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632A - Dutch coffee maker - Google Patents

Dutch coffe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632A
KR20180012632A KR1020160095715A KR20160095715A KR20180012632A KR 20180012632 A KR20180012632 A KR 20180012632A KR 1020160095715 A KR1020160095715 A KR 1020160095715A KR 20160095715 A KR20160095715 A KR 20160095715A KR 20180012632 A KR20180012632 A KR 20180012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ffee
water receiving
cov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7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71845B1 (en
Inventor
한동희
Original Assignee
(주)휴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레드 filed Critical (주)휴레드
Priority to KR1020160095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845B1/en
Publication of KR2018001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6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8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ld-brew coffee maker capable of minimizing pollution and finely controlling the drip amount of water. The cold-brew coffee maker can control the outflow amount of water by rotating on the outskirts of the maker to minimize pollution of brewed coffee which can occur when the drip amount is adjusted. Also, a plurality of guide holes of an outflow unit where water drips is formed so coffee contained in a coffee accommodation unit can be dipped totally.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장치{DUTCH COFFEE MAKER}DUTCH COFFEE MAKER}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드립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위생적인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nitary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finel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dripping.

일반적으로, 더치커피는 뜨거운 물을 붓는 방식이 아닌, 생수 또는 상온의 물을 한 방울씩 떨어뜨려 장시간 동안 천천히 추출하여 만드는 커피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더치커피는 장시간(약 3~12시간)에 걸쳐서 커피를 추출하며, 시간당 물의 드립량(드립 속도)의 변경을 통해 커피의 맛과 향을 조절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일정한 드립 속도로 장시간에 걸쳐서 추출한 커피가 좋은 품질의 커피로 평가 받는다. In general, Dutch coffee is not a method of pouring hot water, but rather a drop of water or room temperature water, which is slowly extracted for a long time. Generally, Dutch coffee extracts coffee over a long period of time (about 3 to 12 hours) and adjusts the taste and aroma of the coffee by changing the amount of water drip per hour (drip speed). In general, coffee extrac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t a constant drip rate is rated as good quality coffee.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더치커피 추출장치(10)는 물탱크(11), 커피저장탱크(12), 커피 추출액 수집탱크(13) 그리고 거치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물탱크(11)는 거치대(14)의 최상부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물투입구(16)가 형성된다. 그리고, 물탱크(11)의 하부에는 드립량 조절밸브(15)가 구비된다. 드립량 조절밸브(15)는 물탱크(11) 하부의 유로 단면적을 변경하여 물의 드립량을 조절한다. 1,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 includes a water tank 11, a coffee storage tank 12, a coffee extract collection tank 13, and a cradle 14. As shown in FIG. Here, the water tank 11 is locat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cradle 14, and the water inlet 16 is formed at the upper part. A drip amount regulating valve 15 is provided below the water tank 11. The drip amount regulating valve 15 regulates the amount of water drip by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under the water tank 11.

커피저장탱크(12)는 커피분말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물탱크(11)의 하부에 위치한다. 드립량 조절밸브(15)를 통해 떨어지는 물은 커피저장탱크(12)로 유입되어 커피 추출액이 만들어질 수 있다. 커피저장탱크(12)의 하부에는 커피 추출액이 유출되는 유출구(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피저장탱크(12)의 저면에는 커피 추출액을 여과하는 필터(18)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offee storage tank 12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11 as a space where coffee powder is stored. Water falling through the drip amount regulating valve 15 flows into the coffee storage tank 12 and a coffee extract can be made. A lower portion of the coffee storage tank 12 may have an outlet 17 through which the coffee extract may flow. A filter 18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offee storage tank 12 to filter the coffee extract.

커피 추출액 수집탱크(13)는 커피 추출액을 수집하는 용기로서 커피저장탱크(12)의 하부에 위치한다. 거치대(14)는 물탱크(11), 커피저장탱크(12) 및 커피 추출액 수집탱크(13)를 지지할 수 있다. The coffee extract collection tank 13 is located under the coffee storage tank 12 as a container for collecting coffee extract. The holder 14 can support the water tank 11, the coffee storage tank 12 and the coffee extract collection tank 13.

그러나, 이러한 더치커피 추출장치(10)에서는 드립량 조절밸브(15)를 약간만 개방하더라도 물이 물줄기를 이루어 낙하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11) 내의 물의 양이 줄어들수록 수압이 낮아져서 물의 드립 속도가 점차 줄어들게 되어 일정한 드립 속도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장시간 추출을 위해 유로를 너무 작게 개방한 경우에는 물이 떨어지다가 멈추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10)에서는 물의 미세한 드립량 조절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However, in such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 even if the drip amount regulating valve 15 is slightly opened, water may fall down in a water stream. Further, as the amount of water in the water tank 11 is reduced, the water pressure is lowered and the dripping rate of the water is gradually reduc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dripping rate. In the case of opening the channel too small for extraction for a long time, Lt; / RTI > Due to such a problem,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fine drip amount of water in the conventional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 of the prior art.

