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615A -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615A
KR20180017615A KR1020160101706A KR20160101706A KR20180017615A KR 20180017615 A KR20180017615 A KR 20180017615A KR 1020160101706 A KR1020160101706 A KR 1020160101706A KR 20160101706 A KR20160101706 A KR 20160101706A KR 20180017615 A KR20180017615 A KR 20180017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ap
hole
fastening
hoo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771B1 (ko
Inventor
여태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771B1/ko
Priority to US15/394,294 priority patent/US10663173B2/en
Priority to CN201710025968.3A priority patent/CN107734735B/zh
Priority to EP17151382.3A priority patent/EP3282817B1/en
Publication of KR2018001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7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coo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47External wirings; Wiring ducts; Lay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 Electric Oven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통과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통과홀을 통과한 연결선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캡과; 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캡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체결보스;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베이스 플레이트와 체결보스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STRUCTURE FOR COVERING WIRE AND MICROWAVE OVEN THEREWITH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본 발명은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기의 본체와 컨트롤패널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선을 차폐하기 위한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로서 현재까지 여러 가지 종류의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가장 원초적인 가열기구는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용기가 있으며, 이러한 용기 내에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넣고 열을 가함으로 조리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기에너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많은 종류의 조리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일례로서 마이크로웨이브를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전자레인지를 들 수 있다.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켜서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침투시켜,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이다.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시켜 그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는 주방용 기구로서, 열효율이 높아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조리물의 조리나 해동 및 데우기 과정에서 영양가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리물을 용기에 저장한 채로 직접 조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통상 본체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한다. 전자레인지에 구비되는 도어로서, 그 개폐 형태에 따라 좌우 개폐식 도어, 상하 개폐식 도어, 슬라이딩 도어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의 도어는 좌우 개폐식 도어이다.
아울러 전자레인지의 전면에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컨트롤패널은 도어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본체에 설치되며, 이러한 컨트롤패널에는 사용자가 전자레인지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관련된 복수의 기능키가 구비된다.
최근에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되는 위치와 그 후방에 해당되는 전장실의 여유공간을 사용하여 별도의 기능부가 설치되고 컨트롤패널이 도어에 구비된 형태의 전자레인지가 출시되고 있다.
컨트롤패널이 본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본체와 컨트롤패널을 연결하는 연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컨트롤패널이 도어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본체와 연결된 연결선이 본체의 외부로 빠져나와 도어를 통해 컨트롤패널과 연결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본체와 도어의 연결 부분에서 연결선이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데, 이와 같이 연결선이 외부로 노출되면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연결선이 파손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연결선이 노출된 부분에 별도의 캡을 설치하고, 이와 같이 설치된 캡의 내부에 연결선이 수용되도록 하여 연결선의 노출을 막는 방법이 있다.
