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571A - 지능형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571A
KR20180016571A KR1020187000896A KR20187000896A KR20180016571A KR 20180016571 A KR20180016571 A KR 20180016571A KR 1020187000896 A KR1020187000896 A KR 1020187000896A KR 20187000896 A KR20187000896 A KR 20187000896A KR 20180016571 A KR20180016571 A KR 20180016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touch
fixed band
operation information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1136B1 (ko
Inventor
위샨 첸
쉐얀 황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1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61B5/1122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of movement traject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ometry (AREA)
  • Phy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능형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고정 밴드의 터치 영역 상에서, 제1 터치 조작을 검출하고, 제1 터치 조작의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101);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고,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1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정 밴드 상의 터치 조작을 사용하여 지능형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성을 향상시키고, 시계 다이얼 상에만 또는 시계 크라운을 통해서만 조작할 때, 낮은 레벨의 상호작용성의 약화 및 조작 방법들의 부족을 보상함으로써 지능형 웨어러블 장치의 조작성 및 사람-머신 상호작용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지능형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원은 2015년 6월 17일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SMART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MART WEARABLE DEVICE"라고 하는 중국 특허 출원 제201510338262.3호를 우선권 주장하고, 이 출원은 본원에 전체적으로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디바이스들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시계는 부상하고 있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다. 스마트 시계는 스마트 운영 체체를 실행하고,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고 이동 전화 상의 전화 호출들, SMS 메시지들, 이메일들, 사진들, 및 음악과 같은 콘텐츠를 동기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동 전화를 동작시킬 필요 없이 이동 전화 상의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스마트 시계 상에서 조작을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식들이 있을 수 있다. 한 방식에서, 크라운 소자가 스마트 시계 상에 보유되고, 크라운 소자가 인터페이스에서 줌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고 다양한 옵션들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방식에서, 스마트 시계의 터치스크린 상의 사용자의 이동하는 트랙이 텍스트를 입력하고 다양한 옵션들을 선택하기 위해 감지된다.
본 발명자는 종래 기술에 적어도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크라운 소자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 조작들은 많이 다각화되지 못하고 비교적 적은 수의 기능들이 구현되고, 사람-머신 상호작용성이 감소된다. 또한, 스마트 시계의 다이얼의 터치스크린의 면적이 비교적 작다. 결과적으로, 터치스크린 상에서 조작을 수행하는 정확성은 비교적 낮다. 이 방식에서, 사람-머신 상호작용성이 또한 감소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각화되지 못한 제어 방식들에 의해 야기된 비교적 낮은 상호작용성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기술적 해결책들은 다음과 같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고정 밴드를 포함하고,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이 상기 고정 밴드 상에 설정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설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에서 제2 터치-제어 조작이 검출될 때,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제2 터치-제어 조작이 검출될 때, 상기 제2 터치-제어 조작의 상기 제1 조작 정보 및 제2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조작 정보는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변형 정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제어 정도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상기 변형 정도 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상기 값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어 명령은 제어 정도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재 가속도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 값 및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상기 값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터치-제어 조작은 인터페이스를 스위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슬라이딩 조작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고정 밴드 상에 설정되고, 상기 고정 밴드 영역 내에 있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는 상기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가상 키보드의 제1 키보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발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키보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키보드 영역과 상기 제2 키보드 영역은 상이하다.
제1 양태 내지 제1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터치-제어 조작은 당기는 조작, 요동 조작, 및 흔드는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당기는 조작은 상기 고정 밴드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고정 밴드를 당기는 조작이고;
상기 요동 조작은 상기 고정 밴드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고정 밴드를 요동하는 조작이고;
상기 흔드는 조작은 상기 고정 밴드의 한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 밴드의 다른 단부를 불규칙적으로 흔드는 조작이다.
제1 양태 내지 제1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고정 밴드는 제1 고정 밴드부 및 제2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는 상기 제1 고정 밴드부의 영역 내의 터치-제어 조작의 제3 조작 정보 및 상기 제2 고정 밴드부의 영역 내의 터치-제어 조작의 제4 조작 정보를 포함하고;
대응하여,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3 조작 정보 또는 상기 제4 조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 하나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고정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밴드는 기계적 센서를 포함하고,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이 상기 고정 밴드 상에 설정되고,
상기 기계적 센서는 상기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계적 센서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설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2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 내의 상기 제2 터치-제어 조작의 상기 제1 조작 정보 및 제2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도록 더 구성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조작 정보는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변형 정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제어 정도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상기 변형 정도 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상기 값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재 가속도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제어 정도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획득된 상기 가속도 값 및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상기 값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터치-제어 조작은 인터페이스를 스위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슬라이딩 조작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고정 밴드 상에 설정되고, 가상 키보드의 제1 키보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고;
대응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발생된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에 따라 제2 키보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키보드 영역과 상기 제2 키보드 영역은 상이하다.
