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870A - 개선된 만곡된 에지를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만곡된 에지를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870A
KR20180013870A KR1020177031842A KR20177031842A KR20180013870A KR 20180013870 A KR20180013870 A KR 20180013870A KR 1020177031842 A KR1020177031842 A KR 1020177031842A KR 20177031842 A KR20177031842 A KR 20177031842A KR 20180013870 A KR20180013870 A KR 20180013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lation
container
curved edge
blank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드리안 에겐
알렉산더 로윈스키
아타나시오스 콘딜리스
데이비드 루돌프
포 요크 트리츠
프레데릭 두루셀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13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4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4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 B65D85/10484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having rounded corn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A24F15/18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소비자 물품용 용기는, 두께(T)를 갖고 상기 용기의 일부를 정의하는 셀룰로오스 섬유 기반의 박층 블랭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만곡된 에지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적어도 제1 평면벽 및 제2 평면벽을 포함한다. 상기 만곡된 에지부는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갖고, 상기 만곡된 에지부의 상기 내부 표면은 절제 영역(A)을 정의하고, 상기 절제 영역은 상기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L) 및 상기 만곡된 에지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폭(W)을 갖는다. 상기 절제 영역은 상기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둘 이상의 절제선을 포함한다. 각각의 절제선은 상기 박층 블랭크의 두께(T) 미만인 최소 잔여 두께(RT)를 가지되, 둘 이상의 상기 절제선 각각의 최소 잔여 두께(RT)는 상기 블랭크의 두께(T)의 약 30% 이상 및 약 60% 미만이다. 서로 인접한 두 절제선의 저점들 사이의 간격은 0.2 mm 초과 및 1.6 mm 미만이다.

Description

개선된 만곡된 에지를 갖는 용기
본 발명은 소비재용 용기 및 이러한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셀룰로오스 섬유 기반의 박층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 흡연 물품(예를 들어, 궐련)과 같은 세장형 소비재를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응용예를 갖는다.
궐련 및 엽궐련과 같은 흡연 물품은 통상 플립-탑(flip-top) 박스 또는 힌지 뚜껑(hinge-lid) 박스와 같은 연질팩 또는 경질팩 내에 제공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박스 전벽, 박스 후벽, 박스 측벽 그리고 박스 바닥을 갖는 박스부를 갖는다. 또한, 이들은 통상 뚜껑 전벽, 뚜껑 후벽, 뚜껑 측벽 및 뚜껑 상측을 갖는 뚜껑부를 갖는다. 뚜껑부는 일반적으로 용기의 후벽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힌지 선을 따라 박스부에 힌지 결합된다. 힌지선은 통상 미리 접힌 선(pre-folded line), 접음선(crease line) 또는 눈금선(score line)으로서 제공된다.
경질팩 용기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는 박층 블랭크로부터 획득된다.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 하나의 이러한 블랭크가 접혀서 블랭크의 패널들이 용기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경질팩의 경우, 박스와 뚜껑의 특정 에지를 다듬거나 모따기하여 용기에 독특한 외관을 부여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용기의 에지를 형성하는 영역에서 블랭크에 눈금선 또는 새김선을 제공함으로써 과거에 달성되었다. 이들 라인은, 에지가 단순히 단일 선을 따라 구부러지지 않고, 대신 인접한 두 개의 벽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구부러지거나(둥근 에지의 경우), 인접한 두 개의 벽 사이의 둘 이상의 이산된 위치에서 구부러지는(사선형 에지의 경우) 방식으로 블랭크가 접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렇게 눈금선이나 접음선을 형성하는 것은 제조 공정을 더 복잡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경우에, 외부 표면이 완전히 매끄럽지 않고 눈금선이 발생한 영역에서 리지(ridge) 또는 리플(ripple)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용기의 시각적 및 촉각적 지각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외관을 갖는 하나 이상의 만곡된 에지를 갖는 소비재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개선된 강도를 가지며 더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만곡된 에지부를 갖는 소비재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생산 및 조립 공정을 보다 쉽고 유연하게 하는 소비재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소비자 물품용 용기로서, 두께(T)를 갖고 용기의 일부를 정의하는 셀룰로오스 섬유 기반의 박층 블랭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만곡된 에지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적어도 제1 평면벽 및 제2 평면벽을 포함하되, 만곡된 에지부는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갖고, 만곡된 에지부의 내부 표면은 절제 영역(A)을 정의하고, 절제 영역은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L)와 만곡된 에지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폭(W)을 가지고, 여기서 절제 영역은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둘 이상의 절제선을 포함하며, 각각의 절제선은 블랭크 두께(T)의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의 최소 잔여 두께(RT)를 갖는, 용기가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절제선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블랭크 두께(T)의 약 65%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60% 미만,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55% 미만의 잔여 두께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에지부를 갖는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박층 블랭크 단면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사진이고(실시예 1);
도 3은 도 2(실시예 1)의 블랭크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박층 블랭크 단면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사진이고(실시예 2);
도 5는 도 4(실시예 2)의 블랭크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박층 블랭크 단면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사진이고(실시예 3);
도 7은 도 6(실시예 3)의 블랭크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박층 블랭크 단면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사진이고(비교 실시예 1);
도 9는 도 8(비교 실시예 1)의 블랭크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박층 블랭크 단면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사진이고(비교 실시예 2);
