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891A -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 Google Patents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891A
KR20180015891A KR1020160099466A KR20160099466A KR20180015891A KR 20180015891 A KR20180015891 A KR 20180015891A KR 1020160099466 A KR1020160099466 A KR 1020160099466A KR 20160099466 A KR20160099466 A KR 20160099466A KR 20180015891 A KR20180015891 A KR 20180015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ction
dust collecting
uni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의
채경훈
최병권
김동민
김민철
조재섭
Original Assignee
메탈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탈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탈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9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5891A/ko
Priority to PCT/KR2016/008961 priority patent/WO2018026042A1/ko
Publication of KR20180015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유로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에 형성되는 제1흡입부; 상기 제1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상방에 상기 몸체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 및 상기 제1집진부 상방에 형성되고, 외부바람으로 인하여 회전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하며, 상기 팬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Air purification dust collector, Street lamps for air cleaning dust collector and Traffic lights for air purification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로등 내부에 체적확장에 따른 유속을 조절하여 미세분진을 다량 포함한 공기를 집진하고 미세분진이 제거되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순환하는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화와 더불어 여러 사업장이나 자동차 등에서 배출되는 매연이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어서, 옥외의 공기에는 분진, 황사 등을 가지는 미세먼지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미세먼지는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암, 폐질환, 천식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며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심폐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매연이 많이 발생되는 도로 주변에 공기 정화장치 또는 매연 집진장치를 설치하거나, 가로등이나 조명기구 등에 설치되어 진다. 또한, 최근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태양전지로부터 충전된 전력을 공급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들도 널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기정화 집진장치는, 매연이 많이 발생되는 도로 주변에 공기 정화장치 또는 매연 집진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설치 공간 및 비용에 대한 부담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 만으로만 전기를 공급받는 가로등은 날씨가 흐리거나 일몰 후에는 전력생성이 불가능하므로, 일기의 변화에 따라 전력 생성량이 가변 되어 가로등 가동을 위한 전력공급에 차질을 가져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바람이나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공기정화 시스템을 통해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가로등 등의 전원이 사용되는 기구들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될 시에는 가로등에 조명 점등의 기능뿐만이 아니라 공기정화 기능까지 부가되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시에도 외부바람으로 공기정화 시스템이 작동하여, 매연이 많이 발생되는 도로 주변의 대기오염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는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공기정화 집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공기정화 집진장치는, 내부에 유로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에 형성되는 제1흡입부; 상기 제1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상방에 상기 몸체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 및 상기 제1집진부 상방에 형성되고, 외부바람으로 인하여 회전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하며, 상기 팬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부와 대응되어 형성되는 제2흡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흡입부 및 상기 제2흡입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나선형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의 중심과 편심 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부 및 상기 제2흡입부 하부에 형성되는 제3흡입부; 상기 제1흡입부 및 상기 제2흡입부 하방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제3흡입부와 대응되어 형성되는 제4흡입부; 및 상기 제3흡입부 및 상기 제4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제1흡입부 및 상기 제2흡입부와 상기 제3흡입부 및 상기 제4흡입부 사이에 상기 몸체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2집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진부는, 상기 유로부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집진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심 유로공간이 형성되고 방사형으로 상기 제1집진부 내벽면에서 상기 중심 유로공간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분리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진부는, 상기 유로부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집진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심 유로공간이 형성되고 방사형으로 상기 제1집진부 내벽면에서 상기 중심 유로공간의 임의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돌출되는 분리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진부는, 상기 제1집진부에서 낙하되는 미세분진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집진부 하부에 형성되는 수거통;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상기 공기가 상기 배출부로 배출될 때 미세분진을 흡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흡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이 제공된다. 