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062A - 혈액 펌프 - Google Patents

혈액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062A
KR20180021062A KR1020187000482A KR20187000482A KR20180021062A KR 20180021062 A KR20180021062 A KR 20180021062A KR 1020187000482 A KR1020187000482 A KR 1020187000482A KR 20187000482 A KR20187000482 A KR 20187000482A KR 20180021062 A KR20180021062 A KR 20180021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annula
pump
effluen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233B1 (ko
Inventor
토르스텐 지이스
왈리드 아불호슨
Original Assignee
아비오메드 유럽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비오메드 유럽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비오메드 유럽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3704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5872A/ko
Publication of KR2018002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10Location thereof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body
    • A61M60/122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 A61M60/126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 A61M60/135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inside a blood vessel, e.g. using grafting
    • A61M1/125
    • A61M1/1008
    • A61M1/101
    • A61M1/1034
    • A61M1/12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10Location thereof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body
    • A61M60/122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 A61M60/126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 A61M60/157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mechanically acting upon the inside of the patient's blood vessel structure, e.g. contractile structures placed inside a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20Type thereof
    • A61M60/205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61M60/216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including a rotating member acting on the blood, e.g. impeller
    • A61M60/221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including a rotating member acting on the blood, e.g. impeller the blood flow through the rotating member having both radial and axial components, e.g. mixed flow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20Type thereof
    • A61M60/205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61M60/216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including a rotating member acting on the blood, e.g. impeller
    • A61M60/226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including a rotating member acting on the blood, e.g. impeller the blood flow through the rotating member having mainly radial components
    • A61M60/232Centrifugal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20Type thereof
    • A61M60/205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61M60/216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including a rotating member acting on the blood, e.g. impeller
    • A61M60/237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including a rotating member acting on the blood, e.g. impeller the blood flow through the rotating member having mainly axial components, e.g. axial flow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40Details relating to driving
    • A61M60/403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61M60/408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the force acting on the blood contacting member being mechanical, e.g. transmitted by a shaft or cable
    • A61M60/411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the force acting on the blood contacting member being mechanical, e.g. transmitted by a shaft or cable generated by an electro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80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 A61M60/802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of 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61M60/833Occluders for preventing back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80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 A61M60/855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of 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 A61M60/857Implantable blood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10Location thereof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body
    • A61M60/122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 A61M60/126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 A61M60/13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by means of a catheter allowing explantation, e.g. catheter pumps temporarily introduced via the 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10Location thereof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body
    • A61M60/122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 A61M60/126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 A61M60/148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in line with a blood vessel using resection or like techniques, e.g. permanent endovascular heart assis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30Medical purposes thereof other than the enhancement of the cardiac output
    • A61M60/31Medical purposes thereof other than the enhancement of the cardiac output for enhancement of in vivo organ perfusion, e.g. retroperfusion
    • A61M60/33Medical purposes thereof other than the enhancement of the cardiac output for enhancement of in vivo organ perfusion, e.g. retroperfusion of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40Details relating to driving
    • A61M60/403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61M60/408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the force acting on the blood contacting member being mechanical, e.g. transmitted by a shaft or cable
    • A61M60/411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the force acting on the blood contacting member being mechanical, e.g. transmitted by a shaft or cable generated by an electromotor
    • A61M60/414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the force acting on the blood contacting member being mechanical, e.g. transmitted by a shaft or cable generated by an electromotor transmitted by a rotating cable, e.g. for blood pumps mounted on a cath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혈액 펌프(1)는 혈류 입구(21)와 혈류 출구(22)를 갖는 펌프 케이싱(2)과, 상기 펌프 케이싱(2) 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임펠러(3)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3)는 상기 혈류 입구(21)로부터 상기 혈류 출구(22)로 혈액을 전달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블레이드(31)를 갖는다. 혈액 펌프(1)는 상류 단부(41), 하류 단부(43) 및 상류 단부(41)와 하류 단부(42)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부(42)를 갖는 유출 캐뉼러(43)를 더 포함한다. 유출 캐뉼러(4)의 상류 단부(41)는 펌프 케이싱(2)에 연결되어 펌프 케이싱(2)의 혈류 출구(22)로부터 중간부(42)를 관통하여 유출 캐뉼러(4)의 하류 단부(43)를 향하여 혈액이 전달되며, 하류 단부(43)는 혈액이 유출 캐뉼러(4)를 빠져나올수 있는 혈류 출구(44)를 갖는다. 유출 캐뉼러(4)의 중간부(42)의 적어도 일부는 펌프 케이싱(2)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다.

Description

혈액 펌프
본 발명은 환자의 혈관, 예를 들어 신정맥 또는 관상 동맥 내에서 혈류를 지원하는 혈액 펌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방향 혈액 펌프, 원심 혈액 펌프 또는 혼합형 혈액 펌프와 같은 상이한 유형의 혈액 펌프가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혈류는 축방향 및 반경 방향의 두 가지 힘에 의해 야기된다. 혈액 펌프는 카테터에 의해서 대동맥과 같은 환자의 혈관으로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흉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혈액 펌프는 신장 용도로도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혈액 펌프는 신부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환자의 신장으로부터 하대 정맥을 향하는 혈액 유동을 지원하도록 환자의 신정맥에 배치된다. 혈액 펌프는 전형적으로 통로에 의해서 접속되는 혈류 입구 및 혈류 출구를 갖는 펌프 케이싱을 포함한다. 혈류 입구로부터 혈류 출구로의 통로를 따라서 혈류를 야기시키기 위해서, 펌프 케이싱 내에 임펠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임펠러에는 혈액을 전달하기 위한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혈액 펌프의 전달 방향과 반대 방향의 혈액의 역류를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혈관의 내벽과 접촉하여 혈관을 폐색시키는 풍선과 같이, 혈액 펌프의 영역 내에서 혈관을 폐색시키기 위한 수단, 또는 체크 밸브처럼 작용하는 다른 수단이, 예를 들어 DE 196 13 565 C1 또는 US 5,163,910로부터 알려져 있다. WO 2014/141284 A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혈관의 내벽과 접촉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확장가능한 펌프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또 다른 펌핑 장치가 US 5,163,910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펌프를 동작시켜서 중앙 루멘을 통해서 혈액을 펌핑하면서 원주형 풍선을 팽창시킴으로써 혈관을 폐색시키기 위해서 협력하여 사용되는 펌프 및 폐색 풍선의 조합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가 혈관을 폐색시키고 중앙 루멘을 통해서 혈액을 강제로 전달할 수는 있지만, 중앙 카테터의 크기는 폐색된 혈관에 비해서 매우 작고, 상당한 혈액 손상 또는 심각한 혈액 손상으로 인한 혈전을 형성하는 위험성을 야기하지 않고 펌프에 의해 제한된 흐름이 전달될 수 있다. 원주형 풍선이 장치 전체 직경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는 사실로 인해 중앙 루멘 크기가 제한된다. 그러므로, 중앙 루멘에는 약간의 공간이 남아 있다. 이것은 목표 혈관이 작아짐에 따라 점점 더 명확해진다.
