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358A -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 Google Patents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358A
KR20180019358A KR1020160103602A KR20160103602A KR20180019358A KR 20180019358 A KR20180019358 A KR 20180019358A KR 1020160103602 A KR1020160103602 A KR 1020160103602A KR 20160103602 A KR20160103602 A KR 20160103602A KR 20180019358 A KR20180019358 A KR 20180019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ackaging bag
unit
bag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숙
Original Assignee
박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숙 filed Critical 박정숙
Priority to KR102016010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9358A/ko
Publication of KR2018001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써, 포장봉투의 일부가 안착되는 공간인 안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장봉투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제거되도록 상기 안착공간에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부; 상기 케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포장봉투가 밀봉되도록 상기 포장봉투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가열부; 상기 흡입부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포장봉투의 양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봉투가 케이스부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포장봉투 내의 공기의 흡입이 실시되는 동안 포장봉투의 구겨짐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포장봉투 내의 공기의 흡입이 효과적으로 실시됨으로써, 포장봉투의 진공 및 밀봉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VACUUM PACKING APPARATUS WITH FUNCTION OF PREVENTING FAILURE OF PACKING AND PREVENTING FAILURE OF VACUUM AND PREVENTING SEPARATION OF PACKING CASE}
본 발명은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봉투 내의 공기의 흡입을 실시하는 경우 포장봉투를 고정하여 포장봉투 내의 공기를 흡입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기란, 비닐 등으로 마련되는 포장봉투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포장을 실시하는 장치로써, 이러한 진공포장기를 이용하는 경우, 포장봉투 내부에 수용되는 식료품에 산소가 접촉되는 것이 차단되어 식료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포장기는 일반적으로 식료품을 대량으로 취급하는 기업에서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소형의 진공포장기가 개발되어 가정에서도 이러한 진공포장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9463호는 가정용 진공포장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9463호에 따르면,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식품에 산소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 즉, 식품을 진공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식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9463호의 가정용 진공포장장치는, 포장봉투를 고정하는 수단이 부재하기 때문에, 포장봉투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의 흡입이 실시되는 동안, 포장봉투가 본체에서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9463호의 가정용 진공포장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봉투를 고정하는 수단이 부재하기 때문에, 포장봉투가 구겨지거나 접힌채로 본체에 안착된 후 포장봉투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의 흡입이 실시되는 경우, 공기의 흡입이 원활하게 실시되지 않아, 포장봉투의 밀봉이 제대로 실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포장봉투 내의 공기의 흡입을 실시하는 경우 포장봉투를 고정하여 포장봉투 내의 공기를 흡입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포장봉투의 일부가 안착되는 공간인 안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장봉투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제거되도록 상기 안착공간에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부; 상기 케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포장봉투가 밀봉되도록 상기 포장봉투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가열부; 상기 흡입부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포장봉투의 양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상부와, 상기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흡입부와 상기 가열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고정부가 설치되는 하부와, 상기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공간의 상측 가장자리면을 형성하는 제1가스켓과, 상기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공간의 하측 가장자리면을 형성하는 제2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는, 상기 제1가스켓과 상기 가열부 사이에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는, 상기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저면에 상기 안착공간과 상기 흡입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부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포장봉투의 폭에 대응되도록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봉투가 케이스부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포장봉투 내의 공기의 흡입이 실시되는 동안 포장봉투의 구겨짐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포장봉투 내의 공기의 흡입이 효과적으로 실시됨으로써, 포장봉투의 진공 및 밀봉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봉투 내의 공기의 흡입이 실시되는 동안 포장봉투가 케이스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의 상부를 개폐한 것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의 상부를 개폐한 것을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의 제어부와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에 포장봉투를 고정한 것을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에 외부장치를 연결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포장봉투를 밀봉하는 제1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포장봉투를 밀봉하는 제2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의 상부를 개폐한 것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의 상부를 개폐한 것을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의 상부를 개폐한 것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의 상부를 개폐한 것을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의 제어부와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에 포장봉투를 고정한 것을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에 외부장치를 연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100)는 케이스부(110)와 흡입부(120)와 가열부(130)와 제어부(140)와 고정부(15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10)는 포장봉투(p)의 일부가 안착되는 공간인 안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것으로써, 상부(111)와 하부(112)와 제1가스켓(113)과 제2가스켓(1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공간이란, 후술하는 상부(111)의 저면과 제1가스켓(113)의 측면과 하부(112)의 상면과 제2가스켓(114)의 측면으로 마감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안착공간 내에는 흡입부(120)와 연통되는 연통부(112a)가 배치된다. 따라서, 포장봉투(p)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흡입부(120)의 흡입력이 상술한 안착공간에 작용될 수 있다.
