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028A - 복강경 절차들에 대한 수술 트레이닝 모델 - Google Patents

복강경 절차들에 대한 수술 트레이닝 모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028A
KR20180014028A KR1020177037370A KR20177037370A KR20180014028A KR 20180014028 A KR20180014028 A KR 20180014028A KR 1020177037370 A KR1020177037370 A KR 1020177037370A KR 20177037370 A KR20177037370 A KR 20177037370A KR 20180014028 A KR20180014028 A KR 20180014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ab
sealing
opening
su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9812B1 (ko
Inventor
그레고리 케이. 호프슈테터
트레이시 브레슬린
코드르 살레
나타샤 펠싱어
케이티 블랙
밀란 드라가노브
Original Assignee
어플라이드 메디컬 리소시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플라이드 메디컬 리소시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어플라이드 메디컬 리소시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227033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6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injections, endoscopy, bronchoscopy, sigmoidscopy, insertion of contraceptive devices or enem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09B23/34Anatomical models with re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트레이닝 디바이스는 바늘 및 봉합사의 통과를 실습하기 위한 모델을 포함한다. 모델은 복수의 봉합 탭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구부들을 갖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봉합 탭들은 탄성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부 봉합 탭들은 봉합사의 통과를 위한 밀-형성된 탭 개구들을 포함한다. 다른 봉합 탭들은 봉합사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이를 통해 봉합 바늘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가능 구역을 포함한다. 봉합 탭들은 베이스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로 이들을 배향하기 위하여 베이스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베이스 자체가 서로에 대하여 각이 진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봉합 탭들은 탭 개구들 및 표면들을 당기거나, 노출시키거나 또는 개방하기 위하여 베이스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탭 개구부들 중 일부는, 베이스에 대하여 당겨질 때 개방되어 사용자가 탭을 통해 바늘을 통과시키는 동안 탭을 홀딩하는 것을 실습하는 것을 요구하는 슬릿들이다.

Description

복강경 절차들에 대한 수술 트레이닝 모델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특허 출원은 "Surgical training model for laparoscopic procedures"라는 명칭으로 2016년 04월 0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번호 제62/318,902호 및 "Surgical training model for laparoscopic procedures"라는 명칭으로 2015년 05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번호 제62/167,129호에 대한 이익 및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로써 이들의 전부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전반적으로 의료 트레이닝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봉합을 실습하기 위한 모델들에 관한 것이다.
의대생들뿐만 아니라 새로운 수술 기술들을 학습하는 숙련된 의사들은, 이들이 인간 환자들에 대하여 수술을 수행하기 위한 자격을 받기 이전에 반드시 집중적인 트레이닝을 겪어야만 한다. 트레이닝은, 다양한 조직 유형들을 커팅하고, 천공하며, 클램핑(clamp)하고, 그래스핑(grasp)하며, 스테이플링(staple)하고, 소작하며, 봉합하기 위한 다양한 의료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적절한 기술을 교습해야만 한다. 연수생이 마주할 수 있는 가능성의 범위가 매우 크다. 예를 들어, 상이한 장기들 및 환자 해부학적 구조들 및 질병들이 제시된다. 다양한 조직 층들의 두께 및 경도가 또한 신체의 부분마다 그리고 환자마다 변화할 것이다. 상이한 절차들은 상이한 스킬들을 요구한다. 추가로, 연수생은 환자의 크기 및 상태, 인접한 해부학적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및 목표 조직들의 유형들 및 이들이 용이하게 액세스가 가능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액세스가 어려운지 여부와 같은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양한 해부학적 환경들에서 기술들을 실습해야만 한다.
다수의 교습 보조기구들, 트레이너들, 시뮬레이터들 및 모델 장기들이 수술용 트레이닝의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대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내시경 및 복강경, 최소 침습 수술 절차들을 실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그리고 이러한 절차들에서 마주할 가능성이 있는 모델들 또는 시뮬레이션된 조직 엘리먼트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복강경 수술에 있어, 체강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그리고 복강경과 같은 카메라의 삽입을 위한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투관침 또는 캐뉼라(cannula)가 삽입된다. 카메라는 그 뒤 하나 이상의 모니터들 상에서 외과의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을 캡처하는 라이브 비디오 피드(live video feed)를 제공한다. 모니터 상에서 관찰되는 절차들을 수행하기 위해 이를 통해 수술 기구들이 전달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투관침/캐뉼라가 이를 통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소형 절개부가 만들어진다. 복부와 같은 목표된 조직 위치는 전형적으로, 체강을 불어넣기 위해 그리고 외과의에 의해 사용되는 기구들 및 스코프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작업 공간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가스를 전달함으로써 확장된다. 조직 공동 내의 주입 압력(insufflation pressure)은 전용 투관침들을 사용하여 유지된다. 복강경 수술들은 개복 절차에 비하여 다수의 이점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들은 더 작은 절개부들에 기인하는 감소된 고통, 감소된 혈액 및 더 짧은 회복 시간을 포함한다.
복강경 또는 내시경 최소 침습 수술은 개복 수술에 비하여 증가된 레벨의 스킬들을 필요로 하며, 이는 목표 조직이 임상의에 의해 직접적으로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다. 목표 조직은 소형 개구부를 통해 액세스되는 수술 지점의 일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들 상에서 관찰된다. 따라서, 임상의들은 조직 평면들을 시각적으로 결정하는 것, 2-차원 뷰잉(viewing) 스크린 상에서의 3-차원 깊이 인식, 손에서 손으로의 기구들의 전달, 봉합, 정밀 커팅 및 조직 및 기구 조작을 실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전형적으로, 특정한 해부학적 구조 또는 절차를 실습하는 모델들은 시뮬레이션된 골반 트레이너 내에 위치되며, 여기에서 해부학적 모델은 개업의에 의해 직접적인 시각화로부터 가려진다. 직접적인 시각화로부터 감춰진 해부학적 모델에 대하여 기술들을 실습하기 위해 트레이너 내의 포터들이 기구들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시뮬레이션된 골반 트레이너들은, 외과의들 및 레지던트들에게 기본 스킬들 및 복강경 수술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기술들, 예컨대, 그래스핑, 조작, 커팅, 매듭 묶기, 봉합, 스테이플링, 소작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본 스킬들을 사용하는 특정 수술 절차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트레이닝시키기 위한 기능적이고 비싸지 않으며 실용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시뮬레이션된 골반 트레이너들은 또한 이러한 복강경 절차들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의료 디바이스들을 증명하기 위한 효과적인 판매 툴들이다.
내시경 또는 복강경 최소 침습 수술에서 실습을 필요로 하는 이상에서 언급된 기술들 중 하나는 봉합사들을 통과시키는 것 및 봉합이며, 이는 목표 조직 및 기구들이 2-차원 비디오 모니터 상에서 관찰되는 동안 3-차원 깊이 인식 및 손에서 손으로의 바늘의 전달 및 봉합과 같은 스킬들을 개발시킬 것을 임상의에게 요구한다. 따라서, 봉합을 실습하기에 적절한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임상의가 시뮬레이션된 복강경 환경에서 봉합사들을 통과시키는 것을 실습하는 것과 같은, 연수생들에 대하여 절차의 특정 단계를 분리하는 모델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복강경 트레이닝 모델은, 그 안에서 이것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적인 시각화로부터 가려지는 복강경 트레이너와 같은 시뮬레이션된 복강경 환경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위치된다. 카메라 및 모니터가 개업의에게 시각화를 제공한다. 추가로, 기술이 실습된 이후에, 이러한 모델이 쉽고, 속도감 있게 그리고 비용을 절감하면서 반복가능한 실습을 허용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이상의 관점에서, 또한 반복가능한 실습을 가능하게 하는, 절차의 특정 스테이지 또는 단계를 분리하고 해부학적 구조를 사실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시뮬레이션 트레이너들의 사용이 새로운 복강경 수술 담당 의사의 스킬 레벨들을 크게 향상시키며 비-수술적 세팅에서 장래의 외과의들을 트레이닝시키기에 훌륭한 툴이라는 것의 증명되었다. 이러한 개선되고, 사실적이며 효율적인 수술 트레이닝 모델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합 트레이닝 모델이 제공된다. 봉합 트레이닝 모델은 하단 표면과 상호연결된 상단 표면을 갖는 베이스(base)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하단 표면을 향해 연장하는 상단 표면 내의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봉합 트레이닝 모델은 착탈가능하게 베이스에 연결된 복수의 봉합 탭(suture tab)들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봉합 탭은 길이 방향 축을 갖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봉합 바늘로 관통되고 휴지 구성으로부터 연장된(elongated) 구성으로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당겨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봉합 탭은 복수의 개구부들 중 하나 이상의 내부에 위치되어, 그 결과 이것이 개구부 내에서 착탈가능하게 유지되고 베이스에 대하여 그것의 길이 방향 축 둘레로 봉합 탭의 하나가 넘는 고정된 배향을 허용한다. 각각의 봉합 탭은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을 갖는다. 봉합 탭의 상단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은, 베이스의 개구부 내부에 존재할 때 그리고 연장된 구성으로 당겨질 때 베이스의 상단 표면 위로 연장하며, 하단 부분은 베이스에 대하여 유지되고, 길이 방향 축을 따른 봉합 탭의 길이는 휴지 구성에 비하여 연장된 구성에서 증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봉합 트레이닝 모델이 제공된다. 봉합 트레이닝 모델은, 재위치되고, 스트레칭(stretch)되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는 복수의 봉합 탭들을 홀딩(hold)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봉합 탭은, 관통될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통해 봉합사가 통과될 적어도 하나의 미리-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탭 면(tab face)을 포함한다. 베이스는 복수의 봉합 탭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베이스 내의 각각의 개구부는 하나 이상의 봉합 탭들을 홀딩한다. 베이스는 봉합 탭들을 홀딩하기 위하여 개구부들과 적어도 2개의 평면들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봉합 트레이닝 모델이 제공된다. 봉합 트레이닝 모델은 하단 표면과 상호연결된 상단 표면을 갖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하단 표면을 향해 연장하는 상단 표면 내의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봉합 트레이닝 모델은 착탈가능하게 베이스에 연결된 복수의 봉합 탭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봉합 탭은 길이 방향 축을 가지며, 봉합 바늘로 관통될 수 있거나 또는 봉합사가 통과되는 미리-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봉합 탭은 이것이 개구부 내에서 착탈가능하게 유지되도록 복수의 개구부들 중 하나 이상의 내부에 위치된다. 각각의 봉합 탭은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을 갖는다. 봉합 탭의 상단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은 베이스의 개구부 내부에 존재할 때 베이스의 상단 표면 위에서 연장한다. 개구부는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각진 표면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메이팅(mating) 표면을 가지며, 봉합 탭은 길이 방향 축에 대한 봉합 탭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의 적어도 하나의 각진 표면과 메이팅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결정된 각진 표면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메이팅 표면을 갖는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봉합 탭 및 봉합 탭이 그 안에 배치되는 개구부는 베이스에 대하여 그것의 길이 방향 축 둘레로 봉합 탭의 하나가 넘는 고정된 배향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봉합 탭 및 개구부는 베이스에 대하여 길이 방향 축 둘레로 하나가 넘는 고정된 배향을 허용하기 위한 하나가 넘는 메이팅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봉합사 통과를 실습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복수의 봉합 탭들을 홀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구부들을 갖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모델의 각각의 봉합 탭은 관통될 수 있거나 또는 봉합사를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탭 면을 갖는다. 모델의 베이스는 복수의 봉합 탭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개구부는 하나 이상의 봉합 탭들을 홀딩한다. 각각의 봉합 탭은 휴지 구성으로부터 연장된 구성으로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당겨질 수 있다. 방법은, 봉합사 및 봉합 바늘을 제공하는 단계, 휴지 구성으로부터 연장된 구성으로 베이스에 대하여 봉합 탭을 당기는 단계, 및 연장된 구성에 있는 동안 탭 면을 통해 봉합사 및 봉합 바늘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델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델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일릿(eyelet)의 전방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일릿의 전방 정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일릿의 측면 정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일릿의 측면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홀(hole) 내에 단일 봉합 탭을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홀 내에 2개의 아일릿들을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베이스의 일 섹션 내의 상이한 형상들을 갖는 복수의 홀들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함께 힌지 결합된 2개의 평면들을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평면이 압축가능 재료의 층 및 베이스에 연결된 복수의 봉합 탭들을 갖는, 함께 힌지 결합된 2개의 평면들을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을 예시한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탭의 상단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탭의 상단 사시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탭의 상단 사시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탭의 상단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탭의 상단 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탭의 상단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함께 힌지 결합된 3개의 평면들을 가진 베이스를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상단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함께 힌지 결합된 3개의 평면들을 가진 베이스를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상단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함께 힌지 결합된 3개의 평면들을 가진 베이스를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향의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배향의 도 13b의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분해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분해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6a의 봉합 트레이닝 모델의 측면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16c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6a의 봉합 트레이닝 모델 및 거기로 통과되는 봉합사의 상면도를 예시한다.
