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298A -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 - Google Patents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298A
KR20180012298A KR1020177037123A KR20177037123A KR20180012298A KR 20180012298 A KR20180012298 A KR 20180012298A KR 1020177037123 A KR1020177037123 A KR 1020177037123A KR 20177037123 A KR20177037123 A KR 20177037123A KR 20180012298 A KR20180012298 A KR 20180012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ized
acid
oligoglucuronic
oligoglucuronic acid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058B1 (ko
Inventor
전칭 장
지에 하오
시창 순
후이링 장
Original Assignee
상하이 그린벨리 파머수티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그린벨리 파머수티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하이 그린벨리 파머수티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1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04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 C08B15/02Oxycellulose; Hydrocellulose; Cellulosehydrate, e.g. microcrystalline cellulose
    • C08B15/04Carboxycellulose, e.g. prepared by oxidation with nitroge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08L1/04Oxycellulose; Hydrocellulose, e.g. microcrystalline cellulo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에 관한 것으로, 의약 화합물 기술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은 자연계에서 풍부한 셀룰로오스를 원료로 사용하고, 브롬화나트륨(NaBr)-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산화물(TEMPO)-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산화 시스템의 작용을 통하여, 셀룰로오스의 β-1,4-폴리글루코스의 6개 위치의 히드록시기를 모두 카르복실기로 산화시켜 글루쿠론산을 형성하고, 아울러 반응 조건을 제어하여 말단이 개환된 산화형 올리고글루쿠론산을 제조하며, 이러한 유형의 화합물은 현저한 항뇌허혈 활성을 구비하기에, 잠재적인 항뇌허혈 약물로 발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
본 발명은 의약 화합물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oligoglucuronic acid)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에 관한 것이다.
셀룰로오스는 중합도가 3000 ~ 5000이고, β1→4 글루코시드(glucosidic) 결합에 의해 결합된 직쇄형 덱스트란(dextran)이며, 분자 구조는 직선형이고, 일정한 강도와 강성을 구비하며, 희산 또는 염기에 의해 쉽게 가수 분해되지 않고, 식물 세포벽의 주요한 조성성분이다. 인간과 육식 동물은 체내에 β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를 거의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셀룰로오스를 소화하여 이용할 수 없다. 미결정 셀룰로오스(MCC)는 정제되고, 부분적으로 해중합된 셀룰로오스이며, 주요한 성분은 β-1,4-글루코시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직쇄형 폴리사카라이드이고, 백색이며, 무취하고, 무미하며, 다공성 미세 입자로 구성된 결정 분말로, 셀룰로오스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교적 낮은 중합도와 비교적 큰 비표면적 등 특수한 특성을 구비하기에, 제약, 화장품, 식품, 경화학 공업 등 산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글루쿠론산은 흔히 볼 수 있는 탄수화물 분자로, 체내에서 헤파란황산(heparan sulfate),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 sulfate) 등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조성의 일부분이고; 소분자 배당체의 글리코실기(glycosyl) 부분에도 나타나지만 자연계에는 폴리글루쿠론산(polyglucuronic acid) 또는 올리고글루쿠론산이 존재하지 않는다.
최근에는 생활 수준의 향상 및 인구 구조의 고령화에 따라 뇌혈관 질환의 발병률과 사망률은 상승 경향을 나타내고, 사망 원인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여기서, 허혈성 뇌혈관 질환은 뇌혈관 질환의 주요 부분이다. 현재 뇌허혈성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가 우수한 약물 종류는 중약 조성물, 중약재 등을 포함하지만, 임상 치료 효과는 확인이 필요하므로, 새로운 항뇌허혈 질환 약물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구비한다.
선행기술에 존재하는 흠결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자연계에서 풍부한 셀룰로오스를 사용하고 브롬화나트륨(NaBr)-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산화물(TEMPO)-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산화 시스템의 작용을 통하여, 히드록시기를 글루쿠론산으로 산화시키고, 아울러 반응 조건을 제어하여 말단이 개환된 산화형 올리고글루쿠론산을 제조한다. 발명자는 상기 화합물이 1 μM의 농도 하에서 산소 결핍 및 당 결핍 해마 세포의 증식률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현저한 조제량 의존 관계가 존재하며, 이러한 유형의 화합물이 현저한 항뇌허혈 활성을 구비하기에 잠재적인 항뇌허혈 약물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미 입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하여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중합도가 1 ~ 20인 당류(saccharide)이고, 일반식Ⅰ의 구조를 구비하는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제공하며,
Figure pct00001
식Ⅰ
상기 일반식Ⅰ에서, n=0 ~ 19이고; m=0, 1 또는 2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일반식I’의 구조를 구비하는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진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혼합물을 제공하고,
Figure pct00002
식I’
상기 일반식I’에서, n’와 m’는 각각 혼합물 중 각 올리고글루쿠론산의 n과 m의 평균치이고, n’는 0 ~ 19.0으로부터 선택되며; m’는 0 ~ 2.0으로부터 선택된다. n’와 m’는 정수일 수 있고, 비정수일 수도 있으며, 이들은 혼합물 중 각 올리고글루쿠론산의 n과 m의 몰량으로 산출한 산술 평균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미결정 셀룰로오스(MCC) 분말을 칭량하고, 머서리화(mercerize) 처리를 거쳐 농도가 10 ~ 20 mg/ml인 머서리화 후의 미결정 셀룰로오스 용액을 얻는 단계(1); 단계(1)에서 제조된 머서리화 후의 미결정 셀룰로오스 용액에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산화물(TEMPO)과 브롬화나트륨을 순차적으로 넣고, 알칼리성 pH 조절제를 사용하여 pH를 10 ~ 11까지 조절하며, 다음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넣어 40 ~ 80℃ 조건 하에서 5 ~ 10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마지막으로 유기 용매를 넣어 반응을 종료시키는 단계(2); 500 Da의 투석백에 넣어 투석시키고, 농축, 동결 건조시켜 상기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혼합물을 얻거나, 또는 임의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통해 별도의 상기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얻는 단계(3)을 포함하는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또는 이의 혼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일반식I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과 이의 혼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및 이의 혼합물이 항뇌허혈 약물 또는 뇌신경 보호 약물의 제조에서의 용도를 더 제공한다. 이들은 중풍, 심근경색, 뇌쇼크, 신생아 질식 및 뇌외상에 의해 유발되는 뉴런의 허혈성 손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필요한 피험자에게 유효량의 상기 일반식I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또는 이의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험자의 뉴런 허혈성 손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거나 또는 피험자의 뇌신경을 보호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뉴런의 허혈성 손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약제 또는 뇌신경 보호의 약제인 일반식I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또는 이의 혼합물을 더 제공한다.
