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009A - 호환 가능한 젠더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호환 가능한 젠더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009A
KR20180013009A KR1020160096054A KR20160096054A KR20180013009A KR 20180013009 A KR20180013009 A KR 20180013009A KR 1020160096054 A KR1020160096054 A KR 1020160096054A KR 20160096054 A KR20160096054 A KR 20160096054A KR 20180013009 A KR20180013009 A KR 20180013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gender
holder
hou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김상민
노대영
심민창
양순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3009A/ko
Priority to US15/631,148 priority patent/US10285299B2/en
Priority to EP17177877.2A priority patent/EP3296843B1/en
Priority to PCT/KR2017/007080 priority patent/WO2018021712A1/en
Priority to CN201710621269.5A priority patent/CN107666040B/zh
Publication of KR20180013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6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PLC] for automation 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 H05K7/1465Modular PLC assemblies with separable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2Terminal blocks for 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 외부 전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장치 장착부의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에 노출되는 돌출 단자를 포함하는 홀더 조립체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출 단자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고정시키는 로커(locker)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각각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는 상기 장치 장착부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대응하는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갖는 젠더 조립체로 교체가능한 헤드 마운트 장치(head mount device)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호환 가능한 젠더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INTERFACE CONNECTOR DEVICE INCLUDING COMPATIBLE GEND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호환 가능한 젠더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센서의 입력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로 다양한 결과를 출력시킬 수 있다.
최근의 휴대용 전자 장치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주변 장치들과 연동하여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weable electronic device)와 연동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패용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손목 시계형 전자 장치(watch type weable electronic device), 인체의 두부(頭部)에 착용하고, 디스플레이(결합된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또는 자체적으로 보유한 디스플레이)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현실감 있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헤드 마운드 장치(head mount device(HMD))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마운드 장치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VR)) 또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AR))을 사용자에게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을 기반으로 좀더 현실감 있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헤드 마운드 장치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 마운드 장치의 사용자는 다양한 콘텐츠를 현실감 있게 시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마운드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장착된 외부 전자 장치와 효율적인 전기적 연결을 위한 개선책이 마련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 착용형 장치 중 헤드 마운드 장치 (이하, 'HMD'라 함)는 HMD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장치 장착부에 장착된 외부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각종 콘텐츠를 이용하도록 유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는 데이터 입출력 또는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를 수반할 수 있으며, HMD에는 외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구비하여, 외부 전자 장치가 HMD에 장착될 때, HMD의 인터페이스 컨넥터가 외부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에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출시되는 외부 전자 장치들은 획일되는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에서 벗어서 다양한 접속 방식을 갖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스마트 폰들은 B-type USB 컨넥터 포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들어, 데이터 전송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장착성이 우수한 C-type USB 컨넥터 포트가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기존의 B-type USB 컨넥터가 구비된 HMD는 최근 출시되는 C-type USB 컨넥터 포트를 갖는 외부 전자 장치와는 결합될 수 없는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호환 가능한 젠더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호환 가능한 젠더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호환 가능한 젠더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HMD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 외부 전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장치 장착부의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에 노출되는 돌출 단자를 포함하는 홀더 조립체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출 단자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고정시키는 로커(locker)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각각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는 상기 장치 장착부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대응하는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갖는 젠더 조립체로 교체가능한 헤드 마운트 장치(head mount de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 외부 전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장치 장착부의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에 노출되는 돌출 단자를 포함하며, 젠더 조립체를 고정시키는 로커(locker)를 포함하는 홀더 조립체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출 단자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각각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는 상기 장치 장착부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대응하는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갖는 젠더 조립체로 교체가능한 헤드 마운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 제1방향으로 외부 전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장치 장착부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방향과 대향되는 제2방향으로 노출되는 돌출 단자를 포함하는 홀더 조립체와, 상기 홀더 조립체에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3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노출 단자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고정시키는 로커(locker)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각각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로커는, 상기 젠더 조립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커 바디와, 상기 로커 바디의 일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젠더 조립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편 및 상기 로커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젠더 조립체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편을 상기 젠더 하우징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편이 상기 홀더 조립체의 대응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리도록 하며,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노출 단자를 포함하는 장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돌출 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는 상기 장치 장착부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대응하는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갖는 젠더 조립체로 교체가능한 헤드 마운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의 다양한 접속 방식에 대응하는 컨넥터 부재를 포함하는 젠더로 교체가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에서 호환 가능한 젠더 조립체가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젠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젠더 하우징 바디에 로커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홀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젠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홀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젠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홀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젠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7의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홀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홀더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가 HMD의 하우징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가 HMD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가 HMD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로 인체 착용형 전자 장치 및 이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로 HMD를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접속 방식이 서로 다른 컨넥터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젠더 조립체가 호환 가능하게 적용되는 상술한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두부 착용형 장치HMD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HMD(100)는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인체의 두부(頭部)(head portion(HP))의 전면에 착용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양단 또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는 외부 전자 장치(150)(예: 스마트 폰)을 수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15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각종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100)는, 예를 들어,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또는 투명/반투명 렌즈 중 적어도 하나와, 하우징(110)을 인체의 두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부(130) 및 선택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HMD(100)의 하우징(110)에 고정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써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안구 사이에 렌즈 조립체(미도시 됨)가 개재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100)는 실제 환경 또는 가상 환경에서 뷰 포트를 형성하고, 상기 뷰 포트에 관련된 실제 외부 사물 또는 가상 사물, 데이터 정보를 HMD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100)는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see-through 또는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see-closed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see-through 기능에 의하면, HMD(100)는 디스플레이 또는 투명/반투명 렌즈를 통하여 실제 외부의 사물(들)을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하면서, 사물 또는 가상의 대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100)는 실제로 보이는 사물 등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 및/또는 이미지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100)는 디스플레이나, 렌즈 없이, 홀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see-closed 기능에 의하면, HMD(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안구 앞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예: 게임, 영화, 스트리밍, 방송 등)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HMD(100)는 사용자의 두 눈에 독립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100)는 실제 외부의 사물을 사용자 안구에 전달하지 않고,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100)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호환 가능한 젠더(조립체)를 갖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100)는 적용되는 외부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방식을 갖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를 포함하는 젠더(조립체)로 교체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의 HMD(200)는 도 1의 HMD(100)와 유사하거나 HMD의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HMD(200)는 외부 전자 장치(250)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에 연결되어 인체의 적소(예: 두부(頭部))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strap)(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10)은 전면에 외부 전자 장치(250)(예: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 장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10)의 장치 장착부(211)에는 한 쌍의 광학 렌즈부(212-1, 212-2)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렌즈부(212-1, 212-2)는 다양한 배율의 광학 렌즈가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HMD(200)의 사용자는 광학 렌즈부(212-1, 212-2)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250)의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10)의 상부에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촛점 조절 