캡의 내부에는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선을 수용하기 위한 소정 공간이 마련되며, 캡을 본체의 바닥면에 위치시킨 후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캡을 본체의 바닥면에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캡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캡의 설치 구조에 따르면, 캡을 본체에 체결할 때 캡이 설치될 바닥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전자레인지의 본체를 뒤집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그 작업이 힘들고 어려울 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캡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고, 캡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캡 설치 과정에서의 제품 파손 및 안전사고 발생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 설치 작업의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결선 차폐 구조물은: 통과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통과홀을 통과한 연결선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캡과; 상기 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캡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체결보스;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보스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제1체결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보스의 내부에는, 제2체결홀이 상부방향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캡은, 상기 제1체결홀과 상기 제2체결홀이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체결홀의 주변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끼움벽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보스는, 상기 제1체결홀을 통해 상기 끼움벽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벽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체결홀의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에 마련되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과 간섭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일측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후크부재와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 간의 간섭과 상기 캡의 타측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체결보스와 상기 끼움벽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좌우방향 위치가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에 마련되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통과홀을 둘러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벽과 간섭되는 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체결보스와 상기 끼움벽 간의 끼움 결합과 상기 가이드리브와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전후방향 위치가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바디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보스와 나사 결합되고 헤드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지지되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에 마련되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한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간섭되어 상기 캡의 하부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일부분의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간섭되어 상기 캡의 상부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결선 차폐 구조물은: 조리실 및 전장실이 형성되는 캐비티와; 통과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통과홀을 통과한 연결선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캡과; 상기 캡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후크 결합되어 상기 캡의 일측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1후크부재; 및 상기 캡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후크부재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후크 결합되어 상기 캡의 타측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2후크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는: 조리실 및 전장실이 형성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구비되며, 통과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전장실로부터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캐비티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연결되는 연결선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선의 상기 캐비티의 외부로 인출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캡과; 상기 캡에 상하방항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캡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체결보스;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보스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서 상기 컨트롤패널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의 캡 조립방법은: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 상기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과홀을 통해 연결선을 통과시키며 상기 연결선으로 상기 전장실의 내부와 상기 도어의 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결선의 상기 캐비티의 외부로 인출된 부분이 수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캡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체결부재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시키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보스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캡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캡에 마련되는 후크부재가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에 간섭되도록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통과홀에 끼우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된 끼움벽에 상기 체결보스를 끼움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에 따르면, 본체를 뒤집는 힘든 작업 없이도 캡을 본체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캡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캡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캡을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하기 위해 본체를 뒤집을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본체를 뒤집는 과정에서 제품의 파손이 발생되거나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에 마련된 체결보스를 끼움벽에 끼우고 캡의 후크부재를 통과홀에 끼우는 것만으로 캡의 위치가 캡이 설치되도록 목적된 위치로 안내하고, 안내된 위치에 캡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캡 설치 작업의 안정성 및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캡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캡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의 캡 조립 완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의 캡 조립 완료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는, 본체(110)와 도어(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시켜 그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는 전자레인지를 전기 조리기기의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그네트론 대신 전기 히터를 구비하는 형태의 전기 조리기기, 또는 마그네트론과 전기 히터를 함께 구비하는 형태의 전기 조리기기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전기 조리기기가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본체(110)는, 전기 조리기기의 외형을 형성하며,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는, 캐비티(111)와 케이스(113) 및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티(111)는, 본체(110)의 골격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캐비티(111)의 내부에는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실(110a)이 전방 측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며, 조리실(110a)의 측부에는 전장실(110b)이 형성된다. 전장실(110b)의 내부에는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된다.
케이스(113)는, 캐비티(111)의 외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캐비티(111)의 상부와 양측부를 덮어 본체(110)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15)는 캐비티(111)의 저면에 구비되어 본체(11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조리실(110a)은 본체(110)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조리실(110a)의 내부에는 음식물 등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된다. 조리실(110a)의 우측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면에는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10a)의 개방된 전면에는 도어(120)가 배치된다. 도어(120)는 본체(110)의 전방, 즉 조리실(110a)의 전방에 장착되며, 도어(120)의 일측은 힌지에 의해 본체(110)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본체(110)의 전방, 좀 더 구체적으로 전장실(110b)의 전방 측에는, 각종 조리조건을 설정하고 전기 조리기기를 작동 또는 작동 중지시키기 위한 컨트롤패널(14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140)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부 및 전기 조리기기의 구동에 관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트롤패널(140)이 도어(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컨트롤패널(140)이 본체(110)에 설치되지 않고 도어(120)와 함께 일체로 마련되어 조리실(110a)을 개폐하는 도어(120)와 함께 회동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컨트롤패널(140)은 조작패널과 기판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조작패널은 도어(12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며, 이러한 조작패널에는 버튼과 표시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은 도어(120)의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게 도어(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러한 기판에는 조작패널의 버튼과 표시부의 동작을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전기 조리기기에는,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컨트롤패널(140)과 본체(1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130; 도 4 참조)이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선(130)의 일측은, 도어(120)의 내부에서 컨트롤패널(140)의 기판과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선(130)의 타측은, 본체(110)의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장실(110b)에 설치된 전장실기판 등과 같은 부품과 연결된다.