도 11은 도 10(비교 실시예 2)의 블랭크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만곡된 에지부를 얻기 위해, 잔여 두께의 청구된 범위가 서로 인접한 두 절제선의 저점들 사이에 적어도 0.2 mm의 갭과 조합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인접한 두 절제선의 저점들 사이의 갭은 적어도 약 0.4 mm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6 mm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서로 인접한 두 절제선의 저점들 사이의 갭은 약 1.6 mm 미만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1.3 mm 미만이며, 매우 바람직하게는 약 1.0 mm 미만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소비자 물품용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박층 블랭크로서, 두께(T)를 갖고 용기의 일부를 정의하며, 만곡된 에지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적어도 제1 평면벽 및 제2 평면벽을 포함하되, 만곡된 에지부는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갖고, 만곡된 에지부의 내부 표면은 절제 영역(A)를 정의하고, 절제 영역은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L)와 만곡된 에지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폭(W)을 가지고, 여기서 절제 영역은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둘 이상의 절제선을 포함하며, 각각의 절제선은 블랭크 두께(T)의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의 최소 잔여 두께(RT)를 갖는, 블랭크가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절제선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블랭크 두께(T)의 약 65%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60% 미만,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55% 미만의 잔여 두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만곡된 에지부를 얻기 위해, 잔여 두께의 청구된 범위가 서로 인접한 두 절제선의 저점들 사이에 적어도 0.2 mm의 갭과 조합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인접한 두 절제선의 저점들 사이의 갭은 적어도 약 0.4 mm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6 mm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서로 인접한 두 절제선의 저점들 사이의 갭은 약 1.6 mm 미만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1.3 mm 미만이며, 매우 바람직하게는 약 1.0 mm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를 참고하여 설명된 임의의 특징이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양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용기의 만곡된 에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기계적인 접음선을 사용하는 공지된 용기와 반대로, 본 발명은 용기의 만곡된 에지부를 정의하는 블랭크의 일부 내 특정 위치로부터 재료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기의 만곡된 에지부를 형성하도록 (예를 들어, 레이저 절제에 의한) 절제선을 포함하는 절제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만곡된 에지부를 중심으로 블랭크를 접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유리하게 감소된다. 또한, 용기의 둥근 에지는 비교적 적은 수의 새김선을 갖는 이론적인 기준 둥근 형상에 효과적으로 근사한다. 따라서, 동시에 둥근 에지에서의 용기의 강도는 더 잘 보존될 수 있다.
이는 용기가 하나의 이러한 블랭크로부터 통상의 포장 기계에 의해 편리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블랭크의 외부 표면은 절제 프로세스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용기의 생성된 외부 표면이 절제선 위치에서 (기계적인 접음선의 경우와 같은) 국부적인 리지나 리플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만곡된 에지부를 형성할 때 블랭크의 굽힘이 더 용이하며, 소비자의 시각 및 촉각 검사시 더 점진적이고 더 부드러운 곡률을 갖는 용기의 외부 표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블랭크는 선형 절제 도구(예를 들어, 레이저 또는 블레이드)로 만곡된 에지부로부터 재료를 정밀하게 제거함으로써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레이저는 비침습적이며 개선된 설계 유연성을 위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프로그램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절제 도구다. 특히, 절제 도구로서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레이저 도구의 필요한 조정을 최소화하면서 매우 다양한 절제 프로파일 및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블랭크의 주어진 부분에 대해 절제 도구를 반복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보다 큰 백분율의 재료의 제거하여, 잔류 두께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레이저 절제는 임의의 적합한 장비, 바람직하게는 시판 중인 DIAMOND사의 1000 와트 CO2 레이저, 예컨대 E-1000을 사용하여 이뤄질 수 있다. 절제는 박층 블랭크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이뤄질 수 있다. 레이저 절제는 임의의 적합한 장비, 바람직하게는 시판 중인 DIAMOND사의 1000 와트 CO2 레이저, 예컨대 E-1000을 사용하여 이뤄질 수 있다. 절제는 박층 블랭크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박층 블랭크로 만들어진 용기들은 엠보싱과 같이 둥근 코너를 만들기 위한 종래 방법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사전 굽힘 단계 없이 이뤄질 수 있다.
용어 "에지부"는 용기의 인접한 두 벽 사이의 에지를 정의하는 블랭크의 일부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용기의 에지를 형성하는 블랭크의 일부인 만곡된 에지부는 제1 평면벽과 제2 평면벽 사이에 위치한다.
용어 "만곡된 에지부"는 횡단면에서 보았을 때 호형(arc-like) 형상을 갖는 용기의 에지부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용어 "호형"은 원형 원호, 포물선 원호, 쌍곡선 원호, 타원형 원호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비직선을 지칭한다. 만곡된 에지부는 하나 이상의 시험원에 의한 육안 검사 또는 현미경 측정 후 통계적 분석, 가령 박층 블랭크의 외부 표면에 NIKON SMZ800 현미경을 사용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X-Y 좌표는 각각의 샘플에 대한 미세 격자(10 개의 등고선 점)에 기록될 수 있다. 기록된 X-Y 좌표는 선형 스플라인 보간에 사용될 수 있고, 생성된 제1 차 미분의 프로파일이 캡처될 수 있다. 끊임없이 변하거나 점프하는 1차 미분은 샘플의 만곡된 에지부를 나타낸다.
"셀룰로오스 섬유 기반의 박층 블랭크"는 박층 블랭크의 총 섬유 함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 wt%의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박층 블랭크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섬유 기반의 박층 블랭크는 중합 섬유와 같은 다른 유형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내부 표면"은 용기가 조립될 때, 용기의 내부와 마주보는, 예를 들어, 용기가 닫혔을 때 소비재를 향하는 블랭크의 일부의 일측을 지칭하도록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된다. 따라서, 용기가 닫혔을 때 내부 표면은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보여지지 않는다. 용어 "외부 표면"은 용기가 조립될 때, 용기의 외부와 마주보는 블랭크의 일부의 일측을 지칭하도록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된다.
