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777B1 - Rim Combination Type Pile Connec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Rim Combination Type Pile Connec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777B1
KR101630777B1 KR1020140125690A KR20140125690A KR101630777B1 KR 101630777 B1 KR101630777 B1 KR 101630777B1 KR 1020140125690 A KR1020140125690 A KR 1020140125690A KR 20140125690 A KR20140125690 A KR 20140125690A KR 101630777 B1 KR101630777 B1 KR 101630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unit
rim portion
rim
uni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4877A (en
Inventor
이덕영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이덕영
최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영, 최승선 filed Critical 이덕영
Publication of KR20150124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8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7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림 결합식 말뚝 이음장치는, 상부말뚝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말뚝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말뚝 내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제1림부와, 상기 제1림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유닛 및 하부말뚝의 상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말뚝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말뚝의 외경에 대응되는 제2림부와, 상기 제2림부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 중 인접한 한 쌍의 제1돌출부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또 다른 형태의 림 결합식 말뚝 이음장치는, 상부말뚝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말뚝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말뚝의 외경에 대응되는 제1림부와, 상기 제1림부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유닛 및 하부말뚝의 상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말뚝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말뚝의 내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제2림부와, 상기 제2림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 중 인접한 한 쌍의 제1돌출부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한다.
The rim type pile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rim portio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end of an upper pile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upper pile and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ile, A first connec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rim,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le and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le, And a second connecting unit protruding i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im port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first protrusions of the first protrusions .
The other type of the rim coupling type pile joint devic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pile a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pile and has a first rim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ile, A first connec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lower pile, and a second connecting unit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le and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le, A second connecting unit including a corresponding second rim por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im portion and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first protrusions of the first protrusions, .

Description

림 결합식 말뚝 이음장치{Rim Combination Type Pile Connecting Apparatus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jo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말뚝 간을 서로 연결시키는 말뚝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말뚝에 구비되고, 림의 내측 및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돌출부가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무용접 말뚝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joining apparatus for connecting piles to each ot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e joining apparatus for a pile join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pair of connecting units provided on respective piles and each having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ly and outwardly, To a pile joining device.

일반적으로 지반의 상부에 소정의 상재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그 지반이 상재구조물의 하중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지반 조건이나 상재구조물의 하중 조건에 대응하여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지 않은 지반을 연약지반이라 한다.Generally, in order to install a predetermined upper stru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for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must be secured. The ground where the sufficient supporting force is not secured in response to the ground condition or the load condition of the superstructure is called soft ground.

연약지반은 상재 구조물의 안정성과 침하 문제에 대한 대책이 상재 구조물 설치 이전에 마련되어야 하며, 이러한 사전 대책 중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서, 향후 예측되는 상재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층에 균등하고 안전하게 도달시키고자 선시공하는 말뚝공법이 있다.In soft ground, the stability and settlement problem of the superego structure should be prepared prior to installation of the superego structure, and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s to equally and safely reach the supposed supposed supine structure load There is a pile construction method.

이와 같은 말뚝공법은 미리 공장에서 생산된 기성의 콘크리트 말뚝을 디젤해머, 유압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시공하거나 지반을 천공한 후 매입 시공하는 방법을 말한다.Such a pile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concrete piles produced by a factory in advance by hitting them with a diesel hammer or a hydraulic hammer or by drilling the ground and then installing the piles.

말뚝공법 수행 시에는 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조건과 내진설계 여부, 기타 충격응력 등을 고려하여 사용하는 말뚝을 선정하게 되는데, 현재 건축현장에서 는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 산업규격(KS)에 따르면, 원심력을 응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가 78.5N/㎟(800㎏f/㎠) 이상의 프리텐션 방식에 의한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이하, “콘크리트 말뚝”이라 함)이라 규정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the pile is selected considering the load condition applied to the structure, the seismic design, and other impact stresses. In the present construction site, high strength concrete pile is widely us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oncrete pile ") of a pre-tensioned concrete having a compressive strength of 78.5 N / mm 2 (800 kgf / cm 2) or more in the concrete produced by applying centrifugal force.

그리고 콘크리트 말뚝은 제조, 운반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길이는 5~15m로 규정되어 있으나 실제 시공되는 현장의 지반조건에 따라 16m 이상의 깊이로 시공되는 경우도 비일비재한 상황이다.The length of concrete piles is 5 ~ 15m due to the manufacturing and transportation constraints. However, depending on the ground conditions of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piles with a depth of 16m or more is also inevitable.

이와 같이 시공되는 길이가 16m 이상인 경우 콘크리트 말뚝을 2본 이상 연결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현재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음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말뚝(1) 및 하부말뚝(2)의 단부에 용접홈(5)이 가공된 철판(3, 4)을 각각 부착하여 말뚝을 생산하고, 현장에서 상하 말뚝을 서로 맞대어 용접 이음하는 방법이다.As shown in FIG. 1, the most commonly used jointing method is to connect the upper pile 1 and the lower pile 2 to each other, And the steel plates 3 and 4 with the welding grooves 5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piles to produce piles.

다만, 이와 같은 용접이음 방법은 기후의 영향을 쉽게 받고, 용접 부위의 검사가 필요하며, 안전사고의 위험도 상존하는 등 그 문제점이 많아 근래 무용접 이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such a welding joint method is problematic in that it is easily influenced by climate, inspection of a welded portion is required, and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s is required.

한국등록특허 제10-0646258호Korean Patent No. 10-0646258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8683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98683 일본공개특허 제2000-328556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32855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연결부가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비용면에서 경제적인 말뚝 이음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pile joint device having a connecting part structurally stable and economical in terms of cost.

또한 용접을 수행하지 않고도 말뚝을 연결시킬 수 있는 말뚝 이음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d to provide a pile joint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a pile without performing welding.

그리고 기존의 무용접이음 방법 보다 시공성 및 경제성이 확보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And a method of securing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weldless welding method.

또한 기성말뚝에 후 부착하여 말뚝을 연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a pile after it is attached to an existing pil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림 결합식 말뚝 이음장치는, 상부말뚝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말뚝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말뚝의 내경에 대응되는 제1림부와, 상기 제1림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유닛 및 하부말뚝의 상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말뚝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말뚝의 외경에 대응되는 제2림부와, 상기 제2림부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 중 인접한 한 쌍의 제1돌출부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m coupling type pile joint device, comprising: a first rim portion corresponding to an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ile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end of an upper pile, A first connec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rim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le and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le, A second rim portion protruding i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im port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first protrusions of the first protrusions, Unit.

