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739A -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739A
KR20180017739A KR1020160102039A KR20160102039A KR20180017739A KR 20180017739 A KR20180017739 A KR 20180017739A KR 1020160102039 A KR1020160102039 A KR 1020160102039A KR 20160102039 A KR20160102039 A KR 20160102039A KR 20180017739 A KR20180017739 A KR 20180017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creen
hospital
service serv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907B1 (ko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강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강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강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10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9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F17/28
    • G06F19/3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및 사용자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병원들의 정보 포함하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중 상기 입력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병원의 진료 예약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선택된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진료 예약 완료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진료 예약 완료 화면 표시 과정;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의 병원의 위치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선택된 병원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 표시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MEDICAL SUPPORT SYSTEM AND APPLICATION FOR FOREIGNERS}
본 발명은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국가에 체류 중이며 해당 국가에서 외국인을 위한 보험 가입 상품에 가입한 외국인에게 병원 예약부터 보험금 지급까지 서비스할 수 있는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국가에 체류 중인 외국인이 해당 국가에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목적으로 외국인을 위한 개인 또는 단체 보험 상품에 가입하는 일이 일상화되었다. 이에 따라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에서는 외국인이 의료 서비스를 받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안내 데스크 설치 및 통역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한편, 외국인이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선 자신의 병증과 관련된 전문 의료진이 속한 병원을 먼저 검색해야 한다. 그 후, 검색된 병원에 홈페이지 또는 유선 연락을 통해 자신의 병증에 관한 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진료과의 전문 의료진의 일정에 맞춰 진료 예약을 완료해야 한다. 이에 외국인은 병원 진료 예약 과정에서 언어 소통 및 행정 절차의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외국인이 진료비의 수납을 완료한 후 자신이 가입한 보험 상품에 혜택을 받기 위해 병원으로부터 서류를 발급받고, 보험금 수령을 위한 행정적 서류를 작성하고 발송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외국인이 자신의 병증에 관련된 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전문 의료진을 구비한 병원을 손쉽게 찾아 진료 예약을 완료할 수 있는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외국인이 가입한 보험 상품의 대한 혜택을 받기 위해 보험금을 청구 시 행정적 절차를 간략하게 처리할 수 있는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KR 10-2009-0056386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정 국가에 체류 중인 외국인이 자신의 병증에 관한 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병원 및 전문 의료진을 선택하여 진료 예약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특정 국가에 체류 중이며 의료 지원 혜택을 받는 외국인 보험 상품에 가입된 외국인이 병원에서 진료비를 수납한 후 보험금을 수령하기 위한 행정적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및 사용자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병원들의 정보 포함하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중 상기 입력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병원의 진료 예약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진료 예약 완료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의 병원의 위치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화면-제1 언어의 병증 텍스트 정보를 제2 언어로 변환된 병증 텍스트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보험 혜택 정보 화면-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외국인이 가입된 보험의 혜택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 전자 장치, 병원 서버 및 보험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병증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와 구비된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병증 키워드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두 개의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고,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병원 정보로부터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두 개의 키워드 정보 및 상기 수신 받은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병원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병원 정보로부터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병원 선택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병원 정보로부터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두 개의 키워드 정보 및 상기 획득된 병원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진료 예약 완료 정보가 획득되면, 진료 예약 완료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 정보로부터 상기 획득된 병원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병원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정보를 참조하여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1 언어의 병증 텍스트 정보를 제2 언어로 변환하여 변환된 병증 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환된 병증 텍스트 정보로부터 번역된 병증 텍스트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진료비 수납 완료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진료비 수납 완료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를 참조하여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차 회원 입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 중 상기 획득된 제1 차 회원 입력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정보가 있는 경우, 제1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획득된 진료비 수납 완료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차 회원 입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 중 상기 획득된 제2 차 회원 입력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정보가 있는 경우, 제2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며, 보험 혜택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로부터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정보로부터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는, 