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698A -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 Google Patents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698A
KR20180011698A KR1020160158953A KR20160158953A KR20180011698A KR 20180011698 A KR20180011698 A KR 20180011698A KR 1020160158953 A KR1020160158953 A KR 1020160158953A KR 20160158953 A KR20160158953 A KR 20160158953A KR 20180011698 A KR20180011698 A KR 20180011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te
cosmetic composition
weight
skin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9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회
Original Assignee
김종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회 filed Critical 김종회
Priority to KR1020160158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698A/en
Publication of KR2018001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6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es: one or more first silicates selected from a sodium silicate and a sodium metasilicate; a second silicate selected from polyvalent silicates; a stabilizer; a plasticizer; and a pH controller, wherein the pH of the composition is 9 or l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kin wrinkle alleviation performance is excellent and whitening effects are prevented.

Description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0002]

본 발명은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규산염을 포함하여 적어도 피부 주름 개선능이 우수하면서 백탁 현상을 방지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which is excellent in at least the ability to improve skin wrinkles, including silicate, and which prevents white turbidity.

피부의 주름과 노화 등의 발생 원인에는 여러 가지 있지만, 피부에 유해한 과산화지질의 증가와 색소 침착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의 혈액순환이 좋지 않은 경우, 영양이 불충분한 경우, 진피속의 탄력 섬유질이 퇴화 및 위축되는 경우, 활성산소에 의한 자유라디칼이 생성되는 경우, 콜라겐이 부족한 경우, 및 탄력섬유질의 분해 요소인 엘라스라제의 활성이 증가한 경우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피부의 탄력성과 모공의 수축성이 약화되어 피부에 주름과 노화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re are various causes of skin wrinkles and aging, but it is known that the increase of lipid peroxidation which is harmful to the skin and pigmentation are the main causes. In addition, when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skin is poor, when the nutrition is insufficient, when the elastic fibers in the dermis are degenerated and contracted, when free radicals are generated by active oxygen, when collagen is insufficient, It is known that the elasticity of the skin and the shrinkability of the pores are weakened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increased activity of inulinase and wrinkles and aging of the skin.

피부의 미용과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 물질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화장품 등)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레티놀(비타민 A), AHA(a-hydroxy acid) 및 아데노신 등은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표피 각화 과정을 정상화시켜 피부 재생에 기여하는 기능성 물질로 알려져 화장료 조성물에는 주로 위와 같은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고 있다. With increasing interest in the beauty and health of the skin, functional materials for skin improvement and cosmetic compositions (such as cosmetics) containing them are being developed. For example, retinol (vitamin A), a-hydroxy acid (AHA), and adenosine increase the synthesis of collagen and normalize the epidermal keratinization process, thereby contributing to skin regeneration. The substance is contained.

그러나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물질은 대부분 합성 물질로서, 이는 화장료 제형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렵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눈에 대한 자극성, 임산부의 사용 제한, 부스럼증 및 가려움증(소양증) 등의 부작용을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최근 소비자들은 합성 물질보다는 천연 물질을 선호하고 있다. 또한, 천연 물질은 천연 한방 약재(식물)로부터 추출한 약재 추출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However, conventionally used functional materials are mostly synthetic materials, which are difficult to be uniformly dispersed in cosmetic formulations and, in some cases, have side effects such as irritation to eyes, restriction of use of pregnant women, swelling and itching Are reported to occur. Recently, consumers have preferred natural materials rather than synthetic materials. In addition, the natural materials are mainly extracted from natural herbal medicine (plant).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736호에는 지황, 석창포, 황백, 고삼, 죽엽, 자초, 편축, 목근피, 관동화, 장군피 및 목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6059호에는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6302호에는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2834호에는 고삼추출물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70736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n extract of Gingko, Seokchonpo, Hwangbaek, Gosam, Seokbyeo, Myopia,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56059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licorice extrac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36302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skin aging and skin wrinkles containing extract of Shiru, as an active ingredient.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2834,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microcapsules is proposed.

그러나 천연 약재 추출물은 인체에는 무해할 수 있으나, 이는 피부 흡수능이 떨어져 피부 주름이나 노화 개선 등에 충분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거나, 그 사용량에 비해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natural herbal extracts may be harmless to the human body, but they fail to exhibit sufficient effects on skin wrinkles and aging due to their poor ability to absorb the skin, or they are inferior in efficacy to their use.

또한,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규산염을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3749호에는 규산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규산염은 피부 주름 개선과 함께 항산화력을 가져 피부 노화 방지에 유효할 수 있다. Further, a technique using silicate as an effective ingredient for improving skin wrinkles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03749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ilicate. Silicates have antioxidant power as well as improvement of skin wrinkles, which can be effective in preventing skin aging.

