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120A -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120A
KR20180013120A KR1020160096306A KR20160096306A KR20180013120A KR 20180013120 A KR20180013120 A KR 20180013120A KR 1020160096306 A KR1020160096306 A KR 1020160096306A KR 20160096306 A KR20160096306 A KR 20160096306A KR 20180013120 A KR20180013120 A KR 20180013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s
moving object
signal strength
transceiver
beac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상열
Original Assignee
하나 마이크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 마이크론(주) filed Critical 하나 마이크론(주)
Priority to KR1020160096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3120A/ko
Publication of KR2018001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4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a plurality of spaced direction-fi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객체에서 출력된 신호를 획득하는 복수개의 송수신기 중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로부터 복수개의 신호 세기 값을 수신하는 통신부, 복수개의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송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세 개의 송수신기를 선택하고, 세 개의 송수신기와 관련된 가상 영역 및 세 개의 송수신기에서 획득한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송수신기가 포함된 네트워크 내에서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 및 송수신기의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Location of Movable Object}
본 발명은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리더기를 이용하여 태그를 구비한 이동 객체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들이 점차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술이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GPS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실내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인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실내에서 사용하는 무선 통신에 대한 신호 세기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은 실내 구조물들에 의하여 오차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예상하지 못한 실내의 장애물들에 의하여 신호 세기 값이 변화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정확한 좌표값을 계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특정 공간을 네트워크 단위로 구분하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복수의 송수신기에 해당하는 통신 커버리지를 복수의 가상 영역으로 분할하여 특정 공간 내에서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는, 이동 객체에서 출력된 신호를 획득하는 복수개의 송수신기 중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로부터 복수개의 신호 세기 값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개의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송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세 개의 송수신기를 선택하고, 상기 세 개의 송수신기와 관련된 가상 영역 및 상기 세 개의 송수신기에서 획득한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송수신기가 포함된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송수신기의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이동 객체에서 출력된 신호를 획득하는 복수개의 송수신기 중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로부터 복수개의 신호 세기 값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복수개의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송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세 개의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세 개의 송수신기와 관련된 가상 영역 및 상기 세 개의 송수신기에서 획득한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송수신기가 포함된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은, 특정 공간을 네트워크 단위로 구분하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복수의 송수신기의 통신 커버리지를 복수개의 가상 영역으로 분할하여 특정 공간 내에 위치한 이동 객체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가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가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세 개의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100)은 제1 송수신기(100a), 제2 송수신기(100b), 제3 송수신기(100c), 이동 객체(150) 및 전자 장치(200)를 포함한다.
제1 송수신기(100a), 제2 송수신기(100b) 및 제3 송수신기(100c)는 하나의 네트워크에 포함된다. 제1 송수신기(100a), 제2 송수신기(100b) 및 제3 송수신기(100c)는 이동 객체(150)에 구비된 비콘 태그(미도시)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 혹은 리더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에 포함된 모든 송수신기는 비콘 신호를 스캔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송수신기(100a), 제2 송수신기(100b) 및 제3 송수신기(100c)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확인하여, 서로 다른 송수신기 또는 전자 장치(200)로 전송한다. 제1 송수신기(100a) 및 제2 송수신기(100b)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세기 값과 자기 자신의 고유 번호(ID; identification)를 제3 송수신기(100c)로 전송한다. 제3 송수신기(100c)는 제1 송수신기(100a) 및 제2 송수신기(100b)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세기 값과 고유 번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제3 송수신기(100c)는 제3 송수신기(100c) 자신의 비콘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세기 값과 고유 번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한다. 제3 송수신기(100c)는 제1 송수신기(100a), 제2 송수신기(100b) 및 제3 송수신기(100c)가 포함된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로 기 설정된 상태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네트워크에 세 개의 송수신기가 포함된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네트워크는 세 개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객체(150)는 휴대 단말기, 스마트 워치 등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객체이며, 비콘 태그를 구비한다. 비콘 태그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객체(150)가 비콘 태그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객체(15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복수개의 송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전자 장치(200)는 하나의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개의 송수신기 각각의 통신 커버리지를 복수개의 구역으로 가상 분할한다. 