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983B1 -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tube and beam - Google Patents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tube and be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4983B1 KR101254983B1 KR1020110114300A KR20110114300A KR101254983B1 KR 101254983 B1 KR101254983 B1 KR 101254983B1 KR 1020110114300 A KR1020110114300 A KR 1020110114300A KR 20110114300 A KR20110114300 A KR 20110114300A KR 101254983 B1 KR101254983 B1 KR 1012549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concrete filled
- outer peripheral
- concrete
- inner steel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충전과 제작이 용이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structure of a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a be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joint structure of a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a beam that is easy to fill and manufacture concrete.
콘크리트 충전강관(CFT : Concrete Filled Steel Tube)은 기존의 철골조의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것으로서, 뛰어난 내진성능과 강성이 확보되고 또한 내화피복의 감소 및 내화성능이 우수한 이점때문에 기존의 S조(철골조), RC조 및 SRC조에 이은 제4의 구조로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일본을 비롯하여 중국 그리고 한국에서도 이 방법에 의한 건물 구조가 채택되고 있다.Concrete Filled Steel Tube (CFT) is concrete filled inside steel pipe of existing steel frame, and it has excellent seismic performance and rigidity, and it has the advantages of reducing fireproof coating and excellent fire resistance. Steel frame), RC, and SRC, the fourth structure has been in the spotlight recently, and the building structure by this method is adopted in Japan, China, and Korea.
콘크리트의 충전성이 중요하므로 고유동 콘크리트(High Flowable Concrete)가 사용되고 있으며 기둥 내에 콘크리트가 공극 없이 충전될 필요가 있다.Since the filling of concrete is important, high flowable concrete is used, and the concrete needs to be filled without voids in the column.
이러한, 콘크리트 충전강관이 기둥으로 사용될 경우에 직경이 큰 콘크리트 충전강관에는 철골보가 접합된다.When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is used as a pillar, the cheolgolbo is bonded to the large diameter concrete filled steel pipe.
여기서, 철골보와 기둥의 접합부에는 모든 하중이 전달되므로 철골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강관이 국부 파괴되거나, 강관의 국부변형을 초래하는 응력집중에 의해서 접합부가 조기에 파단하므로 하중 전달이 곤란하였다.Here, since all loads are transmitted to the joint of the cheolgolbo and the column, the steel pipe is locally destroyed by the force acting on the cheolgolbo, or it is difficult to transfer the load because the joint is broken early due to the stress concentration causing local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이런 이유로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가 충분한 강성 및 내력을 갖도록 보강을 하는 다양한 종래의 기술들이 있다. For this reason, there are various conventional techniques for reinforcing the joints of the pillars and cheolgolbo to have sufficient rigidity and strength.
예를 들면, 도 1의 (a)에 도시된 스터드볼트 방법은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10) 내측면에 스터드볼트(20)를 구비하여 콘크리트와 접합을 보강한다. 그러나, 스터드볼트 방법은 스터드볼트(20)를 과도하게 많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스터드볼트(20)가 미치는 보강범위가 스터드볼트(20)가 접합된 강관 내측면 부위로 한정되기 때문에 철골보(30)의 전단력이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10) 내부까지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the stud bolt method shown in (a) of Figure 1 is provided with a
한편, 도 1의 (b)에 도시된 다이어프램 방법은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10)에서 철근보(30)와의 접합부에 다이어프램(25)을 삽입하여 접합을 보강한다. 그러나, 다이어프램 방법은 냉간성형 강관을 사용할 경우 다이어프램(25)을 삽입하기가 어려워 시공이 복잡하다.On the other hand, the diaphragm method shown in Figure 1 (b) reinforces the joint by inserting the
또한, 도 1의 (c)에 도시된 철골보 삽입 방법은 콘크리트 충전강관(10)에 홈을 파서 철골보(30)를 강관(10)내에 삽입하여 접합을 보강한다. 그러나, 철골보 삽입 방법은 용접 및 시공이 어렵고,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충전됨에 따른 품질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inserting the cheolgolbo shown in (c) of Figure 1 to dig a groove in the concrete fill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보 접합부분의 내력상승과 보에서 오는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하여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거동을 안정적이게 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t least some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one aspect, to more effectively resist the in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beam joint and the load from the beam to stabilize the joint behavior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beam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steel pipes and beams.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외주부강관의 전단하중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t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that can effectively resist the shear load of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지지 않아서 콘크리트 충전강관의 내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nded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that can prevent the concrete is not filled tightly and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is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 콘크리트의 장기적인 거동에 대한 저항성이 좋은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nded structure of a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beam having good resistance to long-term behavior of concrete.