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750A - 시간 표현들을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 표현들을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750A
KR20180018750A KR1020187001315A KR20187001315A KR20180018750A KR 20180018750 A KR20180018750 A KR 20180018750A KR 1020187001315 A KR1020187001315 A KR 1020187001315A KR 20187001315 A KR20187001315 A KR 20187001315A KR 20180018750 A KR20180018750 A KR 20180018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value
bit
time valu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4040B1 (ko
Inventor
세유 엔지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디바이스는 부분 시간 값(partial time value)들을 이용하여 시스템 시간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분 시간 값들은 물리 프레임 프리앰블(physical frame preamble)에 포함될 수 있다. 부분 시간 값들은 명시된 간격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간 표현들을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개시내용은 대화형 텔레비전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미디어 재생 능력은, 소위 "스마트" 텔레비전을 포함한 디지털 텔레비전, 셋탑-박스, 랩탑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디지털 기록 디바이스, 디지털 미디어 재생기, 비디오 게임 디바이스, 소위 "스마트" 전화를 포함하는 셀룰러 전화, 전용 비디오 스트리밍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예를 들어,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그래밍)는, 예를 들어, 공중파 텔레비전 제공자, 위성 텔레비전 제공자, 케이블 텔레비전 제공자, 소위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한 온라인 미디어 서비스 제공자 등을 포함한, 복수의 소스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는, 전송 표준에 따라 소스(예를 들어, 공중파 텔레비전 제공자)로부터 수신기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 표준의 예로서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표준,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Standards) 표준, 및 예를 들어 ATSC 2.0 표준을 비롯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 의해 개발된 표준이 포함된다. ATSC는 현재 소위 ATSC 3.0 표준을 개발하고 있는 중이다.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및 연관된 데이터의 소스로부터 수신기 디바이스로의 전송 및 수신기 디바이스에서의 디지털 미디어의 렌더링 동안, 하나 이상의 시간 동기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는 수신기 디바이스가 소스로부터 시스템 시간을 유도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시스템 시간이란 현재 날짜 및 하루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값을 말할 수 있다. 소스와 수신기 디바이스 사이에서 시간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현재의 기술은 이상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시간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부분 시간 값들을 이용하여 시간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하며, 여기서, 각각의 부분 시간 값(PTV; partial time value)은 통신 프로토콜 스택 모델의 상이한 간격들 및/또는 상이한 계층들에서 통신될 수 있다. 수신기 디바이스들에 시간 표현들을 통신할 때, 통상적으로 전송 채널의 확실성/신뢰성 및 데이터 용량 사이에는 절충이 존재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든 패킷 헤더에서 상세한 시간 값(예를 들어, 80-비트 시간 값)을 전송하는 것은, 높은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지만, 비교적 큰 데이터 용량을 요구한다.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시간 표현을 전송하는 효율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기술들이 ATSC 표준에 관하여 설명되지만,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전송 표준에 적용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DVB 표준, ISDB 표준, ATSC 표준, DTMB(Digital Terrestrial Multimedia Broadcast) 표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 표준, HbbTV(Hybrid Broadcast and Broadband) 표준,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표준, 및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표준 중 어느 하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디지털 멀티미디어가 수신기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방법에 관계없이 시간 정보를 통신하는데 적용가능하고 유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한 예에 따르면, 시스템 시간을 시그널링하는 방법은, 물리적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제1 부분 시간 값을 시그널링하는 단계와, 물리적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제2 부분 시간 값과 물리적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제3 부분 시간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시스템 시간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물리적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제1 부분 시간 값을 시그널링하고, 물리적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제2 부분 시간 값과 물리적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제3 부분 시간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시스템 시간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장치는, 물리적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제1 부분 시간 값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과, 물리적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제2 부분 시간 값과 물리적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제3 부분 시간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실행시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물리적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제1 부분 시간 값을 시그널링하고, 물리적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제2 부분 시간 값과 물리적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제3 부분 시간 값 중 하나를 시그널링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의 상세사항은 첨부된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 개시된다. 다른 피쳐들, 목적들, 및 이점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 및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 배포 엔진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인터리버 및 프레임 구축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파형 생성기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수신기 디바이스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데이터 추출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수신기 디바이스가 소스로부터 시스템 시간을 유도하고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이벤트를 수신된 시스템 시간에 정렬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에 클록을 렌더링하는 수신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은 소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시스템 시간에 기초하여 클록을 렌더링할 수 있다. 소스로부터 수신기 디바이스로 시스템 시간을 전송하기 위한 현재의 기술은 이상적이지 않을 수 있다. 소스와 수신기는 논리적 역할이며 단일의 디바이스가 한 순간에서는 소스로서 또 다른 순간에서는 수신기로서 모두 동작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는, 케이블 텔레비전 제공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케이블 텔레비전 제공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가 수신기 디바이스에 시스템 시간을 통신하기 위하여, 소스 디바이스는 시간의 표현을 수신기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시간의 표현은 (이벤트 또는 마크라고도 할 수 있는) 시간 기준점(time reference point)에서의 시스템 시간에 대응한다. 한 예시에서, 시간 기준점은 신호(예를 들어, 심벌)의 일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시스템 시간을 표현하는 복수의 방식이 있다. 시스템 시간을 표현하는 한 방식은 에포크(epoch) 및 에포크 이후의 시간의 양을 표시하는 시간 값을 제공하는 것이다. 시스템 시간의 예시적인 표현은, 00:00:00 1/1/1970(1970년 1월 1일 자정)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의 정의된 에포크를 포함하며, 이 에포크 이후의 시간의 양의 값을 제공한다. 정밀 시간 프로토콜(Precision Time Protocol, PTP)은, 에포크 00:00:00 1/1/1970 UTC 이후의 초 및 나노초의 수를 표시하는 80-비트 표현(즉, 42-비트 초 표현(secondsField) 및 32-비트 나노초 표현(nanosecondsField))을 제공한다. 한 예에서, PTP란 IEEE 1588-2002 표준에 따라 정의된 정밀 시간 프로토콜을 말할 수 있다.
한 예에서, PTP란 IEEE 1588-2008 표준에 따라 정의된 정밀 시간 프로토콜을 말할 수 있다. IEEE 1588-2002 표준 및 IEEE 1588-2008 표준 각각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다른 시간 프로토콜은 에포크 00:00:00 1/1/1970 UTC 이후의 초의 32-비트 표현을 제공한다. 에포크 이후의 시간의 양의 값은 윤초 등을 감안하거나 감안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전송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추상화 계층을 포함하는 모델에 기초할 수 있고, 여기서 각 추상화 계층의 데이터는 특정한 구조, 예를 들어, 패킷 구조(즉, 패킷 헤더 구조 및 데이터 페이로드), 변조 방식 등에 따라 표현된다. 정의된 추상화 층을 포함하는 모델의 예로서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리젠테이션 계층, 세션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및 물리적 계층을 포함한, 7-계층 스택 모델을 정의하는, 소위 개방 시스템 상호접속(OSI) 모델이다. 다른 모델들은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정의된 추상화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물리적 계층이란 일반적으로 전기 신호가 디지털 데이터를 형성하는 계층을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계층이란, 변조된 무선 주파수(RF) 심벌들이 디지털 데이터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계층을 말할 수 있다. 전송 표준은 특정한 물리적 계층 구현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DVB-T2, ETSI EN 302 755 V1.3.1(2012-04)은 예시적인 물리적 계층 구현을 설명한다. 소위 ATSC 3.0 표준을 위한 물리적 계층은 현재 개발 중에 있다.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ATSC 후보 표준 : 시스템 발견 및 시그널링(Doc. A/321 Part 1), Doc. S32-231r4, 06 May 2015(이하, "A/321")는, ATSC 3.0 물리적 계층 구현의 제안된 양태를 설명한다. A/321은, 부트스트랩, 프리앰블, 및 데이터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물리적 프레임 구조를 정의한다. A/321 물리적 프레임 구조 및 그 변형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네트워크 계층이란 일반적으로 논리적 어드레싱이 발생하는 계층을 말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계층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 내의 특정한 노드(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달될 수 있도록 어드레싱 정보(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제공할 수 있다. 트랜스포트 계층은 일반적으로, 데이터가 노드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미디어 재생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로 라우팅되는 방법을 기술할 수 있다. 