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790A -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790A
KR20210060790A KR1020190148224A KR20190148224A KR20210060790A KR 20210060790 A KR20210060790 A KR 20210060790A KR 1020190148224 A KR1020190148224 A KR 1020190148224A KR 20190148224 A KR20190148224 A KR 20190148224A KR 20210060790 A KR20210060790 A KR 20210060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external
air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90148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790A/ko
Publication of KR2021006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는: 내부흡입구, 외부흡입구,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내부흡입구에서 흡입되는 내부공기와 외부흡입구에서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는 송풍부와, 본체에 구비되어 내부흡입구에서 흡입되는 내부공기와 외부흡입구에서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걸러주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OUTSIDE AIR INTAKE TYPE AIR CLEANER}
본 발명은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청정은 물론 실내 내부공기의 이산화탄소 수치가 높은 경우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공기 쾌적도 높일 수 있는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실내에 구비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거르거나 살균을 하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본체 외부의 공기를 흡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흡입한 후 다시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팬과,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재와, 흡입구의 통로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필터를 포함한다.
공기청정기는 거실 또는 방에 놓여진 상태로 사용되며, 실내의 미세먼지를 흡입하여 필터에서 걸러주어 청정해진 공기를 실내로 배출한다.
그런데,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실내에서만 주로 사용함에 따라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는 하지만,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는 것이 어려워 실내 쾌적도를 개선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40964호(2015.12.17, 발명의 명칭: 공기청정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창문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청정은 물론 실내 내부공기의 이산화탄소 수치가 높은 경우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공기 쾌적도를 높일 수 있는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는, 내부흡입구, 외부흡입구,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내부흡입구에서 흡입되는 내부공기와 상기 외부흡입구에서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흡입구에서 흡입되는 내부공기와 상기 외부흡입구에서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걸러주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흡입구는 실내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흡입구는 실외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흡입구와 상기 외부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각각 다른 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 내부에서 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되는 청정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구는 토출개폐부에 의해 개방되거나 차단되고, 상기 토출개폐부는, 상기 토출구의 크기에 대응되어 개폐되는 토출개폐도어; 및 상기 토출개폐도어를 구동하여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내,외부흡입구와 상기 송풍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송풍부 측의 내부공간을 더 확보하도록 상기 내,외부흡입구 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내부흡입구와 상기 외부흡입구를 커버하는 프리필터; 및 상기 프리필터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리필터에서 걸러지지 않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헤파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흡입구는 외부개폐부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상기 외부개폐부는, 상기 외부흡입구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개폐블레이드; 및 상기 개폐블레이드를 회전하여 상기 외부흡입구를 개폐하는 블레이드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는, 창문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청정은 물론 실내 내부공기의 이산화탄소 수치가 높은 경우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공기 쾌적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개폐부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지 않을 경우, 외부흡입구를 폐쇄하므로 실외의 미세먼지가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를 실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를 실외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에서, 내부흡입구만 개방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에서, 내부흡입구와 외부흡입구를 개방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를 실내에서 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를 실외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에서, 내부흡입구만 개방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에서, 내부흡입구와 외부흡입구를 개방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는, 본체(100), 송풍부(200) 및 필터부(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실내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내부흡입구(11)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외부흡입구(120)와, 청정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3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본체(100)는 직사각형 기둥형태로 형성된다.
내부흡입구(110)는 본체(100)에서 실내에 배치되고, 외부흡입구(120)는 본체(100)에서 실외에 배치된다.
내부흡입구(110)와 외부흡입구(120)는 본체(100)의 각각 다른 측면에 배치되되, 각각 유입되는 내부공기와 외부공기가 본체(100)에서 합류하게 된다.
내부흡입구(110)와 외부흡입구(120)는 본체(100)의 각 측면에서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송풍부(200)는 내부흡입구(110)에서 흡입되는 내부공기와 외부흡입구(120)에서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토출구(130)를 통해 실내로 송풍하는 구성이다.
송풍부(200)는, 본체(100)위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210)과, 송풍팬(210)에 의해 흡입되는 청정 공기를 토출구(130)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부(220)를 포함한다.