한편 캐비티(111)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110)의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115)에는 통과홀(115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연결선(130)은 이와 같이 형성된 통과홀(115a)을 통해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되어 본체(110) 내부의 부품과 도어(120) 내부의 기판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캡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캡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조립 완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는, 캡(150)과 체결보스(160) 및 체결부재(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150)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에 구비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에서 통과홀(115a)을 통과한 연결선(13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캡(150)은, 연결선(130)이 설치되는 경로이면서, 전기 조리기기의 받침대로서의 기능을 겸비할 수도 있다.
통과홀(115a)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로 빠져나온 연결선(130)의 일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의 본체(110)와 도어(120) 사이의 영역에서 노출될 수밖에 없다.
캡(150)은, 이와 같이 연결선(130)의 일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로 빠져나온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의 본체(110)와 도어(120) 사이의 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캡(150)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의 본체(110)와 도어(120) 사이의 영역에서 연결선(130)의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로 빠져나온 부분을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연결선(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일례로서, 캡(150)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캡(150)은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소정 간격 이격된 평면을 형성하는 바닥면(151), 및 바닥면(151)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네 개의 측벽(153)을 포함하는 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닥면(151)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통과홀(115a)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도어(120)에서 연결선(130)이 삽입 또는 인출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전후방향(A)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조리기기의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방향이 전후방향(A)인 것으로 정의되고, 전기 조리기기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연결하는 방향이 좌우방향(B)인 것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측벽(153)은, 바닥면(151)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캡(150)의 내부에 연결선(130)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높이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측벽(153)은, 캡(150)이 전기 조리기기의 받침대 기능을 할 정도의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캡(150)은, 전후방향(A)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 영역을 감싸고 전후방향(A) 타측이 도어(120)의 하부 영역을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본체(110)와 도어(120) 사이의 영역에서 연결선(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네 개의 측벽(153)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상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면과 간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153) 중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면과 간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측벽(153)과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면 간에 이루어지는 간섭에 의해 캡(150)의 상부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는 위치 구속 구조가 이루어지며, 이로써 캡(150)의 상하방향 위치가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캡(150)의 내부에는 체결보스(160)가 마련된다. 체결보스(160)는 캡(150)의 바닥면(151)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캡(150)과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보스(160)는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결합되어 캡(150)을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결합시키며,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체결보스(160) 간의 결합은 후술할 체결부재(19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115)에는 제1체결홀(115c)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보스(160)에는 제2체결홀(160a)이 체결보스(16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되, 체결보스(160)의 상부방향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처럼 제2체결홀(160a)이 형성된 체결보스(160)의 내부에는, 후술할 체결부재(19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체결부재(190)를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체결보스(160)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체결 구조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체결홀(115c)과 제2체결홀(160a)은 서로 유사한 직경을 갖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캡(150)은 제1체결홀(115c)과 제2체결홀(160a)이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아울러 제1체결홀(115c)이 형성된 주변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제1체결홀(115c) 주변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끼움벽(115b)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끼움벽(115b)이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제1체결홀(115c)의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체결보스(160)는 제1체결홀(115c)을 통해 끼움벽(115b)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체결보스(160)와 끼움벽(115b)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캡(150)의 설치 위치가 제1체결홀(115c)과 제2체결홀(160a)이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제1체결홀(115c)의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끼움벽(115b)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에 의해, 체결보스(160)의 끼움 위치가 안정적으로 안내되고, 체결보스(160)와 끼움벽(115b) 간의 끼움 