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620A -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 Google Patents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620A
KR20180017620A KR1020160101718A KR20160101718A KR20180017620A KR 20180017620 A KR20180017620 A KR 20180017620A KR 1020160101718 A KR1020160101718 A KR 1020160101718A KR 20160101718 A KR20160101718 A KR 20160101718A KR 20180017620 A KR20180017620 A KR 20180017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xing
hole
fastening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7926B1 (ko
Inventor
윤석운
Original Assignee
(주)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석주 filed Critical (주)석주
Priority to KR102016010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9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출물의 지붕에 주로 설치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에 관한 것으로, 판넬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체결구(600)를 삽입하여 복수의 판넬을 고정하는 체결공(220)이 형성된 몸체부(210) 및 상기 몸체부(210)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220)의 상부를 덮어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덮개(250)를 포함하는 고정캡(20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는 스틸 재질로 형성된 외층부(212) 및 상기 판넬의 표면을 향하는 상기 외층부(212)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의 표면에 접촉하는 내층부(2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FIXING DEVICE FOR BUILDING PANEL}
본 발명은 건출물의 지붕에 주로 설치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에 관한 것으로, 고정캡을 이루는 몸체부와 덮개의 구조를 개선하여 지붕에 설치 시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고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한 특징이 있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판넬은 건축물의 내, 외부의 마감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건축용 판넬은 주로 시트 형태의 두 금속 판재 사이에 유리 섬유나 우레탄 등의 단열재를 삽입하여 강성과, 단열성의 기계적 성질 및 시공상의 이점과, 경제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건축용 판넬은 건물 내부나 외부 벽체, 또는 지붕 등의 마감재로 사용되는데, 지붕에 사용될 경우에 빗물이나 적설에 따른 누수 방지가 특히 고려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지붕 판넬은 다수의 단위 판넬을 격자 형태로 연결하여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하는데 이때, 각 판넬 사이의 연결부를 서로 고정하기 위해 고정캡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정캡은 지붕 판넬의 상부에 형성되는 금속 판재의 절곡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안착되며, 일측으로 체결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체결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하는 덮개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은 PVC 소재로 제조되어 여름에는 햇빛의 고열에 의해 크기가 늘어나고, 겨울에는 크기가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하여 체결부재를 삽입하는 체결공이 이완과 수축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거나,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캡이 지붕 판넬과 접촉하는 면은 금속 판제와 미끌림이 발생하여 시공 시 고정캡의 위치를 조정하기가 어렵고, 시공 후에는 고정캡의 이동이 발생되어 고정력이 저하되거나 체결공의 손상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지붕 판넬의 금속 판재는 시트 형태로 형성되므로, 외력에 의해 형성의 변형이 발생될 경우 고정캡의 절곡부위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고정캡의 덮개는 몸체부에 힌지 등에 의해 결합되어 열고 닫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삽입구를 통해 탈부착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덮개가 열고 닫는 형태로 구성될 경우에는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고정캡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시공 및 보관이 어렵고, 덮개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탈부착하는 형태로 구성될 경우에는 덮개의 분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시공 시에는 별도 구성된 덮개를 끼우는 작업이 추가되어 시공이 까다로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7302호(공고일자: 2002. 12. 18)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1922호(공고일자: 2001. 02. 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캡을 이루는 몸체부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판넬의 표면과 접촉하는 고정캡 면의 완충력과 마찰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정캡의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으며, 더 나아가 몸체부에 형성된 체결공의 상부를 밀폐하는 덮개를 열고 닫을 시 작동 체적을 최소화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덮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판넬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체결구를 삽입하여 복수의 판넬을 고정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의 상부를 덮어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는 고정캡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스틸 재질로 형성된 외층부 및 상기 판넬의 표면을 향하는 상기 외층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의 표면에 접촉하는 내층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이 제공된다.
