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534A - Bridge bearing for earthquake-pro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ridge bearing for earthquake-pro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534A
KR20180021534A KR1020160106230A KR20160106230A KR20180021534A KR 20180021534 A KR20180021534 A KR 20180021534A KR 1020160106230 A KR1020160106230 A KR 1020160106230A KR 20160106230 A KR20160106230 A KR 20160106230A KR 20180021534 A KR20180021534 A KR 20180021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plate
plate
upper structure
soleplate
seal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3716B1 (en
Inventor
안재열
Original Assignee
석정건설(주)
주식회사 에스티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건설(주), 주식회사 에스티알 filed Critical 석정건설(주)
Priority to KR102016010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716B1/en
Publication of KR2018002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5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7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bearing device for seismic reinforcement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The bridge bearing device for seismic reinforcement comprises: a lower soleplate installed in order for an upper side to be in contact with a lower side of an upper structure; a side soleplate coming into contact with each of both sides of the upper structure, wherein the low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oleplate; and a sealing material injected between the lower soleplate and the side soleplate and sealing a separated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comprises: a side arranging step of arranging the lower side on the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to obtain a bonding force; a lower soleplate arranging step of arranging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oleplate in order for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oleplate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tructure; a side soleplate arranging step of arranging the side soleplate in order for the side soleplate to be in contact with each of both sides of the upper structure and in order for the lower side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oleplate; a welding step of welding a contact part of the lower soleplate and the side soleplate; a filling step of filling the separated space by injecting the sealing material between the lower soleplate, the side soleplate, and the upper structure through multiple through holes formed on the side soleplate; and a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the hole formed on the upper structure and the through hole by a bolt.

Description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BRIDGE BEARING FOR EARTHQUAKE-PRO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retrofitting apparatus for seismic retrofitting,

본 발명은 교량 또는 고가 도로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인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구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하시키는 내진 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system for seismic strengthening, which is installed between a bridge structure and a pier, which is a lower structure, to support an upper structure and mitigate impact applied to the uppe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교좌장치는 교량의 상부구조인 상판과 하부구조인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하면서 교량 상부구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하시키는 교량안전의 핵심장치이다.The bridge is a key device for bridge safety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and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to support the upper part while relieving the impact on the bridge overhead.

교량은 그 특성상 지진에 매우 취약한 구조물로서 지진 발생시, 교량의 내진 안전성 확보를 위해 설계되어야 한다.Bridges are very vulnerable to earthquakes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should be designed to ensure the seismic safety of bridges when an earthquake occurs.

특히 국내에서도 연평균 17번 정도의 지진이 발행하는 점을 볼때, 지진에 대한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을 항상 주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Especially in Korea, it is necessary to keep an eye on the fact that it is not a safe zone for earthquakes when 17 times of annual earthquakes are issued annually.

따라서 지진 발생시, 교량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교좌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교좌장치가 개발되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damage of bridges when an earthquake occurs, researches on the tilting apparatu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d various types of tilting apparatus have been developed.

이러한 교좌장치 중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5855호에 탄성받침을 갖는 교량용 교좌장치가 개시되었다.As one of such coordinate apparatuses, a registration apparatus for a bridge having a resilient support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5855.

도 1은 종래 탄성받침을 갖는 교량용 교좌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 구성은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quasi-ball joint apparatus having an elastic bearing,

앙카바에 의해 교각으로 매입 설치되는 하답(12)의 상면으로 형성된 요입부에 신축, 회전등에 의한 교축방향 변형을 흡수해 주는 탄성받침(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받침(10)의 상부로 얹혀져 하답(12)의 싸이드키로 볼트 고정된 싸이드블록에 의해 고정되어서 교량 상판으로 설치되는 상답(11)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받침(10)은 교량의 신축, 회전등에 의한 교축방향 변형을 원활하게 흡수해줄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고무패드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고무패드의 상부에는 상답(11)의 스테인레스강판이 미끄럼활동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무패드의 하부에는 하답(12)의 요입부 깊이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스틸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astic support (10) for absorbing deformation in a throttling direction due to expansion, rotation, and the like is provided at a recessed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12) embedded in the bridge by the anchor bar. (11) which is mounted on a bridge upper plate by being fixed by a side block fixed by bolts fixed by a side key of a lower plate (12), and the elastic support (10) is smoothly deformed in the throttling direction by expansion, And a sliding plate for sliding the stainless steel plate of the answering part 11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rubber pad. At the lower part of the rubber pad, And a steel plate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depth is provided.

이러한 탄성받침을 갖는 교량용 교좌장치는 고무패드로 이루어진 탄성받침(10)이 구비됨으로써, 교량의 신축, 회전 등에 의해 변위(변형)가 일어나더라도 신축작용을 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The bridge support device having such an elastic support is provided with the elastic support 10 made of a rubber pad, so that even if displacement (deformation) occurs due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ridge, expansion and contraction can be performed, safety can be achieved.

그러나 종래 탄성받침을 갖는 교량용 교좌장치는 교량의 상부구조가 상답(11)의 상측에 결합되는데, 이때, 상답(11)의 평평한 하측면과 상답(11)의 평평한 상측면이 접촉되도록 결합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ridge apparatus having an elastic support,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rights 11, and the flat lower side of the uprights 11 and the flat upper side of the uprights 11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