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며, 외측면에 보가 접합되는 외주부강관; 상기 외주부강관 내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외주부강관에 충전된 콘크리트에 매설되며, 상기 외주부강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의 일부가 내부에 충전되는 내부강관; 및 상기 외주부강관에서 상기 보가 접합된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외주부강관의 내측면에 상기 외주부강관과 상기 내부강관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상기 외주부강관과 상기 내부강관의 저항거동을 일체화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As one aspect for achieving at least some of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with concrete therein,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An inner steel pip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teel pipe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fill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teel pipe, and a portion of the concrete fill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teel pipe filled therei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teel pipe and an inner steel pipe connected to each other o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teel pipe corresponding to a portion to which the beam is join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teel pip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teel pipe and the inner steel pipe with respect to a load acting on the beam. It provides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crete-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comprising a; connection member to integrate the resistance behavior.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강관은 상기 외주부강관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ner steel pipe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다른 일 측면으로서, 상기 내부강관은 상기 외주부강관에 접합되는 복수의 상기 보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aspect, the inner steel pipe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to the plurality of beams joined to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또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상기 내부강관에는 복수개의 상기 연결부재가 접합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 plurality of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bonded to the inner steel pip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보가 H형강 또는 I형강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외주부강관의 내측면에서 상기 보의 상하측 플랜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접합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when the beam is composed of H-beam or I-beam,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join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beam, respective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는 상기 보의 플랜지의 두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composed of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flange of the beam.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강관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부강관을 연결하는 다이어프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inner steel pip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aphragms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inner steel pipes; may further includ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강관은 대응하는 상기 보의 높이보다 길게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외주부강관과 동일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inner steel pipe may be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beam, or may be of the same length as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외주부강관에 작용하는 전단하중에 수직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composed of a plate perpendicular to the shear load acting on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한편, 상기 외주부강관과 상기 내부강관은 원형 또는 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and the inner steel pipe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or squar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강관의 측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강관은 상기 내부강관 내외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와 강합성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inner steel pipe, and the inner steel pipe may be strongly synthesized with concrete filled in and out of the inner steel pip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강관을 사용함으로써 보 접합부분의 내력상승과 보에서 오는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하여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거동을 안정적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by using the internal steel pipe can effectively resist the in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beam joint portion and the load from the beam to achieve the effect of stabilizing the joint behavior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beam ha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로막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외주부강관의 전단하중을 내부 콘크리트 지압으로 저항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using the connecting member formed in the diaphragm to resist the shear loa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teel pipe to the internal concrete pressu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력을 지압으로 저항할 수 있는 내부강관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지지 않아서 콘크리트 충전강관의 내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internal steel pipe that can resist the compressive force with acupressur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ncrete strength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is not lowered tightly filled.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콘크리트의 장기적인 거동에 대한 저항성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good effect of resistance to long-term behavior of concrete.
도 1은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를 접합하는 종래의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해 관통홀, 핀접합 플레이트 및 접합보조부재가 포함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joining structure for joining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nd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 sid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bonded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to 9 are plan and side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including a through-hole, a pin joint plate and a joining auxiliary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 comprise ", " comprise ", and " have "mean that there exist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측면도, 도 4는 평면도이다.