상기 내층부는 고무 또는 스폰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층부는 상기 외층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층부는 상기 판넬의 표면에 끼워 맞춰지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일정 크기로 두껍게 돌출되어 상기 절곡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복수의 보강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편은 사각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외층부의 모서리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결합공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핀은 상기 결합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 연장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 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결합공에 미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덮개를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동핀은 연장된 끝단부에 상기 결합공의 끝단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핀은 상기 고정핀 보다 더 길게 돌출된 부위로부터 상기 걸림구에 이르는 둘레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용 판넬의 고정핀에 따르면, 건축용 판넬에 설치시 여름철 햇빛에 의한 고온이나 겨울철의 저온 환경에 의한 이완과 수축이 방지될 수 있고, 보강편의 형성에 의해 강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어 고정캡의 내구력이 향상됨은 물론 판넬의 고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은 몸체부의 체결공을 밀폐하는 덮개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여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여닫이 형태의 덮개에 비해 작동 체적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시공 시 및 보관이 유리하며, 덮개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캡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캡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캡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캡의 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캡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캡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캡의 고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판넬의 고정캡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캡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캡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캡의 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고정캡(200)은 판넬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체결구(600; 도 6을 참고)를 삽입하여 복수의 판넬을 고정하는 체결공(220)이 형성된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에 형성된 체결공(220)의 상부를 덮어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덮개(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2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붕의 판넬의 상부에 밀착하여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곡부(215)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부(210)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외층부(212)와, 외층부(212)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층부(2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층부(212)는 예컨데, 고정캡(200)을 지붕용 판넬의 상부에 안착시킬 시 하늘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로부터 고정캡(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판넬을 향해 체결구(600)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공(220)의 둘레측에는 외층부(212)의 상부에 덮개(250)를 덮어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공(230)이 형성된다.
내층부(214)는 고정캡(200)을 판넬의 상부에 안착시킬 경우 판넬의 상부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 고무 또는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어 외층부(212)의 내측에 접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층부(214)는 상측에 돌출부(340)를 형성하여 외층부(212)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구성하되, 이를 위해 외층부(212) 일측을 상부로 돌출시켜 하부에 형성되는 홈으로 상기한 돌출부(340)를 삽입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210)를 스틸 재질의 외층부(212)와 고무 또는 스폰지 재질의 내층부(214)로 구성할 경우, 스틸이 갖는 높은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고무 또는 스폰지 재질의 내층부(214)가 판넬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구조를 이루어, 고정캡(200)의 시공 시에 미끌림에 의한 작업의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고, 시공 후에는 고정캡(200)의 위치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한 외층부(2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215) 상에 복수의 보강편(240)을 형성하여 강도를 보다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강편(240)은 절곡부(215) 상에서 일정 크기로 두껍게 돌출되는 언더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외층부(212)를 사각 평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각각의 모서리 측에 복수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덮개(250)는 하부면에 한 쌍의 핀(260)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결합공(230)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덮개(250)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핀(260)은 상기 결합공(23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도록 덮개(250)의 하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고정핀(260b)과, 