이에, 교량의 신축, 회전 등에 의해 변위가 일어나게 되면 탄성받침(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답(11)은 교량의 상부구조와 결합된 채 함께 신축성 있게 움직여야 하는데, 탄성받침(10)과 상답(11)의 접촉면적이 충분하지 않아 변위 발생시 탄성부재(10)의 신축에도 불구하고 탄성받침(10)과 상답(11) 사이에 크랙이 발생되어 상기 접촉면적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a displacement occurs due to expansion, contraction, rotation, or the like of the bridge, the anchor 11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support 10 must move together with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n a stretchable manner. 11 are insufficient, cracks are generated between the elastic support 10 and the anchor 11 despite the elongation and contraction of the elastic member 10 when the displacement is generated, so that the contact area is damaged.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5855호(2002.08.02.)Registration Utility Model Bulletin No. 20-0285855 (Aug. 2, 200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교량 또는 고가 도로의 상부구조와 하구부조인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구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structure, which is installed between an upper structure of a bridge or an elevated road and a bridge pillar,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earthquake-proof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내진 성능을 위해 서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지지부와 교좌부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와 상부구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하면 솔플레이트의 양측 각각에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측면 솔플레이트가 더 구비됨으로써, 하면 솔플레이트 및 측면 솔플레이트와 상부구조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지진 발생시에도 결합력 향상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 structure which is provided between a supporting portion and an upper structure so as to be able to expand and contract for mutual expansion and contraction for an earthquake-proof performa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plate and the top surface of the side sole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ottom sole plate and the side sole plate and the upper structure, And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는 상부구조의 하측면에 상측면이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하면 솔플레이트; 상부구조의 양 측면 각각에 접촉되며, 하측면이 하면 솔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측면 솔플레이트; 및 하면 솔플레이트 및 측면 솔플레이트와 상부구조 사이에 주입되어 이격된 공간을 메우는 실링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nti-seizure device for anti-seismic reinforcement comprises: a bottom sole plat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an upper structur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n upper side; A side sole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structure and is arranged so that the low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ole plate; And a sealing material injected between the bottom sole plate and the side sole plate and the top structure to fill a spac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s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시공방법은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상부구조의 표면에 대한 하측면을 정리하는 면 정리단계; 상부구조의 하측면에 하면 솔플레이트의 상측면이 접촉되도록 배치하는 하면 솔플레이트 배치단계; 상부구조의 양 측면 각각에 접촉되며, 하측면이 하면 솔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접촉되되록 측면 솔플레이트를 배치하는 측면 솔플레이트 배치단계; 하면 솔플레이트와 측면 솔플레이트의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용접단계; 측면 솔플레이트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공을 통해 하면 솔플레이트 및 측면 솔플레이트와 상부구조 사이에 실링재를 주입하여 이격된 공간을 메우는 메움단계; 및 관통공과 상부구조에 형성된 홀을 볼트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quasi-static apparatus for reinforcing seismic reflection, the method comprising: a surface cleaning step of arranging a lower surface of a surface of an upper structure to secure an adhesive force; Arranging the bottom sole plate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ole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structure; A side sole plate positioning step of contacting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structure, the side sole plates being disposed such that the low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ole plate; A welding step of welding a contact portion of the lower sol plate and the side sol plate; A filling step of filling the spaced space by injecting a sealing material between the bottom sole plate and the side sole plate and the top structure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ide sole plate; And a coupling step of bolt-joining the through-hole and the hole formed in the upper structure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by provid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ordinate system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본 발명은 교량 또는 고가 도로의 상부구조와 하구부조인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구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markable effect of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and alleviat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upper structure by being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s or the elevated roads and the bridge bridges.

또한 본 발명은 내진 성능을 위해 서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지지부와 교좌부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와 상부구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하면 솔플레이트의 양측 각각에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측면 솔플레이트가 더 구비됨으로써, 하면 솔플레이트 및 측면 솔플레이트와 상부구조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지진 발생시에도 결합력 향상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bridge portion ar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xpand and contract to each other for an earthquake-proof performance, and ar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upper structure, Since the sole plate is further provided, the area of contact between the bottom sole plate and the side sole plate and the top structure is increased, thereby securing the safety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bonding force even when a seismic force is generated.

도 1은 종래 탄성받침을 갖는 교량용 교좌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정면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에서 하면 솔플레이트와 측면 솔플레이트에 형성된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에서 판스프링이 작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에서 판스프링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시공방법에서 교좌부 설치단계가 더 구비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quasi-ballistic apparatus having an elastic bearin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ismic system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ismic system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seismic system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flow path formed in a bottom sole plate and a side sole plate in a seismic apparatus for anti-seismic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arthquake-proof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ismic apparatus for seismic strengthen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leaf spring acts in a seismic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leaf spring in a seismic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arthquake-proof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ismic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quasi-static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bridge installation step is additionally provided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bridge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먼저, 본 명세서에서 내진 보강을 위한 교좌장치는 교량 또는 고가 도로의 상부구조(1)와 하부구조(2)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구조(1)는 교량 또는 고가 도로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판 등을 의미하며, 하부구조(2)는 교대 또는 교각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한 구조물에 한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며, 내진 보강을 위한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됨은 물론이다.Firs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ridge structure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 and the lower structure 2 of a bridge or an elevated road, wherein the upper structure 1 comprises a bridge or a bridge And the lower structure 2 means an alternation or a pier or the like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tructure and is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은 교량 또는 고가 도로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인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구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하시키는 내진 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earthquake-proof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re installed between an upper structure of a bridge or an elevated road and a pier which is a lower structure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and to prevent the impact applied to the upper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에 대해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정면측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에서 하면 솔플레이트와 측면 솔플레이트에 형성된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ismic system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ismic system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flow path formed in a bottom sole plate and a side sole plate in a seismic apparatus for seismic strength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보강을 위한 교좌장치는 내진 성능을 위해 서로 신축이 가능한 지지부(100)와 교좌부(200)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100)와 상부구조(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1)를 지지하는 하면 솔플레이트(110)의 양측 각각에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측면 솔플레이트(120)가 더 구비됨으로써,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와의 접촉면적 증가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부(100)와 교좌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ismic isolation structure for an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comprising: a supporting portion 100 and an interlocking portion 200 capable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to each other for seismic performance; The bottom sol plate 110 and the side sol plate 1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ole plate 110 supporting the structure 1, (100) and the bridge portion (200) so as to ensure safety in accordance with an increase in the contact area with the support portion (1).

지지부(100)는 상부구조(1)와 후술되는 교좌부(200)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구조(1)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교좌부(200)에 의한 내진 성능이 최대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면 솔플레이트(110), 측면 솔플레이트(120) 및 실링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orting part 10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 and the laterally-coupled part 200 and is firmly coupled to the upper part 1 to maximiz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upper part 200 And includes a sol sol plate 110, a side sol plate 120, and a sealing material 130.

하면 솔플레이트(110)는 상부구조(1)의 하측면에 상측면이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철판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sole plate 11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tructure 1 so as to be adjacent to the upper side, an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n iron plate or the like.

이러한 하면 솔플레이트(110)는 상측으로는 상부구조(1)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구조(1)를 지지하는 동시에, 하측으로는 후술되는 교좌부(200)가 결합된다.The sole plate 110 is firmly coupled to the upper structure 1 on the upper side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1 and coupled to the lower side 200 on the lower side.