상기 해결수단에서, 상기 뉴런 허혈성 손상은 중풍, 심근경색, 뇌쇼크, 신생아 질식 및 뇌외상에 의해 유발된다.
본 발명의 뚜렷한 효과는 하기와 같다. 자연계에서 풍부한 셀룰로오스를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조건이 온화하며, 단가가 비교적 낮아, 산업화가 용이하다. 아울러 상기 화합물은 현저한 항뇌허혈 활성을 구비하고, 1 μM의 농도하에서 산소 결핍 및 당 결핍 해마 세포의 증식률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며, 현저한 조제량 의존 관계가 존재하기에, 예를 들어 중풍, 심근경색, 뇌쇼크, 신생아 질식 및 뇌외상에 의해 유발된 뉴런의 허헐성 손상 등 뇌허혈을 방지하는 잠재적인 약물로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실시예5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총이온 크로마토그래피(TIC) 및 210 nm에서의 UV 크로마토그램이고;
도2는 실시예5의 피크0의 1차 질량 스펙트럼, 즉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운데카사카라이드(undeca-saccharide) 및 데카사카라이드(decasaccharide)의 질량 스펙트럼이며;
도3은 실시예5의 피크1의 1차 질량 스펙트럼, 즉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노나사카라이드(nona-saccharide)의 질량 스펙트럼이고;
도4는 실시예5의 피크2의 1차 질량 스펙트럼, 즉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옥타사카라이드(octa-saccharide)의 질량 스펙트럼이며;
도5는 실시예5의 피크3의 1차 질량 스펙트럼 즉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헵타사카라이드(heptasaccharide)의 질량 스펙트럼이고;
도6은 실시예5의 피크4의 1차 질량 스펙트럼 즉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육당류(hexasaccharide)의 질량 스펙트럼이며;
도7은 실시예5의 피크5의 1차 질량 스펙트럼 즉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오당류(pentasaccharide)의 질량 스펙트럼이고;
도8은 실시예5의 피크6의 1차 질량 스펙트럼 즉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사당류(tetrasaccharide)의 질량 스펙트럼이며;
도9는 실시예5의 피크7의 1차 질량 스펙트럼, 즉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삼당류(trisaccharide)의 질량 스펙트럼이고;
도10은 실시예5의 피크8의 1차 질량 스펙트럼, 즉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이당류(disaccharide)의 질량 스펙트럼이며;
도11은 실시예5의 피크8의 1차 질량 스펙트럼, 즉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단당류(monosaccharide)의 질량 스펙트럼이고;
도12는 실시예5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도데카사카라이드(duodeca-saccharide) 내지 위케니사카라이드(vige-saccharide)의 질량 스펙트럼이며;
도13은 실시예6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1H-NMR 스펙트럼이고;
도14는 실시예6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13C-NMR 스펙트럼이며;
도15는 실시예7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이 정상 마우스의 해마 세포에 대한 작용이고;
도16은 실시예7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이 당 결핍 및 산소 결핍 마우스의 해마 세포에 대한 작용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중합도가 1 ~ 20인 당류이고, 일반식Ⅰ의 구조를 구비하는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에 관한 것으로,
Figure pct00003
식Ⅰ
상기 일반식Ⅰ에서, n은 0 ~ 19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또는 2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일반식Ⅰ에서, m=0인 경우, 말단의 글루코스 분자는 산화되어 두 개의 -CH(OH)- 단위가 제거되고, m=1인 경우, 말단의 글루코스 분자는 산화되어 하나의 -CH(OH)- 단위가 제거되며, m=2인 경우, 말단의 글루코스 분자는 -CH(OH)-가 제거되지 않고, 히드록시기의 산화만 일어난다.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즉 n이 특정 수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에서, m이 0, 1 및 2인 생성물은 혼합되어 존재할 수 있고, 단독으로도 존재할 수 있다. 상이한 m값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은 비슷한 생물학적 활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n은 1 ~ 9이고, 즉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이당류 내지 데카사카라이드에 대응되며, 이들 각각은 모두 본 발명에서 분리되고 특성화된다. 더 구체적으로, 식I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에서, n이 0인 경우에는 산화된 단당류에 대응되고, n이 1인 경우에는 산화된 이당류에 대응되며, n이 2인 경우에는 산화된 삼당류에 대응되고, n이 3인 경우에는 산화된 사당류에 대응되며, n이 4인 경우에는 산화된 오당류에 대응되고, n이 5인 경우에는 산화된 육당류에 대응되며, n이 6인 경우에는 산화된 헵타사카라이드에 대응되고, n이 7인 경우에는 산화된 옥타사카라이드에 대응되며, n이 8인 경우에는 산화된 노나사카라이드에 대응되고, n이 9인 경우에는 산화된 데카사카라이드에 대응되며, n이 10인 경우에는 산화된 운데카사카라이드에 대응된다. 이러한 산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혼합된 형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은 말단이 개환된 상이한 탄소수의 올리고글루쿠론산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말단이 상이한 탄소수의 올리고글루쿠론산은 혼합물의 형식으로 존재할 수 있고, 상이한 중합도의 올리고글루쿠론산은 혼합물 형식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일반식I’의 구조를 구비하는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
Figure pct00004
식I’
상기 일반식I’에서, n’와 m’는 각각 혼합물 중 각 올리고글루쿠론산의 n과 m의 평균치이고, n’는 0 ~ 19.0으로부터 선택되며, m’는 0 ~ 2.0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n’는 0 ~ 10.0으로부터 선택되고, m’는 0.5 ~ 1.8로부터 선택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n’는 0 ~ 10.0으로부터 선택되고, m’는 0.8 ~ 1.5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혼합물은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의 말단이 개환된 모노 내지 운데카 β-1,4-글루쿠론산(n은 0 ~ 10에 대응됨)을 포함하고, 여기서 m’ 는 0.8 ~ 1.5이다.
