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090A - 가습형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형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090A
KR20180016090A KR1020160100045A KR20160100045A KR20180016090A KR 20180016090 A KR20180016090 A KR 20180016090A KR 1020160100045 A KR1020160100045 A KR 1020160100045A KR 20160100045 A KR20160100045 A KR 20160100045A KR 20180016090 A KR20180016090 A KR 20180016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air
slide plate
fram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철
최현국
송규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6090A/ko
Publication of KR2018001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parallelly-movabl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차단판을 구비하되, 차단판에 설치되는 실링폼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가습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형 공기청정기는 공기흡입부와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공기흡입부와 공기토출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토출부로 유동하는 유로를 구성하는 제1 유로와 제2 유로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공기흡입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공기정화필터; 상기 제2 유로에 배치되는 가습부; 상기 제1 유로의 외곽에 상기 프레임의 일부가 상기 제1 유로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유로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판; 및 상기 슬라이드 판의 일단과 타단에 상기 연장부와 면접촉 가능하도록 절곡형성된 실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습형 공기청정기{H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본 발명은 가습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필터를 통과하는 유로와 가습필터를 우회하는 유로를 구비하고, 가습필터를 우회하는 유로를 개폐 가능한 가습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형 공기청정기는 가습기능 및 공기정화기능을 구비하는 장치로서, 공기정화기능과 가습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고 공기정화기능만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습형 공기청정기 중에는 공기가 공기정화필터를 통과한 후 가습필터를 통과하는 유로와 가습필터를 우회하는 유로를 구비하는 타입이 있다.
여기서, 가습필터를 우회하는 유로는 공기를 가습필터로 집중시키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가습형 공기청정기에는 가습필터를 우회하는 유로를 막는 차단판과 같은 부재를 구비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형 공기청정기 중에는, 회전하며 가습필터 우회유로를 개폐하는 회전형 차단판을 구비하는 타입이 있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습필터 우회유로를 개폐하는 슬라이드형 차단판을 구비하는 타입이 있다.
참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8625호에는 슬라이드형 차단판을 구비하는 타입의 가습형 공기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회전형 차단판을 구비하는 타입의 가습형 공기청정기의 경우는, 차단판이 회전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가 증대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슬라이드형 차단판을 구비하는 타입의 가습형 공기청정기의 경우는, 회전형 차단판에 비해 차단판의 동작 범위가 좁아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슬라이드형 차단판의 슬라이딩 면에 공기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폼을 설치하기 때문에 실링폼이 슬라이드형 차단판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마모되어 공기 누설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슬라이드형 차단판을 구비하되, 차단판에 설치되는 실링폼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가습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흡입부와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공기흡입부와 공기토출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토출부로 유동하는 유로를 구성하는 제1 유로와 제2 유로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공기흡입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공기정화필터; 상기 제2 유로에 배치되는 가습부; 상기 제1 유로의 외곽에 상기 프레임의 일부가 상기 제1 유로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유로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판; 및 상기 슬라이드 판의 일단과 타단에 상기 연장부와 면접촉 가능하도록 절곡형성된 실링부;를 포함하는 가습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형 공기청정기는, 상기 실링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부 또는 상기 연장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 판은 수직상하로 슬라이드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슬라이드 판의 상단에 수평면 형태로 형성된 상단 실링부와, 상기 슬라이드 판의 하단에 수평면 형태로 형성된 하단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유로의 상단에 수평면 형태로 형성된 상단 연장부와, 상기 제1 유로의 하단에 수평면 형태로 형성된 하단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 판이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상단 실링부의 저면이 상기 상단 연장부의 상면에 접하고, 상기 하단 실링부의 저면이 상기 하단 연장부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하단 연장부의 공기유입측 끝단에 상기 슬라이드 판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보조실링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유로의 양측 외곽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판은 양단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습집중모드에서 가습부를 우회하는 유로를 통한 공기 누설이 최소화되어 동작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드형 차단판의 반복적인 동작 조건에서도 실링부재의 마모가 방지되는 구조를 통해, 부품의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형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형 공기청정기의 가습집중모드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습형 공기청정기의 가습 및 공기정화 병행모드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습형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프레임과 슬라이드 판이 