일부 전송 응용들에서,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및/또는 상위 계층들(즉,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리젠테이션 계층, 세션 계층)을 구별하는 것이 불필요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방송 응용에서, 방송 동안에는 네트워크 내의 모든 수신 노드에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개개의 수신 디바이스로의 특정한 데이터의 라우팅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에서, 용어 네트워크 계층이란,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및/또는 더 상위의 OSI 모델 계층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계층을 말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 계층 구현은, 지원되는 정의된 패킷 구조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현된 네트워크 계층은,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MPEG-TS) 패킷 구조 또는 IP 버전 4(IPv4) 패킷 구조를 갖는 패킷들, 및 선택사항으로서, 예를 들어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MMT) 패킷 구조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유사한 패킷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 예에서, MPEG-TS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될 때 용어 네트워크 계층이란, 데이터 링크 계층 위의 계층 및/또는 데이터 링크 계층 처리를 위해 수신될 수 있는 구조의 데이터를 갖는 계층을 말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될 때, 링크 계층이라고도 할 수 있는 데이터 링크 계층이라는 용어는, 물리적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의 계층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링크 계층은, 특정한 패킷 타입(예를 들어, MPEG-TS 패킷, IPv4 패킷, 또는 링크 계층 시그널링 패킷 등)으로 캡슐화된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 또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물리적 계층에 의한 처리를 위한 단일의 일반 포맷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링크 계층은, 복수의 링크 계층 패킷들로의 단일의 상위 계층 패킷의 분할 및 복수의 상위 계층 패킷의 단일의 링크 계층 패킷으로의 결합(concatenation)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계층 1"또는 "L1"이라는 용어는 물리적 계층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계층 2" 또는 "L2"는 링크 계층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계층 3 "또는 "L3" 또는 "IP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패킷은 시간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타임스탬프 값이 네트워크 패킷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예를 들어, MMT 패킷은 패킷 헤더에서 타임스탬프 값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시간 정보는, 통신 네트워크 등과 연관된 지터(jitter)를 계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따라서 버퍼 등을 관리하여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의 원활한 렌더링을 보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일부 예들에서, 시간 정보를, 예를 들어, 시스템 시간을, 더 하위의 계층에, 즉, 링크 계층 및/또는 물리적 계층에 포함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ATSC 3.0과 관련하여, 전술된 80-비트 PTP 시간 값을 물리적 계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A/321은 물리적 프레임이 적어도 매 50 밀리초(ms) 간격으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며 물리적 프레임이 최대 매 5700 ms 간격으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물리적 계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서 80-비트 PTP 시스템 시간 값을 포함하는 것이 이상적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80-비트 PTP 시간 값을 포함하는 물리적 계층 프레임이 100 ms마다(즉, 10 Hz의 주파수로 전송됨) 전송된다고 가정하면, 이 경우에 시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요건은 800 bps(bits per second; 초당 비트수)이다. 800 bps 데이터 채널을 요구하는 것 외에도, 100 ms마다 나노초 해상도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나노초 해상도 시간 정보가 수신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목적에 대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상적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에 클록을 렌더링하는 수신기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은, 기껏해야, 초(second) 해상도 시간 정보의 수신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ATSC 3.0과 관련하여, 전술된 80-비트 PTP 시간 값의 압축된 버전을 물리적 계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한 예시적인 제안은 32-비트 초 필드 및 17-비트 나노초 필드를 갖는 압축된 시간 포맷을 기술한다. 제안된 32-비트 초 필드에서, 수신기 디바이스에서 16-비트의 '0' 값이 최상위-비트로서 32-비트 값에 추가되어 80-비트 PTP에 대응하는 48-비트 값을 생성하고 최상위-비트로서 2-비트의 '0' 값과 최하위 비트로서 13-비트의 '0' 제로 값이 17-비트 나노초 필드에 추가되어 80-비트 PTP에 대응하는 32-비트 값을 생성한다. 이 압축된 49-비트 PTP 시스템 시간 값을 물리적 계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시키는 것이 이상적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된 49-비트 PTP 시간 값을 포함하는 물리적 계층 프레임이 100ms마다 전송된다고 가정하면, 이 경우에 시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요건은 490bps이다.
일부 수신기 디바이스는 소스(예를 들어, 실시간 클록이 없는 텔레비전)에서 수신된 시스템 시간에만 전적으로 의존할 수 있고, 다른 수신기 디바이스는 다른 소스로부터의 시스템 시간에 액세스할 수 있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통상적으로 대안적 시간 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소스로부터 수신된 시스템 시간에만 의존하는 수신기 디바이스의 경우, 시간 값의 소수부 초(예를 들어, 밀리초)를 신속하게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이 전원이 켜져 있는 100ms 이내에 공중파 전송으로부터 밀리초 시간 값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소스로부터 수신된 시스템 시간에만 의존하는 수신기 디바이스의 경우, 소수부 시간 값보다 덜 신속하게 (예를 들어, 전원이 켜져 있는 10 초 이내에) 하루의 시간 값(예를 들어, 날짜, 시간, 분, 초)을 획득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다른 소스(예를 들어,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로부터 시스템 시간에 액세스하는 수신기 디바이스의 경우, 이들 시간 값을 공중파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수신된 시간 값과 동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예에서, 더 높은 시간 값 해상도(예를 들어, 초, 밀리초, 마이크로초, 또는 나노초)에서 동기화할 필요성만이 있을 수 있다. 한 예에서, 밀리초 동기화는 충분히 대략적인 동기화를 제공할 수 있고, 나노초 동기화는 충분히 정밀한 동기화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방송 사업자가 다양한 세트의 수신기 디바이스에 대한 시스템 시간의 전송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한다. 즉, 여기에 설명된 기술들은, (예를 들어, 전원이 켜져 있는 디바이스에 관한) 빠른 시간 취득과 채널 용량 사이의 절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시스템(100)은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에 따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 디바이스(102A-102N),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 광역 네트워크(112), 하나 이상의 콘텐츠 제공자 사이트(114A-114N),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제공자 사이트(116A-116N)를 포함한다. 시스템(100)은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복수의 내부 및/또는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디바이스의 예로서는, 파일 서버,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서버,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디바이스, 로컬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타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나 저장 매체가 포함된다. 저장 미디어는, Blu-ray 디스크, DVD, CD-ROM,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레지스터들의 어레이를 포함한 레지스터, 또는 기타 임의의 적절한 디지털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이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디바이스는 소프트웨어를 위한 명령어들을 적절한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하드웨어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영화, 라이브 스포츠 이벤트 등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및 이와 연관된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이 수신기 디바이스들(102A-102N) 등의 복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배포되고 이에 의해 액세스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 수신기 디바이스들(102A-102N)은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 디바이스들(102A-102N)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위해 장착될 수 있고, 소위 스마트 텔레비전, 셋탑 박스,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포함한 텔레비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디바이스들(102A-102N)은, 데스크탑, 랩탑, 또는 태블릿 컴퓨터, 게임 콘솔, 예를 들어 "스마트" 전화, 셀룰러 전화기 및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개인용 게임 디바이스를 포함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별개의 사이트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예시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시스템(100)을 특정한 물리적 아키텍처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시스템(100) 및 여기서 포함된 사이트의 기능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 및 소위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는, 텔레비전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가 배포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의 한 예이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는, 공중용 공중파 텔레비전 네트워크, 공중용 또는 가입-기반의 위성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공중용 또는 가입-기반의 케이블 텔레비전 제공자 네트워크 및/또는 오버더 탑(over the top) 또는 인터넷 비디오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는 주로 텔레비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하는데 이용될 수 있지만,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는 또한, 여기서 설명된 통신 프로토콜들의 임의의 조합에 따라 다른 타입의 데이터 및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는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와 수신기 디바이스들(102A-102N) 중 하나 이상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는,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매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인 쌍 케이블, 무선 전송기 및 수신기, 라우터, 스위치, 리피터, 기지국, 또는 다양한 디바이스와 사이트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기타 임의의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는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의 조합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은 전용 양태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의 예로서는, DVB 표준, ATSC 표준, ISDB 표준, DTMB 표준, DMB 표준, DOCSIS(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 표준, HbbTV 표준, W3C 표준, 및 UPnP 표준이 포함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는,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를 통해 텔레비전 서비스를 배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는, 하나 이상의 방송국, 케이블 텔레비전 제공자, 또는 위성 텔레비전 제공자, 또는 인터넷-기반의 텔레비전 제공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는 서비스 배포 엔진(108) 및 데이터베이스(110)를 포함한다. 서비스 배포 엔진(108)은,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대화형 애플리케이션, 및 메시지를 포함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를 통해 수신기 디바이스들(102A-102N)에 데이터를 배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배포 엔진(108)은, 전술된 전송 표준들 중 하나 이상(예를 들어, ATSC 표준)의 양태에 따라 텔레비전 서비스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서비스 배포 엔진(108)은 하나 이상의 소스를 통해 콘텐츠 및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는 위성 업링크/다운링크를 통해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을 포함한 전송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는 광역 네트워크(112)와 통신할 수 있고, 콘텐츠 제공자 사이트(114A-114N)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데이터 제공자 사이트(116A-116N)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는 텔레비전 스튜디오를 포함할 수 있고, 그로부터 콘텐츠가 나올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110)는, 예를 들어, 설명 데이터 및 실행가능한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이와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이벤트는 통계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대화형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연관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동적 HTML,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및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등의 정의된 데이터 포맷에 따라 포맷될 수 있고, 수신기 디바이스들(102A-102N)이 예를 들어 데이터 제공자 사이트들(116A-116N) 중 하나로부터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는,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를 통해 수신기 디바이스들(102A-102N) 중 하나 이상에 배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예를 들어, 음악, 영화 및 텔레비전 쇼)는 소위 온-디맨드 방식으로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광역 네트워크(112)는 패킷 기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의 조합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은 전용 양태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의 예로서는, GSM(Global System Mobile Communications) 표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표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표준, 유럽 표준(EN), IP 표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표준,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표준, ITU-T(ITU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표준, 및 IEEE 802 표준 표준들 중 하나 이상(예를 들어, Wi-Fi) 등의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표준이 포함될 수 있다. 