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250A -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 - Google Patents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250A
KR20180012250A KR1020177031367A KR20177031367A KR20180012250A KR 20180012250 A KR20180012250 A KR 20180012250A KR 1020177031367 A KR1020177031367 A KR 1020177031367A KR 20177031367 A KR20177031367 A KR 20177031367A KR 20180012250 A KR20180012250 A KR 20180012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base plate
support
fixed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버 몰
아멧 유준
Original Assignee
테렉스 엠하페에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렉스 엠하페에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렉스 엠하페에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1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제1 서포트 단부(5d)와 대향하는 제2 서포트 단부(5e)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4a, 4b)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3)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1)로서,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은 상기 베이스판(4a, 4b)들을 같이 연결하고 그들을 서로 이격시키며,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이 그들의 길이방향 축(L) 방향으로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4a, 4b)들의 하나를 통해 장착되거나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제1 서포트 단부(5d)와 제2 서포트 단부(5e)는 상기 리프팅 장치의 베이스판(4a, 4b)들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4a, 4b)들의 하나가 설계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4a, 4b)들의 하나의 베이스판(4b)에는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8)들이 제공되고, 각각의 경우, 두 서포트 단부(5d, 5e)들의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하나의 서포트 단부(5d, 5e)들이 통로 구멍(8)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서포트 단부(5d, 5e)들이 유지부재(10)를 통해 베이스판(4b)에 고정되고, 상기 유지부재(10)는 베이스판(4b)의 외측(4f)에 고정되는,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1)가 제공되고, 여기서 간단한 조립 및 해체, 또는 전환을 위하여, 각각의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에 대해, 각각의 별개의 유지부재(1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
본 발명은 제1 서포트 단부와 대향하는 제2 서포트 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서포트들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은 상기 베이스판들을 같이 연결하고 그들을 서로 이격시키며,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이 그들의 길이방향 축 방향으로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의 하나를 통해 장착되거나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제1 서포트 단부와 제2 서포트 단부가 상기 리프팅 장치의 베이스판들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의 하나가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의 하나의 베이스판에는 길이방향 서포트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들이 형성되고, 각각의 경우, 두 서포트 단부들의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하나의 서포트 단부가 관통 구멍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서포트 단부들이 유지부재를 통해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상기 유지부재는 베이스판의 외측에 고정되는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에 대한 것이다.
대형 무대에서 리프팅 작용을 위한 모터구동 리프팅 작동을 위한 케이블 윈치가 독일 특허출원 DE 43 10 770 A1에서 공지된다. 모터구동 케이블 윈치는 변속기를 거쳐 케이블 드럼에 작용하는 전기구동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변속기는 두 개의 제동기들과 같이 케이블 드럼 내에 배치된다. 케이블 드럼은 서로 평행으로 향하는 두 개의 상호 이격된 베이스판들에 양측 단부들에서 장착된다. 베이스판들은 각각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케이블 드럼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으로 향하는 4개의 길이방향 서포트들을 통해 서로 고정된다. 길이방향 서포트들은 그 코너 영역들에서 이격 파이프 내에서 안내되는 인장 로드들과 양 단부들에 나사 결합된 나사 너트에 의하여 각각 베이스판들에 연결된 이격 파이프들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격 파이프의 평면상 단부면들은 인장 로드를 위한 관통 보어의 영역에서 베이스판들의 내측에 접하여 위치한다.
추가로, 독일 특허출원 DE 196 02 927 A1의 상세한 설명의 서두 부분에서, 전기 모터, 변속기, 케이블 드럼, 지지 수단 및 베이스 프레임으로 모듈식으로 구성되는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가 설명된다. 리프팅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특히 케이블 드럼은 서로 평행으로 그리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으로 구성되고 길이방향 서포트들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길이방향 서포트들을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세 개의 스크류 연결들이 각각의 면판에 대해 제공된다.