제2 양태 내지 제2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터치-제어 조작은 당기는 조작, 요동 조작, 및 흔드는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당기는 조작은 상기 고정 밴드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고정 밴드를 당기는 조작이고;
상기 요동 조작은 상기 고정 밴드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고정 밴드를 요동하는 조작이고;
상기 흔드는 조작은 상기 고정 밴드의 한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 밴드의 다른 단부를 불규칙적으로 흔드는 조작이다.
제2 양태 내지 제2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고정 밴드는 제1 고정 밴드부 및 제2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는 상기 제1 고정 밴드부의 영역 내의 터치-제어 조작의 제3 조작 정보 및 상기 제2 고정 밴드부의 영역 내의 터치-제어 조작의 제4 조작 정보를 포함하고;
대응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조작 정보 또는 상기 제4 조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고정 밴드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제1 터치-제어 조작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가 획득되고, 제어 명령이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발생되고 제어 명령이 실행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식이 고정 밴드 상의 터치-제어 조작을 사용함으로써 추가될 수 있고,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조작성 및 사람-머신 상호작용성이 개선되고, 조작이 다이얼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만 또는 크라운과 같은 부분만을 사용하여 수행될 때 야기되는 다각화되지 못한 조작 방식들 및 낮은 상호작용성의 단점들이 극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다음에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분명히, 다음 설명에서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의적 노력들 없이 이들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도출해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에서의 개략적 동작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에서의 개략적 동작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에서의 개략적 동작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에서의 개략적 동작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에서의 개략적 동작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결책들, 및 장점들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더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 실시예는 기계적 센서가 배치된 고정 밴드를 갖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고정 밴드를 포함한다.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이 고정 밴드 상에 설정된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01.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한다.
102.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고,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조작 정보와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획득되고, 제어 명령이 실행된다.
고정 밴드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자의 몸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이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스마트 시계일 때, 고정 밴드는 시계 밴드일 수 있다.
고정 밴드 내에 배치된 기계적 센서는 변형 감지 센서, 압력 감지 센서, 또는 텐션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해 고정 밴드에 가해지는 탭핑 조작, 슬라이딩 조작, 당기는 조작, 트위스팅 조작, 요동 조작, 흔드는 조작, 및 누르는 조작은 변형 감지 센서, 압력 감지 센서, 또는 텐션 감지 센서를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변형 감지 센서에서, 고정 밴드의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이 프리셋될 수 있다. 대응하여, 양방향 변형 및 음방향 변형이 감지될 수 있다. 양방향 및 음방향은 단지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정된 상대적 개념들이다.
당기는 조작은 고정 밴드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 밴드를 당기는 조작이다.
요동 조작은 고정 밴드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 밴드를 요동하는 조작이다.
흔드는 조작은 고정 밴드의 한 단부를 고정하고 고정 밴드의 다른 단부를 불규칙적으로 흔드는 조작이다.
또한, 고정 밴드는 제1 고정 밴드부 및 제2 고정 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고정 밴드부들은 사용자가 한 부분을 따로 조작하게 하거나 양쪽 부분을 조합하여 조작하게 할 수 있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직으로 착용될 때, 제1 고정 밴드부 및 제2 고정 밴드부는 각각 상부 고정 밴드부 및 하부 고정 밴드부일 수 있다. 상부 고정 밴드부 및 하부 고정 밴드부는 단지 구별하기 위해 설정된 상대적 개념들이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평으로 놓일 때, 제1 고정 밴드부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좌측 상의 반부일 수 있고, 제2 고정 밴드부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우측 상의 반부일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 밴드의 어느 한쪽의 반부 상에서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하고, 터치-제어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획득하고, 궁극적으로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고정 밴드의 2개의 고정 밴드부들 상에서 터치-제어 조작들을 따로 수행하고, 각각의 고정 밴드부 상의 터치-제어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획득하고; 또는 각각의 고정 밴드부 상의 터치-제어 조작을 획득하고, 2개의 터치-제어 조작들의 조작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터치-제어 조작들이 2개의 고정 밴드부들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수의 감지 영역들이 고정 밴드 상에 더 프리셋될 수 있고, 대응하는 식별자가 각각의 감지 영역에 대해 정의될 수 있어서, 고정 밴드 상의 사용자의 각각의 터치를 결정한다.