측면 솔플레이트(120)는 상부구조(1)의 양측면 각각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하측면이 상기 하면 솔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하면 솔플레이트(1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lower soles plate 120 is arranged to be adjacent to each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structure 1 and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oles plate 110 and has the same material as the lower soles plate 110 .

이러한 하면 솔플레이트(110)와 측면 솔플레이트(12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조(1)와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are arranged such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top structure 1 and the side sole plate 120, as shown in Figs.

이에, 상기 공간을 통해 후술되는 실링재(130)가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가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The lower sol plate 110 and the side sol plat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llowing the sealing material 13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injected through the space.

이때, 하면 솔플레이트(110)와 측면 솔플레이트(120)의 결합은 상호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may be welded to each other to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나아가,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의 결합은 측면 솔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공(121)과 상기 관통공(121)에 대응되는 홀(1a)을 상부구조(1)에 천공하여, 관통공(121)과 홀(1a)을 통해 볼트 결합함으로써,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ottom sol plate 110 and the side sol plate 120 are coupled to the top structure 1 b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 formed in the side sol plate 120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121. [ (1a) to the upper structure (1) and bolt-connecting the through hole (121) and the hole (1a).

바람직하게는, 케미칼앙카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콘크리트 재질의 상부구조(1)와 금속 재질의 측면 솔플레이트(120) 상호간에 결합력을 최대화하려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solenoid valve 120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by a chemical anchor, so that the upper solenoid valve 1 and the side wall sol plate 120 made of a metal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maximize the coupling force.

한편, 측면 솔플레이트(120)에 관통공(121)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은 상기 관통공(121)을 통해 후술되는 실링재(130)를 하면 솔플레이트(110)와 상부구조(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로 흘려보내게 되는데, 이때, 주입되는 실링재(130)만큼 상기 공간에 형성되던 공기가 다른 관통공(121)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실링재(130)가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형성된 협소한 공간으로 용이하게 주입된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 are formed in the side surface sol plate 120.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ol plate 120 is formed with a sealing material 13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through holes 121, The air formed in the space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through hole 121 by the sealing material 130 to be injected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13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urface sol Is easily injected into a narrow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물론,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후술되는 실링재(130)가 주입되도록 소정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지만, 상기 공간의 폭이 협소하여 실링재(130)가 주입되는 양보다 빠져나오는 공기가 적어 실링재(130) 사이에 기포가 형성되거나 또는 실링재(130)가 상기 공간에 꽉 차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Of course, a predetermined spac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ol plate 110 and the side sol plat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so that the later described sealing material 130 is injected. However, The bubbles may be formed between the sealing members 130, or the sealing member 130 may not be filled in the spac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실링재(130)가 용이하게 주입되지 않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실링재(130)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측면 솔플레이트(120)에 다수 개의 관통공(121)을 형성하고, 나아가, 관통공(121)을 통해 주입된 실링재(130)가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형성되는 협소한 공간에 꽉 차게 주입될 수 있도록 실링재(1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로(125)가 형성됨으로써, 실링재(130)가 보다 용이하게 주입되도록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sealing material 130 is not easily inj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 are formed in the side sole plate 120 to facilitate the injection of the sealing material 130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130 in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can be injected into the narrow space formed between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The flow path 125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aling material 130 is formed,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130 is more easily injected.

유로(125)는 관통공(121)을 통해 주입되는 실링재(130)가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형성된 협소한 공간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실링재(130)가 이송되는 별도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면 솔플레이트(110)과 측면 솔플레이트(120) 각각의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다.The flow path 125 is formed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130 in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is more efficiently injected into the narrow space formed between the bottom sol plate 110 and the side sol plate 120 and the top structure 1 5, the lower sol plate 110 and the side sol plate 120 are formed with grooves that are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sol plate 110 and the side sol plates 120, respectively, .

이때, 유로(125)의 시작지점 또는 끝나는 지점 중 선택된 하나는 관통공(121)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관통공(121)으로 주입되는 실링재(130)가 바로 유로(125)로 안내되어 이동된다.A selected one of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of the flow path 125 may b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21. The sealing material 130 injec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low path 125 Guided.

이러한 유로(125)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하면 솔플레이트(110)는 실링재(130)가 주입되어 흐르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low path 125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the bottom sole plate 110 installed horizontally to the bottom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aling material 130 is injected and flowed.

즉 실링재(130)가 흐르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경사가 낮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실링재(130)가 관통공(121)으로 초기에 주입되는 경우, 유로(125)의 경사를 통해 빠르게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주입된 실링재(130)가 상부구조(1)와 하면 솔플레이트(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빠르게 주입되도록 하여 안쪽부터 실링재(130)가 채워진 후 점점 외부로 번져가면서 채워지도록 하여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형성된 공간 전체에 실링재(130)가 꽉 찬 상태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sealant 130 is injec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at an early stage, the slope of the sealant 130 can be rapidly injected through the inclination of the flow passage 125. In other words,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130 injected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sol plat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is rapidly injected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 and the lower surface sol plate 110, The sealing material 130 is filled in the entire space formed between the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urface sol plat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in such a manner that the sealing material 130 is filled in the sealing material 130, .

실링재(130)는 관통공(121)을 통해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주입되어 상기 공간을 메우는 동시에,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가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aling material 130 is injected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lower soles plate 110 and the side soles plat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through the through holes 121 to fill the space, And the side sol plat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are bonded to each other.

이러한 실링재(130)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ling material 130 may be made of an epoxy resin.

에폭시 수지는 내식, 열경화성 수지의 하나로서 내식성이 뛰어나고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며, 연신율이 큰 장점이 있다.Epoxy resins are one of corrosion-resistant and thermosetting resins, and are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mechanical strength, and elongation.

이때, 실링재(130)는 에폭시 수지에 유리섬유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ling material 130 may be formed by mixing glass fiber with epoxy resin.

이러한 유리섬유는 고강도용 S-glass fibe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장강도, 내열성, 탄성 및 흡읍성이 우수하다.Such glass fiber can be made of S-glass fiber for high strength and excellent in tensile strength, heat resistance, elasticity and absorbency.

