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143A - 광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3143A KR20180013143A KR1020160096385A KR20160096385A KR20180013143A KR 20180013143 A KR20180013143 A KR 20180013143A KR 1020160096385 A KR1020160096385 A KR 1020160096385A KR 20160096385 A KR20160096385 A KR 20160096385A KR 20180013143 A KR20180013143 A KR 201800131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 groove
- housing
- boot
- optical fi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3—Adjustment or alignment devices for alignment prior to splicing
- G02B6/3805—Adjustment or alignment devices for alignment prior to splicing with a fibre-supporting member incl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lignment means
-
- G02B6/4466—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7—Installation in buildings
- G02B6/475—Mechanical aspects of installing cables in ducts or the like for build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08—Fixation devices in ducts for drawing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플러그;및 상기 플러그에 결합하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광접속부와,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부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접속부는 접속홈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접속홈을 덮는 덮개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덮개를 감싸 상기 덮개를 가압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홀더와 접촉하는 광 커넥터를 제공하여, 부트부에 캡부를 조립하는 한번의 동작으로 광 섬유의 접속을 완료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시예는 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화국에서 대형 건물의 통신실까지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통신기술을 FTTO(Fiber To The Office)라 한다. 최근에는 광케이블로 댁내의 가입자 장치까지 연결하여 방송, 통신 등을 포함한 각종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FTTH(Fiber To The Home) 시스템이 개발되어 신축 아파트는 물론 일반 주택에까지 설치되고 있다.
FTTH 시스템을 설치하는 작업은 아파트의 통신실 등에 설치되어 있는 광 단자함과 댁내의 가입자 장치를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작업자는 광 단자함과 댁내의 가입자 장치까지의 거리를 실측하고, 실측된 거리보다 수 미터(m) 정도 긴 광케이블을 광 단자함에서 댁내의 가입자 장치까지 설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광케이블의 양 끝단에 광 커넥터를 연결하고, 광 커넥터 각각을 광 단자함과 댁내의 가입자 장치 각각에 연결한다. 이때, 광케이블과 광 단자함 또는 광케이블과 댁내의 가입자 장치를 연결하는 데에 있어서, LC, ST, FC 및 SC 광 커넥터 등의 광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LC, ST, FC 및 SC 광 커넥터 등과 같은 대부분의 광 커넥터는 현장 설치에 적합하지 않고, 현장에서 광섬유들을 접속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광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7342호(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은 광 커넥터가 제안되고 있다.
본 문헌의 광 커넥터는 스크류의 형태의 캡이 부트부에 결합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문헌의 광 커넥터는 이동하는 홀더의 위치에 대응하여 접속홈에 장착된 광섬유가 가압되어 고정되거나 가압이 풀려 고정이 해제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 커넥터는 부트부에 캡을 조립하는 작업과 홀더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별개로 구성되어 광섬유 접속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장에서 광섬유의 접속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광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광섬유의 접속 과정에서, 광섬유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광 커넥터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에 결합하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광접속부와,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부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접속부는 접속홈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접속홈을 덮는 덮개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덮개를 감싸 상기 덮개를 가압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홀더와 접촉하는 광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하우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부가 상기 부트부에 결합하면, 상기 연장부는 상기 홀더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트부는 탄성 변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가압부를 가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부는 상기 가압부의 표면을 가압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면은 테이퍼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는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광케이블의 외피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는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광케이블의 외피의 절단면과 접촉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트부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접촉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고정부는 돌출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돌출되어 상기 제1 고정부를 가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홈은 연속되는 제1 홈과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홈의 폭은 상기 제1 홈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접속부는 페롤의 광섬유와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연결되고, 상기 제1 홈은 최외측이 클래드인 상기 페롤의 광섬유와 최외측이 클래드인 상기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장착되고, 상기 제2 홈은 최외측이 코팅층인 상기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부트부에 캡부를 조립하는 한번의 동작으로 광 섬유의 접속을 완료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캡부를 슬라이딩 조작하는 작업만으로 홀더를 이동시켜 덮개가 접속홈에 장착된 광섬유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홀더를 이동시켜 광섬유를 고정하는 별도의 작업을 배제하여 신속하게 광섬유의 접속 작업을 완료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페룰의 광섬유와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접속시키는데 있어서. 광케이블의 3곳을 고정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광섬유의 접속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광 커넥터의 분해도,
도 3은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광접속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접속홈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부트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캡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홀더와 맞닿는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홀더와 연장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홀더를 밀어내는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부트부의 제1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캡부의 제2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캡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플러그에 캡부를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홀더를 이동시켜 광성유의 접속을 3곳에서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광 커넥터의 분해도,
도 3은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광접속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접속홈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부트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캡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홀더와 맞닿는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홀더와 연장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홀더를 밀어내는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부트부의 제1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캡부의 제2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캡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플러그에 캡부를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홀더를 이동시켜 광성유의 접속을 3곳에서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광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는 하우징(100)과, 플러그(200)와, 캡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200)의 어느 한 측에는 하우징(110)이 결합하고, 플러그(200)의 다른 한 측 에는 캡부(200)가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플러그(200)를 감싼다. 플러그(200)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플러그(200)에 장착되는 광접속부(220)가 보호된다.