또한, DE 10 2004 954 714 A1 및 US 6,533,716 B1로부터 혈액 펌프가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펌프 케이싱에 접속된 유출 캐뉼러를 가짐으로써, 혈액이 유출 캐뉼러를 통해서 상류 단부로부터 하류 단부로 혈액이 펌프되며, 여기서 혈액은 혈류 출구를 통해서 유출 캐뉼라를 빠져나온다. 유출 캐뉼러는 상류 및 하류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부를 가질 수 있다. 혈액 펌프의 유출 캐뉼라는 예를 들어 대동맥 판막을 통해서 배치될 수 있는 반면에 펌프 케이싱은 좌심실 내부에 배치된다. 혈액 펌프의 일부가 환자의 혈관의 내벽에 접촉하면, 혈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환자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장치, 특히 협착이 있는 혈관을 팽창시키는 장치 또는 약물 용출 장치, 즉 약재 또는 치료 물질을 목표 영역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물질은 예를 들어 항생제, 항응고제 또는 성장 억제제가 될 수 있다. 풍선은 혈관 내 목표 영역으로 펼쳐지고 혈관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팽창되어 약재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퐁선 장치가 환자의 혈관 내 목표 영역으로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지만, 혈관은 풍선에 의해 막힌다. 그러므로, 약물 용출 장치가 혈관과 접촉하는 시간은 짧은 시간, 예컨대 30 내지 60초로 제한된다. 이것은 관상 동맥 치료와 같이 환자의 심장과 관련된 응용에서 특히 섬세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의 역류가 적어도 감소 또는 바람직하게는 방지될 수 있는 혈액 펌프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혈관 손상을 야기키지 않고 환자의 혈관을 폐색시킬 수 있는 혈액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독립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혈액 펌프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추가의 발명 내용은 종속 청구항에서 특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혈액 펌프는 상류 단부, 하류 단부 및 상기 상류 단부와 하류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부를 갖는 유출 캐뉼러를 포함한다. 상기 유출 캐뉼러의 상류 단부는 펌프 케이싱에 접속되어 혈액이 펌프 케이싱의 혈류 출구로부터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를 관통하여 상기 유출 캐뉼러 하류 단부를 향하여 전달되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하류 단부는 혈액이 상기 유출 캐뉼러를 빠져나갈 수 있는 혈류 출구를 갖는다.
상기 유출 캐뉼러에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다. 그러므로, 유출 캐뉼러의 직경을 확장시킴으로써, 혈액 펌프를 지난 혈액의 역류를 회피하거나 적어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출 캐뉼러는 폐색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폐색 장치 또는 차단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는 상기 혈액 펌프가 동작하는 동안에 혈관을 폐색시키기 위해서 상기 혈액 펌프가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혈액 펌프가 배치되는 환자의 혈관의 내벽에 접촉하도록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혈관, 특히 그 중간부를 폐색시키기 위해 유출 캐뉼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는 상기 혈관의 내벽에서 작용하는 힘이 비교적 넓은 영역, 특히 좁은 링 형상의 폐색 장치와 같은 것에 비해 넓은 영역에 걸쳐서 분산되기 때문이다. 상기 혈관에 가해지는 손상이 회피되거나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더해서, 폐색 압력은 펌프 유출 역학 및 유출 개구의 크기에 따라 조절된다. 그와 같이 폐색 압력은 주변 혈압보다 수은주로 단지 수 밀리미터 높게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폐색 압력은 주변 혈압보다 5-15 mmHg 높은 범위 내일 것이다.
상기 혈액 펌프의 치수는 혈액 펌프의 상이한 응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직경은 펌프 케이싱 직경의 적어도 두배이며, 바람직하게는 세배, 더 바람직하게는 네배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직경은 펌프 케이싱 직경의 적어도 1.1 배, 바람직하게는 1.5배, 더 바람직하게는 펌프 케이싱 직경의 두배가 될 수 있다.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의 펌프 케이싱은 펌프 케이싱이 혈관의 내벽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는 특히 펌프의 유입 개구를 분리하여 혈관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로컬 혈관이 붕괴되고 펌프로 흡입되는 위험성이 제거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캐뉼러가 예를 들어, 펌프 케이싱보다 더 부드러운 물질로 만들어진 경우에 유리할 수 있으며, 이것은 혈관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제로, 시스템은 자가-조절 흡입기를 갖는다. 흡입이 발생되기 시작함에 따라, 펌프 압력이 감소되며 이는 혈관 도처에 캐뉼러 수축 및 정상 압력의 복원을 가져온다.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직경, 특히 그의 가장 큰 직경은 약 5mm 와 2cm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1과 1.5cm 사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펌프가 직경이 약 1cm일 수 있는 신정맥에서 사용되면,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는 약 1.1 또는 1.3cm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정맥이 폐색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특히 혈액 펌프가 심장 혈관, 이를테면 관상 동맥에서 사용되면,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직경, 특히 그의 가장 큰 직경은 약 0.5 와 5mm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2mm가 될 수 있으며, 이는 관상 동맥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유출 캐뉼러의 상류 단부의 혈류 출구는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최외각 원주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방사상으로 내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하류 단부는 방사상으로 내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축방향으로 혈류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혈류 출구의 배치는, 유출 캐뉼러가 혈관의 내벽에 가압될 때 혈류 출구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혈류 출구는 하류 단부에 배치되어, 혈액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축방향으로 유출 캐뉼러를 빠져나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길이방향 길이는 5cm 미만, 바람직하게는 2cm 미만이 될 수 있다. 이 길이는,예를 들어 신정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대안으로,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길이방향 길이는 약 1과 3mm 사이이다. 이 길이는, 예를 들어 관상 동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특히,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길이방향 길이는 유출 캐뉼러의 길이가 될 수 있으며 이 유출 캐뉼러를 따라서 중간부는 각각의 혈관과 접촉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혈관을 폐색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출 캐뉼러의 하류 단부의 혈류 출구의 단면적은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단면적, 특히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가장 큰 단면적 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는, 유출 캐뉼러의 하류 단부의 혈류 출구의 단면적은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단면적의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이다. 축소된 직경은 유출 캐뉼러의 혈류 출구에, 예를 들어, 적어도 두개의 개구, 바람직하게는 세개의 개구, 더 바람직하게는 네개의 개구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개구가 제공되면, 모든 개구를 합친 단면적은 유출 캐뉼러의 혈류 출구의 단면적을 형성한다. 유출 캐뉼러의 혈류 출구는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갖는 네개의 개구 이상 또는 단일 개구를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단면적과 비교해 유출 캐뉼러의 혈류 출구의 축소된 단면적은 유출의 넥킹(necking)을 가져와서, 유출 캐뉼러를 채우고 유출 캐뉼러내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유출 캐뉼러의 벽은 유출 캐뉼러가 배치되는 혈관의 내벽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바이어스된다. 상기 유출 캐뉼러는 폐색 장치로서 작용하도록 펼쳐지거나 확장하기까지 한다. 이것은 펌프가 동작하는 동안에 자동으로 발생한다. 혈관을 폐색하기 위해서 펌프를 확장하는데 추가의 팽창 장치가 필요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출 캐뉼러는 펌프 케이싱보다 더 부드러운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출 캐뉼러의 물질은 신축성, 탄성, 확장가능성, 복원성 또는 유연성 물질이 될 수 있다. 그러한 물질은 혈액 펌프가 배치되는 환자의 혈관에 손상을 줄여준다. 더욱이, 부드러운 물질은 유출 캐뉼러가 펼쳐지거나 확장하도록 하고 환자의 혈관의 내벽에 접촉하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물질은 비유연성 물질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유출 캐뉼러는 상이한 물질의 조합을 가질 수도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유출 캐뉼러가 상이한 단면에서 상이하게 확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질은 이방성을 가질 수 있어서 방사상 유연성은 허용하지만 축방향 유연성을 허용하지 않거나 그 반대가 될 수 있다. 부드럽고 유연한 캐뉼러는 또한 상기 캐뉼러가 정확한 외경의 크기로 되는데 도움이 된다. 캐뉼러의 내부와 주변 혈압 사이의 작은 압력 차이도 캐뉼러의 직경이 조절되게 하며 물리적으로는 소형일지라도 캐률러가 주변 혈관 벽에 폐색되게 할 수 있다.