이에, 에폭시 수지와 유리섬유가 혼합된 실링재(130)는 유리섬유에 의해 강도면에서 안전성 확보가 용이하며, 연신율이 큰 에폭시 수지에 의해 구조물의 흔들림, 지진 등의 발생시 유리섬유가 파괴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내진향상에 큰 역할을 하게된다.Therefore, the sealing material 130 in which the epoxy resin and the glass fiber are mixed is easy to ensure safety in terms of strength from the glass fiber, and the epoxy resin having a high elongation ratio prevents the glass fiber from being broken when the structure is shaken or earthquake occurs The role of the state plays a big role in the improvement of earthquake resistance.

설계조건에 따라,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실링재(130)는 주제와 경화제를 더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the sealing material 130 made of epoxy resin may be made to further include a base and a curing agent.

즉 관통공(121)을 통해 주입되는 실링재(130)는 에폭시 수지에 주제와 경화제를 첨가한 후 주입하되,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은 약 2:1 비율을 갖도록 첨가될 수 있다.That is, the sealing material 130 in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may be added after adding the epoxy resin to the epoxy resin and the curing agent, and the ratio of the epoxy resin to the epoxy resin is about 2: 1.

이에, 실링재(130)는 저점도 성질이 향상되어 관통공(121)으로 주입시, 유로(125)를 통해 빠르게 이동되고, 낮은 점도에 의해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가득 메우게 된다.When the sealing material 130 is injec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the sealing material 130 is rapidly moved through the flow path 125. When the sealing material 130 is low in viscosity, So that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s 1 is filled up.

교좌부(200)는 지지부(100)와 하부구조(2)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1)의 팽창, 수축, 진동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단부재(210), 중단부재(220), 하단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ridge portion 200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100 and the lower structure 2 and serves to buffer the expansion, contraction and vibration of the upper structure 1. The bridge portion 200 includes an upper member 210, 220, and a lower member 230.

상단부재(210)는 교좌부(200)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측으로는 하면 솔플레이트(110)와 결합되고, 하측으로는 후술되는 하단부재(230)의 패드부재(231) 상측에 얹어지는 형태로 구비된다.The upper member 21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g portion 200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oled solenoid plate 110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member 230 on the upper side of the pad member 231 of the lower member 230 .

이러한 상단부재(21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 측면 일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그 단면이 '工'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단의 양측 각각의 일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절개홈(211)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upper member 210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re inwardly folded, and has a cross-section of ' An incision groove 21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is inwardly broken.

절개홈(211)은 후술되는 중단부재(220)가 안내되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cutout groove 211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below-described stop member 220 is guided.

중단부재(220)는 한 쌍의 절개홈(211) 각각에 구비되며, 그 단면이 'ㄱ'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절개홈(211)에 안내되되, The stop member 220 is provided in each of the pair of cut-out grooves 211 and has a cross-sectional shape and is guided to the cut-out groove 211,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절개홈(211)에 중단부재(220)가 안내되면, 'ㄱ' 형태의 중단부재(220) 상단 부분에 상단부재(210)의 하단 부분이 걸림되어 후술되는 하단부재(230)로부터 상단부재(210)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절개홈(211)에 중단부재(220) 일부분이 안내됨에 따라 측면으로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상단부재(210)가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고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member 210 is hook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A' shaped stop member 220 so that the lower end member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member 21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utting member 210 and the cutting member 211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ide portion of the cutting member 211 as a part of the cutting member 220 is guided,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limiting and interrupting.

즉 하단부재(230)에 결합되는 중단부재(220)의 일부분이 절개홈(211)으로 안내되어 상호 걸림됨으로써, 하부구조(2)에 결합되는 하단부재(230)로부터 상단부재(210)에 결합되는 지지부(100) 및 상단부재(210)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A part of the stop member 220 coupled to the lower member 230 is guided and interlocked with the cutout groove 211 so that the lower member 230 is coupled to the upper member 210 coupled to the lower structure 2, The supporting member 100 and the upper member 210 are made to move freely, but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하단부재(230)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측으로는 상단부재(210)와 접촉되고, 하측으로는 하부구조(2)와 결합되는 것으로, 패드부재(231) 및 연장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ower member 230 is connected to the upper member 210 on the upper side and coupled to the lower member 2 on the lower side and the pad member 231 and the extending portion 232 ).

패드부재(231)는 하단부재(230)의 중간부분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재(210)의 하측면이 접촉되어 상기 상단부재(21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ad member 231 protrudes upwar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lower member 230 and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210 to support the upper member 210.

이러한 패드부재(231)는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일어질 수 있다.The pad member 231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이에, 상단부재(210)에 결합되는 상부구조(1)와 하단부재(230)에 결합되는 하부구조(2) 사이에 발생되는 상부구조(1)의 수직, 수평하중, 변위 및 회전변위를 수용하고 소산시켜, 그 일부만을 하부구조(2)로 안전하게 전달하게된다.The vertical and horizontal loads, displacements and rotational displacements of the upper structure 1 generat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 coupled to the upper member 210 and the lower structure 2 coupled to the lower member 230 are accommodated So that only a part thereof is transferred to the substructure 2 safely.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가 교량 등과 같은 구조물에 다수 개 분포되어 설치됨으로써, 다수 개의 패드부재(231)에 의해 지진시 발생되는 지진력을 모든 교각에 고르게 분배하여 지진에너지가 소산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quasi-static equipments for anti-seismic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tributed in a structure such as a bridge, so that seismic forces generated during an earthquake are uniformly distributed to all the piers by a plurality of pad members 231, .

연장부(232)는 하단부재(230)의 양측 각각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232) 각각에 중단부재(220)가 결합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재(210)에 형성된 절개홈(211)에 안내되어 중단부재(220)와 함께 상단부재(210)의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xtension part 232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each side of the lower member 230 and the stop member 220 is coupled to each of the extension parts 232.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s guided by the cutout groove 211 formed in the upper member 210 so as to limit the movement range of the upper member 210 together with the stop member 220.

이때, 연장부(232)와 중단부재(220)의 결합은 볼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볼트 결합을 위한 통공(도면부호 미표시)이 연장부(232)와 중단부재(220)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gagement of the extension portion 232 and the stop member 220 may be achieved by bolt connection, and a through hole (not shown) for the bolt connection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 232 and the stop member 220 .