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체결부재(190)는,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관통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체결보스(160)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체결부재(190)는, 바디부(191)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로부터 제1체결홀(115c) 및 제2체결홀(160a)에 삽입되며 체결보스(160)와 나사 결합되고 헤드부(193)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에 지지되는 스크류(Screw)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바디부(19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로부터 제1체결홀(115c)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193)는, 바디부(191)의 바디부(191)의 상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에 지지됨으로써, 바디부(191)와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체결보스(160) 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의 연결선 차폐 구조물은, 후크부재(170)와 가이드리브(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재(170)는, 캡(150)에 마련되되, 측벽(153)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후크부재(170)는 탄성연장부(171)와 후크돌기(173)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연장부(171)는, 측벽(153)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태로 형성되되, 좌우방향(B)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연장부(171)는, 좌우방향(B)에 따른 위치가 측벽(153)보다는 내측이 되도록 마련되며, 통과홀(115a)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탄성연장부(171)는, 통과홀(115a)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통과홀(115a)의 내주면과 간섭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탄성연장부(171)와 통과홀(115a)의 내주면 간의 간섭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결합되는 캡(150)의 좌우방향(B) 중 일측의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후크돌기(173)는, 탄성연장부(171)의 상단부에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돌기(173)는,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면과 간섭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면과 후크돌기(173) 간의 간섭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결합되는 캡(150)의 하부방향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탄성연장부(171)와 후크돌기(173)를 포함하는 후크부재(170)는, 통과홀(115a)의 내주면과 간섭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결합되는 캡(150)의 좌우방향(B) 중 일측의 위치가 안내되도록 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면과 간섭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결합되는 캡(150)의 하부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의 후크부재(170)는, 캡(150)이 체결부재(190)에 의해 체결되기 전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결합되는 캡(15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고, 안내된 설치 위치에 캡(150)을 일차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이드리브(180)는, 캡(150)에 마련되되, 측벽(153)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리브(180)는, 통과홀(115a)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통과홀(115a)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통과홀(115a)의 내주면과 간섭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부재(170)는 전후방향(A)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는 벽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고, 가이드리브(180)는 좌우방향(B)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는 벽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후크부재(170)과 통과홀(115a)의 내주면 간의 간섭이 좌우방향(B)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가이드리브(180)와 통과홀(115a)의 내주면 간의 간섭은 전후방향(A)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리브(180)와 통과홀(115a)의 내주면 간의 간섭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결합되는 캡(150)의 전후방향(A) 중 일측의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의 캡 조립방법 및 그에 따라 캡이 조립된 전기 조리기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조리기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캡(150)을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111)의 전방에 도어(12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캐비티(111)의 하부에 결합시킨다(S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10)의 전방에 결합되는 도어(120)에는 컨트롤패널(140)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140)은, 도어(12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된 조작패널, 및 도어(120)의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게 도어(120)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캐비티(111)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5)에는, 통과홀(115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15)는 통과홀(115a)이 캐비티(111)의 전방 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체(110)와 도어(120)의 회동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캐비티(111)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런 다음,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홀(115a)을 통해 연결선(130)을 통과시키며 연결선(130)으로 전장실(110b)의 내부와 도어(120)의 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S20).
이에 따라 연결선(130)은, 그 일측이 도어(120; 도 3 참조)의 내부에서 컨트롤패널(140)의 기판과 연결되고, 타측이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장실(110b)에 설치된 전장실기판 등과 같은 부품과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본체(110)의 내부와 도어(120)의 내부를 벗어난 본체(110)와 도어(120) 사이의 영역에서는, 연결선(130)의 일부분이 전기 조리기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선(13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5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선(130; 도 4 참조)의 캐비티(111)의 외부로 인출된 부분, 즉 연결선(130)의 전기 조리기기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수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에 캡(150)을 위치시켜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캡(150) 간의 일차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30).