광역 네트워크(112)는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미디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광역 네트워크(112)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인 쌍 케이블, Ethernet 케이블, 무선 전송기 및 수신기, 라우터, 스위치, 리피터, 기지국, 또는 다양한 디바이스와 사이트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기타 임의의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광역 네트워크(116)는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자 사이트들(114A-114N)은,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 및/또는 수신기 디바이스들(102A-102N)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사이트들의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자 사이트는,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에 멀티미디어 파일 및/또는 스트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튜디오 콘텐츠 서버를 갖는 스튜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콘텐츠 제공자 사이트들(114A-114N)은 IP 스위트(suite)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콘텐츠 제공자 사이트들(114A-114N)은 IP 스위트(suite)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자 사이트는,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또는 HTTP(Hyper-Text Transport Protocol)에 따라 수신기 디바이스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제공자 사이트(116A-116N)는, 광역 네트워크(112)를 통해 수신기 디바이스들(102A-102N) 중 하나 이상 및/또는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에 하이퍼텍스트 기반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제공자 사이트(116A-116N)는 하나 이상의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제공자 사이트(116A-116N)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HTML, 동적 HTML, XML, 및 JSON 등의 데이터 포맷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데이터 제공자 사이트의 한 예로서는, 미국 특허청(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웹 사이트가 포함된다. 일부 예에서, 데이터 제공자 사이트들(116A-116N)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는 소위 세컨드 스크린 애플리케이션(second screen application)에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동반자 디바이스(들)는 수신기 디바이스 상에 프리젠팅 중인 텔레비전 프로그래밍과 연계하여 웹 사이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데이터 제공자 사이트들(116A-116N)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는 오디오 및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서비스 배포 엔진(108)은,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대화형 애플리케이션,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를 통해 수신기 디바이스들(102A-102N)에 배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 배포 엔진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서비스 배포 엔진(200)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어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를 통해 배포하기 위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배포 엔진(200)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단일 RF 대역(예를 들어, 6 MHz 채널, 8 MHz 채널 등) 또는 결합된 채널(예를 들어, 2개의 별개의 6 MHz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이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의 세트로 캡슐화된 데이터를 말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 서비스 배포 엔진(200)은 네트워크 계층 패킷의 형태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한 예시에서, 네트워크 계층 패킷은, MPEG-TS 패킷, IPv4 패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서비스 배포 엔진(200)은 상위 계층 데이터(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10) 등에 저장된 파일 등)를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를 네트워크 계층 패킷으로 캡슐화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데이터 파일(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파일, 대화형 애플리케이션 등)이 RF 채널 내에서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 파일은 네트워크 계층 패킷, 즉, 데이터 패킷 A 및 데이터 패킷 B로 캡슐화된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 데이터 패킷 A 및 데이터 패킷 B는, 링크 계층 패킷, 즉, 일반 패킷 A, 일반 패킷 B, 일반 패킷 C, 및 일반 패킷 D로 캡슐화된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2개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이 4개의 링크 계층 패킷 내에 캡슐화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즉, 세그먼트화), 다른 예에서는, 복수의 네트워크 계층 패킷이 더 적은 수의 링크 계층 패킷으로 캡슐화될 수 있다(즉, 결합). 예를 들어, 다중 네트워크 계층 패킷은 단일 링크 계층 패킷으로 캡슐화될 수 있다. 링크 계층 패킷 구조의 양태는 통신 표준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계층 패킷은 통신 표준에 따라 정의된 헤더 포맷 및 최소 및 최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 물리적 계층 처리를 위해 일반 패킷이 수신된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 물리적 계층 처리는, 일반 패킷 A, 일반 패킷 B, 일반 패킷 C 및 일반 패킷 D를, 대응하는 기저대역 프레임, 즉, BBFrame_A 및 BBFrame_B에 캡슐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저대역 프레임은 물리적 계층 파이프(PLP; physical layer pipe)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예에서, PLP란 일반적으로, 데이터 스트림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논리 구조를 말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PLP는,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 내에서 운반되는 논리 채널로서 기술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 PLP는 물리적 계층 프레임의 페이로드 내에 포함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및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물리적 프레임은, 부트스트랩, 프리앰블, 및 데이터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배포 엔진(200)은, 입력 포매터(202), 코딩 및 변조 유닛(204), 인터리버 및 프레임 구축기(206), 파형 생성기(208), 및 시스템 메모리(210)를 포함한다. 입력 포매터(202), 코딩 및 변조 유닛(204), 인터리버 및 프레임 구축기(206), 파형 생성기(208), 및 시스템 메모리(210) 각각은, 컴포넌트간 통신을 위해 (물리적으로, 통신가능하게, 및/또는 동작적으로) 상호접속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개별 로직,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의 다양한 적절한 회로 중 임의의 것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배포 엔진(200)이 별개의 기능 블록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설명은 설명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서비스 배포 엔진(200)을 특정한 하드웨어 아키텍처로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서비스 배포 엔진(200)의 기능은, 소위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를 포함한,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210)는 비일시적인 또는 유형의(tangible)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기술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시스템 메모리(210)는 임시적 및/또는 장기적 저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시스템 메모리(210) 또는 그 일부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기술될 수 있고, 다른 예에서는 시스템 메모리(210)의 일부는 휘발성 메모리로서 기술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의 예로서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가 포함된다. 비휘발성 메모리의 예로서는, 자기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전기적으로 프로그램가능한 메모리(EPROM)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 및 프로그램가능한(EEPROM) 메모리의 포맷이 포함된다. 시스템 메모리(210)는 동작 동안에 서비스 배포 엔진(20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210)는, 입력 포매터(202), 코딩 및 변조 유닛(204), 인터리버 및 프레임 구축기(206), 및/또는 파형 생성기(208) 각각 내에 포함된 개개의 메모리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메모리(210)는, 서비스 배포 엔진(200)의 컴포넌트에 의한 처리를 위해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버퍼(예를 들어, FIFO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메모리(210)는, 칩-대-칩 데이터 전송 및 통신에 이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80-비트 PTP 값은 내부 레지스터들의 어레이로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 디바이스에서, 상이한 부분 시간 값들이 도착하면, 80-비트 레지스터들의 어레이의 상이한 부분들에 로드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수신기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은 시스템 클록으로서 전체의(또는 그 일부의) 80-비트 PTP를 판독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입력 포매터(202)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PLP를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포매터(202)는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하고 링크 계층("일반") 패킷 구조에 따라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포매터(202)는 링크 계층 패킷들의 세트에 대한 PLP 구조를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입력 포매터(202)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링크 계층 패킷들의 세트가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프레임으로 캡슐화되는 방법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기저대역 프레임은 (예를 들어, 통신 표준에 따라 정의된) 고정된 길이일 수 있고, 헤더와 일반 패킷을 포함한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코딩 및 변조 유닛(204)은 PLP와 연관된 기저대역 프레임을 수신하고 기저대역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셀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셀은 변조 방식과 연관된 성상군 포인트(constellation point)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성상군은 I/Q 평면에서 인코딩된(동 위상(I)/직교(Q) 성분) 지점들의 세트로서 정의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셀은 하나의 OFDM 심벌 동안 하나의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FDM) 캐리어에 대한 변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코딩 및 변조 유닛(204)은, 예를 들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및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예를 들어, 16QAM, 64QAM, 256-QAM, 1024QAM, 및 4096QAM)을 포함한 변조 방식에 따라 정의된 성상군에 비트들을 맵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코딩 및 변조 유닛(204)은 계층 분할 멀티플렉싱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계층 분할 멀티플렉싱이란, 동일한 RF 채널(예를 들어, 6 MHz 채널) 상에서 복수의 데이터 계층을 중첩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위 계층이란, 주 서비스를 지원하는 코어(예를 들어, 더 견고한) 계층을 말하고, 하위 계층이란 강화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높은 데이터 레이트 계층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은 기본 고화질 비디오 콘텐츠를 지원할 수 있으며 하위 계층은 강화된 초고화질 비디오 콘텐츠를 지원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코딩 및 변조 유닛(204)은 기저대역 프레임을 수신하고 기저대역 프레임에 순방향 에러 정정(FEC) 정보를 첨부할 수 있다. 