상기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은, 내부에 유로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에 형성되는 제1흡입부; 상기 제1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상방에 상기 몸체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 상기 제1집진부 상방에 형성되고, 회전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하며, 상기 팬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 조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외부 전원, 배터리 전원, 태양광 전원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이 제공된다. 상기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은, 내부에 유로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에 형성되는 제1흡입부; 상기 제1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상방에 상기 몸체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 상기 제1집진부 상방에 형성되고, 회전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하며, 상기 팬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 신호를 줄 수 있도록 점등, 소등 또는 점멸이 가능하고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신호부; 및 상기 신호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공기정화 집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공기정화 집진장치는, 외부장치; 상기 외부장치에 형성되고 내부에 유로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에 형성되는 제1흡입부; 상기 제1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상방에 상기 몸체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 및 상기 제1집진부 상방에 형성되고, 외부바람으로 인하여 회전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하며, 상기 팬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는, 공장 구조물의 지주, 변압기, 도로변 방음벽의 구조물, 도로의 전신주, 공장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외에 설치되는 실내등 및 배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는, 내부에 유로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에 형성되는 제1흡입부; 상기 제1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상방에 상기 몸체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외부바람으로 인하여 회전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하며, 상기 팬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 및 상기 팬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력전달축으로 상기 팬과 연결되고,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차량 대응부에 설치되는 차량 대응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바람 또는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공기정화 시스템을 통해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가로등 등의 전원이 사용되는 기구들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될 시에는 가로등에 조명 점등의 기능뿐만이 아니라 공기정화 기능까지 부가되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시에도 외부바람으로 공기정화 시스템이 작동하여, 매연이 많이 발생되는 도로 주변의 대기오염을 줄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 집진 장치의 외기 유입부와 배출부가를 별개로 설치하여 공기정화 집진 장치 내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유도하고, 체적변화로 인한 미세분진 제거 효과를 가짐으로써, 분진 제거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정화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8은 도 1의 공기정화 집진장치의 제1집진부를 나타내는 투영 사시도 또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의 제1집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공기정화 집진장치의 수거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의 분리격판에 따른 공기의 흐름의 변화를 나타내는 분포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정화 집진장치(1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100)는, 몸체(10)와, 제1흡입부(21)와, 제2흡입부(22)와, 제3흡입부(23)와, 제4흡입부(24)와, 제1집진부(31)와, 제2집진부(32) 및 배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는, 내부에 유로부(11)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몸체(1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 이상에 몸체(10) 및 몸체(10)에 형성되는 제1흡입부(21)와, 제2흡입부(22)와, 제3흡입부(23)와, 제4흡입부(24)와, 제1집진부(31)와, 제2집진부(32) 및 배출부(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원통형상의 파이프 기둥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이프는, 원통형 이외에도, 다각형 파이프일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상부와 하부의 면적이 다르게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파이프 기둥은, 철을 용해한 후 일정형틀을 통해 뽑아내면서 관이나 압력용기 등을 만드는 인발관, 또는, 용융 된 쇳물을 형틀에 넣어 주조 하는 방법인 주철관 등의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의 내부에 내부의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유로부(22)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부(22)는 몸체(10)의 내부에서 자유로이 흐름이 가능할 수 있으며, 제1흡입부(21)와, 제2흡입부(22)와, 제3흡입부(23) 또는 제4흡입부(24)를 포함하여 흡입부(20)에서 배출부(40)까지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부(20)는, 제1흡입부(21)와, 제2흡입부(22)와, 제3흡입부(23) 또는 제4흡입부(24)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흡입부(21)는, 몸체(10)에 형성되고 공기(A)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유로부(11)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흡입부(21)는, 몸체(10)의 중간부에 몸체(10)와 다른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 