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734A - 사각이 아닌 에지를 갖는 개선된 용기 - Google Patents

사각이 아닌 에지를 갖는 개선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734A
KR20170132734A KR1020177025170A KR20177025170A KR20170132734A KR 20170132734 A KR20170132734 A KR 20170132734A KR 1020177025170 A KR1020177025170 A KR 1020177025170A KR 20177025170 A KR20177025170 A KR 20177025170A KR 20170132734 A KR20170132734 A KR 20170132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ablation
container
longitudinal direction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포 요크 트리츠
데이비드 루돌프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70132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4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 B65D85/10484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having roun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having a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85Hinged lids formed by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blank to U-shape
    • B65D5/6694Hinged lids formed by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blank to U-shape the lid being hinged about a line located in the top surface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소비자 물품용 용기로서, 상기 용기의 일부를 정의하는 블랭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제1 평면벽; 제1 에지부에 의해 제1 평면벽에 연결되는 제2 평면벽; 및 제2 에지부에 의해 상기 제1 평면벽에 연결되는 제3 평면벽을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제1 에지부의 길이 방향은 제2 에지부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른다. 제1 에지부 및 제2 에지부는 층상 블랭크로부터 용기가 조립될 때, 교차부에서 만나는 용기의 서로 인접한 에지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에지부 각각은 내면과 외면을 갖고, 제1 및 제2 에지부의 내면은 제1 절제 영역(A1) 및 제2 절제 영역(A2)을 각각 정의한다. 각각의 절제 영역(A1 및 A2)은 층상 블랭크의 두께(T)보다 작은 잔여 두께, 에지부 각각의 길이 방향의 길이, 및 상기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각각의 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절제된 구역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부는 상기 제1 부분의 폭(W)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다른 하나와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다.

Description

사각이 아닌 에지를 갖는 개선된 용기
본 발명은 소비재용 용기 및 이러한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서, 흡연 물품과 같은 소비재(예를 들어, 궐련)를 수용하기 위한 특별한 용도를 추구한다.
궐련 그리고 엽궐련과 같은 흡연 물품은 통상 플립-탑(flip-top) 박스 또는 힌지 뚜껑(hinge-lid) 박스와 같은, 연질팩 또는 경질팩 내에 제공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박스 전벽, 박스 후벽, 박스 측벽 그리고 박스 베이스를 갖는 박스부를 갖는다. 이들은 통상 뚜껑 전벽, 뚜껑 후벽, 뚜껑 측벽 및 뚜껑 상측을 갖는 뚜껑부도 갖는다. 상기 뚜껑부는 일반적으로 용기의 후벽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힌지선을 따라 박스부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힌지선은 통상 미리 접힌 선(pre-folded line), 접음선(crease line) 또는 눈금선(score line)으로 제공된다.
경질팩의 경우, 박스와 뚜껑의 특정 코너부를 다듬거나 모따기하여 용기에 독특한 외관을 부여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는 과거에 용기의 에지부를 형성하는 영역에서 블랭크에 눈금선 또는 새김선을 제공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선들은 코너부가 날카롭게 구부러지지 않고, 대신 2개의 서로 인접한 벽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구부러지는 방식으로 블랭크가 접히도록 한다.
그러나, 용기가 직각과 같은 각을 형성하는 둥글거나 비스듬한 에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블랭크를 접는 동안 때때로 용기의 강도와 마무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인접한 둥글거나 비스듬한 에지 사이의 교차부에 심지어 구멍이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의 시지각 및 촉지각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용기가 구조적으로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 동안에 손상되는 경향이 적고, 개선된 외관과 보다 매끄러운 느낌을 갖는 소비재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장비와 방법에 상당한 변경을 요구하지 않고 표준 포장 장치 및 기술을 사용해 이러한 하나의 용기를 쉽게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동시에, 생산 및 조립 공정을 보다 쉽고 유연하게 하며, 조립된 용기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적은 소비재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두께(T)를 갖는 층상 블랭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소비재용 용기가 제공된다. 층상 블랭크는 제1 평면벽, 제1 에지부에 의해 제1 평면벽에 연결되는 제2 평면벽, 및 제2 에지부에 의해 제1 평면벽에 연결되는 제3 평면벽을 포함하는 용기의 일부를 정의한다. 제1 에지부의 길이 방향은 제2 에지부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른다. 제1 에지부 및 제2 에지부는, 층상 블랭크로부터 용기가 조립될 때, 교차부에서 만나는 용기의 서로 인접한 에지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에지부 각각은 내면과 외면을 갖는다. 제1 및 제2 에지부의 내면은 제1 절제 영역(A1) 및 제2 절제 영역(A2)을 각각 정의한다. 각각의 절제 영역(A1 및 A2)은 층상 블랭크의 두께(T)보다 작은 잔여 두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절제된 구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절제 영역(A1 및 A2)은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이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각각의 폭을 갖는다. 또한,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부분의 폭(W)으로부터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다른 하나와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일 단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블랭크의 스프링-백 힘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층상 블랭크의 샘플 부분을 도시하고;