본 발명의 산화 방법은 셀룰로오스를 머서리화시키는 단계, 셀룰로오스 용액을 산화시키는 단계, 및 산화 생성물을 후처리하여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 셀룰로오스의 머서리화
본 발명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제조하기 위하여, 원료인 미결정 셀룰로오스를 머서리화 처리하여 농도가 약 10 ~ 20 mg/mL인 용액을 형성한다. 출원인은 용액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산화 과정을 완전히 수행하기 어렵고, 용액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산화 생성물의 불균일함을 쉽게 초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2. 셀룰로오스 용액의 산화
본 발명은 브롬화나트륨(NaBr)-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산화물 (TEMPO)-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산화 시스템을 사용한다. 반응 조건의 조정을 거쳐, 상기 산화 시스템의 산화성은 본 발명의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획득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산화 시스템은 통상적인 산화제보다 산화 반응을 더 완전하게 진행시켜 말단이 개환된 반응 생성물을 획득할 수 있으나, 반응 시스템의 균일성을 파괴하지 않는다. 이 밖에, 몰량으로 산출한 산화 시스템에서의 각 물질의 비율은 예를 들어 TEMPO:NaBr=1:5 내지 1:50이고, 셀룰로오스 중 글루코스 단위:활성 NaClO=1:0.5 내지 1:5이며, TEMPO:셀룰로오스 중 글루코스 단위=1:1 내지 1:5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 중 활성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중량%는 1 % 내지 20 %이고, 바람직하게는 2 % 내지 15 %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 ~ 12 %이다.
산화 반응은 알칼리성 조건 하에서 진행되고, 연구를 통해, 가장 적합한 pH치 범위는 10 ~ 11이고, 반응 시스템의 pH치가 너무 높으면 산화 효율은 저하되고 pH치가 너무 낮으면 산화에 불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응의 pH치는 알칼리성 화합물을 통해 제어되고, 가장 바람직한 알칼리성 화합물은 NaOH 용액이다. NaOH의 용액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산화 반응의 산화 온도는 40 ℃ 내지 80 ℃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70 ℃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2 ~ 68℃이고, 이 온도 범위 내에서 산화를 진행하면 바람직하지 않는 잔류된 효소 제거에 유리하며, 아울러 말단이 개환된 우론산(uronic acid)을 획득한다. 어떠한 이론에도 구애되지 않고, 발명자는 반응 온도가 40 ℃ 미만이면 말단이 개환된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획득에 불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응 온도가 너무 높으면, 원료의 생물학적 활성을 파괴하기에 반응 생성물의 이용에 불리하다.
유기 용액을 넣어 반응을 종료한 후, 산화되어 획득한 생성물 용액을 정제하여,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획득한다. 바람직한 정제 방법으로는, 투석법을 통하여 획득한 올리고글루쿠론산을 정제할 수 있고, 특히, 투석용 재료는 분자량이 500 Da인 물질을 차단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올리고당을 정제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투석에 의해 획득한 올리고글루쿠론산의 순도가 99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9.5% 이상을 확보하면 기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또는 이의 혼합물을 활성 화합물로 항뇌허혈 약물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뇌혈관 질환은 중국의 중년 및 고령자의 주요 사망 원인이고, 세계 보건 전략 연구의 중점 중 하나이다. 뇌혈관 질환에서 허혈성 질환의 발병률이 가장 높고, 통상적으로 경미한 허혈/산소 결핍의 경우, 뇌의 보상 메커니즘은 중추 신경계가 손상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지만, 허혈 정도가 심할 경우, 불가역적인 신경 손상을 일으켜 일련의 임상 증상 및 사망을 초래한다. 임상적으로, 뇌혈관 사고(예컨대 중풍), 심근경색, 쇼크, 신생아 질식 및 뇌외상은 모두 뉴런의 허혈성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뇌허혈 증상을 경감시키고, 뇌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천연 유래 물질을 개발하는 것은 아주 의미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뇌허혈 증상을 측정하는 세포 모델은 HT-22 세포가 산소 결핍 및 당 결핍 조건 하에서 생성된 세포이다(OGD 모델). HT-22 세포는 마우스 해마 뉴런 세포계로서, 마우스 T4 세포계의 아클론이고, 해마 뉴런의 특성을 구비한다. 관련된 내용은 예를 들어, Jeney Ramirez-Sanchez et al., Neurochemistry International 90 (2015) 215-223, “Neuroprotection by JM-20 against oxygen-glucose deprivation in rat hippocampal slices: Involvement of the Akt/GSK-3β pathway”; Xiao-Jing Li et 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41 (2012) 927- 933, Neuroprotective effects of TongLuoJiuNao in neurons exposed to oxygen and glucose deprivation; TIAN-ZHI ZHAO et al., Neuroscience 328 (2016) 117-126, “GPER1 Mediates Estrogen-Induced Neuroprotection Against Oxygen-Glucose Deprivation In The Primary Hippocampal Neurons”;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일반식I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또는 이의 혼합물이 뇌허혈 증상을 개선하고, 허혈 및 산소 결핍 뇌세포의 생존율을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은 천연 생성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흡수와 이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및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합 약물을 제공한다.