송풍팬(210)은 시로코팬 또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안내부(220)는, 송풍팬(210)의 둘레에 이격 배치되어 청정공기를 이동하도록 토출구(130)의 일측 가장자리 측으로 연결되는 이동가이드(222)와, 송풍팬(210)의 둘레에 근접 설치되어 토출구(130)로 안내되는 청정공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토출구(130)의 타측 가장자리 측으로 연결되는 차단가이드(224)를 포함한다.
이동가이드(222)는 송풍팬(210)의 둘레를 설정 간격 떨어지도록 배치되어 송풍팬(210)의 날개에 부딪친 청정공기를 원호방향으로 가이드하여 토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차단가이드(224)는 송풍팬(210)에서 토출구(130)측으로 안내하여 토출되는 청정공기가 다시 본체(100) 내부로 복귀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차단가이드(224)는 토출구(130)의 타측 가장자리측에 연결되는 부분은 송풍팬(210)까지 수직으로 설치된다.
토출구(130)는 토출개폐부(230)에 의해 개방되거나 차단된다.
토출개폐부(230)는, 토출구(130)의 크기에 대응되어 개폐되는 토출개폐도어(232)와, 토출개폐도어(232)를 구동하여 토출구(130)를 개폐하는 개폐구동부(234)를 포함한다.
개폐구동부(234)는 토출개폐도어(232)의 일측에 구비되어 토출개폐도어(23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이때, 구동모터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필터부(300)는 본체(100)에 구비되어 내부흡입구(130)에서 흡입되는 내부공기와 외부흡입구(130)에서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걸러주는 구성이다.
필터부(300)는 본체(100) 내부에서 내,외부흡입구(110)(120)와 송풍부(200) 사이에 설치된다.
필터부(300)는 송풍부(200) 측의 내부공간을 더 확보하도록 내,외부흡입구(110)(120) 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터부(300)는, 내부흡입구(110)와 외부흡입구(120)를 커버하는 프리필터(310)와, 프리필터(310)의 측면에 구비되어 프리필터(310)에서 걸러지지 않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헤파필터(320)를 포함한다.
필터부(300)는 프리필터(310)와 헤파필터(320) 등 2개만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다른 종류의 필터를 포함하여 3개이상 구비될 수 있다.
외부흡입구(120)는 외부개폐부(40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외부개폐부(400)는, 외부흡입구(120)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개폐블레이드(410)와, 개폐블레이드(410)를 회전하여 외부흡입구(120)를 개폐하는 블레이드구동부(420)를 포함한다.
개폐블레이드(410)는 외부흡입구(120)에 설정 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수평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개폐블레이드(410)는 상하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본체의 홈에 끼워지므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실내의 이산화탄소 수치가 높지 않아 외부흡입구(1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부흡입구(110)를 통해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부(300)에서 미세먼지등을 걸러준 후, 송풍부(200)를 거쳐 토출구(120)로 토출시켜 청정공기를 실내에 공급한다.
블레이드구동부(420)는, 개폐블레이드(410)를 일체로 각각 연결하는 연결브라켓(430)와, 연결브라켓(430)을 직진 구동하도록 연결브라켓(430)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직진동력부(440)를 포함한다.
직진동력부(44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텝모터(442)와, 스텝모터(422)의 축에 일측이 연경되고, 연결브라켓(430)에 타측이 연결되어 레버 작동하는 레버부재(444)를 포함한다.
스펩모터(442)는 레버부재(444)를 설정각도로 정역 회전시켜 연결브라켓(430)을 직진 이동시키므로 일체로 각각 연결된 개폐블레이드(410)를 회전하여 외부흡입구(1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돤 바와 같이, 실내의 내부공기만 순환시키는 상태를 살펴 본다, 외부개폐부(400)를 차단하여 외부흡입구(120)를 닫아준 상태에서, 송풍부(200)의 송풍팬(210)을 구동하면 실내의 내부공기가 내부흡입구(110)를 거쳐 프리필터(310) 및 헤파필터(320)를 거치면서 미세먼지가 완전하게 걸러진다.
연이어, 송풍팬(210)을 거쳐 이동가이드(222)와 차단가이드(224) 사이 공간을 거쳐 이동한 청정공기가 토출구(130)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도 6에 도시돤 바와 같이, 실외의 외부공가의 흡입과 실내의 내부공기의 흡입 상태를 살펴본다, 우선 외부개폐부(400)를 개방하여 외부흡입구(120)를 개방하는 경우, 스텝모터(442)를 스텝 회전하면 레버부재(444)가 레버 작동하여 연결브라켓(430)를 직진 이동시키고, 직진 이동된 연결브라켓(430)에 각각 연결된 개페블레이드(410)를 회전시킴에 따라 폐쇄되어 있던 외부흡입구(120)가 개방된다.