그러나 규산염은, 예를 들어 수상에서 분산 안정성 등이 떨어져 경우에 따라서는 상분리(층분리)가 일어날 수 있고, 이는 특히 백탁 현상(도포, 건조 후 피부에 하얗게 남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규산염을 함유한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분리에 의해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고, 무엇보다 피부 도포 후 백탁 현상을 발생시켜 피부에 하얀 얼룩이나 피막이 형성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silicate may undergo phase separation (layer separation) in some cases, for example, when the dispersion stability and the like in the water phase deteriorate, and this causes a clouding phenomenon (phenomenon that the skin remains white after application and drying). Accordingly, conventional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tes have poor formulation stability due to phase separation, and, among other things, they cause white turbidity after application of the skin, resulting in formation of white spots or film on the ski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73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7073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605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5605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630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363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283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283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374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03749

이에, 본 발명은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규산염을 포함하여 적어도 피부 주름 개선능이 우수하고, 상기 규산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백탁 현상을 방지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cosmetic composition. Specifical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mprising at least silicate, which is excellent in at least the ability to improve skin wrinkles and which prevents white turbidity which may be generated by the silic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소듐실리케이트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규산염;At least one primary silicate selected from sodium silicate and sodium metasilicate;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제2규산염; A secondary silicate selected from polyvalent silicates;

안정제; stabilizator;

가소제; 및 Plasticizers; And

pH 조절제를 포함하고, a pH adjusting agent,

pH가 9 이하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pH of 9 or less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얼굴 피부 등에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는 0.12 이하이다.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for example, facial ski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weight ratio of the second silicate to the first silicate is 0.12 or less.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소듐실리케이트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규산염 0.2중량% 내지 12중량%;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제2규산염 0.001중량% 내지 1.2중량%; 안정제 0.05중량% 내지 6.0중량%; 가소제 0.5중량% 내지 20.0중량%; 및 pH 조절제 0.01중량% 내지 8.0중량%를 포함한다.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from 0.2% to 12% by weight of at least one primary silicate selected from sodium silicate and sodium metasilicate; 0.001 wt.% To 1.2 wt.% Of a second silicate selected from polyvalent silicates; 0.05% to 6.0% by weight of stabilizer; From 0.5% to 20.0% by weight of a plasticizer; And 0.01% to 8.0% by weight of a pH adjusting ag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백탁 개선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탁 개선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EDTA염)을 포함한다. 상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EDTA염)은, 예를 들어 디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2Na) 및 테트라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4Na)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cloudiness improving ag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cloudiness improving agent includes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EDTA salt). The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EDTA salt)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for example, di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2Na) and tetra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4Na).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규산염을 포함하여 적어도 피부 주름 개선능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규산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백탁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improved cosmetic composition.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at least the skin wrinkle-improving ability, including a silicate.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hitening phenomenon which may be generated by the silicate.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의 얼굴에 도포, 건조한 후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image)이다.
도 9 및 도 10은 소듐실리케이트와 소듐메타실리케이트에 대한 용해도 실험 결과를 보인 이미지(image)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이미지(image)이다.
Figs. 1 to 8 are image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being applied to the face of the subject and dried.
9 and 10 are images showing the results of solubility test for sodium silicate and sodium metasilicate.
11 is an image before and after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피부 개선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의 피부 등에 적용되는 것이면, 그의 종류나 제형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미적 아름다움이나 피부 보호 등을 위한 화장품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형, 젤형 및 크림형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skin-improving ability. The type and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y are applied to human ski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ed, for example, from cosmetics for aesthetic beauty or skin protec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for example, liquid form, gel form or cream for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규산염;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제2규산염; 안정제; 가소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물 등의 용매를 포함하며, pH(Potential of Hydrogen) 9 이하의 액성을 갖는다.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silicate selected from sodium silicate and sodium meta silicate; A secondary silicate selected from polyvalent silicates; stabilizator; Plasticizers; And pH adjusting agents. 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vent such as water and has a pH of Potential of Hydrogen of 9 or les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irst, the term "and / 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mean at least one of the constituents listed before and after. The term "one or more"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one or more than two.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개선 기능(피부 개선능)"은 피부 주름 개선(주름 완화), 피부의 노화 방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질환 완화,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방지 및 피지 분비 방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피부 개선 기능이 우수하다(향상된다)."라는 것은 "피부 주름 개선 기능(주름 완화 기능), 피부의 노화 방지 기능, 피부 탄력 개선 기능, 피부 질환 완화 기능, 피부 미백 기능, 피부 트러블 방지 기능 및 피지 분비 방지 기능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우수하다(향상된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규산염"은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규산염과 제2규산염 둘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The term " skin improving function (skin improving abilit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unction of improving skin wrinkles (wrinkle relief), preventing aging of skin, improving skin elasticity, alleviating skin diseases, skin whitening, skin trouble, Means at least one selected function.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excellent skin improving function (improved)" means "skin wrinkle reducing function (wrinkle reducing function), skin aging prevention function, skin elasticity improving function, skin disease mitigation function, skin white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function, a skin trouble-preventing function and a sebum secretion-preventing function is excellent (improved). " In addition, the term "silicate" as used below may refer to both the first silicate and the second silicate as the case may be.