아이디와 패스워드 정보, 패턴 잠금 화면과 패턴을 풀기 위한 드래그 정보, 서명 정보 및 필적의 유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회원-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외국인- 필적 정보와 랜덤으로 제공되는 필적 입력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의 지문 정보, 적어도 한쪽 눈의 홍채 이미지 정보 및 회원-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외국인-의 얼굴과 양쪽 귀가 보이는 페이스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및 사용자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병원들의 정보 포함하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중 상기 입력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병원의 진료 예약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선택된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진료 예약 완료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진료 예약 완료 화면 표시 과정;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의 병원의 위치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선택된 병원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 표시 과정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병증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병증 텍스트 정보 획득 과정; 상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병증 텍스트 정보 전송 과정; 및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현재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표시 과정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정보-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 받는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정보 획득 과정;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병원 선택 신호-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에 표시된 복수 개의 병원들 중 하나의 병원을 선택하는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병원 선택 신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병원 선택 신호 전송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정보를 수신 받는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정보 획득 과정; 상기 획득된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정보에 따라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표시 과정;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진료 예약 입력 정보-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창에서 요구하는 입력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진료 예약 입력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진료 예약 입력 정보 획득 및 전송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화면-제1 언어의 병증 텍스트 정보를 제2 언어로 변환된 병증 텍스트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번역된 병증 텍스트 정보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1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보험 혜택 정보 화면-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외국인이 가입된 보험의 혜택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가입된 보험 혜택 정보 화면 표시 과정;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화면 표시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언어는,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인 외국인이 사용하는 언어 또는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 설정된 언어와 동일한 언어일 수 있다.
상기 제2 언어는,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인 외국인이 체류 중인 특정 국가의 언어 또는 전문 의료진-병원 진료 예약되어 상기 외국인에게 의료 서비스하는 전문 의료진-이 사용하는 언어일 수 있다.
상기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표시 과정 이전에,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 전송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유효한 정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1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를 수신 받는 제1 차 회원 확인 신호 획득 과정;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를 수신 받는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 획득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는, 아이디와 패스워드 정보, 패턴을 풀기 위한 드래그 정보, 서명 정보 및 필적의 유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회원-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외국인- 필적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표시 과정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 전송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유효한 정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2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를 수신 받는 제2 차 회원 확인 신호 획득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의 지문 정보, 적어도 한쪽 눈의 홍채 이미지 정보 및 회원-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외국인-의 얼굴과 양쪽 귀가 보이는 페이스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특정 국가에 체류 중인 외국인이 자신의 병증에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 병원 및 전문 의료진을 검색한 후 특정 병원의 사이트 방문 또는 유선 통화를 통해 진료 예약을 수행해야 했던 번거로움 없이 사용자 전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병원 진료 예약을 언어의 장벽 없이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특정 국가에 체류 중이며, 해당 국가의 의료 관련 혜택이 있는 보험 상품에 가입된 외국인이 병원을 방문하여 의료 지원을 받고, 진료비를 수납한 경우, 해당 외국인은 번거로운 행정적 절차 없이 사용자 전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보험 보상금을 용이하게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특정 국가에 체류 중이며, 해당 국가의 의료 관련 혜택이 있는 보험 상품에 가입된 외국인이 병원을 방문하여 의료 지원을 받고, 진료비를 수납한 후 보험금 지급을 요청할 경우, 해당 보험 상품을 운영 및 회원 관리를 담당하는 서비스 서버는 실제 보험을 가입한 회원과 보험금 지급을 청구한 회원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및 제2 과정들을 수행하여 보험금 부정 수급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서버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전자 장치의 진료 예약에 관한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전자 장치의 보험 보상금에 관한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는 서비스 서버의 진료 예약에 관한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는 서비스 서버의 보험 보상금에 관한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400)은 사용자 전자 장치(100), 네트워크망(200) 및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전자 장치(100)는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네트워크망(200)과 연결된 서비스 서버(300)와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동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먼저, 특정 국가에 체류 중이 외국인은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전자 장치(100)를 통해 앱스토어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저장부에 설치할 수 있다.