도 17a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7a의 베이스의 상면도를 예시한다.
도 18a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8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8a의 베이스의 상면도를 예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상면도를 예시한다.
도 20a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상면도를 예시한다.
도 20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0a의 베이스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21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배향의 베이스에 연결된 도 20의 베이스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21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배향의 베이스에 연결된 도 20의 베이스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21c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배향의 베이스에 연결된 도 20의 베이스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23a는 본 발명에 따른 탭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23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3a의 탭의 측면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23c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3a의 탭의 전방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23d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3a의 탭의 상면도를 예시한다.
도 2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구성의 탭의 전방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2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구성의 도 24a의 탭의 전방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탭의 전방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탭의 전방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탭의 전방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나란한 하프(half) 탭들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나란한 하프 탭들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나란한 하프 탭들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31a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나란한 하프 탭들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31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1a의 2개의 나란한 하프 탭들의 상면도를 예시한다.
도 31c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1a의 2개의 나란한 하프 탭들의 전방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32a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나란한 하프 탭들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3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2a의 2개의 나란한 하프 탭들의 전방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32c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2a의 2개의 나란한 하프 탭들의 측면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33a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나란한 하프 탭들의 상단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33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3a의 2개의 나란한 하프 탭들의 전방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33c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3a의 2개의 나란한 하프 탭들의 상면도를 예시한다.
복부 영역과 같은 환자의 몸통을 모방하도록 구성된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10)가 도 1에 예시된다.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10)는, 시뮬레이션된 또는 진짜(live) 조직 또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한 모델 장기들 또는 트레이닝 모델들을 수용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실질적으로 가려지는 체강(12)을 제공한다. 체강(12)은, 체강(12) 내에 위치되고 발견되는 조직 또는 실습 모델에 대하여 수술 기술들을 실습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관통되는 조직 시뮬레이션 영역(14)을 통해 액세스된다. 체강(12)이 조직 시뮬레이션 영역을 통해 액세스가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지만, 손-보조 액세스 디바이스 또는 단일-사이트(site) 포트 디바이스가 대안적으로 체강(12)을 액세스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는 본원에 그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되며 "Portable Laparoscopic Trainer"라는 명칭으로 2011년 09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일련번호 제13/248,449호에서 설명된다. 수술 트레이닝 디바디스(10)는 복강경 또는 다른 최소 침습 수술 절차들을 실습하기 위하여 특히 적합하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10)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leg)(20)에 의해 베이스(18)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분리되는 상단 커버(16)를 포함한다. 도 1은 복수의 레그들(20)을 도시한다.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10)는 복부 영역과 같은 환자의 몸통을 모사하도록 구성된다. 상단 커버(16)는 환자의 전방 표면을 나타내며, 상단 커버(16)와 베이스(18) 사이의 공간(12)은 기관들이 존재하는 환자의 내부 또는 체강을 나타낸다. 수술 트레이너(10)는, 수술 절차를 겪는 환자의 시뮬레이션에서 다양한 수술 절차들 및 그들의 관련된 기구들을 교습하고, 실습하며, 증명하기 위한 유용한 툴이다. 수술 기구들이 조직 시뮬레이션 영역(14)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상단 커버(16) 내의 미리-수립된 개구들(22)을 통해 공동(12) 내로 삽입된다. 다양한 툴들 및 기술들이, 상단 커버(16)와 베이스(18) 사이에 위치된 시뮬레이션된 장기들 또는 실습 모델들에 대해 모조 절차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단 커버(16)를 관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18)는 시뮬레이션된 조직 모델 또는 진짜 조직을 스테이징(stage)하거나 또는 홀딩하기 위한 모델-수용 구역(24) 또는 트레이(tray)를 포함한다. 베이스(18)의 모델-수용 구역(24)은 모델(미도시)을 제 위치에 홀딩하기 위한 프레임-형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시뮬레이션된 조직 모델 또는 진짜 장기들을 베이스(18) 상에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신축가능(retractable) 와이어에 부착된 클립이 위치들(26)에서 제공된다. 신축가능 와이어가 연장되며, 그런 다음 조직 모델을 실질적으로 조직 시뮬레이션 영역(14) 아래에서 제 위치에 홀딩하기 위하여 클리핑(clip)된다. 조직 모델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수단은, 이것이 모델에 고정된 후크-앤-루프(hook-and-loop) 유형의 체결 재료(VELCRO®)의 상보적인 피스에 착탈가능하게 연결이 될 수 있도록, 모델 수용 구역(24) 내에서 베이스(18)에 부착된 후크-앤-루프 유형의 체결 재료(VELCRO®)의 패치(patch)를 포함한다.
상단 커버(16)에 힌지 결합된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니터(28)가 도 1에서 폐쇄 배향으로 도시된다. 비디오 모니터(62)는 이미지를 모니터에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시각적 시스템들에 연결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되는 절차를 관찰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리-수립된 개구들(22) 중 하나를 통해 삽입되어 공동 내에 위치된 복강경 또는 웹캠은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비디오 모니터(28) 및/또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및 시각적 성능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디오 레코딩 또는 전달 수단이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트레이너(10)와 통합될 수 있다. 플래시 드라이브, 스마트 폰, 디지털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또는 다른 디지털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휴대용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증명 목적들을 위하여 트레이닝 절차들을 레코딩하거나 또는 모니터 상에서 미리-레코딩된 비디오들을 재생하기 위하여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모니터보다 더 큰 스크린으로 오디오 및 시각적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연결 수단이 제공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 상단 커버(10)는 비디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지만, IPAD®와 같은 태블릿, 랩탑 컴퓨터, 또는 모바일 디지털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이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트레이너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어셈블리될 때, 상단 커버(16)는, 실질적으로 주변부에 둘레에 위치되며 상단 커버(16)와 베이스(18) 사이에 상호연결된 레그들(20)을 갖는 베이스(18) 바로 위에 위치된다. 상단 커버(16) 및 베이스(18)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이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변 아웃라인(outline)을 갖는다. 내부 공동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시야로부터 가려진다. 도 1에 도시된 변형예에 있어서, 레그들은 주변 광이 가능한 한 많이 내부 공동을 조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그리고 또한 유익하게는 간편한 휴대를 위하여 가능한 한 많은 중량 감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상단 커버(16)는 레그들(20)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베이스(18)에 대하여 힌지들 또는 유사한 것을 통해 제거될 수 있거나 또는 접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어셈블리되지 않은 트레이너(10)는 휴대를 더 용이하게 만드는 감소된 높이를 갖는다. 본질적으로, 수술 트레이너(10)는 사용자로부터 가려지는 시뮬레이션된 체강(12)을 제공한다. 체강(12)은,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복강경 또는 내시경 최소 침습 수술 기술들을 실습하기 위하여 모델들에 액세스할 수 있는 상단 커버(16) 내의 적어도 하나의 조직 시뮬레이션 영역(14) 및/또는 개구들(22)을 통해 액세스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수술 모델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절차들에서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것을 실습하기 위한 모델(30)이 도 2에 도시된다. 모델(30)은 이상에서 설명된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10) 또는 체강 내에서의 봉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다른 유사한 수술 트레이너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모델(30)은 베이스(32), 및 베이스(32)의 표면에 연결된 복수의 아일릿들(34)을 포함한다.
모델(30)의 베이스(32)는 모델(30)의 나머지에 대한 하단 지지부로서 역할하는 플랫폼이며, 이는 모델이 넘어지지 않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결정된다. 플랫폼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베이스(32)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동안 모델(30)의 안정성을 직립 위치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중량이다. 모델(30)은 모델 수용 구역(24)의 위치에서 수술 트레이너(10)의 체강(12) 내로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결정된다. 베이스(32)의 밑면에는 수술 트레이너(10) 내부에 모델(30)을 부착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트레이너(10) 내부에 모델(30)을 부착하기 위한 이러한 수단은, 비제한적으로, 베이스(32)의 하단 표면에 부착되며 상보적인 후크-앤-루프 유형의 체결구 재료 또는 수술 트레이너(30)의 베이스(18)에 부착된 접착제와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접착제, 석션 컵(suction cup), 자석, 스냅-핏(snap-fit), 및 후크-앤-루프 유형의 체결구 재료를 포함한다.
모델(30)의 베이스(32)는 평평하거나 또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복이 있을 수 있는 외부 표면(36)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부 표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할 수 있다. 외부 표면(36)은 오목하거나, 만곡되거나, 경사지거나, 파형일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더 큰 특징부들을 보완하는 asv 범프(bump)들 또는 디보트(divot)들과 같은 더 작은 표면을 포함하는 오르막 경사(upward hill), 내리막 경사, 계곡들 및 피크(peak)들을 포함하는 임의 구성 또는 지형을 가질 수 있다. 외부 표면(36)의 지형은, 사용자가 복강경 수술에서 깊이 인식을 실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표면 또는 다수의 평면들을 생성한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베이스(32)는 강성 및 단단한 것이 아니라 유연하고, 탄력적이며 가요성이고, 복강경 수술에서 사용될 수술 기구들로 조작될 때 편향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베이스(32)는 유연하고 탄력적인 재료 예컨대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진다. 베이스(32)의 외부 표면(36)의 지형의 다른 예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모델(30)은 위쪽으로 향한 수술 외부 표면(36)을 갖도록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모델(30)은 복강경 절차들을 실습하기 위한 다른 변형예 및 내부 신체 구조의 표현을 제공하기 위하여 트레이너(10)에서 그것의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배향에서, 모델(30)의 측면 표면에 아일릿들(34)이 구비된다.
모델(30)은, 아일릿들(34)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표면(36) 위에 또는 모델(30)의 측면 표면 위에 존재하게 구성되도록 베이스(32)에 연결된 복수의 아일릿들 또는 개구들(34)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아일릿(34)이 도 4a에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아일릿(34)은 이를 통해 임상의가 바늘 및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것을 실습할 수 있는 개구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아일릿(34)은 목 부분(38) 및 머리 부분(40)을 포함한다. 머리 부분(40)은 그 내부에 놓이는 개구 평면을 획정(define)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42)를 포함한다. 개구(42)가 원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구(42)는 다각형 또는 폐곡선과 같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a가 폐쇄된 개구(42)를 도시하지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개구(44)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개방 또는 후크-형 개구(44)는, 임의의 장소에 개구 둘레의 대략 1/8 내지 1/4 크기인 개구(40) 내로의 개구부 또는 입구를 남겨두면서 오로지 부분적으로 헤드 부분(40)의 주변 재료에 의해 둘러싸이고 개방되어 있는 개구이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아일릿(34)의 개구(42)는, 개구(42)를 통과하는 바늘 및 봉합사가 바늘 및 봉합사로 개구(42)의 커버를 관통할 것을 요구하도록, 메시 또는 직물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는 실리콘 또는 다른 관통가능 재료의 층으로 커버된다. 커버는 실제 조직을 모방하며, 따라서 연습의 사실성에 기여한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아일릿(34)은 강성이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아일릿(34)의 목 부분(38)은 가요성이며 반면 머리 부분(40)은 강성이고,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넥 부분(38) 및 머리 부분(40) 둘 모두가 가요성이거나 또는 편향될 수 있다. 편향가능 또는 가요성 아일릿(34)은 봉합사 통과를 수행하는 것의 난이도를 증가시킨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아일릿(34)은 미리-굽어지거나 또는 각이 진다. 개구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은 도 4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부분(38)의 길이 방향 축과 교차한다. 일반적으로, 아일릿(34)은 외과의가 바늘 및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것을 실습하기 위한 개구(42)를 제공한다. 아일릿(34)의 목(38)은 개구(42)를 베이스(32)의 외부 표면(36)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구성된다. 개구(42)를 베이스(32)의 외부 표면(36)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은 본 발명의 스코프(scope) 내에 존재한다. 또한, 목(38)은 베이스(32)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목(38)은 베이스로의 연결을 위한 나사산들, 접착제 또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일릿(34)은, 전체 아일릿(34)이 베이스(32)에 대하여 회전하거나 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이스(32)에 장착될 수 있으며,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아일릿(34)은, 아일릿(34)의 머리(40)가 자유-회전(free-spinning) 아일릿 구성으로 목 부분(38)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32)에 대한 개구(42)의 이러한 결과적인 회전성이 봉합사들을 통과시키는 것의 난이도를 증가시킨다.