나아가, 하단부재(230)와 하부구조(2)의 결합은 볼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lower member 230 and the lower structure 2 may be coupled by bolt connection.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는 내진 성능을 위해 서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지지부(100)와 교좌부(200)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100)와 상부구조(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1)를 지지하는 하면 솔플레이트(110)의 양측 각각에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측면 솔플레이트(120)가 더 구비됨으로써,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지진 발생시에도 결합력 향상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upport structure 100 and the bridge portion 200 ar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xpand and contract with respect to each other for seismic performance, and the support structure 100 and the upper structure 1, Side sol plates 1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ole plate 110 for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1 so that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s 110,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is increased.

한편, 구조물이 흔들리거나 지진발생시, 상부구조(1)와 하부구조(2)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바로잡아줄 수 있도록 판스프링(2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leaf spring 240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rrect the deviation of the upper structure 1 and the lower structure 2 when the structure is shaken or an earthquake occurs.

이러한 판스프링(240)이 구비된 구조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leaf spring 240 is provid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1. FI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평면측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에서 판스프링이 작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ismic system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ismic system for seismic strengthen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leaf spring acts in a coordinate system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는 지지부(100)와 교좌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교좌부(200)는 상단부재(210), 중단부재(220) 및 하단부재(230)에 판스프링(2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aphragm device for an anti-seismic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ing part 100 and an interlock part 200. The interlock part 200 includes an upper part 210, a middle part 220, And a leaf spring 240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member 230.

판스프링(240)은 상기 상단부재(210)의 절개홈(211) 외주면과 상기 하단부재(230)의 연장부(232)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구조물이 흔들리거나 지진 발생시 상부구조(1)와 결합되는 지지부(100) 및 상단부재(210)가 하부구조(2)와 결합되는 하단부재(230)와의 어긋나는 것을 탄성지지하여 정위치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eaf spring 240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tout groove 211 of the upper member 2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232 of the lower member 230 so that when the structure is shaken or an earthquake occurs, The supporting member 100 and the upper member 210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perform a function of elastically supporting and displacing the deviation of the supporting member 100 and the lower member 230 coupled with the lower structure 2.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단부재(230)로부터 상단부재(210)가 우측으로 이동된 경우, 우측에 구비된 판스프링(240)은 수축된 상태에서 팽창하려는 성질을 띄고, 좌측에 구비된 판스프링(240)은 팽창된 상태에서 수축하려는 성질을 띄기 때문에 우측으로 이동된 상단부재(210)는 판스프링(240)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8, when the upper member 210 is moved to the right from the lower member 230, the leaf spring 240 provided on the right side has a property of expanding in a contracted state, Since the leaf spring 240 provided on the left side has a property of contracting in the expanded state, the upper member 210 moved to the right side is moved to the left side by the leaf spring 240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이때, 판스프링(240)의 형상은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양 끝단이 상호 접촉되고 중간 부분이 이격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9에서와 같이, 중간 부분이 접촉되고 양 끝단이 이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6 to 8, the shape of the leaf spring 240 may be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middle portion thereof is spaced apart, or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9, . ≪ / RTI >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의 평면측 단면도이다.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arthquake-proof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lan side sectional view of a earthquake-proof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계조건에 따라, 판스프링(240)은 교좌장치의 좌,우측 이외에 정면측과 배면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the leaf spring 24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as well a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ordinate system.

이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교좌부(200)는 돌출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돌출부(250)는 교좌장치의 정면측과 배면측 각각에 구비되는 판스프링(240)을 탄성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부재(230)에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250)와 상단부재(210) 사이에 판스프링(240)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하단부재(230)로부터 상단부재(210)가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한다.10 and 11, the bridge portion 200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250, which protrudes from the plate 250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co- The leaf spring 240 is dispos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250 and the upper member 210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pring 24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lower member 230, So that the member 210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이에, 구조물이 흔들리거나 지진 등의 발생시, 하단부재(230)로부터 어긋난 상단부재(210)를 좌,우,정면,배면측 각각에 구비된 판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바로잡아주게되어 정위치시킴으로써, 상단부재(210)와 하단부재(230)가 어긋나 발생될 수 있는 교좌장치의 파손 및 패드부재(231)의 급격한 마모를 방지하고,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tructure is shaken or an earthquake occurs, the upper member 210 deviated from the lower member 230 is corre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240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r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confusion apparatus and the abrupt abrasion of the pad member 231, which may occur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upper member 210 and the lower member 230, and to increase the service life.

이때, 도 10 및 도 11에서는 돌출부(250)가 별도로 구비된 구성을 예로 하였으나, 상단부재(210)에 형성된 절개홈(211)과 하단부재(230)에 형성된 연장부(232) 및 중단부재(220)의 구성이 교좌장치의 정면측과 배면측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하단부재(230)로부터 상단부재(210)가 좌,우,정면,배면측으로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10 and 11, the protrusions 250 are separately provided. However, the protrusions 25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cutouts 211 formed in the upper member 210, the extending portions 232 formed in the lower member 230, 22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back side of the coordinate system so that the upper member 210 is elastically supported from the lower member 230 to the left, right, front, and back sid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자장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gyro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2 내지 도 11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overlapping portions of the contents already described in Figs. 2 to 11 are not describe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quasi-static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시공방법은 면 정리단계(S10), 하면 솔플레이트 배치단계(S20), 측면 솔플레이트 배치단계(S30), 용접단계(S40), 메움단계(S50) 및 결합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quasi-static apparatus for anti-seismic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rranging a surface 10, a bottom sole plate placement step S20, a side sole plate placement step S30, a welding step S40, a filling step S50, And a combining step (S60).