이러한 과정은, 캡(150)에 마련되는 후크부재(170)가 통과홀(115a)의 내주면에 간섭되도록 후크부재(170)를 통과홀(115a)에 끼우고,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마련된 끼움벽(115b)에 체결보스(160)를 끼움 결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캡(150)의 좌우방향(B) 일측에서는 후크부재(170)와 통과홀(115a)의 내주면 간의 간섭이 이루어지게 되고, 캡(150)의 좌우방향(B) 타측에서는 체결보스(160)와 끼움벽(115b)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캡(150)의 좌우방향(B) 일측과 타측에서 이루어지는 후크부재(170)와 통과홀(115a)의 내주면 간의 간섭과 체결보스(160)와 끼움벽(115b)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캡(150)이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결합되는 좌우방향(B) 위치가 안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후크부재(170)를 통과홀(115a)에 끼우게 되면, 후크부재(170)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된 가이드리브(180)도 함께 통과홀(115a)에 끼워지며, 이에 따라 가이드리브(180)와 통과홀(115a)의 내주면 간의 간섭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이루어지는 가이드리브(180)와 통과홀(115a)의 내주면 간의 간섭과 체결보스(160)와 끼움벽(115b)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캡(150)이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결합되는 전후방향(A) 위치가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캡(150)의 좌우방향(B) 및 전후방향(A) 위치 안내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제1체결홀(115c; 도 4 참조)과 체결보스(160)의 제2체결홀(160a; 도 4 참조)이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로 캡(150)의 설치 위치가 안내되고, 그 안내된 설치 위치에 캡(150)이 일차적으로 고정된다.
이로써 체결부재(190)를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체결보스(160)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체결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 위치에서 캡(150)의 위치가 일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되고, 이후에 이루어지는 체결부재(190) 체결이 좀 더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통과홀(115a)에 끼워지는 후크부재(170)는, 후크돌기(173)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면과 간섭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결합되는 캡(150)의 하부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후크부재(170)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면 간의 간섭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하부에서는, 캡(150)의 측벽(153)과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면 간의 간섭이 이루어짐으로써, 캡(150)의 상부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후크부재(170)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면 간의 간섭과 캡(150)의 측벽(153)과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면 간의 간섭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결합되는 캡(150)의 상하방향 위치가 안내 및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캡(150)의 위치 안내 및 고정이 완료되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에서 체결부재(190)로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관통시키며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체결보스(160)를 결합시키며(S40), 이로써 캡(15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캡이 설치될 전기 조리기기의 바닥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전기 조리기기의 본체를 뒤집은 상태에서 캡을 설치 위치에 위치시킨 후, 스크류로 본체의 외부로부터 캡 및 본체의 바닥면을 관통시키면서 본체 내부로 스크류를 삽입하는 형태로 캡을 전기 조리기기의 본체에 체결하는 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캡의 설치 위치로 인해, 전기 조리기기의 본체를 뒤집지 않으면 캡의 설치 과정에서 캡의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고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캡의 설치를 위해 전기 조리기기의 본체를 뒤집게 되면, 이를 위한 작업자의 어렵고 힘든 작업이 더해질 뿐 아니라, 그로 인해 작업 시간이 증가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캡의 설치가 완료된 뒤에는 뒤집힌 본체를 다시 원상태로 뒤집는 작업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작업의 수고 및 소요시간이 배가되고, 본체를 뒤집는 과정에서 제품의 파손이 발생되거나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도 있다.