복수의 아일릿들(34)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2)의 외부 표면(36)에 연결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아일릿들(34)은 외부 표면(36)에 대하여 신축이 가능해서, 신축가능 아일릿(34)은 아일릿(34)의 개구(42)가 외부 표면(36)에 대하여 제 1 거리에 있는 제 1 위치 및 아일릿(34)의 개구(42)가 외부 표면(36)에 대하여 제 2 거리에 있는 제 2 위치를 가지며, 여기에서 제 2 거리는 외부 표면(36) 위로 제 1 거리보다 더 크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아일릿(34)은, 아일릿(34)이 제 1 위치를 향해 다시 튀어 오르는 경향을 갖도록 제 1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아일릿(34)은, 아일릿(34)의 적어도 일 부분, 예컨대 아일릿(36)의 개구(42)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부 표면(36) 아래에 있어서 아일릿(34)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지만, 봉합사를 아일릿(34)을 통해 통과시키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표면 아래에 놓인 아일릿(34)이 하나의 기구를 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위로 당겨지거나 또는 추출되어 추출된 위치에 홀딩되며 그 결과 봉합 바늘 및 봉합사가 반대쪽 손에 홀딩된 다른 기구를 가지고 아일릿(34)의 개구(42)를 통해 통과될 수 있도록, 베이스(32)에 연결된다. 추출된 위치로부터 릴리즈될 때, 아일릿(34)은 다시 그것의 적어도 부분적인 표면-아래 위치로 수축할 것이다. 신축가능 아일릿(34)은 상부 표면(36)과는 상이한 탄성 베이스 내에 내장되거나 또는 상부 표면(36)에 대하여 스프링 편향된다. 또한, 신축가능 아일릿(34)은, 아일릿을 표면 위로 당기고 이를 봉합사 통과를 위하여 상부 표면(36) 위에 제 위치로 홀딩하기 위하여 힘이 요구되도록 수축된 위치로 편향된다. 릴리즈될 때, 아일릿(34)은 다시 표면 아래를 향해 당겨질 것이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신축가능 아일릿(34)이 안쪽으로 편향되지 않지만, 제 1 위치와 표면-위 제 2 위치 사이에서 안팎으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제 1 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아일릿(34)은 상부 표면(36)에 대하여 축 방향 내에서 움직이도록 슬롯이 형성될 것이다. 각각의 아일릿(34)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아일릿들(34)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의 개구들(42)을 갖는 아일릿들, 가요성 아일릿들, 회전가능 아일릿들, 커버된 아일릿들, 개방된 아일릿들, 편향가능 아일릿들, 신축가능 아일릿들, 편향된 채로 남아 있을 때 가소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아일릿들 및 편향된 이후에 그들이 이전 위치를 회복하는 편향가능 아일릿들과 같은 이상에서 설명된 상이한 특징들을 갖는 아일릿들(34)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아일릿들(34)은, 카메라 뷰잉 모니터 상에서 아일릿 개구(42)를 시각화하는데 있어서의 난이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베이스(32)의 외부 표면(36)의 컬러 또는 배경에 대하여 블렌딩(blend)되는 컬러들을 포함하는 상이한 컬러들의 아일릿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2)에 부착된 아일릿들(34) 중 적어도 하나는 또한, 복강경으로 베이스의 외부 표면(36) 또는 배경에 대하여 보여질 때 아일릿(34)이 시각적으로 대비되거나 또는 눈에 띄도록 채색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아일릿들(34)은 동일한 컬러의 아일릿들의 하나 이상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봉합사가 통과되어야만 하는 미리 결정된 경로가 아일릿들(34)의 컬러에 의해 규정되도록 컬러-코딩된다. 예를 들어, 녹색 아일릿들(34)의 세트는 수술 절차에 특정한 미리 결정된 경로를 규정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큰 개구들(42)을 갖는 아일릿들(34)에 의해 규정된 상대적으로 쉬운 스킬 레벨을 규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리 결정된 경로는 아일릿들(34)의 채색이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2)의 외부 표면(36) 상의 마킹(marking)들(46)을 가지고 마킹될 수 있다. 외부 표면(36) 상의 이러한 마킹들(46)은 해부학적 랜드마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로부터 봉합사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따라야 하는 정확한 경로를 추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마킹들(46)은 미리 결정된 경로를 규정하기 위하여 이들을 상호연결하는 아일릿들(34) 사이에서 외부 표면(36) 상에 그려진 라인들이다. 라인(46)은 도 2에서와 같은 베이스(32)에 대하여 대비되도록 채색되며, 특정한 미리 결정된 경로를 나타내기 위하여 컬러-코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2)에 부착된 복수의 아일릿들(34) 사이에서, 아일릿들(34)의 그룹들은 특정 그룹 내의 아일릿들(34)을 연결하는 베이스(32) 상에 그려진 라인들과 같은 마킹들(46)을 가지고 상호연결될 수 있다. 아일릿들의 특정 그룹은 사용자의 스킬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따라야 하는 미리 결정된 경로를 규정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경로를 따라 놓인 특정 그룹의 모든 아일릿들(34)이 봉합사로 통과되었다는 것을 확실하게 만든다. 따라서, 베이스에 부착된 복수의 아일릿들 사이에서 아일릿들(34)의 서브세트 내의 아일릿들(34)의 배열 및 선택은, 바늘 및 봉합사를 개구를 통해 통과시키는 스킬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경로들 및 각각의 경로 내의 선택된 아일릿들은 상대적으로 쉬운 아일릿들, 예를 들어, 큰 개구들을 갖는 것들, 직립한 것들, 강성이거나 또는 외부 표면의 상대적으로 평평한 구역들에 위치된 것들, 및 배경에 대하여 명백하게 대조되는 것들로부터 더 어려운 아일릿들, 예를 들어, 더 작은 개구들을 갖는 것들, 가요성 아일릿들, 편향가능 아일릿들, 배경에 블렌딩되도록 착색된 아일릿들까지 난이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베이스(32)는, 사용자가 그 뒤에 복수의 상이한 아일릿들로부터 선택하고 그런 다음 실습을 위하여 맞춤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32) 내로 희망되는 대로 이들을 위치시킴으로써 어셈블리할, 이상에서 설명된 복수의 상이한 유형들의 아일릿들(34)을 갖는 키트의 부분으로서 판매될 수 있다. 아일릿들(34) 및 베이스(32)는, 아일릿들(34)을 단단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아일릿들(34)이 베이스(32)의 외부 표면(36)을 통해 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키트는, 또한 특정 실습에 적합한 해부학적 구조를 생성하기 위하여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 장기들 또는 다른 해부학적 특징부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봉합사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미리 결정된 경로는 실습될 수술 절차에 기초하여 미리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 원개를 폐쇄하는 실습은 작은 개구들을 갖는 아일릿들을 갖는 특정 각도의 전반적으로 원형의 경로를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외과의가 따르기 위한 이러한 경로가 베이스 상의 동일한 컬러 또는 마킹들의 아일릿들에 의해 규정되고 마킹될 수 있다. 장의 문합술과 같은 다른 수술 절차는 밀접하게 이격된 아일릿들의 쌍들의 더 큰 전반적으로 원형의 경로를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실습될 수술 절차가 사용되는 아일릿들의 유형들 및 그들의 배열과 사용자에게 특정 경로를 나타내는 마킹들을 결정할 수 있다.
아일릿들(34)은 패턴들 및 경로들을 생성하는 다양한 패턴들 및 구성들로 베이스 내에 내장된다. 일부 경로들은, 시각화하기 어렵거나 또는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것이 어려운 것들을 놓치지 않고 임상의가 모든 아일릿들을 시각화하고 성공적으로 세트 내의 모든 것들을 통과시키는 것을 확실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물론, 아일릿들은, 외과의가 각각의 경로를 완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아일릿을 통해 그리고 특정 순서로 실제 봉합 바늘 또는 시뮬레이션된 봉합 바늘을 통과시키기는 목적을 가지고 상이한 높이들 및 각도들로 위치된다. 동일한 플랫폼 내에서 스킬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상이한 스킬 레벨들에 대한 상이한 크기의 아일릿들을 갖는 복수의 경로들이 존재한다. 실습 모델(30)은 복강경 트레이너(10) 내부에 위치되며, 모델(30)을 관찰하기 위하여 복강경이 공동(12) 내로 삽입된다. 봉합 바늘 및 봉합사는 개구들(22) 또는 조직 시뮬레이션 영역(14) 중 하나를 통해 공동(12) 내로 옮겨지고, 아일릿들(34)을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절차가 복강경 트레이너(10) 내부의 그리고 직접적인 시각화로부터 가려진 3-차원 모델(30)의 2-차원 비디오 표현을 개업의에게 제공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니터(28) 상에서 관찰된다. 모델(30) 및 트레이너(10) 조합은 유익하게는 사용자가 복강경을 통해 봉합을 위하여 희망되는 수술 경로를 식별하는 것, 바늘을 움직이는 것 및 복수의 아일릿들(34)을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것을 실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모델(30)은, 그 안에서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특정 아일릿들을 선택하거나 또는 특정 스킬들, 난이도 레벨들 또는 절차들을 실습하기 위하여 수술 절차의 경로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아일릿들의 세트를 선택할 수 있는 교환가능 아일릿들(34)을 포함할 수 있다. 모델(30)은 유익하게는 도전적이며 모든 스킬 레벨들에 대하여 조정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경로를 완성하기 위하여 반드시 양 손을 동등하게 사용해야만 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봉합 바늘이 또한 개구를 통해 이를 성공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패스(pass)에 대하여 적절한 방향을 향하도록 조작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모델은 복강경 봉합사 통과의 실습, 조직 평면들의 결정 및 시각화, 아일릿들의 깊이 인식 및 시각화의 실습, 기구들 및 바늘들의 손-대-손 전달, 봉합 및 조직 조작에 대하여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모델은 임상의들이 그들의 스킬들을 날카롭게 유지하고 실제 수술에서 성공적인 결과들을 위하여 미리 "워밍-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트레이닝 모델(100)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된다. 모델(100)은 베이스(102) 및 베이스(102)에 연결된 복수의 봉합 탭들(104)을 포함한다. 베이스(102)는 측벽(109)에 의해 상호연결된 상단 표면(106) 및 하단 표면(108)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단 표면(106)은 하단 표면(108)에 평행하며 이들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또는 평탄한 구조를 획정한다. 복수의 개구부들(110)이 베이스(102)에 형성되며 상단 표면(106)과 하단 표면(108) 사이에서 연장한다. 개구부들(110)은 복수의 봉합 탭들(10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106)는 플라스틱, 폴리머 또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베이스(106)는 전반적으로 강성 또는 반-강성이며, 재료의 단일 층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상이한 속성들 및 특성들을 갖는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단 베이스 층은 컬러 및/또는 질감에 있어서 모델에 사실적인 조직과 같은 외관을 부여하기 위하여 및/또는 목표 봉합 탭들(104)에 접근하는 난이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이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베이스(102)는 개구부들(11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포함 부분(11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봉합 트레이닝 모델(100)은 함께 힌지 결합된 2개의 부분들(112A, 112B)을 포함한다. 각각의 부분(112)은 단일 평면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평면들 또는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각각의 개구부-포함 부분(112A, 112B)은 별개의 평면을 획정한다. 별개의 평면들은, 평면들이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들 및 그들의 상대적인 각도들이 고정되도록 서로 일체로 형성/몰딩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그들이 평탄하든 또는 그렇지 않든, 하나 이상의 개구부-포함 부분들(112)은, 하나 이상의 개구부-포함 부분들(112) 사이의 각도가 희망되는 대로 조정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각도는, 해부학적 형세들을 나타내거나 또는 나타내지 않을 수 있는 상이한 봉합사 통과 랜드스케이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대로 조정되고 재-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각도는 모델 상에서의 봉합사 통과를 실습하기 위한 맞춤 및 가변 레벨의 난이도를 생성하기 위하여 조정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점진적인 학습 경험을 생성한다. 2개 이상의 별개의 그리고 분리된 개구부-포함 부분들(112) 사이의 각도는 엄지 나사(thumb screw), 마찰-결합 또는 예컨대 2개 이상의 평면들(112)을 연결하는 힌지(114)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상대적 위치를 로킹(lock)하도록 구성된 다른 배열을 가지고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별개의 개구부 포함 부분(112) 또는 개구부-포함 부분(112)의 표면들은, 이들이 평탄하지 여부와 무관하게, 베이스(102)를 굽힘으로써 서로에 대하여 이동된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베이스(102)는 적절한 유연한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며, 베이스가 굽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할 두께를 갖는다.