또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흡입부(21)의 중심은,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11)의 중심점, 즉, 몸체(10)의 중심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40)의 팬(F)이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배출할 시 제1흡입부(21)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1흡입부(21)의 중심이 몸체(10)의 중심과 편심되어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유입될 시에 유로부(11)의 임의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기류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그리하여, 공기(A)가 맞부딪치지 않아 공기(A)의 유입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흡입부(22)는, 몸체(10)에 형성되고 공기(A)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제1흡입부(21)와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흡입부(22)는, 몸체(10)의 중간부에 제1흡입부(21)와 대응되어 몸체(10)와 다른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 또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흡입부(22)의 중심은,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11)의 중심점, 즉, 몸체(10)의 중심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0)의 중심을 중점으로 서로 대칭되어 형성 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40)의 팬(F)이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배출할 시 제2흡입부(22)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2흡입부(22)의 중심이 몸체(10)의 중심을 중점으로 제1흡입부(21)와 편심되어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유입될 시에 유로부(11)의 임의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기류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그리하여, 공기(A)가 맞부딪치지 않고 제1흡입부(21)와 제2흡입부(22)에 의하여 공기(A)의 유입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승기류는 선회류를 일으키며 형성되어 나선형으로 상승되는 기류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흡입부(23)는, 공기(A)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제1흡입부(21) 및 제2흡입부(22)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3흡입부(23)는, 몸체(10)의 중간부에 몸체(10)와 다른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 또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흡입부(23)의 중심은,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11)의 중심점, 즉, 몸체(10)의 중심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40)의 팬(F)이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배출할 시 제1흡입부(21)와 제2흡입부(22)와 마찬가지로 제3흡입부(23)에서도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3흡입부(23)의 중심이 몸체(10)의 중심과 편심되어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유입될 시에 유로부(11)의 임의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나선형 상승기류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그리하여, 공기(A)가 맞부딪치지 않아 공기(A)의 유입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흡입부(24)는, 제1흡입부(21) 및 제2흡입부(22) 하방에 형성되고 공기(A)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4흡입부(24)는, 몸체(10)의 중간부에 제3흡입부(23)와 대응되어 몸체(10)와 다른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 또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흡입부(24)의 중심은,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11)의 중심점, 즉, 몸체(10)의 중심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흡입부(23)의 중심과도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0)의 중심을 중점으로 서로 대칭되어 형성 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40)의 팬(F)이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배출할 시 제4흡입부(24)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4흡입부(24)의 중심이 몸체(10)의 중심을 중점으로 제3흡입부(23)와 편심되어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유입될 시에 유로부(11)의 임의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나선형 상승기류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그리하여, 공기(A)가 맞부딪치지 않고 제3흡입부(23)와 제4흡입부(24)에 의하여 공기(A)의 유입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집진부(31)는, 제1흡입부(21)에서 흡입된 공기(A)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몸체(10) 상방에 몸체(10)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집진부(31)는, 배출구(40)와 제1흡입부(21) 또는 제2흡입부(22)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흡입부(21) 또는 제2흡입부(22)에서 흡입된 공기(A)가 배출구(40)로 배출되기 전에 제1집진부(31)를 지나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집진부(31)는, 파이프 형상으로 몸체(10)에 형성될 수 있고, 몸체(1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흡입부(21) 또는 제2흡입부(22)로 흡입된 공기(A)가 몸체(10)내부의 유로부(11)를 따라 흐르다가 제1집진부(31)로 유입되면 몸체(10)의 내부의 유로부(11)의 단면적보다 제1집진부(31) 내부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어서 체적이 커지게 되므로 공기(A)의 유속이 유로부(11)에서의 유속보다 느려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A)에 포함되어 있던 미세먼지들이 갑자기 줄어든 유속과 중력에 의하여 운동량을 잃어 하부로 떨어지고 공기(A)만 배출구(40)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집진부(32)는, 제3흡입부(23) 및 제4흡입부(24)에서 흡입된 공기(A)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제1흡입부(21) 및 제2흡입부(22)와 제3흡입부(23) 및 제4흡입부(24) 사이에 몸체(10)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집진부(32)는, 배출구(40)와 제3흡입부(23) 또는 제4흡입부(24)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흡입부(23) 또는 제4흡입부(24)에서 흡입된 공기(A)가 배출구(40)로 배출되기 전에 제2집진부(32)를 지나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으로 제2집진부(32)는, 제1집진부(31), 제1흡입부(21) 및 제2흡입부(22)의 하방에 형성될 수 있고, 몸체(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집진부(31)의 단면적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나, 제조방법과 생산성의 향상을 위하여 제1집진부(31)와 동일하게 제작되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제3흡입부(23) 또는 제4흡입부(24)로 흡입된 공기(A)가 몸체(10)내부의 유로부(11)를 따라 흐르다가 제2집진부(32)로 유입되면 몸체(10)의 내부의 유로부(11)의 단면적보다 제2집진부(32) 내부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어서 체적이 커지게 되므로 공기(A)의 유속이 유로부(11)에서의 유속보다 느려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A)에 포함되어 있던 미세먼지들이 갑자기 줄어든 유속과 중력에 의하여 운동량을 잃어 하부로 떨어지고 공기(A)만 배출구(40)로 배출될 수 있다. 