First, referring to Figures 2 to 4 looks at the junction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n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Figure 4 is a plan view.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140)의 접합구조에는 보(140)가 직접 접합되는 외주부강관(110)과 외주부강관(110) 내에 배치되는 내부강관(120) 및 외주부강관(110)과 내부강관(1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to 4, in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여기서,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140)의 접합구조에서는 보(140)가 H형강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보(14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I형강, C형강, T형강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Here, in the bond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상기 외주부강관(110)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내진성능과 강성이 확보되고, 건물의 기둥으로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강관에 해당한다. 또한, 외주부강관(110)의 외측면에는 보(140)가 핀접합 또는 모멘트 접합될 수 있다.
The outer
한편, 내부강관(120)은 외주부강관(110) 내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외주부강관(1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강관(120)의 내부에는 외주부강관(110)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외주부강관(110)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면, 결과적으로 내부강관(120)은 내외측이 콘크리트로 둘러쌓여 콘크리트에 파묻혀 있는 꼴이 될 수 있다.When the concrete is filled in the outer
또한, 외주부강관(110)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와 내부강관(120)에 충전되는 콘크리트는 내부강관(120)의 양단에 개방부를 통해 서로 강합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rete filled in the out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140)의 접합구조에서, 내부강관(120)은 외주부강관(110)에 접합되는 보(140)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보(140)의 높이보다 길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강관(120)은 외주부강관(110)과 동일한 길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bond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30)는 외주부강관(110)과 내부강관(120)을 연결하여, 외주부강관(110)과 내부강관(120)의 거동을 일체화시킨다. 다시 말해, 연결부재(130)는 일단을 외주부강관(110)의 내측면에 접합하고 다른 일단을 내부강관(120)의 외측면에 접합하여, 외주부강관(110)이 받는 힘을 내부강관(12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30)는 내부강관(120)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130)와 내부강관(120) 간에 힘 전달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연결부재(130)와 내부강관(120)과의 접합면적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30)는 원형으로 구성된 내부강관(120) 외주의 반 이상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또한, 연결부재(130)는 외주부강관(110)과 내부강관(120)에 모두 수직하게 접합될 수 있으며, 접합 방법으로는 용접 접합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그리고, 보(140)가 H형강 또는 I형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연결부재(130)는 외주부강관(110)의 내측면에서 보(140)의 상측 플랜지(144a)와 하측 플랜지(144b)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합되어 내부강관(120)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And, in the case where the
반면에, 보(140)가 H형강 또는 I형강이 아닌 경우에, 연결부재(130)는 하중으로 인해 보(140)와 외주부강관(110)의 접합부분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압축력이 내부강관(1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보(140)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또한, 하중에 의해 보(140)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내부강관(120)의 저항력을 외주부강관(110)에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130)의 두께는 대응하는 보(140)의 플랜지(144)의 두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그리고, 연결부재(130)는 외주부강관(110)에 작용하는 전단하중에 수직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연결부재(130)의 하부에 충전되어 있는 콘크리트의 지압을 이용하여 외주부강관(110)에 작용하는 전단하중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다. And, the connecting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140)의 접합구조에서, 연결부재(130)가 외주부강관(110)과 접합되는 부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44)의 너비와 같거나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0)가 내부강관(120)과 접합되는 부분은 충분한 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또한, 내부강관(120)과 연결부재(130)는 충분한 접합부분을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140)의 접합구조에서 보(140)에 대하여 직하방으로 하중이 작용하면, 상측 플랜지(144a)와 외주부강관(110)의 접합부에는 외주부강관(110)으로부터 보(140)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고, 반면에 하측 플랜지(144b)와 외주부강관(110)의 접합부에는 보(140)로부터 외주부강관(110) 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한다. Referring to FIG. 3, when a load acts directly on and below the