면 정리단계(S10)는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의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상부구조(1)의 표을 정리하는 단계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상부구조(1)는 균열이 발생하여 시간이 지나게 되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철근의 인장강도가 저하되어 균열 부위로 노출된 콘크리트는 중성화 현상이 진행되고 철근의 부식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을 보수해야 구조물의 수명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The surface cleaning step S10 is a step of arranging the table of the upper structure 1 to secure the adhesion between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1) is crack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are lowered after a lapse of time, and the concrete exposed to the cracks is neutralized and corrosion of the reinforcing bar occurs. When such a phenomenon occurs, it is necessary to repair the se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so that the lifetime of the structur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이에, 면 정리단계(S10)는 보수가 필요한 상부구조(1)에 대하여 균열이 발생한 콘크리트와 노출된 철근을 제거하여 열화되지 않은 콘크리트가 나올 때까지 단면을 치핑(chipping)이나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ing), 워터 제트(water jet), 그라인딩(grinding) 등을 이용하여 파쇄하고 다듬어 상부구조(1)와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구조물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surface preparation step S10, the cracked concrete and the exposed reinforcing steel are removed from the upper structure 1 requiring repair, and the chipping or sand blasting is performed until the unreacted concrete is exposed. ), Water jet, grinding and the like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 and the lower sol plate 110 and the side sol plate 120 and to improve the durability to the structure .

이때, 상부구조(1)의 표면 정리가 완료되면 그라인딩(grinding) 등을 이용하여 표면을 거칠게 만들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로 주입되는 실링재(130)가 거친 표면의 상부구조(1)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upper structure 1 is completed,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surface rough by using grinding or the like. This allows the sealing material 130 injected between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and the top structure 1 to be more easily attached to the upper structure 1 of the rough surface.

하면 솔플레이트 배치단계(S20)는 상부구조(1)의 하측면에 하면 솔플레이트(110)의 상측면이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단계이다.The lower surface sole plate disposing step S20 is a step of dispo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ole plate 11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ole plate 110 is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 [

이때, 상부구조(1)와 하면 솔플레이트(110) 사이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된채 배치함으로써, 실링재(130)가 상기 공간으로 주입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structure 1 and the lower sole plate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130 is injected into the space.

측면 솔플레이트 배치단계(S30)는 상부구조(1)의 양측면 각각에 인접하도록 측면 솔플레이트(12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The step of arranging the side brush plates S30 is a step of disposing the side brush plates 120 so as to be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upper structure 1.

이때, 측면 솔플레이트(120)의 하측면은 하면 솔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한다.At this time, the lower side of the side sole plate 120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ole plate 110.

또한 상부구조(1)와 측면 솔플레이트(120) 사이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된채 배치함으로써, 실링재(130)가 상기 공간으로 주입되도록 한다.Further, the upper structure 1 and the side sour plate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130 is injected into the space.

용접단계(S40)는 하면 솔플레이트(110)와 측면 솔플레이트(120)가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이다.The welding step S40 is a step of welding a portion where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하면 솔플레이트(110)와 측면 솔플레이트(120)는 상부구조(1)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데, 이에, 용접단계(S40)에서 하면 솔플레이트(110)와 측면 솔플레이트(120)의 용접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s 12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tructure 1. In the welding step S40,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s 120 Welding may not be easy.

따라서 측면 솔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공(121) 중 일부의 관통공(121)을 통해 측면 솔플레이트(120)를 상부구조(1)에 임시로 고정시킨 후, 하면 솔플레이트(110)와 측면 솔플레이트(120)가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할 수 있다.The side sole plate 120 is temporarily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1 through the through holes 121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 formed in the side sole plate 12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are welded to each other.

메움단계(S50)는 측면 솔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공(121)을 통해 상기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실링재(130)를 주입하는 단계이다.The filling step S50 is a step of inserting a sealing material 130 between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and the top structure 1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 formed in the side sole plate 120 Injection.

바람직하게는, 실링재(130)를 주입하기 이전에 고압에어 등을 주입하여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의 습기, 먼지 등을 제거한 후, 실링재(130)를 주입한다.Preferably, high pressure air or the like is injected before injecting the sealing material 130 to remove moisture, dust, etc. between the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urface sol plat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130).

이때, 실링재(130)가 주입되는 공간, 즉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은 측면 솔플레이트(120)에 의해 막혀진 형태이지만, 정면측과 배면측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관통공(121)을 통해 주입되는 실링재(130)가 외부로 노출된 공간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 제대로된 시공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The spaces formed between the lower sol plate 110 and the side sol plat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through which the sealing material 130 is injected are forme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ar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sealing material 130 in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flow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Proper construction may not be achieved.

이에, 메움단계(S50)는 실링재(130) 주입 이전에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중 정면측과 배면측에 형성되는 홈에 점도가 매우 높은 합성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정면측과 배면측에 일시적인 막을 형성한다.The filling step S50 is performed in the groove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and the top structure 1 before the sealing material 130 is injected. By applying a highly viscous synthetic resin, a temporary film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이러한 합성수지는 고점도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uch a synthetic resin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a high viscosity, for example, silicon or the like.

이에 따라, 관통공(121)을 통해 주입되는 실링재(130)는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정면측과 배면측에 도포되어 형성된 막에 의해 외부로 흘러나가는 공간이 모두 차단됨으로써, 실링재(130)가 상부구조(1)와 하면 솔플레이트(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먼저 메우고, 상부구조(1)와 측면 솔플레이트(120) 사이여 형성된 공간에 점점 차오르면서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실링재(130)가 꽉 찬 상태로 주입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sealing material 130 in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is blocked by the side sol plate 120 and the film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 and the lower sole plate 110 is filled up first and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 and the side sole plate 120 is gradually increas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 and the lower sole plate 110,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130 is fill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sole plat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나아가, 메움단계(S50)는 관통공(121)으로 실링재(130)를 주입하면,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유로(125)를 통해 주입됨으로써, 실링재(130)가 보다 용이하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sealing material 130 is injec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the filling step S50 is performed so that the inwardly drawn out flow path 125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The sealing material 130 can be more easily injected.

결합단계(S60)는 측면 솔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관통공(121)과 상부구조(1)에 형성된 홀(1a)을 볼트 결합하는 단계이다.The coupling step S60 is a step of bolt joining the through hole 121 formed in the side sol plate 120 and the hole 1a formed in the upper structure 1. [

이러한 결합단계(S60)는 상기 메움단계(S50)와 함께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가 상호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가 상부구조(1)의 하측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접촉면적 증가에 따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oupling step S60, when the filling step S50 is performed, the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are connected to the upper structure 1, The plate 120 may be provided to cover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ructure 1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as the contact area increases.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시공방법에서 교좌부 설치단계가 더 구비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bridge installation step is additionally provided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bridge apparatus f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면 솔플레이트(110)와 하부구조(2) 사이에 교좌부(200)를 설치하는 교좌부 설치단계(S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terlocking step (S70) for installing the bridge portion 200 between the lower sole plate 110 and the lower structure 2.