제3흡입부(23) 또는 제4흡입부(24)에서 흡입되어 제2집진부(32)를 거쳐서 정화된 공기(A)는 제1흡입부(21) 또는 제2흡입부(22)에서 흡입된 공기(A)와 혼합되어 재 정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집진부(31) 또는 제2집진부(32)는 집진부(30)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40)는, 제1집진부(31) 상방에 형성되고, 외부바람으로 인하여 회전할 수 있는 팬(Fan)(F)을 포함하며, 팬(F)을 이용하여 공기(A)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배출부(41)는, 몸체(10)의 상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중간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설치되는 지역, 위치, 고도 및 바람의 영향에 따라 공기(A)의 유입과 배출이 가장 잘 이루어 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이 가능하다. 배출부(40)는, 내부에 팬(F)이 형성되어 외부바람으로 인하여 팬(F)이 회전이 가능하고, 팬(F)의 형상이 하부의 공기(A)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유선형태 또는 사선형태의 배출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팬(F)이 회전함에 따라 내부의 공기(A)를 외부로 배출되며, 자연적으로 흡입부에서 공기(A)가 유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11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110)는, 몸체(10), 제1흡입부(31), 제1집진부(31) 및 배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기정화 집진장치(110)는, 흡입부가 제1흡입부(21) 한개만 형성되고, 집진장치인 제1집진부(31)가 한개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흡입부(21)가 한개만 형성됨으로써 제조과정 및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미세먼지의 양이 적은 지역에 설치함으로써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공기정화 집진장치(110)는, 흡입부가 두 개 또는 네 개가 형성되었을 때 보다. 제1흡입부(21)만 형성되었을 경우 흡입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흡입부(21)의 단면적을 더욱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12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120)는, 제1흡입부(21)와 제2흡입부(22)가 형성되고, 집진장치인 제1집진부(31)가 한개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집진부(31)가 한개만 형성됨으로써 제조과정 및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미세먼지의 양이 적거나 풍량이 큰 지역에 설치함으로써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공기정화 집진장치(120)는, 집진장치가 두개가 형성되었을 때 보다. 제1집진부(31)만 형성되었을 경우 정화량 또는 공기(A)의 수용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집진부(31)의 단면적 또는 길이를 더욱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8은 도 1의 공기정화 집진장치(100)의 제1집진부(31)를 나타내는 투영 사시도 또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 집진장치(100)의 제1집진부(31)는, 유로부(11)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집진실(33)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심 유로공간(12)이 형성되고 방사형으로 제1집진부(31) 내벽면에서 중심 유로공간(12)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분리격판(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집진부(31)는, 파이프 형상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로부(11)와 연결되어진 유로공간(12)과 복수개의 집진실(3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집진실(33)은, 제1집진부(31)의 내부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분리격판(35)으로 나누어져 형성되고, 분리격판(35)은, 제1집진부(31)에서 유로공간(12)의 임의의 외벽까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유입된 공기(A)가 제1집진부(31)로 유입되고 몸체(10)와 상대적인 체적차이에 의하여 유속이 줄어들어 중력에 의하여 미세먼지가 공기(A)와 분리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A)가 분리격판(35)에 충동하면서 유속이 더욱 급격히 감소하거나 순간 정지하면서 미세먼지의 낙하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유입된 공기(A)가 분리격판(35)에 충돌하지 않고 집진실(33)로 유입되어 집진실(33) 내부에서도 제1집진부(31)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 집진장치(100)의 제1집진부(31)는, 유로부(11)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집진실(34)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심 유로공간(12)이 형성되고 방사형으로 제1집진부(31) 내벽면에서 중심 유로공간(12)의 임의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돌출되는 분리격판(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집진부(31)는, 파이프 형상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로부(11)와 연결되어진 유로공간(12)과 복수개의 집진실(34)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집진실(34)은, 제1집진부(31)의 내부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분리격판(36)으로 나누어져 형성되고, 분리격판(36)은, 제1집진부(31)에서 유로공간(12)의 임의의 접선까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유입된 공기(A)가 제1집진부(31)로 유입되고 몸체(10)와 상대적인 체적차이에 의하여 유속이 줄어들어 중력에 의하여 미세먼지가 공기(A)와 분리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A)가 분리격판(36)에 충돌하면서 유속이 더욱 급격히 감소하거나 순간 정지하면서 미세먼지의 낙하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유입된 