[1] 제1규산염[1] Primary silicate

상기 제1규산염은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및/또는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로부터 선택되며, 이는 피부 개선 기능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된다. 제1규산염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피부 주름 개선(주름 완화) 기능을 갖는다. 제1규산염은, 예를 들어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거나 피부를 순간적으로 팽창시킨다. 또한, 제1규산염은 피부 표면에 얇은 필름막을 형성하거나,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홈을 메워 피부를 평활화시킨다. 제1규산염은 적어도 위와 같은 기능을 가져 피부 주름 개선(완화)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기능 이외에, 제1규산염은 항산화력 및/또는 항균력 등을 가져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유효성분으로서도 작용한다. The first silicate is selected from sodium silicate and / or sodium meta silicate, which is includ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skin improving function. The first silicate has at least the function of improving the wrinkles of the skin (wrinkle relieving) as mentioned above. The primary silicate, for example, imparts elasticity to the skin or swells the skin instantaneously. Also, the primary silicate forms a thin film film on the surface of the skin, or smoothes the skin by filling the grooves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skin. The first silicate has at least the above functions and acts as an active ingredient for skin wrinkle improvement (relaxation). In addition to these functions, the primary silicate also has antioxidant activity and / or antimicrobial activity and also acts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skin aging.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규산염은 소듐실리케이트, 소듐메타실리케이트 및/또는 이들의 수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수화물로는, 예를 들어 소듐메타실리케이트 5수화물(5수염) 및/또는 소듐메타실리케이트 9수화물(9수염)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1규산염은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 시, 예를 들어 물에 분산(용해)시킨 다음,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licate includes sodium silicate, sodium metasilicate and / or a hydrate thereof. The hydrate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sodium metasilicate pentahydrate and / or sodium metasilicate tetrahydrate (9 hydrate). In addition, the first silicate may be dispersed (dissolv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example, in water, and then mixed with th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1규산염은 소듐실리케이트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 중에서도 소듐메타실리케이트(및/또는 이의 수화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험적 고찰에 따르면, 소듐실리케이트와 소듐메타실리케이트는 둘다 pH가 낮아질수록 용해성이 떨어지고 유리화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용해성이 떨어지면 결정이 생기고, 유리화되면 백탁 현상이 심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듐메타실리케이트는 소듐실리케이트보다 물에 대한 용해성이 높고, 특히 낮은 pH에서도 유리화되는 경향이 낮아 백탁 현상이 없거나 최소화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1규산염은 위와 같은 이유로 소듐실리케이트보다 소듐메타실리케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도 확인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licate is preferably selected from sodium silicate and sodium metasilicate (and / or its hydrate).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found that both sodium silicate and sodium metasilicate have a tendency of lowering the solubility and vitrification as the pH is lowered. At this time, when the solubility is poor, crystals are formed, and when it is vitrified, the whitening phenomenon occurs sever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dium methacylate has a higher solubility in water than sodium silicate, and is less likely to be vitrified even at a low pH, indicating that the whitening phenomenon is minimized or minimiz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sodium metasilicate rather than sodium silicate for the reasons mentioned above, and this can be confirmed also by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 제1규산염은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 및/또는 제형 등에 따라 적절한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규산염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2중량% 내지 12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규산염의 함량이 0.2중량% 미만인 경우, 이의 사용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등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제1규산염의 함량이 1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잉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그다지 않고 백탁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제1규산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1.0중량% 내지 8.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The first silicate may be used in an appropriate amount depending on the type and / or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The first silic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for example, 0.2 wt% to 12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t this time, if the content of the first silicate is less than 0.2%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kin wrinkles due to use thereof may be insignificant. If the content of the first silicate is more than 12% by weight,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excessive use may not be sufficient and the whitening phenomenon may occur. In view of this, the primary silicat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wt% to 8.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2] 제2규산염[2] Second silicate

상기 제2규산염은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는 상기 제1규산염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안정"은 화학적인 반응이 없고, 물리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균질성)을 의미한다. 제2규산염은 제1규산염의 안정제로서 작용하여, 조성물 내에서 제1규산염의 적어도 균일한 분산 안정성(상분리 등 방지) 등을 도모한다. 따라서, 제1규산염은 제2규산염(다가 규산염)에 의해 안정화되어 조성물 내에서 균질화된다. 또한, 제2규산염은 증점제로서도 작용하여 피부 발림성을 향상시킨다. The second silicate is selected from a polyvalent silicate, which is used for stabilization of the first silicate. As used herein, the term "stable" means that there is no chemical reaction and that it is physically uniformly dispersed (uniformity). The second silicate acts as a stabilizer for the first silicate, so that at least uniform dispersion stability (prevention of phase separation etc.) of the first silicate in the composition is promoted. Thus, the primary silicate is stabilized by the secondary silicate (polyvalent silicate) and is homogenized in the composition. In addition, the second silicate also acts as a thickener to improve skin-tanning properties.