덮개(250)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고정핀(260b)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상기 고정핀(260b)이 상기 결합공(230)에 미삽입된 상태에서 다른 어느 하나의 결합공(230)에 삽입되어 상기 덮개(250)를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핀(260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회동핀(260a)의 연장된 끝부에는 결합공(230)에 삽입 시 결합공(230)의 반대쪽 끝단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구(40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회동핀(260a)만을 어느 하나의 결합공(230)에 삽입하여 걸림구(400)에 의해 걸려지는 상태에서 고정핀(260b)은 결합공(230)에 삽입되지 않게 되어 회동핀(260a)을 축으로 덮개(250)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를 통해 몸체부(210)의 체결공(220)의 상부를 열고 닫을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회동핀(260a)은 상기 고정핀(260b) 보다 더 길게 돌출된 부위로부터 상기 걸림구(400)에 이르는 둘레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회동핀(260a)이 몸체부(210)의 결합공(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몸체부(210)의 내층부(214)는 외층부(212)에 형성되는 체결공(220)으로 삽입되는 체결구(600)를 하부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수직 대응하는 위치와 동일한 형상의 체결공(3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층부(212)의 결합공(230)의 수직 대응하는 위치에는 덮개(250)에 형성된 핀(260)을 통과시키는 결합공(330a, 330b)이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고정캡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캡을 고정하기 위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캡을 고정하기 위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캡의 고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200)은 덮개(250)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핀(260) 중 회동핀(260a)을 몸체부(210)의 결합공(230)에 삽입하여 덮개(250)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에서 판넬 고정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50)의 회동핀(260a)의 연장된 끝단에 형성된 걸림구(400)가 몸체부(210)의 결합공(230)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면, 덮개(250)가 몸체부(210)에 결합이 이루어지고, 덮개(250)의 고정핀(260b)은 몸체부(210)의 결합공(230)에 삽입이 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회동핀(260a)을 중심으로 덮개(250)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부(210)에 걸림 고정된 덮개(250)를 회동시켜 몸체부(210)의 체결공(220)이 외부로 노출되어 고정캡(200)을 판넬 상부에 안착시킨 후 체결구(600)를 삽입하여 판넬을 고정할 수 있다.
체결구(600)의 삽입이 완료되면, 덮개(250)를 닫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핀(260b)이 몸체부(210)의 결합공(230)에 수직하는 상부에 위치되도록 덮개(250)를 회동시킨 후 덮개를 잡고 하부로 가압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260b)과 회동핀(260a)이 각각의 결합공(230)에 모두 삽입되어 몸체부(210)의 체결공(220)을 덮은 상태로 고정 결합된다. 이때, 고정핀(260b)과 회동핀(260a)은 몸체부(210)의 결합공(230)에 억지 끼움되는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공(230)의 내경과 소정의 공차를 형성하여 덮개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한 작동을 갖는 본 발명의 고정캡(200)은 판넬의 상부에 안착되는 면이 고무 또는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므로, 판넬 상부면과 미끌림이 방지되어 고정캡(200)을 결합하는 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시공 후에는 미끌림에 의해 고정캡(200)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캡(200)에 외력이 작용될 경우 고무 또는 스폰지의 완충 효과에 의해 판넬 또는 고정캡(200)의 몸체부(2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핀(260b)과 회동핀(260a)은 몸체부(210)의 결합공에 억지끼움되는 크기의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210)의 결합공(230)과 소정의 공차를 형성하여 덮개(25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체결구(600)의 유지 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 특히, 상기한 회동핀(260a)은 걸림구(400)에 의해 몸체부(210)의 결합공(230)에 걸려진 상태에서 결합공(230) 내부에 위치되는 부위의 둘레부 직경이 작게 형성되므로 회동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정캡(200)은 지붕 구조 판넬의 상부에 설치 시 외층부(212)가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름철의 햇빛에 의한 고온이나, 겨울철의 수축에 의한 변형 최소화될 수 있으며, 외층부(212)에는 언더컷 구조의 보강편(240)이 형성되어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판넬에 고정 설치 시 내구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고정캡 210: 몸체부
212: 외층부 214: 내층부
215: 절곡부 220: 체결공
230: 결합공 240: 보강편
250: 덮개 260: 핀
260a: 회동핀 260b: 고정핀
340: 돌출부 400: 걸림구
600: 체결구

Claims (10)

  1. 판넬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체결구(600)를 삽입하여 복수의 판넬을 고정하는 체결공(220)이 형성된 몸체부(210); 및 상기 몸체부(210)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220)의 상부를 덮어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덮개(250); 를 포함하는 고정캡(20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는,
    스틸 재질로 형성된 외층부(212); 및 상기 판넬의 표면을 향하는 상기 외층부(212)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의 표면에 접촉하는 내층부(21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부(214)는,
    고무 또는 스폰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부(214)는,
    상기 외층부(2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의 홈에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3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부(212)는,
