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946A - 일체형 집진 필터팩 - Google Patents

일체형 집진 필터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946A
KR20230074946A KR1020210161049A KR20210161049A KR20230074946A KR 20230074946 A KR20230074946 A KR 20230074946A KR 1020210161049 A KR1020210161049 A KR 1020210161049A KR 20210161049 A KR20210161049 A KR 20210161049A KR 20230074946 A KR20230074946 A KR 20230074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dust
dust collecting
fram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170B1 (ko
Inventor
최철준
차인표
이정기
정택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61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17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4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 내부에 배열되며,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대전시키는 복수의 대전판과,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내부에 배열되며, 외부 공기가 이동함에 따라 대전된 먼지를 전기적으로 집진하는 복수의 집진판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대전판 및 상기 복수의 집진판을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집진 필터팩{ALL-IN-ONE DUST COLLECTION FILTER PACK}
본 발명은 공기 정화 장치에 구비되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와 더불어 공장, 발전소 및 자동차 등에서 배출되는 매연은 공기를 오염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특히 도로에는 많은 자동차들이 주행하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 배기 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으로 인해 도로 부근의 공기가 열악한 현실이다.
즉, 도로에는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탄화수소(HC), 오존(O3), 이산화탄소(CO2), 아황산가스(SOx) 등과 같은 배기 가스와 함께 타이어 마찰 시 발생되는 타이어 분진과 같은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s; PM)이 혼재되어 도로의 대기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 아울러 도로 주변의 주거지로 전파되면서 실내 공간 내의 공기를 심각하게 오염시키고 있다.
이러한 실내 공기 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공기 정화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기 정화 장치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공기 정화 장치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정화 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와 공기 중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된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기 정화 장치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하나는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대전된 집진판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수많은 미세 구멍을 가지는 필터를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의 미세 구멍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먼지를 분리한다.
그런데,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먼지에 의해 오염된 필터를 수시로 교체해주어야 하므로 유지 관리가 번거롭고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전된 집진판을 사용하는 방식은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킨 후 공기를 대전된 집진판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먼지가 반대극을 가지는 집진판에 부착되게 함으로써 먼지를 제거한다.
종래의 전기 집진 장치는, 고전압을 인가 받아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대전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전기 집진 장치는 집진판을 공기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공기 이동 시 집진판과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집진판에 달라붙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 집진 장치는 집진 능력 향상을 위해 집진판의 길이를 늘려 외부 공기의 접촉 시간 및 면적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집진판의 길이가 증가 되면, 전기 집진 장치의 크기도 증가될 뿐만 아니라, 외부 공기를 집진판 단부까지 도달시키기 위해 외부 공기의 유입 속도도 증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집진판에 달라붙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여 집진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5891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대전부 및 집진부가 분리된 구조 대비 공기 정화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집진판과 외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복수의 집진판의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 내부에 배열되며,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대전시키는 복수의 대전판과,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내부에 배열되며, 외부 공기가 이동함에 따라 대전된 먼지를 전기적으로 집진하는 복수의 집진판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대전판 및 상기 복수의 집진판을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을 제공한다.
여기서, 복수의 대전판 및 복수의 집진판은, 서로 이격하며, 외부 공기가 복수의 대전판 및 복수의 집진판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대전판 및 복수의 집진판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대전판 및 복수의 집진판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방향의 사선 형태 및 지그재그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집진판은 복수의 대전판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집진판은, 복수의 대전판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집진판과, 복수의 대전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집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집진판은 제1 집진판 및 상기 제2 집진판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대전판은 제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대전판은 외부 공기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집진판은 제2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대전판은 외부 공기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대전판과 복수의 집진판이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기존의 대전부 및 집진부가 분리된 구조 대비 공기 정화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대전판 및 복수의 집진판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하여, 복수의 집진판과 외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복수의 집진판의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헤파 필터와 달리 집진 필터팩에 집진된 먼지를 물과 계면 활성제 등으로 세척하여 재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팩의 복수의 대전판 및 집진판의 배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의 먼지 집진을 시뮬레이션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팩의 복수의 대전판 및 집진판의 배열 구성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을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100)은 공기 정화 장치(예컨대, 공기 청정기, 전열 교환기 및 에어컨 등)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집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 정화 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정화 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송풍 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유입된 외부 공기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100)으로 이동되어 외부 공기의 포함된 먼지가 걸러지게 된다.