용어 "절제 영역(ablation area)"은 용기의 만곡된 에지부를 형성하는 블랭크의 일부 상의 모든 절제선을 둘러싸는 블랭크의 최소 영역을 지칭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사용된다.
용어 "절제선(ablated line)"은 재료가 제거된 (예를 들어, 레이저 빔 또는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된) 에지부의 내부 표면을 따르는 선을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절제선의 잔류 두께는 박층 블랭크의 두께(T)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절제선은 블랭크 내에 홈으로서 제공된다. 이는 레이저 또는 블레이드와 같은 선형 절제 도구로 형성될 수 있다.
블랭크의 "두께(T)"는 제조된 후 블랭크에 임의의 절제선이나 접음선이 형성되기 전의 블랭크의 두께이다. 즉, 블랭크의 두께(T)는 절제선이나 접음선을 포함하지 않는 블랭크의 임의의 영역에서의 두께이다.
용어 "잔여 두께"는 박층 블랭크 또는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용기 벽의 2 개의 대향 표면 사이에서 측정된 최소 거리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실제로, 주어진 위치에서의 거리는 대향 표면들에 국부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절제선의 잔여 두께는 절제선(예컨대 V-형, U-형 홈)의 폭을 가로질러 변할 수 있다.
용어 "최소 잔여 두께"는 주어진 영역의 절제선 내에서 측정된 "잔여 두께"의 최소값을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각각의 절제선의 잔여 두께는 2차원 비접촉 표면 계측용 광학 조면계, 예컨대 MicroSpy (RTM) Profile(독일 Bergisch Gladbach의 Fries Research & Technology GmbH에서 시판 중임)을 사용해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잔여 두께의 몇 개의 포인트가 절제선의 길이에 걸쳐 측정되는 반면, 측정 포인트들은 하나의 절제선의 길이에 고르게 퍼져있고 산술 평균이 계산된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최소 잔여 두께"를 얻기 위해, 절제선의 길이에 고르게 퍼져있는 5 곳에서 측정을 수행한 다음 산술 평균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절제선의 길이가 80 mm인 경우, 잔여 두께는 절제선의 양쪽 단부 및 절제선의 일 단부로부터 각각 20 mm, 40 mm, 및 60 mm 이격된 3 개의 추가 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절제선의 하단에서부터 측정된다.
용어 "갭(gap)"은 서로 인접한 두 절제선의 저점들 사이의 거리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갭의 몇 개의 포인트가 평행한 한 쌍의 절제선의 길이에 걸쳐 측정되는 반면, 측정 포인트들은 절제선의 평행한 부분의 길이에 고르게 퍼져있고 산술 평균이 계산된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갭"를 얻기 위해, 서로 인접한 두 절제선의 평행한 부분의 길이에 고르게 퍼져있는 5 곳에서 측정을 수행한 다음 산술 평균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한 두 절제선의 평행한 부분의 길이가 각각 80 mm인 경우, 갭은 평행한 부분의 양쪽 단부, 및 일 단부로부터 각각 20 mm, 40 mm, 및 60 mm 이격된 3 개의 추가 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절제선의 하단에서부터 측정된다.
용어 "잔여 강성(residual stiffness)"은 하나의 절제선의 최소 잔여 두께에 걸쳐 측정된 박층 블랭크의 잔여 강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잔여 두께의 백분율을 곱한 박층 블랭크의 굽힘 방향의 강성을 사용해 계산된다. 예를 들어, 절제되지 않은 박층 블랭크의 굽힘 방향 강성이 100 mN이고 최소 잔여 두께가 30%인 경우, 굽힘 방향의 잔여 강성은 100 mN에 30%를 곱한 30 mN이다. 박층 블랭크의 강성은, 예를 들어 절제되거나 새김선이 표시되지 않은 블랭크의 일부로부터 블랭크 재료의 샘플을 채취하여 ISO 2493에 따라 15에서 측정될 수 있다(샘플이 완료된 형태인 경우 인쇄되거나 달리 코팅되어 있을 수 있음).
시험과 검사는 절제 2주 후에 ISO 187에 따라 23, 상대 습도 50%에서 수행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 "후", "상", "하", "상부", "바닥" 및 "측"은 접속 개구를 상부에 가진 용기가 직립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부분 및 그의 구성요소의 상대 위치를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용기가 힌지된 뚜껑을 가진 용기인 경우, 이는 뚜껑이 폐쇄 위치에 있고 힌지선이 용기의 후방에 있는 상태로 용기가 직립 위치에 있음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설명할 때, 이들 용어는 설명되고 있는 용기의 방향과 관계없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소정의 두께(T)를 갖는 박층 블랭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블랭크는 만곡된 에지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적어도 제1 평면벽과 제2 평면벽을 포함하는 용기의 일부를 정의한다. 만곡된 에지부의 내부 표면은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와 만곡된 에지부를 가로질러 연장된 폭을 갖는 절제 영역을 정의한다. 절제 영역은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둘 이상의 절제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박층 블랭크의 두께(T)는 약 300 ㎛ 내지 약 360 ㎛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박층 블랭크의 두께(T)는 약 330 ㎛ 내지 약 350 ㎛이다. 박층 블랭크의 두께(T)는 ISO 534:2011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절제 영역은 임의의 수의 절제선을 포함하여 만곡된 에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 절제 영역은 만곡된 에지부 상의 임의의 주어진 길이 방향 위치에서 적어도 4 개의 절제선을 포함한다. 만곡된 에지부 상의 임의의 주어진 길이 방향 위치에 4 개 미만의 절제선이 제공되는 경우, 절제 영역의 폭을 상당히 줄이지 않고서는 이론적인 만곡된 프로파일에 근사한 점진적인 곡률을 얻기 어렵고, 따라서 만곡된 에지부를 획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박층 블랭크는 바람직하게는 평방미터당 약 150 그램 내지 약 350 그램의 평량, 더 바람직하게는 평방미터당 약 175 그램 내지 약 350 그램의 평량, 매우 바람직하게는 평방미터당 약 200 그램 내지 약 300 그램의 평량을 갖는다. 평량은 ISO 536을 이용해 계산될 수 있고, ± 10%, 바람직하게는 ± 5%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절제선의 절제된 폭(X)은 적어도 약 0.05 mm,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1 mm,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12 mm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절제선의 절제된 폭은 적어도 약 0.2 mm 또는 적어도 약 0.3 mm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각각의 절제선의 절제된 폭은 약 0.5 mm 미만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절제선의 절제된 폭은 약 0.45 mm 미만이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각각의 절제선의 절제된 폭은 약 0.0.5 mm 내지 약 0.5 mm이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절제선의 절제된 폭은 약 0.1 mm 내지 약 0.45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25 mm 내지 0.4 mm이다.