한 예에서, FEC 정보는 내측 코드 및 외측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FEC 정보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프레임은 FEC 프레임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한 예에서, 코딩 및 변조 유닛(204)은 기저대역 프레임에 포함된-비트들을 인터리빙할 수 있다. 즉, 코딩 및 변조 유닛(204)은, 예를 들어, 패리티 인터리빙, 컬럼 트위스트 인터리빙(column twist interleaving), 그룹별 인터리빙, 및/또는 블록 인터리빙을 포함한 비트 인터리빙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비트 인터리빙은 데이터 전송의 견고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코딩 및 변조 유닛(204)은 인터리빙된 비트들을 성상군에 맵핑함으로써, 셀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인터리버 및 프레임 구축기(206)는, 프레임 구조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PLP 및 출력 심벌(예를 들어, OFDM 심벌)과 연관된 데이터 셀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PLP를 포함하는 프레임이란, 물리적 계층 프레임(PHY-계층 프레임)을 말할 수 있다. 한 예에서, 프레임 구조는, 부트스트랩, 프리앰블, 및 하나 이상의 PLP를 포함하는 데이터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부트스트랩은 파형의 범용 엔트리 포인트로서 역할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계층 1" 또는 "L1"이라는 용어는 물리적 계층을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L1-시그널링이란, 물리적 계층 파라미터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그널링을 말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L1-시그널링은, 3개의 부분: 부트스트랩에 대한 제한, L1-기본 시그널링, 및 L1-상세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L1-기본 시그널링 및 L1-상세 시그널링 양쪽 모두는 프리앰블 심벌에서 운반될 수 있다. 한 예에서, L1-기본 시그널링은 전체 프레임에 걸쳐 정적인 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시그널링 정보를 전달하고, 또한 L1-상세 시그널링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정의한다. 일부 예에서, L1-기본 시그널링의 길이는 200 비트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예에서, L1-상세 시그널링은 데이터 컨텍스트 및 이를 파싱하는데 요구되는 정보를 상술한다. 한 예에서, L1-상세 시그널링의 길이는 가변적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인터리버 및 프레임 구축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리버 및 프레임 구축기(400)는, 시간 인터리버(402), 프레임 생성기(404), 및 주파수 인터리버(406)를 포함한다. 시간 인터리버(402)는, 시간 영역에서 버스트 에러를 분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시간 인터리빙 방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간 인터리빙 방식의 예로서는, 셀 인터리빙, 트위스티드 블록 인터리빙, 및 콘볼루션 인터리빙이 포함된다. 주파수 인터리버(406)는 주파수 영역에서 버스트 에러를 분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주파수 인터리빙 방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주파수 인터리버(406)는 하나의 심벌의 데이터 셀을 가용 데이터 캐리어에 맵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 생성기(404)는 하나 이상의 PLP를 프레임에 맵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 생성기(404)는 프레임 구조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PLP 및 출력 심벌(예를 들어, OFDM 심벌)과 연관된 데이터 셀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생성기(404)는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프리앰블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리앰블 구조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파형 생성기(208)는, 프레임들 내에 배열된 심벌들을 수신하고 전송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파형 생성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 생성기(500)는, 파일럿 삽입 유닛(502),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 유닛(504), 보호 구간 삽입 유닛(506), 및 부트스트랩 삽입 유닛(508)을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 파형 생성기(500)는, OFDM 심벌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타입의 RF 채널들 : 단일의 6 MHz 채널, 단일의 7 MHz 채널, 단일의 8 MHz 채널, 단일의 11MHz 채널, 및 임의의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채널(예를 들어, 6MHz 채널과 8MHz 채널을 포함하는 14MHz 채널)을 포함하는 결합된 채널 내에서 전송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일럿 삽입 유닛(502)은, 채널 추정 및/또는 동기화를 위해 파일럿 및 예약된 톤을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파일럿 및 예약된 톤은, OFDM 심벌 및 서브-캐리어 주파수 맵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IFFT 유닛(504)은 파형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한 예에서, IFFT 유닛(504)은, OFDM 심벌들을 서브-캐리어들에 맵핑함으로써 OFDM 파형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호 구간 삽입 유닛(506)은 잠재적인 다중경로 효과를 완화하기 위해 보호 구간을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보호 구간은 통신 표준에 따라 명시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는, 부트스트랩, 프리앰블, 및 하나 이상의 PLP를 포함하는 데이터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부트스트랩 삽입 유닛(508)은 부트스트랩을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트스트랩은, 발견, 동기화, 주파수 오프셋 추정, 및 초기 채널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동기화 심벌을 포함하는 복수의 심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트스트랩은 프레임의 수신 및 디코딩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A/321은 부트스트랩의 예시적 구조를 제공한다. A/321에 설명된 예시적인 부트스트랩은, 고정된 샘플링 레이트 및 고정된 대역폭(즉, 채널 크기에 관계없이 4.5 MHz)을 포함하고 3개의 심벌을 포함한다. A/321에서 설명된 부트스트랩의 첫 번째 심벌 구문은 아래 표 1에 나와 있다.
Figure pct00001
표 1(및 아래의 표들에서)에서, uimsbf는 최상위 비트가 먼저 나오는 부호없는 정수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다. A/321은, 요소들 eas_wake_up, system_bandwidth 및 min_time_to_next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의를 제공한다.
eas_wake_up ― 비상상황인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값 : 0 = 오프(비상상황 없음), 1 = 온(비상상황). eas_wake_up = 1의 경우는, 적어도 일부 프레임들에서 EAS(Emergency Alert System) 정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system_bandwidth ― 현재의 PHY-계층 프레임의 포스트-부트스트랩 부분에 이용된 시스템 대역폭을 시그널링한다. 값 : 00 = 6MHz, 01 = 7MHz, 10 = 8MHz, 11 = 8MHz 초과. "8 MHz 초과" 옵션은 8 MHz보다 큰 시스템 대역폭을 이용한 미래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지만 현재의 시그널링 세트에 의해 기술된 버전에서 이용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8MHz보다 큰 시스템 대역폭을 처리하도록 준비되지 않은 수신기는 system_bandwidth = 11인 임의의 프레임을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min_time_to_next ― (부트스트랩 A라고 하는) 프레임 A에 대한 부트스트랩의 시작에서부터 (부트스트랩 B라고 하는) 프레임 B에 대한 부트스트랩 시작의 가장 이른 가능한 발생까지 측정된 시간으로서 정의된, 현재의 프레임(A)의 동일한 주 버전 및 부 버전 번호와 정합하는 다음 프레임(B)까지의 최소 시간 간격. 부트스트랩 B는, 시그널링된 최소 시간 간격 값에서 시작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었던 다음으로 높은 최소 시간 간격 값에서 끝나는 시간 윈도우 내에 놓이는 것이 보장된다. 가장 높은 가능한 최소 시간 간격 값이 시그널링된다면, 이 시간 윈도우는 종료되지 않는다. 아래에 도시된 신호 맵핑 공식에서, X = 10의 예시적인 시그널링된 값은, 부트스트랩 B가, 부트스트랩 A의 시작으로부터 700ms에서 시작하여 부트스트랩 A의 시작으로부터 800ms에서 종료하는 시간 윈도우 내의 어딘가에 놓여 있다는 것을 나타낼 것이다. 시그널링된 최소 시간 간격 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세분성을 동반한 슬라이딩 스케일(sliding scale)을 통해 그 양이 시그널링된다. X가 시그널링되는 5-비트 값을 나타내고, T가 현재의 프레임과 동일한 버전 번호와 정합하는 다음 프레임까지의 밀리초 단위의 최소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고 하자.
Figure pct00002
A/321에서 설명된 부트스트랩의 두 번째 심벌 구문은 아래 표 2에 나와 있다.
Figure pct00003
A321은 요소 bsr_coefficient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의를 제공한다: bsr_coefficient ― (현재의 PHY-계층 프레임의) 부트스트랩 후 샘플 레이트 =(N + 16) x 0.384 MHz. N은 시그널링된 값이며 0 내지 80의 범위이어야 한다(0과 80도 포함함). 81 내지 127의 값들은 예약되어 있다.
A/321에서 설명된 부트스트랩의 세 번째 심벌 구문은 아래 표 3에 나와 있다.
Figure pct00004
A/321은 요소 preamble_structure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의를 제공한다: preamble_structure ― 이 필드는 마지막 부트스트랩 심벌 다음에 오는 하나 이상의 RF 심벌 구조를 시그널링하는 능력을 설정한다. 이것은 또 다른 표준에 정의된 값들을 이용하여 이러한 시그널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유의사항: 이 표준은 이 필드의 내용에 제약을 두지 않는다.
부트스트랩의 제1 OFDM 심벌이 소스로부터 방출되는 시간은 부트스트랩의 시작 시간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A/321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1ms의 방출 시간 이내에 부트스트랩이 수신기 디바이스에 도착할 것이라고 가정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수신기 디바이스가 광원의 반경 20 마일 이내에 있다고 가정하면, 광속으로 이동하는 방출은 1ms의 방출 시간 이내에 반경 20 마일 내의 모든 수신 디바이스에 도달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1ms 세분도로 수신 디바이스에서 시작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부트스트랩의 시작 시간은 기준 시점(즉, 마크)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물리적 계층 프레임 A 및 물리적 계층 프레임 B의 방출 및/또는 도달 타이밍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 물리적 계층 프레임 A의 시작 시간은 15ms UTC 경계에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5ms UTC 경계는 프레임 A에 대한 마크로 이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부트스트랩은, 프레임 B에 대한 부트스트랩의 시작의 가장 이른 발생을 포함하는 윈도우(도 6의 tearliest 내지 tlatest)를 정의할 수 있는 min_time_to_next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B는 85ms UTC 경계에 도달하고, 프레임 B의 시작은 프레임 A에서 시그널링된 윈도우 내에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가 시스템 시간을 수신기 디바이스에 통신하기 위하여, 소스 디바이스는 시간의 표현을 수신기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시간의 표현은 마크에서의 시스템 시간에 대응한다. 한 예에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간의 표현은 프레임의 프리앰블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고, 부트스트랩의 시작에서의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도 6에 나타낸 예를 참조하면, 프레임 A의 프리앰블에서 시그널링된 시간은 마크 A에서의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시간의 표현은 부분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부분 시간 값이란, 시스템 시간 값의 일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간 값을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부분 시간 값은 초 시간 값(예를 들어, 10.XXX 초)을 제공할 수 있고, 또 다른 부분 시간 값은 밀리초(예를 들어, XX.123 초) 시간 값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부분 시간 값은, (예를 들어, 상이한 계층들에 있는) 물리적 프레임의 상이한 지점들 및/또는 상이한 프레임들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복수의 상이한 부분 시간 값은 시스템 시간을 원하는 정밀도로 재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10.XXX초 및 XX.123초가 시스템 시간 값 10.123초를 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이한 부분 시간 값들은 당연히 상이한 변화율을 갖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부분 시간 값들의 예로서는, 초(Hz) 부분 시간 값, 밀리초 부분 시간 값(kHz), 마이크로초 부분 시간 값(MHz), 및 나노초(GHz) 부분 시간 값이 포함된다.