펌프 진동 및 이러한 진동의 전달은 혈관 손상의 주요 원인이며, 특히 링 풍선의 경우에서와 같이 접촉 면적이 최소일 때 주요 원인이다. 본 발명은 더 큰 접촉 면적과 경질의 풍선의 경우에서와 같이 진동을 전달할 수 없는 부드러운 캐뉼러 벽으로 인해 펌프 진동을 획기적으로 소거한다. 본 발명에서는 혈관과 장치내의 폐색 요소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된다는 사실로 인해, 더 낮은 접촉력이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서, 유출 캐뉼러의 상류 단부와 유출 캐뉼러의 하류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테이퍼지거나 원뿔 모양이 될 수 있는데, 즉 유출 캐뉼러의 직경은 상류 및 하류 단부중 하나 또는 모두를 향하여 감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유출 캐뉼러의 직경은 펌프 케이싱으로부터 중간부까지 증가하며 상기 중간부부터 하류 단부까지 감소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카테터에 의해서, 혈액 펌프를 환자의 혈관 내에 배치하는 것을 개선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펌프 케이싱은 원통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 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류 단부의 테이퍼진 또는 원뿔 형상도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출 캐뉼러가 혈관의 내벽에 가압될 때 혈류 출구의 차단을 방지하기 위해서 혈액이 유출 캐뉼러를 빠져 나갈 수 있는 혈류 출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축방향으로 개방된다.
펌프 케이싱 및 유출 캐뉼러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류 단부의 최소 내경이 바람직하게는 펌프 케이싱의 외경에 대응하여 혈류 캐뉼러가 펌프 케이싱에 기밀하게 접속된다. 펌프 케이싱과 유출 캐뉼러 사이에 어떠한 적절한 접속도 가능하여 유체 기밀 접속, 예를 들면, 압입 끼워맞춤, 접착제, 용접 접속 등을 제공한다. 펌프 케이싱 및 유출 캐뉼러는 동일 또는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펌프 케이싱 및 유출 캐뉼러는 그렇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혈관 펌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패딩 장치와 같은 지지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패딩 장치는 원주형 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부드러운 물질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공동이 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상기 패드는 유체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거나 또는 원뿔형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원주형 벽은 평행형 또는 비평행형이 될 수 있어서, 상기 패드는 테이퍼진다. 상기 패드가 테이퍼지는 경우에, 그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흐름 방향으로 증가한다. 유출 캐뉼러내의 혈압과 무관한 그 부드러운 성질로 인해서, 상기 패드는 혈관의 폐색을 개선하기 위해서 혈액 펌프가 배치되는 혈관의 내벽의 형상에 더 잘 적응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패드와 혈관 벽 사이의 마찰을 줄여주는 겔 물질이 스며들거나 도포되는 특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약품 용출 장치가 혈액 펌프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약품 용출 장치는 약재를 환자내의 목표 영역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약품 용출 장치로서 또는 약품 전달 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는데, 즉, 패딩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는 지지 구조물은 약재, 즉, 의약을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용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로서, 특히 단일의 원주형 패드 또는 두개 이상의 이산 패드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약재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는 약재를 주변 조직, 특히 상기 패드에 의해서 접촉되는 환자의 혈관의 내벽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드는 개구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의약이 투입되는 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연속적인 또는 다공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 용출 장치는 약재로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관형 엑세스와 같은 엑세스 루멘이 제공되어 약물을 상기 저장소에 주입하거나 또는 약물을 그로부터 제거하거나 또는 양자 모두가 가능하다. 상기 저장소는 약물을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방사상으로 외부 표면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약재 용출 패드를 제공하는 것은 관상 동맥같은 심장 혈관에서와 같이 섬세한 응용에서 특히 유리하다.
상기 혈액 펌프는, 특히 혈액 펌프를 환자의 혈관에 삽입하고 상기 펌프의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카테터에 접속될 수 있다. 카테터는 하류 방향, 즉, 흐름 방향으로 상기 펌프 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데, 유출 캐뉼러를 통해서 그리고 유출 캐뉼러의 하류 단부내의 개구를 통해서, 특히 혈액 펌프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응용에 따라, 상기 카테터는 대안으로 펌프 케이싱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카테터는 상류 방향으로, 즉, 흐름 방향의 반대로, 펌프 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도를 위해서, 연장 장치가 유출 캐뉼러를 통해서 연장되어 "J-팁" 또는 "피그테일"과 같은 비외상성 팁에서 종료된다. 어느 경우에서나, 상기 혈액 펌프는 축방향 혈액 펌프, 원심 혈액 펌프 또는 혼합형 혈액 펌프가 될 수 있다.
전술한 혈액 펌프는 신장 펌프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환자의 신장으로부터 환자의 하대 정맥을 향하여 혈액을 펌프하기 위해 환자의 신정맥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유출 캐뉼러는 약 1 내지 2cm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0.75 내지 1.5c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혈액 펌프는 이러한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간 펌프와 같은 다른 기관 펌프로서 사용될 수도 있거나, 또는 예로서 환자의 폐동맥 또는 관상 동맥 중 하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혈액 펌프가 관상 동맥에 적용된 경우, 유출 캐뉼러의 외경은 약 0.5 내지 3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1.5mm가 될 수 있다.