교좌부 설치단계(S70)는 하단부재(230)의 상측에 형성된 패드부재(231)의 상측과 측면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工'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의 양측 각각의 일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절개홈(211)이 형성된 상단부재(210)의 하측이 접촉되도록 한 후, 상기 하단부재(230)의 양측 각각에 형성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장부(232)에 'ㄱ' 형태의 중단부재(220)를 각각 볼트 결합하여 한 쌍의 중단부재(220)가 상기 절개홈(211)에 서로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이다.In the bridge installation step S70, the upper sid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pad member 23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member 230 are formed into an "inward" shape inwardly, and a part of each of the lower sides of the pad member 231 is inwardly The lower part of the upper member 210 having the wavy cutout groove 21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lower member 230 and then the upper part 232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member 230, The stop members 220 are bolted to each other to couple the pair of the stop members 220 to the cutout grooves 211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이러한 교좌부 설치단계(S70)는 지지부(100)와 하부구조(2) 사이에 교좌부(200)를 설치함으로써, 상부구조(1)의 팽창, 수축, 진동 등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bridge installation step S70, the bridge portion 200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100 and the lower structure 2 so as to perform a function of alleviating the expansion, contraction, and vibration of the upper structure 1 .

나아가, 도 6 내지 도 1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240) 및 돌출부(250) 구성이 더 구비되는 경우, 교좌부 설치단계(S70)에서 이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하단부재(230)로부터 상단부재(2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6 to 11, when the leaf spring 240 and the protrusion 250 are further provided, the leaf spring 240 and the protrusion 250 are provided together in the bridge installation step S70, The elastic member 210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branch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modification are possible.

1 : 상부구조 1a : 홀
2 : 하부구조 100 : 지지부
110 : 하면 솔플레이트 120 : 측면 솔플레이트
121 : 관통공 125 : 유로
130 : 실링재 200 : 교좌부
210 : 상단부재 211 : 절개홈
220 : 중단부재 230 : 하단부재
231 : 패드부재 232 : 연장부
240 : 판스프링 250 : 돌출부
1: superstructure 1a: hole
2: substructure 100: support
110: bottom sole plate 120: side sole plate
121: Through hole 125: Euro
130: sealing material 200:
210: upper member 211: incision groove
220: stop member 230: lower member
231: Pad member 232: Extension
240: leaf spring 250: protrusion

Claims (10)

상부구조(1)의 하측면에 상측면이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하면 솔플레이트(110);
상기 상부구조(1)의 양측면 각각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하측면이 상기 하면 솔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측면 솔플레이트(120); 및
상기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주입되어 이격된 공간을 메우는 실링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A bottom sole plate 110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tructure 1 so as to be adjacent to the upper side;
A side sol plate 120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structure 1 and disposed such that a lower side thereof is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sole plate 110; And
The seismic reinforc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ls (130) are formed between the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s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면 솔플레이트(110)와 측면 솔플레이트(120)의 결합은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between the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is welded and weld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 솔플레이트(120)는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관통공(121)이 형성되되,
상기 하면 솔플레이트(110)의 상측에 배치되면 상기 관통공(121)을 통해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로 실링재(130)를 주입한 후, 상부구조(1)에 천공된 홀(1a)과 상기 관통공(121)을 볼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brush plates 12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 penetrating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are formed,
The sealing material 130 is in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21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and the top structure 1, Wherein the hole (1 a) perforated in the structure (1) is bolted to the through hole (1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는 내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유로(125)가 형성되어,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에 주입되는 실링재(130)가 상기 유로(125)를 통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soles plate 110 and the side soles plate 120 are connected to the upper solenoid valve 120 and the upper solenoid valve 120. The solenoid valve 110 and the side soles plate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passage 125, And the sealing material 130 inj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flows through the flow pa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 하측에 결합되어, 지지부(100)와 하부구조(2) 사이에 구비되는 교좌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교좌부(200)는
측면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工'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의 양측 각각의 일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절개홈(211)이 형성된 상단부재(210);
상기 절개홈(211) 각각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ㄱ' 형태의 중단부재(220); 및
상기 상단부재(210)의 하단과 접촉되는 패드부재(231)를 포함하며, 양측 각각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장부(232)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232) 각각에 중단부재(220)가 결합되는 하단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ridge portion 20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00 and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100 and the lower structure 2,
The leg part 200 includes
An upper member 210 having a cut-away section 211 formed in a shape of a 'machined' shape having a side surface widened inwardly and having a portion of each of the lower ends thereof folded inward;
A '' type stop member 220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utout grooves 211; And
And a pad member 23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member 210. The extension member 232 protrudes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pad member 231, And a bottom member (230) coupled to the bottom member (23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210)의 절개홈(211) 외주면과 상기 연장부(232)의 내주면 사이에 판스프링(2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leaf spring (240) is provided betwee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tout groove (211) of the upper member (210)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23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재(230)의 정면측 및 후면측 각각에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돌출부(250)가 더 구비되되,
상기 돌출부(250)의 내주면에는 상단부재(210)의 외주면을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2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member 230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250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lower member 230,
And a leaf spring (240) for elastically support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member (210)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250).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상부구조(1)의 표면을 정리하는 면 정리단계(S10);
상기 상부구조(1)의 하측면에 하면 솔플레이트(110)의 상측면이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하면 솔플레이트 배치단계(S20);
상기 상부구조(1)의 양측면 각각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하측면이 상기 하면 솔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 접촉되되록 측면 솔플레이트(120)를 배치하는 측면 솔플레이트 배치단계(S30);
상기 하면 솔플레이트(110)와 측면 솔플레이트(120)의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용접단계(S40);
상기 측면 솔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공(121)을 통해 상기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기 상부구조(1) 사이에 실링재(130)를 주입하여 이격된 공간을 메우는 메움단계(S50); 및
상기 관통공(121)과 상부구조(1)에 형성된 홀(1a)을 볼트 결합하는 결합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시공방법.
A surface cleaning step (S10) of arranging the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1) to secure an adhesive force;
A bottom sole plate disposing step (S20) of disposing the bottom sole plate (110) so that the top side of the bottom sole plate (110) is adjacent to the bottom side of the top structure (1);
A side sole plate disposing step (S30) arranged adjacent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structure (1) and arranging the side sole plates (120) so that the lower sid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ole plate (110);
A welding step (S40) of welding the contact portions of the sole plate (110) and the side sole plate (120);
A sealing material 130 is injected between the lower soles plate 110 and the side soles plat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1 formed in the side sol plate 120, Filling the space (S50); And
And a coupling step (S60) of bolting the through hole (121) and the hole (1a) formed in the upper structure (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움단계(S50)는
상기 관통공(121)으로 실링재(130)를 주입하면, 상기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유로(125)를 통해 하면 솔플레이트(110) 및 측면 솔플레이트(120)와 상부구조(1) 사이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filling step (S50)
When the sealing material 130 is injec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ole plate 1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ole plat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nwardly- ) And the side sol plate (120) and the upper structure (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면 솔플레이트(110)와 하부구조(2) 사이에 교좌부(200)를 설치하는 교좌부 설치단계(S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교좌부 설치단계(S70)는
하단부재(230)의 상측에 형성된 패드부재(231)의 상측과 측면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工'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의 양측 각각의 일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절개홈(211)이 형성된 상단부재(210)의 하측이 접촉되도록 한 후,
상기 하단부재(230)의 양측 각각에 형성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장부(232)에 'ㄱ' 형태의 중단부재(220)를 각각 볼트 결합하여 한 쌍의 중단부재(220)가 상기 절개홈(211)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S70) of installing the bridge portion 200 between the sole plate 110 and the lower structure 2,
In the fitting step S70,
Section of an upper side and a side surface of a pad member 23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member 230. The lower side of the lower member 230 is formed with an incision groove 21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formed upper member 210,
A pair of stop members 220 are bolted to an upwardly protruding extension 2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member 230 so that a pair of stop members 220 are inserted into the cut- (211) of the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KR1020160106230A 2016-08-22 2016-08-22 Bridge bearing for earthquake-pro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837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30A KR101983716B1 (en) 2016-08-22 2016-08-22 Bridge bearing for earthquake-pro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30A KR101983716B1 (en) 2016-08-22 2016-08-22 Bridge bearing for earthquake-pro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34A true KR20180021534A (en) 2018-03-05
KR101983716B1 KR101983716B1 (en) 2019-06-04

