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134A -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134A
KR20180016134A KR1020160100169A KR20160100169A KR20180016134A KR 20180016134 A KR20180016134 A KR 20180016134A KR 1020160100169 A KR1020160100169 A KR 1020160100169A KR 20160100169 A KR20160100169 A KR 20160100169A KR 20180016134 A KR20180016134 A KR 20180016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urrent
voltage
current transform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279B1 (ko
Inventor
한철승
나원산
박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6010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2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62Avoiding or suppressing excessive transient voltages or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자기유도에 의해 발생한 전력의 전압이 기준을 초과하면 일부를 소비하여 부하로 인가되는 전력을 정격 전압으로 유지하여 과전압에 의한 부하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전원 안정화 장치를 제시한다. 제시된 전원 안정화 장치는 선로에 설치된 변류기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부, 전력 감지부에서 감지한 출력 전력 및 기준값을 근거로 출력 전력의 변환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 출력 전력 변환으로 제어하면, 변류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력을 정격 전압을 갖는 출력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STABILIZING POWER APPARATUS AND ELECTROMAGNETIC INDUCTIVE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로에 설치된 변류기에서 자기유도 형상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안정화하여 과전압이 부하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한 전원 공급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송전선로, 배전 선로 등과 같이 대용량 전류가 흐르는 전력선에 설치되는 변류기를 포함한다. 자기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는 변류기에서 자기유도 현상을 통해 취득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부하로 공급한다.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설치된 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취득한 전력의 전압이 가변한다. 즉,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높아지면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에서 취득하는 전력의 전압이 증가하고,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낮아지면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에서 취득하는 전력의 전압이 감소한다.
이때, 선로에 과도한 전류가 흐를 경우,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에서 취득하는 전력의 전압이 허용 범위를 초과하게 된다.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전압의 전력이 부하로 공급되는 경우 부하의 기기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퓨즈, 바리스터(Viristor), TVS 다이오드 등의 소자로 구성되는 과전압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가 개발되었다. 즉, 종래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과전압 출력시 과전압 회로가 동작하여 부하로 인가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과전압 회로로 구성된 퓨즈, 바리스터, TVS 다이오드 등의 소자는 과전압 인가시 파손되기 때문에, 종래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과전압 방지 기능을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과전압 보호 동작 이후 추가 발생하는 과전압에 대해 보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4371호(명칭: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자기유도에 의해 발생한 전력의 전압이 기준을 초과하면 일부를 소비하여 부하로 인가되는 전력을 정격 전압으로 유지하여 과전압에 의한 부하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전압에 대해 보호 동작을 반복 수행하도록 한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안정화 장치는 선로에 설치된 변류기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부, 전력 감지부에서 감지한 출력 전력 및 기준값을 근거로 출력 전력의 변환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 출력 전력 변환으로 제어하면, 변류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력을 정격 전압을 갖는 출력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한다.