단계 102에서의 제1 조작 정보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외부 힘 유형, 외부 힘 위치, 및 외부 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대응하여, 조작 정보와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은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힘 유형, 외부 힘 위치, 및 외부 힘 방향과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일 수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또한, 사용 방식들은 애플리케이션들 마다 다르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들은 애플리케이션들의 요건들에 따라 조작 정보와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을 설정할 수 있다. 대응하여, 단계 102는 구체적으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현재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식별자를 획득하고, 프로그램 식별자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와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을 획득하고;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와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제1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식별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이름, 설치 시간, 설치 위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제1 터치-제어 조작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가 획득되고, 제어 명령이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발생되고 제어 명령이 실행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식이 고정 밴드 상의 터치-제어 조작을 사용함으로써 추가될 수 있고,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조작성 및 사람-머신 상호작용성이 개선되고, 조작이 다이얼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만 또는 크라운과 같은 부분만을 사용하여 수행될 때 야기되는 다각화되지 못한 조작 방식들 및 낮은 상호작용성의 단점들이 극복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 실시예는 기계적 센서가 배치된 고정 밴드를 갖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고정 밴드를 포함한다.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이 고정 밴드 상에 설정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설정된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201.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제1 터치-제어 조작과 조합하여,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제2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한 후에,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 및 제2 터치-제어 조작의 제2 조작 정보가 궁극적인 제어 명령을 결정하기 위해 함께 사용된다.
제1 터치-제어 조작과 제2 터치-제어 조작 둘 다는 탭핑 조작, 길게 누르는 조작, 및 슬라이딩 조작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202.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에서 제2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한다.
203.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에서 제2 터치-제어 조작이 검출될 때, 제2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 및 제2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제1 조작 정보 및 제2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제1 조작 정보 및 제2 조작 정보에 따라 제1 조작 정보, 제2 조작 정보, 및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획득된다.
사용 방식들이 애플리케이션들 마다 다르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들은 애플리케이션들의 요건들에 따라 제1 조작 정보, 제2 조작 정보, 및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을 설정할 수 있다. 대응하여, 단계 203은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에서 현재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식별자를 획득하고, 프로그램 식별자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제1 조작 정보, 제2 조작 정보, 및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을 획득하고; 제1 조작 정보 및 제2 조작 정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제1 조작 정보, 제2 조작 정보, 및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제1 조작 정보 및 제2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사진 찍기 시나리오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스마트 시계인 예가 사용된다. 사용자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스마트 시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누르고 계속 있는다. 이 때, 스마트 시계는 길게 누르는 이벤트, 즉 제2 터치-제어 조작이 트리거되는 것을 감지한다. 동시에, 사용자는 고정 밴드 상에서, 다른 손가락을 사용하여 고정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또는 시계 밴드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인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한다.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 및 제2 터치-제어 조작의 제2 조작 정보에 따라 발생된 제어 명령은 줌 인 또는 줌 아웃되도록 스마트 시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제어하는 명령이다.
204.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제1 터치-제어 조작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가 획득되고, 제어 명령이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발생되고 제어 명령이 실행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식이 고정 밴드 상의 터치-제어 조작을 사용함으로써 추가될 수 있고,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조작성 및 사람-머신 상호작용성이 개선되고, 조작이 다이얼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만 또는 크라운과 같은 부분만을 사용하여 수행될 때 야기되는 다각화되지 못한 조작 방식들 및 낮은 상호작용성의 단점들이 극복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 실시예는 기계적 센서가 배치된 고정 밴드를 갖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301.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한다.
제1 조작 정보는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변형 정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응하여, 제1 조작 정보는 고정 밴드 내의 압력 감지 센서를 사용하여 감지된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고정 밴드 내의 변형 감지 센서를 사용하여 감지된 변형 정도 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302.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변형 정도 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이 터치-제어 강도 값에 따라 터치-제어 강도 값과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획득되고; 또는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이 변형 정도 값에 따라 변형 정도 값과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획득되고; 또는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이 터치-제어 강도 값 및 변형 정도 값에 따라 터치-제어 강도 값, 변형 정도 값, 및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획득된다.
303.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한다.
제어 명령은 제어 정도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이한 제어 정도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상이한 제어 효과들이 동일한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이한 강도들을 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제어 조작은 고정 밴드 상의 슬라이딩 조작이다. 터치-제어 강도 값이 더 크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하는 게임에서의 대응하는 조작의 게이밍 이동은 더 크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레이싱 게임에서 스티어링 휠을 조종하도록 제어하는 조작인 것일 수 있다. 터치-제어 강도 값이 더 클 때, 대응하는 회전 각도는 더 크다.