조립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립체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조립체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형 공기청정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형 공기청정기(100)는 하우징, 송풍팬(120), 프레임(130), 연장부(134), 공기정화필터(125), 가습부(140), 슬라이드 판(150), 실링부(152), 실링부재(160) 및 보조실링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가습형 공기청정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외부공기가 하우징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부(114)와,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1)와, 본체부(111)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면커버(112)에는 공기흡입부(114)가 구비될 수 있고, 본체부(111)에는 공기토출부(1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20)은 작동시 공기흡입부(114)로 흡입된 후 공기토출부(116)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120)은 하우징의 본체부(11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팬(120)은 후술할 프레임(130)의 제1 유로(131) 및 제2 유로(132)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0)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공기흡입부(114)와 공기토출부(116)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흡입부(114)와 공기토출부(116)를 구획하는 격벽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30)은 공기흡입부(1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토출부(116)로 유동하는 유로를 구성하는 제1 유로(131)와 제2 유로(132)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유로(131)와 제2 유로(132)는 프레임(130)에 형성된 개구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30)에 상하로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130)에 좌우로 배치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30)은 일측에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가습물통(144)이 장착될 수 있는 물통장착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34)는 프레임(130)에 형성된 제1 유로(131)의 외곽에 프레임(130)의 일부가 제1 유로(131)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134)는 프레임(130) 중에서 제1 유로(131)를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 구간이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34)는 후술할 슬라이드 판(150)에 형성되는 실링부(152)에 슬라이드 판(150)이 동작하는 방향으로 면접촉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판(150)은 수직상하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고, 연장부(134)는 제1 유로(131)의 상단에 수평면 형태로 형성된 상단 연장부(134a)와, 제1 유로(131)의 하단에 수평면 형태로 형성된 하단 연장부(13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단 연장부(134a)는 슬라이드 판(150)의 상단 실링부(152a)에 수직방향으로 면접촉할 수 있고, 하단 연장부(134b)는 슬라이드 판(150)의 하단 실링부(152b)에 수직방향으로 면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필터(125)는 공기흡입부(114)와 프레임(130)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흡입부(114)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정화필터(125)는 프레임(130)의 제1 유로(131)와 제2 유로(132)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부(140)는 제2 유로(132)에 배치되어, 제2 유로(132)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습부(1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42)에 침지되어 물을 흡수하는 기화식 가습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음파 진동방식 또는 가열기화방식으로 구현된 가습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가습부(140)가 가습필터로 구성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42)에 가습용 물을 공급하는 가습물통(14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 판(150)은 프레임(1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유로(131)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판(150)은 프레임(130)에 수직상하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판(150)의 슬라이드 동작을 위해, 프레임(130)에는 구동모터(170)와 상기 구동모터(170)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172)가 설치될 수 있고, 슬라이드 판(150)에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172)에 맞물리는 랙기어(151)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판(150)의 안정적인 슬라이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랙기어(151)가 슬라이드 판(150)의 양측에 구비되고, 양측의 랙기어(151) 각각에 맞물리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172)와 이러한 한 쌍의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일치시키는 기어축(173)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30)은 제1 유로(131)의 양측 외곽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36)을 구비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판(150)은 양단에 가이드레일(136)이 삽입되는 가이드홈(153)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슬라이드 판(150)은 가이드홈(153)이 가이드레일(136)에 체결된 상태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15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36)이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36)과 협력하여 슬라이드 판(150)이 전방 및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136)과 가이드홈(153)의 결합구조는, 공기 누설이 최소화되도록 'ㄷ'자 형태로 꺾인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52)는 슬라이드 판(150)의 일단과 타단에 연장부(134)와 면접촉 가능하도록 절곡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 판(150)의 일단과 타단은 슬라이드 판(150)의 동작 방향의 양측 끝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슬라이드 판(150)이 수직상하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단과 하단을 의미하고, 슬라이드 판(150)이 수평좌우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좌측단과 우측단을 의미한다.