또한 상기 제1연결유닛 및 상기 제2연결유닛을 상호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1연결유닛 및 상기 제2연결유닛을 상호 고정시키는 체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astening unit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림부 및 제1돌출부에 동시에 접촉되어 상기 제1연결유닛 및 상기 제2연결유닛을 고정시킬 수 있다.Further, a plurality of the fastening units may be formed, and the first ridge and the first ridge may be simultaneously contacted to fix the first connecting unit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그리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2림부의 외측에 접촉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의 상단 및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돌출부에 접촉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unit may include a first fixing portion contacting the outside of the second rim portion and a second fixing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contacting the first protrusion .

또한 상기 제2림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im portion may have a seating groove on which the first fixing portion is seated.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에는 상기 제2고정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inserted.

또한 상기 제2고정부 및 삽입홈은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n increased width toward the outer side.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에는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체결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림부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에는 상기 체결볼트홀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is formed with a fastening bolt hole into which a fastening bolt is inserted, a passage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passes is formed in the second rim part,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part,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체결볼트는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홀은 상기 체결볼트의 경사부에 대응되는 경사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bolt may have an inclined portion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screw portion, and the fastening bolt hole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fastening bolt.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s and the second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have an increased width toward the outside.

또한 상기 제1돌출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projected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에는, 각각 대응되는 말뚝에 고정시키는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연결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formed with connection bolt holes into which connection bolts for fixing the corresponding piles are insert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연결볼트는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볼트홀은 상기 연결볼트의 경사부에 대응되는 경사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olt may have an inclined portion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screw portion, and the connection bolt hole may include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onnection bolt.

그리고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에는, 각각 대응되는 말뚝의 강봉이 삽입되는 강봉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may each be formed with a steel rod insertion hole into which a corresponding steel rod of the pile is inserted.

또한 상기 강봉삽입홀은, 상기 강봉의 머리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강봉삽입부와, 상기 강봉의 머리보다 큰 직경을 가지되, 상기 강봉의 머리가 정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강봉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el rod insertion hole may include a steel bar insertion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head of the steel bar and a steel bead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teel bar and formed so that the head of the steel bar can be fixed .

그리고 상기 제1연결유닛 및 상기 제2연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림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상면, 또는 상기 제2림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하면에 구비되어, 각각 대응되는 말뚝 끝단의 대향면에 전체적으로 면접촉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im portion and the first projection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rim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which is in surface-contact with the opposite surface of the end portion as a whole.

또한 상기 상부말뚝은 강관콘크리트 합성말뚝일 수 있다.Also, the upper pile may be a steel pipe concrete composite pile.

그리고 상기 제1연결유닛은, 상기 제1림부의 일부와, 하나의 제1돌출부를 포함하도록 복수 개로 분할된 제1단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유닛은, 상기 제2림부의 일부와, 하나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도록 복수 개로 분할된 제2단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first connecting unit includes a first unit part and a first unit par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so as to include one first proj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includes a part of the second rim part , And a second unit membe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so as to include one second projection portion.

또한 상기 제1단위부재는, 상기 제1림부가 상기 제1돌출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단위부재와 상기 제2단위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돌출부의 내측 끝단은 상기 제1림부에 접촉될 수 있다.The first unit membe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rim portion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first projection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unit member and the second unit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rim portion.

그리고 상기 제1단위부재의 상기 제1림부 일단에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위부재의 상기 제1림부 타단에는 인접한 다른 제1단위부재의 제1림부 일단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rim portion of the first unit member and a first coupling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rim portion of another adjacent first unit member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im portion of the first unit member A first coupling groove to be coupled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제2단위부재는, 상기 제2림부가 상기 제2돌출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단위부재와 상기 제2단위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돌출부의 외측 끝단은 상기 제2림부에 접촉될 수 있다.And the second unit member i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rim portion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second projection, a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unit member and the second unit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Can be contacted with the second rim portion.

그리고 상기 제2단위부재의 상기 제2림부 일단에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부재의 상기 제2림부 타단에는 인접한 다른 제2단위부재의 제2림부 일단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rim portion of the second unit member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rim portion of another adjacent second unit member at the other rim portion of the second unit member A second coupling groove to be coupled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제2단위부재의 제2림부 연장 영역에는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에는 상기 통과홀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passes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im portion extended region of the second unit member, and a fasten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제1단위부재의 제1림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단위부재와 상기 제2단위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돌출부의 내측 끝단은 상기 제1림부와 함께 상기 상부말뚝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주를 형성할 수 있다.And the first rim of the first unit memb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irst projection, a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unit member and the second unit member are engaged, A circumferenti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ile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rim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림 결합식 말뚝 이음장치는, 상부말뚝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말뚝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말뚝의 외경에 대응되는 제1림부와, 상기 제1림부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유닛 및 하부말뚝의 상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말뚝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말뚝의 내경에 대응되는 제2림부와, 상기 제2림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 중 인접한 한 쌍의 제1돌출부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im coupling type pile joint device comprising: a first rim portio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end of an upper pile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upper pile, A first connec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rim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le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ile, A second connecting unit including a corresponding second rim por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im portion and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first protrusions of the first protrusions, .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림 결합식 말뚝 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m-type pile joint apparatus having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한 쌍의 연결유닛에 구비된 림부에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말뚝의 연결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nection stability of the pile improves as the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 and outward are coupled to the rim provided in the pair of connection units.

둘째, 한 쌍의 연결유닛은 서로 동일 높이 상에서 결합되어 높이의 증가 없이 결합이 가능하므로, 말뚝 이음장치 전체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pair of connecting unit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same height without any increase in height, the entire height of the pile joining apparatus can be reduced.

셋째, 용접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의 제약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Third, there is no need to perform welding,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restricted by the environment.

넷째, 작업 난이도가 낮아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Fourth, there is a merit that the skill level is low and skilled workers are not needed.

다섯째, 종래 기성 말뚝에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Fif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for a conventional pile.

여섯째, 다양한 종류의 말뚝에 호환이 가능하므로 범용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Sixth, because it is compatible with various kinds of pil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xcellent in versatility.