또 하나의 예로, 현재의 제어 명령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의 그림을 슬라이드하는 것이다. 슬라이딩 속도는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변형 정도 값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변형 정도 값이 더 클 때, 슬라이딩 속도는 더 높다.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변형 정도 값이 더 작을 때, 슬라이딩 속도는 더 낮다.
그러므로, 제어 명령은 다음의 단계를 사용하여 발생될 수 있다: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과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한다.
304.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제1 터치-제어 조작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가 획득되고, 제어 명령이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발생되고 제어 명령이 실행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식이 고정 밴드 상의 터치-제어 조작을 사용함으로써 추가될 수 있고,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조작성 및 사람-머신 상호작용성이 개선되고, 조작이 다이얼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만 또는 크라운과 같은 부분만을 사용하여 수행될 때 야기되는 다각화되지 못한 조작 방식들 및 낮은 상호작용성의 단점들이 극복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 실시예는 기계적 센서가 배치된 고정 밴드를 갖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401.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3축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3개의 축들 각각에 대응하는 가속도의 값은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축들에 대응하는 가속도들의 감지된 값들은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강도를 제어하기 위해 고정 밴드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터치-제어 조작과 더 조합될 수 있다.
본 경우의 구현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모션 감지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 모션 감지 게임의 조작을 수행하고, 보다 실감나는 모션 효과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이동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트램폴린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 아래로 요동한다. 유사하게, 허들링, 스키, 서핑, 및 다른 게임들이 또한 플레이될 수 있다.
402. 가속도 값 및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은 가속도 값 및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가속도 값, 조작 정보, 및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획득된다.
403.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제어 정도 파라미터에 따라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과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획득된다.
404.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트램폴린 게임을 플레이할 때, 사용자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 아래로 요동한다. 이 경우에,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위 아래로 요동하는 가속도 파라미터를 감지하고, 변형 감지 센서는 고정 밴드의 변형을 감지하고, 제어 명령이 변형 및 변형의 위치 및 방향을 사용하여 궁극적으로 획득된다. 제어 명령은 트램폴린 게임에서의 모션 제어 또는 점프 제어일 수 있다. 대응하여, 제어 명령에서의 모션 제어 또는 점프 제어를 실행하는 강도는 가속도 파라미터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가속도 파라미터가 더 클 때, 대응하는 모션 크기 또는 점프 크기는 더 크다. 가속도 파라미터가 더 작을 때, 대응하는 모션 크기 또는 점프 크기는 더 작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제1 터치-제어 조작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가 획득되고, 제어 명령이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발생되고 제어 명령이 실행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식이 고정 밴드 상의 터치-제어 조작을 사용함으로써 추가될 수 있고,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조작성 및 사람-머신 상호작용성이 개선되고, 조작이 다이얼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만 또는 크라운과 같은 부분만을 사용하여 수행될 때 야기되는 다각화되지 못한 조작 방식들 및 낮은 상호작용성의 단점들이 극복된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 실시예는 기계적 센서가 배치된 고정 밴드를 갖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이 고정 밴드 내에 더 포함될 수 있고,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501. 디스플레이 영역에 가상 키보드의 제1 키보드 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
대응하여, 가상 키보드는 제2 키보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키보드 영역과 제2 키보드 영역은 상이하다.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은 비교적 작기 때문에, 모든 키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없다. 대응하여, 다수의 키보드 영역들이 가상 키보드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상이한 키들이 상이한 키보드 영역들 내에 포함된다.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이 키보드 영역들을 스위치하기 위해, 고정 밴드 상의 터치-제어 조작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키보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키들은 ASDFG이고, 제2 키보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키들은 ZXCVB이다. 제1 키보드 영역 및 제2 키보드 영역은 단지 상이한 키보드 영역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키보드 영역들의 양을 제한하지 않고, 모든 키보드 영역들은 키보드 내에 모든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502.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한다.
제1 터치-제어 조작은 탭핑 조작, 길게 누르는 조작, 또는 슬라이딩 조작일 수 있다.
503.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발생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키보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실행한다.