한편, 이러한 실링부(152)는 상기 프레임(130)에 형성된 연장부(134)에 슬라이드 판(150)의 동작 방향으로 면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판(150)이 수직상하로 슬라이드하고, 제1 유로(131)의 상단과 하단에 상단 연장부(134a)와 하단 연장부(134b)가 수평면 형태로 형성된 경우, 실링부(152)는 슬라이드 판(150)의 상단에 수평면 형태로 형성된 상단 실링부(152a)와, 슬라이드 판(150)의 하단에 수평면 형태로 형성된 하단 실링부(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슬라이드 판(150)이 제1 유로(131)를 폐쇄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실링부(152a)의 저면이 상단 연장부(134a)의 상면에 접하고 하단 실링부(152b)의 저면이 하단 연장부(134b)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160)는 슬라이드 판(150)의 실링부(152)와 프레임(130)의 연장부(134) 사이를 기밀하게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16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실링부(152)와 연장부(134) 사이의 간극을 공기 누설이 불가하도록 밀폐할 수 있는 고무, 실리콘, 스펀지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160)는 상단 실링부(152a)와 상단 연장부(134a) 사이 및 하단 실링부(152b)와 하단 연장부(134b) 사이에 모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링부재(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판(150)의 상단 실링부(152a)의 저면과 하단 실링부(152b)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130)의 상단 연장부(134a)의 상면과 하단 연장부(134b)의 상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실링부(135)는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30)의 하단 연장부(134b)의 공기유입측 끝단 즉, 하단 연장부(134b)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전단에 슬라이드 판(150)의 높이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실링부(135)는 하단 연장부(134b)의 공기유입측 끝단 일부가 상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실링부(13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판(150)에 의해 제1 유로(131)가 폐쇄된 경우 하단 실링부(152b), 하단 연장부(134b) 및 실링부재(160)를 향해 직접 유동하는 공기를 막는 방풍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실링부(135)는 슬라이드 판(150)에 의해 제1 유로(131)가 폐쇄된 경우 하단 실링부(152b)와 하단 연장부(134b) 사이 간극의 전단에 'ㄱ'자 형태의 꺾인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제1 유로(131)를 통한 공기누설이 최소화되도록 제1 유로(131)의 실링 성능을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상단 실링부(152a)와 상단 연장부(134a) 사이 간극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실링부(152a)의 저면이 상단 연장부(134a)의 상면에 접하는 구조를 통해 'ㄱ'자 형태의 꺾인 유로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형 공기청정기(100)는, 공기가 가습부(140)를 우회하는 제1 유로(131)를 슬라이드 판(150)이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실링부재(160)가 구비되는 부위가 슬라이드 판(150)의 슬라이드 방향에 수직한 면 형태로 구성되어 실링부재(160)의 마모가 방지되므로, 가습부(140)를 우회하는 유로를 폐쇄하는 경우 폐쇄한 유로를 통한 공기누설이 최소화되고 장치의 동작 신뢰성 및 수명이 향상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가습형 공기청정기
111: 본체부 112: 전면커버
114: 공기흡입부 116: 공기토출부
120: 송풍팬 125: 공기정화필터
130: 프레임 131: 제1 유로
132: 제2 유로 133: 물통장착부
134: 연장부 134a: 상단 연장부
134b: 하단 연장부 135: 보조실링부
136: 가이드레일 140: 가습부
142: 수조 144: 가습물통
150: 슬라이드 판 151: 랙기어
152: 실링부 152a: 상단 실링부
152b: 하단 실링부 153: 가이드홈
160: 실링부재 170: 구동모터
172: 피니언기어 173: 기어축

Claims (7)

  1. 공기흡입부와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공기흡입부와 공기토출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토출부로 유동하는 유로를 구성하는 제1 유로와 제2 유로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공기흡입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공기정화필터;
    상기 제2 유로에 배치되는 가습부;
    상기 제1 유로의 외곽에 상기 프레임의 일부가 상기 제1 유로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유로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판; 및
    상기 슬라이드 판의 일단과 타단에 상기 연장부와 면접촉 가능하도록 절곡형성된 실링부;