상부(111)는 후술하는 하부(1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1가스켓(113)이 저면의 중심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111)는 사용자에 의해 회동됨으로써, 상부(111)의 저면이 하부(112)의 상면에 접촉하거나 하부(112)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111)의 동작에 의해서, 상술한 안착공간이 개방되거나 마감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111)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흡입부(120) 및 가열부(130)를 동작시키는 제어버튼이 형성되며, 흡입부(120)의 흡입력이 외부장치로 제공될 수 있도록 외부장치와 흡입부(120)를 연통시키는 연결포트가 형성된다.
상술한 연결포트에 외부장치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외부장치의 타단부를 포장봉투(p)에 연결한 다음, 흡입부(120)를 동작시키면, 안착공간에 포장봉투(p)를 배치시키지 않고도 포장봉투(p) 내의 공기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하부(112)는 상술한 상부(111)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흡입부(120)와 가열부(130)와 제어부(140)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면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고정부(150)가 설치되며, 상면의 중심부분에는 제2가스켓(114)이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112)의 제1가스켓(113)이 설치되는 부분과 가열부(130)가 설치되는 부분 사이의 면에는 가이드홈(g)이 형성될 수 있다. 포장봉투(p) 내의 공기를 제거하고, 포장봉투(p)의 입구의 밀봉이 완료된 후에, 상부(111)를 다시 회동시켜 포장봉투(p)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술한 가이드홈(g)이 위치한 부분에 커터를 삽입한 후 커터를 가이드홈(g)을 따라 이동시키면, 포장봉투(p)의 입구 부분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g)에 의하면, 포장봉투(p)의 입구 부분의 절단 시에 커터의 이동경로가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하부(112)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요철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요철 부분 중 요부분의 상면에는 구멍(v2)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멍(v2)에는 후술하는 고정부(150)가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112)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의 구조에 따르면, 고정부(150)의 설치위치를 변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술한 하부(112)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의 구조에 따르면, 고정부(150)의 설치위치가 포장봉투(p)의 폭에 대응되도록 변동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폭의 포장봉투(p)가 하부(112)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부(112)의 상면 중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면에는 연통부(112a)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연통부(112a)는 후술하는 흡입부(120)와 안착공간을 연통시키는 것으로써, 복수개로 형성되어 안착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부(112a)는 복수개의 관통홀(v1)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흡입부(120)의 흡입력이 안착공간에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부(112a)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v1)은 제어부(14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부(112a) 및 제어부(140)에 의해서, 관통홀(v1)의 개수가 조절되기 때문에, 포장봉투(p) 내부의 부피에 대응되도록 흡입력을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여, 이에 의해서, 공기의 흡입효율 향상 및 전력 절감의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제1가스켓(113)은 안착공간의 상측 가장자리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상부(111)의 저면 중심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가스켓(113)은 상부(111)가 회동함에 따라 상부(111)의 저면과 하부(112)의 상면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제2가스켓(114)과 접촉된다. 이러한 제1가스켓(113)과 제2가스켓(114)의 접촉에 의해서, 안착공간이 형성된다.
제2가스켓(114)은 안착공간의 하측 가장자리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하부(112)의 상면 중심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가스켓(114)은 상부(111)가 회동함에 따라 상부(111)의 저면과 하부(112)의 상면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제1가스켓(113)과 접촉된다. 이러한 제2가스켓(114)과 제1가스켓(113)의 접촉에 의해서, 안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스켓(113)과 제2가스켓(114)은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제1가스켓(113)과 제2가스켓(114)에 의하면, 제1가스켓(113)이 후술하는 제2가스켓(114)과 접촉하는 경우, 접촉면의 기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안착공간의 기밀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흡입부(120)에서의 공기 흡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흡입부(120)는 포장봉투(p)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제거되도록 안착공간에 흡입력을 인가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하부(112)의 내부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다.