이때, 상측 연결부재(130a)는 인장력을 내부강관(120)에 전달하고, 내부강관(120)에서 상측 연결부재(130a)의 상부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이에 대향하는 외주부강관(110)과의 사이에 충전되어 있는 콘크리트의 지압으로 인해 인장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저항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30a) transmits a tensile force to the
반면에, 하측 연결부재(130b)는 압축력을 내부강관(120)에 전달하고, 내부강관(120)에서 하측 연결부재(130b)의 반대편 부분은 그 주변에 충전되어 있는 콘크리트의 지압으로 인해 외주부강관(110)으로부터 내부강관(120)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저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130b) transmits the compressive force to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연결부재(130b)는 외주부강관(110)에 작용하는 전단하중에 대하여 상측 및 하측 연결부재(130b)의 하부에 충전되어 있는 콘크리트의 지압으로 저항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140)의 접합구조는 보(140)의 하중이 전달되는 내부강관(120)을 이용하여 외주부강관(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인장력에 의해 보(140)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the bond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이에 더하여, 외주부강관(110)과 보(140)가 접합되어 있는 부분에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충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외주부강관(110)이 콘크리트 지압의 도움없이 압축력을 견뎌야 하므로 외주부강관(110)의 내력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140)의 접합구조에서는 내부강관(120)이 압축력을 전달받아 저항할 수 있으므로, 외주부강관(110)의 내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crete is not tightly filled in the portion where the outer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본다. 도 5 내지 도 9의 실시예들은 접합구조 및 구성요소들의 형태에 차이가 있을 뿐 기능 및 거동에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5와 도 8의 (a) 및 (b)는 각각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6, 도 7 및 도 9는 각각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Next,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5 to 9 have only differences in the shape of the junction structure and components, so there will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 and behavior, so it will be described together. 5 and 8 (a) and (b) respectively sho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FIGS. 6, 7 and 9 respectively show a plan view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도 5에 도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서, 내부강관(120)에는 복수개의 연결부재(130)가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강관(120)은 외주부강관(110)의 내부 중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방으로 대칭되도록 복수개의 연결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고, 각 연결부재(130)들은 외주부강관(110)의 내측면에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외주부강관(110)에는 사방에 접합되어 있는 연결부재(130)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보(140)가 접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a plurality of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140)의 접합구조에서는, 보(140)의 하중에 저항하는 내부강관(120)의 저항력에 외주부강관(110)에 충전되어 있는 콘크리트의 지압뿐만 아니라 복수개 연결부재(130)의 내력이 추가될 수 있다. In the bonded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한편, 본 실시예 달리 외주부강관(110)에는 하나의 보(140)가 접합되어, 보(140)의 접합을 내부강관(120)과 복수개의 연결부재(130)로 보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one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들을 보면, 내부강관(120)은 외주부강관(110)에 접합되는 복수의 보(140)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강관(120)과 외주부강관(11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는 내부강관(120)의 개수에 맞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강관(120) 및 연결부재(13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내부강관(120) 및 연결부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6 and 7, the
또한, 도 8에 도시된 다른 일 실시예를 보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140)의 접합구조에는 복수의 내부강관(120)을 연결하는 다이어프램(150)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another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8, the
다이어프램(150)은 복수의 내부강관(120)들에 접합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30)에 대응하여 내부강관(120)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140)의 접합구조에서, 외주부강관(110)의 일측에 접합되어 있는 보(140)에 적용되는 하중에 의한 인장력은 상측 연결부재(130a)로부터 일 내부강관(120), 상측 다이어프램(150a) 및 다른 내부강관(120)으로 전달될 수 있고, 압축력은 하측 연결부재(130b)로부터 일 내부강관(120), 하측 다이어프램(150b) 및 다른 내부강관(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In the bond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이와같이, 다이어프램(150)은 복수의 내부강관(120)과 외주부강관(110)의 거동을 일체화시킬 수 있고, 거동이 일체화된 복수의 내부강관(120)들은 상술한 인장력과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분담할 수 있다.