도 2는 블랭크의 스프링-백 힘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제조를 위한 층상 블랭크의 제1 실시예의 세부 사항의 개략적인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제조를 위한 층상 블랭크의 제2 실시예의 세부 사항의 개략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라서, 소비재용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층상 블랭크가 제공된다. 층상 블랭크는 두께(T)를 가지며, 용기의 제1 평면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벽 패널, 용기의 제2 평면벽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에지부에 의해 제1 벽 패널에 연결된 제2 벽 패널, 및 용기의 제3 평면벽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에지부에 의해 제1 벽 패널에 연결된 제3 벽 패널을 포함한다. 제1 에지부의 길이 방향은 제2 에지부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른다. 제1 에지부 및 제2 에지부는 층상 블랭크로부터 용기가 조립될 때, 교차부에서 만나는 용기의 서로 인접한 에지를 형성한다. 제1 에지부 및 제2 에지부는 내면과 외면을 갖는다. 제1 에지부 및 제2 에지부의 내면은 제1 절제 영역(A1) 및 제2 절제 영역(A2)을 각각 정의한다. 각각의 절제 영역(A1 및 A2)은 층상 블랭크의 두께(T)보다 작은 잔여 두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절제된 구역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절제 영역(A1 및 A2)은 변형된 에지부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이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각각의 폭을 갖는다. 또한,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의 폭(W)으로부터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다른 하나와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를 참고하여 설명된 임의의 특징이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양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용기의 2개의 인접한 사각이 아닌(예를 들어, 둥글거나 비스듬한) 코너를 형성하는 블랭크의 부분 내에서 재료가 제거되는 공지의 블랭크/용기와 대조적으로, 상기 절제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인접한 절제 영역과의 교차부를 향해서 테이퍼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재료는 용기 평면벽의 에지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절제 영역 내에서 제거된다. 절제 영역은 제1 부분(예를 들어,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짐),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절제 영역과 용기의 동일한 평면벽의 인접한 에지를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다른 절제 영역과의 교차점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진 단부를 포함한다.
인접한 절제 영역들 사이의 간섭이 제한되므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지라도, 접는 작업 도중에 블랭크/용기가 손상될 위험은 상당히 감소된다. 따라서, 용기를 형성할 때 블랭크의 구부러짐이 더 쉬워지고, 만졌을 때 더 매끄러운 표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동시에, 둥근/비스듬한 에지에서 용기의 강도가 더 잘 보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있어서, 둥글거나 비스듬한 에지와 같이 사각이 아닌 에지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블랭크가 둥글거나 비스듬한 에지에서 구부러져 성형될 때, 총 편향의 일부가 절제 영역의 각 감소된 두께 부분에 의하여 흡수되므로, 생성된 용기 에지는 날카로운 눈금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더 원활하게 바람직한 형태를 유리하게 취하게 된다. 또한, 테이퍼진 형태와 서로 인접한 절제된 구역의 상호 배치 때문에, 용기의 인접한 둥글거나 비스듬한 에지들은, 간섭하는 절제된 구역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블랭크나 용기에 대한 임의의 상당한 손상 없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 작업 동안에 용기 내에 구멍이나 간격이 형성될 위험이 유리하게도 상당히 감소된다.
블랭크의 외면은 절제 공정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생성된 용기의 외면은 소비자 측의 시각 그리고 촉각 검사시 매끄럽다. 또한, 이렇게 매끄럽고 둥근 표면이 비교적 적은 수의 절제된 구역으로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둥글거나 비스듬한 코너에서의 용기 강도가 재료의 제한된 제거로 조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용기의 외관 및 저항성 모두 유리하게 개선된다.
유리하게는, 블랭크는 선형 절제 도구(예를 들어, 레이저, 블레이드)로 둥근 코너부로부터 재료를 정확하게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블랭크의 주어진 부분을 절제 도구가 반복적으로 통과함으로써, 보다 큰 백분율의 재료가 제어된 상태로 제거되고, 이는 잔여 두께의 감소로 이어진다.
용어 “에지부”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이 아닌(non-square) 형상을 갖는 용기의 에지부를 특히 지칭하도록 본원에서 사용된다. 이는, 예를 들어, 단면에서 보았을 때 호와 같은(arc-like) 형상을 갖는 용기의 에지부인 “곡선형 에지부(curved edge portion)”를 지칭할 수도 있다. 원형 원호, 포물선 원호, 쌍곡선 원호, 타원형 원호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비직선에 대한 참조가 용어 "호와 같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는 예를 들어, "비스듬한 에지부 ", 즉, 단면에서 보았을 때 용기의 인접한 벽면들과 0도 내지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직선형인 용기의 에지부를 지칭할 수 있다.
용어 "내면"은 용기가 조립될 때, 용기의 내부와 대향하는, 예를 들어, 용기가 닫혔을 때 소비재와 대향하는 블랭크의 일부분의 일측을 지칭하도록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된다. 따라서, 용기가 닫혔을 때 내면은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보여지지 않는다. 용어 "외면"은 용기가 조립될 때, 용기의 외부와 대향하는 블랭크의 일부분의 일측을 지칭하도록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된다.