노브(21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촛점 조절 노브(213)의 조절에 의해 외부 전자 장치(25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은 선명하게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촛점 조절 노브(213)는 회전 가능한 기계식 링형 노브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조절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10)의 후면에는 사용자의 두 눈을 포함하여 얼굴에 착용하기 위한 인체 착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 착용부(220)는 사용자의 서로 다른 얼굴 형태에 적응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유연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 착용부는 인체에 무해한 러버,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의 탄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도시 되었으나, 하우징(210)의 측면에는 입력 수단으로써,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HMD(200)를 인체의 두부에 착용한 후, 터치 패널을 조작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250)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의 위치 조절, 영상의 크기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터치 패널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조작 버튼이 대체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장착부(211)는 외부 전자 장치(250)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홈(recess)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장착부(211)는 외부 전자 장치(250)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가 광학 렌즈부(212-1, 212-2)와 마주보는 방식으로 외부 전자 장치(250)를 수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장착부(211)에 외부 전자 장치(250)가 장착되었을 때, 장치 장착부(211)는 외부 전자 장치(250)의 후면이 하우징(210)의 외부에 돌출되거나, 하우징(210)의 외면과 일치하거나 하우징(210)의 외면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외부 전자 장치(250)를 수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200)는 장치 장착부(211)에 수용되는 외부 전자 장치(2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는 장치 장착부(211)의 일측에 설치되어 X1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230)와, 장치 장착부(211)의 타측에 설치되어 X2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홀더(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230)는 외부 전자 장치(25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지 홀더(240)는 외부 전자 장치(250)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230)는 외부 전자 장치(25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에 삽입될 수 있는 컨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230) 및 지지 홀더(240)는 각각 X1축 및 X2축을 회전축으로 회전되나, 일정 회전 각도로 단속되는 단속력과, 회전 전의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230) 및 지지 홀더(240)는 회전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Y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는 거리 제한력 및 슬라이딩 전의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230)는 외부 전자 장치(250)와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기 위한 접속 기능 및 외부 전자 장치(250)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기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250)는 그 일단에 배치된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에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230)의 컨넥터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먼저 결합된 후, 외부 전자 장치(250)의 타단이 지지 홀더(240)에 의해 지지받는 방식으로 장치 장착부(2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회전력, 회전 각도 단속력, 거리 제한력 또는 복원력이 적절이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230)는 다양한 접속 방식을 갖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250)와 전기적으로 대응 연결시키기 위한 호환 가능한 젠더(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230)는 적용되는 외부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방식을 갖는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포함하는 젠더로 교체되어 외부 전자 장치(25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의 HMD(300)는 도 1의 HMD(100) 및 도 2a 및 도 2b의 HMD(200)과 유사하거나, HMD의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HMD(300)는 제어부(MCU)(310), 통신부(통신모듈)(320), 센서부(센서 모듈)(330), 입력부(입력장치)(340), 전원장치(전력관리모듈(380) 및 배터리(381)), 시선추적부(eye tracker)(350), 모터(vibrator)(370), 및 초점 조절부(adjustable optics)(360)(또는 렌즈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MCU)(310)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운영체제(OS) 또는 임베디드 S/W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제어부(3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20)는 상기 HMD(300)의 하우징과 외부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을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320)는 USB 모듈(321), WiFi 모듈(322), BT 모듈(323), NFC 모듈(324) 및/또는 GPS 모듈(32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WiFi 모듈(322), BT 모듈(323), NFC 모듈(324) 또는 GPS 모듈(325)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USB 모듈(321)은 상술한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예: 도 2a의 230)의 호환 가능한 젠더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호환 가능한 젠더들은 B type USB 컨넥터를 포함하는 젠더 조립체 또는 C type USB 컨넥터를 포함하는 젠더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30)는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HMD(3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30)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331), 자이로 센서(332), 지자계 센서(333), 마그네틱 센서(334), 근조도 센서(예: 근접 센서)(335), 제스처 센서(336), 그립 센서(337), 생체 센서(33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331), 자이로 센서(332), 또는 지자계 센서(333)를 이용하여 상기 HMD(3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근조도 센서(335) 또는 그립 센서(337)를 이용하여 상기 HMD(30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330)의 적어도 일부 구성 요소는 착탈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330)는 사용자 착용에 따른 infra red(IR) 인식, 가압 인식, 또는 캐패시턴스(혹은 유전율)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스처 센서(336)는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HMD(300)의 입력 동작으로 받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센서부(330)는,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또는 홍채 센서등의 생체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30)는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40)는 터치 패드(341) 또는 버튼(3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드(341)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드(341)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예를 들면,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드(341)는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드(341)는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버튼(342)은,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선추적부(350)는, 예를 들면, EOG 센서(electircal oculography), coil systems, dual purkinje systems, bright pupil systems, 또는 dark pupil systems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선추적부(350)는 시선 추적을 위한 마이크로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초점 조절부(360)는 사용자가 자신의 시력에 적합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양안 사이 거리(IPD: inter-pupil distance)를 측정하여 렌즈의 거리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380)은, 예를 들면, HMD(30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0)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381)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381)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및/또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에서 호환 가능한 젠더 조립체가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400)는 도 2a 및 도 2b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230)와 유사하거나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의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400)는 HMD의 하우징(410)에 고정되는 홀더 조립체(430)와, 홀더 조립체(43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서로 다른 접속 방식의 컨넥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42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430)는 하우징(410)의 장치 장착부(411)의 일단에 작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430)는 하우징(410)에 조립될 때, X축을 회전축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며,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동작에 더하여, 홀더 조립체(430)는 하우징(401)에 조립될 때, Y축/-Y축 방향으로 일정 이동 거리만큼 슬라이딩 가능하며, 슬라이딩 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420, 420')는 Z/-Z축 방향으로 홀더 조립체(430)에서 착탈이 가능하며, 젠더 조립체(420, 420')가 홀더 조립체(430)에 장착될 경우, 젠더 조립체(420, 420')의 외면에 노출된 노출 단자는 홀더 조립체(430)의 대응 외면에 노출되는 돌출 단자(미도시 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노출 단자와 상기 돌출 단자는 물리적으로 접속(연결)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420, 420')는 예를 들어, 제1젠더 조립체(420)와 제2젠더 조립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젠더 조립체(420)는 외면에 돌출되는 B type USB 컨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젠더 조립체(420')는 외면에 돌출되는 C type USB 컨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410)의 장치 장착부(411)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가 B type USB 컨넥터 포트를 포함할 경우, 홀더 조립체(430)에는 제1젠더 조립체(42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우징(410)의 장치 장착부(411)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가 C type USB 컨넥터 포트를 갖는 외부 전자 장치로 변경될 경우, 홀더 조립체(430)에는 제1젠더 조립체(420)가 제거되고, 그 위치에 제2젠더 조립체(420)가 대체되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400)는 홀더 조립체(430)에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420, 420')가 호환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하우징(410)의 장치 장착부(411)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접속 방식에 대응하여 HMD의 효율적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젠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a의 젠더 조립체는 도 4a의 젠더 조립체(420, 420')와 유사하거나, 젠더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젠더 조립체(500)는 젠더 하우징(510)과, 젠더 하우징(510)내에 수용되는 컨넥터 부재(520)와, 젠더 하우징(510)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커(530) 및 로커(530)를 단속하기 위하여 젠더 하우징(510)과 결합되는 젠더 커버(5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510)은 내부 공간을 갖는 젠더 하우징 바디(511)와, 젠더 하우징 바디(511)의 상부에 형성되며, 로커(5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단속하는 로커 장착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 바디(511)는 전면에 컨넥터 부재(520)의 컨넥터(522)가 관통된 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컨넥터 돌출구(5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 바디(511)의 후면(예: 홀더 조립체 결합면)의 좌우 양단은 젠더 조립체(500)의 장착 방향(예: -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51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부재(520)는 단자 지지편(521)의 전면으로 젠더 하우징 바디(511)의 컨넥터 돌출구(5111)를 통해 일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컨넥터(522) 및 단자 지지편(521)의 배면으로 노출되는 노출 단자(도 7b의 5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출 단자(523)는 단자 지지편(521)의 대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컨넥터(5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522)는 다양한 접속 방식(예: B type USB 접속 방식 또는 C-type USB 접속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접속 방식을 갖는 컨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530)는 로커 바디(531)와, 로커 바디(53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젠더 커버(540)의 상부에 돌출됨으로써 사용자의 로킹 동작에 사용되는 레버(5311)와, 로커 바디(53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로커(53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젠더 커버(540)의 외측으로 일부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편(53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 바디(531)는 좌우 양단으로 로커 바디(531)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한 쌍의 텐션 리브(53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 바디(531)는 플레이트 타입 로커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텐션 리브(5312)는 젠더 하우징 바디(511)의 로커 장착부(512)에 형성된 형상에 의해 로커(530)가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텐션을 받으며 이동됨으로써, 로커(530)의 슬라이딩 되는 위치가 일정하게 단속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커버(540)는 젠더 하우징 바디(511)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541)와, 제1플레이트(541)에서 일정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며, 젠더 하우징 