일곱째, 기존 무용접 이음 방법에 비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Seven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ar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weldless welding metho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 용접 방식으로 말뚝을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1연결유닛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2연결유닛을 자세히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체결유닛을 자세히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로 상부말뚝 및 하부말뚝을 서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1연결유닛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 및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2연결유닛을 자세히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로 상부말뚝 및 하부말뚝을 서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A-A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로 상부말뚝 및 하부말뚝을 서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B-B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로 상부말뚝 및 하부말뚝을 서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로 상부말뚝 및 하부말뚝을 서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1단위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2단위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1단위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2단위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ile is connected by a conventional welding metho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pile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the first connecting unit in detail in the pile-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connecting unit in a pile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tightening unit in detail in a pile jo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pile and a lower pil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l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in a pile-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the first connecting unit in detail in the pile-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connecting unit in a pile-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AA 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pile and a lower pil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l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B 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pile and a lower pil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l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pile and a lower pil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le join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pile and a lower pil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l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in a pile-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unit member of a pile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unit member of a pile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pile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e-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of a first unit member. And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second unit member in the pile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pile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는 상부말뚝(10)에 고정되는 제1연결유닛(110)과, 하부말뚝(20)에 고정되는 제2연결유닛(120)과,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120)의 둘레를 가압하는 체결유닛(130)을 포함한다.2, the pile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ng unit 110 fixed to the upper pile 10, a second connecting unit 110 fixed to the lower pile 20, And a fastening unit 130 for pressi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120)은 기성 말뚝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 말뚝(10, 20)과는 별도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are formed separately from the piles 10 and 20 so as to be coupled to the conventional pile.

이에 따라 제1연결유닛(110) 및 제2연결유닛(120)에는,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120)을 각각 대응되는 말뚝(10, 20)에 고정시키는 연결볼트(C2)가 삽입되는 연결볼트홀(118, 128)이 형성된다. 즉 기 제조된 말뚝에 연결볼트(C2)를 사용하여 제1연결유닛(110)과 제2연결유닛(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1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120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120 are fixed to the corresponding piles 10, The connecting bolt holes 118 and 128 into which the bolts C 2 are inserted are formed. That is, the first connecting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120 can be fixed to each other using the connecting bolts C 2 to the pre-manufactured piles.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각 말뚝(10, 20)에 구비되는 강봉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22)에 연결볼트(C2)가 체결되는 것으로 하였다.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bolts (C 2 ) are fastened to the fixing nuts (22) for fixing the steel rods provided on the piles (10, 20).

상기 제1연결유닛(110)은 상부말뚝(10)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말뚝(10)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말뚝(10) 내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제1림부(112)와, 상기 제1림부(112)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113)를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pile 10 a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pile 10.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13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rim portion 112. [

그리고 제2연결유닛(120)은 하부말뚝(20)의 상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말뚝(20)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말뚝(20)의 외경에 대응되는 제2림부(122)와, 상기 제2림부(122)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113) 중 인접한 한 쌍의 제1돌출부(113)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2돌출부(123)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ile 20 a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ile 20 and has a second rim portion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23 protruding i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im 122 and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first protrusions 113 of the first protrusions 113, ).

즉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120)은 제1돌출부(113) 및 제2돌출부(123)가 서로 끼워져 요철 결합에 의해 치합되는 형태를 가진다.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projection 113 and the second projection 123 are fitted to each other and engaged with each other by uneven coupling.

그리고 전술한 연결볼트홀(118, 128)은, 제1돌출부(113) 및 상기 제2돌출부(123)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olt holes 118 and 128 may be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113 and the second protrusion 123, respectivel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제1연결유닛(110) 및 제2연결유닛(120)이 서로 동일 높이 상에서 결합되어 높이의 증가 없이 결합이 가능하므로, 말뚝 이음장치 전체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소요되는 재료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connecting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e same height without being increased in height, the height of the entire pile joining apparatus can be reduc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terial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유닛(130)은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120)을 상호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유닛(130)은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제2연결유닛(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림부(122) 및 제1돌출부(113)에 동시에 접촉되어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unit 130 is provided to fix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to each other. Specifically, a plurality of fastening units 130 are formed along the peripheries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rim 122 and the first protrusion 113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can be fix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체결유닛(130)에는 체결볼트(C1)가 삽입되는 체결볼트홀(132)이 형성되고, 상기 제2림부(122)에는 상기 체결볼트홀(132)에 대응되는 통과홀(125)이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13)에는 상기 체결볼트홀(132)에 대응되는 체결홈(115)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unit 130 is formed with a fastening bolt hole 132 into which the fastening bolt C 1 is inserted, and the fastening bolt hole 132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bolt hole 132 is formed in the second rim portion 122. And a fastening groove 115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bolt hole 132 is formed 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13. [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제1연결유닛(110) 및 제2연결유닛(120)의 결합에 체결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체결부재를 직접 상기 제2림부(122)에 형성된 상기 통과홀(125)에 통과시킨 후 상기 제1돌출부(113)에 형성된 체결홈(115)에 체결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체결부재로는 상기 체결볼트(C1)가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체결볼트(C1)와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member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25 formed in the second rim 122 without using a fastening unit for coupl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 And then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115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113. In this case, In this case, the fastening bolt (C 1 ) may be used as the fastening member, or may be different from the fastening bolt (C 1 ).

이하에서는, 상기 제1연결유닛(110), 상기 제2연결유닛(120) 및 체결유닛(13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and the connection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1연결유닛(110)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2연결유닛(120)을 자세히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the first connecting unit 110 in detail in the pile jo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pil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in detail.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유닛(110)은 상부말뚝(10)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말뚝(10)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말뚝(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제1림부(112)와, 상기 제1림부(112)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113)를 포함한다.3 and 4,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pile 10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pile 10,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13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rim portion 112. The first protrusion 113 protrudes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rim portion 11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돌출부(113)는,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돌출부(113) 및 제2돌출부(123)에 의해 제1연결유닛(110)과 제2연결유닛(120)이 서로 연결될 경우, 상호 쐐기 역할에 의하여 수평이동이 억제되도록 하여 말뚝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rotrusion 113 is formed to have an increased width toward the outside. 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protrusion 113 and the second protrusion 123, horizontal movement is suppressed by the mutual wedge function,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shearing force.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113)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후 제2돌출부(123)와 서로 결합 시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력을 보다 증대시키며, 제1연결유닛(110)과 제2연결유닛(120)의 결합 시 상하 어긋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to have a reduced sectional area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This facilitates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 projections 123 and allows the coupling force to be further increased and minimizes the up-and-down shift when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유닛(110)에는, 제1연결유닛(110)을 상부말뚝에 고정시키는 연결볼트(C2)가 삽입되는 연결볼트홀(11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볼트홀(118)은 제1돌출부(113)에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may be formed with a connection bolt hole 118 into which a connection bolt C 2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to the upper pile is inserted, The bolt hole 118 is formed in the first projection 113.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결볼트(C2)는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볼트홀(118)은 상기 연결볼트(C2)의 경사부에 대응되는 경사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연결볼트(C2)에 형성된 경사부가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말뚝에 수평력이 작용할 경우 제1연결유닛(110)이 말뚝 끝단면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lthough not shown, the connecting bolt C 2 may have an inclined portion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screw portion, and the connecting bolt hole 118 may be inclined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onnecting bolt C 2 Section. This is to prevent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from sliding on the end surface of the pile when the horizontal force acts on the pile so that the inclined portion formed on the connection bolt C 2 is closely adhered.