도 3은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러그(200)는 몸체(210)와, 광접속부(220)와, 부트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와 부트부(230)는 그 기능에 의해 구분되어 설명될 뿐, 연결된 하나의 부재일 수 있다.
몸체(2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형 부재이며, 내부에 수용공간(211)을 포함한다. 수용공간(211)에는 광접속부(220)가 위치한다. 수용공간(211)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된다.
도 4는 광접속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접속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광접속부(220)는 페룰(1)의 광섬유와 광케이블(2)의 광섬유를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광접속부(220)는 하우징(221)과, 덮개(222)와, 홀더(2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21)은 어느 한 측(이하, 전방이라 한다)에 페룰(1)이 삽입되고, 다른 한 측(이하, 후방이라 한다.)에 광케이블(2)이 삽입된다. 하우징(221)은 접속홈(221a)을 포함한다. 접속홈(221a)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접속홈(221a)에는 페룰(1)의 광섬유와 광케이블(2)의 광섬유가 안착된다.
여기서, 접속홈(221a)은 제1 홈(221aa)과 제2 홈(221a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홈(221aa)의 폭(D1)은 제2 홈(221ab)의 폭(D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D1,D2)이란, 피장착물의 크기에 대응한 홈의 크기를 나타낸 것으로, 홈의 단면 형상이 원형을 포함하는 경우, 직경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홈(221aa)과 제2 홈(221ab)은 연속된다. 그리고 제2 홈(221ab)은 광케이블(2)이 삽입되는 하우징(22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홈(221aa)의 전방에는 페룰(1)의 광섬유가 장착된다. 이때, 페룰(1)의 광섬유(1a)는 최외측이 클래드가 되도록 탈피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제1 홈(221aa)의 후방에는 광케이블(2)의 광섬유가 장착되어, 페룰(1)의 광섬유(1a)와 접속된다. 이때, 광케이블(2)의 광섬유(2c)는 최외측이 클래드가 되도록 탈피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제2 홈(221ab)에는 클래드가 내측에 포함되어 최외측이 코팅층이 되도록 탈피된 광케이블(2)의 광섬유(2b)가 안착될 수 있다. 제2 홈(221ab)은 제1 홈(221aa)보다 크게 형성된다. 코팅층 만큼 광케이블(2)의 광섬유(2b)의 직경이 크기 때문이다.
덮개(222)는 접속홈(221a)을 덮도록 하우징(221)에 결합한다. 덮개(222)는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접속홈(221a)에 장착된 광섬유(1a,2c,2,b)들을 눌러 광섬유(1a,2c,2,b)들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덮개(222)는 최외측이 클래드가 되는 광섬유(1a,2c)뿐만 아니라, 코팅층도 포함하는 광케이블(2)의 광섬유(2b)를 동시에 고정하게 된다. 때문에, 페룰(1)에 연결되는 광케이블(2)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홀더(223)는 하우징(221)을 따라 이동하면서 덮개(222)를 가압한다. 홀더(223) 내측으로 하우징(221)과 덮개(222)가 삽입된다. 따라서 홀더(223)의 내측면이 하우징(221)과 덮개(222)를 감싸게 된다. 이때, 홀더(223)의 내측 또는 덮개(222)의 외측에는 돌출 구조가 마련되어, 홀더(223)가 이동하여 돌출 구조에 이르면 덮개(222)를 가압할 수 있다.
도 6은 부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부트부(230)는 광케이블(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부트부(230)는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가압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31)는 내측면에 돌출된 복수 개의 가압돌기(231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돌기(231a)는 광케이블(2)의 외피(2a)를 눌러 고정한다. 그리고 부트부(230)는 내측면에서 돌출된 스토퍼(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31b)는 광케이블(2)의 외피(2a)의 절단면(2aa)과 접촉하여, 가압돌기(231a)와 더불어 광케이블(2)의 이동을 제한한다.