전술한 요약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으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를 예시하는 목적으로, 도면이 참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 펌프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의 혈액 펌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도 1a의 혈액 펌프의 펌프 케이싱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1a의 혈액 펌프의 펌프 케이싱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a의 혈액 펌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유출 캐뉼러의 일 실시예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유출 캐뉼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유출 캐뉼러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유출 캐뉼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환자의 신정맥 내에 배치된 도 1a의 혈액 펌프를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의 상세 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액 펌프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의 혈액 펌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액 펌프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b는 도 8a의 혈액 펌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a의 혈액 펌프의 펌프 케이싱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8a의 혈액 펌프의 펌프 케이싱의 또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8a의 혈액 펌프의 임펠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유출 캐뉼러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부분도를 도시한다.
도 13a는 환자의 관상 동맥 내에 배치된 도 8a의 혈액 펌프를 도시한다.
도 13b는 도 13a의 상세 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혈액 펌프(1)가 도시된다. 혈액 펌프(1)는 회전가능한 임펠러(3)를 갖는 펌프 케이싱(2) 및 펌프 케이싱(2)에 접속되는 유출 캐뉼러(4)를 포함한다. 유출 캐뉼러(4)는 상류 단부(41), 하류 단부(43) 및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부(42)를 갖는다. 상류 및 하류 단부(41 및 43)는 테이퍼져 있어 혈액 펌프(1)가 환자의 혈관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캐뉼러(4)는 삽입되는 동안에 접힐 수 있다. 그러므로, 테이퍼는 펌프(1)의 흐름 패턴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류 단부(41)에서의 테이퍼는 펌프가 더 작은 혈관 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펌프 케이싱(2)은 원통형일 수 있다. 그러나,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혈관 펌프(1)의 기능을 수행하는 한 다른 적절한 설계 및 형상이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카테터(5)는 혈액 펌프(1)에 접속되어 혈액 펌프를 환자의 혈관 내에 배치시키고 혈액 펌프(1)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임펠러(3)가 회전할 때, 혈액은 펌프 케이싱(2)을 통해서 혈액 펌프(1)로 유입되고, 유출 캐뉼러(4)로 유입되고, 도 6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출 캐뉼러(4)의 하류 단부(43)의 개구(44)를 통해서 혈액 펌프(1)로부터 나간다.
도 2a 및 도 2b는 혈액 펌프(1)의 펌프 케이싱(2)을 도시한다. 펌프 케이싱(2) 혈류 입구(21) 및 혈류 출구(22)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혈류 입구(21)는, 부드러운 조직이 혈류 입구(21)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릴과 같은, 보호 구조물(24)에 의해 걸쳐진 축방향 개구이다. 부드러운 조직이 펌프 케이싱(2)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어떤 다른 적절한 수단이 선택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혈류 출구(22)는 흐름 방향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혈류 입구(21)로부터 이격된 방사상 개구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혈액 펌프(1)는 혼합형 혈액 펌프로 간주될 수 있으며, 여기서 혈류는 축방향 및 방사상 성분을 갖는다. 그러나, 혈액 펌프는 축방향 또는 원심 혈액 펌프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출 캐뉼러(4)는 펌프 케이싱(2)에 접속됨으로써 혈류 출구(22)가 혈류 캐뉼러(4) 내에 배치되어 혈액이 혈류 캐뉼러(4)를 관통하여 흐르게 할 수 있다. 임펠러(3)는 폄프 케이싱(2)내에 배치되고 혈액을 혈류 입구(21)로부터 혈류 출구(22)로 이동시키는 블레이드(31)를 갖는다. 임펠러(3)의 회전은 전기 모터와 같은 구동 장치(23)에 의해 야기된다. 구동 장치는 혈액 펌프의 외부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회전은 외부 구동 장치로부터 임펠러로 카테터(5) 내에 위치한 신축성 구동 케이블(미도시)을 통해서 전달된다. 도 3은 혈액 펌프(1)의 사시도로서, 특히 혈류를 위한 개구(44) 및 카테터(5)의 수용을 위한 개구(45)를 갖는 유출 캐뉼러(4)의 하류 단부(43)를 도시한다. 개구(44)는 모두 중간부(42)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형성한다. 따라서, 혈액 펌프(1)의 동작 중에, 혈류 캐뉼러(4)에서 압력이 증가하여 혈류 캐뉼러(4)가 펼쳐지거나 또는 확장 또는 팽창하기도 한다. 비교적 큰 유출 캐뉼러(4)의 직경으로 인해서, 유출 캐뉼러(4)는 환자의 혈관의 내벽에 접촉하도록 야기됨으로써,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혈관을 밀폐시키고 폐색시킨다. 본 실시에에서는, 네개의 개구(44)가 도시되어 있다. 충분한 압박 울혈(pressure stasis)이 야기되어 유출 캐뉼러(4)를 펼치거나 확장시키고 혈액 펌프(1)가 배치되는 혈관의 내벽에 압착시키는 한 단지 단일 개구, 둘 또는 세개, 또는 네개 이상의개구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유출 캐뉼러(4)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는 예를 들어 약 20mmHg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이 압력차는 15mmHg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유출 캐뉼러(4)의 밸브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말하자면, 유출 캐뉼러(4)와 환자의 혈관 사이의 밀봉 접촉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패드(47)는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패드(47)는 유출 캐뉼러(4)의 중간부(42)의 원주 주위에 배치된다. 이것은 부드러운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공동으로서 유체로 채워질 수 있다. 패드(47)는 유출 캐뉼러(4)가 유출 캐뉼러(4)내의 혈압에 무관하게 환자의 혈관의 형상에 더 잘 적응되게 한다. 도 4a 및 도 4b는 패드(47)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것은 중간부(42) 전체에 걸쳐서 또는 그 일부에 걸쳐서만, 특히 길이 방향에 대해서만 연장될 수 있다. 유사 실시예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며, 이는 패드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와 같다. 패드(47)는 테이퍼지거나 패드(47')의 직경이 흐름 방향으로 증가하는 쐐기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은 혈액 펌프(1)가 배치되는 혈관의 폐색을 개선시킬 수 있다.
혈액 펌프(1)의 응용예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다. 혈액 펌프(1)는 환자의 신장(105)으로부터 신정맥(104)을 통해서 하대 정맥(103)으로 혈액을 펌프하는 신장 펌프로서 사용된다. 도 6a는 또한 환자의 심장(100), 대동맥(101) 및 상대 정맥(102)을 도시한다. 특히 도 6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혈액 펌프(1)는 신정맥(104)을 완전히 폐색시키거나 차단한다. 신정맥의 전형적인 직경은 약 1cm 이다. 따라서, 유출 캐뉼러(4)의 중간부(42)의 적절한 직경은 약 1.1 또는 1.5cm가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 펌프(1)는 신장(105)으로의 혈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하대 정맥(103)을 향하여 혈액을 효율적으로 펌프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는 환자가 좌 또는 우심실의 기능 부전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대정맥내의 혈압을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신장으로부터 먼곳의 혈류가 빈약하여 신부전을 가져올 수 있다. 혈액 펌프(1)는 이러한 혈류를 지원한다. 혈액 펌프(1)에 의해 야기되는 혈류는 예를 들면 분당 약 0.5와 2 리터 사이가 될 수 있다. 혈액 펌프의 다른 응용이, 예를 들면, 폐동맥에서 가능함으로 인식할 것이다.