각종 비율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각종 조합 약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된 것이거나, 또는 본 발명의 공개 내용에 따라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rtin, E.W., ed., Mack Publishing Company, 19th ed. (1995)에 서술된 바와 같다. 상기 약물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적합한 약학 부형제, 담체, 희석제 등을 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공지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약물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혼합, 용해 또는 동결 건조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물 조성물은 선택된 투여 방식에 적합한 각종 경로,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정맥 내, 근육 내, 국소 또는 피하 경로에 의함)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합 약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예컨대 불활성 희석제 또는 식용 가능한 담체)와 결부하여 예컨대 경구와 같이 전신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은 단단하거나 소프트한 젤라틴(gelatin) 캡슐에 밀폐될 수 있고, 정제로 압축될 수 있다. 경구 치료 투여에 대하여,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부형제와 결부하여 삼킬 수 있는 정제, 버칼정, 트로치정, 캡슐제, 엘릭시르제, 현탁제, 시럽제, 디시크제 등 형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과 제제는 반드시 적어도 0.1 %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성물과 제제의 비율은 물론 변화될 수 있고, 특정된 단위 제형 중량의 약 1 % 내지 약 99 %를 차지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 유용한 조성물에서, 활성 화합물의 양은 유효 조제량 수준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정제, 트로치정, 환제, 캡슐제 등은 또한 트라가칸트 고무(gum tragacanth), 아카시아(acacia), 옥수수 전분 또는 젤라틴과 같은 접착제; 인산이칼슘(dicalcium phosphate)과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알긴산(alginic acid) 등과 같은 붕해제;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과 같은 윤활제; 자당, 과당, 유당 또는 아스파탐(aspartame)과 같은 감미제; 또는 페퍼민트(peppermint), 노루발풀 오일(oil of wintergreen) 또는 체리향과 같은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 제형이 캡슐일 경우, 상기 유형의 재료를 제외하고, 식물성 오일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과 같은 액체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종 기타 재료는 피복되어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기타 형태로 고체 단위 제형의 물리적 형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6. 예를 들어, 정제, 환제 또는 캡슐제는 젤라틴, 왁스, 셀락(shellac) 또는 당 등으로 피복될 수 있다. 시럽제 또는 엘릭시르제는, 감미제인 자당 또는 과당, 방부제인 메틸파라벤(methyl paraben) 또는 프로필파라벤(propyl paraben), 염료 및 향미제(예컨대 체리향 또는 오렌지향) 등 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임의의 단위 제형을 제조하기 위한 임의의 재료는 반드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여야 하고 사용되는 양은 무독성이어야 한다. 이 밖에, 활성 화합물은 서방형 제제와 서방형 장치에 혼입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은 또한 주입 또는 주사에 의해 정맥 내 또는 복강 내에 투여될 수 있다. 활성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수용액, 임의의 혼합 가능한 무독성의 계면활성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글리세롤(glycerol), 액체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아세틴(triacetin) 및 이의 혼합물 및 오일의 분산제를 제조할 수 있다. 통상적인 저장 및 사용 조건 하에서, 이러한 제제는 미생물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한 방부제를 포함한다.
주사 또는 주입에 적합한 약물 제형은 무균의 주사 가능한 또는 주입 가능한 용액 또는 분산제에 적합한 인스턴트 제제를 포함하는 활성 성분(임의로 리포좀(liposome)에 봉입됨)의 무균 수용액 또는 분산제 또는 무균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최종적인 제형의 생산 및 저장 조건은 반드시 무균적, 액체적 및 안정적이어야 한다. 액체 담체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ethanol), 폴리올(예컨대,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액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식물성 오일, 무독성의 글리세리드(glycerides) 및 이의 적합한 혼합물 등과 같은 용매 또는 액체 분산 매체일 수 있다. 적합한 유동성은 예들 들어, 리포좀의 형성, 분산체의 경우 필요한 입자 크기의 유지 또는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각종 항세균제 및 항진균제(예컨대 파라벤(parabens), 클로로부탄올(chlorobutanol), 페놀(phenol), 소르브산(sorbic acid), 티메로살(thimerosal) 등)를 통하여 미생물을 예방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많은 경우, 바람직하게는 당, 완충액 또는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과 같은 등장화제를 포함한다. 흡수제를 지연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예컨대, 모노스테아레이트(monostearate) 및 젤라틴) 주사 가능한 조성물의 지연 흡수를 발생할 수 있다.
적합한 용매 중 필요량의 활성 화합물을 필요한 상기 열거된 각종 기타 성분과 결부시킨 후, 여과 멸균하여 무균의 주사 가능한 용액을 제조한다. 무균 주사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무균 분말의 경우,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활성 성분 및 임의의 별도의 필요한 이전 무균 여과 용액에 존재하는 성분의 분말을 생성하는 진공 건조와 동결 건조 기술이다.
유용한 고체 담체는 분쇄된 고체(예컨대 탈크(Talc), 점토, 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등)를 포함한다. 유용한 액체 담체는 물, 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또는 물-에탄올/에틸렌글리콜 혼합물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조합 약물은 무독성의 계면활성제하에서 유효한 함량으로 임의로 용해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보조제(예컨대 향기) 및 별도의 항미생물제를 첨가하여 특정된 용도의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증점제(예컨대 합성된 중합체, 지방산, 지방산염과 에스테르, 지방족 알코올, 변성 셀룰로오스 또는 변성 무기 재료)는 액체 담체와 함께 도포 가능한 페이스트, 겔, 연고, 비누 등의 형성에 사용되고,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의 치료적 필요량은 화합물 자체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투여 방식, 치료할 질환의 본질과 환자의 연령 및 상태에 의존하고, 최종적으로 현장 의사 또는 임상 의사의 결정에 의존한다.