독일 특허출원 DE 196 02 927 A1은 그 자체 감소된 조립 비용 및 낮은 중량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윈치용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베이스 프레임은 기본적으로 상부 및 하부의 길이방향 서포트 및 그와 평행으로 케이블 드럼의 회전축에 일치하는 인장 요소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두 개의 베이스판들로 구성된다. 인장 요소는 고체 소재로 제조되고, 그의 대향 단부들에 나사 부분들이 제공되어 어깨부를 형성한다. 일 측면에서, 인장 요소는 베이스판의 중심으로 구비된 내부 나사 내로 나사 부분을 가진 나사에 의하여 결합되어, 그의 환형 어깨부를 디스크 위에 위치시키고, 베이스판의 평면상 내측에 대해 접하여 배치된다. 나사 로드 부분의 시점에서 파이프의 어깨부를 수용하도록 환형 접촉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향하는 베이스판 위에 중심으로 구비된 관통 보어는 계단식으로 구성된다. 나사 로드 부분은 관통 보어를 관통하여 진행하고 나사 너트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베이스판의 외측에 대해 압축된다.
이러한 연결에서 두 개의 u-형상 길이방향 서포트들은 베이스판들의 내측의 적절한 막힌 홀-형상의 리세스들에 삽입되고 압축 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클램핑 힘에 의하여 베이스판들 사이 위치에 유지된다.
이들 종래기술의 실시예들에서, 베이스판들 사이의 연결 요소들은 완전히 둥글거나 파이프 단면을 가진 프로파일 부품들로 구성되고, 그 단부들은 베이스판들의 상호 대향하는 표면의 대응하는 보어 또는 대응하도록 가공된 접촉면 내로 돌출하거나, 또는 내부에 위치한다. 이어서, 상기 프로파일 부품의 길이방향에서 베이스판들에 대해 프로파일 부품을 긴장시키는 나사 연결을 통해 고정이 실행된다. 프로파일 부품들과 베이스판들 사이의 이들 연결점들은 연결 부재들 또는 케이블 드럼의 길이방향 축 방향으로 모두 축방향 힘 및 소위 코너 모멘트를 전달할 수 있다. 코너 모멘트는 이 경우 예컨대 베이스판들과 연결 요소들 사이의 연결 지점들에서 베이스 프레임을 비틈으로써 발생하는 모멘트로 이해된다.
동시에, 프로파일 부품의 길이에 걸쳐, 두 개의 베이스판들 사이의 정확한 거리와 평행은 소정 오차 내에서 달성된다.
추가로, 독일 특허출원 DE 10 2005 029 113 B3로부터 리프팅 장치용 베이스 프레임이 공지되고 이는 다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평행 베이스판들을 가진다. 베이스판들은 서로 이격되고 길이방향 서포트들에 의하여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단부들은 베이스판들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의 막힌 보어들에 진입하여 막인 보어들 내의 접촉면에 대해 길이방향 서포트의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나사들에 의하여 가압된다.
US 2009/0308826 A1은 리프팅 장치의 베이스 프레임을 개시하고, 그들의 길이방향 서포트들은 파이프 클립-형상의 유지 부재들에 의하여 두 개의 베이스판들에 의해 압축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길이방향 서포트들은 베이스판들의 코너 영역에서 고정된 유지 부재를 통해 연장되고 길이방향 서포트의 길이방향 축에 가로질러 작용하는 나사들을 통해 고정 클램핑된다.
이전에 베이스판들로 불렀던 리프팅 장치의 부품들은 또한 리프팅 장치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고유 부품들일 수 있다. 예컨대, 이들은 리프팅 장치를 고정하고, 케이블 드럼을 장착하고, 케이블 수용 장치의 부품들에 대해 가로 부재를 부착하기 위해, 그리고 전기 설비를 수용하기 위하여, 샤시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서 또는 리프팅 장치의 기저부 장착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로부터 결론적으로 베이스판들에 길이방향 서포트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 너트 또는 스크류들이 예컨대 자주 하우징 내측에 매우 접근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들 연결 지점들은 또한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자주 이동되었다. 이로써 조립이 더욱 어려워지고 베이스판 형태의 하우징은 불필요하게 확대되어야 한다.
추가로, DE 10 2010 026 651 A1로부터 베이스판을 파이프들을 통해 서로 연결시키는 것이 공지된다. 이를 위하여, 파이프 단부들은 압입 고정에 의하여 베이스판들에 유지된다. 압입 고정을 형성하기 위한 스토퍼들은 파이프 단부들 내에 가압된다.