용어 "절제 영역(ablation area)"은 하나의 에지부 상의 모든 절제된 구역을 둘러싸는 블랭크의 최소 영역을 지칭하도록 본원에서 사용된다.
용어 “절제된 구역(ablated zone)”은 층상 블랭크 또는 용기의 표면으로부터 재료가 절제된(예를 들어, 레이저 빔 또는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된) 곡선형 에지부의 영역을 지칭하도록 본원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절제된 구역의 잔여 두께는 층상 블랭크의 두께(T)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절제된 구역은 홈으로서 블랭크 내부에 제공된다. 이는 레이저 또는 블레이드와 같은 선형 절제 도구로 형성될 수 있다. 블랭크 내의 평행한 홈에 의해 모든 절제된 구역이 정의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절제 영역의 영역은 곡선형 에지부 상의 모든 홈을 둘러싸는 영역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절제 영역의 폭은 곡선형 에지부 상의 첫번째 홈에서 마지막 홈까지, 홈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경사진(slanted)”은 기준 방향, 예를 들어, 절제 영역의 길이 방향 또는 용기 벽의 축에 대해 0이 아닌 각을 형성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절제된 구역의 일 구간을 설명하도록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절제된 구역의 “경사진” 구간은 그 전체로서 상기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절제된 구역의 “경사진” 구간은 실질적으로 직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절제된 구역의 “경사진” 구간이 연장되는 방향은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절제된 구역의 “경사진” 구간은 폴리라인 또는 곡선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용어 "잔여 두께"는 층상 블랭크의, 또는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용기 벽의 2개의 대향 표면 사이에서 측정된 최소 거리를 지칭하도록 본원에서 사용된다. 실제로, 주어진 위치에서의 거리는 대향 표면들에 국부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실질적으로 절제된 구역(평평한 프로파일) 전체에 걸쳐 재료가 균질하게 제거된다면, 절제된 구역의 "잔여 두께"는 절제된 구역에 걸쳐 일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절제된 구역에 걸쳐 재료가 비균질하게 제거된다면(예를 들어, V-형, U-형 홈), 절제된 구역의 잔여 두께는 절제된 구역의 폭에 걸쳐 변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 "후", "상", "하", "상부", "바닥" 및 "측"은 접속 개구를 상부에 가진 용기가 직립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부분 및 그의 구성요소의 상대 위치를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용기가 힌지된 뚜껑을 가진 용기인 경우, 이는 뚜껑이 밀폐 위치에 있고 힌지선이 용기의 후방에 있는 상태로 용기가 직립 위치에 있음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설명할 때,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되고 있는 용기의 방향과 관계없이 사용된다.
용어 "스프링-백 힘(spring-back force)"은 층상 블랭크의 특정 성질을 지칭하기 위한 당 업계의 공지된 용어이다. 이는 때로는 ‘주름 회복(the crease recovery)’으로 지칭되며, 90도로 접힌 눈금(scored) 샘플을 15초 동안 유지하는데 필요한 힘(N)을 의미한다. 측정은 15초 기간이 끝날 때 이루어진다. 층상 블랭크 일부의 스프링-백 힘은 공지된 PIRA 주름 및 판지 강연도 시험기(PIRA Crease and Board Stiffness Tester)(예를 들어 영국 Messmer and Buchel에서 시판 중임)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당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용기의 곡선형 에지부의 스프링-백 힘을 측정하기 위하여, 테스트될 부분의 샘플이 먼저 층상 블랭크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둥근 모서리 팩의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38±1 mm × 38±0.5 mm 크기이고 블랭크의 일측으로부터 21±0.5 mm에 위치하는 코너 형성부를 갖는 샘플을 사용하여 팩의 스프링-백 힘을 측정한다. 테스트 전에 블랭크는 적어도 24시간 동안 섭씨 22도 및 상대 습도 60%에서 조절되어야 한다.
가장 일반적인 조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두께(T)를 갖는 층상 블랭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층상 블랭크는 제1 평면벽, 제1 에지부에 의해 제1 평면벽에 연결되는 제2 평면벽, 및 제2 에지부에 의해 제1 평면벽에 연결되는 제3 평면벽을 포함하는 용기의 일부를 정의한다. 제1 에지부의 길이 방향은 제2 에지부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고, 제1 에지부 및 제2 에지부는 층상 블랭크로부터 용기가 조립될 때, 교차부에서 만나는 용기의 서로 인접한 에지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에지부 각각은 내면과 외면을 갖고, 제1 및 제2 에지부의 내면은 제1 절제 영역(A1) 및 제2 절제 영역(A2)을 각각 정의한다. 각각의 절제 영역(A1 및 A2)은 에지부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이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각각의 폭을 가지며, 층상 블랭크의 두께(T)보다 작은 잔여 두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절제된 구역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부분의 폭(W)으로부터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다른 하나와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단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모두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부분의 폭으로부터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다른 하나와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단부를 각각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평면벽의 코너부는 제1 절제 영역(A1) 단부의 경사진 절제된 구역 및 제2 절제 영역(A2)의 경사진 절제된 구역에 의해서 구분되고, 각 경사진 절제된 구역은 각각의 에지부의 길이 방향과 0이 아닌 각을 형성한다.