상기 제제는 단위 조제량을 함유하는 물리적 분산 단위인 인체 및 기타 포유 동물체 투여에 적합한 단위 제형으로 존재한다. 단위 제형은 캡슐 또는 정제이거나, 또는 많은 캡슐 또는 정제일 수 있다. 관련된 구체적인 치료에 따라, 활성 성분의 단위 조제량의 양은 약 0.1 mg 내지 약 1000mg 또는 그 이상 사이에서 변화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실험 방법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두 통상적인 방법이고; 상기 시약과 재료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두 시중에서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1: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제조방법
(1) 1 g의 MCC 분말을 칭량하고, 50 ml의 10 %의 NaOH 용액으로 머서리화 처리하여 머서리화 후의 MCC 용액을 제조하며;
(2) 단계(1)에서 제조된 머서리화 후의 MCC 용액에 5 mg의 TEMPO와 50 mg의 브롬화나트륨을 순차적으로 넣고, 10 %의 NaOH 용액으로 pH를 10까지 조절하며, 5 ml의 활성 차아염소산으로 산출하면 농도가 5 중량%인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넣어, 55 ℃ 조건 하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무수 에탄올을 넣어 반응을 종료시키며;
(3) 500 Da의 투석백에 넣어 투석시키고, 농축, 동결 건조시켜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얻는다.
실시예2: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제조방법
(1) 1 g의 MCC 분말을 칭량하고, 50 ml의 10 %의 NaOH 용액으로 머서리화 반응시켜 머서리화 후의 MCC 용액을 제조하며;
(2) 단계(1)에서 제조된 머서리화 후의 MCC 용액에 20 mg의 TEMPO와 250 mg의 브롬화나트륨을 순차적으로 넣고, 10 %의 NaOH 용액으로 pH를 10까지 조절하며, 10 ml의 활성 차아염소산으로 산출하면 농도가 5 중량%인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넣어, 40 ℃ 조건 하에서 8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무수 에탄올을 넣어 반응을 종료시키며;
(3) 500 Da의 투석백에 넣어 투석시키고, 농축, 동결 건조시켜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얻는다.
실시예3: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제조방법
(1) 1 g의 MCC 분말을 칭량하고, 100 ml의 10 %의 NaOH 용액으로 머서리화 반응시켜 머서리화 후의 MCC 용액을 제조하며;
(2) 단계(1)에서 제조된 머서리화 후의 MCC 용액에 50 mg의 TEMPO와 500 mg의 브롬화나트륨을 순차적으로 넣고, 30 %의 NaOH 용액으로 pH를 11까지 조절하며, 15 ml의 활성 차아염소산으로 산출하면 농도가 5 중량%인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넣어, 70 ℃ 조건 하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메탄올을 넣어 반응을 종료시키며;
(3) 500 Da의 투석백에 넣어 투석시키고, 농축, 동결 건조시켜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얻는다.
실시예4: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제조방법
(1) 1 g의 MCC 분말을 칭량하고, 100 ml의 10 %의 NaOH 용액으로 머서리화 반응시켜 머서리화 후의 MCC 용액을 제조하며;
(2) 단계(1)에서 제조된 머서리화 후의 MCC 용액에 50 mg의 TEMPO와 600 mg의 브롬화나트륨을 순차적으로 넣고, 50 %의 NaOH 용액으로 pH를 11까지 조절하며, 15 ml의 활성 차아염소산으로 산출하면 농도가 5 중량%인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넣어, 60 ℃ 조건 하에서 8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메탄올을 넣어 반응을 종료시키며;
(3) 500 Da의 투석백에 넣어 투석시키고, 농축, 동결 건조시켜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얻는다.
실시예5: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질량 스펙트럼 검출
5.1 방법
실시예1에서 획득한 2 mg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칭량하고 1 ml의 순수한 물로 용해시킨 후, 0.22 μm의 미세 여과막으로 여과한 후, UHPLC/Q-TOF-MS 분석을 진행한다.
UHPLC/Q-TOF-MS 분석은 Agilent 6540 UHD Accurate-Mass Q-TOF LC/MS(애질런트 회사, 미국)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의 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은 하기와 같다. ACQUITY UPLC BEH125 분자 배제 크토마토그래피 컬럼(4.6×300 mm, 워터스); 검출 파장: 210 nm; 이동상: A는 50 mM의 아세트산암모늄(ammonium acetate) 수용액이고, B는 메탄올이며, 비율은 80 %의 A이고; 유속은 0.1 ml/min이다. 질량 스펙트럼의 조건은 하기와 같다. 음이온 모드; 스캐닝 범위: 100 ~ 3000; 건조 가스 온도: 350 ℃; 건조 가스 유속: 8 L/min; 모세관 전압: 3500 V; 파열 전압: 80 V.