또한,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10)의 드립량 조절밸브(15)는 이물질이 끼더라도 분리하여 세척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오염 등 위생상의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drip amount control valve 15 of the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 is not easy to separate and clean even if a foreign object is caught, it may cause hygienic problems such as contamination by foreign substances.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485771호(2015.01.26.공고)에는 드립량의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되는 더치커피 추출기는 물의 드립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원하는 물의 드립량을 맞춘 후 물공급용기를 추출액 보관용기에 올려놓는 방식이다. 즉, 유량조절기가 물공급용기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물의 드립량을 조절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485771 (published on Jan. 26, 2015) discloses a Dutch coffee extractor provided with a flow controller so that the amount of drip can be finely adjusted. However, in the Dutch coffee extractor disclosed in the above document, the user adjusts the amount of water drip to adjust the amount of drip of the desired amount of water, and then places the water supply container on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That is, when the flow regulator is fixed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the amount of water drip can not be controlled.

또한, 유량조절기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조절해야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주위 등으로 인하여 유량조절기가 이물질 및 유해균 등으로 더럽혀지거나 오염될 수 있으며, 더럽혀지거나 오염된 유량조절기를 통해 유입되는 물로 추출되는 커피 추출액에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regulator is a structure that must be manually held and adjusted by the user. Therefore, the flow regulator may be dirty or contaminated with foreign substances and harmful bacteria due to the user's surroundings, etc., and hygienic problems may occur in the coffee extract which is extracted into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soiled or contaminated flow regulator.

등록특허공보 제10-1485771호(2015.01.26.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85771 (issued on January 26, 201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의 드립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위생적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nitary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finely adjusting the amount of dripping wat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물을 수용하고, 수용된 물을 하향 유출시키는 유출부를 가지는 물수용부; 상기 물수용부의 하측에서 상기 물수용부를 결합 지지하고, 상기 유출부로 유출되는 물이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조절부; 커피를 수용하고, 상기 조절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커피수용부; 상기 조절부의 하측에서 상기 조절부를 지지하고, 내측으로 상기 커피수용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고, 상기 조절부를 통해 상기 커피수용부로 물이 유입되어 추출되는 커피 추출액을 저장하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treatment system comprising: a water receiving part having an outlet for receiving water and discharging the water downward; A control unit for coupling the water receiving unit to the water receiving unit and guiding the water flowing out from the water receiving unit to be dropped from the water receiving unit; A coffee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coffee and opening the upper part so as to allow the water falling from the regulating part to flow; A connecting part for supporting the adjusting part from below the adjusting part and for engaging the coffee receiving part to the inside; And a coffee extract storage part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nd storing the coffee extract solution which is extracted by flowing water into the coffee reception part through the regulation p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물수용부의 저면부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부와, 상기 커버부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유출부와 결합되며, 상기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이 떨어지도록 안내공이 형성되는 헤드부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portion includes a cover portion formed to face the bottom portion of the water accommodating portion, a side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ver portion and supported by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head portion provided at the center and coupled to the outlet portion and having a guide hole formed therein to allow water to flow out from the outlet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물수용부의 저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더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부가 안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제1홈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roove portion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a first projection projecting furth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eated on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water accommoda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반경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커버부의 외주연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에 위치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가질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ortion may include an exposed portion form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lower end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may have a tightly adhered portion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하나 이상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하단부가 상기 커피수용부의 상단부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tight contact portion can press-fasten the upper end of the coffee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은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이 분산되어 떨어지도록 안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uide holes may be formed to guide the water flowing out from the outlet portion to be dispersed and dropp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는 상기 안내공을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을 흡수하며, 상기 유출부에 의해 가압되는 흡수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bsorption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head portion so as to cover the guide hole, to absorb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portion, and to be pressed by the outlet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수용부의 저면부의 상면은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절부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의 사이에 제2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몸체의 내주면에 단차 형성되고, 상기 커피 추출액 저장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몸체부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regulating portion and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body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nd a second body por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stepped manner and closely conta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coffee extract storage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홈부에는 상기 커피 추출액 저장부의 상단부와 밀착되는 완충부재가 더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groov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end of the coffee extract solution storage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커피수용부의 플랜지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wo bodies to support the flange of the coffee receptac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외곽에서 조절부와 물수용부를 간단하게 상대 회전시키는 조작을 통해 물의 드립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drip of water can be finely adjusted through an operation of relatively rotating the adjusting portion and the water receiving portion relative to each other at the outer side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직접적인 손 접촉이 없이 물의 드립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hygienic since the amount of drip of water can be adjusted without direct hand contact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복수의 안내공을 통해 분산되어 커피 수용부에 드립될 수 있어 커피를 전체적으로 적실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추출이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dispersed through a plurality of guide holes and dripped into a coffee receiving portion, so that coffee can be entirely wetted, thereby enabling efficient extra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흡수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커피저장탱크로 물이 떨어지다가 중간에 멈추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 드립량을 종래 기술 대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an prevent the water from falling into the coffee storage tank and stopping in the middle of the coffee storage tank by including the absorbent member,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 드립 속도를 종래 기술 대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an keep the water dripping rate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물 드립량 조절부가 쉽게 분리 세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종래 기술 대비 이물질에 의한 오염 등 위생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drip amount adjusting part can be easily detached and cleaned, which can solve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contamination with foreign substances such as contamina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를 아래에서 올려다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조절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 및 조절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 및 조절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 및 조절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조절부 및 연결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below.
6 is a bottom view showing a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adjusting unit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10 is a bottom view showing an adjusting unit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a water receiving portion and an adjusting portion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connection portion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ater receiving part and an adjusting part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ater receiving portion and an adjusting portion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trol unit and a connection unit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는 물수용부(200), 조절부(300), 커피수용부(400), 연결부(500) 그리고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4,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water receiving unit 200, an adjusting unit 300, a coffee receiving unit 400, a connecting unit 500, and a coffee extract storage unit 600, . ≪ / RTI >