이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조리기기의 본체(110)를 뒤집지 않은 상태에서도 캡(150)의 설치가 가능한 연결선 차폐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에 따르면, 체결부재(190)는 바디부(191)와 헤드부(193)로 이루어진 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체결부재(190)가 삽입, 체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5) 및 체결보스(160)에는 제1체결홀(115c) 및 제2체결홀(160a)이 상부방향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190)는,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에서 제1체결홀(115c) 및 제2체결홀(160a)에 하부방향으로 삽입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5) 및 체결보스(160)에 체결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본체(110)가 뒤집힌 상태가 아닌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면이 하부를 향하도록 본체(110)가 바로 세워진 상태에서 캡(150)의 결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체(110)를 뒤집는 힘든 작업 없이도 캡(150)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캡(150)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캡(150)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체결 구조에서는, 체결부재(190)의 본체(110)를 관통한 부분이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캡(150)의 내부, 즉 체결보스(16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캡(150)의 설치에 이용되는 체결부재(190)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기 조리기기 전체의 미관을 해치거나 사용자에게 상해를 가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에 따르면, 캡(150)에 마련된 체결보스(160)를 끼움벽(115b)에 끼우고 캡(150)의 후크부재(170)를 통과홀(115a)에 끼우는 것만으로 캡(150)의 위치가 캡(150)이 설치되도록 목적된 위치로 안내될 수 있으므로, 캡(150)이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가려 그 위치가 정확하게 파악되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캡(150)을 목적된 위치로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캡(150)의 위치가 안내되면, 그 안내된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후크부재(170)와 베이스 플레이트(115) 간의 후크 결합, 및 체결보스(160)와 끼움벽(115b)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캡(150)의 위치가 그 해당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캡(150)의 위치가 고정되면, 이후에 다시 캡의 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도구 또는 다른 작업자의 도움을 이용하여 캡(150)의 위치를 고정시킬 필요 없이, 단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에서 체결부재(190)를 체결해주기만 하면 되므로, 캡(150) 설치 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에 따르면, 본체(110)를 뒤집는 힘든 작업 없이도 캡(150)을 본체(110)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캡(150)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캡(150)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의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에 따르면, 캡(150)을 본체(110)의 바닥면에 설치하기 위해 본체(110)를 뒤집을 필요가 없으므로, 본체를 뒤집는 과정에서 제품의 파손이 발생되거나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에 따르면, 캡(150)에 마련된 체결보스(160)를 끼움벽(115b)에 끼우고 캡(150)의 후크부재(170)를 통과홀(115a)에 끼우는 것만으로 캡(150)의 위치가 캡(150)이 설치되도록 목적된 위치로 안내하고, 안내된 위치에 캡(150)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캡(150) 설치 작업의 안정성 및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의 캡 조립 완료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조리기기는, 캡(250)과 제1후크부재(270) 및 제2후크부재(2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캡(25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캡(150; 도 4 참조)과 마찬가지로 바닥면(151)과 측벽(153)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후크부재(27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후크부재(170; 도 4 참조)와 마찬가지로 탄성연장부(171) 및 후크돌기(173)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캡(250)의 좌우방향(B) 일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1후크부재(270)는, 통과홀(115a)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관통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후크 결합되어 캡(250)의 일측을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1후크부재(270)와 베이스 플레이트(115) 간에 이루어지는 후크 결합은, 제1후크부재(270)과 통과홀(115a)의 내주면 간의 간섭에 의해 좌우방향(B) 중 일측의 위치가 안내되고, 후크부재(270)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면 간의 간섭과 캡(250)의 측벽(153)과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면 간의 간섭에 의해 캡(250)의 상하방향 위치가 안내 및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후크부재(275)는, 제1후크부재(270)와 마찬가지로 탄성연장부(171) 및 후크돌기(173)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캡(250)의 좌우방향(B) 타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2후크부재(275)는, 제1후크부재(270)와 다른 위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관통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후크 결합되어 캡(250)의 타측을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후크부재(275)가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관통하는 통로가 되는 후크홀(115d)이 통과홀(115a)과 별도로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2후크부재(275)는 후크홀(115d)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후크 결합되어 캡(250)의 타측을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2후크부재(275)와 베이스 플레이트(115) 간에 이루어지는 후크 결합은, 제2후크부재(275)과 후크홀(115d)의 내주면 간의 간섭에 의해 좌우방향(B) 중 타측의 위치가 안내되고, 제2후크부재(275)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상부면 간의 간섭과 캡(250)의 측벽(153)과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면 간의 간섭에 의해 캡(250)의 상하방향 위치가 안내 및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후크홀(115d)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제1후크부재(270)와 제2후크부재(275) 모두가 관통홀(115a)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5)를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115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1후크부재(270)와 제2후크부재(275)를 포함하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캡(250) 간의 일차적인 고정 작업과 최종 결합 작업이 한 번의 작업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제1후크부재(270)와 제2후크부재(275)를 베이스 플레이트(115)에 끼워 결합시키기만 하면, 스크류를 체결하는 작업을 추가할 필요 없이 캡(250)의 결합 작업이 단번에 완료될 수 있게 되므로, 캡(250) 설치 작업이 더욱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본체