전자 장치(200)는 가상 영역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영역은 비콘 태그에서 출력되는 비콘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통신 커버리지가 분할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송수신기의 통신 커버리지에서 감지되는 비콘 신호 세기 값(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이 0~-120dBm이면, 0~-40dBm, -41~-80dBm, -81~-120dBm 를 기준으로 통신 커버리지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가상 영역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가상 영역 중 0~-40dBm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이 획득되는 가상 영역은 송수신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0~15m, -41~-80dBm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이 획득되는 가상 영역은 송수신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16~30m, -81~-120dBm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이 획득되는 가상 영역은 송수신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31~50m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네트워크에 포함된 모든 송수신기는 비콘 신호를 스캔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복수의 송수신기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는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게이트웨이로 설정된 제3 송수신기(100c)로부터 제1 송수신기(100a), 제2 송수신기(100b) 및 제3 송수신기(100c)에서 확인된 비콘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세기 값 및 각 송수신기의 고유 번호를 수신한다. 전자 장치(200)는 각 비콘 신호 세기 값을 이용하여 이동 객체(150)의 위치를 확인한다. 전자 장치(200)는 이동 객체(150)의 위치 확인을 위해 전자 장치(200)에 기 저장된 제1 송수신기(100a) 내지 제3 송수신기(100c)의 위치 정보 예컨대, 좌표 정보를 추가로 이용한다.
전자 장치(200)는 제1 송수신기(100a), 제2 송수신기(100b) 및 제3 송수신기(100c)와 같이 세 개의 송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세기 값을 수신하였기 때문에, 이동 객체(150)가 세 개의 송수신기 사이에 위치함을 확인한다. 전자 장치(200)는 세 개의 송수신기에 대한 위치 정보와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고려하여 이동 객체(150)의 개략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각 송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확인한다. 전자 장치(200)는 이동 객체(150)가 각 송수신기의 통신 커버리지를 기반으로 형성된 가상 영역 중 어떤 가상 영역에 위치하는지 확인한다. 따라서, 전자 장치(200)는 이동 객체(150)가 통신 커버리지를 세분화한 복수의 가상 영역 중에서 어떤 가상 영역에 위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이동 객체(15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관리 감독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표시부(230), 메모리(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200)의 외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송수신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부(21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10)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전자 장치(2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력부(2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조그 셔틀(jog and shuttle), 터치 키(touch ke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전자 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표시부(2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현된다. 표시부(240)는 입력부(23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특정 공간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표시하고, 적어도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송수신기의 위치를 표시한다. 표시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이동 객체의 위치를 표시한다.
메모리(240)는 이동 객체가 위치한 특정 공간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40)는 특정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송수신기의 위치 정보 예컨대, 좌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240)는 전자 장치(2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제어부(250)는 통신부(210)에서 수신된 복수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송수신기 중에서 세 개의 송수신기를 선택한다. 제어부(250)는 선택된 세 개의 송수신기와 관련된 가상 영역 및 세 개의 송수신기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특정 공간에 위치한 다수의 송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되, 하나의 네트워크에 적어도 세 개의 송수신기가 포함되도록 설정한다. 제어부(250)는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세 개의 송수신기 중에서 게이트웨이를 설정한다. 제어부(250)는 네트워크에 포함된 적어도 세 개의 송수신기의 통신 커버리지를 확인하고, 통신 커버리지를 기반으로 복수의 가상 영역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송수신기의 통신 커버리지에서 감지되는 비콘 신호 세기 값(RSSI)이 0~-120dBm이면, 0~-40dBm, -41~-80dBm, -81~-120dBm등을 기준으로 통신 커버리지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가상 영역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50)는 복수개의 가상 영역 중 0~-40dBm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이 획득되는 가상 영역은 송수신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0~15m, -41~-80dBm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이 획득되는 가상 영역은 송수신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16~30m, -81~-120dBm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이 획득되는 가상 영역은 송수신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31~50m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게이트웨이로 설정된 송수신기로부터 복수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을 수신한다. 복수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은, 하나의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개의 송수신기에서 각각 수신된 비콘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세기 값이다. 비콘 신호는, 이동 객체에 구비된 비콘 태그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제어부(250)는 수신된 복수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과 비콘 신호 세기 값이 측정된 송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여섯 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이 수신되면, 여섯 개 중 최대 값과 최소 값을 갖는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획득한 송수신기를 제외한다. 