한편 제1돌출부(113)에는, 후술할 체결유닛이 삽입되는 삽입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연결유닛(110) 및 제2연결유닛(120)을 결합 후 상기 체결유닛(130)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체결유닛(130)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114 into which a fasten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When the fixing unit 130 is fixed after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end of the connection unit 130 can be inserted, .

또한 제1돌출부(113)에는, 체결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1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은 후술할 체결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돌출부(113)의 외측면에 형성된다.Further, the first projection 113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groove 115 for fixing the coupling unit. The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on 113 so that a fastening bolt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fastened.

상기 제2연결유닛(120)은 하부말뚝(20)의 상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말뚝(20)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말뚝(20)의 외경에 대응되는 제2림부(122)와, 상기 제2림부(122)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113) 중 인접한 한 쌍의 제1돌출부(113)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2돌출부(123)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ile 20 a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ile 20 and has a second rim portion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23 protruding i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im 122 and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first protrusions 113 of the first protrusions 113,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돌출부(123)는, 제1돌출부(113)와 마찬가지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연결유닛(110)과 제2연결유닛(120)이 서로 연결된 후 상호 쐐기 역할에 의하여 수평이동이 억제되도록 하여 말뚝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protrusions 123 are formed to have an increased width toward the outside as the first protrusions 113. This is to cope with the shear force generated on the pile by suppressing horizontal movement due to mutual wedge function after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2돌출부(123)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돌출부(113)와 서로 결합 시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력을 보다 증대시키며, 제1연결유닛(110)과 제2연결유닛(120)의 결합 시 상하 어긋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protrusion 123 may be formed to have a reduced sectional area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This facilitates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13 when coupling with each other and further increases the coupling force so that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can be minimized .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연결유닛(120)에는, 제2연결유닛(120)을 하부말뚝에 고정시키는 연결볼트(C2)가 삽입되는 연결볼트홀(12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볼트홀(128)은 제2돌출부(123)에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may be formed with a connection bolt hole 128 into which a connection bolt C 2 for fix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to the lower pile is inserted, The bolt hole 128 is formed in the second projection 123.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볼트(C2)는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볼트홀(128)은 상기 연결볼트(C2)의 경사부에 대응되는 경사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onnecting bolt C 2 may have an inclined portion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screw portion, and the connecting bolt hole 128 may be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onnecting bolt C 2 And may include corresponding slope counterparts.

이는 연결볼트(C2)에 형성된 경사부가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말뚝에 수평력이 작용할 경우 제2연결유닛(120)이 말뚝 끝단면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from sliding on the end surface of the pile when the horizontal force acts on the pile so that the inclined part formed on the connection bolt C 2 can be closely contacted.

그리고 상기 제2림부(122)에는, 후술할 체결유닛이 안착되는 안착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연결유닛(110) 및 제2연결유닛(120)을 결합 후 상기 체결유닛(130)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체결유닛(130)의 내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홈(124)은 제2림부(122)의 타 부분보다 둘레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im 122 may have a seating groove 124 in which a fasten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This is because when the fixing unit 130 is fixed after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are coupled,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unit 130 can be seated, . For this, the seating groove 124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circumference than the other portion of the second rim portion 122.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림부(122)에는 상기 체결볼트(C1)가 통과하는 통과홀(125)이 더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rim 122 further includes a through hole 125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C 1 passes.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림부(112)와 상기 제1돌출부(113)의 상면, 또는 상기 제2림부(122)와 상기 제2돌출부(123)의 하면에 구비되어, 각각 대응되는 말뚝 끝단의 대향면에 전체적으로 면접촉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120)과 각 말뚝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접합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im 112 and the first projection 113, 2 rim portion 122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123 and may extend to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corresponding ends of the corresponding piles. In this c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and each pile is increased, so that the bonding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체결유닛(130)을 자세히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astening unit 130 in detail in the pil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유닛(130)은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120)을 상호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As shown in FIG. 5, the fastening unit 130 is a component that mutually fixes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유닛(130)은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제2연결유닛(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림부(122) 및 제1돌출부(113)에 동시에 접촉되어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fastening units 130 are formed along the peripheries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and the second rim unit 122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can be fixed by simultaneously contacting the first protrusion 113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유닛(130)은, 상기 제2림부(122)의 외측에 접촉되는 제1고정부(131a)와, 상기 제1고정부(131a)의 상단 및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돌출부(113)에 접촉되는 제2고정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고정부(131b)는 상기 제1돌출부(113)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제1연결유닛(110) 및 제2연결유닛(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unit 130 includes a first fixing portion 131a contacting the outside of the second rim portion 122, and a second fixing portion 131a contacting the outsid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fixing portion 131a And a second fixing part 131b exten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jection 113. That is, the second fixing portion 131b may fix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113, respectively.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고정부(131b)는,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며,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131b)가 삽입되는 제1연결유닛(110)의 삽입홈(114) 역시 삽입홈은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fixing portion 131b may be formed to have an increased width toward the outside. The insertion groove 114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in which the second fixing portion 131b is inserted may also be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is increased in width as it goes outward.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체결유닛(130)에는 체결볼트(C1)가 삽입되는 체결볼트홀(13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볼트(C1)는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 경사부(S)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홀(132)은 상기 체결볼트(C1)의 경사부(S)에 대응되는 경사대응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체결볼트(C1)와 제1연결유닛(110) 및 제2연결유닛(120)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도록 하기 위하이다.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unit 130 is formed with a fastening bolt hole 132 into which a fastening bolt C 1 is inserted. The fastening bolt (C 1) is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S)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threaded portion, the fastening bolt hole 132 is inclined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S) of the retaining bolt (C 1) corresponding portion (134). This is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bolt (C 1 ), the first connecting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120).