그 다음, 송풍팬(210)을 구동하면 실외의 외부공기가 외부흡입구(120)를 거침과 동시에 실내의 내부공기가 내부흡입구(110)를 거쳐 프리필터(310) 및 헤파필터(320)를 거치면서 미세먼지가 완전하게 걸러진다.
연이어, 송풍팬(210)을 거쳐 이동가이드(222)와 차단가이드(224) 사이 공간을 거쳐 이동한 청정공기가 토출구(130)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외기 흡입형 공기청정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구동부(234)의 구동으로 토출개폐도어(232)를 회전시켜 토출구(130)를 폐쇄할 수 있으므로, 실외의 미세먼지가 본체(10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는, 창문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 청정은 물론 실내 내부공기의 이산화탄소 수치가 높은 경우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공기 쾌적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개폐부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지 않을 경우, 외부흡입구를 폐쇄하므로 실외의 미세먼지가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출개폐부를 이용하여 토출구를 폐쇄하므로 실내의 이물질이 토출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내부흡입구
120 : 외부흡입구 130 : 토출구
200 : 송풍부 210 : 송풍팬
220 : 공기안내부 222 : 이동가이드
224 : 차단가이드 230 : 토출개폐부
232 : 토출개폐도어 234 : 개폐구동부
300 : 필터부 310 : 프리필터
320 : 헤파필터 400 : 외부개폐부
410 : 개폐블레이드 420 : 블레이드구동부
430 : 연결브라켓 440 : 직진동력부:
442 : 스텝모터 444 : 레버부재

Claims (7)

  1. 내부흡입구, 외부흡입구,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내부흡입구에서 흡입되는 내부공기와 상기 외부흡입구에서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흡입구에서 흡입되는 내부공기와 상기 외부흡입구에서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걸러주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흡입구는 실내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흡입구는 실외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흡입구와 상기 외부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각각 다른 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 내부에서 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본체위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되는 청정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토출개폐부에 의해 개방되거나 차단되고,
    상기 토출개폐부는,
    상기 토출구의 크기에 대응되어 개폐되는 토출개폐도어; 및
    상기 토출개폐도어를 구동하여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내,외부흡입구와 상기 송풍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송풍부 측의 내부공간을 더 확보하도록 상기 내,외부흡입구 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내부흡입구와 상기 외부흡입구를 커버하는 프리필터; 및
    상기 프리필터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리필터에서 걸러지지 않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헤파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흡입구는 외부개폐부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상기 외부개폐부는,
    상기 외부흡입구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개폐블레이드; 및
    상기 개폐블레이드를 회전하여 상기 외부흡입구를 개폐하는 블레이드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KR1020190148224A 2019-11-19 2019-11-19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KR20210060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224A KR20210060790A (ko) 2019-11-19 2019-11-19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224A KR20210060790A (ko) 2019-11-19 2019-11-19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790A true KR20210060790A (ko) 2021-05-27

Family

ID=7613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224A KR20210060790A (ko) 2019-11-19 2019-11-19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7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65806B (zh) 空气净化单元和包括空气净化单元的空气清洁/通风装置
KR102126258B1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CN109996593B (zh) 能够调节风向的空气净化器
KR102242771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US20050284114A1 (en) Air cleaning system
KR10189757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1249498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2170721B1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0966881B1 (ko) 공기청정기
KR20170057028A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JP2016536556A (ja) 除湿機
KR20180016090A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150077776A (ko) 제습기
KR101013379B1 (ko) 공기청정기
KR20210060790A (ko) 외기 유입형 공기청정기
KR20000056583A (ko) 공기 조화기
KR100535842B1 (ko) 공기 조화기
KR102197834B1 (ko) 공기청정기
KR100674272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1284962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0531086B1 (ko) 공기청정기
KR100531088B1 (ko) 공기청정기
KR101615257B1 (ko) 공기조화기
JPH0515718A (ja) 外気導入型空気清浄機
KR10133523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