물수용부(200)는 내측으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수용부(200)는 상부가 개방 형성될 수 있으며, 물수용부(200)의 상부를 통해 외부에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물수용부(200)의 상부는 덮개부(2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10)는 물수용부(200)와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수용부(20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등의 방식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물수용부(200)의 저면부(220)에는 유출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유출부(230)는 저면부(220)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물수용부(200)에 수용된 물은 유출부(23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0 may be formed in a container shape to receive water inward. The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part 200 may be opened and the water may flow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part 200.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part 20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lid part 210. As shown in the figure, the lid 210 may be separated from the water receiving part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id part 210 may be hing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ter receiving part 200 . The outflow portion 23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220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0. The outflow portion 23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220.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torage part 20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part 230.

조절부(300)는 안내공(331)이 형성되는 헤드부(330)를 가질 수 있으며, 헤드부(330)가 물수용부(200)의 유출부(230)와 결합됨에 따라 조절부(300)는 물수용부(2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330) 및 유출부(230)의 사이에는 실링부재(350) 및 흡수부재(3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출부(230)에서 유출되는 물은 실링부재(350)에 의해 외부 누출이 방지될 수 있으며, 흡수부재(360)에 흡수될 수 있다. 유출부(230) 및 헤드부(330)는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정도에 따라 흡수부재(360)의 부피가 변하게 되어 안내공(331)을 통해 떨어지는 물의 드립량이 조절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have a head unit 330 on which the guide hole 331 is formed and the control unit 300 may be provided with the head unit 330 coupled to the outflow unit 230 of the water receiving unit 2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0. A sealing member 350 and an absorbing member 360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head portion 330 and the outlet portion 230.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outflow portion 230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by the sealing member 350 and can be absorbed by the absorbing member 360. The outflow portion 230 and the head portion 330 can be screwed together and the volume of the absorbing member 36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ngagement so that the amount of dripping water falling through the guide hole 331 can be adjusted.

커피수용부(400)는 커피를 수용할 수 있다. 커피수용부(400)에 수용되는 커피는 예를 들면, 분말 형태 등의 커피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커피수용부(400)에 수용되는 커피를 '커피 분말'이라 한다. 커피수용부(400)는 내구성이 강하고 세척이 용이한 금속소재(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등)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 또는 유리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합성수지 또는 유리소재로 이루어지는 커피수용부(400)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피수용부(400)의 상부에는 플랜지부(4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추출공(42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추출공(420)은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300)의 헤드부(330)를 통해 커피수용부(400)로 물이 유입되어 추출되는 커피 추출액(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커피'라 한다)은 추출공(420)을 통해 하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커피수용부(400)에는 커버필터(430)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커버필터(430)는 추출공(420)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필터(430)는 추출공(420)을 통해 커피 분말이 유출되는 것은 방지하고, 커피는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ffee receptacle 400 can receive coffee. The coffee contained in the coffee receptacle 400 may be, for example, coffee in powder form.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coffee contained in the coffee receptacle 400 is referred to as a 'coffee powder'. The coffee receiving part 4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e.g., stainless steel or the like) having high durability and easy to clea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or a glass material. The coffee receiving part 400 made of the synthetic resin or the glass material may be formed to be transparent. A flange part 4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ffee receiving part 400 and an extraction hole 420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At least one extraction hole 420 may be formed. The coffee extract liqu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ffe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ich is extracted by flowing water into the coffee receptacle 400 through the head part 330 of the controller 300, Can be leaked. The coffee receptacle 4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ilter 430 and the cover filter 430 may cover the extraction hole 420. The cover filter 430 prevents the coffee powder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extraction hole 420, and the coffee can be formed to discharge.