5.2 결과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은 UHPLC/Q-TOF-MS로 분석한 후, 하기와 같은 전체 이온 크로마토그래피(TIC)와 UV크로마토그램(도1을 참조)을 획득한다. 도1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각 피크는 규칙적인 웨이브형 분포를 나타내고, 분자 배제 크토마토그래피 컬럼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웨이브 피크는 중합도에 따라 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분포되어야 한다고 추측된다. 또한 각 크로마토그래피의 피크에 대응되는 1차 질량 스펙트럼(도2 ~ 11)을 통해 이의 구조를 추측한다. 도2는 피크0의 1차 질량 스펙트럼이고, 여기서 m/z 655.7744, 645.7753 및 635.7728은 모두 3개의 전하를 나타내고, 산출한 후 얻은 세 개의 신호가 대표하는 화합물 분자량은 각각 1970, 1940 및 1910 Da이며, 대응되는 구조는 식Ⅰ(n=10, m=0, 1 또는 2)과 같은 산화형 올리고글루쿠론산의 운데카사카라이드이다. 이 밖에, 상기 질량 스펙트럼에는 일부 3개의 전하를 나타내는 m/z 597.0981, 587.0991 및 577.0951과 2개의 전하를 나타내는 896.1517, 881.1502 및 866.1462인 질량 스펙트럼 신호가 더 존재하고, 산출한 후 확인한 바, 이들은 각각 분자량이 1794, 1764 및 1734 Da이며, 대응되는 구조는 식Ⅰ(n=9, m=0, 1 또는 2)과 같은 산화형 올리고글루쿠론산의 데카사카라이드이다. 마찬가지로, 도3 ~ 11은 피크 1 ~ 9의질량 스펙트럼이고, 해석을 거쳐 구조는 각각 식Ⅰ(n=8→0, m=0, 1 또는 2)과 같은 산화형 올리고글루쿠론산의 노나사카라이드 내지 단당류이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마토그램에서 운데카사카라이드 내지 위케니사카라이드는 잘 분리되지 않았지만, 질량 스펙트럼에서 이들은 명확한 신호를 구비한다.
실시예6: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핵자기 구조 확인
6.1 방법
25 mg의 실시예1의 생성물 샘플을 정확하게 칭량하여 0.5 ml의 중수(D≥99.96 %)에 용해시키고, 내부 표준 트리메틸실릴프로피오네이트(TSP, trimethylsilylpropionate)의 농도는 0.2 μg/ml이며, 600 MHz의 핵자기 공명 분광기(Agilent, 미국)로 분석한다. 수소 스펙트럼의 스캐닝 시간은 1시간이고, 시험 온도는 실온이다. 탄소 스펙트럼의 스캐닝 시간은 12 시간 이상이고, 시험 온도는 실온이다.
6.2 결과
핵자기 결과는 도13(1H-NMR),도14(13C-NMR)에 도시된 바와 같다. 수소 스펙트럼으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a(4.70 ~ 4.71 ppm)는 개환된 우론산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인접한 β형 배열의 글루쿠론산의 첫번째 위치의 H를 나타낸다. 영역b(4.47 ~ 4.60 ppm)는 개환된 우론산과 멀리 떨어진 β형 배열의 글루쿠론산의 첫번째 위치의 H와 글루쿠론산의 환원단이 개환되어 2 개의 -CH2O-를 제거한 후의 카르복실기의 α위치의 H이다. 탄소 스펙트럼으로부터 더 보아낼 수 있다 시피, 영역1은 카르복실기의 탄소 피크이나, 영역2는 상이한 화학 환경하에서의 폐루프 우론산의 첫번째 위치의 C이다. 수소 스펙트럼 및 탄소 스펙트럼을 결부하여 알 수 있다 시피, β글루코스 구조 단위의 6개의 자리는 성공적으로 카르복실기로 산화되고, 올리고글루쿠론산의 환원단은 개환되며 일정한 정도의 분해를 동반하여 질량 스펙트럼의 분석 결과를 더 검증한다.
실시예7: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이 산소 결핍 및 당 결핍(OGD)조건 하에서 HT-22 세포에 대한 영향
7.1 OGD 모델의 구축 및 실험 그룹화
정상 배양된 HT-22 세포를 취하여, 세포수를 2×104개/ml로 조정한 후, 96웰 배양 플레이트에 100 μl/웰로 접종하고, 각 군은 4개의 평행을 설정한다(n=4). 12시간 동안 전배양한 후, 투여군에 각각 10 μl의 실시예1의 산화 생성물을 배지로 조제한 상이한 농도의 샘플(1 μM, 10 μM, 100 μM)을 넣고, 정상군에 동일한 체적의 배지를 넣는다. 배양 플레이트를 5 %의 CO2,37℃의 인큐베이터에 넣고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 생존율을 관찰 및 측정하여 샘플이 정상 배양한 HT-22 세포에 대한 영향을 결정한다.
정상 배양된 HT-22 세포를 취하여, 원래의 배양액을 흡입하고 세포를 무당 DMEM 배양액으로 2번 세척하며, DMEM 무당 배양액을 넣어 세포수를 2×104개/ml로 조정한다. 96웰 배양 플레이트에 100 μl/웰로 접종한다. 투여군에 각각 10 μl의 실시예1의 산화 생성물을 배지로 배양한 상이한 농도의 샘플(1, 10, 100 μM)을 넣고, 모델군에 동일한 체적의 배양액을 넣는다. 배양 플레이트를 산소 결핍 탱크(95 %의 N2,5%의 CO2를 통과시킴)에 넣고, 37 ℃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 생존율을 관찰 및 측정하여 샘플이 OGD하에서 HT-22 세포에 대한 영향을 결정한다.
7.2 MTT법으로 세포 생존율 측정
상기 각 군의 세포 배양이 종료된 후, 각 웰에 10 μL의 MTT(5 mg/ml) 용액을 넣고, 계속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며, 100 μl의 10 %의 SDS를 넣고, 자색 결정이 완전히 용해된 후, 570 nm에서의 OD치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산출한다.
7.3 결과
MTT법으로 산출한 각 군의 세포 생존율은 표1, 2 및 도15,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1 및 도15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낮은 조제량, 중간 조제량, 높은 조제량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넣은 후의 세포의 생존율은 정상군에 비해 현저한 차이가 없으므로,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이 HT-22 세포에 독성이 없음을 나타낸다.