바람직하게는, 절제 영역의 폭(W)은 적어도 약 2 mm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절제 영역의 폭은 적어도 약 4 mm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절제 영역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8 mm 미만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절제 영역의 폭은 약 6 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박층 블랭크는 적어도 약 50 mN,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75 mN,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0 mN의 굽힘 방향의 강성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또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박층 블랭크는 약 500 mN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200 mN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160 mN 미만의 굽힘 강성을 갖는다. 박층 블랭크는 바람직하게는 약 50 mN 내지 약 200 mN의 굽힘 강성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박층 블랭크는 바람직하게는 약 75 mN 내지 약 160 mN의 세로 방향의 강성을 갖는다. "굽힘 방향"의 강성은, 완성된 보드가 절제 영역을 중심으로 접힐 방향으로 굽힘 강성이 측정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박층 블랭크는 적어도 25 mN, 바람직하게는 30 mN, 더 바람직하게는 40 mN의 굽힘 방향으로의 잔여 강성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박층 블랭크는 적어도 100 mN 이하, 바람직하게는 85 mN 이하, 매우 바람직하게는 75 mN 이하의 굽힘 방향으로의 잔여 강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박층 블랭크는 약 0.5 ㎛ 내지 약 1.5 ㎛의 표면 거칠기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박층 블랭크는 약 0.75 ㎛ 내지 약 1.25 ㎛의 표면 거칠기를 갖는다. 표면 거칠기는 ISO 8791-4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박층 블랭크는 약 1 m/sec 내지 약 2 m/sec의 표면 강도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박층 블랭크는 약 1.25 m/sec 내지 약 1.75 m/sec의 표면 강도를 갖는다. 표면 거칠기는 ISO 3783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둘 이상의 절제선은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의 적합한 연장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제선은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그 연장 프로파일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만곡된 궤적을 따를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이러한 절제선에 의해 생성된 절제면은 비-선형 둘레를 가질 것이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 절제 영역은 만곡된 에지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평행하게 연장된 적어도 2 개의 절제선을 길이 방향으로 포함한다. 이는 만곡된 에지부에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절제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 절제 영역 내의 모든 절제선은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절제면만을 갖는 만곡된 에지부가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평면벽은 제2 평면벽에 직교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만곡된 에지부에 의해 연결된 2 개의 평면벽 사이에서 약 10 mN 미터 미만의 스프링-백 힘을 갖는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박층 블랭크는 박스 전벽, 박스 후벽, 및 박스 전벽과 박스 후벽 사이에서 연장된 박스 측벽을 갖는 박스부를 포함하는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되, 만곡된 에지부는 박스 측벽 중 하나를 박스 전벽 또는 박스 후면에 연결시킨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만곡된 에지부는 박스 바닥벽을 박스 측벽 중 하나, 박스 전벽 또는 박스 후벽과 연결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박층 블랭크는 바람직하게는 뚜껑 전벽, 뚜껑 후벽, 및 뚜껑 전벽과 뚜껑 후벽 사이에서 연장된 뚜껑 측벽을 갖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되, 만곡된 에지부는 뚜껑 측벽 중 하나를 뚜껑 전벽 또는 뚜껑 후벽에 연결시킨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만곡된 에지부는 뚜껑 상벽을 뚜껑 측벽 중 하나, 뚜껑 전벽, 또는 뚜껑 후벽과 연결시킬 수 있다.
일부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용기는 가로 방향 에지, 길이 방향 에지, 또는 양쪽 모두를 따라 2 개 이상의 만곡된 에지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에지부는 전술한 임의의 바람직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소비재, 특히 세장형 소비자 물품, 예컨대 흡연 물품의 용기로서의 구체적인 용도를 갖는다. 그러나, 이들은 몇 가지 다른 유형의 소비재, 예컨대 과자에 사용될 수도 있다.