연결부(500)는 조절부(300)의 하측에서 조절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커피수용부(400)의 플랜지부(410)는 연결부(500)의 지지돌기(530)에 얹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피수용부(400)는 연결부(500)의 내측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500)는 조절부(300)의 하측에서 조절부(300)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 내측으로 커피수용부(400)가 안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part 500 can support the adjusting part 300 from below the adjusting part 300. The flange portion 410 of the coffee receiving portion 400 can be placed on the support protrusion 530 of the connection portion 500 so that the coffee receiving portion 400 can be engaged with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500 have. The connection part 500 supports the regulating part 300 on the lower side of the regulating part 300 and allows the coffee receiving part 400 to be seat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regulating part 300.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는 커피수용부(400)의 추출공(420)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를 저장할 수 있다.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는 합성수지 또는 유리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육안으로 커피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상단부에는 연결부(500)가 얹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는 연결부(500)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500)에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완충부재(5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하부에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하부를 보호하기 위한 바닥커버(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coffee extract storage part 600 can store the coffee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extraction hole 420 of the coffee receiving part 400. The coffee extract storage part 60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or a glass material and may be formed transparent so that the amount of coffee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The connection part 500 can b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ffee extract storage part 600 so that the coffee extract storage part 600 can support the connection part 500. The connection part 500 may be provided with a cushioning member 55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offee extract storage part 600. In addition, a bottom cover 700 for prot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 storage portion 60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 storage portion 600.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를 아래에서 올려다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below,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 및 도 6을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물수용부(200)의 저면부(220)에 형성되는 유출부(230)는 물수용부(2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유출부(230)는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물수용부(200)에 수용된 물이 유출되도록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유출부(230)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The outflow portion 230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20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0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0 as shown in FIGS. The outflow portion 230 may be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outflow portion 230 to form a flow path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0 flows out. The first screw portion 231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flow portion 230.

또한, 유출부(230)의 일단부에는 누름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232)는 유출부(230)의 일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누름부(23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출부(23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누름부(23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35)을 통해 물수용부(200)의 물은 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물수용부(200)의 저면부(220)의 상면(221)은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수용부(200)에 수용된 물은 효과적으로 유출부(230)로 유입될 수 있다. The pushing part 232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outflow part 230. The pushing part 232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outflow part 2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ressing portion 232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portions and may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outlet portion 230.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0 can be drained through the space 235 form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s 232. [ The top surface 221 of the bottom portion 220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In this way,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0 can be effectively introduced into the outlet portion 230.

그리고, 물수용부(200)의 저면부(220)에는 제1돌출부(240)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240)는 유출부(230)를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240 may further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220 of the water receiver 200. The first protrusion 240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outflow portion 230.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인데, 도 7은 조절부를 위에서 내려다 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조절부를 아래에서 올려다 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7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조절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adjusting unit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top view of the adjusting unit, and FIG. 8 is a bottom view of the adjusting unit.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7, and FIG. 10 is a bottom view showing an adjusting part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10을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300)는 커버부(310), 측면부(320) 및 헤드부(330)를 가질 수 있다. 7 to 10, the regulating unit 300 may have a cover portion 310, a side portion 320, and a head portion 330. As shown in FIG.

커버부(310)는 조절부(300)의 상부를 형성하며, 물수용부(200)의 저면부(220)에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10)에는 물수용부(200)의 저면부(220)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240)가 안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제1홈부(3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The cover part 310 forms the upper part of the regulating part 300 and may be formed to face the bottom part 220 of the water receiving part 200. The first groove portion 311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ver portion 310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240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220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0 is seated.

측면부(320)는 커버부(31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조절부(3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측면부(320)는 노출부(321) 및 밀착부(323)를 가질 수 있다. 노출부(321)는 커버부(310)의 외주연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출부(321)는 커버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300) 및 물수용부(200)가 결합 시, 노출부(321)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노출부(321)는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의 외측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노출부(321)의 하단부는 연결부(500)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결부(500)는 조절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밀착부(323)는 노출부(321)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500)의 측면, 구체적으로는 제1몸체부(510, 도 참조)에 밀착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밀착부(323)는 노출부(321)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ide portion 32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portion 310 to form a side surface of the regulating portion 300. The side portion 320 may have an exposed portion 321 and a close contact portion 323. The exposed portion 321 may be form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portion 310. [ The exposed portion 32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portion 310. The exposed portion 32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adjusting portion 300 and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Can be formed. The lower end of the exposed portion 321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500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500 can support the adjustment portion 300. The contact portion 323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xposed portion 321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500, specifically, the first body portion 510 (see FIG. As a whole, the tight contact portion 323 can be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exposed portion 321.