이때, 전력 감지부는 출력 전력의 전압 및 전류 중에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부하의 정격 전압 및 정격 전류 중에 적어도 하나를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출력 전력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출력 전력의 변환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는 가변 저항 또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기준값과 출력 전력의 차이값을 근거로 저항값을 가변하여 출력 전력의 일부를 소비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는 변류기 모듈과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치 및 복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은 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자기유도로 전류를 유도하여 교류 전력을 생성하는 변류기 모듈 및 변류기에서 생성한 교류 전력 및 기준값을 근거로 교류 전력을 정격 전압을 갖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 안정화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전원 안정화 장치는 변류기 모듈에서 생성한 교류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교류 전력의 전압을 적어도 일부 소비하여 정격 전압을 갖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류기 모듈과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치 및 복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은 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자기유도로 전류를 유도하여 교류 전력을 생성하는 변류기 모듈, 변류기 모듈에서 생성한 교류 전력 및 기준값을 근거로 교류 전력을 정격 전압을 갖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전원 안정화 장치에서 변환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전원 안정화 장치는 변류기 모듈에서 생성한 교류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교류 전력의 전압을 적어도 일부 소비하여 정격 전압을 갖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류기 모듈과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치 및 복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은 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자기유도로 전류를 유도하여 교류 전력을 생성하는 변류기 모듈, 변류기 모듈에서 생성한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장치 및 정류장치에서 변환한 직류 전력 및 기준값을 근거로 직류 전력을 정격 전압을 갖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 안정화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전원 안정화 장치는 정류장치에서 변환한 직류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직류 전력의 전압을 적어도 일부 소비하여 정격 전압을 갖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류기 모듈과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치 및 복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은 자기유도에 의해 발생한 전력의 전압이 기준을 초과하면 일부를 소비함으로써, 부하로 안전한 전압을 갖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은 부하로 안전한 전압을 갖는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자기유도시 발생하는 과전압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부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전원 안정화 장치는 자기유도에 의해 과전압의 전력이 유도된 경우에도 부하로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여 과전압에 의한 부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은 과전압의 전력 인가시 일부 전압을 소비하는 스위치 및 복수의 저항으로 구성됨으로써, 퓨즈, 바리스터, TVS 다이오드 등과 같이 파손을 통해 과전압에 의한 부하 손상을 방지하는 종래의 전원 안정화 장치와 달리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안정화 장치는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의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안정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안정화 장치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안정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원 안정화 장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의 변류기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전압을 기준값으로 변환하여 부하로 공급한다. 즉, 전원 안정화 장치는 변류기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전압 소비를 통해 기준값의 오차 범위 내의 전압으로 강하시키는 의사 부하(dummy load)로 동작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전력 감지부(120), 제어부(140), 전력 변환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변류기 모듈(200) 및 부하(300)와 독립된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듈 형태로 구성되어 변류기 모듈(200) 또는 부하(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력 감지부(120)는 선로(10)에 설치된 변류기 모듈(2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력을 감지한다. 즉, 전력 감지부(120)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의 변류기 모듈(2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력의 전압(또는 전류)을 감지한다. 전력 감지부(120)는 감지한 출력 전력의 전압(또는 전류)을 제어부(140)에게로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전력 감지부(120)에서 감지한 출력 전력 및 기준값을 근거로 전력 변환부(16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감지부에서 감지한 출력 전력의 전압(또는 전류)이 기준값(대략 60V 정도)을 초과하면 전력 변환부(160)의 구동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전력 변환부(160)의 구동으로 판단하면 출력 전력의 전압(또는 전류)을 포함하는 전력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출력 전력의 전압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소비가 필요한 전압을 산출하고, 산출한 소비 전압을 포함하는 전력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전력 변환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송받은 전력 변환 신호를 근거로 출력 전력을 변환한다. 즉, 전력 변환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전력 변환 신호를 수신하면, 출력 전력의 전압을 정격 전압으로 변환하거나, 출력 전력의 전류를 정격 전류로 변환하여 부하(300)로 공급한다. 이때, 전력 변환부(160)는 전력 변환 신호에 포함되는 소비 전압을 근거로 저항값을 가변하여 출력 전력을 소비한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안정화 장치(100)는 마이컴(180), 스위치(S1~Sn) 및 복수의 저항(R1~Rn)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컴(180)은 상술한 전력 감지부(120) 및 제어부(140)에 대응되고, 스위치(S1~Sn) 및 복수의 저항(R1~Rn)은 전력 변환부(160)에 대응된다.
마이컴(180)은 변류기 모듈(200)의 출력 전력의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전압과 기준값을 근거로 스위치(S1~Sn)를 제어한다. 이때, 마이컴(180)은 감지한 전압과 기준값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차이값에 해당하는 전압을 소비하는 전압을 소비하는 저항을 구성하도록 스위치(S1~Sn)를 제어한다.