블랭크는 셀룰로오스 섬유 기반 재료, 바람직하게는 식물 유래 재료, 더 바람직하게는 목재 유래 재료로 형성된다. 블랭크는 블랭크의 총 섬유 함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 wt%,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wt%,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wt%의 셀룰로오스 섬유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박층 블랭크는 목재 유래의 판지 또는 보드지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셀룰로오스 섬유 기반의 재료는 중합체 섬유와 같은 다른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랭크는 코팅되어 있거나 코팅되어 있지 않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양면이 코팅되어 있다.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고밀도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배향된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염화폴리비닐리덴, 셀룰로오스 필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중합체 필름인 외부 래퍼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외부 래퍼는 종래 방식으로 적용된다. 외부 래퍼는 개봉 테이프(tear tap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래퍼에는 이미지, 소비자 정보 또는 기타 데이터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물품은 금속 호일 또는 금속화된 종이로 형성된 내부 패키지 내 래핑된 번들 형태로 용기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내부 패키지 재료는, 금속화된 폴리에틸렌 필름과 라이너 재료의 적층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 재료는 수퍼캘린더 처리된 글라신지(super-calendered glassine paper)일 수 있다. 또한, 내부 패키지 재료에는 인쇄 수용성 상부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내부 패키지는 용기의 뚜껑이 각각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소비재가 제거될 수 있는 접근 개구를 갖는다.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좁은 벽에 의해 이격된 2 개의 넓은 벽을 포함하는 직육면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뚜껑 용기는 길이 방향 에지 및 가로 방향 에지를 갖는 직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길이 방향 에지 또는 가로 방향 에지 중 적어도 하나는 만곡되어 있다. 즉, 힌지 뚜껑 용기는 만곡된 길이 방향 에지, 만곡된 가로 방향 에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만곡된 에지들 각각은 전술한 임의의 바람직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만곡된 에지부는 약 2 mm 내지 약 8 mm, 바람직하게는 약 4 mm 내지 약 6 mm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예를 들어, 궐련, 엽궐련(cigars) 또는 가는 엽궐련(cigarillo)과 같은 세장형 흡연 물품용 팩으로서의 구체적인 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그 치수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상이한 개수의 종래 사이즈, 킹 사이즈, 슈퍼 킹 사이즈, 슬림 또는 슈퍼 슬림 궐련용으로 설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다른 소비재들이 용기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그 치수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상이한 총 개수의 흡연 물품들, 또는 배열이 다른 흡연 물품들을 수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그 치수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총 10개 내지 30개의 흡연 물품들을 수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상기 흡연 물품들은 흡연 물품의 총 개수에 따라서 상이한 조합(collation)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들은 동일한 유형이나 브랜드, 또는 상이한 유형이나 브랜드의 흡연 물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무필터 흡연 물품 및 다양한 필터 팁(tip)을 갖는 흡연 물품 모두를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이한 길이(예를 들면, 약 40 mm 내지 약 180 mm), 직경(예를 들면, 약 4 mm 내지 약 9 mm)의 흡연 물품도 수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치수는 흡연 물품의 길이 및 흡연 물품의 조합에 맞춰진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외부 치수는 용기 내측에 수용된 흡연 물품의 번들 또는 번들들의 치수보다 약 0.5 mm 내지 약 5 mm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길이, 폭 및 깊이는, 결과로서 생성되는 용기의 전반적인 치수가 20개 궐련의 일반적인 일회용 팩의 치수와 유사해지도록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약 60 mm 내지 약 150 mm의 높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mm 내지 약 125 mm의 높이를 가지되, 높이는 용기의 바닥벽으로부터 상벽까지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약 12 mm 내지 약 150 mm의 폭,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mm 내지 약 125 mm의 폭을 가지되, 폭은 용기의 일 측벽으로부터 타 측벽까지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약 6 mm 내지 약 150 mm의 깊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2 mm 내지 약 25 mm의 깊이를 가지되, 깊이는 용기의 전벽으로부터 후벽까지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깊이에 대한 용기의 높이의 비는 약 0.3 대 1과 약 10 대 1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대 1과 약 8 대 1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대 1과 5 대 1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깊이에 대한 용기의 폭의 비는 약 0.3 대 1과 약 10 대 1 사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대 1과 약 8 대 1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대 1과 3 대 1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슬리브의 박스 후벽의 높이에 대한 뚜껑 후벽의 높이의 비는 약 0 대 1(용기의 상부 에지에 뚜껑이 위치됨)과 약 1 대 1 사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대 5와 약 1 대 10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대 6과 약 1 대 8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슬리브의 박스 전벽의 높이에 대한 외측 슬리브의 뚜껑 전벽의 높이의 비는 약 1 대 0(뚜껑이 전벽 전체를 덮고 있음)과 약 1 대 10 사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대 1과 약 1 대 5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대 2와 약 1 대 3 사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외부 표면에는, 제조사나 브랜드 로고, 상표, 슬로건 및 다른 소비자 정보 및 표식이 인쇄되거나, 양각되거나, 음각되거나 달리 장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블랭크 내에 2 개 이상의 절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변경된 종래의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여 충전되고 조립될 수 있다. 절제선은 레이저 또는 블레이드와 같은 절제 도구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절제 도구로서 레이저가 특히 바람직한데, 이는 필요한 레이저 도구의 조정을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절제 프로파일 및 구성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레이저는 블랭크의 주어진 부분 위로 반복적으로 통과하여 상이한 양의 재료를 반복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매우 미세하게 제어된 절제 프로파일을 허용할 수 있다. 이는 좁은 폭을 갖는 미세한 절제된 선이 필요한 경우에도 유용하다. 절제 영역에 걸쳐 다양한 제거 강도("깊이")를 갖는 임의 유형의 패턴을 형성하도록 레이저 및 블랭크의 상대적인 운동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더욱 설명될 것이며, 첨부 도면 중: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은 두께(T)를 갖는 판지 또는 종이 판지 박층 블랭크를 접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소비재용 용기(100)를 도시한다.