도 7은, 부분 시간 값들이 각각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이한 간격(즉, 주파수)으로 전송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 secondsPTV는 초 시간 값에 대응하고 적어도 5 초마다(즉, 0.2Hz ≤ 주파수로) 전송되며, msecPTV는 밀리초 시간 값에 대응하고 1초마다 적어도 한번 전송되며(즉, 1Hz ≤ 주파수로), nanosecPTV는 나노초 시간 값에 대응하고 50 밀리초마다 적어도 한 번 전송된다(즉, 20Hz ≤ 주파수에서).
도 7에 나타내고 A/32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이한 시간 간격들은 상이한 수의 전송된 프레임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 0.25초 간격은 한 경우에 5개의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것은, 물리적 계층 프레임들이 50 ms마다 전송되는 A/321의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예에서, 5.7초 간격은 또 다른 경우에는 1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것은 A/321에 제공된 최대 프레임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 부분 시간 값들이 전송되는 주파수는 후속 물리적 프레임이 그 간격 내에서 전송될지에 종속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예에서, 부분 시간 값 전송 간격은, 명시된 시간 값 이후의 다음 물리적 프레임(예를 들어, 1초 후의 다음 물리적 프레임 등)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부분 시간 값 전송 간격은 프레임 수에 기초할 수 있다(예를 들어, X 프레임마다 부분 시간 값을 전송).
전술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부분 시간 값들은 상이한 계층들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표 4는 링크 계층 패킷에 대한 패킷 타입의 예를 제공한다. 한 예에서, 부분 시간 값은 링크 계층 시그널링 패킷에 포함되거나 예약된 패킷 타입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pct00005
전술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가 시스템 시간을 수신기 디바이스에 통신하기 위하여, 소스 디바이스는 시간의 표현을 수신기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시간의 표현은 마크에서의 시스템 시간에 대응한다. 시간의 표현에 대해 다양한 정밀도가 이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80-비트 나노초 정밀도 또는 32-비트 초 정밀도). 1 초에 10억 나노초가 있기 때문에, 나노초 해상도로 소수점 시간을 확장하기 위해 30-비트가 이용될 수 있다(즉, 230 = 1,073,741,824).
한 예에서, 가능한 나노초 값들(즉, 10억 개의 가능한 나노초 값들)은 더 작은 세트로 제한될 수 있고, 이 더 작은 세트는 30-비트 미만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 예에서, 더 작은 세트는 특정한 나노초 값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비트 코드는 4개의 각각의 나노초 값을 명시할 수 있다. 표 5는 2-비트 코드 및 대응하는 나노초 값들의 예를 제공한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드 값들은 반드시 소정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이격될 필요는 없다.
Figure pct00006
한 예에서, 나노초 값들의 더 작은 세트는 1000 밀리초 경계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10-비트는 1000개 값들 각각을 명시할 수 있다. 이 경우 24개의 예약 값들을 이용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즉, 210 = 1024). 표 6은 밀리초 경계들에서 1000 나노초 값들을 나타내는 10-비트 코드의 예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7
유사한 방식으로, 한 예에서, 나노초 값들의 더 작은 세트는 60초 경계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6-비트 코드는 60개의 값들 각각을 명시할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예약 값들을 이용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즉, 26 = 64). 표 7은 초 경계들에서 60 나노초 값들을 나타내는 6-비트 코드의 예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8
부트스트랩이 전술된 바와 같이 밀리초 값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A/321에서, 두 번째 경계에서의 60 나노초 값들을 나타내는 6-비트 코드가 부적절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두 번째 경계에서 정렬된 부트스트랩만이 정확하게 나노초 정밀도로 시그널링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이한 부분 시간 값들이 시스템 시간을 원하는 정밀도로 재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시간을 재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복수의 상이한 부분 시간 값에 대한 예시적인 구문이 이하의 표 8A 내지 표 10에 예시되어 있다. 표 8A 내지 표 10 각각에서, 필드 "Other_preamble_stuff() AND/OR Other_link_layer_stuff()"는, 예시적인 구문의 전부 또는 일부가 물리적 계층 프리앰블(예를 들어, L1-기본 및 L1-상세) 또는 링크 계층 중 임의의 것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8A 내지 표 11의 예시적인 구문은, 시스템 시간을 전송하기 위한 종래 기술보다, 빠른 취득과 채널 용량 사이의 더 양호한 절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 8A 내지 표 10에 나타낸 예시적인 구문은 방송국에게 full_secondsPTV, fast_secondsPTV, 및 millisecondsPTV 요소들을 전송하는 주파수에 관한 독립적인 제어 및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상황(예를 들면, 비상상황) 하에서, 방송국은 full_secondsPTV의 전송 레이트를 증가시키도록 선택하여, 잠재적으로 fast_secondsPTV에 대한 전송 레이트에 대해 잠재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사는 2개의 물리적 프레임마다 full_secondsPTV, fast_secondsPTV 및 millisecondsPTV 각각에 대한 값을 전송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표 8A]
Figure pct00009
[표 8B]
Figure pct00010
표 8A 및 표 8B에 나타낸 예들에서, slowPTV_present 및 fastPTV_present는, 각각, full_secondsPTV 및 fast_secondsPTV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slowPTV_present 또는 fastPTV_present는 millisecondsPTV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의 예시적 정의는, 예시적인 구문 요소들, full_secondsPTV, fast_secondsPTV, 및 millisecondsPTV에 이용될 수 있다.
full_secondsPTV ― Mark에서 PTP 에포크 초 필드를 나타내는 32-비트 값. 한 예에서 Mark는 이전 부트스트랩의 시작으로서 정의된다. 이것은 48-비트 PTP secondsField의 하위 32-비트(LSB별로(최하위 비트별로))이다.
fast_secondsPTV ― Mark에서 나노초 정밀도까지 부분 초 필드를 나타내는 6-비트 값이다. 한 예에서 Mark는 이전 부트스트랩의 시작으로서 정의된다. Mark에서, 수신기는 48-비트 PTP secondsField 내에 6개의 LSB를 로드해야 한다. 수신기의 48-비트 PTP secondsField의 42개의 MSB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millisecondsPTV ― Mark에서, 절반 밀리초 정밀도로 밀리초 필드를 나타내는 11-비트 값이다. 한 예에서 Mark는 이전 부트스트랩의 시작으로서 정의된다. 한 예에서, Mark에서 수신기는 11-비트 값을 10-비트 값으로 반올림하고, 10-비트를 32-비트 PTP nanosecondsField 내에 로드한다. 수신기의 32-비트 PTP nanosecondsField에 있는 2개의 MSB와 20개의 LSB는 0 값으로 설정된다.
millisecondsPTV의 경우, 나노초 정밀도가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약 2ms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 20개의 LSB는 그대로 두어야 한다.