텍스트 입력 시나리오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스마트 시계인 예가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영역이 스마트 시계의 시계 밴드 내에 더 설정된다. 사용자는 스마트 시계를 수평으로 앞에 놓을 수 있다. 스마트 시계는 시계 밴드 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캐릭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슬라이드하는 터치-제어 조작이 수행될 때,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상이한 행들의 키들을 스위치한다. 탭핑하는 터치-제어 조작이 수행될 때,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캐릭터를 입력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특정한 입력된 캐릭터 콘텐츠가 시계 밴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탭된 프리셋 영역 및 영역과 캐릭터 간의 관련성에 따라 결정된다. 본 예의 개략적 동작도가 도 6에 도시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제1 터치-제어 조작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가 획득되고, 제어 명령이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발생되고 제어 명령이 실행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식이 고정 밴드 상의 터치-제어 조작을 사용함으로써 추가될 수 있고,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조작성 및 사람-머신 상호작용성이 개선되고, 조작이 다이얼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만 또는 크라운과 같은 부분만을 사용하여 수행될 때 야기되는 다각화되지 못한 조작 방식들 및 낮은 상호작용성의 단점들이 극복된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 실시예는 기계적 센서가 배치된 고정 밴드를 갖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701.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고정 밴드는 제1 고정 밴드부 및 제2 고정 밴드부를 포함한다. 제1 조작 정보는 제1 고정 밴드부의 영역 내의 터치-제어 조작의 제3 조작 정보 및 제2 고정 밴드부의 영역 내의 터치-제어 조작의 제4 조작 정보를 포함한다.
702. 제3 조작 정보 또는 제4 조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제3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제3 조작 정보에 따라 조작 정보와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획득되고; 또는
제4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제4 조작 정보에 따라 조작 정보와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획득되고; 또는
제3 조작 정보 및 제4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제3 조작 정보 및 제4 조작 정보에 따라 제3 조작 정보, 제4 조작 정보 및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획득된다.
사용 방식들이 애플리케이션들 마다 다르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들은 애플리케이션들의 요건들에 따라 제3 조작 정보, 제4 조작 정보, 및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을 설정할 수 있다. 대응하여, 단계 702는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에서 현재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식별자를 획득하고, 프로그램 식별자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제3 조작 정보, 제4 조작 정보, 및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을 획득하고; 제3 조작 정보 및 제4 조작 정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제3 조작 정보, 제4 조작 정보, 및 제어 명령 간의 관련성으로부터 제3 조작 정보 및 제4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703.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이 몇 가지 특정한 구현 시나리오들을 예들로 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게이밍 시나리오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스마트 시계인 예가 사용된다. 스마트 시계는 현재 수직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고, 사용자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레이싱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상부 고정 밴드부 상에서 탭핑하는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레이스 카를 가속하는 것이고; 다른 손가락을 사용하여 하부 고정 밴드부 상에서, 고정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또는 고정 밴드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하고,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레이스 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 방식은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상부 고정 밴드부 상에서 고정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또는 고정 밴드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하고,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레이스 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고; 다른 손가락을 사용하여 하부 고정 밴드부 상에서 탭핑하는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하고,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레이스 카를 제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액션-어드벤처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 스마트 시계는 또한 수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상부 고정 밴드부 상에서 탭핑하는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무기를 사용하여 어택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고; 다른 손가락을 사용하여 하부 고정 밴드부 상에서 고정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또는 고정 밴드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하고,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캐릭터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예의 개략적 동작도가 도 8에 도시된다.
또한, 스마트 시계가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에 있을 때, 고정 밴드의 변형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2개의 고정 밴드부들 상에 트위스트하거나 요동하는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고,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변형에 대응하는 액션이다. 본 예의 개략적 동작도가 도 9에 도시된다.
사진 찍기 시나리오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스마트 시계인 예가 사용된다. 스마트 시계가 사진기에 사용되거나 사용자의 이동 전화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사진을 찍기 위한 리모트 제어로서 사용될 때, 사용자는 동시에 2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고정 밴드 상에서 고정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초점 맞추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부 고정 밴드부 상에서 검지 손가락을 상향/하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동시에 하부 고정 밴드부 상에서 엄지 손가락을 상향/하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사용자는 또한 2개의 손가락을 다이얼로부터 멀리/다이얼로 향하게 손목의 주위를 따라 동시에 슬라이드하는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렌즈를 줌 인/아웃하는 것이다. 초점 거리가 조정되고 렌즈가 설정된 후에, 고정 밴드의 프리셋 영역에서 탭핑하는 터치-제어 조작이 다음에 수행되고,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초점 맞추기 또는 사진 찍기를 트리거하는 것이다. 본 예의 개략적 동작도가 도 10에 도시된다. 또한, 초점 맞추기하기 위해 사용된 전술한 방식은 또한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줌 인 또는 줌 아웃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콘텐츠 선택 시나리오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스마트 시계인 예가 사용된다. 사용자는 고정 밴드 상에서 길게 누르는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하거나 슬라이드하는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고; 또한 고정 밴드 상에서 상이한 방향들로 슬라이드하는 터치-제어 조작을 수행할 수 있고,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콘텐츠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다. 텍스트 콘텐츠가 예로서 사용된다. 사용자는 선택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선택된 텍스트의 시작 점을 뒤로 이동시키도록 상부 고정 밴드부 상에서 상향 또는 좌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선택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선택된 텍스트의 끝 점을 앞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부 고정 밴드부 상에서 하향 또는 우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또는 이 반대도 가능하다. 본 예의 개략적 동작도가 도 11에 도시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상부 고정 밴드부 및 하부 고정 밴드부는 제1 고정 밴드부 및 제2 고정 밴드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제1 터치-제어 조작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가 획득되고, 제어 명령이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발생되고 제어 명령이 실행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식이 고정 밴드 상의 터치-제어 조작을 사용함으로써 추가될 수 있고,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조작성 및 사람-머신 상호작용성이 개선되고, 조작이 다이얼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만 또는 크라운과 같은 부분만을 사용하여 수행될 때 야기되는 다각화되지 못한 조작 방식들 및 낮은 상호작용성의 단점들이 극복된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장치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적 센서가 배치된 고정 밴드를 갖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장치는
프로세서(1201) 및 고정 밴드(1202)를 포함하고, 여기서 고정 밴드(1202)는 기계적 센서(12021)를 포함하고,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이 고정 밴드 상에 설정된다.