용기(100)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박스부(30) 및 용기(100)의 후벽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힌지선(50)을 따라 박스부(30)에 연결된 힌지 뚜껑(40)을 포함한다. 용기(100)의 박스(30) 및 뚜껑(40)의 전반적인 크기 및 구조는 표준 힌지 뚜껑 궐련 팩의 전반적인 크기 및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박스부(30)는 박스 전벽, 박스 후벽, 박스 바닥벽, 박스 좌측벽 및 박스 우측벽을 포함한다. 힌지 뚜껑(40)은 뚜껑 전벽, 뚜껑 후벽, 뚜껑 상벽, 뚜껑 좌측벽 및 뚜껑 좌측벽을 포함한다. 힌지 뚜껑(40)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힌지선(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폐쇄 위치에서, 힌지 뚜껑(40)은 용기(100)의 접근 개구를 덮고, 힌지 뚜껑(40)의 벽은 대응되는 박스부(30) 벽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개방 위치에서, 힌지 뚜껑(40)은 힌지선(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박스부(3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박스부(30)의 상단부에 있는 접근 개구는 완전히 덮여지지 않는다. 박스부(30)와 힌지 뚜껑(40)은 두께(T)를 갖는 단일 박층 블랭크로부터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용기는 상기 박층 블랭크로부터 조립되고 표준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용기는, 도 1에서 박스부(30)의 측벽인 제1 평면벽(4)을 포함한다. 용기는, 도 1에서 박스부(30)의 전벽인 제2 평면벽(8)도 포함한다. 측벽(4)과 전벽(8)은 만곡된 에지부(2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1의 사시도에서 보이지 않지만, 만곡된 에지부(20)의 내부 표면은, 용기(100)가 조립될 때 만곡된 에지부(20)를 함께 형성하는 복수의 절제선을 포함한다.
5 개의 상이한 박층 블랭크가 생성되고 접혀서 만곡된 에지부를 형성하였다. 각각의 박층 블랭크의 세부 사항은 아래에 제공되며, 각각의 박층 블랭크의 사진 및 그들의 만곡된 에지부가 도 2 내지 도 13에 각각 도시된다. 모든 실시예에서, 박층 블랭크의 내부 표면 상에 복수의 평행한 절제선을 제공하였다. 절제선은 레이저 절제 도구를 박층 블랭크의 내부 표면에 적용하여 상기 표면으로부터 재료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었다. 그 결과 실질적으로 V 형상의 홈이 박층 블랭크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되었다. 목적은 어떤 박층 블랭크 또는 박층 블랭크들(접혔을 때)이 이론적인 만곡된 프로파일에 더 근사한 부드럽고 점진적인 곡률을 갖는 만곡된 에지부를 생성하는지 결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시험과 검사는 절제선이 형성된 2주 후에 ISO 187에 따라 23, 상대 습도 50%에서 수행되었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박층 블랭크 단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실시예 1). 도 3은 도 2(실시예 1)의 블랭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1의 블랭크는 평방미터당 240 그램의 평량과 298 ㎛의 두께(T)를 가졌다. 각각의 절제선은 블랭크 두께(T)의 33%의 최소 잔여 두께 및 0.49 mm의 절제폭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갭은 0.7 mm이고, 적층 이전의 가로 방향으로의 강성을 기준으로 계산된 굽힘 방향으로의 잔여 강성은 32 mN이다. 절제 이전의 박층 블랭크의 강성은 세로 방향으로 197 mN이고 가로 방향으로 98 mN이다(본 실시예에서 가로 방향은 굽힘 방향임).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블랭크는 이론적인 만곡된 프로파일에 더 근사한 점진적 곡률을 갖는 잘 정의된 만곡된 에지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절제선들의 위치는 만곡된 에지부의 외부 표면 상에서 쉽게 확인될 수 없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박층 블랭크 단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실시예 2). 도 5은 도 4(실시예 2)의 블랭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2의 블랭크는 평방미터당 270 그램의 평량과 340 ㎛의 두께(T)를 가졌다. 각각의 절제선은 블랭크 두께(T)의 53%의 최소 잔여 두께 및 0.26 mm의 절제폭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갭은 0.7 mm이고, 적층 이전의 가로 방향으로의 강성을 기준으로 계산된 굽힘 방향으로의 잔여 강성은 76 mN이다. 절제 이전의 박층 블랭크의 강성은 세로 방향으로 290 mN이고 가로 방향으로 145 mN이다(본 실시예에서 가로 방향은 굽힘 방향임).
도 4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블랭크는 이론적인 만곡된 프로파일에 더 근사한 점진적 곡률을 갖는 잘 정의된 만곡된 에지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절제선들의 위치는 만곡된 에지부의 외부 표면 상에서 쉽게 확인될 수 없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박층 블랭크 단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실시예 3). 도 7은 도 6(실시예 3)의 블랭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3의 블랭크는 평방미터당 240 그램의 평량과 298 ㎛의 두께(T)를 가졌다. 각각의 절제선은 블랭크 두께(T)의 58%의 최소 잔여 두께 및 0.25 mm의 절제폭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갭은 0.7 mm이고, 적층 이전의 가로 방향으로의 강성을 기준으로 계산된 굽힘 방향으로의 잔여 강성은 56 mN이다. 절제 이전의 박층 블랭크의 강성은 세로 방향으로 197 mN이고 가로 방향으로 98 mN이다(본 실시예에서 가로 방향은 굽힘 방향임).
도 6 및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블랭크는 이론적인 만곡된 프로파일에 더 근사한 점진적 곡률을 갖는 잘 정의된 만곡된 에지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절제선들의 위치는 만곡된 에지부의 외부 표면 상에서 쉽게 확인될 수 없었다.