다른 응용예에서는, 예를 들면, 혈액 펌프가 신정맥(106) 또는 폐동맥(107)에 배치되면, 역류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즉, 역류 구성에서 혈액 펌프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반대 방향으로 혈액을 펌프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혈액이 카테터를 향하여 펌프되는 반면에, 다른 응용예에서는 인체 내에서의 한정된 엑세스 가능성으로 인해 카테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혈액을 펌프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혈액 펌프가 환자의 관상 동맥에 배치되게 되면, 역류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도 1a와 유사하지만 도 1a의 혈액 펌프와 비교하여 혈류 방향이 반대인 실시예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다. 혈액 펌프(201)는 펌프 케이싱(202) 및 펌프 케이싱(202)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유출 캐뉼러(204)를 포함한다. 임펠러(203)는 펌프 케이싱(202)에 배치되어 임펠러(203)에 자기 결합된 전기 모터와 같은 구동 장치(223)에 의해 구동된다. 펌프 케이싱(202)은 카테터(205)에 접속된다. 임펠러(203)는 혈액을 혈류 입구(221)로부터 혈류 출구(222)로 그리고 유출 캐뉼러(204)로 전달한다. 혈류 입구(221)는 유출 캐뉼러(204)에 밀착되어 직경이 더 큰 유출 캐뉼러(204)가 혈관의 조직을 혈류 입구(221)로부터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출 캐뉼러(204)는 상류 단부(241), 중간부(242) 및 하류 단부(243)를 포함한다. 하류 단부(243)는 개구(244)를 가지며 이를 통해서 혈액은 전술한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유출 캐뉼러(204)를 빠져나갈 수 있다. 카테터(205)가 유출 캐뉼러(204)를 통해서 연장되지 않으므로, 카테터 연장기(250)가 제공되며 이는 유출 캐뉼러(204)를 통해서 하류 단부(243)내의 개구(245)로부터 연장되어 환자의 혈관으로 삽입하는 동안에 혈액 펌프(201)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J-팁 또는 피그테일과 같은 비외상성 팁(251)이 카테터 연장기(250)의 단부에 배치된다. 팁(251)은 혈액 펌프(201)을 삽입하는 동안에 환자의 혈관 손상을 방지한다.
도 8a 내지 도 13b는 혈액 펌프(30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혈액 펌프(301)의 구조는 전술한 것들과 유사, 특히 혈류의 방향에 대해서는 도 7a 및 도 7b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혈액 펌프(301)는 환자의 관상 동맥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도 13a, 도 13b 참조). 따라서, 그 직경은 예를 들어, 신정맥과 비교하여 더 작으며, 예를 들면, 약 2mm 이다. 혈액 펌프(301)는 카테터(305)에 접속되는 펌프 케이싱(302)을 포함한다. 회전가능한 임펠러(303)는 펌프 케이싱(302) 내에 배치되며, 유출 캐뉼러(304)는 펌프 케이싱(302)에 접속된다. 혈액 펌프(301)의 직경이 작으므로 인해, 구동 장치(미도시)는 혈액 펌프(301)의 외부에 배치된다. 구동 장치의 회전은 신축성 구동축(미도시)을 경유해서 카테터(305)를 통해서 임펠러(303)로 전달된다. 대안으로, 직경이 3과 5mm 사이인 펌프의 경우, 직접 구동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모터는 펌프의 바로 뒤에 위치한다. 이 경우에는 신축성 구동축이 요구되지 않을 것이다. 임펠러(303)의 회전시에, 도 13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은 펌프 케이싱(302)을 통해서 혈액 펌프(301)로 유입되며, 유출 캐뉼러(304)로 유입되어 유출 캐뉼러(304)의 하류 단부(343)의 개구(344)를 통해서 혈액 펌프(301)로부터 나간다.
유출 캐뉼러(304)는 상류 단부(341), 하류 단부(343) 및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부(342)을 갖는다. 상류 및 하류 단부(341 및 343)는 테이퍼지어 혈액 펌프(301)가 관상 동맥과 같은 환자의 혈관으로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캐뉼러(304)는 삽입하는 동안에 접힐 것이다. 하류 단부(341)의 테이퍼는 펌프가 작은 혈관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펌프 케이싱(302)은 원통형일 수 있다. 그러나, 혈액 펌프(301)의 기능을 성취하는 한 다른 적절한 설계 및 형상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카테터(305)는 유출 캐뉼러(304)를 통해서 연장되지 않지만 그 입구 단부에서 혈액 펌프(301)에 접속된다. 따라서, 카테터 연장기(350)가 펌프 케이싱(302)에 접속되며 이는 유출 캐뉼러(304)를 통해서 연장되어 하류 단부(343)에서 개구(345)를 통해서 유출 캐뉼러(304)를 빠져나와서 혈액 펌프(301)를 삽입하는 동안에 카테터(305)에 의해 환자의 혈관을 통해서 혈액 펌프(301)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카테터 연장기(350)에는 혈관의 천공과 같은, 환자의 혈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J-팁 또는 피그테일과 같은, 비외상성 팁(351)이 제공된다.
펌프 케이싱(302)이 도 9 및 도 10에 더 상세히 도시된다. 도 9는 펌프 케이싱(302)의 혈류 입구(321)의 사시도이며, 반면에 도 10은 펌프 케이싱(302)의 혈류 출구(322)의 사시도이다. 조직이 펌프 케이싱(302)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릴(324)과 같은 보호 구조물이 혈류 입구(321)에 걸쳐서 배치된다. 그릴(324)은 곡선 형상을 가질수 있다. 그러나, 조직이 혈액 펌프(301)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어떤 다른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릴(326)과 같은 보호 구조물이 혈류 출구(322)에 제공되어 유출 캐뉼러(304) 또는 조직을 회전하는 임펠러(303)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입구(321) 및 출구(322)에 스트럿(325 및 327)이 각각 제공되어, 그릴(324 및 326)를 각각 지지한다.
임펠러(303)가 도 11에 더 상세히 도시된다. 임펠러(30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테터(305)를 통해서 연장되는 구동축에 결합된다. 블레이드(331)는 임펠러 축(332)상에 배치되어 임펠러 축(332)의 회전시에 펌프 케이싱의 혈류 입구(321)로부터 혈류 출구(322)로 혈액을 전달한다. 혈류의 교란을 줄이고 펌프 케이싱(302)의 중심에 임펠러(303) 및 카테터(305)를 연결 및 위치시키기 위해 고정자 블레이드(333)가 임펠러(303)의 상류 단부에 제공된다. 고정자 블레이드(333)는 펌프 케이싱(302)의 내경에 압착 고정, 용접, 또는 접착된다. 고정자 블레이드(333)의 중심부는 임펠러 축(332)과 연결되는 베어링으로서 사용된다.