도 8은, 80-비트 PTP 시간 값이, 예시적인 구문 요소들, full_secondsPTV, fast_secondsPTV 및 millisecondsPTV에 기초하여,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에서 압축되고 수신기 디바이스(102A)에서 압축해제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7과 관련하여, 상이한 부분 시간 값들이 상이한 간격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 예에서, full_secondsPTV는 20 프레임마다 한번 전송될 수 있고, fast_secondsPTV는 2 프레임마다 한번 전송될 수 있고, 및/또는 millisecondsPTV는 2 프레임마다 한번 전송될 수 있다. 물리적 프레임이 50ms마다 전송되는 경우, 이 예는 다음과 같은 전송 주파수들, full_secondsPTV: 1Hz; fast_secondsPTV: 10 Hz; 및 millisecondsPTV: 10 Hz를 제공한다. 도 9는, 이들 주파수들에서 전송되는 slow_secondsPTV, fast_secondsPTV 및 fast_msecondsPTV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100ms마다 80-비트 PTP 시간 값을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요건은 800bps이고, 100ms마다 49-비트 압축 PTP 시간 값을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 요건은 490bps이다. 도 9에 나타낸 예 및 표 8A에 제공된 예시적인 구문에 기초하여, 1Hz에서 full_secondsPTV를, 10Hz에서 fast_secondsPTV를, 및 10Hz에서 millisecondsPTV를 전송하는 것은, 100ms마다 시간 값을 제공하고 233bps의 데이터 채널 요건을 갖는다. 즉, 1Hz에서의 full_secondsPTV의 경우 32bps, 1Hz에서의 millisecondsPTV의 경우 11bps, 10Hz에서의 fast_secondsPTV의 경우 60bps, 10Hz에서의 millisecondsPTV의 경우 110bps, 시그널링 요소들 slowPTV_present 및 fastPTV_present의 경우 20bps가 요구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예 및 표 8B에 제공된 예시적인 구문에 기초하여, 1Hz에서 full_secondsPTV를, 10Hz에서 fast_secondsPTV를, 및 10Hz에서 millisecondsPTV를 전송하는 것은, 100ms마다 시간 값을 제공하고 222bps의 데이터 채널 요건을 갖는다. 즉, 1Hz에서의 full_secondsPTV의 경우 32bps, 10Hz에서의 fast_secondsPTV의 경우 60bps, 10Hz에서의 millisecondsPTV의 경우 110bps, 시그널링 요소들 slowPTV_present 및 fastPTV_present의 경우 20bps가 요구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부분 시간 값 구문 요소들 full_secondsPTV, fast_secondsPTV 및 millisecondsPTV는, 시스템 시간을 전송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보다 신속한 취득과 채널 용량 사이의 더 양호한 절충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예에서, slowPTV_present 및 fastPTV_present 이외의 구문 요소들은, full_secondsPTV, fast_secondsPTV 및 millisecondsPTV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표 9 내지 표 11의 각각은, slowPTV_present 및 fastPTV_present 이외의 구문 요소들이 full_secondsPTV, fast_secondsPTV 및 millisecondsPTV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데 이용되는 예시적인 구문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11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partial_time_present는 millisecondsPTV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고, full_time_present는 full_secondsPTV 또는 fast_secondsPTV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예 및 표 9에 제공된 예시적인 구문에 기초하여, 1Hz에서 full_secondsPTV를, 10Hz에서 fast_secondsPTV를, 및 10Hz에서 millisecondsPTV를 전송하는 것은, 100ms마다 시간 값을 제공하고 222bps의 데이터 채널 요건을 갖는다. 즉, 1Hz에서의 full_secondsPTV의 경우 32bps, 10Hz에서의 fast_secondsPTV의 경우 60bps, 10Hz에서의 millisecondsPTV의 경우 110bps, 시그널링 요소들 partial_time_present 및 full_time_present의 경우 20bps가 요구된다.
또 다른 예에서, 시간이 미리정의된 패턴으로 물리적 프레임의 프리앰블에서 시그널링된다는(예를 들어, 하나 걸러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에서 전송되거나, 매 3번째 데이터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등) 가정에 기초한 구문 요소들은, full_secondsPTV, fast_secondsPTV 및 millisecondsPTV 중 하나 이상이 있는지를 나타낸다. 한 예에서,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비트(즉, TimeFormat)는 부분 시간(즉, millisecondsPTV 및 fast_secondsPTV) 또는 풀 타임(즉, millisecondsPTV 및 full_secondsPTV)이 존재하는지를 시그널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12
도 9에 나타낸 예 및 표 10에 제공된 예시적인 구문에 기초하여, 1Hz에서 full_secondsPTV를, 10Hz에서 fast_secondsPTV를, 및 10Hz에서 millisecondsPTV를 전송하는 것은, 100ms마다 시간 값을 제공하고 212bps의 데이터 채널 요건을 갖는다. 즉, 1Hz에서의 full_secondsPTV의 경우 32bps, 10Hz에서의 fast_secondsPTV의 경우 60bps, 10Hz에서의 millisecondsPTV의 경우 110bps, 시그널링 요소 TimeFormat의 경우 10bps가 요구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링크 계층은 MPEG-TS 네트워크 패킷의 캡슐화를 지원할 수 있다. MPEG-TS는 시간 값들을 포함한다. 한 예에서, (예를 들어, 물리적 프레임 프리앰블에 포함된) 1-비트 필드는 MPEG-TS 모드를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1-비트 필드가 MPEG-TS를 표시할 때, 물리적 프레임 프리앰블 내의 구문 요소, 예를 들어, Num_TS_in_frame은, 프레임 내에 포함된 MPEG-TS 타입 링크 계층 패킷의 수를 제공할 수 있고, 각각의 MPEG-TS 타입 링크 계층 패킷에 대해, 8-비트 GPS_UTC_offset을 표시하는 slowPTV 값 및 32-비트 system_time을 표시하는 부분 시간 값이 포함될 수 있다. 한 예에서, GPS_UTC_offset은, United States Naval Observatory의 마스터 클록(Master Clock) 및 UTC 시간 표준을 참조할 수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s) 표준들 사이의 전체 초에서의 현재 오프셋을 정의할 수 있다.
한 예에서, GPS_UTC_offset은, GPS와 UTC 시간 표준 사이의 전체 초 단위의 curreNt 오프셋을 정의하는 8-비트 부호없는 정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system_time은 현재의 시스템 시간을 1980년 1월 6일 00:00:00 UTC 이후의 초 수로서 나타내는 32-비트 부호없는 정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텔레비전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106)는, (예를 들어, 상이한 계층들에서의) 물리적 프레임들 내의 상이한 지점들에서 및/또는 상이한 프레임들에서 하나 이상의 부분 시간 값들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8-비트 GPS_UTC_offset을 표시하는 부분 시간 값과 32-비트 system_time을 표시하는 부분 시간 값 각각은, 하나 이상의 다른 PTV 값(예를 들어, 프레임 프리앰블 내의 나노초 부분 시간)과 결합되어 시스템 시간을 생성한다. 또한, 8-비트의 GPS_UTC_offset 및 32-비트의 system_time이 MPEG-TS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들은, 8-비트의 GPS_UTC_offset을 표시하는 부분 시간 값과 32-비트의 system_time을 표시하는 부분 시간 값으로서 물리적 프레임 프리앰블 및/또는 링크 계층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수신기 디바이스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수신기 디바이스(700)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한 예이다.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 수신기 디바이스(700)는, 예를 들어 전술된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 등의,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 수신기 디바이스(700)는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수신기 디바이스(700)는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104)를 통해 단순히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통신 네트워크들의 임의의 조합 및 모든 조합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기 디바이스(700)는, 중앙 처리 유닛(들)(702), 시스템 메모리(704), 시스템 인터페이스(710), 데이터 추출기(712), 오디오 디코더(714), 오디오 출력 시스템(716), 비디오 디코더(718), 디스플레이 시스템(720), I/O 디바이스(7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24)를 포함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 메모리(704)는 운영 체제(706) 및 애플리케이션(708)을 포함한다. CPU(들)(702), 시스템 메모리(704), 시스템 인터페이스(710), 데이터 추출기(712), 오디오 디코더(714), 오디오 출력 시스템(716), 비디오 디코더(718), 디스플레이 시스템(720), I/O 디바이스(7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24) 각각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DSP, ASIC, FPGA, 이산 로직,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의 다양한 적절한 회로 중 임의의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수신기 디바이스(700)가 별개의 기능 블록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예시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수신기 디바이스(700)를 특정한 하드웨어 아키텍처로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수신기 디바이스(700)의 기능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CPU(들)(702)는 수신기 디바이스(700)에서의 실행을 위한 기능성 및/또는 처리 명령어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PU(들)(702)는 단일 및/또는 멀티 코어 중앙 처리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CPU(들)(702)는 여기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명령어, 코드 및/또는 데이터 구조를 회수하고 처리할 수 있다. 명령어들은, 시스템 메모리(704) 등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704)는 비일시적인 또는 유형의(tangible)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기술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시스템 메모리(704)는 임시적 및/또는 장기적 저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시스템 메모리(704) 또는 그 일부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기술될 수 있고, 다른 예에서는 시스템 메모리(704)의 일부는 휘발성 메모리로서 기술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704)는 동작 동안에 수신기 디바이스(70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704)는, CPU(들)(702)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프로그램 실행 동안에 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수신기 디바이스(700)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디바이스(700)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일부로서 포함되는 예에서, 시스템 메모리(704)는 복수의 비디오 파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메모리(704)는, 칩-대-칩 데이터 전송 및 통신에 이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80-비트 PTP 값은 내부 레지스터들의 어레이로서 저장될 수 있다. 상이한 PTV들이 수신기 디바이스(700)에 도달할 때, PTV들은 레지스터들의 80-비트 어레이의 상이한 부분들 내에 로드될 수 있다. 수신기 디바이스(700)의 다른 컴포넌트들은, 80-비트 PTP의 전체 또는 그 일부를 시스템 클록으로서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708)은, 수신기 디바이스(700) 내에 구현되거나 수신기 디바이스(700)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수신기 디바이스(700)의 컴포넌트들 내에 구현되거나 포함될 수 있고, 이들에 의해 동작가능하며, 및/또는 이들에 동작적으로/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708)은 수신기 디바이스(700)의 CPU(들)(702)로 하여금 특정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708)은 for-loops, while-loop, if-statement, do-loop 등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문장으로 표현되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708)은 명시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개발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예로서는, Java™, Jini™, C, C++, Objective C, Swift, Perl, Python, PhP, UNIX 쉘, Visual Basic 및 Visual Basic Script가 포함된다. 수신기 디바이스(700)가 스마트 텔레비전을 포함하는 예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은 텔레비전 제조자 또는 방송업자에 의해 개발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708)은 운영 체제(706)와 연계하여 실행될 수 있다. 즉, 운영 체제(706)는, 애플리케이션(708)과 CPU(들)(702) 및 수신기 디바이스(700)의 기타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과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영 체제(706)는, 셋탑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텔레비전 등에 설치되도록 설계된 운영 체제일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들의 임의의 조합 및 모든 조합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710)는 수신기 디바이스(700)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시스템 인터페이스(710)는, 데이터가 하나의 피어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피어 디바이스로 또는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게 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인터페이스(710)는, AGP(Accelerated Graphics Port) 기반 프로토콜, PCI Special Interest Group에 의해 유지되는 PCI Express™ (PCIe) 버스 명세 등의,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 기반 프로토콜, 또는 피어 디바이스들을 상호접속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기타 임의의 형태의 구조(예를 들어, 독점적 버스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칩셋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수신기 디바이스(700)는,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선택사항으로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서비스 네트워크는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통신 표준은, 예를 들어, 물리적 시그널링, 어드레싱, 채널 액세스 제어, 패킷 속성, 및 데이터 처리 등의 통신 속성(예를 들어, 프로토콜 계층)을 정의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 데이터 추출기(712)는 신호로부터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호는, 예를 들어, DVB 표준, ATSC 표준, ISDB 표준, DTMB 표준, DMB 표준 및 DOCSIS 표준의 양태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데이터 추출기(712)는, 전술된 서비스 배포 엔진(200)에 의해 생성된 신호로부터 비상상황 경고 서비스 메시지를 포함하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추출기(712)는 서비스 배포 엔진(200)에 대한 역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데이터 추출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데이터 추출기(800)는 PTV들을 포함하는 신호를 파싱(parse)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예에서, 데이터 추출기(800)는, 튜너(802), 프리앰블 추출기(804), 페이로드 추출기(806), 주파수 디인터리버(808), 디프레이머(810), 시간 디인터리버(812), 및 PLP 추출기(814)를 포함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예에서, 데이터 추출기(800)는, 상위 계층 계층적 분할 멀티플렉싱(LDM;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및 하위 LDM 계층에 대응하는, 각각의 디맵퍼(816A-816B), 멀티플렉서(818A-818B), 비트 디인터리버(BDI)(819A-819B), FEC 디코더(820A-820B), 버퍼(822A-822B), 및 데이터 추출기(824A-824B)를 포함한다.