그 후, 특정 국가에 체류 중인 외국인의 건강에 이상이 생긴다면, 사용자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언어의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자신의 병증에 관한 의료 지원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의료진이 속한 병원을 검색하여 진료 예약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국가에 체류 중이며, 해당 국가에서 판매중인 외국인을 위한 개인/단체 보험 상품(의료 혜택을 지원하는 보험 상품)에 가입된 외국인이 진료 예약한 병원을 방문할 경우, 언어의 어려움 없이 자신의 병증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문 의료진에게 설명하여 해당 병증에 대한 정확한 의료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진료비를 수납한 외국인은 사용자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보험금 이 자신이 가입한 보험 상품에 따른 보험금 수령을 요청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기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전자 장치의 진료 예약에 관한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미도시)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이-병증에 관한 텍스트 정보를 입력 할 수 있는 창을 포함하는 화면-구비된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 표시 과정(S301)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가 수행하는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 표시 과정(S301)은 다음과 같은 과정들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면, 제어부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병증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병증 텍스트 정보 획득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망(200)과 연결된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는 병증 텍스트 정보 전송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현재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획득된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및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병원들의 정보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표시 과정(S302)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는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제공 과정(S302)을 수행하기 이전에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정보-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 받는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정보 획득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선택된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중 구비된 입력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병원의 진료 예약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선택된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표시 과정(S303)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는 선택된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표시 과정(S303)을 수행하기 이전에 다음과 같은 과정들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정보-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 받는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정보 획득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병원 선택 신호-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에 표시된 복수 개의 병원들 중 하나의 병원을 선택하는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병원 선택 신호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는 병원 선택 신호 전송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정보를 수신 받는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정보 획득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획득된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정보에 따라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표시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창에서 요구하는 입력 값을 나타내는 진료 예약 입력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진료 예약 입력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는 진료 예약 입력 정보 획득 및 전송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획득된 진료 예약 완료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진료 예약 완료 화면 표시 과정(S304)를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획득된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로부터 선택된 병원의 위치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선택된 병원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 표시 과정(S305)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는 선택된 병원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 표시 과정(S305)을 수행하기 이전에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선택된 병원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 정보를 수신 받는 선택된 병원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 정보 획득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전자 장치의 보험 보상금에 관한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언어는 외국인이 사용하는 언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언어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 설정된 언어와 동일한 언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언어는 외국인이 체류 중인 특정 국가의 언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언어는 병원 진료 예약되어 외국인에게 의료 서비스하는 전문 의료진이 사용하는 언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화면-제1 언어의 병증 텍스트 정보를 제2 언어로 변환된 병증 텍스트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번역된 병증 텍스트 정보 화면 표시 과정(S401)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는 번역된 병증 텍스트 정보 화면 표시 과정(S401)을 수행하기 이전에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번역된 병증 텍스트 화면 정보- 번역된 병증 텍스트 정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를 수신 받는 번역된 병증 텍스트 화면 정보 획득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1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표시 과정(S402)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는 제1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표시 과정(S402)을 수행하기 이전에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1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제1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 받는 제1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 획득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 2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표시 과정(S403)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는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표시 과정(S403)을 수행하기 이전에 다음과 같은 과정들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가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서버에 구비된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1차 