한편, 부트부(230)는 제1 고정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232)는 부트부(230)에 대한 캡부(30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도 7은 캡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캡부(300)는 부트부(230)에 결합하여 부트부(230)를 가압한다. 캡부(300)는 부트부(230)에 슬라이드 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캡부(300)는 연장부(310)를 포함한다. 연장부(310)는 캡부(300)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길게 형성된다. 캡부(300)가 부트부(23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연장부(310)는 광접속부(220)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도 8은 홀더와 맞닿는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홀더와 연장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홀더를 밀어내는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캡부(300)가 부트부(230)에 끼워지면, 연장부(310)가 이동하여 홀더(223)와 맞닿게 되고, 연장부(310)가 계속적으로 이동하면서 홀더(223)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홀더(223)가 전방으로 밀려나면, 광접속부(220)의 덮개(도 4의 222)의 가압하기 때문에, 광케이블(2)의 광섬유(2c,2b)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부트부(230)에 캡부(300)를 조립하는 한번의 동작만으로만으로, 홀더(223)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페룰(1)의 광섬유(1a)와 광케이블(2)의 광섬유(2c)를 접속시키고, 고정시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부트부(230)에 캡부(300)를 조립한 이후, 별도로 홀더(223)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불 필요하여 접속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부트부(230)에 캡부(300)가 끼워지면, 연장부(도 7의 310)는 부트부(230)의 상면을 따라 홀더(223)를 향하여 슬라이드 되어 이동한다. 이때, 연장부(31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212)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212)는 몸체(210)의 상면에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212)는부트부(230)에 인접한 몸체(2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도 4의 310)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가이드(212)는 연장부(도 4의 310)의 측면과 맞닿는 경사면212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부트부의 제1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캡부의 제2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부트부(230)는 제1 고정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캡부(300)는 제2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232)와 제2 고정부(320)는 상호 접촉하여 부트부(230)에 대한 캡부(300)의 고정력을 높이는 구성이다.
제1 고정부(232)는 부트부(230)의 일부가 절개되어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돌출 부재일 수 있다. 제2 고정부(320) 또한, 캡부(3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돌출 부재일 수 있다.
도 14는 부트부와 캡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부트부(230)에 캡부(300)가 결합되면, 돌출된 제1 고정부(232)에 제2 고정부(320)가 맞닿는다. 이때, 제2 고정부(320)가 제1 고정부(232)를 가압하기 때문에 부트부(230)에서 캡부(300)가 빠지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부트부(230)에 캡부(300)가 슬라이드 되어 조립되는 과정에서, 제2 고정부(320)가 제1 고정부(232)를 타고 슬라이드 되어 제1 고정부(232)를 누르기 용이하도록 경사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캡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캡부(300)는 내측면(33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면(330)은 부트부(230)에 캡부(300)가 조립될 때, 부트부(230)의 가압부(231)의 표면을 가압한다. 이러한 내측면(330)은 후방으로 갈수록 캡부(300)의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다.
도 16은 플러그에 캡부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부트부(230)에 캡부(300)를 조립하기 전, 도 16의 3에서 지시한 바와 같이, 부트부(230)의 가압돌기(231)를 통해 1차적으로 광케이블(2)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7은 플러그에 캡부를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후, 1차적으로 광케이블(2)를 고정한 상태에서,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캡부(300)를 부트부(230)에 슬라이드 시켜 조립하게 되면, 도 17의 4에서 지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310)가 홀더(223)에 맞닿게 된다.
도 18은 홀더를 이동시켜 광성유의 접속을 3곳에서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캡부(300)를 부트부(230)에 완전히 조립하면, 홀더(232)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덮개(222)를 가압한다. 가압된 덮개(222)는 페룰(1)의 광섬유(1a)와 광케이블(2)의 광섬유(2c,2b)를 가압하여 고정한다.
이때, 도 18의 3,6,5에서 지시한 바와 같이, 모두 3곳에서 광섬유(1a, 2c,,2b)를 각각 고정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광섬유의 접속 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200: 플러그
210: 몸체
220: 광접속부
221: 하우징
221a: 접속홈
221aa: 제1 홈
221ab: 제2 홈
222: 덮개
223: 홀더
230: 부트부
300: 캡부
310: 연장부
200: 플러그
210: 몸체
220: 광접속부
221: 하우징
221a: 접속홈
221aa: 제1 홈
221ab: 제2 홈
222: 덮개
223: 홀더
230: 부트부
300: 캡부
310: 연장부
Claims (13)
-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플러그;및
상기 플러그에 결합하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광접속부와,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부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접속부는 접속홈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접속홈을 덮는 덮개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덮개를 감싸 상기 덮개를 가압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홀더와 접촉하는 광 커넥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하우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광 커넥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가 상기 부트부에 결합하면,