한편 상기 체결볼트(C1)의 나사부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1연결유닛(110) 및 제2연결유닛(120)의 결합 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상기 체결볼트홀(132)과 전술한 제2연결유닛(120)의 통과홀(125) 및 제1연결유닛(110)의 체결홈(115)이 정확히 일치되기 어려운 경우 센터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threaded end of the fastening bolt C 1 may be pointed so that the threaded end of the fastening bolt hole 132 may be formed by various factors when the first connecting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120 are coupled. And the through holes 125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and the coupling grooves 115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re difficult to be precisely matched, the centering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로 상부말뚝(10) 및 하부말뚝(20)을 서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pile 10 and a lower pile 20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l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120)은 각 말뚝(10, 20)에 연결볼트(C2)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체결유닛(130)은 상기 제1연결유닛(1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120)을 서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체결볼트(C1)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가진다.6,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are integrally fixed to the piles 10 and 20 by the connection bolts C 2 . The fastening unit 130 stably fixes the first connection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to each other and is fixed by the fastening bolt C 1 .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1연결유닛(210)을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2연결유닛(220)을 자세히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pile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a detail of the first connecting unit 210 in the pile jo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pil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0 in detail.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연결유닛(210)과 제2연결유닛(220)은 각각 제1림부(212), 제1돌출부(213), 제2림부(222) 및 제2돌출부(223)가 서로 결합되며, 이들은 서로 체결유닛(230)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유닛(230)은 복수 개가 상기 제1연결유닛(210) 및 제2연결유닛(22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7 to 9, i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rim 212, the first projection 213, the second rim 222 and the second projection 223,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unit 230. A plurality of the fastening units 230 are provided along the peripheries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0.

그리고 각 구성요소들의 세부적인 사항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된다.The details of each component are also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연결유닛(210) 및 제2연결유닛(220)은 기성 말뚝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각 말뚝(30, 40)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연결유닛(210) 및 제2연결유닛(220)은 각 말뚝(30, 40)에 형성된 강봉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를 가진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0 are not formed separately so as to be able to be coupled to the conventional pile, but are integrally fixed to the piles 30 and 40 .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0 are fixed by the steel rods formed on the piles 30 and 40,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제1연결유닛(210) 및 제2연결유닛(220)에는, 강봉이 삽입되는 강봉삽입홀(218, 228)이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0 are formed with steel rod insertion holes 218 and 228 into which the steel rods are inserted.

상기 강봉삽입홀(218, 228)은 강봉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강봉의 머리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강봉삽입부(218a, 228a)와, 상기 강봉의 머리보다 큰 직경을 가지되, 상기 강봉의 머리가 정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강봉고정부(218b, 228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말뚝 제조 시 상기 강봉을 강봉삽입부(218a, 218a)에 삽입한 뒤 강봉고정부(218b, 228b)로 이동시켜 제1연결유닛(210) 및 제2연결유닛(220)이 말뚝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steel rod insertion holes 218 and 228 allow the steel rods to be inserted and fixed.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steel rod insertion portions 218a and 228a having diameters larger than the head of the steel rods, And has a large diameter and has a steel bean gaiter 218b, 228b formed so that the head of the steel bar can be fixed. Accordingly, when the pile is manufactured, the steel rods are inserted into the steel rod insertion portions 218a and 218a and then moved to the steel bag tightening portions 218b and 228b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0 ar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

상기 강봉삽입홀(218, 228) 이외의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steel rod insertion holes 218 and 228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로 상부말뚝(30) 및 하부말뚝(40)을 서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A-A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로 상부말뚝(30) 및 하부말뚝(40)을 서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B-B 단면도이다.10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pile 30 and a lower pile 40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l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of the upper pile 30 and the lower pile 40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le joining device.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유닛(2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220)은 각 말뚝(30, 40)에 강봉(35)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체결유닛(230)은 상기 제1연결유닛(210) 및 상기 제2연결유닛(220)을 서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체결볼트(C1)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가진다.10 and 11,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0 are integrally fixed to the respective piles 30 and 40 by a steel bar 35. As shown in FIG. The fastening unit 230 stably fixes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20 to each other and is fixed by the fastening bolt C 1 .

즉 본 발명은 제1실시예와 같이 제1연결유닛 및 제2연결유닛이 말뚝과 분리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2실시예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pil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r may be integrally formed as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로 상부말뚝(50) 및 하부말뚝(20)을 서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upper pile 50 and a lower pile 20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le jo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제1연결유닛(310) 및 제2연결유닛(320)이 각 말뚝(50, 20)과 분리된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상부말뚝(50)이 콘크리트부(54)와 강관부(52)를 포함하는 강관콘크리트 합성말뚝인 것이 제1실시예와 다르다.12, the first connecting unit 310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320 are separated from the piles 50 and 20, respectively,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 I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upper pile 50 is a steel pipe-concrete composite pile including a concrete portion 54 and a steel pipe portion 52.

즉 이와 같이 콘크리트말뚝 간의 결합뿐 아니라 서로 결합되는 말뚝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강관콘크리트 합성말뚝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 경우에도 적용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not on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crete piles but also the piles coupled to each other may be made of a steel pipe-concrete composite pile,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is case as well.

그리고 제1연결유닛(310)과 제2연결유닛(320)의 결합 방식 및 각 구성요소의 세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ombin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320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each compon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로 상부말뚝(50) 및 하부말뚝(40)을 서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pile 50 and a lower pile 40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le joint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제1연결유닛(410) 및 제2연결유닛(420)이 각 말뚝(50, 40)과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상부말뚝(50)이 콘크리트부(54)와 강관부(52)를 포함하는 강관콘크리트 합성말뚝인 것이 제2실시예와 다르다.12, the first connecting unit 410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420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les 50 and 4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 However, the upper pile 50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it is a steel pipe-concrete composite pile including a concrete portion 54 and a steel pipe portion 52.

그리고 제1연결유닛(410)과 제2연결유닛(420)의 결합 방식 및 각 구성요소의 세부 구성은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ombin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4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420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each compon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한편 각 실시예들에 있어 제1연결유닛과 제2연결유닛은, 서로 반대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전술한 세부적 구성요소는 서로 반대의 연결유닛 측에 구비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in each of the embodiments,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may have opposite shapes. In such a case, the aforementioned detailed components will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unit opposite to each other.