비교 실시예 1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지 않는 박층 블랭크 단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비교 실시예 1). 도 9는 도 6의 블랭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1의 블랭크는 평방미터당 240 그램의 평량과 298 ㎛의 두께(T)를 갖는다. 각각의 절제선은 블랭크 두께(T)의 59%의 최소 잔여 두께 및 0.36 mm의 절제폭을 갖는 것으로 측정된다.
갭은 2.1 mm이다. 절제 이전의 박층 블랭크의 강성은 세로 방향으로 197 mN이고 가로 방향으로 98 mN이다(본 실시예에서 가로 방향은 굽힘 방향임).
도 8 및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 실시예 1의 블랭크는 잘 정의된 만곡된 에지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즉, 만곡된 에지부는 이론적인 만곡된 프로파일에 근사한 점진적 곡률을 갖지 않았다. 대신에, 만곡된 에지부은 만곡된 에지부를 따른 박리를 명확하게 보이며 1 평면 패널로부터 제2 평면 패널로 불균일하고 랜덤하게 전이되었다.
비교 실시예 2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지 않는 박층 블랭크 단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비교 실시예 2). 도 11은 도 10의 블랭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비교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2의 블랭크는 평방미터당 240 그램의 평량과 298 ㎛의 두께(T)를 가졌다. 각각의 절제선은 블랭크 두께(T)의 66%의 최소 잔여 두께 및 0.35 mm의 절제폭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갭은 0.71 mm이다. 절제 이전의 박층 블랭크의 강성은 세로 방향으로 197 mN이고 가로 방향으로 98 mN이다(본 실시예에서 가로 방향은 굽힘 방향임).
도 10 및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 실시예 2의 블랭크는 잘 정의된 만곡된 에지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즉, 만곡된 에지부는 이론적인 만곡된 프로파일에 근사한 점진적 곡률을 갖지 않았다. 대신에, 만곡된 에지부은 만곡된 에지부를 따른 박리를 명확하게 보이며 1 평면 패널로부터 제2 평면 패널로 불균일하고 랜덤하게 전이되었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7은, 놀랍게도, 절제선이 본 발명의 박층 블랭크에 적용될 때, 이론적인 만곡된 프로파일에 더 근사한 점진적 곡률을 갖는 더 깨끗하게 보이고 더 잘 정의된 만곡된 에지부가 생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T: 두께
RT: 잔여 두께
W: 폭
A: 절제 영역
L: 길이
X: 절제된 폭
4: 제1 평면벽
8: 전벽
20: 에지부
30: 박스부
40: 힌지 뚜껑
50: 힌지선
100: 용기

Claims (16)

  1. 용기의 일부를 정의하며 두께(T)를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 기반의 박층 블랭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소비자 물품용 용기로서, 만곡된 에지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적어도 제1 평면벽 및 제2 평면벽을 포함하되;
    상기 만곡된 에지부는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갖고, 상기 만곡된 에지부의 상기 내부 표면은 절제 영역(A)을 정의하고, 상기 절제 영역은 상기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L) 및 상기 만곡된 에지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폭(W)을 가지고;
    상기 절제 영역은 상기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둘 이상의 절제선을 포함하되, 각각의 절제선은 상기 박층 블랭크의 두께(T) 미만인 최소 잔여 두께(RT)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절제선 각각의 최소 잔여 두께(RT)는 상기 블랭크 두께(T)의 약 30% 이상 및 약 60% 미만이고;
    서로 인접한 두 절제선의 저점들 사이의 간격은 0.2 mm 초과 및 1.6 mm 미만인,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층 블랭크의 두께(T)는 약 320 ㎛ 내지 약 360 ㎛인,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 영역은 상기 만곡된 에지부의 임의의 길이 방향 위치에서 실질적인 길이에 걸쳐 다섯 개 이상의 상기 절제선을 포함하는,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층 블랭크는 평방미터당 약 160 그램 내지 평방미터당 약 300 그램의 평량을 갖는,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절제선 각각은 상기 만곡된 에지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약 0.5 mm 미만의 절제 폭(X)을 갖는,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절제선 각각은 상기 만곡된 에지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약 0.1 mm 내지 약 0.5 mm의 절제 폭(X)을 갖는,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 영역의 폭(W)은 약 2 mm 내지 약 8 mm인,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 영역 내의 서로 인접한 절제선들 사이의 거리는 약 1.2 mm 미만인,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층 블랭크는 굽힘 방향으로 약 50 mN 내지 약 500 mN의 강성을 갖는,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층 블랭크는 굽힘 방향으로 약 25 mN 내지 약 100 mN의 잔여 강성을 갖는, 용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층 블랭크는 약 0.5 ㎛ 내지 약 1.5 ㎛의 표면 거칠기를 갖는, 용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층 블랭크는 약 1 m/sec 내지 약 2 m/sec의 표면 강도를 갖는, 용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 영역은 상기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2 개의 절제선을 포함하는, 용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벽은 상기 제2 평면벽에 직교하는, 용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자부 전벽, 박스부 후벽, 박스부 제1 및 제2 측벽, 및 박스부 하벽을 포함하는 박스부; 및
    힌지 선을 따라서 박스부의 상부 에지에 매달려 있는 뚜껑부를 포함하되, 상기 뚜껑부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힌지 선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한, 용기.