상기 연장부는 상기 홀더를 밀어 이동시키는 광 커넥터.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광 커넥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부는 탄성 변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는 광 커넥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가압부의 표면을 가압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면은 테이퍼 형태인 광 커넥터.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광케이블의 외피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광케이블의 외피의 절단면과 접촉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부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접촉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돌출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돌출되어 상기 제1 고정부를 가압하는 광 커넥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홈은 연속되는 제1 홈과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홈의 폭은 상기 제1 홈의 폭보다 큰 광 커넥터.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접속부는 페롤의 광섬유와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연결되고,
상기 제1 홈은 최외측이 클래드인 상기 페롤의 광섬유와 최외측이 클래드인 상기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장착되고,
상기 제2 홈은 최외측이 코팅층인 상기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장착되는 광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6385A KR101933127B1 (ko) | 2016-07-28 | 2016-07-28 | 광 커넥터 |
CN201621025165.5U CN206057643U (zh) | 2016-07-28 | 2016-08-31 | 光连接器 |
PH12017000033A PH12017000033A1 (en) | 2016-07-28 | 2017-02-03 | Optical connector |
MX2017009671A MX2017009671A (es) | 2016-07-28 | 2017-07-26 | Conector optico.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6385A KR101933127B1 (ko) | 2016-07-28 | 2016-07-28 | 광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3143A true KR20180013143A (ko) | 2018-02-07 |
KR101933127B1 KR101933127B1 (ko) | 2018-12-27 |
Family
ID=5837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6385A KR101933127B1 (ko) | 2016-07-28 | 2016-07-28 | 광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3127B1 (ko) |
CN (1) | CN206057643U (ko) |
MX (1) | MX2017009671A (ko) |
PH (1) | PH12017000033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12516S1 (en) * | 2018-12-19 | 2021-03-09 | Henkel IP & Holding GmbH | Dual neck tap container |
KR20230040683A (ko) * | 2021-09-16 | 2023-03-23 |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 광섬유 커넥터 조립체 및 광섬유 커넥터 모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23577B2 (ja) * | 2017-11-02 | 2021-02-03 | 株式会社フジクラ |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
USD987578S1 (en) * | 2021-01-20 | 2023-05-30 | A.J.World Co., Ltd. | Optical fiber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34746A (ja) * | 2013-01-11 | 2014-07-24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コネクタの接続構造、コネクタ、及びトランシーバ |
JP2015200771A (ja) * | 2014-04-08 | 2015-11-12 |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 Lc型光コネクタプラグ |
-
2016
- 2016-07-28 KR KR1020160096385A patent/KR1019331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8-31 CN CN201621025165.5U patent/CN206057643U/zh active Active
-
2017
- 2017-02-03 PH PH12017000033A patent/PH12017000033A1/en unknown
- 2017-07-26 MX MX2017009671A patent/MX2017009671A/es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12516S1 (en) * | 2018-12-19 | 2021-03-09 | Henkel IP & Holding GmbH | Dual neck tap container |
KR20230040683A (ko) * | 2021-09-16 | 2023-03-23 |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 광섬유 커넥터 조립체 및 광섬유 커넥터 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3127B1 (ko) | 2018-12-27 |
PH12017000033B1 (en) | 2018-07-23 |
CN206057643U (zh) | 2017-03-29 |
PH12017000033A1 (en) | 2018-07-23 |
MX2017009671A (es) | 2018-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46987B2 (en) | Field assembled optical connector | |
TWI442122B (zh) | 現場組裝型光連接器 | |
KR101933127B1 (ko) | 광 커넥터 | |
US9817195B2 (en) | Cable sealing device | |
CA2830251C (en) | Fiber optic connector | |
KR101105664B1 (ko) |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 |
EP1688769A1 (en) | Optical fiber connector component and optical fiber connector using the same | |
RU2626056C2 (ru) | Узел сращивания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и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с таким узлом | |
JP2008040264A (ja) | 光コネクタ | |
US20150286011A1 (en) | Fiber optic connectors | |
WO2009030982A2 (en) | Optical ferrule assembly | |
KR101330648B1 (ko) | 다심 mt 페룰을 이용한 옥외용 광커넥터 어셈블리 | |
US20090252458A1 (en) | Optical attenuator | |
CN116865040A (zh) | 连接器、适配器、连接器组件及通信设备 | |
KR101041953B1 (ko) |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 |
KR101535218B1 (ko) | 융착형 광커넥터 | |
KR101440580B1 (ko) | 필터링 기능이 있는 광커넥터 | |
KR101377438B1 (ko) | 모드변환 기능이 있는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및 모드변환 광섬유 제조방법 | |
KR100570421B1 (ko) | 플라스틱 광 케이블용 커넥터 | |
US8425127B2 (en) | Optical fiber coupling connector | |
KR101739028B1 (ko) | 광커넥터 | |
CA3219464A1 (en) | Assemblies for pulling, pushing, or blowing a plurality of preterminated fiber optic cables through a duct and assembling a fiber optic connector including the preterminated fiber optic cable after being pulled, pushed, or blown through the duc | |
KR20100095283A (ko) | 광섬유 접속구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컨넥터 | |
KR20100089454A (ko) | 광커넥터 | |
KR200478253Y1 (ko) | 광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