이는 인접한 에지부 사이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따라서 조립 공정 동안 용기를 손상시킬 위험이 특히 제한된다. 또한, 용기의 마감과 외관이 유리하게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절제 영역(A1 및 A2)은 제1 절제된 구역, 및 절제 영역의 제1 부분 내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절제된 구역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절제된 구역 각각은 제1 평면벽 및 제2 또는 제3 평면벽의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절제 영역(A1) 및 제2 절제 영역(A2) 중 적어도 하나는 절제 영역의 제1 부분 내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모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절제된 구역을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절제된 구역은 제1 절제 영역(A1) 또는 제2 절제 영역(A2)의 테이퍼진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변경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의 직선을 따라 바람직하게 연장된다. 이는 층상 블랭크의 테이퍼진 단부를 더 약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는 용기의 서로 인접한 에지가 만나는 교차부 주위에서, 더 점진적인 곡률과 프로파일을 용기 내에 생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확인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절제된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변경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과 0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을 따라 절제 영역의 테이퍼진 단부의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경사진 구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절제 영역(A1) 및 제2 절제 영역(A2) 중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절제 영역의 테이퍼진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변경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절제된 제1 구역, 및 한 쌍의 절제된 제1 구역과 0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는 경사진 구간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절제된 제2 구역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절제된 제2 구역 내의 절제된 구역들은 한 쌍의 절제된 제1 구역 내의 절제된 구역들과 대칭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절제 영역(A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부분의 폭으로부터 제2 절제 영역(A2)과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단부를 포함하되, 제2 절제 영역(A2)은 제2 절제 영역(A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절제된 구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평면벽의 코너부는 제2 절제 영역(A2)의 곧은 절제된 구역, 및 제1 에지부의 길이 방향과 0이 아닌 각을 형성하는 제1 절제 영역(A1) 단부의 경사진 절제된 구역에 의해 구분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층상 블랭크는 제1 평면벽, 제1 에지부에 의해 제1 평면벽에 연결되는 제2 평면벽, 제2 에지부에 의해 제1 평면벽에 연결되는 제3 평면벽, 및 제3 에지부에 의해 제1 평면벽에 연결되는 제4 평면벽을 포함하는 용기의 일부를 정의한다. 제1 에지부의 길이 방향은 제2 에지부의 길이 방향 및 제3 에지부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른다. 제2 에지부의 길이 방향은 제3 에지부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층상 블랭크로부터 용기가 조립될 때, 제1 에지부 및 제2 에지부는 제1 교차부에서 만나는 용기의 서로 인접한 에지들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조립된 용기에서, 제1 에지부 및 제3 에지부는 제2 교차부에서 만나는 용기의 서로 인접한 에지들을 형성한다. 제1, 제2, 및 제3 에지부 각각은 내면과 외면을 갖고, 내면들은 제1 절제 영역(A1), 제2 절제 영역(A2), 및 제3 절제 영역(A3)을 각각 정의한다. 각각의 절제 영역(A1, A2 및 A3)은 에지부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이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각각의 폭을 갖고, 층상 블랭크의 두께(T)보다 작은 잔여 두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절제된 구역을 포함한다. 제1 절제 영역(A1)은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각각 제1 부분의 폭(W)으로부터 제2 및 제3 절제 영역(A2 및 A3) 각각의 영역과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2개의 대향 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절제선 각각은 블랭크 두께(T)의 적어도 약 5%의 잔여 두께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절제선 각각은 블랭크 두께(T)의 적어도 약 10%의 잔여 두께를 갖는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절제선 각각은 블랭크 두께(T)의 적어도 약 20%의 잔여 두께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또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절제선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블랭크 두께(T)의 약 50% 미만의 잔여 두께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절제선 각각은 블랭크 두께(T)의 약 40% 미만의 잔여 두께를 갖는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절제선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블랭크 두께(T)의 약 30% 미만의 잔여 두께를 갖는다. 일부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절제선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블랭크 두께(T)의 약 20% 미만의 잔여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절제된 구역의 절제된 폭은 적어도 약 0.01 mm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절제된 구역의 절제된 폭은 적어도 약 0.05 mm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각각의 절제된 구역의 절제된 폭은 약 0.4 mm 미만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절제된 구역의 절제된 폭은 약 0.2 mm 미만이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절제된 구역의 절제된 폭은 약 0.01 mm 내지 약 0.4 mm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절제된 구역의 절제된 폭은 약 0.05 mm 내지 약 0.2 mm이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곡선형 에지부에 의해 연결되는 2개의 평면벽 사이에서 약 10 mNm(밀리뉴턴미터) 미만의 스프링-백 힘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소비재, 특히 세장형 소비자 물품, 예컨대 흡연 물품의 용기로서의 구체적인 용도를 추구한다. 그러나, 이들은 몇 가지 다른 유형의 소비재에 사용될 수도 있다.