바디(511)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2플레이트(5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541)는 젠더 하우징 바디(511)의 로커 장착부(512)에 배치된 로커(530)의 레버(5311)가 돌출되도록 안내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레버 돌출구(54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 돌출구(5411)는 로커(530)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할뿐만 아니라, 젠더 하우징 바디(511)로부터 로커(530)의 이탈을 단속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542)는 젠더 하우징 바디(511)내에 배치된 단자 지지편(521)을 단속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542)는 컨넥터 부재(520)의 단자 지지편(521)의 후면에 구성되는 단자(523)(예: 노출 단자)를 젠더 조립체(500)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단자 노출구(54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541)는 단자 노출구(5421)의 상부에서 로커(530)의 걸림편(5313)이 관통된 후, 후술될 홀더 조립체(예: 도 6의 600)의 걸림홈(예: 도 6의 634)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편 돌출구(54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500)는 젠더 하우징(510)의 젠더 하우징 바디(511)의 내부에 컨넥터 부재(520)의 컨넥터(522)가 컨넥터 돌출구(5111)를 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그 상부의 로커 장착부(512)에 로커(530)가 배치된 후, 젠더 커버(540)를 젠더 하우징(510)에 조립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젠더 하우징(510)과 젠더 커버(54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젠더 하우징(510)과 젠더 커버(540)는 초음파 융착, 테이핑 또는 본딩 등의 공정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젠더 하우징 바디에 로커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b를 참고하면, 로커(530)는 젠더 하우징(510)의 로커 장착부(512)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530)의 로커 바디(531)의 양단에는 텐션 리브(5312)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텐션 리브(5312)의 단부에는 걸림 돌기(53121)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 바디(531)는 젠더 하우징(510)의 로커 장착부(512)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걸림편(5313)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510)의 로커 장착부(512)의 양단에는 걸림 돌기(53121)의 이동 궤적을 따라 한 쌍의 걸림홈(5121, 5122)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걸림홈(5121, 5122)은 레버(5311)의 조작을 통해 로커(530)가 젠더 조립체(500)를 홀더 조립체(예: 도 6의 600)에 장착 후, 로킹시키는 위치에 위치될 때, 텐션 리브(5312)의 걸림 돌기(53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5121)과, 레버(5311)의 조작을 통해 로커(530)가 젠더 조립체(500)를 홀더 조립체(예: 도 6의 600)에 장착 후, 해제시키는 위치에 위치될 때, 텐션 리브(5312)의 걸림 돌기(53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걸림홈(5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530)는 텐션 리브(5312)의 탄성력과 걸림 돌기(53121)가 제1걸림홈(5121)과 제2걸림홈(5122)을 타고 넘는 동작에 의해 로커(530)의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에서 임의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홀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의 홀더 조립체(600)는 도 4a의 홀더 조립체(430)와 유사하거나, 홀더 조립체(430)의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홀더 조립체(600)는 지지 브라켓(610)과, 지지 브라켓(61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 브라켓(620)과, 홀더 브라켓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 하우징(630)과, 홀더 하우징(630)에 배치되는 단자 유닛(640) 및 단자 유닛(640)이 배치된 홀더 하우징(630)과 결합되는 홀더 커버(6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브라켓(610)은 지지 브라켓 바디(611)의 상부에 브라켓 장착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 장착부(612)에는 가이드 레일(613)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613)은 홀더 브라켓(620)을 Y축/-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홀더 브라켓(620)의 슬라이더(623)를 지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브라켓(610)은 HMD의 하우징(도 4a의 4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620)은 홀더 브라켓 바디(621)와, 홀더 브라켓 바디(621)의 저부에 배치되어 지지 브라켓(610)의 가이드 레일(613)의 안내를 받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더(6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 바디(621)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힌지 암(6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힌지 암(622)은 홀더 하우징(630)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 샤프트(633)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장착된 후, 홀더 하우징(630)을 X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암(622)과 힌지 샤프트(633) 사이에는 스프링(624)이 개재됨으로써, 홀더 하우징(630)은 회전되나,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624)은 코일형 토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620)은 지지 브라켓(610)의 상부에 슬라이딩(예: Y 방향) 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되며,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630)은 홀더 하우징 바디(631)의 전면에 단자 유닛(640)의 단자 지지편(641)이 배치되는 지지편 장착부(632)와, 지지편 장착부(632)의 상부에 배치되는 걸림홈(634) 및 홀더 하우징 바디(631)의 좌우 양단에 돌출 형성되며, 홀더 브라켓(620)의 힌지 암(62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힌지 샤프트(6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홈(634)은 전술한 젠더 조립체(도 5a의 500)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로커(도 5a의 530)의 걸림편(도 5a의 5313)을 수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유닛(640)은 단자 지지편(641)의 일면에 복수의 돌출 단자(642)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단자 지지편(641)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643)가 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643)는 돌출 단자(6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643)는 홀더 브라켓(620) 및 지지 브라켓(610)을 관통하여 HMD의 하우징(도 4a의 4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커버(650)는 커버 바디(65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바디(651)은, 플레이트 타입 커버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바디(651)는 단자 지지편(641)이 홀더 하우징(630)의 지지편 장착부(632)에 장착된 후, 단자 지지편(641)이 홀더 하우징(630)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단속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바디(651)는 홀더 커버(650)가 홀더 하우징(630)에 조립될 때, 단자 지지편(641)의 돌출 단자(642)가 홀더 조립체(6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단자 노출구(6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바디(651)의 외면에는 좌우 양단에 가이드 슬릿(653)이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젠더 조립체(500)의 젠더 하우징(510)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5112)를 가이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600)는 홀더 하우징(630)의 지지편 장착부(632)에 단자 유닛(640)의 단자 지지편(641)을 배치시킨 후, 홀더 커버(650)를 이용하여 조립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홀더 하우징(630)에는 단자 유닛(640)의 돌출 단자(64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유닛(640) 및 홀더 커버(650)가 조립된 홀더 하우징(630)은 홀더 브라켓(620)에 회전 가능(예: X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630)과 홀더 커버(65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홀더 하우징(630)과 홀더 커버(650)는 초음파 융착, 테이핑 또는 본딩 등의 공정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8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400)는 도 2a 및 도 2b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230) 또는 도 4a 및 도 4b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400)와 유사하거나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의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700)는 HMD의 하우징(710)의 장치 장착부(711) 주변에 고정되는 홀더 조립체(600)와, 홀더 조립체(6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젠더 조립체(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600)의 홀더 브라켓(620)은 하우징(710)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610) 상에서 Y축/-Y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630)은 홀더 브라켓(620)에서 X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600)의 돌출 단자(6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643)는 홀더 브라켓(620) 및 지지 브라켓(610)을 관통하여 HMD(도 4a의 400)의 하우징(도 4a의 4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가요성 인쇄회로(643)는 하우징(도 4a의 410) 내부의 배치되는 기판(미도시 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의 하우징(710)의 장치 장착부(711)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접속 방식에 따른 컨넥터(522)를 포함하는 젠더 조립체(500)가 홀더 조립체(600)에 -Z축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젠더 하우징(510)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리브(5112)는 홀더 조립체(60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슬릿(653)의 가이드를 받으며 -Z축 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500)가 홀더 조립체(600)에 완전히 장착되면, 젠더 조립체(500)의 장착면에 노출된 노출 단자(523)는 홀더 조립체(600)에 노출되고 돌출된 돌출 단자(6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 단자(642)는 공지의 C-클립 또는 포고 핀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500)의 노출 단자(523)를 포함하는 장착면의 하측 단부에는 테이퍼드된(tapered) 경사면(5423)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면(5423)는 돌출 단자(642)에 최초로 접촉되는 젠더 조립체(500)의 부분으로써, 경사면(5423)에 의해 젠더 조립체(500)는 슬라이딩 동작이 유도되며, 돌출 단자(642)에 의한 젠더 조립체(500)의 파손 또는 마모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젠더 하우징(500)의 상면에 노출된 레버(5311)를 일방향(예: 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로커(530)의 걸림편(5313)은 젠더 조립체(500)에서 돌출되어, 홀더 조립체(600)의 걸림홈(634)에 걸림으로써 젠더 조립체(500)는 홀더 조립체(600)에서 로킹될 수 있다. 반대로, 레버(5311)를 타방향(예: 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로커(530)의 걸림편(5313)이 홀더 조립체(600)의 걸림홈(634)에서 이탈되고, 젠더 조립체(500)의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젠더 조립체(500)는 홀더 조립체(6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젠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젠더 조립체(900)는 젠더 하우징(910)과, 젠더 하우징(910)내에 수용되는 컨넥터 부재(920) 및 컨넥터 부재(920)를 단속하기 위하여, 젠더 하우징(910)과 결합되는 젠더 커버(9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910)은 내부 공간을 갖는 젠더 하우징 바디(9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 바디(911)는 전면에 컨넥터 부재(920)의 컨넥터(922)가 관통된 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컨넥터 돌출구(9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 바디(911)의 후면의 좌우 양단은 젠더 조립체(900)의 장착 방향(예: -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91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부재(920)는 컨넥터 지지편(921)의 전면으로 젠더 하우징 바디(911)의 컨넥터 돌출구(9111)를 통해 일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컨넥터(9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부재(920)는 컨넥터 지지편(921)의 저부로 배치되는 단자 부재(9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지지편(921)은 단자 부재(923)와 가요성 인쇄회로(미도시 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부재(923)는 저면에 노출되는 노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부재(923)는 가요성 인쇄회로와 컨넥터 지지편(921)을 통해 컨넥터(9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922)는 다양한 접속 방식(예: B type USB 접속 방식 또는 C-type USB 접속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접속 방식을 갖는 컨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900)는 젠더 하우징(910)의 젠더 하우징 바디(911)의 내부에 컨넥터 부재(920)의 컨넥터(922)가 컨넥터 돌출구(9111)를 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 후, 그 배면에서 젠더 하우징(910)과 조립되는 젠더 커버(930)를 통해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젠더 하우징(910)과 스크류 관통구(931)를 포함하는 젠더 커버(93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940)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젠더 하우징(910)과 젠더 커버(930)는 초음파 융착, 테이핑 또는 본딩 등의 공정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홀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홀더 조립체(1000)는 지지 브라켓(1010)과, 지지 브라켓(101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 브라켓(1020)과, 홀더 브라켓(1020)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 하우징(1030)과, 홀더 하우징(1030)에 배치되며, 걸림편(1042)이 외부로 노출되는 로커(1040)와, 홀더 하우징(1030)내에 배치되는 단자 유닛(1060) 및 로커(1040)를 단속하도록 홀더 하우징(1030)과 결합되는 홀더 커버(10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브라켓(1010)은 지지 브라켓 바디(1011)의 상부에 브라켓 장착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 장착부(101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1020)은 지지 브라켓(1010)의 상부에서 Y축/-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브라켓(1010)은 HMD의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1020)은 홀더 브라켓 바디(10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1020)의 저부에는 지지 브라켓(1010)의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받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 