스위치(S1~Sn)는 마이컴(18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복수의 저항(R1~Rn)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소비 전압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구성한다. 스위치(S1~Sn)는 솔리드 스위치, FET, TR, SCR, 등의 반도체 소자, 기계식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저항(R1~Rn)은 동일한 저항값을 갖는 저항들로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저항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S1~Sn) 및 복수의 저항들(R1~Rn)은 상호간 직렬로 연결되고, 변류기 모듈(200)과 병렬로 연결된다.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은 선로(10)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자기유도로 전류를 유도하여 교류 전력을 생성하는 변류기 모듈(200) 및 변류기 모듈(200)에서 생성한 교류 전력 및 기준값을 근거로 교류 전력을 정격 전압을 갖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 안정화 장치(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안정화 장치(100)는 마이컴(180), 스위치(S1~Sn) 및 복수의 저항(R1~R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부하(300)와 변류기 모듈(200) 간의 연결 방식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가 변경된다. 즉,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부하(300)와 변류기 모듈(200)이 교류(AC) 방식으로 연결된 경우와 직류(DC) 방식으로 연결된 경우에 따라 설치(연결)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변류기 모듈(200)과 부하(300)가 교류 방식으로 연결된 경우,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변류기 모듈(200)과 부하(300) 사이에 연결된다.
이때, 변류기 모듈(200)에서 출력된 교류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전력 변환 과정을 통해 전압의 일부를 소비하여 기준값의 오차 범위 내의 전압을 갖는 교류 전력을 부하(300)로 공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변류기를 포함하는 변류기 모듈(200)과 부하(300)가 직류 방식으로 연결된 경우,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변류기 모듈(200) 및 정류장치(400) 사이에 연결된다.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300)와 직류 방식으로 연결되면 출력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300)로 공급해야 한다.
이에,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장치(400)가 추가로 구성되며,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변류기 모듈(200)과 정류장치(400) 사이에 연결된다.
이때, 변류기 모듈(200)에서 출력된 교류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전력 변환 과정을 통해 전압의 일부를 소비하여 기준값의 오차 범위 내의 전압을 갖는 교류 전력을 정류장치(400)로 공급한다.
이러한, 자기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전자회로로 표현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변류기 모듈(200)과 연결된 라인과 연결되어 변류기 모듈(200) 및 정류장치(400)와 병렬로 연결된다. 이때,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병렬 연결된 위치 이전의 위치에서 라인과 연결되어 변류기 모듈(200)의 출력 전력을 감지한다.
정류장치(400)는 복수의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풀 브리지 회로로 구성되어 변류기 모듈(200) 또는 전원 안정화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300)로 공급한다.
변류기 모듈(200)에서 출력된 교류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전원 안정화 장치(100)가 구동하여 교류 전력이 전원 안정화 장치(100) 방향(즉, I1)으로 유기된다.
그에 따라,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교류 전력의 일부를 소비하여 기준값의 오차 범위 내의 전압을 갖는 교류 전력을 정류장치(400)로 인가한다.
정류장치(400)는 전원 안정화 장치(100)로부터 인가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300)로 공급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변류기를 포함하는 변류기 모듈(200)과 부하(300)가 직류 방식으로 연결된 경우,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정류장치(400)와 부하(300) 사이에 연결된다.
전원 안정화 장치(100)가 복수의 변류기를 포함하는 변류기 모듈(200)과 정류장치(400) 사이에 연결되는 경우, 변류기 모듈(200)마다 전원 안정화 장치(100)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 전력 안정화 효과는 유리한 반면 전원 안정화 장치(100)의 설치 개수가 증가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므로,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정류장치(400)와 부하(300) 사이에 연결된다.
그에 따라, 정류장치(400)는 변류기 모듈(2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력을 합산하여 직류 전력으로 정류한다.
정류장치(400)에서 정류된 직류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전력 변환 과정을 통해 전압의 일부를 소비하여 기준값의 오차 범위 내의 전압을 갖는 직류 전력을 부하(300)로 공급한다.
이러한, 자기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전자회로로 표현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정류장치(400)와 부하(300)를 연결하는 라인에 연결되어 정류장치(400) 및 부하(300)와 병렬로 연결된다. 이때,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복수의 변류기 모듈(200)과 정류장치(400)는 연결하는 라인과 연결되어 변류기 모듈(200)의 출력 전력을 감지한다.