상기 제2규산염으로서의 다가 규산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규산염(silicate)로부터 선택된다. 이때, 상기 다가 금속 원소는 2가 이상의 금속 원소로서, 이는 예를 들어 주기율표 2족 ~ 5족에 속하는 금속 원소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Mg, Al, Ca 및/또는 Ba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The polysilicate as the second silicate is selected from a silicate comprising at least one polyvalent metal element. The polyvalent metal element may be selected from metal elements belonging to groups 2 to 5 of the periodic table. More specifically, the polyvalent metal element may be selected from Mg, Al, Ca, and / or Ba etc. Can be selected.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규산염은 다가 규산염 및/또는 다가 규산염의 수화물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2규산염은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 시, 예를 들어 물에 분산(용해)시킨 다음,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할 수 있다. 제2규산염은, 예를 들어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마그네슘칼슘실리케이트, 알루미늄칼슘실리케이트, 마그네슘알루미늄칼슘실리케이트, 이들의 수화물 및/또는 이들의 분산액(예, 2 ~ 50중량%의 수분산액)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2규산염은,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ilicate includes a hydrate of a polyvalent silicate and / or a polyvalent silicate. In addition, the second silicate may be dispersed (dissolv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example, in water, and then mixed with the cosmetic composition. The second silicate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magnesium aluminum silicate, magnesium calcium silicate, aluminum calcium silicate, magnesium aluminum calcium silicate, hydrates thereof and / or dispersions thereof (e.g., 2-50 wt% . The second silicate preferably comprises magnesium aluminum silicate.

또한, 상기 제2규산염은, 예를 들어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분산액으로서, 약 200 ~ 450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점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제1규산염의 안정화 및/또는 피부 발림성 등이 미미할 수 있으며,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젤리(묵)처럼 되어버리거나 백탁 현상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분산액으로는 상용화 제품으로서, 예를 들어 Veegum® 시리즈(미국, R.T.Vandevilt 社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Veegum-Ultra, Veegum-HV 및/또는 Veegum-HS 등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225 ~ 425cps의 점도를 가지는 Veegum-Ultra 제품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 second silicate may, for example, be a magnesium aluminum silicate dispersion, having a viscosity of about 200 to 450 cps. At this time, if the viscosity is too low, the stabilization of the first silicate and / or the skin-spreading property may be insignificant. If the viscosity is too high, it may become like jelly or cloudiness may occur. As the magnesium aluminum ar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with a silicate dispersion, such as Veegum ® series such as (US, RTVandevilt社, Ltd.)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 Veegum-Ultra, Veegum-HV and / or Veegum-HS Can be used. Of these, Veegum-Ultra products having a viscosity of preferably about 225 to 425 cps can be usefully us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는 0.12 이하인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하기 수학식에 따른 R이 0.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수학식에서, R은 중량비이고, S1은 조성물 내에 포함된 제1규산염의 함량(중량)이며, S2는 조성물 내에 포함된 제2규산염의 함량(중량)이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ratio of the second silicate to the first silicate is preferably 0.12 or less.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R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is 0.12 or less. In the following equation, R is the weight ratio, S1 is the content (weight) of the first silicat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and S2 is the content (weight) of the second silicat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수학식][Mathematical Expression]

R = S2/S1R = S2 / S1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R)가 0.12 이하인 경우에 낮은 pH에서 백탁 현상이 현저히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pH 9 이하의 액성을 가지는데, 이러한 낮은 pH에서 상기 중량비(R)가 0.1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백탁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나, 상기 중량비(R)가 0.12 미만인 경우에는 백탁 현상이 현저히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ight ratio (R) of the second silicate to the first silicate is 0.12 or less, the whitening phenomenon can be remarkably prevented at a low pH. That is,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H of 9 or less. When the weight ratio (R) exceeds 0.12 at such a low pH, whitening may occur, but the weight ratio (R) The whitening phenomenon can be remarkably prevented.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규산염은 건조 후 피부에 하얀 얼룩이나 피막을 형성하는 백탁 현상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백탁 현상은 pH가 낮을수록 심해진다. 백탁 현상은 제1규산염에 의해서는 물론 제2규산염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제2규산염을 많이 사용하면, 제1규산염의 안정성과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되어 피부 주름 개선 등에 유리하지만, pH 9 이하에서는 백탁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R)를 0.12 이하로 특정하는 경우, 제1규산염의 안정성 및 조성물의 점도가 보장되면서 pH 9 이하의 낮은 pH에서도 백탁 현상이 방지된다. As mentioned above, the silicate causes a whitening phenomenon which forms a white speck or film on the skin after drying, and this whitening phenomenon becomes worse with lower pH. The whitening is caused not only by the first silicate but also by the second silicate. When the second silicate is used in a large amount, the stability of the first silicate and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are increased, which is advantageous for improving the wrinkles of the skin. How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ight ratio (R) of the second silicate to the first silicate is specified to be 0.12 or less, the stability of the first silicate and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are ensured, Cloudiness is prevented.