회원 확인 정보들 중 사용자 전자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와 일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획득되는 정보-획득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는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 전송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가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유효한 정보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1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를 수신 받는 제1 차 회원 확인 신호 획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 받는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 획득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표시 과정(S403)을 수행한 후,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서버에 구비된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2차 회원 확인 정보들 중 사용자 전자장치(100)에 대응하는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와 일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획득되는 정보-획득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는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 전송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가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유효한 정보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2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를 수신 받는 제2 차 회원 확인 신호 획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보험 혜택 정보 화면-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외국인)가 가입된 보험의 혜택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가입된 보험 혜택 정보 화면 표시 과정(S404)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는 가입된 보험 혜택 정보 화면 표시 과정(S404)을 수행하기 이전에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가입된 보험 혜택 화면 정보를 수신 받는 가입된 보험 혜택 화면 정보 획득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획득된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화면 표시 과정(S405)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3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1) 및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망(20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서버-병원 서버(미도시) 또는 보험사 서버(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21)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병증 키워드 정보(322), 병원 정보(323), 언어 정보(324),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325) 및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326)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증 키워드 정보(322)는, 병증별로 신체 부위 단어 및 병증 표현 단어들로 구성되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위 단어는, 병증이 발생한 신체적 부위를 특정할 수 있는 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증 표현 단어는, 병증의 현상 또는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정보(323)는, 특정 국가 내에 소재한 각각의 병원의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 병원별 약도 정보, 각각의 병원에 대응하는 교통 수단별 이동 경로 정보, 병원의 각각의 진료과에서 진료하는 병명의 종류를 설명하는 진료과별 설명 정보, 각각의 진료과에 소속된 전문 의료진별 진료 가능한 병명 정보 및 각각의 전문 의료진에 대한 진료 예약이 가능한 일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정보(324)는, 제1 언어와 제2 언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정보(324)의 제1 언어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를 소지한 외국인이 사용하는 언어 및 사용자 전자 장치(100)의 오퍼레이션 시스템에 설정된 언어 중 하나의 언어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정보(324)의 제2 언어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특정 국가에서 사용하는 언어, 사용자 전자 장치(100)를 소지한 외국인이 체류 중인 특정 국가에서 사용 중인 언어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료 예약된 전문 의료진이 사용하는 언어 중 하나의 언어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3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서비스에 가입된 회원을 확인하기 위한 1차 정보이다. 예를 들어,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325)는 아이디와 패스워드 정보, 패턴 잠금 화면과 패턴을 풀기 위한 드래그 정보, 서명 정보 및 필적의 유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회원 필적 정보와 랜덤으로 제공되는 필적 입력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32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서비스에 가입된 회원을 확인하기 위한 2차 정보이다. 여기서,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326)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를 통해 기입력된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326)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의 지문 정보, 적어도 한쪽 눈의 홍채 이미지 정보 및 회원의 얼굴과 양쪽 귀가 보이는 페이스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통신부(310) 및 저장부(32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은 하기 도 5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300)의 제어부(3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는 서비스 서버의 진료 예약에 관한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300)의 제어부(330)는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 정보- 병증 텍스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을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 정보 생성 및 전송 과정(S501)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부터 병증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와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 병증 키워드 정보(322)를 참조하여 적어도 두 개의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는 키워드 정보 추출 과정(S502)를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전자 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수신 받는 위치 정보 획득 과정(S503)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 병원 정보(323)로부터 키워드 정보 추출 과정(S502)을 통해 추출된 키워드 정보 및 위치 정보 획득 과정(S503)을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병원 정보를 추출하는 병원 정보 추출 과정(S504)를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병원 정보 추출 과정(S504)을 통해 추출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병원 정보로부터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정보 생성 및 전송 과정(S505)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부터 병원 선택 신호-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병원 중 하나의 병원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 받는 병원 선택 신호 획득 과정(S506)를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 병원 정보(323)로부터 병원 선택 신호 획득 과정(S506)을 통해 획득된 병원 선택 신호 및 키워드 정보 추출 과정(S502)을 통해 