표2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모델군의 HT-22 세포의 생존율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어(p<0.001), OGD가 세포의 생존에 현저한 억제 작용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세포 생존율은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넣은 후 모델군에 비해 현저히 상승하고(p<0.01), 비교적 좋은 조제량 의존 관계를 동반하며,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이 HT-22 세포 성장 및 생존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이 정상 HT-22 세포 생존율에 대한 영향
그룹 농도(μM) 세포 생존율(%)
대조군 100.00±2.20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1 97.39±1.77
10 96.07±0.96
100 94.78±3.12
데이터는 mean±SEM로 표시함
대조군과 비교하면: p<0.05 현저한 차이가 존재함(LSD test)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이 OGD하의 HT-22 세포 생존율에 대한 영향
그룹 농도(μM) 세포 생존율(%)
대조군 100.00±2.09
모델군 62.98±1.88###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1 81.13±1.86**
10 85.97±3.92***
  100 93.44±4.67***
데이터는 mean±SEM로 표시함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01(LSD test)
**모델군과 비교하여 p<0.01(LSD test)
***모델군과 비교하여 p<0.001(LSD test)
상기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본 발명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혼합물은 우수한 항뇌허혈 작용을 구비한다. 실험으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각 분리된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은 유사한 실험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기에, 이들이 항뇌허혈 약물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형태가 존재하고, 동등 변환 또는 등가 변환에 의해 형성된 모든 기술적 해결수단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23)

  1. 하기 화학식 I의 구조를 갖고, 중합도가 1 내지 20 당류 (saccharide)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β-1,4-oligoglucuronic acid):
    화학식 I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n은 0 내지 19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또는 2로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m은 0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3. 제1항에 있어서,
    m은 1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4. 제1항에 있어서,
    m은 2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5. 제1항에 있어서,
    n은 1 내지 10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6. 제1항에 있어서,
    n은 0, 1, 2, 3, 4, 5, 6, 7, 8, 9 또는 10이고, 각각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단당류(monosaccharide), 이당류(disaccharide), 삼당류(trisaccharide), 사당류(tetrasaccharide), 오당류(pentasaccharide), 육당류(hexasaccharide), 헵타사카라이드(heptasaccharide), 옥타사카라이드(octa-saccharide), 노나사카라이드(nona-saccharide), 데카사카라이드(decasaccharide), 운데카사카라이드(undeca-saccharide)에 대응되는,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7. 화학식 I'의 구조를 갖는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혼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n'와 m'는 각각 혼합물 중의 각각의 올리고글루쿠론산에 대한 n 및 m의 평균치이고, n'는 0 내지 19.0으로부터 선택되며; m'는 0 내지 2.0으로부터 선택된다.
  8. 제8항에 있어서,
    n'는 0 내지 10.0으로부터 선택되고, m'는 0.5 내지 1.8로부터 선택되는,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혼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n'는 0 내지 10.0으로부터 선택되고, m'는 0.8 내지 1.5로부터 선택되는,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혼합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n이 1 내지 10인 조성성분은 혼합물의 중량의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을 차지하는,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혼합물.
  11. 제1항에 따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제조방법으로서,
    (1)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말을 칭량하고, 머서리화(mercerize) 처리를 거쳐 농도가 10 내지 20 mg/ml인 머서리화 후의 미결정 셀룰로오스 용액을 얻는 단계;
    (2) 단계 (1)에서 제조된 머서리화 후의 미결정 셀룰로오스 용액에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산화물(TEMPO)과 브롬화나트륨을 순차적으로 넣고, 알칼리성 pH 조절제를 사용하여 pH를 10 내지 11로 조절하며, 다음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넣고 40 내지 80℃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마지막으로 유기 용매를 넣어 반응을 종료시키는 단계;
    (3) 500 Da의 투석백에 넣어 투석시키고, 농축, 동결 건조시켜 상기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말 대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산화물의 질량비는 1000:(5 내지 50)인,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브롬화나트륨 대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산화물의 질량비는 10:1 보다 크거나 같은,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미결정 셀룰로오스 분말 대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의 질량 체적비 (mass volume ratio)는 1 g:(5 내지 15) ml인,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유기 용매는 무수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알칼리성 pH 조절제는 5 내지 50% NaOH 용액인, 제조방법.
  1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또는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혼합물의 항뇌허혈 약물의 제조에서의 용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항뇌허혈 약물은 중풍, 심근경색, 뇌쇼크, 신생아 질식 및 뇌외상에 의해 유발되는 뉴런의 허혈성 손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것인, 용도.
  1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또는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혼합물의 뇌신경 보호 약물의 제조에서의 용도.
  2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또는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혼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21.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또는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혼합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피험자의 중풍, 심근경색, 뇌쇼크, 신생아 질식 및 뇌외상에 의해 유발되는 뉴런의 허혈성 손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22. 뉴런의 허혈성 손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약물로서의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또는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혼합물.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뉴런의 허혈성 손상은 중풍, 심근경색, 뇌쇼크, 신생아 질식 및 뇌외상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방법 또는 화학식 I의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또는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의 혼합물.