상기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R)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0.005 내지 0.12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량비(R)가 0.005 미만으로서 제2규산염의 사용량이 너무 낮은 경우, 제2규산염을 사용함에 따른 제1규산염의 안정성 및/또는 조성물의 점도 개선 등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중량비(R)는 0.01 내지 0.1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weight ratio (R) of the second silicate to the first silicate may be, for example, 0.005 to 0.12. At this time, when the weight ratio (R) is less than 0.005 and the amount of the second silicate is too low, the effect of the stability of the first silicate and / or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may be insignificant. Considering this point, the weight ratio (R) is more preferably 0.01 to 0.1.

또한, 상기 제2규산염은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 및/또는 제형 등에 따라 적절한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규산염은, 상기 중량비(R)가 0.12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로 사용하되,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01중량% 내지 1.2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2규산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 이의 사용에 따른 제1규산염의 안정성 및/또는 조성물의 점도 개선 등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아울러, 제2규산염의 함량이 1.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잉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그다지 않고 제2규산염에 의해 백탁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제2규산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5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The second silicate may be used in an appropriate amount depending on the type and / or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The weight ratio (R) of the second silicate is 0.12 or less, preferably 0.01 to 0.1, and may be used in an amount of, for example, 0.001 to 1.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second silicate is less than 0.001 wt%, the effect of the stability of the first silicate and / or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may be insignificant. When the content of the second silicate is more than 1.2% by weight,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second silicate is not so high and the whitening may occur due to the second silicate. In view of this, the second silicat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5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3] 안정제[3] stabilizers

상기 안정제는 규산염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된다. 안정제는 적어도 제1규산염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안정제는, 예를 들어 잔탄검, 디하이드로잔탄검 및/또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규산염은 제2규산염에 의해 안정화되고, 또한 상기 안정제에 의해서도 보조적으로 안정화(균질화 등)된다. 이에 따라, 제1규산염은 제2규산염(주요 안정제) 및 안정제(보조 안정제)에 의해, 조성물 내에서 매우 안정한 상태로 존재한다. 아울러, 상기 안정제는 제1규산염은 물론 제2규산염을 안정화시키고, 이는 또한 조성물의 증점제로서도 작용하여 피부 발림성을 향상시킨다. The stabilizer is used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silicate. The stabilizer may be any one capable of stabilizing at least the first silicate. The stabilizer may be, for example, xanthan gum, dihydroxanthan gum and / or hydroxyethyl cellulo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the first silicate is stabilized by the second silicate, and is stabilized (homogenized, etc.) additionally by the stabilizer. Accordingly, the primary silicate is present in a very stable state in the composition by the secondary silicate (primary stabilizer) and the stabilizer (secondary stabilizer). In addition, the stabilizer stabilizes the first silicate as well as the second silicate, which also acts as a thickener of the composition and improves skin texture.

상기 안정제는 제1규산염에 대해, 예를 들어 0.01 내지 0.5의 중량비(즉, 제1규산염 : 안정제 = 1 : 0.1 ~ 2.0의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안정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5중량% 내지 6.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안정제의 사용량(함량)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이의 사용함에 따른 규산염의 안정화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정제의 사용량(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과잉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그다지 않고,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질 수 있다. 다. The stabilizer may be used at a weight ratio of 0.01 to 0.5 (i.e., a weight ratio of the first silicate: stabilizer = 1: 0.1 to 2.0) to the first silicate. In addition, the stabiliz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for example, 0.05 wt% to 6.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content) of the stabilizer used is too low, the degree of stabilization of the silicate may be insignificant. When the amount (content) of the stabilizer used is too large, the synergistic effect with excess use is not so high, and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may become too high. All.

[4] 가소제[4] plasticizers

상기 가소제는 규산염의 가소화를 위해 사용된다. 가소제는 적어도 제1규산염을 가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도포 후, 제1규산염으로서의 소듐메타실리케이트 및/또는 소듐메타실리케이트에 의해 얇은 필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필름막은 제1규산염에 의해 딱딱해질 수 있는데, 가소제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한다. 즉, 가소제는 제1규산염을 가소화시켜 필름막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아울러, 가소제는 제1규산염은 물론이고, 제2규산염을 가소화시킬 수 있다. The plasticizer is used for plasticizing the silicate. The plasticizer may be any plasticizer capable of plasticizing at least the first silicate.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thin film film with sodium metasilicate and / or sodium metasilicate as a primary silicate after skin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film may be hardened by the first silicate, and the plasticizer prevents this phenomenon. That is, the plasticizer plasticizes the first silicate to impart flexibility to the film. In addition, the plasticizer can plasticize the secondary silicate, as well as the primary silicate.