이제, 다시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고 추가적으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베이스(102) 내의 개구부들(110)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각각의 개구부(110)는 상단 표면에서 개구부(11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길이 방향 축을 규정한다. 각각의 개구부(110)는 착탈가능하게 적어도 하나의 봉합 탭(10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결정된다.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보여질 때의 베이스(102) 내의 개구부들(110)의 가능한 형상들 중 일부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에서, 하나의 개구부(110A)가 슬롯의 형상을 갖는다. 슬롯은 직사각형이며 세장형이다. 개구부(110A)는, 개구부(110A) 내에 수용될 봉합 탭(104)의 적어도 일 부분의 직사각형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슬롯은 탭을 베이스 개구부 내에 유지하기 위하여 봉합 탭과 마찰-결합 맞물림을 생성하기 위해 약간 더 크게 또는 약간 더 작게 크기가 결정된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예시적인 개구부(110B)는 십자가-형 또는 X-형 형상을 갖는다. 십자가-형 개구부(110B)는 90도로 교차하는 2개의 직사각형 개구부들에 의해 형성되며, 그 각각은 직사각 슬롯-형 개구부(110A)와 유사하다. 개구부(110B)의 십자가-형 형상은, 상보적인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봉합 탭(104)의 적어도 일 부분이 개구부(110B)의 2개의 레그들 중 하나 내로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탭(104)은 제 1 방향 또는 배향으로 삽입되며, 또한 제 1 방향에 대하여 측방, 수직 또는 각진 제 2 방향으로 개구부(110B)의 다른 레그 내로 삽입되도록 제거가 가능하다. 단일 개구부(110) 내에 하나가 넘는 배향으로 봉합 탭(104)을 수용하는 능력은 봉합 경로가 희망되는 대로 규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인접한 봉합 탭들(110)의 배향에 대한 다중-방향 개구부들(110) 내의 그들의 배향 때문에 봉합사들을 봉합 탭들(104)을 통해 통과시키는 것을 더 쉽게 또는 더 어렵게 만든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개구부(110C)는 8각형 형상을 가지며, 이는 4개의 상이한 방향들을 따라 개구부 내부에서의 봉합 탭들(104)의 정렬을 허용한다. 8각형과 같은 다면적인 개구부의 대향되는 패싯(facet)들은 개구부(110C) 내부에서 봉합 탭(104)에 대한 정렬 및 마찰-결합 맞물림을 제공한다. 봉합 탭(104)의 적어도 일 부분은 패싯들에 밀접하게 맞춰지고 개구부(110)의 에지들에 인접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8각형 개구부(110C)와 유사하게, 도 7은 4개의 교차하는 직사각형 개구부들에 의해 획정되는 별-형 형상의 개구부(110)를 예시하며, 이들은 봉합 탭(104)이 4개의 교차하는 직사각형 개구부들 중 하나 내에서 4개의 상이한 각도들 및 방향들로 배향되는 것을 허용한다. 원형 개구부(110)가 또한 개구부(110) 내에 봉합 탭(104)을 유지하도록 작용할 것이지만, 탭을 임의의 미리 정의된 방향으로 배향시키도록 역할하지 않을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트레이닝 모델(100)이 도시된다. 봉합 트레이닝 모델(100)은 힌지(114)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개구부-포함 부분들(112A, 112B)을 포함한다. 제 1 개구부-포함 부분(112A)은 제 2 개구부-포함 부분(112B)에 대하여 각이 진다. 제 1 및 제 2 개구부 포함 부분들(112A, 112B)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며, 복수의 별-형 형상의 개구부들(110)을 포함한다. 개구부들(110)의 전부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개구부들(110)은 상이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형상들을 갖는 개구부들(110)을 구비한 베이스(102)는, 봉합 탭들(104)을 인접한 개구부들에 대하여 그들의 미리 규정된 각 모양(angulation)에 따라서 개구부들(110) 내로 삽입할 사용자에게 미리-규정된 경로를 알리는 것을 돕는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봉합 트레이닝 모델(100)이 도시된다. 봉합 트레이닝 모델(100)은 하나가 넘는 층을 갖는 베이스(10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2)는 제 1 층(116) 및 제 2 층(118)을 포함한다. 제 2 층(118)은 제 1 층(116) 위에 위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봉합 트레이닝 모델(100)의 변형예에 있어서, 베이스(102)는, 제 1 개구부-포함 부분(112A)을 제 2 개구부-포함 부분(112B)에 대하여 조정이 가능하고 움직일 수 있게 만드는 힌지(114)를 통해 소정의 각도로 제 2 개구부-포함 부분(112B)에 연결된 제 1 개구부-포함 부분(112A)을 포함한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각각의 부분(112A, 112B)은 별개의 제 2 층(118A, 118B)을 각기 포함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단일의 제 2 층(118)이 그 사이의 임의의 간극을 브리징(bridge)하면서 부분들(112A, 112B) 둘 모두에 걸친다. 제 2 층(118)은 두께를 획정하는 상단 표면(120) 및 하단 표면(122)을 포함한다. 제 2 베이스 층(118)의 하단 표면(122)은 제 1 베이스 층(116)의 상단 표면과 인접하고 그 위에 놓이며, 접착제로 부착될 수 있다. 제 2 베이스 층(118)은 상단 표면(120)과 하단 표면(122) 사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개구들(124)을 더 포함한다. 제 2 베이스 층(118)의 개구들(124)은 봉합 탭들(104)이 층들(116, 118) 둘 모두를 통해 연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베이스 층(116) 내의 개구부들(110)과 정렬된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봉합 탭(104)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부 표면(120) 위로 연장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봉합 탭(104)은 상단 표면(120) 위로 연장하지 않는다. 도 8의 봉합 트레이닝 모델(100)의 변형예는, 서로 힌지(114)로 연결되며 각각 제 1 베이스 층(116A, 116B), 제 2 베이스 층(118A, 118B), 및 개구들(124A, 124B)을 각기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는 2개의 개구부-포함 부분들(112A, 112B)을 포함한다. 제 2 층(118)은 폼(foam)과 같은 부드러운 압축가능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는 봉합 탭들(104)을 숨기고 내장하도록 역할하면서 베이스(102)에 사실적인 조직 표면을 부여한다. 부드러운 폼의 제 2 층(118)의 부가는 경험을 늘리며, 이는 연습을 완료 완료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야만 하는 다른 재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봉합 탭(104)의 개구(126)를 액세스하거나 또는 보기 위하여 폼의 제 2 층(118) 누르거나 또는 압박할 수 있다.
이제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봉합 탭(104)의 몇몇 변형예들이 도시된다. 봉합 탭(104)은 그 사이에 두께를 획정하는 제 1 면(128) 및 제 2 면(130)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면들(128, 130)은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상단(132) 및 하단(134)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봉합 탭(104)은 제 1 면(128)과 제 2 면(130) 사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형성된 개구(126)를 포함한다. 개구(126)는 임의의 형상 및 크기일 수 있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개구(126)는 세장형의 슬롯-형 형상을 갖는다. 세장형 개구(126)는, 개구(126)가 당겨질 때 더 작은 응력 집중을 가지도록 만곡된 면들을 포함하고 타원형일 수 있다. 봉합 탭(104)은 실리콘, 탄성중합체, 고무 또는 폴리머와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봉합 탭(104)은 또한 강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봉합 탭(104)의 하단(134)은 상단 부분(132)보다 더 큰 풋프린트(footprint)를 가지며 이보다 더 크다. 렛지(ledge)(136)가 더 작은 상단(132)과 더 큰 하단(134)의 교차부에서 봉합 탭(104)의 적어도 일 부분 주변에 획정된다. 봉합 탭(104)의 상단(132)은 임의의 유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서, 봉합 탭(104)의 상단(132)은 개구(126) 둘레에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상단을 형성하기 위하여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 도 9b에서, 상단(132)은 개구(126) 둘레에 삼각형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테이퍼(taper) 또는 뾰족한 단부를 갖는다. 도 9c에서, 상단(132)은 둥글거나 또는 만곡된다. 도 9d에서, 상단(132)이 또한 둥글고 만곡되며, 도 9c에 도시된 봉합 탭(104)의 상단(132)보다 더 길고 더 좁다. 도 9d의 개구(126)는 또한 도 9c의 개구(126)보다 더 짧다. 봉합 탭(104)은 베이스(102) 내의 개구부(110)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결정된다. 삽입 이전에, 봉합 탭(104)은 베이스(102) 내의 개구부(110)와 정렬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2) 내의 개구부(110)가 도 6의 개구부(110A)와 같이 하나의 방향으로 봉합 탭(10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경우, 봉합 탭(104)이 개구부(110)와 정렬된다. 개구부(110)가 도 6의 개구부들(110B, 110C) 및 도 7의 개구부들(110)과 같이 봉합 탭(104)의 다수의 배향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경우, 봉합 탭(104)의 배향이 선택되며, 그 안에 유지될 개구부(110)의 패싯들과 봉합 탭(104) 외부 표면이 정렬되도록 봉합 탭(104)이 삽입된다. 베이스(102) 내로 봉합 탭(104)을 삽입하기 위하여, 베이스(102)는 하단 표면(108)으로부터 접근되며, 봉합 탭(104)의 더 작고 더 좁은 상단(132)이 정렬됨에 따라 개구부(110) 내로의 삽입을 리드한다. 충분히 삽입될 때, 봉합 탭(104)의 렛지(136)는 개구부(110) 내부에 봉합 탭(104)을 유지하기 위하여 베이스(102)의 하단 표면(108)과 인접할 것이다. 봉합 탭들(104)은 약간의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으로 부드러운 실리콘 탭들(104)과 강성 플라스틱 베이스(102) 사이에서 개구부들(110) 내에 유지된다.
또한, 복수의 봉합 탭들(104)은 동일한 컬러의 탭들(104)의 하나 이상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봉합사가 통과되어야만 하는 미리 결정된 경로가 탭들(104)의 컬러에 의해 규정되도록 컬러-코딩된다. 예를 들어, 녹색 탭들(104)의 세트는 수술 절차에 특정한 미리 결정된 경로를 규정할 수 있거나, 또는, 탭들(104)에 의해 규정된 상대적으로 쉬운 스킬 레벨을 규정할 수 있다. 봉합사 통과 연습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적색 탭들을 피하면서 녹색 탭들을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것을 요구할 것이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적색 탭들은 개구들(126)을 포함하지 않는 탭들로 교체될 수 있다.