110a : 조리실
110b : 전장실
111 : 캐비티
113 : 케이스
115 : 베이스 플레이트
115a : 통과홀
115b : 끼움벽
115c : 제1체결홀
120 : 도어
130 : 연결선
140 : 컨트롤패널
150,250 : 캡
151 : 바닥면
153 : 측벽
160 : 체결보스
169a : 제2체결공
170 : 후크부재
171 : 탄성연장부
173 : 후크돌기
180 : 가이드리브
190 : 체결부재
191 : 바디부
193 : 헤드부
270 : 제1후크부재
275 : 제2후크부재
A : 전후방향
B : 좌우방향

Claims (14)

  1. 통과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통과홀을 통과한 연결선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캡;
    상기 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캡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체결보스;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보스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제1체결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보스의 내부에는, 제2체결홀이 상부방향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캡은, 상기 제1체결홀과 상기 제2체결홀이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체결홀의 주변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끼움벽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보스는, 상기 제1체결홀을 통해 상기 끼움벽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벽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체결홀의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 마련되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과 간섭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일측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후크부재와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 간의 간섭과 상기 캡의 타측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체결보스와 상기 끼움벽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좌우방향 위치가 안내되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 마련되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통과홀을 둘러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벽과 간섭되는 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체결보스와 상기 끼움벽 간의 끼움 결합과 상기 가이드리브와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전후방향 위치가 안내되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바디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1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보스와 나사 결합되고 헤드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지지되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 마련되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한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간섭되어 상기 캡의 하부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후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일부분의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간섭되어 상기 캡의 상부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
  10. 조리실 및 전장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통과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통과홀을 통과한 연결선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캡;
    상기 캡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후크 결합되어 상기 캡의 일측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1후크부재; 및
    상기 캡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후크부재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후크 결합되어 상기 캡의 타측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제2후크부재를 포함하는 연결선 차폐 구조물.
  11. 조리실 및 전장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구비되며, 통과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전장실로부터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캐비티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연결되는 연결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선의 상기 캐비티의 외부로 인출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캡;
    상기 캡에 상하방항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캡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체결보스;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보스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서 상기 컨트롤패널과 연결되는 전기 조리기기.
  13. 제11항의 전기 조리기기의 캡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 상기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통과홀을 통해 연결선을 통과시키며 상기 연결선으로 상기 전장실의 내부와 상기 도어의 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연결선의 상기 캐비티의 외부로 인출된 부분이 수용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캡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체결부재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시키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보스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조리기기의 캡 조립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캡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캡에 마련되는 후크부재가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에 간섭되도록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통과홀에 끼우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된 끼움벽에 상기 체결보스를 끼움 결합시키는 전기 조리기기의 캡 조립방법.