상기 가소제는 규산염을 가소화시켜 필름막에 유연성 부여할 수 있는 것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가소제는, 예를 들어 글라이콜류, 글리세린류 및/또는 글리세스류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및/또는 글리세스-26(Glycereth-26)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The plastic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o long as it can plasticize the silicate to impart flexibility to the film. The plasticizer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glycols, glycerin and / or glycerides,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propylene glycol, butyleneglycol and / or glycereth-26 Lt; / RTI >

또한, 상기 가소제는 제1규산염에 대해, 예를 들어 0.2 내지 5.0의 중량비(즉, 제1규산염 : 가소제 = 1 : 0.5 ~ 5.0의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소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5중량% 내지 2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가소제의 사용량(함량)이 0.5중량% 미만으로서 너무 낮은 경우에는 이의 사용함에 따른 규산염의 가소화(유연성 부여) 정도가 미미할 수 있고, 20.0중량%를 초과하여 너무 많은 경우에는 과잉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그다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가소제는 8.0중량% 내지 1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The plasticizer may be used at a weight ratio of 0.2 to 5.0 (i.e., a weight ratio of the first silicate: plasticizer = 1: 0.5 to 5.0) to the first silicate. Further, the plasticiz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for example, 0.5 to 2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n this case, if the amount of plasticizer used (content) is less than 0.5% by weight, the degree of plasticization (imparting flexibility) of the silicate may be insignificant depending on the use thereof. If the plasticizer is used in excess of 20.0% by weight, The synergistic effect is not much.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e plasticiz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from 8.0% by weight to 15.0% by weight.

[5] pH 조절제[5] pH adjusting agents

상기 pH 조절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pH 강하를 위해 사용된다.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1규산염 및 제2규산염 등에 의해, 예를 들어 pH 10 이상, 많게는 pH 11.5 이상의 강알칼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의 pH가 10 이상으로서 높은 pH를 가지는 경우, 적어도 피부 자극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국내의 경우, 화장품의 액성을 pH 9 이하, 구체적으로는 pH 3 ~ 9로 규정하고 있다. The pH adjusting agent is used for lowering the pH of the cosmetic compos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have a strong alkalinity such as, for example, a pH of 10 or more and a pH of 11.5 or more by the above-mentioned first silicate and second silicate. At this time, when the pH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10 or more and has a high pH, skin irritation may occur at least. In addition, in Korea, the liquidity of cosmetics is defined as pH 9 or less, specifically, pH 3 to 9.

이에, 본 발명은 피부 자극 및/또는 법 규정 등을 고려하여 pH를 9 이하로 하고, 이를 위해 pH 조절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pH 7 ~ 9 범위의 액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pH가 9를 초과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 자극이 나타날 수 있고, 법 규정을 만족할 수 없다. 또한, pH가 7 미만으로서 너무 낮은 경우에는 규산염의 안정성이 낮아지고 백탁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pH 8 ~ 9 범위의 액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Accordingly, the p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9 or less in consideration of skin irritation and / or legal regulations, and a pH adjuster is included for this purpose.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pecifically have a pH in the range of pH 7 to 9. At this time, when the pH exceeds 9, skin irritation may occur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gulation can not be satisfied. In addition, if the pH is less than 7 and too low, the stability of the silicate may be lowered and the whitening phenomenon may occur.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quidity in the range of pH 8 to 9.

상기 pH 조절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pH를 9 이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pH 조절제는, 예를 들어 유기산, 무기산 및/또는 이들의 염(유도체) 등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구연산, 글리시리진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살리실산, 스테아린산, 아미노산, 아스코르빈산, 아젤레익산, 아시아틱산, 옥살산, 마데카식산, 히알루로닉산, 글루타믹산, 글리시레틴산, 락트산, 리놀레익산, 말릭산, 소르빈산, 스테아릭산, 아스파틱산, 에리소르빅산, 올레익산, 타르타르산, 소르빈산, 알긴산 및/또는 이들의 염(유도체)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The pH adjust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adjust the pH of the cosmetic composition to 9 or less. The pH adjusting agent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organic acids, inorganic acids and / or salts thereof (derivatives),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citric acid, glycyrrhizic acid, citric acid, ascorbic acid, salicylic acid, stearic acid, , Malic acid, sorbic acid, stearic acid, aspartic acid, erysorbic acid, oleic acid, male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 Tartaric acid, sorbic acid, alginic acid, and / or salts thereof (derivatives).