헤드부(330)는 커버부(310)의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헤드부(330)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330)의 하부에는 안내공(33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안내공(331)은 유출부(230)를 통해 유출된 물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헤드부(330)의 내주면에는 제2나사부(3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나사부(332)는 유출부(230)에 형성된 제1나사부(231)와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330)의 내주면에는 실링부재(350)가 마련될 수 있다. 헤드부(330) 및 유출부(230)가 나사 결합되었을 때, 실링부재(350)는 유출부(230) 및 헤드부(330)의 사이로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330)의 내측에는 안내공(331)을 덮도록 흡수부재(360)가 구비될 수 있다. 흡수부재(360)는 물이 흡수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부재(360)는 부직포,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수부재(360)는 유출부(230)의 누름부(232)에 의해 눌려지면 압축되고, 누름부(232)에 의한 눌림이 해제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 흡수부재(360)는 유출부(230)에서 유출되는 물을 흡수하여 안내공(33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안내공(331)은 1개 일 수 있고, 복수개가 분산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헤드부(330)에서는 물이 분산되어 떨어질 수 있다. 안내공(331)은 물이 분산되어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피수용부(400)에 수용된 커피 분말이 골고루 적셔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공(331)은 바람직하게는 3개가 형성되어 삼각형으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추출장치의 크기 또는 용도에 따라 대용량의 경우 예컨대 5개가 분산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head part 33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part 310. The head portion 330 may be formed so that the top portion thereof is opened. A guide hole 331 may be form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330. The guide hole 331 may allow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30 to be discharged downward. The second screw portion 332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portion 330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332 may be screwed to the first screw portion 231 formed on the outflow portion 230. A sealing member 35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 portion 330. The sealing member 350 can prevent water from leaking through the outflow portion 230 and the head portion 330 when the head portion 330 and the outflow portion 230 are screwed together. An absorbing member 36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head part 330 to cover the guide hole 331. The absorbing member 360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water. For example, the absorbent member 360 may be formed of a nonwoven fabric, a sponge, or the like. The absorbing member 360 is compressed when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232 of the outlet portion 230 and can return to the original shape when the pressing by the pressing portion 232 is released. The absorbing member 360 may absorb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outlet 230 and be discharged through the guide hole 331. The number of the guide holes 331 may be one, and a plurality of the guide holes 331 may be dispersedly formed, so that water may be dispersed and dropped in the head portion 330. The guide hole 331 can disperse water so that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coffee holding part 400 can be wetted evenly. The guide holes 331 may be triangularly arranged, preferably three. It is also possible that, for example, five dispersedly arranged in a large capacity depending on the size or use of the extraction device.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 및 조절부의 작동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a water receiving portion and an adjusting portion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수용부(200)의 유출부(230) 및 조절부(300)의 헤드부(330)의 나사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이 발생하면, 누름부(232)는 안내공(33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흡수부재(360)의 눌림이 완화되거나 없어지면서 흡수부재(360)에 흡수된 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흡수부재(360) 내에서 물의 흐름 저항이 감소되어 안내공(331)을 통한 물의 드립량이 많아질 수 있다. 11 (a), when rotation occurs in the direction of unscrewing the outflow portion 230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00 and the head portion 330 of the adjusting portion 300, 232 are moved away from the guide hole 331.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in the absorbing member 360 is increased and the flow resistance of the water in the absorbing member 360 is reduced so that the amount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guide hole 331 The amount of drip can be increased.

반면, 도 1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출부(230) 및 헤드부(330)의 나사결합이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이 발생하면, 누름부(232)는 안내공(331)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흡수부재(360)의 눌림이 증가하면서 흡수부재(360)에 흡수된 물의 양이 감소하게 되고, 흡수부재(360) 내에서 물의 흐름 저항이 증가되어 안내공(331)을 통한 물의 드립량이 적어질 수 있다. 11 (b), when the rotation of the outflow portion 230 and the head portion 330 is perform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the pressing portion 232 is close to the guide hole 331 . Therefore,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by the absorbing member 360 decreases as the pressing force of the absorbing member 360 increases, the flow resistance of water in the absorbing member 360 increases, and the amount of water dripped through the guide hole 331 Can be reduced.

물수용부(200) 및 조절부(300)의 상대 회전은 사용자가 물수용부(200) 및 조절부(30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물수용부(200) 및 조절부(300)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물수용부(200) 및 조절부(300)의 상대 회전은 사용자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내공(331)을 통한 물의 드립량도 미세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물의 드립량 조절은 물수용부(200) 및 조절부(300)에 대한 접촉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헤드부(330)에 대한 접촉이 불필요하므로, 위생적일 수 있다.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water storage part 200 and the adjustment part 300 is performed by the user while holding the water storage part 200 and the adjustment part 300 by hand, Or more.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water storage part 200 and the adjustment part 300 can be finely adjusted by the user so that the amount of dripping water through the guide hole 331 can be finely adjusted. Since the adjustment of the amount of water to be drained is made only by the contact with the water receiving part 200 and the adjusting part 300, the contact with the head part 330 is unnecessary, so that it can be sanitary.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portion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2,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coupling around a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500)는 제1몸체부(510) 및 제2몸체부(520)를 가질 수 있다. 제1몸체부(510)는 조절부(300)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몸체부(510)는 조절부(300)의 측면부(3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00) 및 조절부(300)가 결합되었을 때, 제1몸체부(51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터치커피 추출장치의 외측면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As shown in FIGS. 12 to 14, the connection part 500 may have a first body part 510 and a second body part 520. The first body part 510 can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regulating part 300. For this, the first body part 5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part 320 of the adjustment part 300. When the connection part 500 and the control part 300 are coupled, the first body part 5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s a whole may form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ouch coffee extracting device.