KR1020160101706A 2016-08-10 2016-08-10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 KR101898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06A KR101898771B1 (ko) 2016-08-10 2016-08-10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
US15/394,294 US10663173B2 (en) 2016-08-10 2016-12-29 Electric cooking appliance
CN201710025968.3A CN107734735B (zh) 2016-08-10 2017-01-13 连接线遮蔽装置、电烹调设备及其盖组装方法
EP17151382.3A EP3282817B1 (en) 2016-08-10 2017-01-13 Structure for covering connection lin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cap of electric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06A KR101898771B1 (ko) 2016-08-10 2016-08-10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615A true KR20180017615A (ko) 2018-02-21
KR101898771B1 KR101898771B1 (ko) 2018-09-13

Family

ID=57860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706A KR101898771B1 (ko) 2016-08-10 2016-08-10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63173B2 (ko)
EP (1) EP3282817B1 (ko)
KR (1) KR101898771B1 (ko)
CN (1) CN1077347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9884S1 (en) 2019-06-20 2022-01-04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USD908416S1 (en) * 2019-06-20 2021-01-26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USD927241S1 (en) 2019-06-20 2021-08-10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USD955800S1 (en) * 2020-05-22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05A (ko) * 2002-03-15 2003-09-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연결선 차폐구조
KR200368567Y1 (ko) * 2004-09-09 2004-11-26 장근대 책상용 전선 안내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578A (ja) 1984-06-29 1986-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の電源コ−ド収納装置
DE4304525C2 (de) 1993-02-15 2003-06-18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Anordnung einer Anschlußdose zum Anschließen elektrischer Zuführungskabel
US5486650A (en) * 1993-11-15 1996-01-23 Hubbell Incorporated Partition for dividing a device box
CN2382195Y (zh) 1999-06-30 2000-06-07 杨瑞链 电气设备容置盒
CN1467421A (zh) 2002-07-12 2004-01-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微波炉电源线固定装置
KR100560217B1 (ko) 2003-07-01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파워코드 고정장치
CN2732144Y (zh) 2004-09-09 2005-10-12 皮惊天 一种改良的电热壶结构
EP2333426A2 (de) 2009-12-10 2011-06-1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CN201950491U (zh) 2010-12-17 2011-08-31 天津重型装备工程研究有限公司 快速夹紧装置
US20120316605A1 (en) * 2011-06-13 2012-12-13 Greg Palagi Taper Lock For A Polyaxial Spinal Rod Screw Assembly
KR101656571B1 (ko) 2014-09-24 2016-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623795B1 (ko) 2014-10-07 201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N204635985U (zh) 2015-03-19 2015-09-16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冷却的电压力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05A (ko) * 2002-03-15 2003-09-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연결선 차폐구조
KR200368567Y1 (ko) * 2004-09-09 2004-11-26 장근대 책상용 전선 안내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45420A1 (en) 2018-02-15
CN107734735A (zh) 2018-02-23
EP3282817A1 (en) 2018-02-14
CN107734735B (zh) 2020-09-29
KR101898771B1 (ko) 2018-09-13
US10663173B2 (en) 2020-05-26
EP3282817B1 (en)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771B1 (ko) 연결선 차폐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전기 조리기기 및 그 캡 조립방법
EP3040467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423577B1 (ko) 가전기기
US5252797A (en) Microwave oven with cooking pot
US20070235449A1 (en) Microwave Oven and Latch Board in the Microwave Oven
KR20100064110A (ko) 전자렌지
KR100437404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연결선 차폐구조
KR100239526B1 (ko)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US11946302B2 (en) Home appliance
KR101951152B1 (ko) 주방기기용 가스밸브 조작레버커플러
KR100778689B1 (ko) 조리실 가변형 전자레인지
KR100385179B1 (ko) 전자렌지용 조작패널
KR101026008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0333996Y1 (ko) 교류/직류 겸용 포터블 전자레인지
KR20230139745A (ko) 조리기기
KR20170116269A (ko) 전기밥솥
KR19990014041U (ko) 전자렌지의 록장치 설치구조
KR200386427Y1 (ko) 전자레인지
KR100700770B1 (ko) 전기오븐
KR100516614B1 (ko) 전자레인지의 래치보드
KR101004480B1 (ko) 조리기기
KR100688645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고정구조
KR19990052467A (ko) 전자렌지의 힌지 유동 방지 장치
KR20070040674A (ko) 조리실 가변형 전자레인지의 안전장치
KR19990084890A (ko) 복합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