송풍 장치는 송풍팬과,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100)은 프레임(110, 130), 복수의 대전판(120), 복수의 집진판(140) 및 절연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 장치에 의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순차적으로 복수의 대전판(120) 및 복수의 집진판(140)으로 이동된다.
프레임(110, 130)은 제1 프레임(110) 및 제1 프레임(110)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130)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3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 형상의 틀 형상이면 족하다.
복수의 대전판(120)은 제1 프레임(110) 내부에 배열되며, 공기 정화 장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대전시킨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대전판(120)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복수의 대전판(120)은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고, 이 코로나 방전을 통해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전기성(예컨대, 양극(+)성)을 띄도록 먼지를 대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먼지는 수십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미세 먼지일 수 있다.
복수의 대전판(120)은 구리, 알루미늄 및 금 등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대전판(120)은 제1 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프레임(110)은 복수의 대전판(120)과 동일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대전판(120)은 그 양단이 제1 프레임(110)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연결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대전판(120) 사이 마다 외부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된다.
복수의 집진판(140)은 제2 프레임(130) 내부에 배열되며, 외부 공기가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대전판(120)에 의해 대전된 먼지를 전기적으로 집진한다. 여기서, 복수의 집진판(140)은 대전된 먼지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예컨대, 음극(-)성)으로 대전되거나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공기가 복수의 대전판(120)을 통과하여 복수의 집진판(140)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대전판(120)에 의해 대전된 먼지는 전기적 인력에 의해 복수의 집진판(140)에 달라붙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 공기에서 먼지가 제거된다.
복수의 집진판(140)은 구리, 알루미늄 및 금 등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집진판(140)은 제2 프레임(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프레임(130)은 복수의 집진판(140)과 동일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집진판(140)은 그 양단이 제2 프레임(130)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연결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집진판(140) 사이 마다 외부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된다.
복수의 대전판(120)은 외부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복수의 집진판(140)은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집진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복수의 집진판(140)은 복수의 대전판(120) 보다 더 많은 개수로 배치하여 먼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체형 필터팩(100)의 한정된 공간 하에서 복수의 집진판(140)은 복수의 대전판(120)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대전판(120)이 구비된 제1 프레임(110)과 복수의 집진판(140)이 구비된 제2 프레임(130)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100)은, 복수의 대전판(120)과 복수의 집진판(140)이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기존의 대전부 및 집진부가 분리된 구조 대비 공기 정화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집진판(140)에 집진된 먼지가 포화되면 더 이상 집진이 어렵기 때문에 일체형 집진 필터팩(100)을 일정 주기 마다 세척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100)은 기존의 헤파 필터와 달리 집진 필터팩(100)에 집진된 먼지를 물과 계면 활성제 등으로 세척하여 재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복수의 대전판(120)은 양극성으로 대전되고, 복수의 집진판(140)은 음극성으로 대전되거나 접지와 연결되기 때문에, 복수의 대전판(120)과 복수의 집진판(140)은 절연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절연 부재(150)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30)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대전판(120) 및 복수의 집진판(140)을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대전판(120)과 복수의 집진판(14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대전판(120) 및 복수의 집진판(140)은 외부 공기가 복수의 대전판(120) 및 복수의 집진판(14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복수의 집진판(140)이 직선 형태로 배치되면, 복수의 집진판(140)과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이 평행하게 되어, 외부 공기 이동 시 복수의 집진판(140)과 외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복수의 집진판(140)에 달라붙지 않고 외부 공기가 복수의 집진판(140)을 그대로 통과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점은 외부 공기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더 커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100)은 복수의 집진판(140)을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하여, 복수의 집진판(140)과 외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복수의 집진판(140)의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집진판(140)의 각도는 10도 내지 20도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집진판(140)은 동일한 방향의 사선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대전판(120)은 외부 공기의 유입 방향(z)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100)은 복수의 대전판(120)을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하여, 복수의 집진판(140)과 외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복수의 집진판(140)의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집진판(140)은 외부 공기의 유입 방향(z)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대전판(120)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되면 외부 공기도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복수의 