기계적 센서(12021)는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201)는 기계적 센서(12021)에 의해 획득된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고, 제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201)는 메모리에 접속되고, 메모리 내에 저장된 코드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03)을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설정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0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2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고, 제2 터치-제어 조작의 제2 조작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201)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 내의 제2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 및 제2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제1 조작 정보는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변형 정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어 명령은 제어 정도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1)는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변형 정도 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하고,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가속도 센서(1204)를 더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1204)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재 가속도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명령은 제어 정도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1)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획득된 가속도 값 또는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하고,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제1 터치-제어 조작은 인터페이스를 스위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슬라이딩 조작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영역(12022)이 고정 밴드(1202) 상에 설정되고, 가상 키보드의 제1 키보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응하여, 프로세서(1201)는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영역(12022)은 프로세서(1201)에 의해 발생된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에 따라 제2 키보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되고, 여기서 제1 키보드 영역과 제2 키보드 영역은 상이하다.
제1 터치-제어 조작은 당기는 조작, 요동 조작, 및 흔드는 조작을 포함한다.
당기는 조작은 고정 밴드(1202)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 밴드(1202)를 당기는 조작이다.
요동 조작은 고정 밴드(1202)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 밴드(1202)를 요동하는 조작이다.
흔드는 조작은 고정 밴드(1202)의 한 단부를 고정하고 고정 밴드(1202)의 다른 단부를 불규칙적으로 흔드는 조작이다.
고정 밴드(1202)는 제1 고정 밴드부 및 제2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고, 제1 조작 정보는 제1 고정 밴드부의 영역 내의 터치-제어 조작의 제3 조작 정보 및 제2 고정 밴드부의 영역 내의 터치-제어 조작의 제4 조작 정보를 포함한다.
대응하여, 프로세서(1201)는 제3 조작 정보 또는 제4 조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제1 터치-제어 조작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검출되고,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가 획득되고, 제어 명령이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발생되고 제어 명령이 실행된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식이 고정 밴드 상의 터치-제어 조작을 사용함으로써 추가될 수 있고,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조작성 및 사람-머신 상호작용성이 개선되고, 조작이 다이얼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만 또는 크라운과 같은 부분만을 사용하여 수행될 때 야기되는 다각화되지 못한 조작 방식들 및 낮은 상호작용성의 단점들이 극복된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들의 단계들의 모두 또는 일부가 하드웨어 또는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리드 온리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들은 본 발명의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 및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등가적인 대체, 및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드는 것이다.