제어부(250)는 네 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 중에서 안정적인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갖는 세 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획득한 송수신기를 추출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extended Kalman filter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계산한 후 변환한다. 제어부(250)는 추출된 세 개의 송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세 개의 송수신기에서 비콘 신호가 감지되었으므로, 세 개의 송수신기의 통신 커버리지가 교차되는 지점을 이동 객체의 위치인 것으로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교차되는 지점이 포함되는 가상 영역을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확인된 가상 영역을 이동 객체의 위치인 것으로 결정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250)는 세 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이 수신되면, 세 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획득한 세 개의 송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세 개의 송수신기의 통신 커버리지가 교차되는 지점이 포함되는 가상 영역을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확인된 가상 영역을 이동 객체의 위치인 것으로 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가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로부터 네트워크 및 가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시작 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301). 수신여부의 확인 결과, 설정시작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50)는 설정시작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수신여부의 확인 결과, 입력부(220)로부터 설정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50)는 기 저장된 복수개의 송수신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303). 이를 위해, 복수개의 송수신기는 설치되는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전자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고, 제어부(250)는 복수개의 송수신기에 대한 좌표 정보를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복수개의 송수신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설정한다(305). 예를 들면, 제어부(250)는 복수개의 송수신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송수신기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제어부(250)는 설정된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개의 송수신기의 통신 커버리지를 복수개의 가상 영역으로 설정한다(307).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송수신기의 통신 커버리지에서 감지되는 비콘 신호 세기 값이 0~-120dBm이면, 0~-40dBm, -41~-80dBm, -81~-120dBm 를 기준으로 통신 커버리지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가상 영역을 형성한다.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로부터 네트워크 및 가상 영역의 설정을 종료하기 위한 설정완료 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309). 수신여부의 확인 결과, 입력부(220)로부터 설정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50)는 상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수신여부의 확인 결과, 입력부(220)로부터 설정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설정완료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특정 공간(400)에 배치된 송수신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송수신기(410a-410d, 420a-420c, 430a-430c, 440a-440c, 450a-450c)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네트워크(410), 제2 네트워크(420), 제3 네트워크(430), 제4 네트워크(440) 및 제5 네트워크(450)를 설정한다. 제1 네트워크(410)는 네 개의 송수신기(410a-410d), 제2 네트워크(420)는 세 개의 송수신기(420a-420c), 제3 네트워크(430)는 세 개의 송수신기(430a-430c), 제4 네트워크(440)는 세 개의 송수신기(440a-440c) 및 제5 네트워크(450)는 세 개의 송수신기(450a-450c)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가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하나의 네트워크(500)에 포함된 복수개의 송수신기(510, 520, 530)(각각 도 1에 도시된 제1 송수신기(100a), 제2 송수신기(100b) 및 제3 송수신기(100c)와 동일함)들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511, 521, 531)를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제1 송수신기(510)에서 수신되는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제1 송수신기(510)의 통신 커버리지(511)를 제1 가상 영역(511a), 제2 가상 영역(511b), 제3 가상 영역(511c)으로 분할한다. 제어부(250)는 제2 송수신기(520)에서 수신되는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제2 송수신기(520)의 통신 커버리지(521)를 제1 가상 영역(521a), 제2 가상 영역(521b), 제3 가상 영역(521c)으로 분할한다. 제어부(250)는 제3 송수신기(530)에서 수신되는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제3 송수신기(530)의 통신 커버리지(531)를 제1 가상 영역(531a), 제2 가상 영역(531b), 제3 가상 영역(531c)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면, 제1 가상 영역(511a, 521a, 531a)은 송수신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0~15m, 제2 가상 영역(511b, 521b, 531b)은 송수신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16~30m, 제3 가상 영역(511c, 521c, 531c)은 송수신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31~50m의 범위일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3 송수신기(530)가 게이트웨이로 설정된 상태일 때, 제3 송수신기(530)로부터 제1 송수신기(510), 제2 송수신기(520) 및 제3 송수신기(530)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세기 값을 수신한다. 제어부(250)는 수신된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이동 객체(550, 도 1의 이동 객체(150)와 동일함)가 제1 송수신기(510), 제2 송수신기(520) 및 제3 송수신기(530)의 통신 커버리지에 중첩되는 위치에 존재함을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각각의 송수신기에서 확인된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확인하여, 이동 객체(550)가 제1 송수신기(510)의 제2 가상 영역(511b), 제2 송수신기(520)의 제3 가상 영역(521c) 및 제3 송수신기(530)의 제3 가상 영역(531c)이 중첩되는 위치에 존재함을 확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하나의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송수신기 중에서 게이트웨이로 설정된 송수신기로부터 비콘 신호 세기 값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601). 이때, 비콘 신호 세기 값은 이동 객체에 구비된 비콘 태그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복수개의 송수신기에서 각각 수신한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세기 값이다. 수신여부의 확인 결과, 비콘 신호 세기 값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50)는 비콘 신호 세기 값의 수신을 대기한다.