아울러, 상기 pH 조절제의 사용량(함량)은 pH 9 이하로 조절할 수 있을 정도면 좋다. pH 조절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1중량% 내지 8.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pH 조절제의 사용량(함량)이 0.01중량% 미만으로 너무 낮은 경우에는 이의 사용함에 따른 pH 강하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그리고 pH 조절제의 사용량(함량)이 8.0중량%를 초과하여 너무 많은 경우에는 pH가 너무 낮아져 피부에 자극적일 수 있고, 또한 상기 규산염의 규산염의 안정성 저하 및/또는 백탁 현상 등이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mount (content) of the pH adjusting agent may be adjusted to a pH of 9 or less. The pH adjust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for example, 0.01 wt% to 8.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but is limited to the above range. However, if the amount (content) of the pH adjusting agent is too low to less than 0.01% by weight, the degree of pH drop due to use thereof may be insignificant. If the amount (content) of the pH adjusting agent is more than 8.0% by weight, the pH may be too low to be irritating to the skin, and the stability of the silicate of the silicate may be deteriorated and / or clouding phenomenon may occur.

[6] 용매[6] Solv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용매를 더 포함한다. 용매는, 적어도 규산염을 분산(희석)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으며, 이는 예를 들어 물, 알코올류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용매는 물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물은 정제수 및 증류수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용매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잔량에 해당될 수 있다. 용매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45.0중량% 내지 99.0중량%, 또는 55.0중량% 내지 9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olvent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The solvent may be any one capable of dispersing (diluting) at least a silicate, and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water, alcohols and a mixture thereof. In one example, the solvent may comprise at least water. Water may be selected from purified water and distilled water. The content of the solvent may correspond to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The solvent may be, for example, from 45.0% by weight to 99.0% by weight, or from 55.0% by weight to 9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7] 백탁 개선제[7] cloudiness improving agent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규산염에 의해 발생되는 백탁 현상을 방지(개선)하기 위한 백탁 개선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백탁 개선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염(이하, "EDTA염"으로 약칭한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EDTA염은 백탁 현상의 방지(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도 확인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cloudiness improving agent for preventing (improving) cloudiness caused by the silic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urbidity improving agent includes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salt (hereinafter abbreviated as "EDTA sa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EDTA salt is effective for preventing (improving) the whitening phenomenon, which can also be confirm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 EDTA염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원소가 결합된 금속염으로서, 이는 예를 들어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Na), 포타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K) 및/또는 칼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Ca)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EDTA염은, 바람직하게는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sodium EDTA)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EDTA염은,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디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Disodium EDTA, EDTA-2Na) 및/또는 테트라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Tetrasodium EDTA, EDTA-4Na)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들은 백탁 현상의 방지(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다. The EDTA salt is a metal salt in which at least one metal element is bonded to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for example, 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Na), potassiu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K) Or calcium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Ca). The EDTA salt may preferably be selected from 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sodium EDTA). The EDTA salt may be selected from more specific examples such as di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Disodium EDTA, EDTA-2Na) and / or tetra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Tetrasodium EDTA, EDTA-4Na)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백탁 개선제로서의 EDTA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01중량% 내지 2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EDTA염의 사용량(함량)이 0.001중량% 미만으로서 너무 낮은 경우에는 이의 사용함에 따른 백탁 현상 방지능이 미미할 수 있다. 그리고 EDTA염의 사용량(함량)이 20.0중량%를 초과하여 너무 많은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EDTA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5중량% 내지 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The EDTA salt as a cloudiness improv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for example, 0.001% by weight to 2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content) of the EDTA salt is too low, less than 0.001 wt%, the anti-whitening effect due to use thereof may be insignificant. If the amount (content) of the EDTA salt is more than 20.0% by weight, it may irritate the skin.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e EDTA sal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5 to 1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8] 기타 성분[8] Other ingredie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필름막 형성제, 주름 개선제 및/또는 식물 추출물(약재 추출물) 등의 부가 성분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성분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각각 0.001중량% 내지 10.0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additional component such as a film-forming agent, an anti-wrinkle agent and / or a plant extract (medicinal plant extract)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The additional ingredients may be selected from those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for example, in the range of 0.001 wt% to 10.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상기 필름막 형성제는, 예를 들어 고분자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일례로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름 개선제는, 예를 들어 아세틸헥사펩타이드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 film-forming agent may be selected from a polymer, for example, polyvinyl pyrrolidone (PVP) or the like. As the anti-wrinkle agent, for example, acetyl hexapeptide can be usefully used.