집진판(140)에 도달하기 때문에 복수의 집진판(140)과 외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대전판(120)의 각도는 10도 내지 20도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대전판(120)은 동일한 방향의 사선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집진판(140)은 외부 공기의 유입 방향(z)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집진 필터팩의 먼지 집진을 시뮬레이션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복수의 집진판(140)은 복수의 대전판(120)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집진판(141)과, 복수의 대전판(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집진판(1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과 달리, 복수의 집진판(140)은 복수의 대전판(120)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집진판(141)만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집진판(140)이 제1 집진판(141)과 제2 집진판(142)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집진판(141) 및 제2 집진판(142)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대전판(120) 사이를 통과한 외부 공기는 확산되어 복수의 집진판(140)에 도달하기 때문에, 외부 공기의 속도는 복수의 대전판(120) 사이에 배치된 제2 집진판(142) 보다 복수의 대전판(120)과 나란히 배치된 제1 집진판(141)에서가 더 늦다. 또한, 외부 공기의 접촉 면적은 제2 집진판(142) 보다 제1 집진판(141)에서가 더 넓다.
따라서, 제1 집진판(141)이 제2 집진판(142) 보다 더 많은 양의 먼지를 집진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집진판(140)은 복수의 대전판(120)과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제1 집진판(141)이 제2 집진판(142) 보다 더 많은 양의 먼지를 집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집진판(141) 및 제2 집진판(142)이 교대로 배열되는 경우, 복수의 대전판(120) 사이를 통과한 외부 공기는 복수의 대전판(120) 사이에 배치된 제2 집진판(142)에 의해 굴절되어 복수의 대전판(120)과 나란히 배치된 제1 집진판(141)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집진판(141)에 도달하는 외부 공기의 양은 증가되고, 외부 공기의 접촉 시간은 증가되어 효과적으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제2 집진판(142) 사이에 제1 집진판(141)이 배치된 경우 보다 더 많은 양의 먼지를 집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의 대전판(120)은 제1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대전판(120)은 외부 공기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외부 공기가 일체형 집진 필터팩(100)으로 유입되면, 공기 저항력으로 인해 복수의 대전판(120)은 회전되어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집진판(140)은 제2 프레임(130)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대전판(120)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면 외부 공기도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복수의 집진판(140)에 도달하기 때문에 복수의 집진판(140)과 외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대전판(120)은 외부 공기의 유입 속도에 따라 기울기가 증가될 수 있다. 이 때, 공기 정화 장치는 외부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송풍 장치를 제어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외부 공기의 오염도가 높을수록 외부 공기의 유입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여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복수의 집진판(140)은 제2 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집진판(140)은 외부 공기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외부 공기가 복수의 대전판(120)을 통과하면, 공기 저항력으로 인해 복수의 집진판(140)은 회전되어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대전판(120)은 제1 프레임(110)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집진판(140)이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면 복수의 집진판(140)과 외부 공기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집진판(120)은 외부 공기의 유입 속도에 따라 기울기가 증가될 수 있다. 이 때, 공기 정화 장치는 외부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송풍 장치를 제어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외부 공기의 오염도가 높을수록 외부 공기의 유입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여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일체형 필터팩
110: 제1 프레임
120: 대전부
130: 제2 프레임
140: 집진부

Claims (11)

  1.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내부에 배열되며, 상기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대전시키는 복수의 대전판;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내부에 배열되며, 상기 외부 공기가 이동함에 따라 대전된 상기 먼지를 전기적으로 집진하는 복수의 집진판; 및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대전판 및 상기 복수의 집진판을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
    를 포함하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판 및 상기 복수의 집진판은
    서로 이격하며,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복수의 대전판 및 상기 복수의 집진판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판 및 상기 복수의 집진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부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판 및 상기 복수의 집진판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방향의 사선 형태 및 지그재그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배열되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집진판은
    상기 복수의 대전판과 나란히 배치되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집진판은
    상기 복수의 대전판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집진판; 및
    상기 복수의 대전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집진판을 포함하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집진판은
    상기 제1 집진판 및 상기 제2 집진판이 교대로 배열되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판은
    상기 제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판은
    상기 외부 공기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집진판은
    상기 제2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판은
    상기 외부 공기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일체형 집진 필터팩.