제2몸체부(520)는 제1몸체부(510)와의 사이에 제2홈부(521)가 형성되도록 제1몸체부(510)의 내주면에 단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홈부(521)에는 완충부재(5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5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상단부와 밀착될 수 있다. 완충부재(550)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상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가장 하부에 위치되어 물수용부(200), 조절부(300), 연결부(500) 및 커피수용부(400)를 모두 지지하기 때문에, 큰 하중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커피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유리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550)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상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 body part 5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510 such that a second groove part 521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body part 520 and the first body part 510. The second groove 521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550. The buffer member 55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offee extract storage portion 600. The buffer member 55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offee extract storage part 600. Since the coffee extract storage part 60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and supports both the water receiving part 200, the adjusting part 300, the connecting part 500 and the coffee receiving part 400, Can be applied. In addition, the coffee extract storage part 6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or a glass material so that the amount of coffee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The cushioning member 550 is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offee extract storage part 600 to prevent the upper end of the coffee extract storage part 600 from being damaged.

그리고, 제2몸체부(520)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몸체부(520)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60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부(520)의 상면에는 지지돌기(5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53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커피수용부(400)의 플랜지부(410)를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part 5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ffee extract storage part 600.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body portion 5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ffee extract storage portion 600. Further, a support protrusion 53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520. The supporting protrusions 53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can support the flange portion 410 of the coffee receiving portion 400. [

연결부(500), 커피수용부(400) 및 조절부(300)가 결합되었을 때, 조절부(300)의 밀착부(323)는 그 하단부가 커피수용부(400)의 상단부를 가압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착부(323)는 그 하단부가 연결부(500)의 지지돌기(530)에 놓여진 커피수용부(400)의 플랜지부(410)의 상면을 가압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커피수용부(400)의 플랜지부(410)는 연결부(500)의 지지돌기(530) 및 조절부(300)의 밀착부(323)에 가압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피수용부(400)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connecting portion 500, the coffee receiving portion 400 and the adjusting portion 300 are coupled, the tightening portion 323 of the adjusting portion 300 is formed such that the lower end thereof press- . The contact portion 323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323 press-clamps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410 of the coffee receiving portion 400 placed on the support protrusion 530 of the connection portion 500. [ That is, the flange portion 410 of the coffee receiving portion 400 can be press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rotrusions 530 of the connection portion 500 and the close portion 323 of the adjustment portion 300, The portion 400 can be stably and firmly fixed.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 및 조절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ater receiving part and an adjusting part of the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1300)의 노출부(1321)의 외주면에는 제1돌기부(13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돌기부(1325)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절부(1300)를 잡을 때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수용부(1200)의 측면부(1201)에는 제2돌기부(120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부(1202)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물수용부(1200)를 잡을 때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돌기부(1325) 및 제2돌기부(1202)는 모두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5A, a first protrusion 1325 may be furth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osed portion 1321 of the regulating portion 1300. The first protrusion 1325 can have various shapes and can prevent slipping when the user holds the adjustment portion 1300. [ The second protrusion 1202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ide surface 1201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200. The second protrusions 1202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lippage may be prevented when the user holds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200. Both the first protrusion 1325 and the second protrusion 1202 may be formed, or either one of them may be formed.

또한, 도 1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1300)의 노출부(1321)의 외주면에는 제1미끄럼 방지부재(138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물수용부(1200)의 측면부(1201)에는 제2미끄럼 방지부재(128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1미끄럼 방지부재(1380) 및 제2미끄럼 방지부재(128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미끄럼 방지부재(1380) 및 제2미끄럼 방지부재(1280)는 모두 마련되거나, 어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제2돌기부(1325,1202) 및 제1, 제2미끄럼 방지부재(1380,1280)는 사용자가 물수용부(1200) 및 조절부(130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15 (b), a first non-slip member 138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osed portion 1321 of the regulating portion 1300. As shown in FIG. The second slip prevention member 128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portion 1201 of the water storage portion 1200. The first non-skid member 1380 and the second non-skid member 128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The first non-skid member 1380 and the second non-skid member 1280 may be all provided, or may be provided either.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 portions 1325 and 1202 and the first and second non-skid members 1380 and 1280 can help the user to stably rotate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200 and the adjusting portion 1300 have.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수용부 및 조절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수용부의 저면부 및 조절부의 커버부의 형상이 다를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ater receiving portion and an adjusting portion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of the regulating port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1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수용부(2200)의 저면부(2220)에는 전술한 제1돌출부(240, 도 5 참조)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2300)의 커버부(2310)에는 전술한 제1홈부(311, 도 9 참조)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6A, the structure of the first protrusion 240 (see FIG. 5) may be omitted in the bottom surface portion 2220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200. The cover portion 2310 of the regulating portion 2300 may be omitted from the first groove portion 311 (see FIG. 9).