블랭크는, 판지(cardboard), 보드지(paperboard), 플라스틱, 금속,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들이나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랭크는 약 100 g/m2과 약 350 g/m2 사이의 중량을 가진 층상 판지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블랭크는 약 100 ㎛ 내지 약 500 ㎛, 바람직하게는 약 200 ㎛ 내지 약 350 ㎛의 두께를 갖는다.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고밀도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배향된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염화폴리비닐리덴, 셀룰로오스 필름, 또는 이들의 조합의 투명한 중합체 필름인 외부 래퍼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부 래퍼는 종래 방식으로 적용된다. 상기 외부 래퍼는 개봉 테이프(tear tap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래퍼에는 이미지, 소비자 정보 또는 기타 데이터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재는 금속 호일 또는 금속화된 종이로 형성된 내부 패키지 안에 포장된 다발의 형태로 용기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내부 패키지 재료는, 금속화된 폴리에틸렌 필름과 라이너 재료의 적층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 재료는 수퍼캘린더 처리된 글라신지(super-calendered glassine paper)일 수 있다. 또한, 내부 패키지 재료에는 인쇄 수용성 상부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내부 패키지는 용기의 뚜껑이 각각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소비재가 제거될 수 있는 접근 개구를 갖는다.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좁은 벽에 의해 이격된 2개의 넓은 벽을 포함하는 직육면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뚜껑 용기는 직각의 길이 방향 에지 및 직각의 가로 방향 에지를 갖는 직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힌지 뚜껑 용기는 하나 이상의 둥근 길이 방향 에지, 둥근 가로 방향 에지, 경사진(bevelled) 길이 방향 에지 또는 경사진 가로 방향 에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뚜껑 용기는 제한 없이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전벽 상의 하나 또는 2개의 길이 방향 둥근 에지, 및/또는 후벽 상의 하나 또는 2개의 길이 방향 둥글거나 경사진 에지.
- 전벽 상의 하나 또는 2개의 가로 방향 둥근 에지, 및/또는 후벽 상의 하나 또는 2개의 가로 방향 둥글거나 경사진 에지.
- 전벽 상의 하나의 길이 방향 둥근 에지 및 하나의 길이방향 경사진 에지, 및/또는 후벽 상의 하나의 가로 방향 둥근 에지 및 하나의 가로 방향 경사진 에지.
- 전벽 상의 하나 또는 2개의 가로 방향 둥글거나 경사진 에지 및 전벽 상의 하나 또는 2개의 길이 방향 둥글거나 경사진 에지.
- 제1 측벽 상의 2개의 길이 방향 둥글거나 경사진 에지, 또는 제2 측벽 상의 2개의 가로 방향 둥글거나 경사진 에지.
용기가 하나 이상의 경사진 에지를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진 에지는 약 1 mm와 약 10 mm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2 mm와 약 6 mm 사이의 폭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용기는 2개 이상의 구별되는 경사가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 상에 형성되도록 이격된 평행한 주름선 또는 눈금선들에 의해 형성된 다중-경사진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용기는 직사각형이 아닌 횡단면, 예를 들어, 삼각형이나 육각형, 반타원형이나 반원형과 같은 다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예를 들어, 궐련, 엽궐련(cigars) 또는 가는 엽궐련(cigarillo)과 같은 세장형 흡연 물품용 팩으로서의 구체적인 용도를 추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그 치수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상이한 개수의 종래 사이즈, 킹 사이즈, 슈퍼 킹 사이즈, 슬림 또는 슈퍼 슬림 궐련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다른 소비재들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은, 그 치수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상이한 총 개수의 흡연 물품들, 또는 배열이 다른 흡연 물품들을 수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그 치수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총 10개 내지 30개의 흡연 물품들을 수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상기 흡연 물품들은 흡연 물품의 총 개수에 따라서 상이한 조합(collation)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들은 동일한 유형이나 브랜드, 또는 상이한 유형이나 브랜드의 흡연 물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무필터 흡연 물품 및 다양한 필터 팁(tip)을 갖는 흡연 물품 모두를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이한 길이(예를 들면, 약 40 mm 내지 약 180 mm), 직경(예를 들면, 약 4 mm 내지 약 9 mm)의 흡연 물품도 수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치수는 흡연 물품의 길이 및 흡연 물품의 조합에 맞춰진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외부 치수는 용기 내측에 수용된 흡연 물품의 다발 또는 다발들의 치수보다 약 0.5 mm 내지 약 5 mm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길이, 폭 및 깊이는, 결과로서 생성되는 용기의 전반적인 치수가 20개 궐련의 일반적인 일회용 팩의 치수와 유사해 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약 60 mm 내지 약 150 mm의 높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mm 내지 약 125 mm의 높이를 가지되, 여기서 높이는 용기의 바닥벽으로부터 상부벽까지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약 12 mm 내지 약 150 mm의 폭,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mm 내지 약 125 mm의 폭을 가지되, 여기서 폭은 용기의 일 측벽으로부터 타 측벽까지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약 6 mm 내지 약 150 mm의 깊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2 