공기(A)가 분리격판(36)에 충돌하지 않고 집진실(34)로 유입되어 집진실(34) 내부에서도 제1집진부(31)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된 상기 공기(A)는 제1집진부로 선회류를 일으키며 유입되어 나선형으로 상승되는 기류일 수 있으며, 이로써, 유입되기 전과 후의 유속차이가 더욱 커 집진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130)의 제1집진부(3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공기정화 집진장치(130)의 수거통(37)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130)는, 제1집진부(31)에서 낙하되는 미세분진을 수거할 수 있도록 제1집진부(31) 하부에 형성되는 수거통(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수거통(37)은, 제1집진부(31)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집진부(31)에서 낙하된 미세먼지를 수거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으로 탈착이 가능하여 제1집진부(31)에서 탈거하여 먼지를 제거하고, 장착하여 재가동 할 수 있다. 또한, 제2집진부(32)의 하부에는 다른 수거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수거통의 미세먼지를 제거함으로써 다른 장치나 동력이 필요 없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140)는, 제1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A)가 배출부(40)로 배출될 때 미세분진을 흡착할 수 있도록 몸체에 형성되는 흡착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흡착부(50)는,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1집진장치(31) 또는 제2집진장치(32)에서 정화된 공기(A)가 배출구로 나가기 전에 제1집진장치(31) 또는 제2집진장치(32)에서 정화되지 않은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흡착부(50)는, 필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11)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도 교체 또는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집진장치(31) 또는 제2집진장치(32)에서 정화되지 않은 미세먼지를 정화하여 분진제거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20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200)은, 내부에 유로부(11)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10)와, 몸체(10)에 형성되고 공기(A)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유로부(11)의 중심과 편심되어 형성되는 제1흡입부(21)와, 제1흡입부(21)에서 흡입된 공기(A)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몸체(10) 상방에 몸체(10)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31)와, 제1집진부(31) 상방에 형성되고, 회전할 수 있는 팬(Fan)(F)을 포함하며, 팬(F)을 이용하여 공기(A)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40)와, 조광을 할 수 있도록 몸체(10)에 형성되는 조명부(60) 및 조명부(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10)에 형성되는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60)는, 어두운 곳 또는 밝은 곳에 다른 빛으로 부각될 수 있는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장치이며, 몸체(10)에 형성되고 제어부(70)에 의하여 점등 및 소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조광을 위하여 조명부(60)에 전원을 전달하고, 위험 시 차단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조명부(60)를 점등 및 소등할 수 있는 스위치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200)은, 일반적으로 많은 곳에 가로등이 설치가 되어있어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공기정화 집진장치의 역할과 가로등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어 효율성이 매우 좋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200)은, 제어부(70)에서 외부 전원, 배터리 전원, 태양광 전원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팬(F)을 회전시키는 동력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동력부(80)는, 조명부(6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해주는 제어부(70)에서 외부 전원, 배터리 전원, 태양광 전원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배출부(40) 내부의 팬(F)을 회전시키도록 동력부(8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동력부(80)는,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팬(F)과 연동되어 동력부(80)의 동작으로 팬(F)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동력부(80)의 동력으로 인하여 팬(F)이 동작하고 유입 및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공기(A) 중에 떠 있는 미세먼지를 정화시간을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분진제거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30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300)은, 내부에 유로부(11)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10)와, 몸체(10)에 형성되고 공기(A)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유로부(11)의 중심과 편심되어 형성되는 제1흡입부(21)와, 제1흡입부(21)에서 흡입된 공기(A)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몸체(10) 상방에 몸체(10)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31)와, 제1집진부(31) 상방에 형성되고, 회전할 수 있는 팬(Fan)(F)을 포함하며, 팬(F)을 이용하여 공기(A)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40)와, 신호를 줄 수 있도록 점등, 소등 또는 점멸이 가능하고 몸체(10)에 형성되는 신호부(90) 및 신호부(9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10)에 형성되는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부(90)는, 차량이나 사람이 사용하는 도로를 통제하거나 차량이나 사람에게 알림을 줄 수 있는 신호를 보내기 위하여 점등, 소등 및 점멸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치이며, 몸체(10)에 형성되고 제어부(70)에 의하여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신호부(90)를 제어하기 위하여 신호부(90)에 전원을 인가하고, 위험 시 차단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신호부(90)를 점등, 소등 및 점멸할 수 있는 스위치 또는 제어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300)은, 일반적으로 많은 곳에 신호등이 설치가 되어있어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공기정화 집진장치의 역할과 신호등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어 효율성이 매우 좋다.