As such, the
한편, 도 9에 도시된 다른 일 실시예를 보면, 외주부강관(110)은 원형, 내부강관(120)은 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140)의 접합구조에서, 외주부강관(110)과 내부강관(120)은 원형 또는 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ure 9, the outer
마지막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해 관통홀(125), 핀접합 플레이트(160) 및 접합보조부재(170)가 포함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140)의 접합구조에 대해 살펴본다.Finally, with reference to Figure 10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140)의 접합구조에는 내부강관(120)에 형성되는 관통홀(125)과 외주부강관(110)과 보(140)의 핀접합을 위한 핀접합 플레이트(160)와 보(140)의 접합을 보조할 수 있는 접합보조부재(17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junction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상기 관통홀(125)은 내부강관(12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강관(120) 및 내부강관(120)의 내외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는 관통홀(125)을 통해 서로 강합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주부강관(110) 내부의 콘크리트와 내부강관(120)의 결합은 더 견고해질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25)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At least one through-
또한, 상기 핀접합 플레이트(160)는 'ㄱ'자로 절곡되고 보(140)의 웨브(142)와 외주부강관(110)에 결합볼트(165)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보(140)와 외주부강관(110)의 핀접합을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접합보조부재(170)는 'ㄱ'자로 절곡되고 외주부강관(110)의 보(140) 접합부분 하단에 구비되어 외주부강관(110)에 접합되는 보(140)의 하측 플랜지(144b)를 받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nd, the joining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 want to make it clear.
110 : 외주부강관 120 : 내부강관
125 : 관통홀 130 : 연결부재
140 : 보 150 : 다이어프램
160 : 핀접합 플레이트 170 : 접합보조부재110: outer peripheral steel pipe 120: internal steel pipe
125: through hole 130: connecting member
140: beam 150: diaphragm
160: pin bonding plate 170: bonding auxiliary member
Claims (11)
상기 외주부강관 내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외주부강관에 충전된 콘크리트에 매설되며, 상기 외주부강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의 일부가 내부에 충전되는 내부강관; 및
상기 외주부강관에서 상기 보가 접합된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외주부강관의 내측면에 상기 외주부강관과 상기 내부강관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상기 외주부강관과 상기 내부강관의 저항거동을 일체화시키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Concrete is filled inside,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An inner steel pip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teel pipe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fill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teel pipe, and a portion of the concrete fill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teel pipe filled therein; And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and the inner steel pipe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n which the beam is joined in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to connect with each other, the resistance of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and the inner steel pipe to the load acting on the beam A connection member integrating behavior;
Joining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beam, including.
상기 내부강관은,
상기 외주부강관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steel pipe,
Join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상기 내부강관은,
상기 외주부강관에 접합되는 복수의 상기 보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steel pipe,
Join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plurality of one to on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eams joined to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상기 내부강관에는 복수개의 상기 연결부재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1,
Join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connecting member is bonded to the inner steel pipe.
상기 보가 H형강 또는 I형강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외주부강관의 내측면에서 상기 보의 상하측 플랜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beam is composed of H-beam or I-beam,
The connecting member is a join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joine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beam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는 상기 보의 플랜지의 두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member is composed of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flange of the beam.
상기 내부강관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부강관을 연결하는 다이어프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steel pipe is composed of a plurality,
And a diaphragm connecting the plurality of inner steel pipes.
상기 내부강관은,
대응하는 상기 보의 높이보다 길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ner steel pipe,
Join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beam.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외주부강관에 작용하는 전단하중에 수직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is a joint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ate perpendicular to the shear load acting on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상기 외주부강관과 상기 내부강관은 원형 또는 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Join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steel pipe and the inner steel pipe is composed of a circular or square.
