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526B1 -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526B1
KR100239526B1 KR1019970024360A KR19970024360A KR100239526B1 KR 100239526 B1 KR100239526 B1 KR 100239526B1 KR 1019970024360 A KR1019970024360 A KR 1019970024360A KR 19970024360 A KR19970024360 A KR 19970024360A KR 100239526 B1 KR100239526 B1 KR 100239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uter panel
back panel
microwave oven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147A (ko
Inventor
이기훈
김상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4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526B1/ko
Publication of KR1999000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는, 백판넬과 아우트판넬이 착탈가능케 결합되도록 구성된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판넬과 아우트판넬과의 일측을 걸림방식에 의해 1차 결합하도록 백판넬과 아우트판넬에 형성된 걸림수단과, 상기 백판넬과 아우트판넬과의 타측을 핀방식에 의해 2차 결합하도록 백판넬과 아우트판넬에 설치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체결나사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공정추가를 없앨 수 있고, 제품 생산 및 A/S 수리시 조립 및 분리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수 있는등의 작업효율 및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본 발명은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생산시나 또는 A/S 고정수리시 백판넬과 아우트판넬과의 결합 및 분리가 단순하게 하여 조립효율 및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의한 전자렌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티(10), 프론트판넬(20), 백판넬(30), 베이스판넬(40) 및 아우트판넬(50)의 결합에 의해 식품을 가열조리할 수 있는 일정공간을 가진 조리실(60)과,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면서 상부에 얹혀진 식품(예컨대, 가열조리 대상물)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조리실(60)내의 바닥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턴테이블(70)과, 상기 조리실(60)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80)와, 조리선택모드를 설정하거나 마그네트론(도시안됨) 등을 동작시키는 콘트롤부(9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백판넬(30)의 상단 및 양측벽에는 상기 아우트판넬(50)의 상면 및 양측면에 대하여 후측단에 밀착되도록 수평방향의 플랜지부(31)가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측 3곳과 양측벽 하부에 각각 1곳에는 상기 아우트판넬(50)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나사(100)가 나사결합되도록 버링가공(Burring)에 의해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나사홀(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우트판넬(50)의 후측 상단 및 양측벽에는 상기 백판넬(30)의 상단 및 양측벽에 대하여 후면에 밀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플랜지부(51)가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51)의 상단 및 양측벽에는 상기 다수개의 체결나사(100)가 통과되어 상기 백판넬(30)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홀(32)에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나사통과홀(5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렌지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도어(80)를 열고 조리실(60)내의 바닥에 설치된 턴테이블(70)상에 식품을 얹혀놓음과 동시에 다시 도어(80)를 닫고, 전원코드(110)를 소켓(도시안됨)에 꽂은 상태에서 조리 대상물의 성질에 따라 콘트롤부(90)의 조리선택모드를 조작시키면, 전원공급에 따라 턴테이블(70)이 일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마그네트론의 발진동작에 의해 주파수 2.45GHz의 마이크로파가 도시하지 않은 도파관을 통하여 조리실(60)내의 턴테이블(70)상에 얹혀진 식품에 조사됨으로써 마이크로파의 에너지는 유전체인 식품의 내부에서 열적인 에너지변환이 이루어져 식품을 데우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는, 제품의 생산 및 A/S 수리를 위하여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을 서로 조립 및 분리할 때 다수개의 체결나사(100)가 아우트판넬(50)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통과홀(52)을 통과하여 백판넬(30)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홀(32)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다수개의 체결나사(100)에 의존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나사홀(32)에 버르가공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별도로 작업공정이 추가됨은 물론, 조립 및 분리작업이 번거로운 등의 작업효율 및 생산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체결나사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공정추가를 없애고, 제품 생산 및 A/S 수리시 조립 및 분리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수 있는 등의 작업효율 및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는, 백판넬과 아우트판넬이 착탈가능케 결합되도록 구성된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판넬과 아우트판넬과의 일측을 걸림방식에 의해 1차 결합하도록 백판넬과 아우트판넬에 형성된 걸림수단과, 상기 백판넬과 아우트판넬과의 타측을 핀방식에 의해 2차 결합하도록 백판넬과 아우트판넬에 설치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에 의한 전자렌지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에 의한 전자렌지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백판넬과 아우트판넬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전자렌지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에 대한 요부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B부에 대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백판넬 31 : 플랜지부
33 : 슬롯 34 : 클립통과홀
50 : 아우트판넬 53 : 돌기
54 : 클립통과홀 200 : 걸림수단
300 : 고정수단 310 : 요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과의 일측을 걸림방식에 의해 1차 결합하도록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에 형성된 걸림수단(200)과, 상기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과의 타측을 핀방식에 의해 2차 결합하도록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에 설치된 고정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걸림수단(2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백판넬(30)의 플랜지부(31)에 대하여 상단과 양측벽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33)과, 상기 백판넬(30)에 아우트판넬(50)이 안착될 때 상기 슬롯(33)에 결합되도록 아우트판넬(50)의 상단과 양측벽에 대하여 후측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직각되게 절곡된 다수개의 돌기(5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슬롯(33)은 대체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53)는 상기 슬롯(33)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3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백판넬(30)에 형성된 플랜지부(31)의 양측벽 하부와 아우트판넬(50)이 양측벽 하부에 각각 형성된 클립통과홀(34)(54)과, 상기 한쌍의 클립통과홀(34)(54)을 통과할 때 좁혀졌다가 통과후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을 서로 결합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클립(3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클립(310)의 전단에는 상기 아우트판넬(50)의 클립통과홀(54)을 통과하지 못하고 아우트판넬(50)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머리부(3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단에는 상기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의 클립통과홀(34)(54)을 통과하여 백판넬(3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후크부(31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상기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의 클립통과홀(34)(54)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머리부(311)와 후크부(312)를 연결하도록 연결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부(312)의 끝단부터 연결부(313)의 중간거리까지에는 후크부(312)가 상기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의 클립통과홀(34)(54)을 통과할 때 탄성력에 의해 직경이 좁혀졌다가 통과후 직경이 복원되도록 절결홈(31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클립(310)은 A/S 수리를 위해 상기 백판넬(30)에서 아우트판넬(50)을 분리할 때 절단이 용이하도록 그 재질이 프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품 생산라인에서 백판넬(30)에 아우트판넬(50)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백판넬(30)의 후측에서나 또는 상부에서 아우트판넬(50)를 안착시키면 아우트판넬(50)의 후측단이 백판넬(30)의 상단과 양측벽에 형성된 플랜지부(31)의 상면과 양외측벽에 밀착되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트판넬(50)의 후측단 상면과 양측벽에 하부방향으로 직각되게 부분적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돌기(53)가 백판넬(30)의 플랜지부(31)에 대하여 상면과 양측벽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33)에 삽입됨으로서 1차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백판넬(30)의 플랜지부(31)의 양측벽 하단에 형성된 클립통과홀(34)과 아우트판넬(50)의 후단측 양측벽 하단에 형성된 클립통과홀(54)이 자동으로 일치된다.