상기 공기정화 집진장치(100)는, 상기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200) 및 상기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300) 이외에도, 공장 구조물의 지주, 변압기, 도로변 방음벽의 구조물, 도로의 전신주, 공장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외에 설치되는 실내등 및 배기관 등의 파이프 형태를 가지는 구조물이나 장치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상술한 기술적 사상을 적용한 실험예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아래의 실험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100)의 분리격판(35)에 따른 공기의 흐름의 변화를 나타내는 분포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험예(Case01)와 제2실험예(Case02)는, 내부에 유로부(11)를 형성하는 몸체(10)와, 제1흡입부(21)와, 제2흡입부(22)와, 제3흡입부(23)와, 제4흡입부(24)와, 내부에 유로공간(12)과 분리격판(35, 36)과 집진실(33, 34)을 형성하는 제1집진부(31)와 및 제2집진부(32)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집진장치(100)의 위치에 따른 속도분포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실험예(Case0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공기정화 집진장치(100)로서, 제1집진부(31)는, 유로부(11)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집진실(33)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심 유로공간(12)이 형성되고 방사형으로 제1집진부(31) 내벽면에서 중심 유로공간(12)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분리격판(35)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2실험예(Case0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공기정화 집진장치(100)로서, 제1집진부(31)는, 유로부(11)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집진실(34)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심 유로공간(12)이 형성되고 방사형으로 제1집진부(31) 내벽면에서 중심 유로공간(12)의 임의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돌출되는 분리격판(36) 및 수거통(37)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험예(Case01)와 제2실험예(Case02)의 속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여기서, 제1실험예(Case01)의 집진실(33)과 제2실험예(Case02)의 집진실(33)을 비교해 보면, 제1실험예(Case01)는 집진실(33)의 유속이 미약하지만 제2실험예(Case02)는 집진실(33)의 유동이 활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실험예(Case01)와 제2실험예(Case02)의 제1집진부(31)와 제2집진부(32)의 단면 흐름도는, 제1집진부(31)와 제2집진부(32)모두 제1실험예(Case01) 보다 제2실험예(Case02)에서 속도 분포가 균일하게 나타난다. 또한, 제1실험예(Case01)에서는, 유로공간(12)에서 공기(A)가 상승하는 유동이 발달되었으나, 반면에, 제2실험예(Case02)에서는, 유로공간(12)에서 공기(A)rk 상승하다가 집진실(33)을 거쳐 수거통(37)으로 하강하는 유동이 발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험예(Case01)와 제2실험예(Case02)의 집진부(30) 내부에서 미세먼지의 거동해석 결과이다. 여기서, 제1실험예(Case01)와 제2실험예(Case02)에서 크기가 1㎛ 일 때의 미세먼지 거동을 살펴보았다. 제1실험예(Case01)의 경우 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A)가 상승류와 선회류를 형성하며 집진실(33)에서 유속을 잃은 미세먼지까지 재 상승시키는 유동을 보인다. 반면에, 제2실험예(Case01)의 경우 집진실(33)에서 유속을 잃은 미세먼지는 수거통(37)으로 포집되며 미세먼지가 재 상승되는 유동이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의 제1실험예(Case01)와 제2실험예(Case02)의 미세먼지 해석 결과 미세먼지 제거율은 아래의 표와 같다.
<분진 제거율>
1㎛ 5㎛ 10㎛
제1실험예(Case01) 50% 35% 32%
제2실험예(Case02) 66% 60% 97%
[표 1]에서와 같이, 제1실험예(Case01)와 제2실험예(Case02)에서의 미세먼지 제거율은, 제1실험예(Case01)에서 미세먼지의 크기가 1㎛ 일 때 50%이고, 10㎛ 일 때 35% 이고, 50㎛ 일 때 32% 이다. 또한, 이와 비교하여 제2실험예(Case02)에서 미세먼지의 크기가 1㎛ 일 때 66% 이고, 10㎛ 일 때 60% 이고, 50㎛ 일 때 97% 로서, 제1실험예(Case01)에서 보다 제2실험예(Case02)에서의 분진제거율이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 가능하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400)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400)는, 내부에 유로부(11)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11)에 형성되는 제1흡입부(21)와, 상기 제1흡입부(21)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 상방에 상기 몸체(10)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31)와, 상기 몸체(10)에 형성되고, 외부바람으로 인하여 회전할 수 있는 팬(F)(Fan)을 포함하며, 상기 팬(F)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40) 및 상기 팬(F)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력전달축(S)으로 상기 팬(F)과 연결되고, 차량(1)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차량 대응부에 설치되는 차량 대응팬(FV)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대응팬(FV)은 바람개비 형태의 각종 팬이 적용될 수 있고, 도면에 국한되지 않고 프로펠러 타입 등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엽식 팬 또는 시로코 팬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집진장치(400)는 차량(1)이 수시로 주행하는 도로변이나 다리변 등에 열을 지어서 도로나 다리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1)이 고속으로 상기 공기정화 집진장치(400)의 주변을 고속으로 연달아 지나가면 상기 차량(1)으로부터 발생되는 와류 등의 바람에 의해서 상기 차량 대응팬(FV)이 수시로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력이 상기 동력전달축(S)을 통해서 상기 팬(F)에 전달되어 공기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팬(F)은 외부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기존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바람 또는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공기정화 시스템을 통해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가로등 등의 전원이 사용되는 기구들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될 시에는 가로등에 조명 점등의 기능뿐만이 아니라 공기정화 기능까지 부가되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시에도 외부바람으로 공기정화 시스템이 작동하여, 매연이 많이 발생되는 도로 주변의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몸체