이러한 흡입부(120)는 후술하는 연통부(112a)에 의해서, 안착공간에 연통된다. 이에 의해서, 흡입부(120)의 흡입력이 안착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흡입부(120)는 상술한 연결포트에 연통된다. 이러한 연결포트에 외부장치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외부장치의 타단부를 포장봉투(p)에 연결한 다음, 흡입부(120)를 동작시키면, 안착공간에 포장봉투(p)를 배치시키지 않고도 포장봉투(p) 내의 공기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가열부(130)는 포장봉투(p)가 밀봉되도록 포장봉투(p)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하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다. 이러한 가열부(130)는 가열바과 공급모듈을 포함한다.
가열바는 후술하는 공급모듈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것으로써, 하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112)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열바는 발열효율이 증대되도록 동(Copper), 구리(Cu) 등의 재질로 구비되는 코일(Coil)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급모듈은 상술한 가열바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어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가열부(130)는 가열바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온도센서에 의해서 가열바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보다 더 높은 온도로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공급모듈이 가열바에 공급하는 전기에너지를 차단하도록 공급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따르면, 가열바가 과도하게 과열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용이하게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140)는 상술한 흡입부(120)와 상술한 가열부(130)를 제어하는 것으로써, 흡입부(120)와 가열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술한 제어버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제어버튼에 의해 동작된다.
한편, 이러한 제어부(140)는 한쌍의 고정부(150)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연통부(112a)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v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에 의해서, 관통홀(v1)의 개수가 조절되기 때문에, 포장봉투(p) 내부의 부피에 대응되도록 흡입력을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어부(140)에 따르면, 공기의 흡입효율 향상 및 전력 절감의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고정부(150)는 포장봉투(p)의 양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홀이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써, 한쌍으로 마련되어 하부(112)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소정간격은 포장봉투(p)의 너비에 대응되는 간격을 의미한다.
포장봉투(p)의 양가장자리부분에는 홀이 형성되는데, 상술한 한쌍의 고정부(150)에 포장봉투(p)에 형성된 홀을 각각 삽입하면, 포장봉투(p)의 양가장자리 부분이 하부(112)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50)에 의해서, 포장봉투(p) 내의 공기의 흡입이 실시되는 동안 포장봉투(p)의 구겨짐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포장봉투(p) 내의 공기의 흡입이 효과적으로 실시됨으로써, 포장봉투(p)의 진공 및 밀봉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50)에 의하면, 포장봉투(p) 내의 공기의 흡입이 실시되는 동안 포장봉투(p)가 케이스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112)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요철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요철 부분 중 요부분의 상면에는 구멍(v2)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멍(v2)에는 상술한 고정부(150)가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112)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의 구조 및 고정부(150)에 따르면, 고정부(150)의 설치위치가 포장봉투(p)의 폭에 대응되도록 변동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폭의 포장봉투(p)가 하부(112)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의 상부를 개폐한 것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의 상부를 개폐한 것을 평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50')는 하부(112)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5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간격은 여러 종류의 포장봉투(p)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부(150')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포장봉투(p)에 대해 진공 및 밀봉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케이스부(110)와 흡입부(120)와 가열부(130)와 제어부(140)와 고정부(1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100)에 따르면, 포장봉투(p)가 케이스부(110)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포장봉투(p) 내의 공기의 흡입이 실시되는 동안 포장봉투(p)의 구겨짐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포장봉투(p) 내의 공기의 흡입이 효과적으로 실시됨으로써, 포장봉투(p)의 진공 및 밀봉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100)에 따르면, 포장봉투(p) 내의 공기의 흡입이 실시되는 동안 포장봉투(p)가 케이스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포장봉투를 밀봉하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포장봉투를 밀봉하는 제1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포장봉투를 밀봉하는 제2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111)를 회동시켜 안착공간을 개방한 후, 포장봉투(p)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홀을 고정부(150)에 삽입함으로써 포장봉투(p)를 하부(112)에 고정한다. 이때, 포장봉투(p)의 입구가 안착공간에 배치되도록 포장봉투(p)를 조절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111)를 역으로 회동시켜 상부(111)와 하부(112)가 접촉되게 함으로써, 안착공간을 마감한다. 이후, 상부(111)의 상면에 형성된 제어버튼을 눌러 흡입부(120)를 작동시킨다. 흡입부(120)가 작동하면, 포장봉투(p) 내의 공기가 제거된다. 이후, 가열부(130)가 작동되면, 포장봉투(p)의 입구측 부분에 열에너지가 인가되며, 이에 의해서 포장봉투(p)가 밀봉된다.