  16. 소비자 물품용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셀룰로오스 섬유 기반의 박층 블랭크로, 두께(T)를 갖고 상기 용기의 일부를 정의하며, 만곡된 에지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적어도 제1 평면벽 및 제2 평면벽을 포함하되;
    상기 만곡된 에지부는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갖고, 상기 만곡된 에지부의 상기 내부 표면은 절제 영역(A)을 정의하고, 상기 절제 영역은 상기 만곡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L) 및 상기 만곡된 에지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폭(W)을 갖고;
    여기서 상기 절제 영역은 상기 만곡된 에지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둘 이상의 절제선을 포함하되, 각각의 절제선은 상기 박층 블랭크의 두께(T) 미만인 최소 잔여 두께(RT)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절제선 각각의 최소 잔여 두께(RT)는 상기 블랭크 두께(T)의 약 30% 이상 및 약 60% 미만이고;
    서로 인접한 두 절제선의 저점들 사이의 간격은 0.2 mm 초과 및 1.6 mm 미만인, 블랭크.
KR1020177031842A 2015-05-27 2016-05-27 개선된 만곡된 에지를 갖는 용기 KR201800138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9514 2015-05-27
EP15169514.5 2015-05-27
PCT/EP2016/061994 WO2016189128A1 (en) 2015-05-27 2016-05-27 Container having improved curved e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870A true KR20180013870A (ko) 2018-02-07

Family

ID=5326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842A KR20180013870A (ko) 2015-05-27 2016-05-27 개선된 만곡된 에지를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80093817A1 (ko)
EP (1) EP3303178B1 (ko)
JP (1) JP6876000B2 (ko)
KR (1) KR20180013870A (ko)
CN (1) CN107660195B (ko)
AU (1) AU2016269149A1 (ko)
BR (1) BR112017023342B1 (ko)
ES (1) ES2758448T3 (ko)
HK (1) HK1252552A1 (ko)
MX (1) MX2017014905A (ko)
PH (1) PH12017501605A1 (ko)
PL (1) PL3303178T3 (ko)
RU (1) RU2700952C2 (ko)
UA (1) UA123356C2 (ko)
WO (1) WO2016189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03179B1 (en) * 2015-05-27 2019-03-20 Philip Morris Products S.a.s. Container having improved bevelled edg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5775A1 (de) * 1985-05-02 1986-11-06 Focke & Co (GmbH & Co), 2810 Verd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packungen mit abgerundeten oder abgeschraegten kanten
CA2023664C (en) * 1989-08-22 1997-03-18 Klaus Peter Lamm Flip-top cartons
US5143282A (en) * 1990-08-28 1992-09-01 Philip Morri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closed hinged lid boxes
US5924627A (en) * 1997-08-07 1999-07-20 Philip Morris Incorporated Packaging blank and container made therefrom
PL194970B1 (pl) * 1998-06-17 2007-07-31 Focke & Co Pudełko z odchylnym wieczkiem na papierosy lub podobne artykuły
US6510981B1 (en) * 1999-06-09 2003-01-28 General Mills, Inc. Canister with paper and plastic layers and a plastic lid for containing a particulate-type product, such as a ready-to-eat cereal
DE10314375A1 (de) * 2003-03-28 2004-10-07 Focke & Co.(Gmbh & Co. Kg) Klappschachtel für Zigaretten
EP2080717A1 (en) * 2008-01-21 2009-07-22 Philip Morris Products S.A. Hinge lid container
GB201104265D0 (en) * 2011-03-14 2011-04-2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Pack
HUE036651T2 (hu) * 2012-08-24 2018-07-30 Philip Morris Products Sa Szabott darab csomagolás vagy hasonló elõállításához és eljárás ilyen szabott darab elõállítására
US9809348B2 (en) * 2014-10-31 2017-11-0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having texture
ES2909923T3 (es) * 2015-07-31 2022-05-10 Graphic Packaging Int Llc Bote reforzado, combinación de una pieza en bruto reforzada y una pieza en bruto de fondo, y procedimiento para formar un bo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00952C2 (ru) 2019-09-24
RU2017135232A3 (ko) 2019-07-30
JP6876000B2 (ja) 2021-05-26
WO2016189128A1 (en) 2016-12-01
RU2017135232A (ru) 2019-04-05
PH12017501605A1 (en) 2018-03-05
EP3303178A1 (en) 2018-04-11
CN107660195B (zh) 2020-06-26
BR112017023342A2 (pt) 2018-07-17
JP2018515396A (ja) 2018-06-14
PL3303178T3 (pl) 2020-08-24
BR112017023342B1 (pt) 2022-06-14
US20180093817A1 (en) 2018-04-05
AU2016269149A1 (en) 2017-09-28
EP3303178B1 (en) 2019-10-23
UA123356C2 (uk) 2021-03-24
ES2758448T3 (es) 2020-05-05
MX2017014905A (es) 2018-03-23
CN107660195A (zh) 2018-02-02
HK1252552A1 (zh)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6301B2 (en) Round corner container
US20190002188A1 (en) Container with improved opening
KR102587407B1 (ko) 비정사각 에지를 갖는 용기
KR20180013869A (ko) 강도가 개선된 용기
KR20170101204A (ko) 비정사각형 에지가 있는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개선된 블랭크
CN107660195B (zh) 具有改进的弯曲边缘的容器
CN107635889B (zh) 具有改进的斜切边缘的容器
EP3350099B1 (en) Container with a bevelled edge and an adjacent transverse curved edge
KR102525771B1 (ko) 뚜껑 플랩이 있는 개선된 경첩 뚜껑 용기
WO2017001563A1 (en) Container having improved flatness
KR20170132734A (ko) 사각이 아닌 에지를 갖는 개선된 용기
KR20180019531A (ko) 복수의 절단 에지를 갖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