삽입될 때, 봉합 탭들(104)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2)와 관련하여 멈출 것이다. 도 5a에서, 봉합 탭들(104)의 개구들(126)은 실질적으로 베이스(102)의 상단 표면(106) 위에 존재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개구들(126)은 탭(104)의 부분 또는 개구(126)를 감추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숨기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베이스(102)의 상단 표면(106) 아래에 존재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베이스(102) 내의 개구부들(11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한 하나가 넘는 봉합 탭들(10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결정된다. 도 5b에서, 2개의 나란한 봉합 탭들(104)이 각각의 개구부(110) 내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된다. 2개의 봉합 탭들(104)은 동일한 형상의 상단들(132) 또는 상이한 형상의 상단들(13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봉합 탭들은 상이한 컬러들로 컬러-코딩될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한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봉합 탭들(104)은, 봉합 탭(104)의 상단(132)이 외과의에 의해 그래스핑되고 수직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베이스(102)의 상단 표면(106) 위로 연장한다. 탄성 봉합 탭(104)을 당기는 것이 수직 방향으로의 봉합 탭(104)의 스트레칭을 야기할 것이다. 이러한 스트레칭은 수직 방향으로 봉합 탭 개구(126)를 늘리며, 이는 개구(126)를 더 크게 만든다. 그 동안 계속, 봉합 탭(104)을 당기는 것은 베이스(102)에 접촉하는 렛지(136)에 의해 편향되며, 이는 봉합 탭(104)이 위쪽으로 당겨질 때 베이스(102) 밖으로 완전히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봉합 탭들은 아래쪽으로 이동될 때 베이스(102)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다. 하나가 넘는 봉합 탭이 봉합 탭들의 나란한 배치로 개구부 내부에 위치될 때, 사용자는 연습을 완료하기 위하여 필요한 대로 탭들 둘 모두 상에서 당김에 있어서 또는 적절한 탭을 당김에 있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봉합 탭(104)은, 봉합 탭 개구(126)가 제 1 크기를 가지는 제 1 휴지 구성, 및 봉합 탭 개구(126)가 제 1 크기보다 더 큰 제 2 크기를 가지는 제 2 추출된 연장된 또는 당겨진 구성을 갖는다. 봉합 탭(104)은, 봉합 탭(104)의 근위 단부 또는 상단을 베이스 상단 표면(106)에 대하여 위쪽으로 당김으로써 제 1 구성과 제 2 구성 사이에 이동이 가능하다. 제 2 구성은, 당겨질 때 개구(126)가 증가된 수직 치수를 가지기 때문에 봉합사 통과를 더 쉽게 만든다. 도 9a 내지 도 9d의 세장형의 슬롯-형 개구(126)는, 당겨질 때 개구(126)의 수직 치수가 증가되도록 수직으로 당기는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길이 방향 축을 갖는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개구(126)는 단지, 베이스에 대하여 당겨지고 스트레칭될 때 간신히 보일 수 있지만 여전해 개방되어 있는 탭 내의 슬릿 또는 컷(cut)이다.
봉합 탭(104)의 다른 변형예가 도 8에 도시된다. 도 8의 봉합 탭(104)은 원형 개구(126) 및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그래스핑될 수 있는 구역 또는 연장부를 제공하는 연장된 상단(132)을 갖는다. 연장부는 그래스핑하고 홀딩하기에 더 어려운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봉합 탭(104)이 위쪽으로 당겨지는 경우, 원형 개구는 세장형의 더 좁은 구성을 형성할 것이고, 이는 개구(126)를 통한 봉합사 통과를 더 어렵게 만들어서; 그럼으로써 외과의에게 봉합 동안 봉합 탭(104)에 의해 표현되는 시뮬레이션된 조직을 더 정교하게 처리하기 위한 조직 스킬들에 대한 사항을 교습한다. 따라서, 봉합 탭(104)은, 봉합 탭 개구(126)가 제 1 치수(dimension)를 가진 제 1 크기를 갖는 제 1 휴지 구성 및 봉합 탭 개구(126)가 제 2 크기를 갖는 제 2 추출된 또는 당겨진 구성을 가지며, 여기에서 제 1 치수는 제 1 구성에 있을 때보다 더 작고, 제 1 치수는 제 1 및 제 2 구성들에서 동일한 측정된 치수이다. 봉합 탭(104)은, 봉합 탭(104)의 근위 단부 또는 상단을 베이스 상단 표면(106)에 대하여 위쪽으로 당김으로써 제 1 구성과 제 2 구성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제 2 구성은 개구(126)를 좁게 만들어서 봉합사 통과를 더 어렵게 만든다. 개구(126)는 수직 또는 당김 방향에 수직하는 컴포넌트를 갖는 측방 치수를 가지며, 이는 제 1 구성에 비하여 제 2 구성에서 크기가 감소하는 측방 치수이다.
이제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개구들(126)을 갖지 않는 봉합 탭들(104)의 변형예들이 도시된다. 이러한 봉합 탭들(104)은 도 9a 내지 도 9d의 봉합 탭들과 유사하지만 개구들(126)이 없다. 도 10a의 봉합 탭(104)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을 형성하는 평평한 상단(132)을 갖는다. 봉합 탭(104)의 상단(123)은 제 1 면(128)과 제 2 면(130) 사이에 관통가능 부분(138)을 획정한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바늘 및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것을 실습하기 위한 미리-획정된 개구(126)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개업의는 바늘을 가지고 개구를 뚫고 봉합 탭(104)의 상단(132)을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킨다. 봉합 탭(104)의 실리콘 재료는 바늘이 관통할 때 조직과 같은 느낌을 생성한다. 또한, 탭(104)의 상단(132)이 위쪽으로 당겨져서 스트레칭되며, 봉합 탭(104)은 실제 조직과 유사하게 반응하고 바늘 및 봉합사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스트레칭할 것이다. 이러한 무-개구 봉합 탭들(104)은 하나가 넘는 다른 무-개구 봉합 탭(104)과 함께 동일한 개구부(110) 내에 나란히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개구(126)를 갖는 하나가 넘는 봉합 탭(104)과 함께 위치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봉합 탭들(104)은, 면이 상단(132)으로부터 하단(134)까지 평평(flush)하도록 탭(104)의 일 면 상에 렛지(136)를 갖지 않는다. 봉합 탭(104)의 이러한 평평한 면은, 2개의 탭들(104) 사이에 어떠한 공간도 남기지 않으면서 하나의 개구부(110) 내에 2개의 봉합 탭들(104)의 나란한 배치로 다른 봉합 탭(104)의 다른 평평한 면에 대하여 위치되며, 이는 단일 봉합 탭(104)을 그래스핑하고 당기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봉합 탭의 대향되는 면들은, 렛지가 오로지 탭의 대향되는 4개의 면들 중 2개 상에만 위치되거나 또는 베이스에 대하여 인접하고 탭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탭의 적어도 일 부분을 따라서만 위치되도록 렛지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이제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하나가 넘는 상호연결된 표면(112)을 갖는 베이스(102)를 구비한 모델(100)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11a 내지 도 11b는 힌지들(114)에 의해 상호연결된 3개의 개구부-포함 부분들(112A, 112B 및 112C)을 예시한다. 각각의 개구부-포함 부분(112)은 개구부들(110)을 포함하며, 연습의 난이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또는 해부학적 랜드스케이프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다른 개구부-포함 부분(112)에 대해 희망되는 각도로 배열될 수 있는 이동가능 표면 또는 평면을 획정한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하나가 넘는 상호연결된 표면(112)을 갖는 베이스(102)를 구비한 모델(100)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힌지들(114)에 의해 상호연결된 3개의 개구부-포함 부분들(112A, 112B 및 112C)을 예시한다. 각각의 개구부-포함 부분(112)은 개구부들(110)을 포함하며, 연습의 난이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또는 해부학적 랜드스케이프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다른 개구부-포함 부분(112)에 대해 희망되는 대로 배열되고 각 모양을 가질 수 있는 이동가능 표면 또는 평면을 획정한다. 도 12의 변형예는, 하나의 개구부-포함 부분(112)이 다른 개구부-포함 부분(112) 위로 접히고 이와 병치될 수 있도록 접이식 버전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부분(112) 내에 상보적인 표면들을 포함한다.
이제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이동가능 개구부-포함 부분들(112)을 갖지 않는 봉합사-통과 모델(100)의 추가적인 변형예들이 도시된다. 도 13a의 모델(100)은, 모델(100)의 베이스(102)의 부분으로서 2개의 부분들(112A, 112B) 사이에 획정된 미리 결정된 각도로 일체로 상호연결된 2개의 개구부-포함 부분들(112A, 112B)을 포함한다. 2개의 개구부-포함 부분들(112A, 112B)은 각각의 부분 내에 복수의 개구부들(110)을 포함한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2개의 부분들(112A, 112B) 사이에 포함된 각도는 90도보다 더 크다. 베이스(102)는 후크-앤-루프 유형 체결구(140) 또는 다른 부착 수단을 통해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10)의 베이스(18)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의 부분들은, 모델(100)이 거기에 대하여 상이한 배향들/각도들로 트레이닝 디바이스(10)의 다른 표면 또는 베이스(18)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모델(100)의 하나 이상의 위치들에서 모델(100)에 부착된다. 도 13b 내지 도 13c는, 모델(100)의 베이스(104)의 부분으로서 부분들(112A, 112B, 112C) 사이에 획정되는 미리 결정된 각도들로 일체로 상호연결된 3개의 개구부-포함 부분들(112A, 112B, 112C)을 갖는 모델(100)을 예시한다. 모델(100)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배향으로 후크-앤-루프 유형 체결구(140)와 같은 선택적인 체결구(140)를 통해 수술 트레이너(10)의 베이스(18) 또는 테이블 상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일한 모델(100)을 가지고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것을 실습하기 위한 다수의 옵션들 및 각진 변형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배향으로 뒤집어져 배향될 수 있다. 또한, 모델(100)은 실습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조정된 각도들의 추가적인 변형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것의 면들 중 하나 이상 상에서 돌려(turn)질 수 있다.