튜너(802)는 RF 채널(예를 들어, 6MHz)에 동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튜너(802)는 부트스트랩(예를 들어, 4.5 MHz 부트스트랩)에 동조함으로써 파형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튜너(802)는 부트스트랩으로부터 심벌들을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부트스트랩은, 발견, 동기화, 주파수 오프셋 추정, 및 초기 채널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부트스트랩 신호는 시스템 시간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프리앰블 추출기(804)는 물리적 계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을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페이로드 추출기(806)는 물리적 계층 프레임으로부터 페이로드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페이로드는 PLP를 포함할 수 있고 PLP는 비상상황 서비스 메시지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디인터리버(808)는, 전술된 주파수 인터리버(406)에 의해 수행되는 주파수 인터리빙 기술에 대해 역 방식으로 주파수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프레이머(810)는 전술된 프레임 생성기(404)에 의해 생성된 프레임들 내에 배치된 심벌들을 수신하고 디프레이밍 기술을 수행하여 셀들을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간 디인터리버(812)는 전술된 시간 인터리버(402)에 의해 수행되는 시간 인터리빙 기술에 대해 역 방식으로 시간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LP 추출기(814)는 PLP 셀들을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대응하는 계층에 대해, 디맵퍼(816A-816B)는 변조 방식에 따라 정의된 성상군을 비트들의 서브스트림에 맵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멀티플렉서(818A-818B)는 비트들의 서브스트림들을 비트들의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BDI(819A-819B)는 서비스 배포 엔진(200)에 의해 수행되는 비트 인터리빙 기술에 대해 역 방식으로 비트 디인터리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FEC 디코더들(820A-820B)은 PLP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FEC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기(824A-824B)는, 데이터 패킷, 예를 들어, 오디오, 비디오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들을 시스템 인터페이스(7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데이터 패킷은, CPU(들)(702), 오디오 디코더(714), 및 비디오 디코더(718)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오디오 디코더(714)는 오디오 패킷을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디코더(714)는 메시징된 비상상황 경고와 관련된 오디오 콘텐츠가 렌더링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더(714)는 오디오 코덱의 양태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오디오 디코더(714)는, 오디오 패킷을 수신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렌더링을 위해 오디오 출력 시스템(716)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는, Dolby 및 Digital Theater Systems에서 개발된 것들 등의 다중-채널 형식을 이용하여 코딩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압축 포맷을 이용하여 코딩될 수 있다. 오디오 압축 포맷의 예로서는, MPEG 포맷, AAC(Advanced Audio Coding) 포맷, DTS-HD 포맷, 및 AC-3 포맷이 포함된다. 오디오 출력 시스템(716)은 오디오 데이터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시스템(716)은, 오디오 프로세서, 디지털-대-아날로그 변환기, 증폭기, 및 스피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시스템은, 헤드폰, 통합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 멀티-스피커 시스템, 또는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등의 다양한 스피커 시스템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718)는 비디오 패킷을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디코더(718)는 비디오 코덱의 양태들을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비디오 디코더(718)는, ITU-T H.262 또는 ISO/IEC MPEG-2 Visual, ISO/IEC MPEG-4 Visual, (ISO/IEC MPEG-4 AVC라고도 알려진) ITU-T H.264, 및 HEVC(High-Efficiency Video Coding) 등의, 임의의 개수의 비디오 압축 표준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720)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데이터를 회수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시스템(720)은 비디오 디코더(718)로부터 픽셀 데이터를 수신하고 시각적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시스템(720)은, 비디오 데이터,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계하여, 그래픽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시스템(720)은, 비상상황 경보 메시지와 연관된 이미지 및 텍스트가 사용자에게 프리젠팅되게 하도록 (예를 들어, 날씨 맵이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게 하거나 및/또는 스크롤링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720)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에게 비디오 데이터를 프리젠팅할 수 있는 또 다른 타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표준 해상도 콘텐츠, 고선명 콘텐츠, 또는 초고화질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O 디바이스(들)(722)는, 수신기 디바이스(700)의 동작 동안에 입력을 수신하고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I/O 디바이스(들)(722)는 사용자로 하여금 렌더링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입력은, 예를 들어, 푸시-버턴 원격 제어기, 터치 감지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움직임-기반 입력 디바이스, 오디오-기반 입력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기타 임의의 타입의 입력 디바이스 등의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I/O 디바이스(들)(722)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프로토콜, Bluetooth, ZigBee, 또는 예를 들어, 전용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과 같은 전용 통신 프로토콜 등의,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기 디바이스(700)에 동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24)는 수신기 디바이스(700)가 근거리 통신망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24)는, Ethernet 카드, 광 트랜시버, RF 트랜시버, 또는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기타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 등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24)는,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물리적 및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에 따라 물리적 시그널링, 어드레싱, 및 채널 액세스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비상상황 경고 메시지는 URL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24)는 수신기 디바이스가 URL과 연관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비상상황 경고 메시지들에 관하여 기술들이 설명되었지만,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수신기 디바이스(70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메시지(예를 들어, XML 대화형 광고 콘텐츠)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어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전송될 수 있고 하드웨어-기반 처리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데이터 저장 매체 등의 유형 매체, 또는, 예를 들어,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한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에 대응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일반적으로, (1) 비일시적인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2) 신호 또는 반송파 등의 통신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매체는,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된 기술들의 구현을 위한 명령어들, 코드 및/또는 데이터 구조를 회수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컴퓨터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의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기타의 자기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어나 데이터 구조 형태로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기타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은 적절하게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라고 명명된다. 예를 들어, 명령어들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인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 등의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기타의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인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 등의 무선 기술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그러나,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및 데이터 저장 매체는, 접속, 반송파, 신호, 또는 다른 일시적인 매체를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에, 비일시적인, 유형의 저장 매체와 관련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디스크(disk 및 disc)는 컴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범용 디스크(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대개 디스크(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는 데이터를 레이저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은 또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DSP,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기타의 균등한 집적 또는 개별 논리 회로 등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프로세서"란, 전술된 구조 또는 여기에 설명된 기술의 구현에 적합한 기타 임의의 구조를 말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양태에서, 여기서 설명된 기능은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해 구성된 전용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내에 제공되거나, 결합된 코덱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들은 하나 이상의 회로 또는 로직 요소에서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들은, 무선 핸드셋, 집적 회로(IC) 또는 IC 세트(예를 들어, 칩 세트)를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 또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본 기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의 기능적 양태를 강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에서는 다양한 컴포넌트, 모듈 또는 유닛이 설명되지만, 반드시 상이한 하드웨어 유닛에 의한 구현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전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유닛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연계하여, 코덱 하드웨어 유닛에서 결합되거나 전술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동 하드웨어 유닛들의 집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들 각각에서 이용된 기지국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비디오 디코더 및 비디오 인코더)의 각각의 기능 블록 또는 다양한 피쳐들은, 전형적으로 집적 회로 또는 복수의 집적 회로인, 회로에 의해 구현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회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또는 범용 애플리케이션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 개별 게이트들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또는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거나, 대안으로서 프로세서는,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전술된 범용 프로세서 또는 각각의 회로는 디지털 회로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현재의 집적 회로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 제작 기술이 출현하면, 이 기술에 의한 집적 회로도 역시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이 설명되었다. 이들 및 다른 예들은 하기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다.