11: 유로부
12: 유로공간
20: 흡입부
21: 제1흡입부
22: 제2흡입부
23: 제3흡입부
24: 제4흡입부
30: 집진부
31: 제1집진부
32: 제2집진부
33, 34: 집진실
35, 36: 분리격판
37: 수거통
40: 배출부
50: 흡착부
60: 조명부
70: 제어부
80: 동력부
90: 신호부
A: 공기
F: 팬
FV: 차량 대응팬
100, 110, 120, 130, 140, 400: 공기정화 집진장치
200: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300: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Claims (12)

  1. 내부에 유로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에 형성되는 제1흡입부;
    상기 제1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상방에 상기 몸체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 및
    상기 제1집진부 상방에 형성되고, 외부바람으로 인하여 회전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하며, 상기 팬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
    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부와 대응되어 형성되는 제2흡입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흡입부 및 상기 제2흡입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나선형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의 중심과 편심 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공기정화 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부 및 상기 제2흡입부 하부에 형성되는 제3흡입부;
    상기 제1흡입부 및 상기 제2흡입부 하방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제3흡입부와 대응되어 형성되는 제4흡입부; 및
    상기 제3흡입부 및 상기 제4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제1흡입부 및 상기 제2흡입부와 상기 제3흡입부 및 상기 제4흡입부 사이에 상기 몸체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2집진부;
    를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 집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부는,
    상기 유로부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집진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심 유로공간이 형성되고 방사형으로 상기 제1집진부 내벽면에서 상기 중심 유로공간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분리격판;
    을 포함하는, 공기정화 집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부는,
    상기 유로부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집진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심 유로공간이 형성되고 방사형으로 상기 제1집진부 내벽면에서 상기 중심 유로공간의 임의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돌출되는 분리격판;
    을 포함하는, 공기정화 집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부는,
    상기 제1집진부에서 낙하되는 미세분진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집진부 하부에 형성되는 수거통;
    을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 집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상기 공기가 상기 배출부로 배출될 때 미세분진을 흡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흡착부;
    를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 집진장치.
  8. 내부에 유로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에 형성되는 제1흡입부;
    상기 제1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상방에 상기 몸체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
    상기 제1집진부 상방에 형성되고, 회전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하며, 상기 팬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
    조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외부 전원, 배터리 전원, 태양광 전원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동력부;
    를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10. 내부에 유로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에 형성되는 제1흡입부;
    상기 제1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상방에 상기 몸체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
    상기 제1집진부 상방에 형성되고, 회전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하며, 상기 팬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
    신호를 줄 수 있도록 점등, 소등 또는 점멸이 가능하고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신호부; 및
    상기 신호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11. 외부장치;
    상기 외부장치에 형성되고 내부에 유로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에 형성되는 제1흡입부;
    상기 제1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상방에 상기 몸체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 및
    상기 제1집진부 상방에 형성되고, 외부바람으로 인하여 회전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하며, 상기 팬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는,
    공장 구조물의 지주, 변압기, 도로변 방음벽의 구조물, 도로의 전신주, 공장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외에 설치되는 실내등 및 배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공기정화 집진장치.
  12. 내부에 유로부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부에 형성되는 제1흡입부;
    상기 제1흡입부에서 흡입된 상기 공기의 유속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상방에 상기 몸체 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집진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외부바람으로 인하여 회전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하며, 상기 팬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출부; 및
    상기 팬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력전달축으로 상기 팬과 연결되고,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차량 대응부에 설치되는 차량 대응팬;
    을 포함하는, 공기정화 집진장치.