    를 포함하는 가습형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습형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부 또는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가습형 공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판은 수직상하로 슬라이드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슬라이드 판의 상단에 수평면 형태로 형성된 상단 실링부와, 상기 슬라이드 판의 하단에 수평면 형태로 형성된 하단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유로의 상단에 수평면 형태로 형성된 상단 연장부와, 상기 제1 유로의 하단에 수평면 형태로 형성된 하단 연장부를 포함하는 가습형 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판이 상기 제1 유로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상단 실링부의 저면이 상기 상단 연장부의 상면에 접하고, 상기 하단 실링부의 저면이 상기 하단 연장부의 상면에 접하는 가습형 공기청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하단 연장부의 공기유입측 끝단에 상기 슬라이드 판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보조실링부를 구비하는 가습형 공기청정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유로의 양측 외곽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판은 양단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20160100045A 2016-08-05 2016-08-05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180016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45A KR20180016090A (ko) 2016-08-05 2016-08-05 가습형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45A KR20180016090A (ko) 2016-08-05 2016-08-05 가습형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90A true KR20180016090A (ko) 2018-02-14

Family

ID=6122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045A KR20180016090A (ko) 2016-08-05 2016-08-05 가습형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609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0579A (zh) * 2018-06-06 2018-11-23 肇庆市天地人科技有限公司 一种住宅用室内空气净化装置
CN110285502A (zh) * 2018-03-16 2019-09-27 梁克俭 家用空气净化处理装置
KR20200078041A (ko) 2018-12-21 2020-07-01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청정기
KR20200078042A (ko) 2018-12-21 2020-07-01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청정기
KR20200120247A (ko)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원화이에프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공기청정기
KR20200002453U (ko) * 2019-04-30 2020-11-09 강병재 휴대용 카트리지타입 공기 청정기
KR20220040170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가이드장치
KR20220047435A (ko) 2020-10-08 2022-04-18 주식회사 원화이에프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이동형 공기청정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5502A (zh) * 2018-03-16 2019-09-27 梁克俭 家用空气净化处理装置
CN108870579A (zh) * 2018-06-06 2018-11-23 肇庆市天地人科技有限公司 一种住宅用室内空气净化装置
KR20200078041A (ko) 2018-12-21 2020-07-01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청정기
KR20200078042A (ko) 2018-12-21 2020-07-01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청정기
KR20200120247A (ko)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원화이에프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공기청정기
KR20200002453U (ko) * 2019-04-30 2020-11-09 강병재 휴대용 카트리지타입 공기 청정기
KR20220040170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가이드장치
KR20220047435A (ko) 2020-10-08 2022-04-18 주식회사 원화이에프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이동형 공기청정기
KR20220118968A (ko) 2020-10-08 2022-08-26 주식회사 원화이에프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이동형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6090A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JP5842962B2 (ja) 空気清浄機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EP2606796A2 (en) Dust collector for cleaning a filter
JP5520901B2 (ja) 空気清浄機
KR20090026981A (ko) 문 일체형 공기청정기
KR20170090256A (ko) 흡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JP5150179B2 (ja) 空気清浄機
KR20160025968A (ko) 급수형 에어워셔
KR20180047974A (ko) 가습청정기
KR102336629B1 (ko) 에어워셔
KR20060098281A (ko) 환기시스템
KR102197834B1 (ko) 공기청정기
KR10140301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KR102261716B1 (ko) 에어워셔의 급수장치
KR101664813B1 (ko) 빌트인 공기청정기
KR10133523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KR101284962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2222574B1 (ko) 제습기
KR101852516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KR20090035160A (ko) 창문틀의 상단프레임겸용 환기장치
KR20080010979A (ko)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
KR20210060790A (ko)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KR20200078042A (ko) 가습청정기
KR20200078041A (ko) 가습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