US 6,494,437 B1, US 2010/0288906 A1, FR 2 928 637 A1, US 2011/0079760 A1, EP 2 641 861 A1, US 2008/0061277 A1 및 US 14/0341696 A1로부터 추가적인 베이스 프레임들이 공지되었다.
EP 2 501 640 B1는 베이스판들이 종래와 같이 제거되도록 베이스판들을 통해 리프팅 장치의 베이스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길이방향 서포트들을 구성하는 것을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길이방향 서포트들은 두 베이스판들의 관통 구멍에 유지되고, 이를 위하여 모든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단부들이 공통 평면상 유지부재를 통해 베이스판에 고정된다. 유지부재는 나사 연결에 의하여 길이방향 서포트에 연결되고 다시 자체로 베이스판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보수, 조립, 해체 또는 전환을 위하여, 일 측에서 베이스판을 통해 길이방향 서포트를 제거하거나 끌어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서, 평면상 유지부재가 완전히 제거되어야 한다. 대신해서, 유지부재가 또한 두 부분들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두-부분의 유지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이 항상 또한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서포트들을 동시 고정하기 위하여 공통 유지부재들을 형성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구조상 간단한 구조와 간단한 조립, 해체 또는 전환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의 제조를 제공함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1의 특징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청구범위 2 내지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1 서포트 단부와 대향하는 제2 서포트 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서포트들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은 상기 베이스판들을 같이 연결하고 그들을 서로 이격시키며,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이 그들의 길이방향 축 방향으로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의 하나를 통해 장착되거나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제1 서포트 단부와 제2 서포트 단부가 상기 리프팅 장치의 베이스판들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의 하나가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의 하나의 베이스판에는 길이방향 서포트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들이 형성되고, 각각의 경우, 두 서포트 단부들의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하나의 서포트 단부가 관통 구멍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서포트 단부들이 유지부재를 통해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상기 유지부재는 베이스판의 외측에 고정되는,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가 제공되며,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는, 각각의 길이방향 서포트들에 대해, 각각의 별개의 유지부재가 제공되도록 향상된다.
이와같이, 두 개의 베이스판들 사이에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수와 배치에 관련해서 장소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기본 유형의 리프팅 장치가 제조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케이블 드럼이 두 개의 베이스판들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리프팅 장치의 전환의 경우에 이러한 이점이 달성된다. 길이방향 서포트들과 베이스판들은 또한 기계적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인 리프팅 장치는 기본적인 리프팅 기구가 해체되지 않고 소정 연결 구조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판들과 케이블 드럼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닛은 항상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서포트에 의하여 연결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에 의하여, 단일 길이방향 서포트는 잔여 길이방향 서포트 모두 또는 일부 또는 그의 유지부재의 상실 없이 관통 구멍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거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또는 모든 길이방향 서포트들에 대해 공통의 유지부재의 사용을 위하여 더 이상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관련 유지부재가 제거된 후, 길이방향 서포트들이 또한 연결 부재들을 장착하기 위하여 길이방향 축을 따라 두 개의 대향 방향들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들을 통해 길이방향 서포트들이 변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컨대 연결부재로서 샤시가 장착될 때, 길이방향 서포트들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종래기술의 솔루션들에서는 상당히 큰 조립 비용을 소비하거나 또는 복수의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공통 유지부재의 해체에 의해서만 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유지 부재들에 따른 용도에 의하여 가능한 것 이상으로 베이스 프레임의 안정성을 더욱 크게 약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와 같이 각각의 유지부재는 단지 하나의 관통구멍을 덮는다. 이를 위하여, 유지부재는 관통구멍을 덮기 위하여 제1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각각의 유지 부재는 제2 베이스판의 외측의 1/4보다 작게, 특히 베이스판의 대응하는 코너 영역만에 걸쳐 길이방향 축을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유지부재의 간단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같이 각각의 유지부재는 고정 부재, 특히 스크류에 의하여 베이스판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지부재는 베이스판을 고정하기 위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유지부재는 평평한 평면상 부품으로, 특히 평강판이다. 이는 제1 영역에서 원의 아크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영역에서 사다리-형상일 수 있으므로 원 부분 및 부분 사다리로부터 형성된 형상이 제조된다.