정류장치(400)는 복수의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풀 브리지 회로로 구성되어 복수의 변류기 모듈(20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300)로 공급한다.
이때, 자기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은 정류장치(400) 이전에 복수의 변류기를 포함하는 변류기 모듈(2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력을 합산하는 회로(미도시), 또는 정류장치(400)에서 변환된 직류 전력들을 합산하는 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류장치(400)는 복수의 변류기 모듈(200)에서 출력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원 안정화 장치(100)로 인가한다.
이때, 변류기 모듈(200)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전원 안정화 장치(100)가 구동하여 정류장치(400)에서 변환된 직류 전력이 전원 안정화 장치(100) 방향(즉, I1)으로 유기된다.
그에 따라,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정류장치(400)에서 변환된 직류 전력의 일부를 소비하여 기준값의 오차 범위 내의 전압을 갖는 직류 전력을 부하(300)로 인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High Active 방식으로 구동한다. 즉,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평소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입력 전력(즉, 변류기 모듈(200)의 출력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구동한다.
한편,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선로(10)의 정전 상태에서 입력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 이하이기 때문에 미구동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선로(10)가 정상 상태로 전환되어 순간적으로 과전압이 인가되면 전원 안정화 장치(100)가 동작하기 전에 이미 과전압이 부하(300)로 인가되어 부하(300)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Low Active 방식(즉, Low Enable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다. 즉,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선로(10)의 정전으로 입력 전력이 없는 상태에서 구동 상태를 유지하여 정전 복구시 인가되는 전력의 전체 또는 일부 소비하여 부하로 과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에 따라,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정전 상태에서 구동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정상 상태로 전환시 순간 발생하는 과전압의 일부 또는 전체를 소비하여 부하(300)로 정격 전압을 갖는 출력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은 자기유도에 의해 발생한 전력의 전압이 기준을 초과하면 일부를 소비함으로써, 부하로 안전한 전압을 갖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은 부하로 안전한 전압을 갖는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자기유도시 발생하는 과전압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부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전원 안정화 장치는 자기유도에 의해 과전압의 전력이 유도된 경우에도 부하로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여 과전압에 의한 부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은 과전압의 전력 인가시 일부 전압을 소비하는 스위치 등과 같은 소자로 구성됨으로써, 퓨즈, 바리스터, TVS 다이오드 등과 같이 파손을 통해 과전압에 의한 부하 손상을 방지하는 종래의 전원 안정화 장치와 달리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 안정화 장치는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의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선로 100: 전원 안정화 장치
120: 전력 감지부 140: 제어부
160: 전력 변환부 200: 변류기 모듈
300: 부하 400: 정류장치

Claims (14)

  1. 선로에 설치된 변류기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부;
    상기 전력 감지부에서 감지한 출력 전력 및 기준값을 근거로 상기 출력 전력의 변환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출력 전력 변환으로 제어하면, 상기 변류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력을 정격 전압을 갖는 출력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는 전원 안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감지부는 상기 출력 전력의 전압 및 전류 중에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전원 안정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부하의 정격 전압 및 정격 전류 중에 적어도 하나를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출력 전력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출력 전력의 변환으로 제어하는 전원 안정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가변 저항 또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준값과 상기 출력 전력의 차이값을 근거로 저항값을 가변하여 상기 출력 전력의 일부를 소비하는 전원 안정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변류기 모듈과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치 및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안정화 장치.
