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양단이 상기 회동 링크(710)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핀(750)은 상기 제2 슬롯(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제2 슬롯(114)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양단이 상기 회동 링크(710)에 절곡된 부위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힌지핀(770)은 상기 사판암(5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사판암(5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양단이 상기 회동 링크(710)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판(500)은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를 향하는 판면에 돌출 형성된 사판암(510)과, 상기 사판암(510)과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허브(530)를 포함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는 상기 사판(500)을 향하는 판면에 구비된 원판 형상의 서포터 플랜지(310)를 포함하고, 상기 사판(500)의 최대 경사각에서 상기 허브(530)가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판(500)의 판면이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의 판면과 서로 평행한 최소 경사각 상태에서 상기 허브(530)가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에 접촉되는 최대 경사각 상태로 경사각이 변경될 때, 상기 제1 힌지핀(730)은 상기 제1 슬롯(112)의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제2 힌지핀(750)은 상기 제2 슬롯(114)의 타단에서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회동 링크(710)의 상기 제1 힌지핀(730) 쪽 일단은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회동 링크(710)의 상기 제2 힌지핀(750) 결합부위는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에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핀(730)은 상기 구동축(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힌지핀(750)은 상기 구동축(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530)가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에 접촉되는 최대 경사각 상태에서 상기 사판(500)의 판면이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의 판면과 서로 평행한 최소 경사각 상태로 경사각이 변경될 때, 상기 제1 힌지핀(730)은 상기 제1 슬롯(112)의 타단에서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제2 힌지핀(750)은 상기 제2 슬롯(114)의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 서포터(300) 쪽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회동 링크(710)의 상기 제1 힌지핀(730) 쪽 일단은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회동 링크(710)의 상기 제2 힌지핀(750) 결합부위는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핀(730)은 상기 구동축(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힌지핀(750)은 상기 구동축(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플랜지(310)는 상기 회동 링크(710)의 작동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회동 링크(710)의 작동 영역 이외의 부분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KR1020160106263A 2016-08-22 2016-08-22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KR102641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63A KR102641825B1 (ko) 2016-08-22 2016-08-22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63A KR102641825B1 (ko) 2016-08-22 2016-08-22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46A true KR20180021546A (ko) 2018-03-05
KR102641825B1 KR102641825B1 (ko) 2024-02-29

Family

ID=6172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263A KR102641825B1 (ko) 2016-08-22 2016-08-22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4661A (zh) * 2021-06-23 2021-09-17 无锡路程科技有限公司 一种燃烧器送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855A (ja) * 2002-02-15 2003-08-27 Denso Corp 圧縮機
JP2004308621A (ja) * 2003-04-10 2004-11-04 Kyowa Metal Work Co Ltd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10001866A (ja) * 2008-06-23 2010-01-07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
KR20150017401A (ko) 2013-06-07 2015-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라디에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855A (ja) * 2002-02-15 2003-08-27 Denso Corp 圧縮機
JP2004308621A (ja) * 2003-04-10 2004-11-04 Kyowa Metal Work Co Ltd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10001866A (ja) * 2008-06-23 2010-01-07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
KR20150017401A (ko) 2013-06-07 2015-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라디에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4661A (zh) * 2021-06-23 2021-09-17 无锡路程科技有限公司 一种燃烧器送风装置
CN113404661B (zh) * 2021-06-23 2022-11-04 无锡路程科技有限公司 一种燃烧器送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825B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987B1 (ko) 스크롤 압축기
KR20200112247A (ko) 스크롤 압축기
JPH09317628A (ja) 圧縮機
KR20180021546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KR102097019B1 (ko) 압축기
KR100382362B1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KR20180019381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KR20180019382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KR101731649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2641824B1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KR102680624B1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구동부
KR101181108B1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
KR100903060B1 (ko) 사판식 압축기의 샤프트 지지구조
KR101740037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20130109485A (ko)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 지지구조
JP2000110717A (ja) 斜板型可変容量圧縮機
JP3259487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02180955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EP1270942A2 (en) Swash plate compressor thrust bearing structure
KR20190033880A (ko) 사판식 압축기
JP2002161852A (ja) 可変容量型圧縮機及びその製造方法
EP1431602A1 (en) Rotary machine
KR20080021315A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
KR20040014118A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KR102087676B1 (ko) 가변 사핀식 압축기의 최소 사판각 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