수신여부의 확인 결과, 게이트웨이로부터 복수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이 수신되면 제어부(250)는 수신된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확인한다(603). 복수개의 송수신기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 세기 값은 각각의 송수신기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제어부(250)는 각각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복수개의 송수신기 중에서 세 개의 송수신기를 선택한다(605).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여섯 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이 수신되면, 여섯 개 중 최대 값과 최소 값을 갖는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획득한 송수신기를 제외한다. 제어부(250)는 네 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 중에서 안정적인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갖는 세 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획득한 세 개의 송수신기를 선택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250)는 세 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이 수신되면, 세 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획득한 세 개의 송수신기를 선택한다.
제어부(250)는 선택된 송수신기의 위치 정보, 각 송수신기에서 획득된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한다(607). 제어부(250)는 이동 객체가 세 개의 송수신기 사이에 위치함을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세 개의 송수신기에 대한 위치 정보와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고려하여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각 송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확인하여, 이동 객체가 복수의 가상 영역 중에서 어떤 가상 영역에 위치하는지 확인한다(609). 제어부(250)는 이동 객체가 통신 커버리지를 세분화한 복수의 가상 영역 중에서 어떤 가상 영역에 위치하는지 보다 정확하게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확인된 가상 영역을 이동 객체의 위치로 결정한다(611).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세 개의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제어부(250)는 하나의 네트워크에 포함된 여섯 개의 송수신기에서 획득된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여섯 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 중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하고, 네 개의 비콘 신호 세기 값 중에서 안정적인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갖는 그래프를 세 개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여섯 개의 그래프(701-706) 중에서 최대값 즉, 특정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평균 값이 가장 큰 그래프(701)를 제외하고, 최소값 즉, 특정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평균 값이 가장 작은 그래프(706)를 제외한다. 제어부(250)는 남은 네 개의 그래프(702, 703, 704, 705) 중에서 안정적인 값을 갖는 세 개의 그래프(702, 703, 705)를 선택한다. 이때, 안정적인 값을 갖는 그래프는 네 개의 그래프(702, 703, 704, 705) 중에서 특정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평균 값의 표준편차가 유사한 그래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네 개의 그래프(702, 703, 704, 705) 중에서 평균 값의 표준편차가 가장 큰 그래프(704)를 제외하고, 세 개의 그래프(702, 703, 705)를 선택한다. 제어부(250)는 세 개의 그래프(702, 703, 705)의 비콘 신호 세기 값, 각 비콘 신호 세기 값을 획득한 세 개의 송수신기의 고유 번호 및 세 개의 송수신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도 8에서와 같이 제어부(250)는 하나의 네트워크(800)에 포함된 복수개의 송수신기(810-860)는 각각 도 7에 도시된 여섯 개의 그래프(701-706)에 대응되는 송수신기이다. 도 7에서와 같이 제어부(250)는 여섯 개의 그래프(701-706) 중에서 세 개의 그래프(702, 703, 705)를 선택하였으므로, 제어부(250)는 세 개의 그래프에 대응하는 송수신기(820, 830, 85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세 개의 송수신기(820, 830, 850)에서 획득된 비콘 신호 세기 값을 기반으로 삼각측량법에 따라 이동 객체(870, 도 1의 이동 객체(150)와 동일함)의 개략적인 위치를 확인한다. 제어부(250)는 이동 객체(870)가 세 개의 송수신기(820, 830, 850)에 해당하는 가상 영역 중 어디에 포함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이동 객체(870)의 위치로 결정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2)

  1. 이동 객체에서 출력된 신호를 획득하는 복수개의 송수신기 중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로부터 복수개의 신호 세기 값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개의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송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세 개의 송수신기를 선택하고, 상기 세 개의 송수신기와 관련된 가상 영역 및 상기 세 개의 송수신기에서 획득한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송수신기가 포함된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송수신기의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송수신기 각각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복수개의 가상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객체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상기 통신 커버리지를 복수개의 가상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세기 값 및 상기 세 개의 송수신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를 상기 복수개의 가상 영역에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객체는,