이제 도 14a 내지 도 1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통과 모델(100)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된다. 모델(100)은 복수의 개구부들(110)을 포함하는 베이스(102)를 포함한다. 베이스(102)는 서로에 대하여 각이 진 하나 이상의 연결된 개구부-포함 부분들(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b에서, 베이스(102)는 서로에 대하여 각이 진 2개의 개구부-포함 부분들(112A, 112B)을 포함한다. 모델(100)은, 스탠드(146) 내에 형성된 홀(hole)들(144)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결정된 페그(peg)들을 베이스(102)의 주변부를 따라 더 포함한다. 스탠드(146)는 베이스(102)를 수술 트레이너(10) 내의 베이스 표면(18)과 같은 다른 표면 또는 테이블 상단에 대하여 직립으로 그리고 안정적인 배향으로 홀딩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102)는 스탠드(146)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여, 스탠드(146) 내의 홀들(144) 내로 베이스(102)의 다른 면 상의 페그들(142)의 상이한 세트를 삽입함으로써 베이스(102)가 다른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 14a는 스탠드(146)로부터 분리된 베이스(102)를 예시하며, 도 14b는 스탠드(146)에 연결된 베이스(102)를 예시한다. 스탠드(146) 내의 홀들(144)은, 봉합 트레이닝 연습들이 수행될 수 있도록 페그들(144)을 수용하고 베이스에 대한 그것의 배향들 중 임의의 배향으로 베이스(102)를 안정적으로 홀딩하도록 구성된다. 도 14a 내지 도 14b의 베이스(102)는 2개 이상의 봉합 평면들(112A, 112B)을 갖는 일체적인 각이 진 베이스(102)를 예시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베이스(102)는 힌지로 함께 연결된 하나가 넘는 봉합 평면들(112A, 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5a 내지 도 15b를 참조하면, 봉합 트레이닝 모델(100)의 다른 변형예가 예시된다. 모델(100)은 하나 이상의 개구부-포함 부분들(112) 상에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들(110)을 갖는 베이스(102)를 포함한다. 도 15a 내지 도 15b의 변형예는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일체로 형성된 2개의 개구부-포함 부분들(112A, 112B)을 포함한다. 이들은 또한, 2개 이상의 개구부-포함 부분들(112)이 개구부-포함 부분들(112) 사이의 각도들을 조정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모델(100)은 홀더(148)의 페그들(142)와 메이팅(mate)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홀들(144)을 갖는 스탠드(146)를 포함한다. 홀더(148)는 스탠드(146) 내로 스냅(snap)하고 베이스(102)를 홀딩하도록 구성된다. 홀더(148)는, 평평한 테이블 상단 표면 또는 수술 트레이너(10) 내의 베이스(18)와 같은 다른 표면 상에서 베이스(10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스탠드(146)에 대하여 베이스(102)에 형성된 노치(notch)들(152)이 메이팅하고 베이스(102)를 직립 배향으로 홀딩하기 위해 수용될 수 있는 간극을 획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립 마우스(mouth)(150)를 포함한다. 베이스(102)는, 베이스(102)가 복수의 방향들로 배향될 수 있도록 주변부 주변에 형성된 복수의 노치들(15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5a에서, 베이스(102)의 일 면 상의 노치들(152)은 베이스(102)를 수평 위치로 배향하기 위하여 홀더(148)의 마우스(150)와 맞물린다. 도 5b에서, 베이스(102)의 다른 측 상의 노치들(152)은 베이스(102)를 수직 위치로 배향하기 위하여 홀더(148)의 마우스(150)의 간극들과 메이팅된다. 복수의 배향들을 이용하면, 단일 모델(100)이 상이한 각도들 및 배향들로 평면들을 통한 봉합사들의 통과에 대한 트레이닝의 변형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봉합 트레이닝 모델(100)은, 모든 스킬 레벨의 사용자들이 봉합 및 봉합사 통과 기술들을 실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연한 트레이닝 플랫폼을 제공한다. 모델(100)은, 희망되는 실습의 유형 및 사용자의 기술 스킬에 따라서 구성되고 재구성될 수 있는 유연한 봉합 탭들(104) 및 조정가능 베이스(102)를 이용한다. 모델(100)은 이를 통해 봉합 탭들(104)이 위치되고 당겨질 수 있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베이스(102)로 구성된다. 베이스(102)는 움직이는 부분들을 갖지 않는 단일 물체이거나 또는 복수의 조정가능 표면들 또는 평면들을 갖는 물체일 수 있다. 봉합 탭들(104)은, 봉합 탭들(104)이 개구부들(110)을 관통해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더 넓은 스토퍼(stopper) 베이스(134)를 갖는다. 베이스(102) 내의 개구부들(110)은 슬롯들, x-형들, 6각형들, 8각형들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형상들일 수 있다. 유사하게, 봉합 탭들(104)이 다양한 형상들 및 크기들일 수 있다. 추가로, 봉합 탭들(104)은 이를 통해 봉합사가 통과되는 하나 이상의 홀 또는 슬롯(12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탭들은 슬롯 또는 홀(126)을 갖지 않지만 관통가능 영역을 제공하고, 더 큰 도전 및 더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슬롯형 탭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습 시나리오에 있어서, 사용자는 슬롯형 탭(104)을 목표로 하고 무-개구 탭(104)을 회피하며, 다른 실습 시나리오에 있어서, 사용자는 무-개구 탭을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키고 슬롯형 탭(104)을 회피한다. 또 다른 실습 시나리오에 있어서, 사용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개구들(126)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탭들 둘 모두를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습은 사용자가 인접한 탭들 둘 모두를 당기고 신중하게 목표를 통과하여 봉합사를 통과시킬 것을 요구한다. 베이스(102) 내의 개구부(110)의 형상이 베이스(102)에 대한 탭들(104)의 배향을 결정한다. 개구부(110)의 형상 및, 그에 따른 봉합 탭의 배향은 베이스(102)의 하나의 구성에서 다른 개구부들(110)에 대하여 미리 결정되며, 이와 같이 실제 수술에서 마주하게 되는 미리 규정된 봉합 경로에 대하여 맞춤화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단일 개구부(110)는, 사용자가 다양한 난이도 레벨들, 테스트를 또는 해부학적 상황들 및 절차들을 실습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가능한 수동 지정 경로들에 따라 또는 희망되는 대로 탭들을 배향하는 것을 허용하는 봉합 탭(104)에 대한 다중-방향 배향 가능성들을 갖는다. 봉합 탭들(104)이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탭(104)이 복강경 그래스퍼들 또는 해부자들을 가지고 조작될 때, 사용자는 유익하게는 이를 통해 봉합 바늘이 통과될 수 있는 개구(126)를 더 개방된 위치로 스트레칭할 수 있다. 개구들(126)에 개방된 위치에 멈춰있지 않으며 탭(104)이 편향되지 않은 스트레칭되지 않은 위치로 다시 튀어 오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연습을 완료하기 위하여 양손을 함께 사용하도록 강제된다. 탭을 개구-개방 구성으로 스트레칭된 채로 유지하기 위하여 한 손을 사용하고 탭을 개방 구성으로 유지하면서 바늘을 개구(126)를 통해 통과시키기 위하여 다른 손을 사용한다. 모델(100)에 의해 제공되는 봉합사 통과 연습은 사용자의 해석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다. 이를 통해 탭들(104)을 위치시키기 위한 다수의 개구부들(110)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정가능 베이스(102)를 제공함으로써, 디바이스(100)는 스킬 레벨들의 범위의 사용자들에게 도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연습은 개업의에게 흥미가 있는 특정 해부학적 구조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재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탭들 및 그들의 개별적인 슬롯들의 크기 및 형상이 연습의 도전을 증가시킨다. 봉합 트레이닝 모델(100)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개구부(126)를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개구(126)를 충분히 개방하기 위해 탭을 조작해야만 한다. 이러한 부가된 치수가 시뮬레이션의 도전 및 사실성을 증가시킨다. 다양한 형상들 및 크기들의 탭들(104)뿐만 아니라 이들이 베이스(102) 상에 위치되는 구성들을 갖는 것이 연습을 위한 다양한 정도의 난이도를 제공한다. 미리-형성된 홀들을 갖는 더 큰 탭들(104)이 가장 쉽다. 사용자는, 슬롯을 홀로 바꾸고 봉합사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양손의 사용을 요구하는 슬롯들을 갖는 탭들(104)로 나아갈 수 있다. 작은 슬롯은 탭(104)을 관통하는 라인 컷(line cut)일 수 있다. 개구(126)가 더 작을 수록, 성공적으로 연습을 완료하기 위하여 더 높은 레벨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개구들(126)이 없는 탭들(104)의 추가는 봉합사를 가지고 목표 해부학적 구조에 액세스하는 동안 주변 조직을 회피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숙련의 레벨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추가로, 개구들(126)이 있는 또는 개구들이 없는 탭들의 나란한 배치가 또한 실습의 난이도 레벨을 증가시킨다. 개구(126)를 갖지 않는 탭들(104)은 더 높은 레벨의 충실도를 위하여 사용되며, 여기에서 사용자는 바늘을 미리 형성된 개구(126)가 아니라 조직 그 자체를 관통해 드라이브하는 것을 실습해야만 한다.
이제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봉합 트레이닝 모델(200)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된다. 모델(200)은 스탠드(202), 베이스(204), 및 하나 이상의 탭들(206)을 포함한다. 스탠드(202)는 베이스(204)를 지지한다. 베이스(204)는 스탠드(202)에 부착되며, 도 21a 내지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배향들로 베이스(204)를 지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탭들(206)은 다양한 배향들로 베이스(204)에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탭들(206)은, 봉합사 및 바늘이 하나 이상의 탭들(206)을 통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6c에 도시된 봉합사(211)는 몇몇 탭들(206)을 통해 통과하고 있다. 봉합사 트레이닝 모델(200)은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10)의 공동(12) 내로 용이하게 위치되고 그 내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모델(200)은 봉합사 통과를 실습하기 위하여 트레이닝 디바이스(10) 외부에서 사용될 수 있다. 스탠드(202)는 베이스(204) 및 탭들(204)을 지지하고, 조작될 때 사실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반응하거나 또는 넘어지지 않으면서 바늘 및 봉합사의 통과 동안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들을 견디도록 구성된다. 모델(200)은, 매듭을 묶거나, 당기거나 또는 미는 것을 포함하여, 봉합 동안 인가되는 이러한 힘들을 견디기에 충분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204)는, 스탠드(202)에 대한 베이스(204)의 배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및/또는 휴대 목적을 위하여 스탠드(202)에 용이하게 연결되고 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탭들(206)은, 사용되는 탭들(206)이 필요한 경우 사용 이후에 새로운 탭들(206)로 교체될 수 있도록 베이스(204)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탭들(206)은 바늘 및/또는 다른 기구를 가지고 통과되는 봉합사들(211)을 수용하고, 봉합, 매듭 묶기, 및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의도적인 복수의 방향들에서의 밀기, 당기기 또는 회전 동안 인가되는 힘들을 견디도록 구성된다. 베이스(204)는, 시뮬레이션된 수술들에 대한 다양한 난이도를 제공하는 봉합 경로들 및 배향들에 대한 다수의 옵션들을 제공하는 개구들(220)과 같은 복수의 탭 수용 위치들을 갖는다.
이제 도 17a 내지 도 1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202)가 도시된다. 스탠드(202)는 테이블 상단 또는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10)의 베이스(18)와 같은 평평한 표면 상의 배치를 위한 평탄한 하단 표면을 포함한다. 하단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직립 클립(208)을 포함하는 상단 표면과 상호연결된다. 도 17a 내지 도 17b는 서로 정렬되며 이격되는 2개의 클립들(208)을 갖는 스탠드(202)를 예시한다. 각각의 클립(208)은 간극 내에 베이스(204)의 일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간극을 생성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며 서로를 향하는 2개의 핑거-형(finger-like) 돌출부들(210)을 포함한다. 돌출부들(210)의 마주하는 면들은 베이스(204)를 가이드하고 수용하기 위한 채널(212)과 같은 특징부들 및 예컨대 스냅-핏, 마찰-결합 또는 다른 맞물림으로 베이스(204)를 연결하기 위한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특징부들은, 채널들(212), 클립들 또는 베이스(204)와 상호작용하고 그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구조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베이스(204)는 베이스(204)를 베이스(200)에 고정하기 위하여 클립들(208)과 상호작용하는 상보적인 클립 어댑터들을 포함한다. 핑거-형 돌출부들(210) 중 하나 이상이 클립(208) 마다 제공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핑거-형 돌출부들(210)은 도 18a 내지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0)의 외부 표면 상에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0)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보강 립(rib)들(214)을 포함한다. 도 18a 내지 도 18b의 보강 립(214)은 실질적으로 돌출부의 외부 표면에 대해 수직이다. 보강 립(214)은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표면 또는 내부 표면 상에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보강 립(214)은 돌출부(210)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조작될 때 베이스(204)의 과도한 굽음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보강 립(214)은 돌출부(210)와 연결되거나 또는 부착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형성된다.