바디(1021)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힌지 암(10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힌지 암(1022)은 홀더 하우징(1030)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 샤프트(1033)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장착된 후, 홀더 하우징(1030)을 X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암(1022)과 힌지 샤프트(1033) 사이에는 스프링(예: 토션 스프링)이 개재됨으로써, 홀더 하우징(1030)은 회전되나,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1020)은 지지 브라켓(101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되,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되며,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1030)은 홀더 하우징 바디(1031)의 전면에 Y축/-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로커(1040)를 배치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로커 장착부(10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1030)은 홀더 하우징 바디(1031)의 양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홀더 브라켓(1020)의 한 쌍의 힌지 암(1022)에 각각 관통되는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 샤프트(10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1040)는 로커 바디(1041)와, 로커 바디(1041)의 하측에 형성되어, 홀더 조립체(1000)의 외측으로(예: Y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1042) 및 로커 바디(1041)의 상측에 형성되어 홀더 조립체(1000)의 외측으로(예: 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레버(10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1040)는 홀더 하우징(1030)의 로커 장착부(1032)에 배치되며, 로커(1040)를 Y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로커(1040)의 걸림편(1042)이 홀더 조립체(10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044)(예: 압축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유닛(1060)은 단자 지지편(1061)의 일면에 복수의 돌출 단자(1062)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단자 지지편(1061)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가요성 인쇄회로(1063)가 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063)는 돌출 단자(10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063)는 홀더 브라켓(1020) 및 지지 브라켓(1010)을 관통하여 HMD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커버(1050)는 커버 바디(105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바디(1051)는 전면으로 로커(104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며, 홀더 하우징(1030)의 로커 장착부(1032)에서 로커(1040)의 이탈을 단속하기 위한 로커 노출구(10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바디(1051)는 로커 노출구(1052)의 양단에 형성되어 좌우 양단으로는 전술한 젠더 조립체(900)의 젠더 하우징(910)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9112)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슬릿(105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 노출구(1052)의 하측으로는 단자 유닛(1060)의 단자 지지편(1061)을 지지하며, 돌출 단자(1062)를 홀더 조립체의 Z축 방향으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단자 노출구(105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1000)는 홀더 하우징(1030)의 로커 장착부(1032)에 스프링(1044) 및 로커(1040)가 순차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단자 지지편(1061)이 단자 노출구(1054)를 통해 노출된 홀더 커버(1050)를 홀더 하우징(1030)과 조립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노출구(1054)를 통해 노출된 돌출 단자(1062)는 홀더 하우징(1030)의 저면에서 상측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1040)는 걸림편(1042)이 홀더 조립체(1000)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로커(1040)는 스프링(1044)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려는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1040)의 걸림편(1042)은 외압에 의해 홀더 조립체(100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러나 외압이 제거되면, 걸림편(1042)은 스프링(1044)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홀더 조립체(10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1030)과 홀더 커버(105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홀더 하우징(1030)과 홀더 커버(1050)는 초음파 융착, 테이핑 또는 본딩 등의 공정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8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는 젠더 조립체에 구성되며, 레버의 조작에 의해 로킹 또는 해제 위치로 수동으로 슬라이딩되는 로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1100)는 홀더 조립체(1000)에 구성되며, 젠더 조립체(900)의 장착에 따라 자동으로 로킹되며, 레버(1043)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젠더 조립체(900)를 홀더 조립체(1000)에서 이탈시킬 수 있는 로커(10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1100)는 HMD의 하우징(1110)의 장치 장착부(1111) 주변에 고정되는 홀더 조립체(1000)와, 홀더 조립체(10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젠더 조립체(9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1000)의 홀더 브라켓(1020)은 하우징(1110)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1010) 상에서 Y축/-Y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1030)은 홀더 브라켓(1020)에서 X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의 하우징(1110)의 장치 장착부(1111)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접속 방식에 따른 컨넥터(922)를 포함하는 젠더 조립체(900)가 홀더 조립체(1000)에 -Z축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젠더 하우징(510)의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리브(9112)는 홀더 조립체(100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슬릿(1053)의 가이드를 받으며 -Z축 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900)의 후면에는 홀더 조립체(1000)에 돌출된 로커(1040)의 걸림편(1042)을 안내하기 위하여 Z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면(933)과, 안내면(933)에 안내된 걸림편(1042)이 걸릴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홈(932)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면(933)과 걸림홈(932) 사이에는 걸림편(1042)을 걸림홈(932)으로 원활히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933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900)에 형성된 안내면(933)과 경사면(9331) 및 걸림홈(932)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젠더 하우징(900)의 젠더 커버(930)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900)가 홀더 조립체(1000)에 -Z축 방향으로(예: 도 11b 및 도 12의 ③ 방향) 장착될 때, 홀더 조립체(1000)에서 돌출된 걸림편(1042)은 젠더 조립체(900)의 안내면(933)을 따라 경사면(9331)을 타고 걸림홈(932)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걸림편(1042)은 젠더 조립체(900)의 경사면(9331)에 접촉하여 이동될 때, 스프링(1044)의 가압력을 보유하며 Y축 방향(예: 도 11b 및 도 12의 ④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이후, 걸림편(1042)이 경사면(9331)에서 걸림홈(932)으로 걸리는 방식으로 안착되면, 걸림편(1042)은 스프링(1044)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Y축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걸림편(1042)은 걸림홈(932)에 지속적으로 걸릴 수 있고, 이로 인해 젠더 조립체(900)가 홀더 조립체(100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900)가 홀더 조립체(1000)에 장착되면, 젠더 조립체(900)의 저면에 노출된 단자 부재(923)는 홀더 조립체(1000)에 노출되고 돌출된 돌출 단자(10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 단자(1062)는 공지의 C-클립 또는 포고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홀더 하우징(1000)의 상면에 노출된 레버(1043)를 Y축 방향(예: 도 11b 및 도 12의 ④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로커(1040)의 걸림편(1042)은 홀더 조립체(10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900)는 레버(1043)의 이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홀더 조립체(1000)로부터 Z축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900)는 돌출 단자(1062)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로커(1040)의 걸림편(1042)이 젠더 조립체(900)의 걸림홈(932)에서 이탈될 때, 젠더 조립체(900)를 Z축 방향으로 일정 위치 만큼 밀어냄으로써, 젠더 조립체(900)의 분리가 유도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젠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젠더 조립체(1300)는 젠더 하우징(1310)과, 젠더 하우징(1310)내에 수용되는 컨넥터 부재(1320)와, 젠더 하우징(1310)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커(1330) 및 로커(1330)를 단속하기 위하여 젠더 하우징(1310)과 결합되는 젠더 커버(1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1310)은 내부 공간을 갖는 젠더 하우징 바디(1311)와, 젠더 하우징 바디(1311)의 상부에 형성되며, 로커(13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단속하는 로커 장착부(13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 바디(1311)는 전면에 컨넥터 부재(1320)의 컨넥터(1322)가 관통된 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컨넥터 돌출구(13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부재(1320)는 단자 지지편(1321)의 전면으로 젠더 하우징 바디(1311)의 컨넥터 돌출구(1312)를 통해 일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컨넥터(1322) 및 단자 지지편(1321)의 배면으로 노출되는 노출 단자(도 15b의 13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출 단자(1323)는 단자 지지편(1321)의 대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컨넥터(13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1322)는 다양한 접속 방식(예: B type USB 접속 방식 또는 C-type USB 접속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접속 방식을 갖는 컨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1330)는 로커 바디(1331)와, 로커 바디(133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젠더 커버(1340)의 상부에 돌출됨으로써 사용자의 로킹 동작에 사용되는 레버(1332)와, 로커 바디(133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로커(133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젠더 커버(1340)의 외측으로 일부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편(1333) 및 젠더 하우징(1300)의 로커 장착부(1313)의 지지를 받으며, 로커 바디(1331)를 가압함으로써 로커(1330)의 걸림편(1333)이 젠더 하우징(13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33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커버(1340)는 젠더 하우징 바디(1311)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1341)와, 제1플레이트(1341)에서 일정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며, 젠더 하우징 바디(1311)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2플레이트(13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1341)는 젠더 하우징 바디(1311)의 로커 장착부(1313)에 배치된 로커(1330)의 레버(1332)가 돌출되도록 안내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레버 돌출구(13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 돌출구(1342)는 로커(1330)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젠더 하우징 바디(1311)로부터 로커(1330)의 이탈을 단속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1343)는 젠더 하우징 바디(1311)내에 배치된 단자 지지편(1321)을 단속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1343)는 컨넥터 부재(1320)의 단자 지지편(1321)의 후면에 구성되는 단자(1323)를 젠더 조립체(1300)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단자 노출구(134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1343)는 단자 노출구(1345)의 상부에서 로커(1330)의 걸림편(1333)이 관통되고 일정량만큼 돌출되도록 유도하는 걸림편 돌출구(134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1343)의 좌우 양단은 젠더 조립체(1300)의 장착 방향(-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134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1300)는 젠더 하우징(1310)의 젠더 하우징 바디(1311)의 내부에 컨넥터 부재(1320)의 컨넥터(1322)가 컨넥터 돌출구(1312)를 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그 상부의 로커 장착부(1313)에 로커(1330)가 스프링(1334)을 통해 -Y축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배치된 후, 젠더 커버(1340)를 젠더 하우징(1310)에 조립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젠더 하우징(1310)과 젠더 커버(134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346)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젠더 하우징(1310)과 젠더 커버(1340)는 초음파 융착, 테이핑 또는 본딩 등의 공정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홀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홀더 조립체(1400)는 지지 브라켓(1410)과, 지지 브라켓(141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 브라켓(1420)과, 홀더 브라켓(1420)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 하우징(1430)과, 홀더 하우징(1430)에 배치되는 단자 유닛(1440) 및 단자 유닛(1440)이 배치된 홀더 하우징(1430)과 결합되는 홀더 커버(14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브라켓(1410)은 지지 브라켓 바디(1411)의 상부에 브라켓 장착부(14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 장착부(141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1420)은 지지 브라켓(1410)의 상부에서 Y축/-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브라켓(1410)은 HMD의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1420)은 홀더 브라켓 바디(14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1420)의 저부에는 지지 브라켓(1410)의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받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 바디(1421)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힌지 암(14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힌지 암(1422)은 홀더 하우징(1430)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 