    비콘 신호를 출력하는 비콘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송수신기에 할당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이동 객체에서 출력된 신호를 획득하는 복수개의 송수신기 중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로부터 복수개의 신호 세기 값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복수개의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송수신기 중에서 적어도 세 개의 송수신기를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세 개의 송수신기와 관련된 가상 영역 및 상기 세 개의 송수신기에서 획득한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송수신기가 포함된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신호 세기 값을 수신하기 이전에,
    특정 구역에 존재하는 송수신기들에 할당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된 상기 복수개의 송수신기 각각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복수개의 가상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상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작은,
    상기 이동 객체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 값을 기준으로 상기 통신 커버리지를 상기 복수개의 가상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작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신호 세기 값 및 상기 세 개의 송수신기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 객체의 위치를 상기 복수개의 가상 영역에서 확인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세기 값은,
    상기 이동 객체에 구비된 비콘 태그에서 출력되는 비콘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60096306A 2016-07-28 2016-07-28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13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306A KR20180013120A (ko) 2016-07-28 2016-07-28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306A KR20180013120A (ko) 2016-07-28 2016-07-28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120A true KR20180013120A (ko) 2018-02-07

Family

ID=6120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306A KR20180013120A (ko) 2016-07-28 2016-07-28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31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031A (ko) * 2018-04-05 2019-10-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에 배치된 비컨을 이용한 실내 위치 측정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088993A (ko) * 2020-12-21 2022-06-28 (주)비이인터렉티브 비콘신호 중복수신 방지 기능이 적용된 이동체 감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031A (ko) * 2018-04-05 2019-10-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에 배치된 비컨을 이용한 실내 위치 측정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088993A (ko) * 2020-12-21 2022-06-28 (주)비이인터렉티브 비콘신호 중복수신 방지 기능이 적용된 이동체 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1935B2 (en) Device locating using angle of arrival measurements
US10014939B2 (en) Smart device performing LED-ID/RF communication through a camera,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the same
US11032726B2 (en) Optimization system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
CN103592622B (zh) 一种信号定位系统及其定位方法
CN103957594A (zh) 一种终端定位的方法及装置
KR101583586B1 (ko) 실시간 재난대응 위치파악 및 피난경로 안내 솔루션
CN106358155B (zh) 一种射频指纹数据库的建立方法及装置
CN107533130B (zh) 一种位置信息提供装置及节点网络
EP3537788A1 (en) Positioning method, assistant site and system
KR20100009838A (ko) 무선랜과 gps 및 rf 신호감지 기법을 이용한위치추적 솔루션
US11156694B2 (en) Supporting a selection of a floor
KR20180013120A (ko) 이동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63761A (ko) 저전력 블루투스 단말기의 측위 측정을 위한 공간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KR20170059807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그룹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809797A (zh) 一种对终端进行定位的方法及装置
KALIKOVA et al. Use of iBeacon technology for safe movement of disabled people
KR101975656B1 (ko) 측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5785B1 (ko) 댁내 가전기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KR101785635B1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위치 측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KR20150049633A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위치추적 장치
KR20190130811A (ko) 무선랜 ap의 위치값을 활용한 위치측위 시스템 및 그 방법
JP7316563B2 (ja) マッピング装置及び方法
JP7239962B2 (ja) 所定領域を移動する受信機の位置管理システム
KR20160139458A (ko) 위치 측정 방법 및 전자장치
KR20150029194A (ko) 실시간 위치추적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위치추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