길이방향 서포트의 단면적보다 다소 큰 단면적을 관통 구멍을 각각 가지도록이스판에서의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형태-체결 수용이 달성된다.
길이방향에서의 베이스 프레임의 안정성은, 리프팅 장치가 작동 상태일 때, 길이방향 서포트의 각각의 서포트 단부가 연장하고 관통 구멍의 하나에 고정되어 달성된다. 부착 형태로서, 리프팅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을 때, 길이방향 서포트의 서포트 단부가 길이방향 서포트의 길이방향 축 방향으로 그리고 반대로 유지 부재를 통해 베이스판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서포트의 서포트 단부는 유지 보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서포트 단부는 고정 요소, 특히, 유지 보어에 결합하는 나사를 통해 유지 부재에 고정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모든 서포트 단부들이 베이스판들에 고정될 수 있다.
대신해서, 대향하는 서포트 단부들의 하나의 단부에서, 리프팅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을 때,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서포트 단부의 각각의 하나가 그 관통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베이스판에 대해 스스로 지지 고정되는, 베이스판의 내측면에서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들의 대응하는 베이스판에 막힌 구멍들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길이방향 서포트들이 대향 단부에서 제거되거나 또는 해당 위치로부터 장착되도록 막힌 구멍들은 구비될 수 있다.
구조적인 세부사항으로서,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대응하는 서포트 단부는 길이방향 서포트의 길이방향 축 방향으로 향하고 관련 베이스판의 외측 위에 지지되는 나사를 통해 막힌 구멍에 고정된다.
대응하는 베이스판의 외측으로부터 해제 또는 고정 목적으로서 나사들이 각각 접근가능한 조립, 해체 및 전환이 달성된다.
베이스판들이 직사각형인 것이 효과적이며, 각각의 막힌 구멍 또는 관통 구멍이 이론상 사변형인 베이스판의 코너들에 구비된다.
길이방향 서포트들은 바람직하게 둥근 단면을 가진 로드로서 구성되고 따라서 관통구멍 또는 막힌 구멍들이 둥근 단면을 가진다.
종래 방식으로 베이스판들의 내측면들에 그리고 사이의 양 단부들에 케이블 드럼이 장착되고, 케이블 드럼의 회전축은 길이방향 서포트들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로서의 실시예가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부분 단면으로 도 1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길이방향 서포트를 베이스 프레임의 제1 베이스판에 고정하기 위한 영역으로부터 도 2의 세부 내용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베이스 프레임(3)의 양측 단부들에 장착된 케이블 드럼(2)을 구비한 리프팅 장치의 케이블 윈치(1)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베이스 프레임(3)은 전체적으로 입방형 개념의 덮개를 갖는 형상을 가지며 제1 베이스판(4a)과 제2 베이스판(4b)을 포함하고, 그의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내측면(4c 및 4d)들에 케이블 드럼(2)이 장착된다. 케이블 드럼(2)은 회전축(D) 둘레로 회전할 수 있으며 변속기(2b)를 통해 전기 모터(2a)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1 베이스판(4a)과 제2 베이스판(4b)은 각각 입방형 또는 직사각형이다.
더욱이, 베이스 프레임(3)은 복수, 특히 3개의 길이방향 서포트들을 포함하고, 그 중에서 도 1은 제1의 길이방향 서포트(5a), 제2의 길이방향 서포트(5b) 및 제3의 길이방향 서포트(5c)를 도시한다. 베이스판(4a, 4b)들은 서로 이격되고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에서,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은 제1 및 제2 베이스판(4a, 4b)들 위에 구비된, 각각 이론상 사변형, 특히 직사각형, 바람직하게 정사각형의 고정 위치로서 작용하는, 대향하는 코너들 사이로 연장한다. 제2 베이스판(4b)의 경우,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이 실제로 정사각형 베이스판(4b)의 코너 영역들에 배치된다. 제2 베이스판(4b)에 비교하면, 전기 모터(2a)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3 길이방향 서포트(5c) 및 가능하면, 도시되지 않은, 제4 길이방향 서포트를 지나 신장하므로, 제1 베이스판(4a)은 정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 서포트(5a, 5b)들은 제1 베이스판(4a)의 하부 코너 영역에 배치되고 제3 길이방향 서포트(4c) 및 가능하면 제4 길이방향 서포트는 중간 및 제1 베이스판(4a)의 측면 에지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외측 영역(4e)에서 이러한 제1 베이스판(4a)은 케이블 드럼(2)을 전기모터(2a)에 구동되게 연결하는 변속기(2b)를 수용한다.