한편 제1연결유닛과 제2연결유닛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복수의 단위부재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may be formed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members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1단위부재(511)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2단위부재(521)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in a pile-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unit member 511 in a pile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e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unit member 521, respectively.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는 제1연결유닛(510)과 제2연결유닛(520)이 복수 개의 단위부재로 분할된 형태를 가진다.14 to 16, the pile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unit 5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520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members .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유닛(510)은, 상기 제1림부(512)의 일부와, 하나의 제1돌출부(513)를 포함하도록 복수 개로 분할된 제1단위부재(511)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유닛(520)은, 상기 제2림부(522)의 일부와, 하나의 제2돌출부(523)를 포함하도록 복수 개로 분할된 제2단위부재(521)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unit 510 includes a first unit member 511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including the first rim part 512 and one first projection part 513, The second connection unit 520 includes a second unit member 521 tha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including the second rim part 522 and one second projection part 523. The second unit part 521 includes a first unit part 521,

즉 상기 제1단위부재(511)와 상기 제2단위부재(521)는 각각 복수 개가 결합되어 제1연결유닛(510)과 제2연결유닛(520)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the first unit member 511 and the second unit member 521 may be combined to form the first connection unit 5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520.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림부(512)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돌출부(513) 사이 부분이 분할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림부(522)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돌출부(523) 사이 부분이 분할된 형태를 가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im portion 512 has a shape in which a portion between a pair of first protrusions 513 adjacent to each other is divided, and the second rim portion 522 has a pair of second protrusions 523 are divided into two parts.

따라서 상기 제1단위부재(511)는, 상기 제1림부(512)가 상기 제1돌출부(513)의 양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단위부재(511)와 상기 제2단위부재(521)가 서로 결합될 경우 상기 제2돌출부(523)의 내측 끝단은 상기 제1림부(512)의 연장 영역에 접촉된다.Accordingly, the first unit member 511 has a shape in which the first rim portion 512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first projection portion 513, and the first unit member 511 and the second unit member 511 521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inn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523 contacts the extended region of the first rim portion 512.

마찬가지로 상기 제2단위부재(521) 역시 상기 제2림부(522)가 상기 제2돌출부(523)의 양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단위부재(511)와 상기 제2단위부재(521)가 서로 결합될 경우 상기 제1돌출부(513)의 외측 끝단은 상기 제2림부(522)의 연장 영역에 접촉된다.Similarly, the second unit member 521 has a shape in which the second rim portion 522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second projection 523, and the first unit member 511 and the second unit member 521 The outer ends of the first projections 513 are in contact with the extended regions of the second rims 522. [

즉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돌출부(513) 및 제2돌출부(523)는 서로 동일한 길이(d1)로 형성되어 결합 시 각각 상대 측의 림부에 접촉될 수 있다.15 and 16,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trusion 513 and the second protrusion 523 ar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d 1 and are in contact with the rim of the counterpart side at the time of engagement, .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단위부재(521)의 제2림부(522) 연장 영역에는 체결볼트(C1)가 통과하는 통과홀(525)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511)에는 상기 통과홀(525)에 대응되는 체결홈(515)이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a through-hole 525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C 1 passes is formed in the second rim portion 522 of the second unit member 521, and the first protrusion 511 A coupling groove 515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525 is formed.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상기 통과홀(525)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림부(522) 중앙에 형성될 수 없으므로, 상기 체결홈(515)은 상기 제1돌출부(513)에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로 형성된다.The through hole 525 can not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air of second rim portions 522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engaging groove 515 is formed in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513 at one side As shown in FIG.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단위부재(511)의 상기 제1림부(512) 일단에는 제1결합돌기(516)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위부재(511)의 상기 제1림부(512) 타단에는 인접한 다른 제1단위부재(511)의 제1림부(512) 일단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516)와 결합되는 제1결합홈(51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제1단위부재(511)를 결합할 경우, 인접한 제1단위부재(511)는 어긋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unit member 511 has a first rim portion 512 formed at one end thereof with a first engaging projection 516 and the first rim portion 512 of the first unit member 511, And a first engaging groove 517 is formed at the other end to engage with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516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rim portion 512 of the adjoining first unit member 511. Accordingly, when each first unit member 511 is engaged, adjacent first unit members 511 can be stably coupled without shifting.

마찬가지로 상기 제2단위부재(521) 역시 상기 제2림부(522) 일단에는 제2결합돌기(526)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부재(521)의 상기 제2림부(522) 타단에는 인접한 다른 제2단위부재(521)의 제2림부(522) 일단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526)와 결합되는 제2결합홈(52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제2단위부재(521)를 결합할 경우, 인접한 제2단위부재(521)는 어긋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unit member 521 is formed with a second engaging projection 526 at one end of the second rim portion 522 and a second engaging projection 526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im portion 522 of the second unit member 521, A second engaging groove 527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a second engaging projection 526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rim portion 522 of the second unit member 521. Accordingly, when each of the second unit members 521 is engaged, the adjacent second unit members 521 can be stably coupled without shift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단위부재(511) 및 제2단위부재(521)는, 각각을 대응되는 말뚝에 고정시키는 연결볼트(C2)가 삽입되는 연결볼트홀(518, 528)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볼트홀(518, 528)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unit member 511 and the second unit member 521 are formed with connection bolt holes 518 and 528 into which connection bolts C 2 for fixing the respective unit piles to the corresponding piles are inserted . Since the connection bolt holes 518 and 528 have already been describe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단위부재(511) 및 제2단위부재(521)에 연결볼트홀(518, 528)이 형성된 형태이나, 이와 달리 강봉삽입홀이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bolt holes 518 and 528 may be formed in the first unit member 511 and the second unit member 521, or alternatively, a steel bar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연결유닛(510) 및 제2연결유닛(520)을 복수의 단위부재로 분할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금형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connection unit 51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520 can be divided and assembled into a plurality of unit members, the cost of the mold can be reduced and the precision can be improved , And the assembl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1단위부재(611)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말뚝 이음장치에 있어서, 제2단위부재(621)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in a pile joint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first unit member 611 in the pile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le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unit member 621, respectively.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제6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연결유닛(610)과 제2연결유닛(620)이 복수의 단위부재를 포함한다는 점이 동일하다.17 to 19, the first connecting unit 610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620 include a plurality of unit member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단위부재(611)의 제1림부(612)가 상기 제1돌출부(613)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는 점이 제5실시예와 다르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im portion 612 of the first unit member 61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sion 613,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fth embodiment.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림부(612)는 상기 제1돌출부(613)의 양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이때 제2돌출부(623)의 길이(d2)는 제1돌출부(613)와 제1림부(612)의 전체 길이(d2)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im portion 612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protrusion portion 613, and the length d 2 of the second protrusion portion 623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first protrusion portion 613, (D 2 ) of the rim 612.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단위부재(611)와 상기 제2단위부재(6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돌출부(623)의 내측 끝단(624)은 상기 제1림부(612)와 함께 상기 상부말뚝(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주를 형성하게 된다.The inner end 624 of the second protrusion 623 is connected to the first rim portion 612 and the second unit member 621 in a state where the first unit member 611 and the second unit member 621 are engaged, And a circumferen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ile 10 is 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 실시예와 같이 제1림부(612)가 상기 상부말뚝(10) 내경의 일부에만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부재(621)는 제1단위부재(611)와 함께 전체 내경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im portion 612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only a part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ile 10, and the second unitary member 621 is formed with the first unitary member 611 So that the entire inner diameter can be formed.