상기 내부강관의 측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강관은 상기 내부강관 내외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와 강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과 보의 접합구조.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inner steel pipe,
The inner steel pipe is a joint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and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composite and the steel filled inside and outside the inner steel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4300A KR101254983B1 (en) | 2011-11-04 | 2011-11-04 |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tube and be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4300A KR101254983B1 (en) | 2011-11-04 | 2011-11-04 |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tube and bea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4983B1 true KR101254983B1 (en) | 2013-04-17 |
Family
ID=4844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4300A KR101254983B1 (en) | 2011-11-04 | 2011-11-04 |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tube and be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498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7019B1 (en) * | 2014-07-07 | 2015-12-11 |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Diaphram and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tublar comum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it |
CN106836491A (en) * | 2017-03-29 | 2017-06-13 | 长安大学 | A kind of high strength steel pipe concrete column girder conne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20190002101A (en) * | 2017-06-29 | 2019-01-08 | 주식회사 포스코 | Hollow Structure, and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n and Bea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12700A (en) * | 1993-01-13 | 1994-08-02 | Sato Kogyo Co Ltd | Jointing of different structural members |
JP2000001945A (en) * | 1998-04-13 | 2000-01-07 | Taisei Corp | Structure using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 |
JP2008069570A (en) | 2006-09-14 | 2008-03-27 | Maeda Corp | Concrete-filled steel pipe with built-in reinforcement and its joining method |
KR20100076576A (en) * | 2008-12-26 | 2010-07-06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Concrete-filled steel tube |
-
2011
- 2011-11-04 KR KR1020110114300A patent/KR10125498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12700A (en) * | 1993-01-13 | 1994-08-02 | Sato Kogyo Co Ltd | Jointing of different structural members |
JP2000001945A (en) * | 1998-04-13 | 2000-01-07 | Taisei Corp | Structure using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 |
JP2008069570A (en) | 2006-09-14 | 2008-03-27 | Maeda Corp | Concrete-filled steel pipe with built-in reinforcement and its joining method |
KR20100076576A (en) * | 2008-12-26 | 2010-07-06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Concrete-filled steel tub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7019B1 (en) * | 2014-07-07 | 2015-12-11 |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Diaphram and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tublar comum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it |
CN106836491A (en) * | 2017-03-29 | 2017-06-13 | 长安大学 | A kind of high strength steel pipe concrete column girder conne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20190002101A (en) * | 2017-06-29 | 2019-01-08 | 주식회사 포스코 | Hollow Structure, and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n and Beam |
KR102131488B1 (en) * | 2017-06-29 | 2020-07-07 | 주식회사 포스코 | Hollow Structure, and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n and Bea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5955B1 (en) | a concrete filled circular steel tube with the three-dimensional diaphram and the joint structure | |
KR101295740B1 (en) | Joint of Steel Column | |
JP5955108B2 (en) | Pile reinforcement structure of existing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453407B1 (en) | Non-welding type seismic reinforcing method for column using key hole type bolt jointed double C-type steels | |
JPWO2011093533A1 (en) | Steel continuous beam structure | |
KR101637451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Hollow Precast Concret-encased Steel Column and Dry-splicing Methods for the Same | |
KR20160035135A (en) | the self positioning joint structure between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 |
KR101254983B1 (en) | Joi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tube and beam | |
KR100716453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CFT column and beam connection | |
JP2007297861A (en) | Joint part structure of bridge pier with pile | |
KR20120060015A (en) | Precast concrete member with junction for reinforcing earthquake resistance for a window frame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it | |
KR101950953B1 (en) |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s with frame shear wall | |
JP6447777B2 (en) |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and 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 | |
KR20090105512A (en) | Concrete Filled Steel Tube | |
KR101557380B1 (en) |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 |
KR101017800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connection of cold formed plate column and steel beam | |
KR10100641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underground downward construction using concrete filled tube | |
KR100631363B1 (en) | Panel zone system of y shape tied column reinforced with high tension bolts | |
JP6102010B2 (en) | Pile reinforcement structure of existing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625137B1 (en) | the self positioning joint structure between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precast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 |
JP2010159565A (en) | Column-beam joint part and reinforcing hardware for column-beam joint part | |
KR100578641B1 (en)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Hybrid Structure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16205054A (en) | 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building using the same | |
JP4576067B2 (en) | Joint structure of pile head and steel underground beam | |
KR101701495B1 (en)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tube column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reinforc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