샤프트(1433)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장착된 후, 홀더 하우징(1430)을 X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암(1422)과 힌지 샤프트(1433) 사이에는 스프링(예: 토션 스프링)이 개재됨으로써, 홀더 하우징(1430)은 회전되나,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1420)은 지지 브라켓(141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되,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되며,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1430)은 홀더 하우징 바디(1431)의 전면에 단자 유닛(1440)의 단자 지지편(1441)이 배치되는 지지편 장착부(1432)와, 지지편 장착부(1432)의 상부에 배치되는 걸림홈(1434) 및 홀더 하우징 바디(1431)의 좌우 양단에 돌출 형성되며, 홀더 브라켓(1420)의 힌지 암(142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힌지 샤프트(14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홈(1434)은 전술한 젠더 조립체(1400)에서 돌출되는 로커(1430)의 걸림편(1333)을 수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유닛(1440)은 단자 지지편(1441)의 일면에 복수의 돌출 단자(1442)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단자 지지편(1441)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가요성 인쇄회로(1443)가 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443)는 돌출 단자(14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443)는 홀더 브라켓(1420) 및 지지 브라켓(1410)을 관통하여 HMD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커버(1450)는 플레이트 타입 커버 바디(145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바디(1451)는 단자 지지편(1441)이 홀더 하우징(1430)의 지지편 장착부(1432)에 장착된 후, 홀더 하우징(1430)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단속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바디(1451)는 홀더 커버(1450)가 홀더 하우징(1430)에 조립될 때, 단자 지지편(1441)의 돌출 단자(1442)가 홀더 조립체(14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단자 노출구(14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바디(1451)의 외면에는 좌우 양단에 가이드 슬릿(1453)이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젠더 조립체(1300)의 젠더 커버(1340)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1344)를 가이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1400)는 홀더 하우징(1430)의 지지편 장착부(1432)에 단자 유닛(1440)의 단자 지지편(1441)을 배치시킨 후, 홀더 커버(1450)를 이용하여 조립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홀더 하우징(1430)에는 단자 유닛(1440)의 돌출 단자(144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유닛(1440) 및 홀더 커버(1450)가 조립된 홀더 하우징(1430)은 홀더 브라켓(142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1430)과 홀더 커버(145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홀더 하우징(1430)과 홀더 커버(1450)는 초음파 융착, 테이핑 또는 본딩 등의 공정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1500)는 HMD의 하우징(1510)의 장치 장착부(1511) 주변에 고정되는 홀더 조립체(1400)와, 홀더 조립체(14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젠더 조립체(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1400)의 홀더 브라켓(1420)은 하우징(1510)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1410) 상에서 축 Y/-Y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1430)은 홀더 브라켓(1420)에서 축 X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의 하우징(1510)의 장치 장착부(1511)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접속 방식에 따른 컨넥터(1322)를 포함하는 젠더 조립체(1300)가 홀더 조립체(1400)에 축 -Z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젠더 하우징(1310)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리브(1344)는 홀더 조립체(140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슬릿(1453)의 가이드를 받으며 축 -Z 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1300)가 홀더 조립체(1400)에 -Z축 방향으로(예: 도 16의 ⑤방향) 장착될 때, 젠더 조립체(1300)에서 돌출된 걸림편(1333)은 홀더 조립체(1400)의 장착면(예: 젠더 조립체와의 접촉면)을 따라 걸림홈(1434)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걸림편(1333)은 홀더 조립체(1400)의 장착면에 접촉하여 이동될 때, 스프링(1334)의 가압력을 보유하며 Y축 방향(예: 도 16의 ⑥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이후, 걸림편(1333)이 걸림홈(1434)에 안착되면, 걸림편(1333)은 스프링(1334)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Y축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걸림편(1333)은 걸림홈(1434)에 지속적으로 걸릴 수 있고, 이로 인해 젠더 조립체(1300)가 홀더 조립체(140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1300)가 홀더 조립체(1400)에 장착되면, 젠더 조립체(1300)의 측면으로(예: -Y축 방향으로) 노출된 노출 단자(1323)는 홀더 조립체(1400)에 노출되고 돌출된 돌출 단자(14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 단자(1442)는 공지의 C-클립 또는 포고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홀더 하우징(1400)의 상면에 노출된 레버(1332)를 Y축 방향(예: 도 16의 ⑥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로커(1330)의 걸림편(1333)은 젠더 조립체(13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1300)는 레버(1332)의 이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홀더 조립체(1400)로부터 Z축 방향으로 분리가 유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1330)는 레버(1332)에서 슬라이딩시키려는 외압이 제거되면 스프링(1334)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젠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젠더 조립체(1700)는 젠더 하우징(1710)과, 젠더 하우징(1710)내에 수용되는 컨넥터 부재(1720) 및 컨넥터 부재(1720)를 단속하기 위하여, 젠더 하우징(1710)과 결합되는 젠더 커버(17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1710)은 내부 공간을 갖는 젠더 하우징 바디(17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 바디(1711)는 전면에 컨넥터 부재(1720)의 컨넥터(1722)가 관통된 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컨넥터 돌출구(17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하우징 바디(1711)의 후면의 좌우 양단은 젠더 조립체(1700)의 장착 방향(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17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부재(1720)는 컨넥터 지지편(1721)의 전면으로 젠더 하우징 바디(1711)의 컨넥터 돌출구(1712)를 통해 일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컨넥터(17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부재(1720)는 컨넥터 지지편(1721)의 저부로 배치되는 단자 부재(17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지지편(1721)은 단자 부재(1723)와 가요성 인쇄회로(FPC)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부재(1723)는 저면에 노출되는 노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부재(1723)는 가요성 인쇄회로와 컨넥터 지지편(1721)을 통해 컨넥터(17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1722)는 다양한 접속 방식(예: B type USB 접속 방식 또는 C-type USB 접속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접속 방식을 갖는 컨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커버(1730)는 플레이트 타입 커버 바디(1731)의 노출되는 면상에 홀더 조립체(도 18의 1800)에 돌출된 로커(도 18의 1840)의 걸림편(도 18의 1843)을 안내하기 위하여 Z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면(1733)과, 안내면(1733)에 안내된 걸림편(1843)이 걸릴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홈(1732)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면(1733)과 걸림홈(1732) 사이에는 걸림편(1843)을 걸림홈(1732)으로 원활히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1734)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커버(1730)에 형성된 안내면(1733)과 경사면(1734) 및 걸림홈(1732)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면(1733)과 경사면(1734) 및 걸림홈(1732)은 젠더 하우징(1700)의 외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1700)는 젠더 하우징(1710)의 젠더 하우징 바디(1711)의 내부에 컨넥터 부재(1720)의 컨넥터(1722)가 컨넥터 돌출구(1712)를 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 후, 그 배면에서 젠더 하우징(1710)과 조립되는 젠더 커버(1730)를 통해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젠더 하우징(1710)과 스크류 관통구(1735)를 포함하는 젠더 커버(173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740)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젠더 하우징(1710)과 젠더 커버(1730)는 초음파 융착, 테이핑 또는 본딩 등의 공정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7의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홀더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홀더 조립체(1800)는 지지 브라켓(1810)과, 지지 브라켓(181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 브라켓(1820)과, 홀더 브라켓(1820)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 하우징(1830)과, 홀더 하우징(1830)에 배치되며, 걸림편(1843)이 외부로 노출되는 로커(1840)와, 홀더 하우징(1830)내에 배치되는 단자 유닛(1860) 및 로커(1840)를 단속하도록 홀더 하우징(1830)과 결합되는 홀더 커버(18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브라켓(1810)은 지지 브라켓 바디(1811)의 상부에 브라켓 장착부(18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 장착부(181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1820)은 지지 브라켓(1810)의 상부에서 Y축/-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브라켓(1810)은 HMD의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1820)은 홀더 브라켓 바디(18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1820)의 저부에는 지지 브라켓(1810)의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받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 바디(1821)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힌지 암(18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힌지 암(1822)은 홀더 하우징(1830)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 샤프트(1835)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장착된 후, 홀더 하우징(1830)을 X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암(1822)과 힌지 샤프트(1835) 사이에는 스프링(예: 토션 스프링)이 개재됨으로써, 홀더 하우징(1830)은 회전되나,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1820)은 지지 브라켓(181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되,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되며,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1830)은 홀더 하우징 바디(1831)의 전면에 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로커(1840)를 배치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로커 장착부(18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1830)은 로커 장착부(1832)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측 방향으로 노출되어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커(1840)의 레버(1842)를 수용하기 위한 레버 돌출구(18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1830)은 저부에 형성되어 단자 유닛(1860)의 단자 지지편(186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단자편 노출구(183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1830)은 홀더 하우징 바디(1831)의 양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홀더 브라켓(1820)의 한 쌍의 힌지 암(1822)에 각각 관통되는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 샤프트(183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1840)는 로커 바디(1841)와, 로커 바디(1841)의 전방에 텐션을 갖도록 일정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홀더 조립체(1800)의 외측으로(예: 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걸림편(1843) 및 로커 바디(1841)의 상측에 형성되어 홀더 조립체(1800)의 외측으로(예: 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레버(18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1840)는 홀더 하우징(1830)의 로커 장착부(1832)에 배치되며, 로커(1840)를 Z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로커(1840)의 걸림편(1843)이 홀더 조립체(1800)의 외측으로(예: Y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845)(예: 압축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유닛(1860)은 단자 지지편(1861)의 일면에 복수의 돌출 단자(1862)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단자 지지편(1861)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1063)가 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863)는 돌출 단자(18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인쇄회로(1863)는 홀더 브라켓(1820) 및 지지 브라켓(1810)을 관통하여 HMD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커버(1850)는 커버 바디(185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바디(1851)는 Z축 방향으로 로커(184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며, 홀더 하우징(1830)의 로커 장착부(1832)에서 로커(1840)의 이탈을 단속하기 위한 로커 안내부(1856)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바디(1851)는 로커 안내부(1856)의 양단에 형성되어 좌우 양단으로는 전술한 젠더 조립체(1700)의 젠더 하우징(1710)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1714)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슬릿(1857)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 안내부(1856)의 하측으로는 단자 유닛(1860)의 단자 지지편(1861)을 지지하며, 돌출 단자(1862)를 홀더 조립체(1800)의 -Z축 방향으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단자편 장착부(1854) 및 노출구(185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1800)는 홀더 하우징(1830)의 로커 장착부(1832)에 스프링(1845) 및 로커(1840)가 순차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단자 지지편(1862)이 홀더 커버(1850)의 단자편 장착부(1854)에 장착된 후, 홀더 하우징(1830)의 단자 노출구(1834)를 통해 노출되도록 홀더 커버(1850)를 