혈액 펌프(301)는 펌핑 장치로서뿐 아니라 약물 용출 장치로도 기능한다. 소염제, 항생제, 항응혈제, 또는 성장 억제제와 같은 의약의 적용은 관상 동맥 응용에서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약물 용출 패드(347)와 같은 약물 용출 장치가 유출 캐뉼러(304)에 배치된다. 유출 캐뉼러(304)는 직경이 충분히 커서 약물 용출 패드(347)가 혈관의 내벽에 근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약물 용출 패드(347)는 혈관벽에 접촉하거나 또는 압착된다. 특히,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유출 캐뉼러(304)를 확장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출 캐뉼러(304)는 펌프 케이싱(302)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유출 캐뉼러(304)는 펌프 케이싱(302)보다 더 큰 외경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약물 용출 패드(347)는 약물을 목표 영역에 전달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약물 용출 패드(347)는 관형 또는 링 형상이 될 수 있거나, 또는 별개의 이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347)는 연속 또는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공동으로서 약물을 포함하는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패드(347)의 벽은 개구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침투성으로서 소정량의 약물이 약물 용출 장치의 벽에 침투하도록 할 수 있다. 약물 용출 패드(347)가 유출 캐뉼러(304) 상에 배치되므로 내부 혈관벽과 같은 목표 영역과 직접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용출 장치(347')는 약물을 저장소(348)로 주입하거나 또는 약물을 그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관형 엑세스(360)와 같은 엑세스 루멘에 접속된다. 저장소(348)는 혈관의 벽을 마주보는 표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혈액 펌프(301)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환자의 관상 동맥(108)에서 적용하도록 설계된다. 혈액 펌프는 대동맥(101)을 통해서 환자의 심장(100)을 향하여 그리고 협착으로 인해 막혔을 수 있는 관상 동맥(108) 중 하나로 삽입된다. 약물은 약물 용출 패드(347)에 의해서 관상 동맥(108)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혈액 펌프(301)가 관상 동맥(108)을 통해서 혈액이 흐르도록 하기 때문에 관상 동맥(108)은 공지된 풍선 장치에 의해서 차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혈액 펌프(301)는 소망량의 의약을 전달하기에 충분히 긴 시간 동안 관상 동맥(108)에 유지될 수 있다.

Claims (17)

  1. 혈액 펌프(1; 201; 301)로서,
    혈류 입구(21; 221; 321) 및 혈류 출구(22; 222; 322)를 갖는 펌프 케이싱(2; 202; 302);
    상기 혈류 입구(21; 221; 321)로부터 상기 혈류 출구(22; 222; 322)로 혈액을 전달하기 위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펌프 케이싱(2; 202; 302) 내에 배치된 임펠러(3; 203; 303); 및
    상류 단부(41; 241; 341), 하류 단부(43; 243; 343), 상기 상류 단부(41; 241; 341) 및 상기 하류 단부(43; 243; 343)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부(42; 242; 343)를 갖는 유출 캐뉼러(4; 204; 304) - 상기 유출 캐뉼러(4; 204; 304)의 상류 단부(41; 241; 341)는 상기 펌프 케이싱(2; 202; 302)에 접속되어 상기 펌프 케이싱(2; 202; 302)의 혈류 출구(22; 222; 322)로부터 상기 유출 캐뉼러(4; 204; 304)의 중간부(42; 242; 343)를 통해서 상기 유출 캐뉼러(4; 204; 304)의 하류 단부(43; 243; 343)를 향하여 혈액이 전달되며, 상기 하류 단부(43; 243; 343)는 혈액이 상기 유출 캐뉼러(4; 204; 304)를 빠져나갈 수 있고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42; 242; 342)의 최외각 원주에 대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상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혈류 출구(44; 244; 344)를 가지며, 상기 유출 캐뉼러(4; 204; 304)의 중간부(42; 242; 34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펌프 케이싱(2; 202; 302)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짐 - 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유출 캐뉼라의 중간부(42; 242; 342)는 환자의 혈관(104; 108)의 내벽과 접촉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혈액 펌프(1; 201; 301)이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혈관(104; 108)을 폐색시키기 위해 상기 혈액 펌프(1; 201; 301)이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혈액 펌프(1; 201; 301)가 배치되는
    혈액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류 출구(44; 244; 344)는 상기 하류 단부(43, 243; 343)에 배치되어, 상기 혈액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상기 유출 캐뉼라(4; 204; 304)를 빠져나갈 수 있는 혈액 펌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캐뉼러의 하류 단부(43; 243; 343)의 혈류 출구(44; 244; 344)의 단면적은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42; 242; 342)의 최대 단면적보다 더 작고, 상기 유출 캐뉼러의 하류 단부(43; 243; 343)의 혈류 출구(44; 244; 344)의 단면적은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42; 242; 342)의 단면적의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이며, 및/또는
    상기 유출 캐뉼러의 하류 단부(43, 243, 343)의 혈류 출구(44; 244; 344)는 적어도 두개의 개구, 바람직하게는 세개의 개구, 더 바람직하게는 네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혈액 펌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42, 242; 342)의 직경은 상기 펌프 케이싱(2; 202; 302)의 직경의 적어도 1.5배, 바람직하게는 두배, 더 바람직하게는 세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네배인 혈류 펌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42; 242)의 최대 직경은 약 5mm 내지 2cm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5cm 사이이며, 또는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342)의 최대 직경은 약 0.5와 5mm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약 2mm인 혈액 펌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42; 242)의 길이방향 길이는 5㎝ 미만, 바람직하게는 3㎝ 미만이며, 또는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342)의 길이방향 길이는 약 1 내지 3㎜ 사이인 혈액 펌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캐뉼라(4; 204; 304)는 상기 펌프 케이싱(2; 202; 302)의 물질보다 더 부드러운/연질인 물질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출 캐뉼라(4; 204; 304)의 물질은 탄성적인 혈액 펌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캐뉼러의 상류 단부(41; 241; 341) 및 상기 유출 캐뉼러의 하류 단부(43; 243; 343) 중 적어도 하나는 테이퍼진 혈액 펌프.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캐뉼라의 상류 단부(41; 241; 341)의 최소 내경은 상기 펌프 케이싱(2; 202; 302)의 외경에 상당하고 상기 유출 캐뉼러(4; 204; 304)는 상기 펌프 케이싱(2; 202; 302)에 기밀 접속되는 혈액 펌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42)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되는 지지 구조물(47; 47')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구조물(47; 47')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및 실질적으로 원뿔형 패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지지 구조물(47; 47')는 바람직하게는 약재를 포함하는 혈액 펌프.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물 용출 장치(347)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용출 장치(347)는 환자내에서의 목표 영역에 약재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물 용출 장치(347)는 상기 유출 캐뉼러(304)의 중간부(34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물 용출 장치(347)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및 실질적으로 원뿔형 패드 중 적어도 하나인 혈액 펌프.