본 실시예에서, 물수용부(2200)의 저면부(2220)의 하면(2221)은 중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물수용부(2200)에 수용되는 물은 생수, 상온수 또는 냉수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물수용부(2200)의 외측에 물방울 맺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물수용부(2200)의 저면부(2220)의 하면(2221)이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 물수용부(2200)의 외측에 맺혀 흐르는 물방울이 저면부(2220)에서 흘러 모이도록 하여 큰 물방울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큰 물방울은 용이하게 조절부(2300)의 커버부(2310)의 외측으로 흘러 나갈 수 있기 때문에, 물수용부(2200)의 저면부(2220)와 커버부(2310)의 사이에 물이 고이는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2221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2220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2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200 may be water, cold water or cold water, so that water droplets may form on the out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200. When the lower surface 2221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2220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200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center direction, water droplets flowing on the out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200 flow in the bottom surface portion 2220, . This large waterdrop easily flows out to the outside of the cover portion 2310 of the regulating portion 2300 so that water accumulates between the bottom portion 2220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200 and the cover portion 2310 The phenomenon can be reduced.

또한, 도 1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2300)의 커버부(2310)는 반경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수용부(2200)의 저면부(2220)에 맺힌 물방울이 커버부(2310)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흘러 나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물수용부(2200)의 외면에 맺히는 물방울은 커버부(2310)를 통해 외측으로 흘러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물방울이 유출부(2230) 및 헤드부(2330)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16B, the cover portion 2310 of the regulating portion 23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us, the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2220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200 can flow more efficiently from the cover portion 2310. Since the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accommodating portion 2200 can flow out through the cover portion 2310,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droplets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outflow portion 2230 and the head portion 2330 .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조절부 및 연결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trol unit and a connection unit of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3300)의 밀착부(3323)는 연결부(3500)의 제1몸체부(35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17 (a), the tight contact portion 3323 of the adjustment portion 3300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3510 of the connection portion 3500. As shown in FIG.

또한, 도 1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3300)는 연결부(3500)의 제1몸체부(35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3323) 뿐만 아니라, 제1몸체부(35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추가 밀착부(3325)를 더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절부(3300) 및 연결부(3500)는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17 (b), the adjusting portion 3300 includes not only a contact portion 3323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3510 of the connection portion 3500, but also the first body portion 3510 And an additional tightening portion 3325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3310. [ In this way, the adjustment portion 330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500 can be more firmly coupled.

또한, 이러한 조절부(3300)의 밀착부(3323) 또는 추가 밀착부(3325)는 물수용부(미도시)의 외면에 맺힌 후 조절부(3300)로 흐르는 물방울이 연결부(3500)의 외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하기 때문에, 조절부(3300) 및 연결부(3500)의 사이를 통해 연결부(3500)의 내측으로 물방울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3323 or the additional contact portion 3325 of the adjusting portion 330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not shown) and then water droplets flowing to the adjusting portion 3300 ar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350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water droplets from flowing into the connection portion 350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adjustment portion 330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500.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더치커피 추출장치
200,1200,2200: 물수용부
220,2220: 저면부
230: 유출부
240: 제1돌출부
300,1300,2300,3300: 조절부
310,2310: 커버부
311: 제1홈부
330: 헤드부
331: 안내공
360: 흡수부재
400: 커피수용부
500,3500: 연결부
521: 제2홈부
530: 지지돌기
550: 완충부재
600: 커피 추출액 저장부
3325: 추가 밀착부
100: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200, 1200, 2200:
220, 2220:
230:
240: first protrusion
300, 1300, 2300, 3300:
310,
311: first groove
330:
331: Guide ball
360: absorption member
400: Coffee receptacle
500,3500: Connection
521: second groove
530: support projection
550: buffer member
600: Coffee extract storage part
3325: additional tightening portion

Claims (13)

물을 수용하고, 수용된 물을 하향 유출시키는 유출부를 가지는 물수용부;
상기 물수용부의 하측에서 상기 물수용부를 결합 지지하고, 상기 유출부로 유출되는 물이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조절부;
커피를 수용하고, 상기 조절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커피수용부;
상기 조절부의 하측에서 상기 조절부를 지지하고, 내측으로 상기 커피수용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고, 상기 조절부를 통해 상기 커피수용부로 물이 유입되어 추출되는 커피 추출액을 저장하는 커피 추출액 저장부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A water receiving portion having an outlet for receiving water and discharging the received water downward;
A control unit for coupling the water receiving unit to the water receiving unit and guiding the water flowing out from the water receiving unit to be dropped from the water receiving unit;
A coffee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coffee and opening the upper part so as to allow the water falling from the regulating part to flow;
A connecting part for supporting the adjusting part from below the adjusting part and for engaging the coffee receiving part to the inside; And
And a coffee extract storage portion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por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storing the coffee extract to be introduced into the coffee reception portion through the contro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물수용부의 저면부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부와,
상기 커버부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유출부와 결합되며, 상기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이 떨어지도록 안내공이 형성되는 헤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A cover portion formed to face the bottom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A side portion formed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portion and supported by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head portion provided at a center of the cover portion and coupled to the outlet portion, wherein a guide hole is formed so that water flowing out from the outlet portion is separ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물수용부의 저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더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부가 안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제1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ver portion is further formed with a first groove portion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a first projection projecting furth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eated on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water accommodat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반경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ver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커버부의 외주연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에 위치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de portion
An exposed portion formed vertically below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ving a lower end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tight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exposed portion and closely conta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하나 이상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ight contact portion is formed to closely contact at least one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하단부가 상기 커피수용부의 상단부를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lower end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presses and fixes the upper end of the coffee receiv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은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이 분산되어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the guide holes are formed to guide the water flowing out from the outlet portion to be dispersed and fall of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는 상기 안내공을 덮도록 마련되고, 상기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물을 흡수하며, 상기 유출부에 의해 가압되는 흡수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absorbing member which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head portion so as to cover the guide hole and absorbs water flowing out from the outlet portion and is pressed by the outle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용부의 저면부의 상면은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절부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의 사이에 제2홈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몸체의 내주면에 단차 형성되고, 상기 커피 추출액 저장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몸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A first body portion support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regulating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body por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so as to form a second groove portion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nd closely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ffee extract liquid storage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부에는 상기 커피 추출액 저장부의 상단부와 밀착되는 완충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groov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cushioning memb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 liquid storage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커피수용부의 플랜지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plurality of pawls for supporting a flange portion of the coffee receiving portion ar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wo body portions.