추출된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정보 생성 및 전송 과정(S507)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외부 서버인 병원 서버로부터 진료 예약 완료 정보가 획득되면, 진료 예약 완료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진료 예약 완료 화면 정보 생성 및 전송 과정(S508)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300)의 제어부(330)는 진료 예약 완료 화면 정보 생성 및 전송 과정(S508)을 수행하기 이전에 다음과 같은 과정들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부터 진료 예약 입력 정보를 수신 받는 진료 예약 입력 정보 획득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30)가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송 받은 예약 입력 정보는 제1 언어로 표현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획득된 진료 예약 입력 정보를 외부 서버인 병원 서버- 병원 선택 신호 획득 과정(S506)을 통해 획득된 병원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병원의 서버-로 전송하는 진료 예약 입력 정보 전송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30)가 병원 서버로 전송하는 진료 예약 입력 정보는 제1 언어로 표현된 정보가 제2 언어로 변환되어 표현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병원 서버로부터 진료 예약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나타내는 진료 예약 완료 정보를 수신 받는 진료 예약 완료 정보 획득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 미리 저장된 병원 정보(323)로부터 병원 선택 신호 획득 과정(S506)을 통해 획득된 병원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병원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정보를 참조하여,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 정보를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 정보 생성 및 전송 과정(S509)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는 서비스 서버의 보험 보상금에 관한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300)의 제어부(330)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제1 언어의 병증 텍스트 정보를 제2 언어로 변환하는 병증 텍스트 정보 변환 과정(S601)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제2 언어로 변환된 병증 텍스트 정보로부터 번역된 병증 텍스트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번역된 병증 텍스트 화면 정보 생성 및 전송 과정(S602)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외부 서버인 병원 서버로부터 진료비 수납 완료 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진료비 수납 완료 정보 및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325)를 참조하여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 생성 및 전송 과정(S603)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를 수신 받는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 획득 과정(S604)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획득된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와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325) 중 동일한 정보가 있는 판단하는 제1 차 회원 일치 여부 판단 과정(S605)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 획득된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와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325) 중 동일한 정보가 있는 경우, 제어부(330)는 제1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제1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 생성 및 전송 과정(S606)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획득된 진료비 수납 완료 정보 및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326)를 참조하여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 생성 및 전송 과정(S607)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를 수신 받는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 획득 과정(S608)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획득된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와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326) 중 동일한 정보가 있는 판단하는 제2 차 회원 일치 여부 판단 과정(S609)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 획득된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와 저장부(320)에 미리 저장된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326) 중 동일한 정보가 있는 경우, 제어부(330)는 제2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제2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 생성 및 전송 과정(S610)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제2 차 회원 일치 여부 판단 과정(S609)에서 확인된 회원이 가입된 보험 상품의 혜택을 나타내는 보험 혜택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보험 혜택 화면 정보 생성 및 전송 과정(S611)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외부 서버인 보험사 서버로부터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정보로부터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화면 정보를 생성 및 전송 과정(S612)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300)의 제어부(330)는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화면 정보를 생성 및 전송 과정(S612)을 수행하기 이전에 다음과 같은 과정들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 또는 병원 서버로 보험 보상금 지급을 위한 관련 서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서류 정보 요청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30)는 사용자 전자 장치(100) 또는 병원 서버로부터 서류 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서류 정보를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는 서류 정보 전송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 서버에 포함될 수 있는 저장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시스템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사용자 전자 장치 200: 네트워크망
300: 서비스 서버 310: 통신부
320: 저장부 321: 병증 키워드 정보
322: 병원 정보 324: 언어 정보
325: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 326: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
330: 제어부

Claims (15)

  1.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및 사용자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병원들의 정보 포함하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중 상기 입력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병원의 진료 예약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선택된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진료 예약 완료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진료 예약 완료 화면 표시 과정;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의 병원의 위치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선택된 병원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 표시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 표시 과정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병증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병증 텍스트 정보 획득 과정;