Claims (14)

  1.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고정 밴드를 포함하고,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이 상기 고정 밴드 상에 설정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설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에서 제2 터치-제어 조작이 검출될 때,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터치-제어 조작의 상기 제1 조작 정보 및 제2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정보는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변형 정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제어 정도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상기 변형 정도 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상기 값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제어 정도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재 가속도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 값 및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상기 값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제어 조작은 인터페이스를 스위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슬라이딩 조작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고정 밴드 상에 설정되고, 상기 고정 밴드 영역 내에 있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가상 키보드의 제1 키보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발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2 키보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키보드 영역과 상기 제2 키보드 영역은 상이한,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제어 조작은 당기는 조작(pulling operation), 요동 조작(swaying operation), 및 흔드는 조작(shaking ope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당기는 조작은 상기 고정 밴드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고정 밴드를 당기는 조작이고;
    상기 요동 조작은 상기 고정 밴드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고정 밴드를 요동하는 조작이고;
    상기 흔드는 조작은 상기 고정 밴드의 한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 밴드의 다른 단부를 불규칙적으로 흔드는 조작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는 제1 고정 밴드부 및 제2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는 상기 제1 고정 밴드부의 영역 내의 터치-제어 조작의 제3 조작 정보 및 상기 제2 고정 밴드부의 영역 내의 터치-제어 조작의 제4 조작 정보를 포함하고;
    대응하여,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조작 정보 또는 상기 제4 조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고정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밴드는 기계적 센서를 포함하고,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이 상기 고정 밴드 상에 설정되고,
    상기 기계적 센서는 상기 고정 밴드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1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제1 터치-제어 조작의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계적 센서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 명령을 발생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설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 내에 있는 제2 터치-제어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제어 영역 내의 상기 제2 터치-제어 조작의 상기 제1 조작 정보 및 제2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 정보는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변형 정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제어 정도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제어 강도 값 또는 상기 변형 정도 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상기 값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재 가속도 값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제어 정도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획득된 상기 가속도 값 및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 정도 파라미터의 상기 값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제어 조작은 인터페이스를 스위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슬라이딩 조작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고정 밴드 상에 설정되고, 가상 키보드의 제1 키보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고;
    대응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발생된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 명령에 따라 제2 키보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키보드 영역과 상기 제2 키보드 영역은 상이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제어 조작은 당기는 조작, 요동 조작, 및 흔드는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당기는 조작은 상기 고정 밴드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고정 밴드를 당기는 조작이고;
    상기 요동 조작은 상기 고정 밴드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고정 밴드를 요동하는 조작이고;
    상기 흔드는 조작은 상기 고정 밴드의 한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 밴드의 다른 단부를 불규칙적으로 흔드는 조작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는 제1 고정 밴드부 및 제2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는 상기 제1 고정 밴드부의 영역 내의 터치-제어 조작의 제3 조작 정보 및 상기 제2 고정 밴드부의 영역 내의 터치-제어 조작의 제4 조작 정보를 포함하고;
    대응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조작 정보 또는 상기 제4 조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87000896A 2015-06-17 2016-03-10 지능형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1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338262.3A CN104978142B (zh) 2015-06-17 2015-06-17 一种智能穿戴设备及智能穿戴设备的控制方法
CN201510338262.3 2015-06-17
PCT/CN2016/076053 WO2016202017A1 (zh) 2015-06-17 2016-03-10 一种智能穿戴设备及智能穿戴设备的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571A true KR20180016571A (ko) 2018-02-14
KR102151136B1 KR102151136B1 (ko) 2020-09-02

Family

ID=5427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896A KR102151136B1 (ko) 2015-06-17 2016-03-10 지능형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68025B2 (ko)
EP (1) EP3301560A4 (ko)
KR (1) KR102151136B1 (ko)
CN (1) CN104978142B (ko)
WO (1) WO2016202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084B1 (ko) * 2015-06-16 2021-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4978142B (zh) * 2015-06-17 2018-07-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及智能穿戴设备的控制方法
CN105487707B (zh) * 2015-11-24 2019-02-15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及其信息输入方法
CN105487800B (zh) * 2015-11-27 2019-07-12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智能终端的输入方法和系统
CN105727551A (zh) * 2016-01-29 2016-07-0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游戏攻击方法及装置
CN115167727A (zh) * 2016-03-25 2022-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字符输入方法、装置及终端
CN105975078B (zh) * 2016-05-11 2019-02-22 上海墨百意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可穿戴设备的手势识别方法及装置
JP7245167B2 (ja) * 2017-02-27 2023-03-23 バーリント ゲーザ 表示情報及び/又はデータの同時多機能操作を可能とする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スマートデバイス
CN107037947A (zh) * 2017-03-30 2017-08-1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及其控制方法