  6. 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자기유도로 전류를 유도하여 교류 전력을 생성하는 변류기 모듈; 및
    상기 변류기에서 생성한 교류 전력 및 기준값을 근거로 상기 교류 전력을 정격 전압을 갖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 안정화 장치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안정화 장치는 상기 변류기 모듈에서 생성한 교류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교류 전력의 전압을 적어도 일부 소비하여 정격 전압을 갖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안정화 장치는 상기 변류기 모듈과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치 및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9. 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자기유도로 전류를 유도하여 교류 전력을 생성하는 변류기 모듈;
    상기 변류기 모듈에서 생성한 교류 전력 및 기준값을 근거로 상기 교류 전력을 정격 전압을 갖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상기 전원 안정화 장치에서 변환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장치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안정화 장치는 상기 변류기 모듈에서 생성한 교류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교류 전력의 전압을 적어도 일부 소비하여 정격 전압을 갖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안정화 장치는 상기 변류기 모듈과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치 및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12. 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자기유도로 전류를 유도하여 교류 전력을 생성하는 변류기 모듈;
    상기 변류기 모듈에서 생성한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장치; 및
    상기 정류장치에서 변환한 직류 전력 및 기준값을 근거로 상기 직류 전력을 정격 전압을 갖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 안정화 장치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안정화 장치는 상기 정류장치에서 변환한 직류 전력의 전압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직류 전력의 전압을 적어도 일부 소비하여 정격 전압을 갖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안정화 장치는 상기 변류기 모듈과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치 및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KR1020160100169A 2016-08-05 2016-08-05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KR102575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169A KR102575279B1 (ko) 2016-08-05 2016-08-05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169A KR102575279B1 (ko) 2016-08-05 2016-08-05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134A true KR20180016134A (ko) 2018-02-14
KR102575279B1 KR102575279B1 (ko) 2023-09-06

Family

ID=6122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169A KR102575279B1 (ko) 2016-08-05 2016-08-05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9013A1 (ko) * 2022-06-10 2023-1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2847A (ja) * 2002-06-18 2004-01-22 Hitachi Ltd 変流器,電源装置及びセンサシステム
KR20100090009A (ko) * 2009-02-05 2010-08-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류 유도 방식 기반의 전원 공급 장치
KR101444371B1 (ko) 2013-01-18 2014-09-24 (주)테라에너지시스템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JP2015084621A (ja) * 2013-10-25 2015-04-30 株式会社東芝 電気機関車の電力変換装置
KR20150119158A (ko) * 2013-03-15 2015-10-2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계측 장치 및 계측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2847A (ja) * 2002-06-18 2004-01-22 Hitachi Ltd 変流器,電源装置及びセンサシステム
KR20100090009A (ko) * 2009-02-05 2010-08-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류 유도 방식 기반의 전원 공급 장치
KR101444371B1 (ko) 2013-01-18 2014-09-24 (주)테라에너지시스템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KR20150119158A (ko) * 2013-03-15 2015-10-2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계측 장치 및 계측 방법
JP2015084621A (ja) * 2013-10-25 2015-04-30 株式会社東芝 電気機関車の電力変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9013A1 (ko) * 2022-06-10 2023-1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279B1 (ko)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3890B2 (ja) 風力タービンの操作方法
KR101444371B1 (ko) 전자기 유도 방식 전원 공급 장치
KR101790134B1 (ko) 인버터의 고장진단 방법
US8159802B2 (en) 3-phase power factor corrected AC to DC filtered switching power supply
CN101373925B (zh) 供电装置
KR100735147B1 (ko) 보조전원수단 및 충전수단을 구비한 전원공급장치
JP5229345B2 (ja) 電源回路
KR102575279B1 (ko) 전원 안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유도 전원 공급 시스템
KR102030721B1 (ko)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KR100501694B1 (ko) 스파크 방지기능을 구비한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JP2002051542A (ja) 電源装置
KR20150057235A (ko) 인버터의 초기충전회로
CN104365005B (zh) 用于逆变器的电压供应装置
KR200421607Y1 (ko) 보조전원수단 및 충전수단을 구비한 전원공급장치
JPH05189065A (ja) 並列運転時の過電圧検出方式
KR20140056993A (ko) 과전압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US4631655A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KR0132192Y1 (ko)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
US200900029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solating Power Surges
KR102049398B1 (ko) 선형 직류전원 공급장치
US11507042B2 (en) High current and power limiting circuit for I/O modules with internal output power support
JP201001696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10679070B (zh) 初级脉冲开关电源
KR20170135265A (ko) 과전류/과전압 보호 기능을 구비한 직류-직류 컨버터
KR19980042929U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보호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