    상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병증 텍스트 정보 전송 과정; 및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현재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표시 과정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정보-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 받는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정보 획득 과정;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병원 선택 신호-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에 표시된 복수 개의 병원들 중 하나의 병원을 선택하는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병원 선택 신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병원 선택 신호 전송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정보를 수신 받는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정보 획득 과정;
    상기 획득된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정보에 따라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표시 과정;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진료 예약 입력 정보-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창에서 요구하는 입력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진료 예약 입력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진료 예약 입력 정보 획득 및 전송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화면-제1 언어의 병증 텍스트 정보를 제2 언어로 변환된 병증 텍스트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번역된 병증 텍스트 정보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1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표시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보험 혜택 정보 화면-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외국인이 가입된 보험의 혜택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가입된 보험 혜택 정보 화면 표시 과정;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화면 표시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는,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인 외국인이 사용하는 언어 또는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 설정된 언어와 동일한 언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언어는,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인 외국인이 체류 중인 특정 국가의 언어 또는 전문 의료진-병원 진료 예약되어 상기 외국인에게 의료 서비스하는 전문 의료진-이 사용하는 언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표시 과정 이전에,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 전송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유효한 정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1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를 수신 받는 제1 차 회원 확인 신호 획득 과정;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를 수신 받는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 획득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는,
    아이디와 패스워드 정보, 패턴을 풀기 위한 드래그 정보, 서명 정보 및 필적의 유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회원-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외국인- 필적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표시 과정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 전송 과정;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유효한 정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2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를 수신 받는 제2 차 회원 확인 신호 획득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의 지문 정보, 적어도 한쪽 눈의 홍채 이미지 정보 및 회원-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외국인-의 얼굴과 양쪽 귀가 보이는 페이스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11.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및 사용자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병원들의 정보 포함하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중 상기 입력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병원의 진료 예약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진료 예약 완료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의 병원의 위치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 화면-제1 언어의 병증 텍스트 정보를 제2 언어로 변환된 병증 텍스트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서비스에 가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보험 혜택 정보 화면-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외국인이 가입된 보험의 혜택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된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12. 사용자 전자 장치, 병원 서버 및 보험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병증 텍스트 정보 입력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병증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병증 텍스트 정보와 구비된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병증 키워드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두 개의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고,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병원 정보로부터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두 개의 키워드 정보 및 상기 수신 받은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병원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병원 정보로부터 진료 예약 가능 병원 목록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병원 선택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병원 정보로부터 상기 추출된 적어도 두 개의 키워드 정보 및 상기 획득된 병원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전문 의료진별 병원 진료 예약 입력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진료 예약 완료 정보가 획득되면, 진료 예약 완료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 정보로부터 상기 획득된 병원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병원까지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정보를 참조하여 교통 수단별 이동 방법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1 언어의 병증 텍스트 정보를 제2 언어로 변환하여 변환된 병증 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변환된 병증 텍스트 정보로부터 번역된 병증 텍스트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진료비 수납 완료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진료비 수납 완료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를 참조하여 제1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차 회원 입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 중 상기 획득된 제1 차 회원 입력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정보가 있는 경우, 제1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획득된 진료비 수납 완료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차 회원 확인 입력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차 회원 입력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 중 상기 획득된 제2 차 회원 입력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정보가 있는 경우, 제2 차 회원 확인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며, 보험 혜택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로부터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정보로부터 보험 보상금 지급 예정일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전송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 회원 확인 정보는,