KR1020210161049A 2021-11-22 2021-11-22 일체형 집진 필터팩 KR102620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049A KR102620170B1 (ko) 2021-11-22 2021-11-22 일체형 집진 필터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049A KR102620170B1 (ko) 2021-11-22 2021-11-22 일체형 집진 필터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946A true KR20230074946A (ko) 2023-05-31
KR102620170B1 KR102620170B1 (ko) 2024-01-02

Family

ID=8654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049A KR102620170B1 (ko) 2021-11-22 2021-11-22 일체형 집진 필터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17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731A (ja) * 1998-03-03 1999-09-14 Yamatake Corp 電気式集塵セル
JP2005205405A (ja) * 2003-12-25 2005-08-04 Midori Anzen Co Ltd 荷電装置、捕集装置及び静電式集塵装置
KR20100093810A (ko) * 2009-02-17 2010-08-26 한국기계연구원 탄소섬유를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1474493B1 (ko) * 2010-01-29 2014-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20180015891A (ko) 2016-08-04 2018-02-14 메탈젠텍 주식회사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KR102308567B1 (ko) * 2021-03-15 2021-10-05 주식회사 한빛이엔에스 전기 집진기
JP2021154250A (ja) * 2020-03-30 2021-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集塵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731A (ja) * 1998-03-03 1999-09-14 Yamatake Corp 電気式集塵セル
JP2005205405A (ja) * 2003-12-25 2005-08-04 Midori Anzen Co Ltd 荷電装置、捕集装置及び静電式集塵装置
KR20100093810A (ko) * 2009-02-17 2010-08-26 한국기계연구원 탄소섬유를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1474493B1 (ko) * 2010-01-29 2014-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20180015891A (ko) 2016-08-04 2018-02-14 메탈젠텍 주식회사 공기정화 집진장치와,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가로등 및 공기정화 집진장치용 신호등
JP2021154250A (ja) * 2020-03-30 2021-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集塵機
KR102308567B1 (ko) * 2021-03-15 2021-10-05 주식회사 한빛이엔에스 전기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170B1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238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гломерации частиц
US6524369B1 (en) Multi-stage particulate matter collector
US20090151567A1 (en) Space efficient hybrid air purifier
JP4687595B2 (ja) 電気集塵装置
KR100722863B1 (ko)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유니트
CN101274304B (zh) 烟气多种污染物协同脱除复合静电除尘器
US9931641B2 (e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KR101375468B1 (ko) 전기 집진 장치
WO2005105315A1 (ja) ガス処理装置
KR20100085092A (ko) 공기처리장치
JP2007007589A (ja) 電気集塵デバイス及びこれを組込んだ空気清浄装置
KR102425915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026010B1 (ko) 정전 미스트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복합된 탈황장치
KR20190084906A (ko) 정전 미스트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복합된 탈황장치
JP4094223B2 (ja) 電気集じん装置
KR102620170B1 (ko) 일체형 집진 필터팩
CN109603521B (zh) 一种高效烟气净化装置
KR100774484B1 (ko) 정전 필름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CN206996856U (zh) 静电除尘模块和空气调节装置
WO2019063834A2 (en) AIR POLLUTION FILTRATION SYSTEM AND UNIT
KR101180038B1 (ko) 멀티힐릭스핀 이오나이저를 갖는 허니컴 집진부를 포함한 전기집진장치
KR102025791B1 (ko) 집진기 시스템
CN210252689U (zh) 一种隧道静电除尘净化装置
JP2022041635A (ja) 空気浄化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空気浄化フェンス構造体
CN203648706U (zh) 集尘模块与静电空气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