Family

ID=6172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230A KR101983716B1 (en) 2016-08-22 2016-08-22 Bridge bearing for earthquake-pro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71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1677A (en) * 2020-04-28 2020-06-23 丁凤景 Bridge support capable of being partially replaced and replacement method
CN111622084A (en) * 2020-06-11 2020-09-04 大连交通大学 Anti-falling limiting device for bridge earthquake resista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1750A (en) * 1997-11-21 1999-09-07 Kaimon:Kk Sliding type elastic support device for structure and high supporting pressure load supporting member
KR200285855Y1 (en) 2002-05-24 2002-08-14 (주)지승산업 a bridge equipment for the bridge wich elasticity supporter
JP2003213700A (en) * 2002-01-24 2003-07-30 Sumitomo Metal Ind Ltd Rubber bearing and pile head structure
KR20110127770A (en) * 2010-05-20 2011-11-28 박영선 Bridge bearing
JP2015158106A (en) * 2014-02-25 2015-09-03 靖弘 井上 Fixture mounting structure of brid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1750A (en) * 1997-11-21 1999-09-07 Kaimon:Kk Sliding type elastic support device for structure and high supporting pressure load supporting member
JP2003213700A (en) * 2002-01-24 2003-07-30 Sumitomo Metal Ind Ltd Rubber bearing and pile head structure
KR200285855Y1 (en) 2002-05-24 2002-08-14 (주)지승산업 a bridge equipment for the bridge wich elasticity supporter
KR20110127770A (en) * 2010-05-20 2011-11-28 박영선 Bridge bearing
JP2015158106A (en) * 2014-02-25 2015-09-03 靖弘 井上 Fixture mounting structure of brid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1677A (en) * 2020-04-28 2020-06-23 丁凤景 Bridge support capable of being partially replaced and replacement method
CN111321677B (en) * 2020-04-28 2021-09-28 河北宝力工程装备股份有限公司 Bridge support capable of being partially replaced and replacement method
CN111622084A (en) * 2020-06-11 2020-09-04 大连交通大学 Anti-falling limiting device for bridge earthquake resi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716B1 (en)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048B1 (en) Precast concrete deck module
KR101630777B1 (en) Rim Combination Type Pile Connecting Apparatus
KR101683196B1 (en) End Continuing Structure for Truss Decks
KR101983716B1 (en) Bridge bearing for earthquake-pro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90102266A (en) A pulling plate of beam the bridge pier
KR101668465B1 (en) Bridge bearing device including a rotatable anchor system maintenance is possible
KR101127561B1 (en) Method of connecting bridge without pouring concrete
KR101564721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replacing bridge bearing without damaging of lower structure
KR20180017816A (en)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expansion joint
KR20180133355A (en)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expansion joint
KR101781544B1 (en) Rahmem bridge of seismic performanceusing prestressed using crossbeam
KR101779256B1 (en) Non-Bearing and Jointless Bridge Structure
KR100736858B1 (en) Expansion jointing apparatus with drainpipe for a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731788B1 (en) Elastic Rubber Bearing as One body, made the most of Magnetic attraction key
JP3102683B2 (en) Elastic joint structure
KR102192782B1 (en) Seismic isolation rubber pad for micro-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micro-pile using the same
KR102486675B1 (en) Precast concrete slab construction method and bridge fabricated by usinr the same
KR102580530B1 (en) Bridge lower structure of assembly type having elastic duct coupler of socket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365436B1 (en) Expansion joint for bridge
KR20110030057A (en) Moment connection of the pc girder and pc beam
KR100622008B1 (en) Composition structure of integral abutment bridge
JP3581691B2 (en) Mounting method and mounting structure of horizontal force damper for structure
KR101905886B1 (en) Rahmem bridge of seismic performance and bibration attenuating performance using prestressed using crossbeam
JP3789412B2 (en) Buried joints for road bridge buried joints and buried bridge joints for road bridges
KR100278735B1 (en) Deflection bridge devic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