    상기 판넬의 표면에 끼워 맞춰지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절곡부(215)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15)에는 일정 크기로 두껍게 돌출되어 상기 절곡부(215)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복수의 보강편(2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편(240)은,
    사각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외층부(212)의 모서리 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50)는,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결합공(230)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2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핀(2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핀(260)은,
    상기 결합공(23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 연장되는 고정핀(260b); 및
    상기 고정핀(260b)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상기 고정핀(260b)이 상기 결합공(230)에 미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230)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덮개(250)를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핀(260a);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핀(260a)은,
    연장된 끝단부에 상기 결합공(230)의 끝단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구(4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핀(260a)은,
    상기 고정핀(260b) 보다 더 길게 돌출된 부위로부터 상기 걸림구(400)에 이르는 둘레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10. 판넬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체결구(600)를 삽입하여 복수의 판넬을 고정하는 체결공(220)이 형성된 몸체부(210); 및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230)에 삽입되는 한 쌍의 핀(260)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220)의 상부를 덮어서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덮개(250); 를 포함하는 고정캡(20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핀(260)은,
    상기 결합공(23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 연장되는 고정핀(260b); 및
    상기 고정핀(260b)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상기 고정핀(260b)이 상기 결합공(230)에 미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230)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덮개(250)를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핀(260a);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KR1020160101718A 2016-08-10 2016-08-10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KR101887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18A KR101887926B1 (ko) 2016-08-10 2016-08-10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18A KR101887926B1 (ko) 2016-08-10 2016-08-10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620A true KR20180017620A (ko) 2018-02-21
KR101887926B1 KR101887926B1 (ko) 2018-08-13

Family

ID=6152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718A KR101887926B1 (ko) 2016-08-10 2016-08-10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9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184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신도시스템 지붕 패널을 시공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737B1 (ko) 2018-08-27 2019-03-27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스크류 방수캡
KR102190317B1 (ko) * 2018-10-19 2020-12-11 남병수 겹침 되는 패널시트의 틈새공간 밀폐력을 상승시킨 볼트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922Y1 (ko) * 2000-07-22 2001-02-01 서종건 지붕판 이음구 고정구
KR200423165Y1 (ko) * 2006-05-12 2006-08-03 홍정우 조립식 건물 지붕판의 고정캡
KR100987661B1 (ko) * 2009-10-15 2010-10-18 송주근 패널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184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신도시스템 지붕 패널을 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926B1 (ko) 201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926B1 (ko)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JP2016028182A (ja) 止水パネルの取付構造
EP3002384B1 (en) A roof window with a covering fastening device
US4192101A (en) Door sealing apparatus
KR200426336Y1 (ko) 판넬 결합부 고정 캡
EP3021438B1 (en) Electrical insulating box with two options of tightness degree for electricity, information technology and/or telephony
KR101194338B1 (ko) 복합 여닫이 창호
JP6971930B2 (ja) 天窓の窓枠、天窓
KR101199847B1 (ko) 선박용 도어의 패킹구조
JP2017180056A (ja) 建具
KR20210146072A (ko) 볼트용 방수장치
JP6085223B2 (ja) 配線引き込み構造および配線引き込み具
JP4995638B2 (ja) 断熱ドア
JP6280831B2 (ja) 天井点検蓋固定構造
JP3110681U (ja) ドア用防護パネル装置
JP6358654B2 (ja) 扉構造
JP2016142059A (ja) 天井点検口
JP6389615B2 (ja) 止水扉
JP7357459B2 (ja) 外壁パネルの目地構造および外壁面材用のふさぎ部材
JP6045291B2 (ja) 扉及び扉の密閉構造
TWI627332B (zh) 乾式施工窗結構
JP2010255370A (ja) 断熱ドア
JP4139271B2 (ja) サッシの取付方法
KR20240066922A (ko) 내, 외장마감용 금속패널의 모서리마감재
JP2017002611A (ja) 止水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