KR1020160095715A 2016-07-27 2016-07-27 Dutch coffee maker KR1018718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715A KR101871845B1 (en) 2016-07-27 2016-07-27 Dutch coffe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715A KR101871845B1 (en) 2016-07-27 2016-07-27 Dutch coffee m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632A true KR20180012632A (en) 2018-02-06
KR101871845B1 KR101871845B1 (en) 2018-06-27

Family

ID=6122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715A KR101871845B1 (en) 2016-07-27 2016-07-27 Dutch coffe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84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39U (en) 2018-11-14 2020-05-22 김영준 Multi-purpose supporting device for coffee extraction
KR102160880B1 (en) * 2019-04-16 2020-10-05 농업회사법인 신토불이 주식회사 Dutch coffee ma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420B1 (en) 2021-04-02 2022-05-26 주식회사 휴럼 Cold brew maker
KR102481713B1 (en) * 2022-06-14 2022-12-27 조종구 Water providing port for coffee dripp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5021U (en) * 1988-11-29 1990-06-08
KR101448230B1 (en) * 2013-05-24 2014-10-08 고영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using cool water
KR101485771B1 (en) 2013-08-24 2015-01-26 김진목 Dutch coffee machine with a flow controller
KR101615852B1 (en) * 2015-05-15 2016-04-26 (주)휴레드 Dutch coffee maker
KR101617256B1 (en) * 2014-08-08 2016-05-02 한동희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5021U (en) * 1988-11-29 1990-06-08
KR101448230B1 (en) * 2013-05-24 2014-10-08 고영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using cool water
KR101485771B1 (en) 2013-08-24 2015-01-26 김진목 Dutch coffee machine with a flow controller
KR101617256B1 (en) * 2014-08-08 2016-05-02 한동희 Dutch coffee extracting device
KR101615852B1 (en) * 2015-05-15 2016-04-26 (주)휴레드 Dutch coffee mak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39U (en) 2018-11-14 2020-05-22 김영준 Multi-purpose supporting device for coffee extraction
KR102160880B1 (en) * 2019-04-16 2020-10-05 농업회사법인 신토불이 주식회사 Dutch coffee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845B1 (en)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845B1 (en) Dutch coffee maker
AU2010300906B2 (en) Water treatment cartridge
CA2851875C (en) Bottle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or treating a beverage
US6202541B1 (en) Apparatus for making purified water and related drinks
US20110079572A1 (en) Bottle for water treatment device
JP5405595B2 (en) Valve driving device for valve, liquid container for liquid processing device, and liquid processing device
KR101615852B1 (en) Dutch coffee maker
RU2394626C2 (en) Filtration device to filter water and other fluids
US4986172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20080199580A1 (en) Tea maker with timer
KR101496932B1 (en) A Dutch Coffee Production Device
US20140263020A1 (en) Refillable Liquid Filter Apparatus
JP2021518794A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extracts from suspensions
US20130019754A1 (en) Brewing device with leak-proof structure
US10059603B2 (en) Water filtration apparatus with compostable filter
JPH03137983A (en) Natural flow and batch-like process for purifying water
AU2010300490B2 (en) Water treatment device for producing bottled water
KR101668580B1 (en) Dutch coffee maker
JP3654234B2 (en) Thermal bottle
KR101741954B1 (en) Dutch coffee mater and dutch coffee making method
KR101701251B1 (en) Dutch coffee maker
US11142446B2 (en) Gravitational water dispensing system
CN110720838B (en) Coffee brewing device used on ship
US20230276974A1 (en) Beverage preparation systems and processes, including portion holder with enhanced sealing and closure
AU2003100965A4 (en) Automatic drip coffe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