길이방향 서포트(5a, 5b)들은 케이블 윈치(1)의 용도에 따라, 고체 물질의 로드로 구성되고, 적어도 두 개 및 최대 네 개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이 베이스판(4a, 4b)들의 이론상 사변형의 모든 대향하는 코너들 또는 선택된 코너들에 배치된다.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은 비틀림-저항식으로 서로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길이에 걸쳐 두 개의 베이스판(4a, 4b)들 사이의 소정 간격과 평행이 소정 공차 내에서 달성된다. 예시된 예로서의 실시예에서, 전체 세 개의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이 제공된다. 케이블 드럼(2)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의 권취 및 풀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제4의 길이방향 서포트는 이 경우 장착되지 않는다. 요건, 용도 또는 장착 상황에 따라, 세 개의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 또는 넷은 이론상 사변형의 소정의 고정 위치들 또는 코너들에 고정될 수 있다.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은 각각 제1 서포트 단부(5d)와 대향하는 제2 서포트 단부(5e)를 가진다. 제1 서포트 단부(5d)들은 각각 제1 베이스판(4a)에 고정되고 제2 서포트 단부(5e)들은 각각 제2 베이스판(4b)에 고정된다. 제2 베이스판(4b)에 제2 서포트 단부(5e)를 고정하는 특수한 방식은 도 3과 4를 관련해서 설명된다.
도 1은 소위 작동 상태의, 즉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완전 장착 후의 케이블 윈치(1)를 도시한다. 이러한 작동 상태에서,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은, 길이방향 축(L)을 케이블 드럼(2)의 회전축(D)에 대해 평행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3)을 가진 케이블 윈치(1)를 도시한다. 이러한 유형의 케이블 윈치(1)는 기본적인 리프팅 장치로서, 모듈식 디자인 시스템의 부품일 수 있으며 다른 방식으로 연결부재(18)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소위 토대 장착된 호이스트 - 도 1 도시 -로서, 이는 고정 부품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대응하는 연결 부재(18)들이 베이스판(4a, 4b)에 고정된다. 이러한 케이블 윈치(1)는 또한 베이스판(4a, 4b)들에 샤시 부품이 고정되는 크레인 트롤리의 부품일 수 있다. 하부 플랜지 크레인 트롤리, 레일에 인접해서 배치된 케이블 윈치(1)를 가지는 단일-레일 크레인 트롤리 및 이중-레일 크레인 트롤리가 가능한 크레인 트롤리 구조들이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케이블 드럼(2)의 장착에 부가해서, 베이스판(4a, 4b)들은 예컨대, 전기 드라이브 지지, 케이블 수용 장치의 부품들 장착용 가로 부재 수용 및 전기 설비 내장, 케이블 윈치의 토대 장착 또는 샤시 부품들의 장착을 허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추가 기능을 가진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케이블 윈치(1)의 부분적으로 절개된 측면도를 도시한다. 두 개의 베이스판(4a, 4b)들이 주조 부품들로 제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서포트 단부(5d, 5e)들과 베이스판(4a, 4b)들 사이의 연결의 실행은 이제 도 2, 3 및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제2 베이스판(4b)의 영역으로부터 도 2 부분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1에 관련해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판(4b)은 네 개의 다른 고정 위치들에서 전체 최대 네 개의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 또는 네 개의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 보다 작은 서포트들에 대한 동일한 고정 방안을 가진다. 도 3은 예로서 제1 및 제3의 길이방향 서포트(5a, 5c)들에 대한 고정 위치들을 도시한다. 그들의 제2 서포트 단부(5e)들을 가진 길이방향 서포트(5a, 5c)들을 제2 베이스판(4b)에 고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고정 위치들의 영역에서 제2 베이스판(4b)에 각각의 관통 구멍(8)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예로서의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축(L)의 길이방향에서 볼 때, 다중-전단의 볼트 연결을 생성하기 위하여 - 중간 공간에 의하여 분리된 - 전방 및 후방 부분의 두 부분들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어서 연결 부재(18)는 베이스판(4a, 4b)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관통 구멍(8)을 위한 단일-부재 디자인이 또한 가능하다. 제1 베이스판(4a)은 동일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통로 구멍(8)을 포함한다.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이 둥근 단면을 가진 로드로서 설계되므로, 관통 구멍(8)은 각각 특히 그들의 직경의 면에서 작동 상태에서 동심으로 배치된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단면적보다 직경의 면에서 다소 더 큰 표면 단면적을 가진다. 그러므로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은 제2 베이스판(4b)에 형태-맞춤 접촉을 가진다. 관통 구멍(8)의 중심 통로축(d)은 따라서 작동 상태에서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길이방향 축(L)에 합치한다.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제2 서포트 단부(5e)를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길이방향 축(L)을 따른 두 개의 대향하는 방향들로의 변위에 대항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내부 나사를 구비하고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제1 서포트 단부(5d)의 방향으로 중심으로 연장하는 유지 보어(10a)가 외측 단부면으로부터 시작하는 제2 서포트 단부(5e)에 형성된다.