스탠드(202)는 강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스탠드(202)는 후크-앤-루프 유형의 체결 재료를 가지고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10)의 베이스(18)에 단단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스탠드(202)의 하단 표면은 바깥쪽으로 향하는 후크-앤-루프 유형의 체결 재료의 일 면을 포함한다. 후크-앤-루프 유형의 체결 재료의 상보적인 피스는 수술 트레이닝 디바이스(10)의 베이스(18)의 표면에 연결된다. 사용 동안 모델(200)을 고정하기 위하여 모델(200)을 트레이너(10)의 표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다른 수단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이제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베이스(204)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베이스(204)는 강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서로에 대하여 각이 진 2개의 동작 평면들(216, 218)을 갖는다. 각진 평면들(216, 218)은 일 변형예에 있어서 공통 교차부에 연결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2개의 평면들(216, 218) 사이의 각도는 대략 120도 이다. 임의의 수의 동작 평면들(216, 128)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평면은 봉합사 통과가 각진 표면들에 걸쳐 실습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된 조직 평면으로서 역할한다. 베이스(204)는 그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획정하는 상단 표면 및 하단 표면을 갖는다. 복수의 개구들(220)이 상단 표면 및 하단 표면을 통해 베이스(204) 내에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들(220)은 다양한 봉합 경로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향들, 배향들, 각 모양들로 탭들(206)을 수용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시된 변형예에 있어서, 개구들(220)은 다각형 형상이며, 구체적으로, 이들은 8각형이다. 베이스(204)는 스탠드(202) 상의 클립들(208)과의 연결을 위해 구성된 복수의 메이팅 표면들(222)을 더 포함한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메이팅 표면들(222)은 스탠드(202) 상의 클립들(208)의 쌍과 직접적으로 맞물리기 위하여 쌍이 지어진 연장부들이다. 메이팅 표면들(222)은, 클립들(208) 내의 채널들(212) 내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메이팅하기 위하여 클립들 및/또는 립들 내로 스냅하기 위한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4)가 임의의 수의 배향들로 스탠드(202)에 연결될 수 있도록 베이스(204)의 에지들을 따라 복수의 메이팅 표면들(222)이 제공된다. 또한, 메이팅 표면들(222)은 가능한 배향들의 수를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베이스의 상단 표면 또는 하단 표면으로부터의 연장부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스탠드(202)에 대한 베이스(204)의 다양한 배향들이 도 21a 내지 도 21c에 도시된다. 베이스(204)의 배향들이 도 21a 내지 도 21c에 도시된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메이팅 표면들(222)의 쌍들이 베이스(204) 상의 적어도 3개의 위치들을 따라 제공된다. 베이스(204)의 경사진 형태에 대하여, 베이스(204)의 직선 에지를 따라 위치된 메이팅 표면들(222)이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들(208) 내로 스냅된다. 베이스(204)의 코너 형태에 대하여, 베이스(204)의 각진 에지를 따라 위치된 메이팅 표면들(222)이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들(208) 내로 스냅된다. 스탠드(202)에 대한 베이스(204)의 거북이-등-형 형태에 대하여, 베이스(204)의 하단 표면 상에 위치된 메이팅 표면들(222)이 클립들(208) 내로 스냅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베이스(204)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된다. 베이스(204)의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2개의 평면들(216, 218) 사이의 각도가 조정이 가능한 방식으로 이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2개의 평면들(216, 218) 사이에 힌지(224)가 제공된다. 2개의 평면들(216, 218) 사이의 각도는 베이스(204)의 하나 이상의 면들 상에 제공되며 2개의 평면들(216, 218)과 메이팅 표면들(222) 사이에 위치되는 래칫(ratchet)(226)의 도움으로 고정된다. 메이팅 표면들(222)은, 이들이 2개의 평면들(216, 218) 사이의 각도의 변화를 가지고 적절하게 조정되도록 래칫(226)에 연결된다. 메이팅 표면들(222)은 스탠드(202) 상의 클립들(208)과 연결을 위해 구성된 세장형의 평평한 탭들이다. 도 22의 베이스(204)의 힌지 결합된 변형예는 봉합 실습을 위하여 다양한 평탄한 각도들을 허용한다.
이제 도 23a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탭들(206)이 이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각각의 탭(206)은 탭 목(232)에 의해 탭 면(234)과 상호연결된 탭 베이스(230)를 포함한다. 탭 베이스(230)는, 그 안에 이것이 위치될 베이스(204) 내의 개구(220)의 형상 또는 절반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매칭하는 탭(206)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취해지는 단면의 형상을 갖는다. 탭 베이스(230)은, 탭 베이스(230)가 개구(220)에 삽입되고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개구들(220)보다 약간 더 크게 크기가 결정된다. 개구(220) 내로 삽입될 때, 탭 베이스(230)는 개구(220) 외부에 그리고 베이스(204)의 하단 표면에 인접하여 존재한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탭(206)은, 실제 조직의 밀도를 모방하는 실리콘과 같은 부드럽고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실리콘 탭들(206)은 실제 조직과 유사하게 용이하게 변형되고 당겨지며, 이는 탭들을 봉합을 실습하기에 적절하게 만들고 동시에 개구들(220)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만든다. 탭 목(232)은, 그 안에 이것이 위치되는 개구(220)의 형상 또는 절반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매칭하는 탭(206)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으로 취해진 단면의 형상을 갖는다. 다각형 개구(220)의 매칭하는 절반 또는 완전한 형상 내에 위치된 베이스 목(232)의 다각형 단면 형상은, 원형 개구(220) 내부의 원형 탭 목(232)과는 대조적으로 개구(220) 내부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개구(220) 내부에 위치될 때, 탭 목(232)은 베이스(204)의 상단 표면과 하단 표면 사이에서 개구(220) 내부에 실질적으로 존재한다. 탭 면(234)은 베이스(204)의 상단 표면 위에 존재한다. 탭 면(234)은 적어도 하나의 탭 개구부(236)를 포함한다. 탭 개구부(236)는 임의의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탭 개구부(236)는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보이지 않는 슬릿이다. 그런,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 면(234)을 그래스핑하고 이를 당기는 것이 탭 면(234)을 연장하고, 그럼으로써, 봉합사가 탭 개구부(236)를 통해 통과될 수 있도록 탭 개구부(236)를 확장한다. 이와 같이, 탭(206)은, 탭 개구부(236)가 더 작은 제 1 크기를 갖는 이완된 구성인 제 1 구성 및 탭 개구부(236)가 상대적으로 더 큰 제2 크기를 갖는 스트레칭된 또는 연장된 제 2 구성을 갖는다. 탭 재료의 탄성 속성은 이러한 탭이 제 1 구성으로부터 제 2 구성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탭(236)이 제 2 구성으로부터 릴리즈될 때, 탭(236)은 그것의 이완된 제 1 구성으로 다시 튀어 오른다. 탭 개구부(236)는 유익하게는 봉합사가 통과하기 위한 위치로서 역할하며, 여기에서 탭 개구부(236)를 놓치는 것은 사용자의 스킬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역할할 수 있다. 또한, 탭 개구부(236)는 봉합사가 탭 면(234)의 부드러운 실리콘을 관통해 찢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탭 면(234)은, 특히 탭 면(234)이 탭 개구부(236)를 포함하지 않는 변형예에 있어서 봉합사를 홀딩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메시 재료로 보강된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탭 면(234)은 탭 면(234)의 임의의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관통되어 개방된다. 탭 베이스(230)와 탭 목(232) 사이의 전환부(transition)는, 탭(206)이 개구(220) 밖으로 근위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렛지(238)를 탭(206) 주변에 생성한다. 또한, 탭 목(232)과 탭 면(234) 사이의 전환부는, 탭(206)이 개구(220) 밖으로 원위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언더컷(undercut)(240)을 형성한다. 렛지(238) 및 언더컷(240) 둘 모두는 대한 탭(206)의 회전을 방지하는 패싯된(faceted) 탭 목(232)과 함께 탭(206)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는 여전히 착탈가능하게 베이스(204)에 단단히 부착되고 봉합 절차와 연관된 당김들 및 끌기들을 견딜 수 있다.
복수의 탭들(206)은 전형적으로, 실제 수술 절차에서 마주할 가능성이 있는 특정 봉합 경로를 모방하거나 또는 스킬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정 레벨 또는 난이도와 연관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봉합 경로를 생성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방식 및 구성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베이스(204) 전체에 걸쳐 랜덤하게 선택된 다양한 개구들(220) 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임의의 수의 탭들(206)이 베이스(20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일부 개구들(220)은 희망되는 바와 같이 탭들이 없이 남겨질 수 있다. 대략 10개의 탭들(206)이 연장된 실습 세션을 생성하기 위하여 베이스(204) 내로 삽입된다. 컬러-코딩된 탭들(206)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봉합 트레이닝 연습에서 오로지 적색 컬러의 탭들(206)만이 관통될 미리 결정된 봉합 경로를 식별하게 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특히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탭 면(234)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인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수직하는 단면의 형상을 가지고 구성된다. 원형, 곡선형, 타원형과 같은 임의의 형상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탭들(206)은 그래스핑, 당김 및 조작을 위한 다양한 특징 형태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탭 개구부(236) 크기들 및 형상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들 및 크기들로 설계된다. 도 25 내지 도 26에서 탭 개구부(236)는, 장축이 탭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장축 및 단축을 갖는 세장형 슬릿이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슬릿은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또는 소정의 각도의 세장형이다. 탭 개구부(236)는, 예를 들어, 약 0.25 인치 길이, 0.125 인치 길이, 0.0625 인치 길이, 및 0.03125 인치 길이의 장축을 가질 수 있다. 도 27은 또한 하나가 넘는 탭 개구부(236)를 갖는 면(234)의 변형예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슬릿 형상의 2개의 개구부들(236)이 나란히 그리고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수직인 라인을 따라 위치된다. 이러한 2개의 나란한 슬릿들은 각기 약 0.03125 인치의 길이이다.
도 23a 내지 도 23d에 도시된 탭(206)이 일 변형예에 있어서, 탭 베이스(230) 및 탭 목(232)은 대략 베이스 개구부(220)의 절반의 크기 및 형상이다. 이러한 구성은 2개의 절반 탭(half tab)들(206a, 206b)이 도 28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베이스 개구부(220) 내에 나란히 등을 맞대고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탭들(206)은, 마찰 및 기하학적 제약들을 통해 베이스(204)에 대한 단단한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구성된다. 탭들(206)은 탭 목(232)의 형상에 의해 베이스(204)의 개구부들(220) 내에서 우연히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며, 여기에서, 탭 목(232)의 코너들이 다각형 개구(220)의 대응하는 코너들 내에 위치될 때, 탭 목(232)의 사다리꼴 및/또는 다각형의 코너들이 베이스(204) 내의 개구들(220)의 다각형/8각형 개구(220)의 코너들을 벗어나는 회전을 방해한다. 추가로, 개구(220)의 8각형 형상 및 탭 목(232)의 대응하는 형상은, 베이스 개구(220)와 함께 탭들(206)의 2개의 회전 배향들 및 그에 따라서 유익하게는 다양한 실습을 위한 복수의 봉합 경로들 및 접근 배향들을 허용하며, 즉, 탭(206)은 12시 및 6시 방향을 따라 규정된 제 1 배향으로 삽입 될 수 있고, 제거되어 9시 및 3시 위치를 따라 규정된 제 2 배향으로 재-삽입될 수 있으며, 대략 2시 및 8시 위치를 따라 규정된 제 3 배향 및 대략 10시 및 4시 위치를 따라 규정된 제 4 배향으로 재삽입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8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탭(206)이 제 1 절반 탭(206) 및 제 2 절반 탭(206b)을 포함하는 변형예에 있어서, 제 1 절반 탭(206a)은 탭 베이스(230a) 및 제 1 형상을 갖는 탭 목(232a)를 가지며 제 2 절반 탭(206b)은 탭 베이스(230b) 및 제 2 형상을 갖는 탭 목(232b)를 갖는다. 제 1 형상 및 제 2 형상 둘 모두가 인접 표면에서 서로 보완하며 베이스 개구(220)의 완전한 둘레 형상을 완성한다. 2개의 절반 탭들(206a, 206b)이 단일 개구(220) 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유익하게는 상이한 탭들(206)의 나란한 배열에 의해 스킬 레벨이 증가되거나 또는 실습이 더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절반 탭(206a)은 탭 개구부들(236)을 갖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인접한 절반 탭(206b) 내의 탭 개구부(236)를 숨긴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절반 탭들(206a, 206b)은 상이한 컬러일 수 있어서, 실습 연습 지시는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컬러의 탭(206)을 그래스핑하는 것을 요구하는 동일한 컬러의 탭들을 통해 봉합하는 것이 될 것이다. 추가로, 베이스 개구(220) 내에 나란히 위치된 절반-탭들(206a, 206b)을 그래스핑하는 것이 베이스 개구(220) 내부의 단일 탭(206)을 그래스핑하는 것보다 더 어렵다. 또한, 단일 베이스 개구(220) 내의 나란한 2개의 절반 탭들(206a, 206b)은 도 28,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탭 면들(234a, 234b)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탭 면들(234a, 234b)은 각기 다각형, 곡선형, 및 삼각형이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단일 베이스 개구(220) 내의 나란한 2개의 절반 탭들(206a, 206b)은 서로 상이한 탭 면들(234a, 234b)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 도 32 및 도 33에 있어서 각기, 탭 면(234a)은 다각형이고 탭 면(234b)은 곡선형이며, 탭 면(234a)은 다각형이고 탭 면(234b)은 삼각형이며, 탭 면(234a)는 삼각형이고 탭 면(234b)은 곡선형이다. 탭 면들(234a, 234b)가 동일한 경우, 오로지 하나의 탭 면(234)만이 단일 베이스 개구(220) 내에 제공되는 변형예와 대조적으로 2개의 탭 면들을 서로 구별하는 스킬 레벨뿐만 아니라 이들 중 하나를 그래스핑하는 난이도가 증가된다. 탭 면(234a 또는 234b)의 표면들을 그래스핑하는 것은 도 31c, 도 32b 및 도 33b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이한 형상의 인접한 탭의 중첩하는 부분들로서 식별이 가능하다. 물론,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단일 탭(206)이 공통 탭 베이스(230) 및 탭 목(232)을 공유하면서 상이한 탭 개구부(236) 구성 및/또는 탭 면들(234)의 형상들을 갖는 2개의 직립 탭 면들(234)을 가지고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이 그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사항들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들이 실시예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이해될 것이다.