mm 내지 약 25 mm의 깊이를 가지되, 여기서 깊이는 용기의 전벽으로부터 후벽까지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깊이에 대한 용기의 높이의 비는 약 0.3 대 1과 약 10 대 1 사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대 1과 약 8 대 1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대 1과 5 대 1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깊이에 대한 용기의 폭의 비는 약 0.3 대 1과 약 10 대 1 사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대 1과 약 8 대 1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대 1과 3 대 1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슬리브의 박스 후벽의 높이에 대한 뚜껑 후벽의 높이의 비는 약 0 대 1(용기의 상부 에지에 뚜껑이 위치됨)과 약 1 대 1 사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대 5와 약 1 대 10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대 6과 약 1 대 8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슬리브의 박스 전벽의 높이에 대한 외측 슬리브의 뚜껑 전벽의 높이의 비는 약 1 대 0(뚜껑이 전벽 전체를 덮고 있음)과 약 1 대 10 사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대 1과 약 1 대 5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대 2와 약 1 대 3 사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외부 표면에는, 제조사나 브랜드 로고, 상표, 슬로건 및 다른 소비자 정보 및 표식이 인쇄되거나, 양각되거나, 음각되거나 달리 장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블랭크 내에 절제된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변경된 종래의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여 충전되고 조립될 수 있다. 절제된 구역은 레이저 또는 블레이드와 같은 절제 도구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절제 도구로서 레이저가 특히 바람직한데, 이는 필요한 레이저 도구의 조정을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절제 프로파일 및 구성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레이저는 블랭크의 주어진 부분 위로 반복적으로 통과하여 상이한 양의 재료를 반복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매우 미세하게 제어된 절제 프로파일을 허용할 수 있다. 이는, 좁은 폭을 갖는 미세한 절제선들이 요구되는 경우에 특히 유익하다. 절제 영역에 걸쳐 다양한 제거 강도("깊이")를 갖는 임의의 유형의 패턴을 형성하도록 레이저 및 블랭크의 상대적인 운동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약 300 ㎛의 두께(T)를 갖는 판지 층상 블랭크(100)의 표면을 도시한다. 이는 용기의 제1 평면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벽 패널(101), 용기의 제2 평면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벽 패널(102), 및 용기의 제3 평면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3 벽 패널(103)을 포함한다. 제1 에지부(104)는 제1 벽 패널(101)과 제2 벽 패널(102)을 연결한다. 제2 에지부(105)는 제1 벽 패널(101)과 제3 벽 패널(103)을 연결한다. 제1 에지부(104)의 길이 방향은 제2 에지부(105)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층상 블랭크로부터 용기가 조립될 때, 제1 에지부(104) 및 제2 에지부(105)는 교차부에서 만나는 용기의 서로 인접한 에지들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에지부(104 및 105)의 표면은 제1 절제 영역(A1) 및 제2 절제 영역(A2)을 각각 정의한다.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절제 영역(A1 및 A2)은 층상 블랭크의 두께(T)보다 작은 잔여 두께를 갖는 복수의 절제된 구역을 포함한다. 절제된 구역들은 용기가 조립될 때 블랭크(100)가 쉽게 구부러질 수 있고, 용기의 둥근 모서리들이 쉽게 형성될 수 있도록 취약 영역을 형성한다. 절제된 구역 각각은 층상 블랭크 두께(T)의 약 20%의 잔여 두께를 갖는다. 절제된 구역은 레이저 절제에 의해 블랭크(100) 내에 형성된다.
각각의 절제 영역(A1 및 A2)은 에지부(104 및 105)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이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각각의 폭을 갖는다.
제1 절제 영역(A1)은 제1 부분(106), 및 제1 부분(106)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부분(106)의 폭으로부터 제2 절제 영역(A2)과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단부(107)를 포함한다.
제1 절제 영역(A1)은 제1 절제 영역(A1)의 제1 부분(106) 내의 제1 에지부(104)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절제된 구역(201) 및 제2 절제된 구역(20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절제된 구역(201 및 202)은 제2 절제 영역(A2)과의 교차점에서 끝나는 상기 단부(107)에 걸쳐 테이퍼진다.
제1 절제된 구역(201)은 제1 벽 패널(101)에 근접하게 배열되고, 제2 절제된 구역(202)은 제1 벽 패널(102)에 근접하게 배열된다. 또한, 제1 절제 영역(A1)은 절제 영역의 제1 부분(106) 내의 제1 에지부(104)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4개의 절제된 구역(203, 204, 205 및 206)을 포함한다.
절제된 구역(204 및 205)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절제된 구역은 제1 에지부(104)의 길이 방향으로 제1 절제 영역(A1)의 테이퍼진 단부(107)의 일부까지 더 연장된다. 이와 반대로, 한 쌍의 절제된 구역(203 및 206)은 상기 절제된 구역(204 및 205)과 약 10 도의 각을 형성하는 경사진 구간(2031 및 2061)을 각각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제된 구역(203 및 206)은 절제된 구역(204 및 205)에 의해 형성된 한 쌍에 대해 대칭이다.
제2 절제 영역(A2)은 제2 절제 영역(A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2 에지부(105)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절제된 구역(3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평면벽(101)의 코너부는 제2 절제 영역(A2)의 실질적으로 직선인 절제된 구역(300)에 의해, 및 제1 절제 영역(A1)의 절제된 구역(201)의 테이퍼진 부분에 의해 구분된다.