동시에, 각각의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에 대해, 스크류(11)가 관통하는 보어(9)를 가지는 각각 별도의 유지 부재(10)가 구비되고 유지 보어(10a)에 결합하므로 제2 서포트 단부(5e)는 유지 부재(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유지 부재(10)는 단일 관통구멍(8)만을 덮고 대응하는 추가의 보어(13)를 관통하여 진행하는 추가 스크류(12)에 의하여 베이스판(4b)의 외측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대응하는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은 베이스판(4b)에 고정되어 유지되고 서포트 단부(5d, 5e)의 하나의 방향으로 길이방향축(L)을 따른 이동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유지 부재(10)는 평탄한 평면 형상의 강 부품이다.
유지 부재(10)는 보어(9)가 구비된 관통 구멍(8)을 덮는 제1 영역(14a)을 가지며 추가 보어(13)가 형성된 베이스판(4b)에 고정하기 위한 제2 영역(14b)을 가진다. 제1 영역(14a)에서, 유지부재는 원호 형태이며 제2 영역(14b)에서 사다리 또는 절두 사다리형이므로 원 부분에서 발생된 형상 및 부분적인 사다리형이 발생되는 데 이것은 대략 물방울 형상(예컨대, 도 4 참조)에 대응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길이방향 축(L)의 방향에서 볼 때, 길이방향 축(L)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양측 영역(14a, 14b)을 배치하고 제2 베이스판(4b)의 외측면(4f)을 따라 연관된 관통 구멍(8)을 단지 약간만 지나도록 배치하고 유지 부재(10)는 연장한다. 각각의 유지부재(10)는 바람직하게 베이스판(4b)의 대응하는 코너 영역에서만 특히, 제2 베이스판(4b)의 외측(4f)의 사분면을 지나 연장한다. 그러므로, 동시에 두 개의 관통 구멍(8)들을 덮거나 또는 그 위로 연장하지 않으므로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에 대한 공통 유지부재(10)로서 작용할 수 있다. 각각의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의 경우, 별도의 전담 유지 부재(10)가 사용되어야 한다.
스크류(11) 및 스크류(12)를 갖는 각각의 유지 부재(10)의 하나에 의하여 관통 구멍(8)에 이러한 형태로 제2 서포트 단부(5e)를 고정함으로써 유지부재(10)가 제거된 후에, 각각의 관련된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여전히 잔류하는 고정된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과 상관 없이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제2 베이스판(4b)에서 관통구멍(8)을 통해 변위시킬 수 있으며 또는 유지부재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케이블 드럼(2)을 제거하지 않고,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위치 또는 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별도의 유지부재(10)에 의하여 제2 베이스판(4b)에 제2 서포트 단부(5e)들이 고정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각 경우에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제1 서포트 단부(5d)가 또한 제1 베이스판(4a)에 고정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연관된 유지부재(10)가 제거된 후,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은 각각 적어도 변위될 수 있고 또한 두 개의 대향하는 방향들의 하나, 즉, 두 개의 서포트 단부(5d, 5e)들의 하나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길이방향 축(L)을 따라 개별적으로 관통구멍(8)을 통해 제거된다.