홀더 하우징(1830)과 조립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노출구(1834)를 통해 노출된 돌출 단자(1862)는 홀더 하우징(1830)의 저면에서 상측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1840)는 걸림편(1843)이 홀더 조립체(1800)에서 Y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로커(1840)는 스프링(1845)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려는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1840)의 걸림편(1843)은 외압에 의해 홀더 조립체(180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Y축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외압이 제거되면, 걸림편(1843)은 스프링(1845)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홀더 조립체(1800)의 외측으로(Y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1830)과 홀더 커버(185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홀더 하우징(1830)과 홀더 커버(1850)는 초음파 융착, 테이핑 또는 본딩 등의 공정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에 젠더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a 내지 도 20를 참고하면,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1900)는 HMD의 하우징(1910)의 장치 장착부(1911) 주변에 고정되는 홀더 조립체(1800)와, 홀더 조립체(18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젠더 조립체(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1800)의 홀더 브라켓(1820)은 하우징(1910)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1010) 상에서 Y축/-Y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1030)은 홀더 브라켓(1820)에서 X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HMD의 하우징(1910)의 장치 장착부(1911)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접속 방식에 따른 컨넥터(1722)를 포함하는 젠더 조립체(1700)가 홀더 조립체(1800)에 -Z축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젠더 하우징(1710)의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리브(1714)는 홀더 조립체(180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슬릿(1857)의 가이드를 받으며 -Z축 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1700)가 홀더 조립체(1800)에 -Z축 방향으로(예: 도 20의 ⑦ 방향) 장착될 때, 홀더 조립체(1800)에서 돌출된 걸림편(1843)은 젠더 조립체(1700)의 안내면(1733)을 따라 경사면(1734)을 타고 걸림홈(1732)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걸림편(1843)은 젠더 조립체(1700)의 경사면(1734)에 접촉하여 이동될 때, 자체 형상에 의해 벌어지려는 텐션을 보유하며 -Y축 방향(예: 도 20의 ⑧ 방향)으로 후퇴되어 홀더 조립체(18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후, 걸림편(1843)이 경사면(1734)에서 걸림홈(1732)으로 걸리는 방식으로 안착되면, 걸림편(1843)은 자체 복원력에 의해 다시 Y축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걸림편(1843)은 걸림홈(1732)에 지속적으로 걸릴 수 있고, 이로 인해 젠더 조립체(1700)가 홀더 조립체(180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1700)가 홀더 조립체(1800)에 완전히 장착되면, 젠더 조립체(1700)의 저면에 노출된 단자 부재(1723)는 자연스럽게 홀더 조립체(1800)에 노출되고 돌출된 돌출 단자(18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 단자(1862)는 공지의 C-클립 또는 포고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홀더 하우징(1800)의 상면에 노출된 레버(1842)를 -Z축 방향으로(예: 도 20의 ⑦ 방향으로) 가압받으면, 로커(1840)의 걸림편(1843)은 홀더 조립체(1800)의 내부로(예: 도 20의 ⑧ 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1700)는 레버(1842)의 가압이 유지된 상태에서, 홀더 조립체(1800)로부터 -Z축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젠더 조립체(1700)는 돌출 단자(1862)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로커(1840)의 걸림편(1843)이 젠더 조립체(1700)의 걸림홈(1732)에서 이탈될 때, 젠더 조립체(1700)를 -Z축 방향으로 일정 위치 만큼 밀어냄으로써, 젠더 조립체(1700)의 분리가 유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젠더 조립체와 홀더 조립체간의 기구적 조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면, 각 조립체는 대응 위치에 배치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홀더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가 HMD의 하우징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 조립체가 HMD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들은 하우징에 고정되는 홀더 하우징과, 홀더 하우징에서 착탈 가능하게 교환되는 복수의 젠더 조립체에 대하여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젠더 조립체 없이 적어도 한 쌍의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이 서로 다른 컨넥터(2152, 2154)를 하나의 홀더 조립체(2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시키고, 홀더 조립체(210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소망 접속 방식을 갖는 컨넥터를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고하면, HMD(2200)는 외부 전자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 장착부(2211)를 포함하는 하우징(22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홀더 조립체(2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2100)는 지지 브라켓(2110)과, 지지 브라켓(211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 브라켓(2120)과, 홀더 브라켓(2120)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 하우징(2130)과, 홀더 하우징(2130)에 배치되며, 복수의 컨넥터(2152, 2154)를 수용하기 위한 컨넥터 브라켓(2140)과 및 컨넥터 브라켓(2140)에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컨넥터(2152, 2154)를 포함하는 컨넥터 부재(2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브라켓(2110)은 지지 브라켓 바디(2111)의 상부에 브라켓 장착부(2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 장착부(211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2120)은 지지 브라켓(2110)의 상부에서 Y축/-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브라켓(2110)은 HMD의 하우징(22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2120)은 홀더 브라켓 바디(21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2120)의 저부에는 지지 브라켓(2110)의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받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 바디(2121)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힌지 암(2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힌지 암(2122)은 홀더 하우징(2130)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 샤프트(2134)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장착된 후, 홀더 하우징(2130)을 X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암(2122)과 힌지 샤프트(2134) 사이에는 스프링(예: 토션 스프링)이 개재됨으로써, 홀더 하우징(2130)은 회전되나,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브라켓(2120)은 지지 브라켓(211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되,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되며,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2130)은 홀더 하우징 바디(2131)의 전면에 배치되며, 컨넥터 브라켓(2140)의 제1지지부(2141)를 수용하기 위한 제1컨넥터 수용부(2132)와, 전면과 일정 각도를 가지며, 컨넥터 브라켓(2140)의 제2지지부(2143)를 수용하기 위한 제2컨넥터 수용부(213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2130)은 홀더 하우징 바디(2131)의 양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홀더 브라켓(2120)의 한 쌍의 힌지 암(2122)에 각각 관통되는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 샤프트(213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브라켓(2140)은 홀더 하우징(2130)의 제1컨넥터 수용부(2132)에 고정되며, 제1컨넥터(2152)가 관통 후 돌출되는 제1컨넥터 돌출구(2142)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2141) 및 홀더 하우징(2130)의 제2컨넥터 수용부(2133)에 고정되며, 제2컨넥터(2154)가 관통 후 돌출되는 제2컨넥터 돌출구(2144)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21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부(2141)와 제2지지부(214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부재(2150)는 제1컨넥터(2151)를 지지하는 제1지지편(2151)과, 제2컨넥터(2154)를 지지하는 제2지지편(215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편(2151)은 컨넥터 브라켓(2140)의 제1지지부(214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지지편(2153)은 컨넥터 브라켓(2140)의 제2지지부(2143)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편(2151)과 제2지지편(2153)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1지지편(2151)과 제2지지편(2153)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전기적 연결 부재(예: 가요성 인쇄회로(FPC))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2100)는 컨넥터 부재(2150)가 장착된 컨넥터 브라켓(2140)이 홀더 하우징(2130)에 조립되고, 컨넥터 브라켓(2140)이 조립된 홀더 하우징(2130)이 지지 브라켓(2110)에 설치된 홀더 브라켓(21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부재(2150)의 제1지지편(2151)은 제1컨넥터(2152)가 제1컨넥터 돌출구(2142)에 돌출되는 방식으로 컨넥터 브라켓(2140)의 제1지지부(2141)에 장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넥터 부재(2150)의 제2지지편(2153)은 제2컨넥터(2154)가 제2컨넥터 돌출구(2144)에 돌출되는 방식으로 컨넥터 브라켓(2140)의 제2지지부(2143)에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2100)는 HMD의 하우징(2210)의 장치 장착부(2211) 주변에서 홀더 하우징(2130)의 힌지 샤프트(2134)를 회전축(예: X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2100)는 제1컨넥터(2152)가 장치 장착부(2211)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2100)는 일정 외압에 의해 도 22b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하우징(2210)의 내부에 위치한 제2컨넥터(2154)가 장치 장착부(221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그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컨넥터(2152)는 B type USB 접속 방식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컨넥터(2154)는 C-type USB 접속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하우징(2100)과 컨넥터 브라켓(2140)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홀더 하우징(2100)과 컨넥터 브라켓(2140)은 초음파 융착, 테이핑 또는 본딩 등의 공정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2100)는 소정의 회전 위치 유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 위치 유지 수단을 통해 제1컨넥터(2152) 또는 제2컨넥터(2154)가 돌출되는 위치에서 홀더 하우징(2130)의 위치를 임의의 회전 없이 고정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위치 유지 수단은 홀더 하우징(2130)과 홀더 브라켓(2140) 사이에 형성되는 자체 구조(예를 들어 돌기와 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위치 유지 수단은 홀더 하우징(2130)의 회전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 제안용 스토퍼가 홀더 하우징(2130)의 회전 반경내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가 HMD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를 참고하면, HMD(2400)는 외부 전자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 장착부(2411)를 포함하는 하우징(24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홀더 조립체(24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조립체(2430)는 서로 다른 접속 방식을 갖는 한 쌍의 컨넥터(2452, 2454)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도시되었으나, 한 쌍의 컨넥터(2452, 2454)는 브라켓의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은 홀더 조립체(2430)의 내부에서 Z축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의 일부에 회전 노브(2431)가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 노브(2431)의 적어도 일부는 홀더 조립체(243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노브(2431)의 회전에 의해, 접속 방식이 서로 다른 컨넥터(2452, 2454)는 홀더 조립체(2430)에서 장치 장착부(2411)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컨넥터(2452, 2454)는 제1컨넥터(2452)와, 제1컨넥터(2452)와 접속 방식이 다른 제2컨넥터(24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컨넥터(2452)는 B type USB 접속 방식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컨넥터(2454)는 C-type USB 접속 방식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접속 방식을 갖는 컨넥터들이 브라켓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a는 제1컨넥터(2452)가 홀더 조립체(2430)에서 장치 장착부(2411) 방향으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a의 상태에서, 회전 노브(2431)를 일정 각도(예: 90도)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24b의 상태와 같이, 제1컨넥터(2452)는 홀더 조립체(2430)의 내부로 인입되며, 제2컨넥터(2454)가 홀더 조립체(2454)에서 장치 장착부(2411)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홀더 조립체(2430)의 외부에 노출된 노브(2431)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HMD(2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의 접속 방식에 대응하는 컨넥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 외부 전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장치 장착부의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에 노출되는 돌출 단자를 포함하는 홀더 조립체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출 단자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고정시키는 로커(locker)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각각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는 상기 장치 장착부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대응하는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갖는 젠더 조립체로 교체가능한 헤드 마운트 장치(head mount de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젠더 조립체 또는 홀더 조립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가 작동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젠더 조립체와 상기 홀더 조립체가 접촉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 및 상기 젠더 조립체 또는 홀더 조립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가이드 리브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여, 상기 