    아이디와 패스워드 정보, 패턴 잠금 화면과 패턴을 풀기 위한 드래그 정보, 서명 정보 및 필적의 유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회원-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외국인-필적 정보와 랜덤으로 제공되는 필적 입력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 회원 확인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의 지문 정보, 적어도 한쪽 눈의 홍채 이미지 정보 및 회원-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의 사용자인 외국인-의 얼굴과 양쪽 귀가 보이는 페이스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KR1020160102039A 2016-08-10 2016-08-10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외국인 의료지원용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KR101969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039A KR101969907B1 (ko) 2016-08-10 2016-08-10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외국인 의료지원용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039A KR101969907B1 (ko) 2016-08-10 2016-08-10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외국인 의료지원용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739A true KR20180017739A (ko) 2018-02-21
KR101969907B1 KR101969907B1 (ko) 2019-04-18

Family

ID=6152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039A KR101969907B1 (ko) 2016-08-10 2016-08-10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외국인 의료지원용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9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7063A (zh) * 2021-01-28 2022-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消息转发方法及系统
KR102616582B1 (ko) * 2023-07-13 2023-12-21 솔닥 주식회사 비대면 진료를 위한 의료진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서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9615A (ja) * 2000-09-21 2002-04-05 Casio Comput Co Ltd 病院予約支援装置、病院予約支援システム、記録媒体及び病院予約支援方法
KR20070019442A (ko) * 2005-08-12 2007-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중교통정보를 이용한 개인항법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56386A (ko) 2007-11-30 2009-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20160016279A (ko) * 2014-08-04 2016-02-15 주식회사 메디로드 자동번역이 가능한 맞춤형 건강검진결과 보고 및 활용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9615A (ja) * 2000-09-21 2002-04-05 Casio Comput Co Ltd 病院予約支援装置、病院予約支援システム、記録媒体及び病院予約支援方法
KR20070019442A (ko) * 2005-08-12 2007-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중교통정보를 이용한 개인항법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56386A (ko) 2007-11-30 2009-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20160016279A (ko) * 2014-08-04 2016-02-15 주식회사 메디로드 자동번역이 가능한 맞춤형 건강검진결과 보고 및 활용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세리니. "온라인 소아과 예약, 에버메디로 병원 예약하기(개롱역 연세 키즈 소아과)".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8년 2월 20일 검색], 인터넷:<URL: https://blog.naver.com/stopsilver88/220717671934>(2016.05.2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7063A (zh) * 2021-01-28 2022-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消息转发方法及系统
KR102616582B1 (ko) * 2023-07-13 2023-12-21 솔닥 주식회사 비대면 진료를 위한 의료진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907B1 (ko)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sneem et al. Telemedicine video visits for patients receiving palliative care: a qualitative study
Brereton et al. What do we know about different models of providing palliative care? Findings from a systematic review of reviews
CN105912848B (zh) 一种基于app的医疗服务系统
US201601039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mart healthcare management
US20090076855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web-based health care marketplace portal
WO20130708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CN113130054A (zh) 一种就诊服务方法和系统
Qin et al. Reliability of a telemedicine system designed for rural Kenya
US201601888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online and on-demand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a patient
US20200279631A1 (en) Biometric secured medical check in
JP2016048553A (ja) 共通する患者id番号を使用した医療・健康情報一元管理システム
Franco et al. Telemedicine for the spine surgeon in the age of COVID-19: multicenter experiences of feasibility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US20210057061A1 (en) Biometric identity system integration of medical service provider systems
Turner et al. Moving beyond project-specific patient and public involvement in research
Gonzalez et al. Practice of telehealth in otolaryngology: a scoping review in the era of COVID-19
KR101969907B1 (ko)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외국인 의료지원용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US20210098118A1 (en) Ensuring insurance and payment processing using biometrics
Lee et al.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integration system to support patient referral and reply letters
Al Dahdah et al. Smart cards for all: Digitalisation of universal health coverage in India
Peeters Fair data for next-generation management of multiple sclerosis
Ryan et al.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Australian Stroke Data Tool (AuSDaT): Comprehensive data capturing for multiple uses
KR102433466B1 (ko) 환자 접수 화면 동적 제공 방법 및 환자 접수 화면 동적 제공 시스템
JP2021022341A (ja) 医療関係者マッチングシステム
US20160063185A1 (en) Method for managing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and an emr management system
Williams et al. Leveraging existing tools in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s to automate clinical registry compi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