Claims (28)

  1. 봉합 트레이닝 모델로서,
    하단 표면과 상호연결된 상단 표면을 갖는 베이스로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하단 표면을 향해 연장하는 상기 상단 표면 내의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봉합 탭들로서; 각각의 봉합 탭은 길이 방향 축을 가지며 봉합 바늘로 관통되고 휴지 구성으로부터 연장된 구성으로 상기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당겨질 수 있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적어도 하나의 봉합 탭이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 중 하나 이상의 내부에 위치되어 이것이 상기 개구부 내부에서 착탈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이것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상기 봉합 탭의 하나가 넘는 고정된 배향을 허용하며; 각각의 봉합 탭은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을 가지고; 상기 봉합 탭의 상기 상단 부분 중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베이스의 개구부 내부에 존재할 때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단 표면 위로 연장하는, 상기 복수의 봉합 탭들을 포함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2. 봉합 트레이닝 모델로서,
    교체되고, 스트레칭(stretch)되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는 복수의 봉합 탭들을 홀딩하는 베이스로서; 각각의 봉합 탭은 관통될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통해 봉합사가 통과될 적어도 하나의 미리-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탭 면(face)을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봉합 탭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개구부는 하나 이상의 봉합 탭들을 수용하며; 상기 베이스는 봉합 탭들을 홀딩하는 개구부들을 갖는 적어도 2개의 평면들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각도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를 포함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3. 봉합 트레이닝 모델로서,
    하단 표면과 상호연결된 상단 표면을 갖는 베이스로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하단 표면을 향해 연장하는 상기 상단 표면 내의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봉합 탭들로서; 각각의 봉합 탭은 길이 방향 축을 가지며 봉합 바늘로 관통될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통해 봉합사가 통과되는 미리-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봉합 탭이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 중 하나 이상의 내부에 위치되어 이것이 상기 개구부 내부에서 착탈가능하게 유지되며; 각각의 봉합 탭은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을 가지고; 상기 봉합 탭의 상기 상단 부분 중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베이스의 개구부 내부에 존재할 때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단 표면 위로 연장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길이 방향 축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메이팅(mating) 표면을 가지며, 상기 봉합 탭은 상기 길이 방향 축에 대한 상기 봉합 탭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이팅 표면과 메이팅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메이팅 표면을 갖는, 상기 복수의 봉합 탭들을 포함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4. 봉합사 통과를 실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복수의 봉합 탭들을 홀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구부들을 갖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봉합 탭은 관통될 수 있거나 또는 봉합사의 통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형성된 개구를 갖는 탭 면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봉합 탭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개구부는 하나 이상의 봉합 탭들을 수용하며; 각각의 봉합 탭은 휴지 구성으로부터 연장된 구성으로 상기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당겨질 수 있고; 상기 연장된 구성에서 상기 봉합 탭은 상기 휴지 구성에 비하여 상기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더 긴 길이를 갖는, 단계;
    봉합사 및 봉합 바늘을 제공하는 단계;
    휴지 구성으로부터 연장된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봉합 탭을 당기는 단계;
    상기 연장된 구성에 있는 동안 상기 탭 면을 통해 상기 봉합사 및 봉합 바늘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봉합 탭들은 하나 이상의 개구부 내부에 나란히 위치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봉합 탭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 내부에 나란히 착탈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2개의 봉합 탭들은 상이한 형상들을 갖는 상단 부분들을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봉합 탭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 내부에 나란히 착탈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2개의 봉합 탭들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단 부분들을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봉합 탭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 내부에 나란히 착탈가능하게 위치되며; 각각의 봉합 탭은 다른 봉합 탭과는 독립적으로 휴지 구성으로부터 연장된 구성으로 이동이 가능한, 봉합 트레이닝 모델.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탭은 상기 상단 부분을 통해 측방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구성으로부터 상기 연장된 구성으로 상기 봉합 탭을 이동시키는 것은 이동되는 상기 봉합 탭의 상기 개구를 확장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1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탭의 상기 상단 부분은 다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또는 곡선형 형상을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탭의 상기 하단 부분은 상기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 내에 상기 동일한 평면 내의 상기 상단 부분의 돌출부보다 더 큰 돌출부를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탭은 상기 상단 부분과 상기 하단 부분 사이에 상기 봉합 탭의 적어도 일 부분 주변에서 연장하는 렛지(ledge)를 포함하며; 상기 렛지는 상기 베이스의 개구부 내에 상기 봉합 탭의 상기 하단 부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1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탭의 상기 베이스 부분은 상기 봉합 탭의 상기 베이스 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근위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봉합 탭의 상기 상단 부분보다 더 넓은, 봉합 트레이닝 모델.
  1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탭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봉합 탭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각이 진, 봉합 트레이닝 모델.
  1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탭은 상기 연장된 구성으로부터 릴리즈(release)될 때 상기 휴지 구성으로 복귀하는 경향이 있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1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부분은 탭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 부분은 탭 목에 의해 상호연결된 탭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탭 목은 상기 베이스 내의 상기 개구부에 걸쳐 존재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결정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1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홀딩하도록 구성된 스탠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의 하나 이상의 배향으로 상기 베이스 및 스탠드를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된 메이팅 특징부들을 통해 스탠드에 착탈가능하게 상호연결될 수 있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1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절반(half) 봉합 탭들은 상기 베이스 내의 개구부 내부에 나란히 위치되며, 상기 2개의 절반 봉합 탭들은 상이한 형상의 봉합 탭 면들을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2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탭 및 봉합 탭이 그 안에 배치되는 개구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그것의 길이 방향 축 둘레로 상기 봉합 탭의 하나가 넘는 고정된 배향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2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탭은 휴지 구성으로부터 연장된 구성으로 상기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스트레칭될 수 있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2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평면들은 상기 2개의 평면들 사이의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하여 힌지 결합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2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탭은 실리콘으로 만들어지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2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구성으로 당겨질 때, 상기 봉합 탭의 상기 하단 부분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유지되고, 상기 길이 방향 축을 따른 상기 봉합 탭의 길이는 상기 휴지 구성에 비하여 상기 연장된 구성에서 증가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2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탭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봉합 탭은 상기 연장된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내에 유지되며 길이가 스트레칭되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2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탭 및 개구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길이 방향 축 둘레로 하나가 넘는 고정된 배향을 허용하기 위한 하나가 넘는 메이팅 표면을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
  27. 선행하는 방법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봉합 트레이닝 모델을 제공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밀-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한 탭 면을 갖는 봉합 트레이닝 모델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8. 선행하는 방법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미리 형성된 개구부를 확장하기 위하여 상기 봉합 탭을 스트레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37370A 2015-05-27 2016-05-27 복강경 절차들에 대한 수술 트레이닝 모델 KR102449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3227A KR102586608B1 (ko) 2015-05-27 2016-05-27 복강경 절차들에 대한 수술 트레이닝 모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7129P 2015-05-27 2015-05-27
US62/167,129 2015-05-27
US201662318902P 2016-04-06 2016-04-06
US62/318,902 2016-04-06
PCT/US2016/034591 WO2016191661A1 (en) 2015-05-27 2016-05-27 Surgical training model for laparoscopic procedur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227A Division KR102586608B1 (ko) 2015-05-27 2016-05-27 복강경 절차들에 대한 수술 트레이닝 모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028A true KR20180014028A (ko) 2018-02-07
KR102449812B1 KR102449812B1 (ko) 2022-09-30

Family

ID=5611658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227A KR102586608B1 (ko) 2015-05-27 2016-05-27 복강경 절차들에 대한 수술 트레이닝 모델
KR1020237033511A KR20230143197A (ko) 2015-05-27 2016-05-27 복강경 절차들에 대한 수술 트레이닝 모델
KR1020177037370A KR102449812B1 (ko) 2015-05-27 2016-05-27 복강경 절차들에 대한 수술 트레이닝 모델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227A KR102586608B1 (ko) 2015-05-27 2016-05-27 복강경 절차들에 대한 수술 트레이닝 모델
KR1020237033511A KR20230143197A (ko) 2015-05-27 2016-05-27 복강경 절차들에 대한 수술 트레이닝 모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2) EP4167212A1 (ko)
JP (3) JP6946196B2 (ko)
KR (3) KR102586608B1 (ko)
AU (2) AU2016267595B2 (ko)
CA (1) CA2987240A1 (ko)
ES (1) ES2949346T3 (ko)
WO (1) WO2016191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34051T3 (es) * 2017-05-11 2023-02-16 Applied Med Resources Sistema de entrenamiento de guiado con cámara
US11170664B2 (en) * 2017-09-15 2021-11-09 Noel Jabbour Kit, method and apparatus for surgical simulation and/or fine motor skill training for surgical work
WO2019234937A1 (ja) * 2018-06-08 2019-12-12 株式会社ファソテック 手技トレーニング用多目的固定具
IT202000012061A1 (it) * 2020-05-22 2021-11-22 B2Or S R L Sistema per eseguire esercitazioni pratiche di chirurgi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7743A (en) * 1997-09-26 1999-09-07 Hasson; Harrith M. Apparatus for training for the performance of a medical procedure
WO2014052612A1 (en) * 2012-09-27 2014-04-03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training model for laparoscopic procedur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4557A3 (en) * 2007-09-10 2019-11-13 Ethicon, LLC Suture peg
JP5726850B2 (ja) * 2009-03-20 2015-06-03 ザ ジョンズ ホプキンス ユニバーシティ 技術的技能を定量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50037773A1 (en) 2011-10-06 2015-02-05 Cesar Quirarte Catano Tissue-Simulation Device for Learning and Training in Basic Techniques of Laparoscopic, Endoscopic or Minimally-Invasive Surgery
US20140051049A1 (en) * 2012-08-17 2014-02-20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Anatomical model and method for surgical training
CA2880482C (en) 2012-09-27 2020-03-10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training model for laparoscopic procedures
JP3184695U (ja) 2013-04-26 2013-07-11 株式会社高研 軟部組織切開練習モデ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7743A (en) * 1997-09-26 1999-09-07 Hasson; Harrith M. Apparatus for training for the performance of a medical procedure
WO2014052612A1 (en) * 2012-09-27 2014-04-03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training model for laparoscopic proced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67905A (ja) 2023-05-16
CA2987240A1 (en) 2016-12-01
JP2022001952A (ja) 2022-01-06
JP2018515816A (ja) 2018-06-14
KR20230143197A (ko) 2023-10-11
EP3304526B1 (en) 2023-07-05
EP3304526C0 (en) 2023-07-05
AU2016267595A1 (en) 2017-11-16
JP6946196B2 (ja) 2021-10-06
EP3304526A1 (en) 2018-04-11
ES2949346T3 (es) 2023-09-27
JP7235821B2 (ja) 2023-03-08
AU2022203449B2 (en) 2024-03-21
WO2016191661A1 (en) 2016-12-01
KR102586608B1 (ko) 2023-10-10
EP4167212A1 (en) 2023-04-19
KR102449812B1 (ko) 2022-09-30
KR20220137776A (ko) 2022-10-12
AU2022203449A1 (en) 2022-06-09
AU2016267595B2 (en)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0055B2 (en) Surgical training model for laparoscopic procedures
US11869378B2 (en) Surgical training model for laparoscopic procedures
CA2880482C (en) Surgical training model for laparoscopic procedures
AU2022203449B2 (en) Surgical Training Model for Laparoscopic Procedures
US20240153406A1 (en) Surgical training model for laparoscopic proced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