KR1020177037123A 2015-05-22 2016-05-20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 KR102002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267009.3 2015-05-22
CN201510267009.3A CN104945448B (zh) 2015-05-22 2015-05-22 一种氧化型β-1,4-寡聚葡萄糖醛酸及其制备方法和用途
PCT/CN2016/082928 WO2016188381A1 (zh) 2015-05-22 2016-05-20 一种氧化型β-1,4-寡聚葡萄糖醛酸及其制备方法和用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585A Division KR20190086595A (ko) 2015-05-22 2016-05-20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298A true KR20180012298A (ko) 2018-02-05
KR102002058B1 KR102002058B1 (ko) 2019-07-19

Family

ID=541605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585A KR20190086595A (ko) 2015-05-22 2016-05-20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
KR1020177037123A KR102002058B1 (ko) 2015-05-22 2016-05-20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585A KR20190086595A (ko) 2015-05-22 2016-05-20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98508B2 (ko)
EP (1) EP3336095A4 (ko)
JP (2) JP6538883B2 (ko)
KR (2) KR20190086595A (ko)
CN (2) CN104945448B (ko)
WO (1) WO2016188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5448B (zh) 2015-05-22 2018-06-19 上海绿谷制药有限公司 一种氧化型β-1,4-寡聚葡萄糖醛酸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892792B (zh) * 2015-05-22 2018-08-24 上海绿谷制药有限公司 一种氧化型α-1,4-寡聚葡萄糖醛酸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8264577B (zh) * 2017-01-04 2020-05-22 苏州大学 一种β-1,3-葡萄糖醛酸寡糖、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7050508B (zh) * 2017-01-19 2020-12-18 深圳清华大学研究院 可注射骨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938653B (zh) * 2018-09-28 2021-03-02 苏州大学 氧化型1,4-β-D-葡萄糖醛酸寡糖在制备治疗阿尔茨海默病的药物中的应用
CN110218267B (zh) * 2019-07-04 2020-08-07 汉邦环宇多糖生物科技(河源)有限公司 一种右旋糖酐铁的制备方法及用途
CN110499347B (zh) * 2019-09-30 2022-09-23 大连民族大学 一种表面负电荷分布的珊瑚状淀粉的制备方法
CN112876521A (zh) * 2021-03-17 2021-06-01 苏州大学 一种β-1,4型葡萄糖醛酸/甘露糖醛酸直链杂合寡糖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2755B1 (fr) * 1995-12-21 1998-02-20 Roquette Freres Procede perfectionne d'oxydation des sucres
GB2314840B (en) * 1996-06-28 2000-09-06 Johnson & Johnson Medical Oxidized oligosaccharid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H10195102A (ja) * 1996-12-30 1998-07-28 Lion Corp 無水グルコースを構成単位とする多糖類より誘導されるポリカルボン酸又はその塩及びそれを含む洗剤組成物
AU726617B2 (en) * 1997-01-30 2000-11-16 Alpenstock Holdings Limited Cellulose derivatives
JP2001509801A (ja) * 1997-01-30 2001-07-24 アルペンスト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リミテッド 組成物
US6498269B1 (en) * 2000-10-17 2002-12-24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Method for the oxidation of aldehydes, hemiacetals and primary alcohols
CZ2006161A3 (cs) * 2006-03-10 2007-09-05 Synthesia, A.S. Zpusob prípravy bioresorbovatelné oxidované celulózy
KR101512886B1 (ko) * 2010-01-22 2015-04-16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점성 조성물
JP5722556B2 (ja) * 2010-06-11 2015-05-20 花王株式会社 ポリウロン酸塩の製造方法
JP2014001272A (ja) * 2012-06-15 2014-01-09 Kao Corp ポリウロン酸塩の製造方法
JP2014001271A (ja) * 2012-06-15 2014-01-09 Kao Corp ポリウロン酸塩の製造方法
CN104945448B (zh) * 2015-05-22 2018-06-19 上海绿谷制药有限公司 一种氧化型β-1,4-寡聚葡萄糖醛酸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892792B (zh) * 2015-05-22 2018-08-24 上海绿谷制药有限公司 一种氧化型α-1,4-寡聚葡萄糖醛酸及其制备方法和用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rbohydrate Research, Vol. 30, Pages 21-29(공개일: 20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98508B2 (en) 2021-01-26
JP6538883B2 (ja) 2019-07-03
JP2019131574A (ja) 2019-08-08
CN104945448B (zh) 2018-06-19
KR102002058B1 (ko) 2019-07-19
CN104945448A (zh) 2015-09-30
KR20190086595A (ko) 2019-07-22
JP2018515592A (ja) 2018-06-14
CN107922452A (zh) 2018-04-17
EP3336095A1 (en) 2018-06-20
US20180207194A1 (en) 2018-07-26
WO2016188381A1 (zh) 2016-12-01
JP6900414B2 (ja) 2021-07-07
EP3336095A4 (en)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058B1 (ko) 산화형 β-1,4-올리고글루쿠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과 용도
US10898509B2 (en) Oxidized α-1,4-oligoglucuronic aci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s thereof
KR102539060B1 (ko) 만누론 이산의 조성물
JP4709203B2 (ja) アルギンオリゴ糖及びその誘導体、並びにそれらの調製と用途
Mandai et al. The crystal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ascorbic acid 2-glucoside
US8377892B2 (en) Use of alkyl glycosides as agents for inhibiting microbial growth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CN103539863A (zh) 褐藻来源的富含葡萄糖醛酸的低硫酸化杂聚糖在制备治疗帕金森病药物和保健品中的应用
CN104861085B (zh) 板栗种仁α‑1,6‑葡聚糖及其制备方法以及在抗肿瘤药物中的应用
KR101839313B1 (ko) 방사선 처리된 루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Lin et al. Extraction, structure and bio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om Sanghuangporus spp.: A review
Ke et al.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sulfated galactofucan from Undaria pinnatifida and its effect on type 2 diabetic mice
JP2021528459A (ja) 糖尿病の治療におけるマンヌロン二酸組成物の使用
JP2008050313A (ja) 肝障害保護剤及びその分取法
KR102122123B1 (ko) 사이클로세린 등 항생제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20240017247A (ko) 모노-글루코실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Shan et al. Structure characterization and hypoglycemic activity of a glycoconjugate from Atractylodes macrocephalae Koidz
NZ754947B2 (en) Composition of mannuronic diacid
EA041420B1 (ru) Композиции маннуроновой дикислоты, способы ее получения 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