도 4는 다른 판지 층상 블랭크(400)의 표면을 도시한다. 판지 층상 블랭크(400)는 판지 층상 블랭크(100)와 다른 점에 국한해서 아래에 설명될 것이고, 층상 블랭크(100)의 해당 부분들과 동일한 특징 및 기능을 갖는 블랭크(400)의 부분들은 가능하면 동일한 부호로 참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400)는 블랭크(100)와 다른데, 이는 제2 절제 영역(A2) 또한 제1 부분(406), 및 제 1 부분(406)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부분(406)의 폭으로부터 제1 절제 영역(A1)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단부(407)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제2 절제 영역(A2) 내에서 절제된 구역들(501, 502, 503, 504, 505 및 506)이 상호 배열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절제 영역(A1) 내에서 절제된 구역들(201, 202, 203, 204, 205 및 206)이 상호 배열되는 것과 일치한다.
따라서, 블랭크(400)에 있어서, 제1 평면벽 패널(101)의 코너부는 제2 절제 영역(A2)의 절제된 구역(501)의 테이퍼진 부분에 의해, 및 제1 절제 영역(A1)의 절제된 구역(201)의 테이퍼진 부분에 의해 구분된다.
100: 판지 층상 블랭크
101: 제1 벽 패널
102: 제2 벽 패널
103: 제3 벽 패널
104: 제1 에지부
105: 제2 에지부
106: 제1 부분
107: 단부
201 및 202: 제1 및 제2 절제된 구역
203, 204, 205 및 206: 절제된 구역
300: 절제된 구역
400: 블랭크
406: 제1 부분
407: 단부
501, 502, 503, 504, 505 및 506: 절제된 구역
2031 및 2061: 경사진 구간

Claims (15)

  1. 두께(T)를 갖는 층상 블랭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소비재용 용기로서,
    제1 평면벽;
    제1 에지부에 의해 상기 제1 평면벽에 연결되는 제2 평면벽; 및
    제2 에지부에 의해 상기 제1 평면벽에 연결되는 제3 평면벽을 포함하되, 상기 층상 블랭크는 상기 용기의 일부를 정의하고;
    상기 제1 에지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2 에지부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1 에지부 및 상기 제2 에지부는 상기 층상 블랭크로부터 상기 용기가 조립될 때, 교차부에서 만나는 상기 용기의 서로 인접한 에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에지부 및 상기 제2 에지부 각각은 내면과 외면을 갖되, 상기 제1 에지부 및 상기 제2 에지부의 내면은 제1 절제 영역(A1) 및 제2 절제 영역(A2)을 각각 정의하고;
    각각의 절제 영역(A1 및 A2)은 상기 층상 블랭크의 두께(T)보다 작은 잔여 두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절제된 구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절제 영역(A1 및 A2)은 에지부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이 길이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폭을 가지며;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의 폭(W)으로부터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다른 하나와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단부를 포함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모두는 각각의 제1 부분, 및 상기 각각의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각각의 제1 부분의 폭으로부터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다른 하나와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각각의 단부를 포함하는,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절제 영역은 제1 절제된 구역, 및 절제 영역의 제1 부분 내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절제된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제된 구역 및 상기 제2 절제된 구역 각각은 상기 제1 평면벽 및 상기 제1 평면벽 또는 상기 제2 평면벽의 각각에 근접하여 각각 배치된,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절제 영역(A1) 및 제2 절제 영역(A2) 중 적어도 하나는 절제 영역의 제1 부분 내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모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절제된 구역을 포함하는,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절제된 구역은 제1 절제 영역(A1) 또는 제2 절제 영역(A2)의 테이퍼진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변경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용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절제된 구역은 변경된 에지부의 길이 방향과 0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을 따라 절제 영역의 테이퍼진 단부의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경사진 구간을 포함하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절제 영역(A1) 및 제2 절제 영역(A2) 중 적어도 하나는 절제 영역의 테이퍼진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절제된 제1 구역, 및 상기 한 쌍의 절제된 제1 구역과 0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는 경사진 구간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절제된 제2 구역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절제된 제2 구역 내의 절제된 구역들은 상기 한 쌍의 절제된 제1 구역 내의 절제된 구역과 대칭인,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된 구역 각각은 상기 층상 블랭크 두께(T)의 약 50% 미만의 잔여 두께를 갖는,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절제된 구역 각각은 상기 층상 블랭크 두께(T)의 적어도 약 5%의 잔여 두께를 갖는,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절제 영역(A1)은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의 폭으로부터 제2 절제 영역(A2)과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단부를 포함하고, 제2 절제 영역(A2)은 제2 절제 영역(A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에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절제된 구역을 포함하는,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지부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2 에지부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길이 방향을 갖는 제3 에지부에 의해 상기 제1 평면벽에 연결된 제4 평면벽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용기가 상기 층상 블랭크로부터 조립될 때, 상기 제1 에지부 및 상기 제3 에지부는 제2 교차부에서 만나는 상기 용기의 서로 인접한 에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3 에지부는 내면 및 외면을 갖되, 상기 제3 에지부의 상기 내면은 상기 제3 에지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 및 상기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폭을 갖는 제3 절제 영역(A3)을 정의하고;
    제3 절제 영역(A3)은 상기 층상 블랭크의 두께(T)보다 작은 잔여 두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절제된 구역을 포함하고, 제1 절제 영역(A1)은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1 부분의 폭(W)으로부터 제2 및 제3 절제 영역(A2 및 A3)의 각각의 영역과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2개의 대향 단부를 포함하는, 용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평면벽 또는 상기 제2 평면벽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평면벽과의 사이에서 약 10 mNm(밀리뉴턴미터) 미만의 스프링-백 힘을 갖는, 용기.