한편 상기 제1단위부재(611)의 연결볼트홀(618) 및 체결홈(615), 그리고 상기 제2단위부재(621)의 제2결합돌기(626), 제2결합홈(627), 통과홀(625) 및 연결볼트홀(628)은 전술한 제5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bolt hole 618 and the coupling groove 615 of the first unit member 611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626, the second coupling groove 627 of the second unit member 621, The hole 625 and the connection bolt hole 628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상부말뚝 20: 하부말뚝
110: 제1연결유닛 112: 제1림부
113: 제1돌출부 114: 삽입홈
115: 체결홈 118: 연결볼트홀
120: 제2연결유닛 122: 제2림부
123: 제2돌출부 124: 안착홈
125: 통과홀 128: 연결볼트홀
130: 체결유닛 131a: 제1고정부
131b: 제2고정부 132: 체결볼트홀
134: 경사대응부
10: upper pile 20: lower pile
110: first connecting unit 112: first rim
113: first protrusion 114: insertion groove
115: fastening groove 118: connecting bolt hole
120: second connecting unit 122: second rim
123: second protrusion 124: seat groove
125: through hole 128: connecting bolt hole
130: fastening unit 131a:
131b: second fixing portion 132: fastening bolt hole
134: warp counterpart

Claims (26)

상부말뚝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말뚝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말뚝 내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제1림부와, 상기 제1림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유닛; 및
하부말뚝의 상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말뚝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말뚝의 외경에 대응되는 제2림부와, 상기 제2림부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 중 인접한 한 쌍의 제1돌출부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말뚝 이음장치.
A first rim portio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end of the upper pile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upper pile and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ile, A first connecting unit including one protrusion; And
A second rim portio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le and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le and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ile and protruding i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cond rim portion, A second connec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that are fitted between adjacent pair of first projections of the projections;
/ RTI >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have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projections are formed so that the 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유닛 및 상기 제2연결유닛을 상호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말뚝 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ng unit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유닛 및 상기 제2연결유닛을 상호 고정시키는 체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말뚝 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unit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ng unit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to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림부 및 제1돌출부에 동시에 접촉되어 상기 제1연결유닛 및 상기 제2연결유닛을 고정시키는 말뚝 이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astening unit includes:
And the first connecting unit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are fixed by simultaneously contacting the second rim portion and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2림부의 외측에 접촉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의 상단 및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돌출부에 접촉되는 제2고정부;
를 포함하는 말뚝 이음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astening unit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contacting the outside of the second rim part; And
A second fixing part extending inward from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contacting the first projection;
. ≪ / RTI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림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말뚝 이음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wherein the second rim portion has a seating groove on which the first fixing portion is sea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에는 상기 제2고정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말뚝 이음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fixing part is inser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 및 삽입홈은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된 말뚝 이음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are formed to have an increased width toward the outs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에는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체결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림부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에는 상기 체결볼트홀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말뚝 이음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astening bolt hole into which the fastening bol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passes is formed in the second rim portion,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has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bolt ho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는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홀은 상기 체결볼트의 경사부에 대응되는 경사대응부를 포함하는 말뚝 이음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astening bolt has an inclin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screw portion,
Wherein the fastening bolt hole includes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portion of the fastening bo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된 말뚝 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re formed to have an increased width toward the outs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에는,
각각 대응되는 말뚝에 고정시키는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연결볼트홀이 형성된 말뚝 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re provided,
And a connecting bolt hole into which a connecting bolt for fixing to the corresponding pile is insert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볼트는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볼트홀은 상기 연결볼트의 경사부에 대응되는 경사대응부를 포함하는 말뚝 이음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necting bolt has an inclin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screw portion,
And the connecting bolt hole includes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portion of the connecting bolt.
제1항에 있어서,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에는,
각각 대응되는 말뚝의 강봉이 삽입되는 강봉삽입홀이 형성된 말뚝 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nd a steel rod insertion hole into which a corresponding steel rod of a corresponding pile is insert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삽입홀은,
상기 강봉의 머리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강봉삽입부와, 상기 강봉의 머리보다 큰 직경을 가지되, 상기 강봉의 머리가 정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강봉고정부를 포함하는 말뚝 이음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el rod insertion hole
A steel rod insertion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head of the steel bar; and a steel sump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head of the steel rod and formed so that the head of the steel rod can be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유닛 및 상기 제2연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림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상면, 또는 상기 제2림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하면에 구비되어, 각각 대응되는 말뚝 끝단의 대향면에 전체적으로 면접촉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말뚝 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comprises:
And an enlarged portion provided on a top surface of the first rim portion and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or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rim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and entirel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pposed surfaces of the corresponding ends of the p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말뚝은 강관콘크리트 합성말뚝인 말뚝 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ile is a steel pipe composite p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유닛은,
상기 제1림부의 일부와, 하나의 제1돌출부를 포함하도록 복수 개로 분할된 제1단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유닛은,
상기 제2림부의 일부와, 하나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도록 복수 개로 분할된 제2단위부재를 포함하는 말뚝 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unit includes:
And a first unit member tha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so as to include a first protrusion,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unit comprises:
And a second unit membe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so as to include one second project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부재는,
상기 제1림부가 상기 제1돌출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단위부재와 상기 제2단위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돌출부의 내측 끝단은 상기 제1림부에 접촉되는 말뚝 이음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first unit member includes:
Wherein the first rim portion is formed so as to extend to both sides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inner end of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im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unit member and the second unit member are engaged, Devic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부재의 상기 제1림부 일단에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위부재의 상기 제1림부 타단에는 인접한 다른 제1단위부재의 제1림부 일단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된 말뚝 이음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A first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rim portion of the first unit member,
And a first coupling groove coupled to a first coupling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of a first rim portion of another adjacent first unit member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im portion of the first unit memb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위부재는,
상기 제2림부가 상기 제2돌출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단위부재와 상기 제2단위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돌출부의 외측 끝단은 상기 제2림부에 접촉되는 말뚝 이음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econd unit member comprises:
The second rim portion is formed so as to exten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out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rim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unit member and the second unit member are engaged, Devic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위부재의 상기 제2림부 일단에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부재의 상기 제2림부 타단에는 인접한 다른 제2단위부재의 제2림부 일단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된 말뚝 이음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rim portion of the second unit member,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rim portion of another adjacent second unit member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im portion of the second unit memb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위부재의 제2림부 연장 영역에는 체결볼트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에는 상기 통과홀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말뚝 이음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passes is formed in the second rim extending region of the second unit member,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부재의 제1림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단위부재와 상기 제2단위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돌출부의 내측 끝단은 상기 제1림부와 함께 상기 상부말뚝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주를 형성하는 말뚝 이음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first rim portion of the first unit memb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irst projection,
Wherein an inner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forms a circumference corresponding to an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ile together with the first rim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unit member and the second unit member are engaged.
상부말뚝의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말뚝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말뚝의 외경에 대응되는 제1림부와, 상기 제1림부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유닛; 및
하부말뚝의 상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말뚝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말뚝 내경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제2림부와, 상기 제2림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 중 인접한 한 쌍의 제1돌출부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말뚝 이음장치.
A first rim portio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end of the upper pile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upper pile and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ile, and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A first connection unit including a first connection unit; And
A second rim portio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le and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le and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pile, and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im portion, A second connec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which are fitted between adjacent ones of the first projections of the first projections;
/ RTI >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have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projections are formed so that the 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KR1020140125690A 2014-04-29 2014-09-22 Rim Combination Type Pile Connecting Apparatus KR10163077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1381 2014-04-29
KR1020140051381 2014-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877A KR20150124877A (en) 2015-11-06
KR101630777B1 true KR101630777B1 (en) 2016-06-15