젠더 조립체가 상기 홀더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가이드 리브가 상기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젠더 조립체는 젠더 하우징 및 젠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커는, 상기 젠더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커 바디와, 상기 로커 바디의 일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젠더 하우징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편 및 상기 젠더 커버와 접촉하는 상기 로커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젠더 하우징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편을 상기 젠더 하우징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시키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 조립체는 홀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 하우징은 상기 로커의 걸림편이 걸릴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커는 상기 로커 바디의 좌우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텐션 리브를 포함하여, 상기 텐션 리브의 걸림 돌기가 상기 젠더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커의 슬라이딩 동작에 기반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여 상기 걸림편이 상기 젠더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 또는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젠더 하우징은 상기 젠더 하우징 내부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로커 바디를 상기 젠더 하우징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커 바디의 걸림편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젠더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편은 상기 젠더 하우징이 상기 홀더 하우징에 장착되는 경우, 동작만으로 상기 홀더 하우징의 장착면에 의해 젠더 하우징의 내부로 후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서 제1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홀더 조립체에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장착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는 상기 제1방향과 대향되는 제3방향으로 상기 홀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출 단자는 상기 제1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젠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노출 단자를 포함하는 장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돌출 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 단자는 상기 제2방향과 대향되는 제4방향으로 상기 홀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출 단자는 상기 제2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젠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커의 로킹 동작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돌출 단자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4방향으로 취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방식은 B type USB, 또는 C type US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 외부 전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장치 장착부의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에 노출되는 돌출 단자를 포함하며, 젠더 조립체를 고정시키는 로커(locker)를 포함하는 홀더 조립체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출 단자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각각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는 상기 장치 장착부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대응하는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갖는 젠더 조립체로 교체가능한 헤드 마운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 조립체는 홀더 하우징 및 홀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커는, 상기 홀더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커 바디와, 상기 로커 바디의 일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젠더 하우징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젠더 하우징의 대응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편 및 상기 홀더 커버와 접촉하는 상기 로커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 하우징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편을 상기 홀더 하우징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시키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서 제1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홀더 조립체에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장착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는 상기 제1방향과 대향되는 제3방향으로 상기 홀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출 단자는 상기 제1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젠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노출 단자를 포함하는 장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돌출 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 단자는 상기 제2방향과 대향되는 제4방향으로 상기 홀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출 단자는 상기 제2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젠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커의 로킹 동작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돌출 단자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4방향으로 취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 제1방향으로 외부 전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장치 장착부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방향과 대향되는 제2방향으로 노출되는 돌출 단자를 포함하는 홀더 조립체와, 상기 홀더 조립체에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3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노출 단자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고정시키는 로커(locker)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각각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로커는, 상기 젠더 조립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커 바디와, 상기 로커 바디의 일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젠더 조립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편 및 상기 로커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젠더 조립체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편을 상기 젠더 하우징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편이 상기 홀더 조립체의 대응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리도록 하며,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노출 단자를 포함하는 장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돌출 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는 상기 장치 장착부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대응하는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갖는 젠더 조립체로 교체가능한 헤드 마운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제어부(3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0: 젠더 조립체 510: 젠더 하우징
520: 컨넥터 부재 530: 로커(locker)
600: 홀더 조립체 630: 홀더 하우징
640: 단자 유닛 650: 홀더 커버
700: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

Claims (20)

  1. 헤드 마운트 장치(head mount device)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 외부 전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장치 장착부의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에 노출되는 돌출 단자를 포함하는 홀더 조립체;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출 단자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고정시키는 로커(locker)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각각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는 상기 장치 장착부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대응하는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갖는 젠더 조립체로 교체가능한 헤드 마운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젠더 조립체 또는 홀더 조립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가 작동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젠더 조립체와 상기 홀더 조립체가 접촉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 및
    상기 젠더 조립체 또는 홀더 조립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가이드 리브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여,
    상기 젠더 조립체가 상기 홀더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가이드 리브가 상기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젠더 조립체는 젠더 하우징 및 젠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커는,
    상기 젠더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커 바디;
    상기 로커 바디의 일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젠더 하우징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편; 및
    상기 젠더 커버와 접촉하는 상기 로커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젠더 하우징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편을 상기 젠더 하우징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조립체는 홀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 하우징은 상기 로커의 걸림편이 걸릴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로커 바디의 좌우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텐션 리브를 포함하여,
    상기 텐션 리브의 걸림 돌기가 상기 젠더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커의 슬라이딩 동작에 기반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여 상기 걸림편이 상기 젠더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 또는 돌출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젠더 하우징은 상기 젠더 하우징 내부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로커 바디를 상기 젠더 하우징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바디의 걸림편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젠더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젠더 하우징이 상기 홀더 하우징에 장착되는 경우, 동작만으로 상기 홀더 하우징의 장착면에 의해 젠더 하우징의 내부로 후퇴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서 제1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홀더 조립체에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장착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는 상기 제1방향과 대향되는 제3방향으로 상기 홀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출 단자는 상기 제1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젠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노출 단자를 포함하는 장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돌출 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단자는 상기 제2방향과 대향되는 제4방향으로 상기 홀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출 단자는 상기 제2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젠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의 로킹 동작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돌출 단자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4방향으로 취출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방식은 B type USB, 또는 C type USB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4. 헤드 마운트 장치(head mount device)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 외부 전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장치 장착부의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에 노출되는 돌출 단자를 포함하며, 젠더 조립체를 고정시키는 로커(locker)를 포함하는 홀더 조립체;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출 단자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각각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는 상기 장치 장착부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대응하는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갖는 젠더 조립체로 교체가능한 헤드 마운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조립체는 홀더 하우징 및 홀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커는,
    상기 홀더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커 바디;
    상기 로커 바디의 일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젠더 하우징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젠더 하우징의 대응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편; 및
    상기 홀더 커버와 접촉하는 상기 로커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 하우징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편을 상기 홀더 하우징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서 제1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홀더 조립체에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장착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는 상기 제1방향과 대향되는 제3방향으로 상기 홀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출 단자는 상기 제1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젠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노출 단자를 포함하는 장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돌출 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단자는 상기 제2방향과 대향되는 제4방향으로 상기 홀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출 단자는 상기 제2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젠더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의 로킹 동작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돌출 단자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4방향으로 취출되는 헤드 마운트 장치.