  13. 흡연 물품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용기.
  14. 소비재용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층상 블랭크로서, 두께(T)를 가지며,
    상기 용기의 제1 평면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벽 패널;
    상기 용기의 제2 평면벽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에지부에 의해 상기 제1 벽 패널에 연결된 제2 패널; 및
    상기 용기의 제3 평면벽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에지부에 의해 상기 제1 평면벽에 연결되는 제3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에지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2 에지부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1 에지부 및 상기 제2 에지부는 상기 층상 블랭크로부터 용기가 조립될 때, 교차부에서 만나는 상기 용기의 서로 인접한 에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에지부 및 상기 제2 에지부는 내면과 외면을 갖되, 상기 제1 에지부 및 상기 제2 에지부의 내면은 제1 절제 영역(A1) 및 제2 절제 영역(A2)을 각각 정의하고;
    각각의 절제 영역(A1 및 A2)은 상기 층상 블랭크의 두께(T)보다 작은 잔여 두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절제된 구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절제 영역(A1 및 A2)은 상기 에지부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이 길이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폭을 가지며;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의 폭(W)으로부터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다른 하나와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단부를 포함하는, 층상 블랭크.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모두는 각각의 제1 부분, 및 상기 각각의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각각의 제1 부분의 폭으로부터 제1 및 제2 절제 영역(A1 및 A2) 중 다른 하나와의 교차점까지 테이퍼진 각각의 단부를 포함하는, 층상 블랭크.
KR1020177025170A 2015-03-31 2016-03-31 사각이 아닌 에지를 갖는 개선된 용기 KR201701327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2005.1 2015-03-31
EP15162005 2015-03-31
PCT/EP2016/057149 WO2016156539A1 (en) 2015-03-31 2016-03-31 Improved container with non-squared ed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734A true KR20170132734A (ko) 2017-12-04

Family

ID=5278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170A KR20170132734A (ko) 2015-03-31 2016-03-31 사각이 아닌 에지를 갖는 개선된 용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80037361A1 (ko)
EP (1) EP3277591A1 (ko)
JP (1) JP2018513061A (ko)
KR (1) KR20170132734A (ko)
CN (1) CN107406187A (ko)
AR (1) AR104130A1 (ko)
MX (1) MX2017012229A (ko)
RU (1) RU2017134685A (ko)
SG (1) SG11201706334PA (ko)
TW (1) TW201641027A (ko)
WO (1) WO20161565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328751T3 (pl) * 2015-07-31 2020-11-16 Philip Morris Products S.A. Opakowanie z krawędziami niekwadratowymi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6548A1 (de) * 2001-02-13 2002-08-22 Philip Morris Prod Zuschnittbogen und daraus hergestellte Schachtel, insbesondere für Zigaretten
RU2384500C1 (ru) * 2006-05-30 2010-03-20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Упаковка для стержнеобразных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и заготовка для этой упаковки
CN201031037Y (zh) * 2007-04-26 2008-03-05 山东中烟工业公司 能够反复开合的包装卷烟软盒
IT1391001B1 (it) * 2008-07-04 2011-10-27 Marco Vecchi Pacchetto e relativo fustellato
DE102011105695A1 (de) * 2011-05-05 2012-11-08 Focke & Co. (Gmbh & Co. Kg) Packung für Zigaretten sowie Zuschnitt, Materialbah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7012229A (es) 2018-05-04
AR104130A1 (es) 2017-06-28
RU2017134685A (ru) 2019-04-05
CN107406187A (zh) 2017-11-28
JP2018513061A (ja) 2018-05-24
WO2016156539A1 (en) 2016-10-06
US20180037361A1 (en) 2018-02-08
TW201641027A (zh) 2016-12-01
EP3277591A1 (en) 2018-02-07
SG11201706334PA (en) 2017-09-28
RU2017134685A3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6301B2 (en) Round corner container
KR102587407B1 (ko) 비정사각 에지를 갖는 용기
US20170349364A1 (en) Improved blank for forming a container with non-square edges
US20180155116A1 (en) Container having improved strength
KR20170132734A (ko) 사각이 아닌 에지를 갖는 개선된 용기
US10486894B2 (en) Container with a bevelled edge and an adjacent transverse curved edge
US11278989B2 (en) Hinge lid container with lid flap
US20180118446A1 (en) Container having improved bevelled edge
KR20180013870A (ko) 개선된 만곡된 에지를 갖는 용기
US20180170657A1 (en)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cut ed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