CN107562205B (zh) * 2017-09-15 2021-08-13 上海展扬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投影键盘及该投影键盘的操作方法
CN107754308A (zh) * 2017-09-28 2018-03-0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19169636A1 (zh) * 2018-03-09 2019-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测量人体生理参数的方法和终端设备
CN109002244A (zh) * 2018-07-02 2018-12-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可穿戴设备的表带控制方法、可穿戴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9144246A (zh) * 2018-07-10 2019-0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可穿戴设备、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109992340A (zh) * 2019-03-15 2019-07-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桌面显示方法、可穿戴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835605B (zh) * 2020-06-24 2024-02-1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表盘显示控制方法、装置、可穿戴设备以及存储介质
US20220390904A1 (en) * 2021-06-06 2022-1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driven external digital crown for smartwatch
CN113805471A (zh) * 2021-09-03 2021-12-17 上海豪承信息技术有限公司 智能手表和智能手表控制方法
KR20230096730A (ko) * 2021-12-23 2023-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798A (ko) * 2008-10-29 2011-06-03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KR20110100232A (ko) * 2008-12-26 2011-09-0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50045257A (ko) * 2013-10-18 2015-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1420A (ko) * 2013-11-27 2015-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2340B2 (ja) * 2000-05-17 2008-02-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機器
US20090187121A1 (en) * 2008-01-22 2009-07-23 Camntech Limited Diary and method for medical monitoring
US8098141B2 (en) * 2009-02-27 2012-01-17 Nokia Corporation Touch sensitive wearable band apparatus and method
CA2716677C (en) 2010-10-07 2012-09-11 Electronic Systems Software Solutions Inc. Text entry device and method
US9477320B2 (en) 2011-08-16 2016-10-25 Argotext, Inc. Input device
US8902713B2 (en) 2012-08-29 2014-12-02 Motorola Mobility Llc Wearable device with acoustic user input and method for same
CN104007832B (zh) * 2013-02-25 2017-09-01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连续滑行输入文本的方法、系统及设备
CN103150063A (zh) * 2013-04-09 2013-06-12 北京紫霄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lcd的光学多点触控设备
US8725842B1 (en) * 2013-07-11 2014-05-13 Khalid Al-Nasser Smart watch
WO2015038684A1 (en) * 2013-09-10 2015-03-19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article with signaling, split display and messaging features
JP2017501469A (ja) * 2013-10-24 2017-01-12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手首の動きを用いたリストバンドデバイスの入力
US20150153854A1 (en) 2013-12-03 2015-06-04 Lenovo (Singapore) Pte. Ltd. Extension of wearable information handling device user interface
US20150227245A1 (en) * 2014-02-10 2015-08-13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Device with Flexible Electronic Display Orientation Detection
CN104090649A (zh) 2014-05-20 2014-10-08 上海翰临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表带及其操作控制方法
US9594427B2 (en) * 2014-05-23 2017-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inger tracking
US9904254B1 (en) * 2014-09-24 2018-02-27 Andrew Jeon Hariri Customizable smart watch and housing
US9785123B2 (en) * 2014-09-26 2017-10-10 Intel Corporation Digital analog display with rotating bezel
CN104317394B (zh) * 2014-09-26 2017-11-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腕带式穿戴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腕带式穿戴设备
CN104461004B (zh) * 2014-12-12 2018-04-10 北京奇宝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智能设备
US10055563B2 (en) * 2015-04-15 2018-08-21 Mediatek Inc. Air writing and gesture system with interactive wearable device
CN104978142B (zh) * 2015-06-17 2018-07-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及智能穿戴设备的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798A (ko) * 2008-10-29 2011-06-03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KR20110100232A (ko) * 2008-12-26 2011-09-0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표시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50045257A (ko) * 2013-10-18 2015-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1420A (ko) * 2013-11-27 2015-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78142A (zh) 2015-10-14
WO2016202017A1 (zh) 2016-12-22
KR102151136B1 (ko) 2020-09-02
CN104978142B (zh) 2018-07-31
US20180113486A1 (en) 2018-04-26
EP3301560A1 (en) 2018-04-04
EP3301560A4 (en) 2018-04-04
US11068025B2 (en)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136B1 (ko) 지능형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533373B (zh) 虚拟现实中经由手与对象的场境敏感碰撞的输入
US10948992B1 (en) Ring human-machine interface
CN107132988B (zh) 虚拟对象状态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5802667B2 (ja) ジェスチャ入力装置およびジェスチャ入力方法
JP4932010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処理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処理方法、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処理プログラム
WO20140542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modifying scrolling of automatically scrolled content
JP2014045965A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EP2558924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user input using a camera
JP2013511773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上の3次元仮想オブジェクト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5058530A1 (en) Method,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formoving target element
JP6581639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651907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53401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WO2018216080A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JP2023139033A (ja) 視点回転の方法、装置、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40111551A1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JP656140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6774833A (zh) 虚拟现实交互方法及装置
US20210389828A1 (en) Electronic input system
CN108351748B (zh) 计算机可读介质和便携式终端
JP6603024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3677579A (zh) 电子设备和控制方法
JP7052128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8032130A (ja) 仮想空間における入力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