KR1020160099466A 2016-08-04 2016-08-04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KR20180015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466A KR20180015891A (ko) 2016-08-04 2016-08-04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PCT/KR2016/008961 WO2018026042A1 (ko) 2016-08-04 2016-08-16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466A KR20180015891A (ko) 2016-08-04 2016-08-04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891A true KR20180015891A (ko) 2018-02-14

Family

ID=6107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466A KR20180015891A (ko) 2016-08-04 2016-08-04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15891A (ko)
WO (1) WO2018026042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168B1 (ko) * 2018-10-12 2019-07-31 엔프라임 주식회사 집진기
KR20190101137A (ko) 2018-02-22 2019-08-30 전자부품연구원 공기 정화 기능을 구비하는 신호등
WO2019235689A1 (ko) * 2018-06-07 2019-12-12 주식회사 비앤이솔루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솔라트리, 솔라트리 시스템 및 솔라파크
KR20190141385A (ko) * 2018-06-14 2019-12-24 송철민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가로등
KR102076711B1 (ko) * 2019-02-18 2020-02-12 한세욱 지주 시설물 장착형 대기오염 정화장치
US10619809B1 (en) 2018-10-04 2020-04-14 King Abdulaziz University Solar chimney street lighting pole
KR20200071398A (ko) 2018-12-11 2020-06-19 전자부품연구원 공기 정화 장치
KR102241939B1 (ko) * 2021-02-08 2021-04-19 주식회사 빌트이엔씨 기둥형 친환경 하이브리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20210123118A (ko) 2020-04-02 2021-10-1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공기 정화 장치
KR20220087071A (ko) 2020-12-17 2022-06-2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공기 정화 장치
KR20230074946A (ko) 2021-11-22 2023-05-3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일체형 집진 필터팩
KR20230078067A (ko) 2021-11-26 2023-06-0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공기 정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7859A (zh) * 2018-10-08 2018-12-18 高晟邺 立体绿植式空气净化景观灯
CN112413512B (zh) * 2020-11-24 2021-06-29 烟台旭泰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除尘路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9096A (en) * 1974-10-16 1976-07-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yclone separator having multiple-vaned gas inlets
JPH10249120A (ja) * 1997-03-12 1998-09-22 Toyo Gijutsu Kogyo Kk 重力沈降型集塵装置
KR100715819B1 (ko) * 2006-03-15 2007-05-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높이 차가 있는 복수 개의 흡입구를 갖는 집진장치
KR100741831B1 (ko) * 2007-04-06 2007-07-23 (주)한국주조 거리에 설치되는 무동력 공기정화장치
KR20160018036A (ko) * 2014-08-07 2016-02-17 최영묵 열교환 집진기
KR101781095B1 (ko) * 2015-06-18 2017-09-22 메탈젠텍 주식회사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137A (ko) 2018-02-22 2019-08-30 전자부품연구원 공기 정화 기능을 구비하는 신호등
WO2019235689A1 (ko) * 2018-06-07 2019-12-12 주식회사 비앤이솔루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솔라트리, 솔라트리 시스템 및 솔라파크
KR20190141385A (ko) * 2018-06-14 2019-12-24 송철민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가로등
US10619809B1 (en) 2018-10-04 2020-04-14 King Abdulaziz University Solar chimney street lighting pole
KR101963168B1 (ko) * 2018-10-12 2019-07-31 엔프라임 주식회사 집진기
KR20200071398A (ko) 2018-12-11 2020-06-19 전자부품연구원 공기 정화 장치
KR102076711B1 (ko) * 2019-02-18 2020-02-12 한세욱 지주 시설물 장착형 대기오염 정화장치
KR20210123118A (ko) 2020-04-02 2021-10-1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공기 정화 장치
KR20220087071A (ko) 2020-12-17 2022-06-2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공기 정화 장치
KR102241939B1 (ko) * 2021-02-08 2021-04-19 주식회사 빌트이엔씨 기둥형 친환경 하이브리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20230074946A (ko) 2021-11-22 2023-05-3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일체형 집진 필터팩
KR20230078067A (ko) 2021-11-26 2023-06-0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공기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6042A1 (ko)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095B1 (ko)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KR20180015891A (ko)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CN206310597U (zh) 多层电离除尘组合式新风空气净化系统
CN113574324B (zh) 塔式空气净化装置及其空气净化方法
KR20180080803A (ko) 옥외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도로 주변의 실외용 공기청정시스템
CN202538019U (zh) 带电粒子产生装置
CN1990115A (zh) 旋风空气净化器
KR20100050239A (ko) 원심 압력차에 의한 기수분리 및 오염원 제거장치
CN106422636B (zh) 一种涡旋径向加速除尘除雾装置
CN106440087B (zh) 一种消除空气中超微悬浮物的净化装置
KR20040110719A (ko) 원심분리식 공기정화장치
CN211612117U (zh) 一种污泥处理用空气净化装置
KR20040103627A (ko) 사이클론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CN104524879A (zh) 空气净化装置
CN208765123U (zh) 一种负离子除霾增氧装置
CN104971582A (zh) 一种机床油雾净化收集器
CN204768108U (zh) 一种机床油雾净化收集器
CN209857311U (zh) 一种科技馆楼宇地下通风照明装置
CN105855052A (zh) 空气净化器pm2.5收集装置
CN210211976U (zh) 车载空气净化器的风道结构
CN103940000A (zh) 车载仿闪电雨空气净化装置
CN205031989U (zh) 净化器
CN11388357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空气净化系统
CN204051906U (zh) 全覆盖空气净化器
CN207350540U (zh) 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