이때, 작업자는 준비된 클립(310)에 형성된 후크부(312)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으로 향하게 한 다음, 그 후크부(312)를 상술한 한쌍의 클립통과홀(34)(54)속으로 밀어넣으면, 이 후크부(312)는 그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결된 절결홈(314)의 폭에 의해서 직경이 작아지게 수축됨과 동시에 클립통과홀(34)(54)을 무난히 통과하게 되고, 이들 클립통과홀(34)(54)을 통과한 후크부(312)는 클립(310)의 재질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직경으로 크게 복원된다.
즉, 클립(310)의 연결부(313)를 중심으로 그 일측단에 형성된 머리부(311)는 아우트판넬(50)의 후측면에 밀착되고, 후크부(312)는 백판넬(30)의 전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은 다수개의 클립(310)에 의해 2차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A/S 수리를 위해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니퍼(Nipper) 등의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클립(310)의 머리부(311)와 연결부(313)와의 사이를 절단시키면, 머리부(311)가 연결부(313)로부터 절단되면서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이 서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아우트판넬(50)을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아우트판넬(50)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53)가 백판넬(30)에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33)으로 부터 분리됨으로써 제품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됨은 물론 수리할 수 있는 단계에 놓이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에 의하면, 백판넬과 아우트판넬과의 조립시 상호 걸림수단에 의해 1차 결합됨과 동시에 고정수단에 의한 클립에 의해 2차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체결나사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공정추가를 없앨 수 있고, 제품 생산 및 A/S 수리시 조립 및 분리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수 있는 등의 작업효율 및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이 걸림수단(200)에 의해 착탈가능케 결합되도록 구성된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이 상기 걸림수단(200)에 의해 1차 결합된 후 일측이 핀방식에 의해 2차 결합되도록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에 설치된 고정수단(300)으로서, 상기 고정수단(300)은, 상기 백판넬(30)의 양측벽 하부와 아우트판넬(50)이 양측벽 하부에 각각 형성된 클립통과홀(34)과, 상기 한쌍의 클립통과홀(34)을 통과할 때 좁혀졌다가 통과후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백판넬(30)과 아우트판넬(50)을 서로 결합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클립(3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KR1019970024360A 1997-06-12 1997-06-12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KR100239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360A KR100239526B1 (ko) 1997-06-12 1997-06-12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360A KR100239526B1 (ko) 1997-06-12 1997-06-12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147A KR19990001147A (ko) 1999-01-15
KR100239526B1 true KR100239526B1 (ko) 2000-01-15

Family

ID=1950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360A KR100239526B1 (ko) 1997-06-12 1997-06-12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5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052A (ko) 2019-12-16 2021-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운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7046A (ko) 2019-12-16 2021-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운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052A (ko) 2019-12-16 2021-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운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7046A (ko) 2019-12-16 2021-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운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147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2817A1 (en) Structure for covering connection lin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cap of electric cooking appliance
KR100239526B1 (ko)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KR19990001148A (ko)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CA2623494A1 (en) Control cabinets for food precessing systems
JPH1114069A (ja) 電子レンジの外部パネル組立装置
KR100239525B1 (ko)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KR100546902B1 (ko) 전자레인지의 래치보드구조
KR100286561B1 (ko) 전자렌지의전원코드조립구조
KR19990025303A (ko)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KR100224448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 고정장치
JPH1064672A (ja) 電子レンジ
JPH1064671A (ja) 電子レンジ
KR200150895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히터 고정구조
KR100239524B1 (ko) 전자렌지의 외부판넬 조립장치
KR100215044B1 (ko) 전자렌지용 콘트롤판넬의 결합장치
KR100207244B1 (ko) 전자렌지
KR100264123B1 (ko) 전자렌지 서멀컷아웃스위치 브라켓트
KR100547694B1 (ko) 전자레인지 상부덕트의 고정구조
JPS6028882Y2 (ja) 高周波加熱装置
KR200153348Y1 (ko) 전자렌지의 도어구조
KR100385179B1 (ko) 전자렌지용 조작패널
KR980008913U (ko) 전자렌지의 턴테이블모터 취부장치
MXPA97009944A (en) Appliance to assemble an external panel for microon oven
KR19990084890A (ko) 복합전자렌지
KR19990033710A (ko) 전자 렌지용 컨트롤 패널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