1: 케이블 윈치
2: 케이블 드럼
2a: 전기 모터
2b: 변속기
3: 베이스 프레임
4a: 제1 베이스판
4b: 제2 베이스판
4c: 제1 베이스판 내측
4d: 제2 베이스판 내측
4e: 제1 베이스판 외측
4f: 제2 베이스판 외측
5a: 제1 길이방향 서포트
5b: 제2 길이방향 서포트
5c: 제3 길이방향 서포트
5d: 제1 지지단부
5e: 제2 지지단부
8: 관통구멍
9, 13: 보어
10: 유지부재
10a: 유지 보어
11, 12: 스크류
14a: 제1 영역
14b: 제2 영역
18: 연결부재
d : 관통축
D: 회전축
L: 길이방향축

Claims (8)

  1. 제1 서포트 단부(5d)와 대향하는 제2 서포트 단부(5e)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4a, 4b)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3)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1)로서,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들은 상기 베이스판(4a, 4b)들을 같이 연결하고 그들을 서로 이격시키며,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이 그들의 길이방향 축(L) 방향으로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4a, 4b)들의 하나를 통해 장착되거나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제1 서포트 단부(5d)와 제2 서포트 단부(5e)는 상기 리프팅 장치의 베이스판(4a, 4b)들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4a, 4b)들의 하나가 설계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베이스판(4a, 4b)들의 하나의 베이스판(4b)에는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8)들이 제공되고, 각 경우, 두 서포트 단부(5d, 5e)들의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하나의 서포트 단부(5d, 5e)들이 통로 구멍(8)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서포트 단부(5d, 5e)들이 유지부재(10)를 통해 베이스판(4b)에 고정되고, 상기 유지부재(10)는 베이스판(4b)의 외측(4f)에 고정되는,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1)에 있어서,
    각각의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에 대해, 각각의 별개의 유지부재(1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유지부재(10)가 각각의 하나의 관통 구멍(8)만을 덮는 리프팅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각각의 유지부재(10)는 베이스판(4b)의 외측(4f)의 1/4보다 작게, 특히 베이스판(4b)의 대응하는 코너 영역에만 걸쳐 길이방향축(L)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4. 상기 청구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서포트(5a, 5b, 5c)들의 서포트 단부(5e)는 유지 보어(10a)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단부(5e)는 고정 부재, 특히 유지 보어(10a)에 결합하는 스크류(11)를 통해 유지부재(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5. 상기 청구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유지부재(10)는 고정부재, 특히 스크류(12)를 통해 베이스판(4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6. 상기 청구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10)는 평평한 판상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7. 상기 청구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10)는 관통구멍(8)을 덮기 위한 제1 영역(14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8. 상기 청구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10)는 베이스판(4a)에 고정하기 위한 제2 영역(14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KR1020177031367A 2015-05-26 2016-05-25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 KR201800122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08265.9 2015-05-26
DE102015108265.9A DE102015108265A1 (de) 2015-05-26 2015-05-26 Grundrahmen eines Hebezeuges, insbesondere eines Seilzuges
PCT/EP2016/061819 WO2016189043A1 (de) 2015-05-26 2016-05-25 Hebezeug, insbesondere seilz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250A true KR20180012250A (ko) 2018-02-05

Family

ID=5542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367A KR20180012250A (ko) 2015-05-26 2016-05-25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399831B2 (ko)
EP (1) EP3303205B1 (ko)
JP (1) JP2018518431A (ko)
KR (1) KR20180012250A (ko)
CN (2) CN205076733U (ko)
AU (1) AU2016269063B2 (ko)
BR (1) BR112017022077B1 (ko)
CA (1) CA2983779A1 (ko)
DE (1) DE102015108265A1 (ko)
ES (1) ES2702620T3 (ko)
MX (1) MX2017014845A (ko)
RU (1) RU2682759C1 (ko)
TR (1) TR201819420T4 (ko)