  20. 헤드 마운트 장치(head mount device)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 장치의 상면에 제1방향으로 외부 전자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장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장치 장착부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방향과 대향되는 제2방향으로 노출되는 돌출 단자를 포함하는 홀더 조립체;
    상기 홀더 조립체에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3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고, 상기 돌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노출 단자 및 상기 홀더 조립체에 고정시키는 로커(locker)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각각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로커는,
    상기 젠더 조립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커 바디;
    상기 로커 바디의 일측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젠더 조립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편; 및
    상기 로커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젠더 조립체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편을 상기 젠더 하우징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편이 상기 홀더 조립체의 대응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리도록 하며,
    상기 젠더 조립체는 상기 노출 단자를 포함하는 장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돌출 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테이퍼드(tapered)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젠더 조립체는 상기 장치 장착부에 장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컨넥터 포트에 대응하는 접속 방식(connection profile)의 컨넥터를 갖는 젠더 조립체로 교체가능한 헤드 마운트 장치.
KR1020160096054A 2016-07-28 2016-07-28 호환 가능한 젠더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 KR20180013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054A KR20180013009A (ko) 2016-07-28 2016-07-28 호환 가능한 젠더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
US15/631,148 US10285299B2 (en) 2016-07-28 2017-06-23 Interface connector device including compatible gendered connector
EP17177877.2A EP3296843B1 (en) 2016-07-28 2017-06-26 Interface connector device including compatible gendered connector
PCT/KR2017/007080 WO2018021712A1 (en) 2016-07-28 2017-07-04 Interface connector device including compatible gendered connector
CN201710621269.5A CN107666040B (zh) 2016-07-28 2017-07-27 头戴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054A KR20180013009A (ko) 2016-07-28 2016-07-28 호환 가능한 젠더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009A true KR20180013009A (ko) 2018-02-07

Family

ID=5921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054A KR20180013009A (ko) 2016-07-28 2016-07-28 호환 가능한 젠더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85299B2 (ko)
EP (1) EP3296843B1 (ko)
KR (1) KR20180013009A (ko)
CN (1) CN107666040B (ko)
WO (1) WO20180217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12B1 (ko) * 2018-07-30 2019-06-12 주식회사 마이크로컨텍솔루션 더미 젠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4555B (zh) 2016-08-24 2020-08-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CN108459413B (zh) * 2017-02-22 2021-10-08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头戴式显示装置
EP3614503B1 (en) 2018-08-20 2023-12-20 ODU GmbH & Co. KG Flat angular connector with latch mechanism
CN112789956B (zh) * 2018-10-10 2023-02-1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可线性移动的卡爪的设备
TWI761685B (zh) * 2019-06-24 2022-04-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穿戴式顯示裝置
CN111045513B (zh) * 2019-11-19 2021-04-16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可穿戴的指端力反馈装置
CN116974076B (zh) * 2023-06-28 2024-01-23 徐州维啊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防脱型vr头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50934A1 (en) * 1992-12-04 1994-06-23 Gordon B. Kuenster A head mounted display system
US6369952B1 (en) * 1995-07-14 2002-04-09 I-O Display Systems Llc Head-mounted personal visual display apparatus with image generator and holder
CN100399638C (zh) 2005-07-04 2008-07-02 诸葛瑞 带防触电安全保护装置的可换插脚的电源插头
US20080280470A1 (en) 2007-05-11 2008-11-13 Byrne Norman R Modular electrical system including back-to-back receptacle configurations and capable of providing four wire circuitry
EP2018030A1 (en) * 2007-07-18 2009-01-21 Blue Bee Limited A docking station and a kit for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TWM337184U (en) 2007-12-19 2008-07-21 Touch Electronic Co Ltd Adapting plug improved structure of power source supplier
US9158116B1 (en) * 2014-04-25 2015-10-13 Osterhout Group, Inc. Temple and ear horn assembly for headworn computer
CN102084556B (zh) * 2008-04-30 2014-05-14 刘东欣 适配器装置
US8957835B2 (en) * 2008-09-30 2015-02-17 Apple Inc.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CA2777566C (en) * 2009-10-13 2014-12-16 Recon Instruments Inc.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head-mounted information systems
JP2013521576A (ja) * 2010-02-28 2013-06-10 オスターハウト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対話式ヘッド取付け型アイピース上での地域広告コンテンツ
CN102918443B (zh) * 2010-04-27 2016-01-13 寇平公司 可佩戴的电子显示器
TWI401850B (zh) * 2010-07-23 2013-07-11 Delta Electronics Inc 具可替換轉接頭之電源轉接器及電源供應器
US8558424B2 (en) * 2010-10-21 2013-10-15 Clifford Neal Auten Suspended rotors for use in electrical generators and other devices
KR101148955B1 (ko) 2011-01-24 2012-05-22 (주)바늘 젠더 및 모바일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US10260735B2 (en) * 2011-06-16 2019-04-16 Tseng-Lu Chien Quickly charger has USB charging-ports for lighted cosmetic mirror device or lighting device
US20160099596A1 (en) * 2011-06-16 2016-04-07 Tseng-Lu Chien Quickly Charger has USB Charging-Ports for Time Related Device or Lighting Device
US8977205B2 (en) * 2011-10-06 2015-03-10 Symbol Technologies, Inc. Head-mounted computer with peripheral expansion port
US9459457B2 (en) 2011-12-01 2016-10-04 Seebright Inc. Head mounted display with remote control
CN104216118A (zh) * 2013-06-03 2014-12-17 约翰·T·默里 具有远程控制件的头部安装式显示器
DE202013102458U1 (de) * 2013-06-07 2013-07-03 Stefan Welker Tragvorrichtung für ein elektronisches Anzeigegerät
US20150234501A1 (en) * 2014-02-18 2015-08-20 Merge Labs, Inc. Interpupillary distance capture using capacitive touch
US9551873B2 (en) 2014-05-30 2017-01-24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Head mounted device (HMD) system having interface with mobile computing device for rendering virtual reality content
WO2016018205A1 (en) 2014-07-28 2016-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cking station with rotatable multi-plug connector
EP3195421B1 (en) 2014-08-25 2019-10-23 Friwo Geraetebau GmbH Plug-in power supply with interchangeable mains plug units
KR102230076B1 (ko) 2014-09-01 2021-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TWI562478B (en) * 2014-09-24 2016-12-11 Hon Hai Prec Ind Co Ltd Connector device
US10037652B2 (en) * 2014-10-02 2018-07-31 Greektown Casino LLC Slot machine with charging port for mobile phones
KR102292312B1 (ko) * 2014-10-02 2021-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N204205157U (zh) * 2014-10-10 2015-03-11 东莞讯滔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US9829711B2 (en) * 2014-12-18 2017-11-28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Inflatable virtual reality headset system
KR102439993B1 (ko) * 2015-02-27 2022-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706286B1 (en) * 2015-12-31 2017-07-11 Oculus Vr, Llc Headphone retention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12B1 (ko) * 2018-07-30 2019-06-12 주식회사 마이크로컨텍솔루션 더미 젠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66040A (zh) 2018-02-06
CN107666040B (zh) 2020-12-11
US20180035561A1 (en) 2018-02-01
WO2018021712A1 (en) 2018-02-01
US10285299B2 (en) 2019-05-07
EP3296843A2 (en) 2018-03-21
EP3296843A3 (en) 2018-05-30
EP3296843B1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3009A (ko) 호환 가능한 젠더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장치
US10684654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with detachable device
CN106802482B (zh) 联接器以及头戴式显示装置
CN105934134B (zh) 具有散热器的电子设备
KR102355149B1 (ko)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474952B (zh) 头戴式电子设备
EP3231354B1 (en) Smart belt
KR10263664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CN105388615B (zh) 头戴式显示设备
KR20180079912A (ko) 밴드 체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24570A (ko) 개선된 체결 구조를 갖는 스트랩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160141982A (ko)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인체 착용형 장치
KR102400383B1 (ko) 전자 장치의 센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170019084A (ko)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180073270A (ko)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17404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95338A (ko) 송풍 장치 및 송풍 장치를 포함하는 도킹 장치
KR20180054228A (ko)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001038A (ko) 키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US11500202B2 (en) Head mounted device
US11841744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ual display and keyboard
KR20180068447A (ko) 센서 모듈을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60094067A (ko)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