Claims (20)

  1. 시스템 시간을 시그널링하는 방법으로서,
    물리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의 시스템 시간을, 특정한 정밀도로 상기 시스템 시간을 재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복수의 상이한 부분 시간 값을 이용하여 에포크(epoch) 이후의 지속시간을 표시하는 값으로서 시그널링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상이한 부분 시간 값은 초 부분 시간 값, 밀리초 부분 시간 값, 마이크로초 부분 시간 값 및 나노초 부분 시간 값을 포함함 ―; 및
    0 이상의 부분 시간 값이 상기 물리 계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존재하는지를 표시하는 구문 요소(syntax element)를 시그널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초 부분 시간 값은 상기 마크에서의 에포크 초를 나타내는 32-비트 값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 부분 시간 값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레임을 적어도 5초마다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밀리초 부분 시간 값은 32-비트 정밀 시간 프로토콜 나노초 필드(precision time protocol nanosecond field)의 10-비트에 대한 값들을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마크는 상기 물리 프레임의 부트스트랩에 포함된 제1 심벌의 방출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6. 시스템 시간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물리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의 시스템 시간을, 특정한 정밀도로 상기 시스템 시간을 재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복수의 상이한 부분 시간 값을 이용하여 에포크 이후의 지속시간을 표시하는 값으로서 시그널링하고 ― 상기 복수의 상이한 부분 시간 값은 초 부분 시간 값, 밀리초 부분 시간 값, 마이크로초 부분 시간 값 및 나노초 부분 시간 값을 포함함 ―;
    0 이상의 부분 시간 값이 상기 물리 계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존재하는지를 표시하는 구문 요소를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초 부분 시간 값은 상기 마크에서의 에포크 초를 나타내는 32-비트 값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초 부분 시간 값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레임을 적어도 5초마다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밀리초 부분 시간 값은 32-비트 정밀 시간 프로토콜 나노초 필드의 10-비트에 대한 값들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10. 제6항에 있어서,
    마크는 상기 물리 프레임의 부트스트랩에 포함된 제1 심벌의 방출 시간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1. 시스템 시간을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0 이상의 부분 시간 값이 물리 계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존재하는지를 표시하는 구문 요소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프리앰블에 존재하는 복수의 상이한 부분 시간 값을 파싱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상이한 부분 시간 값은 초 부분 시간 값, 밀리초 부분 시간 값, 마이크로초 부분 시간 값 및 나노초 부분 시간 값을 포함함 ―; 및
    상기 물리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의 시스템 시간을, 상기 복수의 상이한 부분 시간 값을 이용하여 에포크 이후의 지속시간을 표시하는 값으로서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초 부분 시간 값은 상기 마크에서의 에포크 초를 나타내는 32-비트 값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밀리초 부분 시간 값은 32-비트 정밀 시간 프로토콜 나노초 필드의 10-비트에 대한 값들을 제공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마크는 상기 물리 프레임의 부트스트랩에 포함된 제1 심벌의 방출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이벤트를 상기 시스템 시간에 대해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시스템 시간을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0 이상의 부분 시간 값이 물리 계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존재하는지를 표시하는 구문 요소를 파싱하고;
    상기 프리앰블에 존재하는 복수의 상이한 부분 시간 값을 파싱하고 ― 상기 복수의 상이한 부분 시간 값은 초 부분 시간 값, 밀리초 부분 시간 값, 마이크로초 부분 시간 값 및 나노초 부분 시간 값을 포함함 ―;
    상기 물리 계층 프레임과 연관된 마크에서의 시스템 시간을, 상기 복수의 상이한 부분 시간 값을 이용하여 에포크 이후의 지속시간을 표시하는 값으로서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초 부분 시간 값은 상기 마크에서의 에포크 초를 나타내는 32-비트 값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8. 제16항에 있어서,
    밀리초 부분 시간 값은 32-비트 정밀 시간 프로토콜 나노초 필드의 10-비트에 대한 값들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19. 제16항에 있어서,
    마크는 상기 물리 프레임의 부트스트랩에 포함된 제1 심벌의 방출 시간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이벤트를 상기 시스템 시간에 대해 정렬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KR1020187001315A 2015-08-14 2016-08-10 시간 표현들을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954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05564P 2015-08-14 2015-08-14
US62/205,564 2015-08-14
US201562210859P 2015-08-27 2015-08-27
US62/210,859 2015-08-27
PCT/JP2016/003703 WO2017029794A1 (en) 2015-08-14 2016-08-10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time represent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750A true KR20180018750A (ko) 2018-02-21
KR101954040B1 KR101954040B1 (ko) 2019-06-11

Family

ID=5805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315A KR101954040B1 (ko) 2015-08-14 2016-08-10 시간 표현들을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94185B2 (ko)
KR (1) KR101954040B1 (ko)
CN (1) CN108028952B (ko)
CA (1) CA2992400C (ko)
MX (1) MX2018001112A (ko)
WO (1) WO20170297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5154B2 (en) 2018-12-21 2023-11-21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Receiver and control method for recei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974A1 (en) 2015-02-13 2016-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777215B1 (ko) 2015-02-13 201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A2999689A1 (en) * 2015-09-30 2017-04-06 Sony Corporatio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TWI756194B (zh) * 2015-11-25 2022-03-0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資料處理裝置及資料處理方法
EP3389216A4 (en) * 2015-12-10 2019-01-09 Sony Corporat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JPWO2017195668A1 (ja) * 2016-05-13 2019-03-14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WO2017204369A1 (ko) * 2016-05-24 2017-11-30 엘지전자(주)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CN110167130A (zh) * 2018-02-13 2019-08-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间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
US11743366B1 (en) * 2020-10-13 2023-08-29 Marvell Asia Pte Ltd Communication of sensor data in a motor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442A (ko) * 2009-04-15 2010-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20100114441A (ko) * 2009-04-15 2010-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신호 송수신방법 및 방송신호 송수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9817B2 (en) * 2007-02-01 2012-04-03 Rohde & Schwarz Gmbh & Co. Kg Systems,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TSC interoperability
US7860125B2 (en) * 2008-01-28 2010-12-28 Cisco Techology, Inc. Flexible time stamping
BRPI0909301A2 (pt) * 2008-03-10 2017-09-19 Nortel Networks Ltd Métodos para sinalização de controle para sistemas sem fio
FR2930396A1 (fr) * 2008-04-21 2009-10-23 Thomson Licensing Sas Marquage temporel associe a une synchronisation d'equipements connectes a un reseau
KR101781193B1 (ko) * 2010-12-21 2017-09-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망에서 노드들에게 시간 동기 전달을 지원하는 통신 방법
JP2012186746A (ja) * 2011-03-08 2012-09-27 Sony Corp 映像送信装置、映像送信装置の制御方法、映像受信装置および映像受信装置の制御方法
CN103516454B (zh) * 2012-06-20 2017-11-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时钟同步方法、装置及通信设备
US9300421B2 (en) * 2013-03-14 2016-03-29 Altera Corporation Methods to achieve accurate time stamp in IEEE 1588 for system with FEC encoder
CN104113517A (zh) * 2013-04-22 2014-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时间戳生成方法、装置及系统
WO2015075880A1 (ja) * 2013-11-22 2015-05-2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WO2017026248A1 (ja) * 2015-08-07 2018-06-14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442A (ko) * 2009-04-15 2010-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20100114441A (ko) * 2009-04-15 2010-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신호 송수신방법 및 방송신호 송수신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tandard, A. T. S. C. "A/321, System Discovery and Signaling, document A/321." Adv. Televis. Syst. Committee, Washington, DC, USA (201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5154B2 (en) 2018-12-21 2023-11-21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Receiver and control method for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92400C (en) 2020-01-07
CN108028952B (zh) 2020-12-11
MX2018001112A (es) 2018-03-26
KR101954040B1 (ko) 2019-06-11
US10194185B2 (en) 2019-01-29
US20180213270A1 (en) 2018-07-26
CN108028952A (zh) 2018-05-11
CA2992400A1 (en) 2017-02-23
WO2017029794A1 (en)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040B1 (ko) 시간 표현들을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69600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KR102151590B1 (ko) 상위 계층 정보의 링크 계층 시그널링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6262880B2 (ja) 放送伝送装置、放送受信装置、放送伝送装置の動作方法及び放送受信装置の動作方法
US20190268397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broadcast content via one or more networks
US11057684B2 (en) Broadcast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60147841A (ko)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CN106464978B (zh) 服务指南信息发送方法、服务指南信息接收方法、服务指南信息发送装置、以及服务指南信息接收装置
US119497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a link layer packet structure
US20170055025A1 (en) Broadcast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operation method of the broadcast transmiss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US20160301954A1 (en) Broadcast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901413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of an identifier of a data channel
JP2017508326A (ja) 放送伝送装置、放送伝送装置の動作方法、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装置の動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