이때, 고정부(150)에 의해서, 포장봉투(p)가 하부(112)에 고정되어 포장봉투(p)의 구겨짐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포장봉투(p) 내의 공기의 흡입이 효과적으로 실시됨으로써, 포장봉투(p)의 진공 및 밀봉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이때, 포장봉투(p)가 하부(112)에 고정되어 포장봉투(p)가 케이스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후, 상부(111)를 다시 회동시켜 안착공간을 개방하고, 고정부(150)를 하부(112)로부터 제어한 다음, 포장봉투(p)를 하부(112)로부터 이탈시키면, 포장봉투(p)의 밀봉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100)를 이용하여 포장봉투(p)를 밀봉하는 과정에 의하면, 포장봉투(p) 내의 공기의 흡입이 실시되는 동안 포장봉투(p)의 구겨짐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포장봉투(p) 내의 공기의 흡입이 효과적으로 실시됨으로써, 포장봉투(p)의 진공 및 밀봉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110 : 케이스부
111 : 상부
112 : 하부
112a : 연통부
113 : 제1가스켓
114 : 제2가스켓
120 : 흡입부
130 : 가열부
140 : 제어부
150, 150' : 고정부
g : 가이드홈
v1 : 관통홀
v2 : 구멍
p : 포장봉투

Claims (6)

  1. 포장봉투의 일부가 안착되는 공간인 안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장봉투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제거되도록 상기 안착공간에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부;
    상기 케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포장봉투가 밀봉되도록 상기 포장봉투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가열부;
    상기 흡입부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포장봉투의 양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부와, 상기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흡입부와 상기 가열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고정부가 설치되는 하부와, 상기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공간의 상측 가장자리면을 형성하는 제1가스켓과, 상기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공간의 하측 가장자리면을 형성하는 제2가스켓을 포함하는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는,
    상기 제1가스켓과 상기 가열부 사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는,
    상기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저면에 상기 안착공간과 상기 흡입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포장봉투의 폭에 대응되도록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KR1020160103602A 2016-08-16 2016-08-16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KR20180019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02A KR20180019358A (ko) 2016-08-16 2016-08-16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02A KR20180019358A (ko) 2016-08-16 2016-08-16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358A true KR20180019358A (ko) 2018-02-26

Family

ID=6153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602A KR20180019358A (ko) 2016-08-16 2016-08-16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93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067B2 (en) Vacuum packaging appliance with removable trough
EP18416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cuating and sealing containers
US7207160B2 (en) Vacuum packaging appliance with vacuum side channel latches
CN107867428B (zh) 一种真空包装封口机
KR101529159B1 (ko) 다양한 크기의 식품용기를 포장할 수 있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US20160001907A1 (en) Food container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322780B1 (ko) 용기 열봉합 장치
KR101529155B1 (ko) 식품용기 및 비닐봉투 진공포장장치
CN107914908B (zh) 一种真空包装机
KR20180019358A (ko) 진공실패방지와 밀봉실패방지 및 봉투이탈방지 기능이 있는 진공포장기
KR100853750B1 (ko) 진공 포장기
KR101925211B1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KR20130019614A (ko) 양방향 진공포장기
JP2001130511A (ja) 真空包装装置
KR100834044B1 (ko) 승강 작동하는 챔버를 구비한 진공 포장기
KR100584857B1 (ko)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
US20080276573A1 (en) Apparatus for creating a vacuum in containers for the preservation of foodstuffs
KR200405381Y1 (ko) 가열 및 진공 포장기
KR100421195B1 (ko) 엠보싱 형성 수단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100584862B1 (ko) 진공포장기
KR20110071584A (ko) 진공 흡입 장치를 구비한 밀봉기
KR200322449Y1 (ko) 진공 포장기
KR20230024041A (ko) 스킨 포장 장치
KR101529154B1 (ko) 식품용기포장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KR200389395Y1 (ko) 가스켓부가 이동 가능한 진공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