  12.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용출 장치(347')는 저장소(348)로 또는 그로부터 약재의 주입 및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액세스 루멘(360)에 접속되는 상기 저장소(348)를 포함하는 혈액 펌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펌프(1; 301)는 상기 유출 캐뉼러(4)를 통해서 상기 펌프 케이싱(2; 302)으로부터 연장되는 카테터(5; 305)에 접속되거나, 또는 상기 유출 캐뉼라(20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혈액 펌프(201)는 상기 펌프 케이싱(202)으로부터 연장되는 카테터(205)에 접속되는 혈액 펌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펌프(1; 201; 301)는 축방향 혈액 펌프, 원심 혈액 펌프 또는 혼합형 혈액 펌프이고, 및/또는 상기 혈액 펌프는 환자의 신정맥(104)에 배치되어 환자의 신장(105)으로부터 환자의 하대 정맥(103)을 향하여 혈액을 펌핑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환자의 관상 동맥(108)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혈액 펌프.
  15. 혈액 펌프를 사용하여 환자의 혈관 내에서 혈류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혈액 펌프(1; 201; 301)는,
    혈류 입구(21; 221; 321) 및 혈류 출구(22; 222; 322)를 갖는 펌프 케이싱(2; 202; 302), 상기 혈류 입구(21; 221; 321)로부터 상기 혈류 출구(22; 222; 322)로 혈액을 전달하기 위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펌프 케이싱(2; 202; 302) 내에 배치된 임펠러(3; 203; 303), 및 상류 단부(41; 241; 341), 하류 단부(43; 243; 343), 상기 상류 단부(41; 241; 341) 및 상기 하류 단부(43; 243; 343)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부(42; 242; 343)을 갖는 유출 캐뉼러(4; 204; 304) - 상기 유출 캐뉼러(4; 204; 304)의 상류 단부(41; 241; 341)는 상기 펌프 케이싱(2; 202; 302)에 접속되어 상기 펌프 케이싱(2; 202; 302)의 혈류 출구(22; 222; 322)로부터 상기 유출 캐뉼러(4; 204; 304)의 중간부(42; 242; 343)를 통해서 상기 유출 캐뉼러(4; 204; 304)의 하류 단부(43; 243; 343)를 향하여 혈액이 전달되며, 상기 하류 단부(43; 243; 343)는 혈액이 상기 유출 캐뉼러(4; 204; 304)를 빠져나갈 수 있고 상기 유출 캐뉼러의 중간부(42; 242; 342)의 최외각 원주에 대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상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혈류 출구(44; 244; 344)를 가지며, 상기 유출 캐뉼러(4; 204; 304)의 중간부(42; 242; 34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펌프 케이싱(2; 202; 302)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짐 - 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환자의 혈관에 배치될 때, 적어도 상기 유출 캐뉼라의 중간부(42, 242, 342)가 상기 환자의 혈관(104; 108)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상기 혈액 펌프(1; 201; 301)를 동작시키는 단계 - 상기 혈액 펌프(1; 201; 301)가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용기(104; 108)를 폐색하도록 상기 혈액 펌프(1; 201; 301)가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혈액 펌프(1; 201; 301)가 배치됨 -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펌프는 환자의 신정맥(104)에 배치되어 혈액을 환자의 신장(105)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하대 정맥(103)을 향하여 펌핑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펌프는 환자의 관상 동맥(108)에 배치되는 방법.
KR1020187000482A 2015-06-23 2016-06-23 혈액 펌프 KR10260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40421A KR20230165872A (ko) 2015-06-23 2016-06-23 혈액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3290.6 2015-06-23
EP15173290.6A EP3108909B1 (en) 2015-06-23 2015-06-23 Blood pump
PCT/EP2016/064562 WO2016207293A1 (en) 2015-06-23 2016-06-23 Blood pump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421A Division KR20230165872A (ko) 2015-06-23 2016-06-23 혈액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062A true KR20180021062A (ko) 2018-02-28
KR102607233B1 KR102607233B1 (ko) 2023-11-28

Family

ID=534767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482A KR102607233B1 (ko) 2015-06-23 2016-06-23 혈액 펌프
KR1020237040421A KR20230165872A (ko) 2015-06-23 2016-06-23 혈액 펌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421A KR20230165872A (ko) 2015-06-23 2016-06-23 혈액 펌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799626B2 (ko)
EP (3) EP3108909B1 (ko)
JP (3) JP6833734B2 (ko)
KR (2) KR102607233B1 (ko)
CN (2) CN111632213A (ko)
WO (1) WO2016207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0579B (zh) 2012-06-06 2018-06-01 洋红医疗有限公司 人工肾脏瓣膜
CN109821085B (zh) 2013-03-13 2021-08-31 马真塔医药有限公司 血液泵浦
US10583231B2 (en) 2013-03-13 2020-03-10 Magenta Medical Ltd. Blood pump
WO2016185473A1 (en) 2015-05-18 2016-11-24 Magenta Medical Ltd. Blood pump
EP3108909B1 (en) 2015-06-23 2018-09-26 Abiomed Europe GmbH Blood pump
WO2018061002A1 (en) 2016-09-29 2018-04-05 Magenta Medical Ltd. Blood vessel tube
CA3039285A1 (en) 2016-10-25 2018-05-03 Magenta Medical Ltd. Ventricular assist device
US11033727B2 (en) 2016-11-23 2021-06-15 Magenta Medical Ltd. Blood pumps
EP3398626B1 (en) * 2017-05-04 2021-02-24 Abiomed Europe GmbH Intravascular blood pump with balloon
JP7414529B2 (ja) 2017-06-07 2024-01-16 シファメド・ホールディングス・エルエルシー 血管内流体移動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使用方法
WO2019094963A1 (en) 2017-11-13 2019-05-16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fluid mov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15040777A (zh) 2018-01-10 2022-09-13 马真塔医药有限公司 心室辅助装置
US10905808B2 (en) 2018-01-10 2021-02-02 Magenta Medical Ltd. Drive cable for use with a blood pump
DE102018201030A1 (de) 2018-01-24 2019-07-25 Kardion Gmbh Magnetkuppelelement mit magnetischer Lagerungsfunktion
US10722631B2 (en) 2018-02-01 2020-07-28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ES2938689T3 (es) * 2018-03-23 2023-04-13 Abiomed Europe Gmbh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una bomba de sangre
US10893927B2 (en) 2018-03-29 2021-01-19 Magenta Medical Ltd. Inferior vena cava blood-flow implant
DE102018211327A1 (de) 2018-07-10 2020-01-16 Kardion Gmbh Laufrad für ein implantierbares, vaskuläres Unterstützungssystem
US11484698B2 (en) 2019-07-09 2022-11-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irculatory support device
EP3897769A1 (en) * 2018-12-19 2021-10-2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irculatory support device
WO2020152611A2 (en) 2019-01-24 2020-07-30 Magenta Medical Ltd Ventricular assist device
US20220218976A1 (en) * 2019-05-23 2022-07-14 Magenta Medical Ltd Blood pumps