Family

ID=5460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690A KR101630777B1 (en) 2014-04-29 2014-09-22 Rim Combination Type Pile Connec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77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596B1 (en) * 2017-03-29 2017-08-24 주식회사 포유텍 Pile connecting apparatus
KR20190016309A (en) * 2017-08-08 2019-02-18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An easy assemblable strong PHC pile connecting structure
KR20190053501A (en) 2017-11-10 2019-05-20 정순용 Concrete pile connected by a molten filler and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KR20190053813A (en) 2018-12-28 2019-05-20 정순용 Concrete pile connected by a molten filler and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KR102340773B1 (en) * 2020-11-12 2021-12-17 주식회사 택한 Connector of PHC piles and connection method of PHC pile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35B1 (en) * 2017-08-24 2019-07-10 고영식 Coupling structure for PHC file
KR102193020B1 (en) * 2020-03-17 2020-12-18 케이투건설 주식회사 Connecting Apparatus, Structure and Method for Concrete Piles
KR102465683B1 (en) * 2021-11-17 2022-11-11 김병철 Coupling apparatus for non-welding of p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871Y1 (en) 2001-09-13 2001-12-28 이호경 joint cap of pretent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JP2013133606A (en) * 2011-12-26 2013-07-08 Shintoku Kogyo Kk Pile joint and connection method of pile
KR101300499B1 (en) * 2013-01-11 2013-08-26 문종화 A connection device to connect concrete piles
KR101376055B1 (en) 2011-12-28 2014-03-26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A fastening structure of concrete pile fore-en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0145B2 (en) 1999-05-18 2008-05-28 旭化成建材株式会社 Pile joint structure and pile connection structure
KR200298683Y1 (en) 2002-09-13 2002-12-26 이광재 Apparatus to reinforce a slope
KR100646258B1 (en) 2005-10-24 2006-11-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pparatus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871Y1 (en) 2001-09-13 2001-12-28 이호경 joint cap of pretent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JP2013133606A (en) * 2011-12-26 2013-07-08 Shintoku Kogyo Kk Pile joint and connection method of pile
KR101376055B1 (en) 2011-12-28 2014-03-26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A fastening structure of concrete pile fore-end
KR101300499B1 (en) * 2013-01-11 2013-08-26 문종화 A connection device to connect concrete pil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596B1 (en) * 2017-03-29 2017-08-24 주식회사 포유텍 Pile connecting apparatus
KR20190016309A (en) * 2017-08-08 2019-02-18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An easy assemblable strong PHC pile connecting structure
KR102031188B1 (en) * 2017-08-08 2019-10-11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An easy assemblable strong PHC pile connecting structure
KR20190053501A (en) 2017-11-10 2019-05-20 정순용 Concrete pile connected by a molten filler and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KR20190053813A (en) 2018-12-28 2019-05-20 정순용 Concrete pile connected by a molten filler and Connecting method of the same
KR102340773B1 (en) * 2020-11-12 2021-12-17 주식회사 택한 Connector of PHC piles and connection method of PHC pil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877A (en)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777B1 (en) Rim Combination Type Pile Connecting Apparatus
KR101454859B1 (en) The steel systhesis beam and the method threreof
JP5310198B2 (en) Steel pipe joint structure
WO2018074489A1 (en) Joint fitting
KR100995849B1 (en) Phc pile assembly
JP4474430B2 (en) Pile joint structure
KR200480962Y1 (en) Non-welding type connector for connecting piles
JP6060307B1 (en) Press-fitting device
KR20120111490A (en) A joint for the pile extension and pile extens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773434B1 (en) Coupling device for concrete and steel File
KR20100052847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both piles
KR101577727B1 (en) PHC pile joint and join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79269B1 (en) Attachable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254983B1 (en)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tube and beam
KR101207194B1 (en) A joint apparatus of concrete pile for foundation work
KR101207138B1 (en) A joint apparatus of concrete pile for foundation work
KR20150025698A (en) Joint Apparatus For Concrete Piles
JP6392577B2 (en) Reinforcing members used for seismic reinforcement of power poles
KR20180021534A (en) Bridge bearing for earthquake-pro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20129079A (en) Phc pile assembbly having connecting part, shear enforcing complex pile and vertical hem expanding pile
KR200490635Y1 (en) Connection Device For Ground Reinforced File
JP5970211B2 (en) Strengthening structure of existing piles
KR200370302Y1 (en) a prefabricated closing plate for a nonskid with a slope way of construction site in subway
JP6374738B2 (en) Bearing wall
KR101674306B1 (en) Structure for composite beam gi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