WO (1) WO20161890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6375A (en) * 1920-03-08 1922-11-21 Barney Philip Hoisting drum
DE842705C (de) * 1951-03-30 1952-06-30 Walter Sichelschmidt Elektrowinde, Elektroflaschenzug od. dgl. mit Schutzmantel
JPS5939735U (ja) * 1982-09-06 1984-03-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タ−ボチヤ−ジヤ
US4736929A (en) * 1986-06-30 1988-04-12 Warn Industries, Inc. Winch having split housing and drive components
DE4310770A1 (de) 1993-04-02 1994-10-06 Krupp Industrietech Motorseilwinde
US6494437B1 (en) * 1995-10-24 2002-12-17 Mark L. Boyer Boom mounted winch
DE19602927A1 (de) 1996-01-18 1997-07-24 Mannesmann Ag Tragrahmen, insbesondere für zugmittelbetriebene Hebezeuge
JP2000063088A (ja) * 1998-08-18 2000-02-29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ホイスト装置
DE102005029113B3 (de) * 2005-06-23 2006-08-10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Tragrahmen eines Hebezeuges
US7478795B2 (en) * 2006-03-21 2009-01-20 W.W. Patterson Company Marine winch with winch-line engaging roller
EP1955976A1 (de) * 2007-02-08 2008-08-13 BAUER Maschinen GmbH Windenvorrichtung
US8631907B2 (en) * 2007-12-10 2014-01-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chine frame
FR2928637B1 (fr) * 2008-03-11 2010-02-12 Huchez Treuils Structure de treuil
US7850146B2 (en) * 2008-06-13 2010-12-14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Lineset winch with braking parts
DE102009054226B3 (de) * 2009-11-21 2011-02-24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Grundrahmen eines Hebezeug, insbesondere Seilzuges, mit Anschlussmöglichkeiten
DE102009054225A1 (de) * 2009-11-21 2011-06-09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Grundrahmen eines Hebezeug, inbesondere Seilzuges, und ein Verfahren zu dessen Montage, Demontage oder Umbau
DE102010026651B4 (de) 2010-07-09 2017-02-16 Abus Kransysteme Gmbh Traggehäuse für ein Seilzuggehäuse
ITVR20120056A1 (it) * 2012-03-23 2013-09-24 B Financial Srl Organo meccanico per la movimentazione di carichi,particolarmente per imbarcazioni
CN102942131A (zh) * 2012-11-20 2013-02-27 抚顺起重机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履带起重机模块化集成卷扬机构
US9260277B2 (en) * 2013-05-20 2016-02-16 Gse Technologies, Llc Forestry winch system
US10766749B2 (en) * 2014-09-08 2020-09-08 Warn Industries, Inc. Portable winch
DE102015109884A1 (de) * 2015-06-19 2016-12-22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Seilzug-Baukas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92854B (zh) 2019-05-21
EP3303205A1 (de) 2018-04-11
BR112017022077A2 (pt) 2018-07-03
DE102015108265A1 (de) 2016-12-01
JP2018518431A (ja) 2018-07-12
MX2017014845A (es) 2018-02-19
CN107592854A (zh) 2018-01-16
BR112017022077B1 (pt) 2022-04-19
ES2702620T3 (es) 2019-03-04
AU2016269063A8 (en) 2017-12-14
TR201819420T4 (tr) 2019-01-21
WO2016189043A1 (de) 2016-12-01
AU2016269063B2 (en) 2020-07-02
US10399831B2 (en) 2019-09-03
CA2983779A1 (en) 2016-12-01
AU2016269063A1 (en) 2017-10-19
EP3303205B1 (de) 2018-10-17
US20180148305A1 (en) 2018-05-31
CN205076733U (zh) 2016-03-09
RU2682759C1 (ru)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812B2 (en) Base frame for a cable winch having removable support members
CA2781545C (en) Base frame for a lifting apparatus having removable support members
KR20120127393A (ko) 연결 가능성이 있는 케이블 윈치
US5816564A (en) Support frame assembly for hoisting devices operated by a cable drum
KR20180012250A (ko) 리프팅 장치, 특히 케이블 윈치
CN202116215U (zh) 起重装置
CN212653349U (zh) 一种用于滤筒除尘机多个滤筒同时夹紧放松装置
KR102145569B1 (ko) 이동수단을 구비한 브라켓
EP1804258A2 (de) Spreizmagnet in Plattenbauwe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