WO2021011473A1 (en) 2019-07-12 2021-01-21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11654275B2 (en) 2019-07-22 2023-05-23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s with strut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11724089B2 (en) 2019-09-25 2023-08-15 Shifamed Holdings, Llc Intravascular blood pump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control thereof
DE102020102474A1 (de) 2020-01-31 2021-08-05 Kardion Gmbh Pumpe zum Fördern eines Fluid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Pumpe
CN114225214A (zh) * 2022-01-11 2022-03-25 丰凯利医疗器械(上海)有限公司 导管泵壳体结构以及导管泵装置
CN114259645A (zh) * 2022-01-11 2022-04-01 丰凯利医疗器械(上海)有限公司 泵血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9145A1 (en) * 2001-03-23 2003-01-09 Struijker-Boudier Harry A.J. Delivery of drugs from sustained release devices implanted in myocardial tissue or in the pericardial space
US20040044266A1 (en) * 2000-12-01 2004-03-04 Thorsten Siess Intravascular pump
US20090093796A1 (en) * 2007-10-08 2009-04-09 Ais Gmbh Aachen Innovative Solutions Catheter device
US20140012065A1 (en) * 2012-07-03 2014-01-09 Thoratec Corporation Catheter pump
WO2014141284A2 (en) * 2013-03-13 2014-09-18 Magenta Medical Ltd. Renal pump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3910A (en) 1990-04-10 1992-11-17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tracatheter perfusion pump apparatus and method
US5092844A (en) * 1990-04-10 1992-03-03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tracatheter perfusion pump apparatus and method
US5911685A (en) * 1996-04-03 1999-06-15 Guida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diac blood flow assistance
DE19613565C1 (de) 1996-04-04 1997-07-24 Guenter Prof Dr Rau Intravasale Blutpumpe
US5964694A (en) * 1997-04-02 1999-10-12 Guida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diac blood flow assistance
CA2292432A1 (en) * 1997-05-30 1998-12-03 Rosaire Mongrain Ventricular assist device comprising an enclosed-impeller axial flow blood pump
US6390969B1 (en) * 1997-10-09 2002-05-21 Orqis Medical Corporation Implantable heart assist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same
DE29804046U1 (de) 1998-03-07 1998-04-30 Schmitz Rode Thomas Dipl Ing D Perkutan implantierbare selbstentfaltbare Axialpumpe zur temporären Herzunterstützung
US5967744A (en) * 1998-04-08 1999-10-19 Danner; Michael Centrifugal pump having anti-clogging backflow prevention gate
DE19821307C1 (de) * 1998-05-13 1999-10-21 Impella Cardiotech Gmbh Intrakardiale Blutpumpe
DE19904975A1 (de) * 1999-02-06 2000-09-14 Impella Cardiotech Ag Vorrichtung zur intravasalen Herzklappenoperation
US6210318B1 (en) * 1999-03-09 2001-04-03 Abiomed, Inc. Stented balloon pump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DE29921352U1 (de) * 1999-12-04 2001-04-12 Impella Cardiotech Ag Intravasale Blutpumpe
US6981942B2 (en) * 2001-11-19 2006-01-03 University Of Medicine And Dentristy Of New Jersey Temporary blood circulation assist device
IL156452A0 (en) * 2003-06-16 2004-01-04 Technion Res & Dev Foundation Peri-arterial blood flow booster
US8012079B2 (en) * 2004-08-13 2011-09-06 Procyr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ng-term assisting a left ventricle to pump blood
DE102004054714A1 (de) * 2004-11-12 2006-05-24 Impella Cardiosystems Gmbh Faltbare intravasal einführbare Blutpumpe
AT503787B1 (de) * 2006-11-30 2008-01-15 Mohl Werner Ddr Verfahren zur intermittierenden okklusion einer das organsystem drainierenden vene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S9162017B2 (en) * 2011-08-29 2015-10-20 Minnetronix, Inc. Expandable vascular pump
US8849398B2 (en) * 2011-08-29 2014-09-30 Minnetronix, Inc. Expandable blood pump for cardiac support
EP2662099B1 (en) * 2012-05-09 2014-09-10 Abiomed Europe GmbH Intravascular blood pump
DE112014001418T5 (de) * 2013-03-15 2015-12-17 Minnetronix, Inc. Expandierbare Blutpumpe zur Herzunterstützung
EP3108909B1 (en) 2015-06-23 2018-09-26 Abiomed Europe GmbH Blood pump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4266A1 (en) * 2000-12-01 2004-03-04 Thorsten Siess Intravascular pump
US20030009145A1 (en) * 2001-03-23 2003-01-09 Struijker-Boudier Harry A.J. Delivery of drugs from sustained release devices implanted in myocardial tissue or in the pericardial space
US20090093796A1 (en) * 2007-10-08 2009-04-09 Ais Gmbh Aachen Innovative Solutions Catheter device
US20140012065A1 (en) * 2012-07-03 2014-01-09 Thoratec Corporation Catheter pump
WO2014141284A2 (en) * 2013-03-13 2014-09-18 Magenta Medical Ltd. Renal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72961A (ja) 2021-05-13
CN107771089A (zh) 2018-03-06
CN107771089B (zh) 2020-05-12
JP2023101793A (ja) 2023-07-21
US11724092B2 (en) 2023-08-15
US10799626B2 (en) 2020-10-13
KR102607233B1 (ko) 2023-11-28
CN111632213A (zh) 2020-09-08
JP6833734B2 (ja) 2021-02-24
US20190201603A1 (en) 2019-07-04
EP3424545A1 (en) 2019-01-09
WO2016207293A1 (en) 2016-12-29
JP2018525064A (ja) 2018-09-06
EP3108909A1 (en) 2016-12-28
EP4364787A2 (en) 2024-05-08
US20200405933A1 (en) 2020-12-31
US20240024656A1 (en) 2024-01-25
EP3424545B1 (en) 2024-04-03
KR20230165872A (ko) 2023-12-05
EP3108909B1 (en) 201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24656A1 (en) Blood pump
US10092732B2 (en) Recovery catheter assembly
ES2901005T3 (es) Dispositivo de catéter
US20200397963A1 (en) Intravascular catheters
JP6840744B2 (ja) ポンプ、特に血液ポンプ
US1179399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edema
US9814823B1 (en) Recovery catheter assembly and method
JP2011505902A (ja) 医療装置
JP2012527269A (ja) カテーテルポンプ
JP2022523205A (ja) 浮腫を治療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