또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홍삼, 고삼, 지골피, 석창포, 우슬, 원지, 유근피, 생지황, 하수오, 구기자, 한련초, 측백엽, 감국, 감초, 계지, 구절초, 금은화, 남과자, 노근, 녹차, 단삼, 당귀, 떡갈나무, 마늘, 만형자, 배괴화, 백복령, 백작약, 백지, 보골지, 사상자, 삼백초, 상백피, 선학초, 생강, 숙지황, 소루쟁이, 송엽, 솔잎, 약쑥, 연교, 인삼, 조협(주협나무 열매), 지모, 참깨, 창포, 천궁, 형개, 홍화, 황기, 로즈마리, 시카카이, 검은콩, 검은깨, 뽕잎, 포공영, 오디 및 칡뿌리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예로 들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lant extract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kinds of plant extracts such as red ginseng, red ginseng, gigobipi, ginseng, woosung, yugi, , Ginseng, pine needles, pine needles, pine needles, pine needles, white pine, white pine, bamboo, casualties, For example,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lack beans, black sesame seeds, mulberry leaves, porcupineous seeds, rhododendrons and roots,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식물 추출물은 각 식물의 잎, 줄기, 뿌리 및/또는 열매 등을 물 및/또는 유기 용매 등을 이용한 용매 추출액; 압착을 이용한 압착 추출액; 및/또는 용매 추출한 추출액을 정제 후 감압 농축한 농축액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 추출의 경우, 물이나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 추출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extract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leaves, stems, roots and / or fruits of each plant with a solvent extract using water and / or an organic solvent; Squeezed extract using squeezing; And / or a concentrated solution obtained by concentrating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the solvent with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 like. Further, in the case of solvent extraction, one or two or more mixed extraction solvents selected from water, anhydrous or hydrated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etc.)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마치현 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 및 알로에베라잎 추출물(Aloe Barbadeensis Leaf Extract)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이들은 피부 개선능에 효과적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extract preferably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 and Aloe Barbadeensis leaf extract, and they are effective for improving skin.

상기 마치현은 각종 종기나 피부병 등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치현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어, 적어도 피부 항염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로에베라잎은 세포 조직의 재생 및 보습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로에베라잎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어, 적어도 피부 탄력 개선, 잔주름 완화, 보습, 및/또는 염증 완화 등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It is known that the marjoram i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boils and skin diseases. The mashin extract is contain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least a skin anti-inflammatory effect can be achieved.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the aloe vera leaves have effects such as regeneration and moisturization of cell tissue. The aloe vera leaf extract is contain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least effects such as improvement in skin elasticity, alleviation of fine lines, moisturization, and / or inflammation can be achieved.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이상에서 설명한 성분들을 포함하되, 그의 종류나 제형에 따른 화장료 베이스(cosmetic base)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베이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화장료 베이스는 제품의 종류 및 제형에 따라 다양하게 조성될 수 있다. 화장료 베이스는 제품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양쪽 이온성 등), 유화제, 유화 안정제, 글리콜류, 알코올류, 보습제, 컨디셔닝제, 점도 조절제, 킬레이팅제, 자외선 차단제 및 향료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료 베이스를 구성하는 각 성분은 통상과 같이 조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cosmetic bases according to the kind and formulation of the ingredients described above. The cosmetic ba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cosmetic base may be variously prepar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product and the formulation. The cosmetic base may vary depending on the product, but may be, for example, a surfactant (anionic, cationic, nonionic, amphoteric), an emulsifier, an emulsifier, a glycol, an alcohol, a moisturizer, a conditioning agent, Chelating agents, sunscreens, perfumes, and the like. Since each component constituting such a cosmetic base can be prepared as usual,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 젤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거품상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에센스, 패취, 얼굴 마스크, 분무제 및/또는 피부 접착타입 등의 제품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for example, formulations such as liquid, gel, cream, paste and foam. 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cosmetics such as softening lotion, convergent lotion, nutritional lotion, gel, nutritional cream, massage cream, eye cream, eye essence, essence, cleansing cre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foam, But are not limited to, a pack, a body lotion, a body cream, a body essence, a patch, a face mask, a spray, and / or a skin adhesive typ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듐실리케이트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 제1규산염을 포함하여 적어도 피부 주름 개선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pH(pH 9 이하)에서 제1규산염 및/또는 제2규산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백탁 현상이 방지된다. 백탁 현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특정 중량비(R), 및/또는 안정제 등에 의해 방지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백탁 개선제로서의 EDTA염을 포함하는 경우 백탁 현상은 현저히 방지(개선)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ability to improve at least the skin wrinkles is improved by including the first silicate selected from sodium silicate and sodium metasilicate.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hitening phenomenon which can be generated by the first silicate and / or the second silicate at a low pH (below pH 9) is prevented. The whitening phenomenon is prevented by the specific weight ratio (R) of the second silicate to the first silicate, and / or the stabilizer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ce of an EDTA salt as a clouding improver is significantly prevented (improv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비교예들은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단지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해 제공된다. 그리고 하기의 비교예들 중에서 일부는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할 수 있다. Hereinafte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mplified.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urther, the following comparative examples are not meant to be a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but are provided for comparison with the embodiments only. And some of the following comparative examples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약 25℃의 물(정제수)에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은 성분들을 넣고, 교반기를 통해 충분히 혼합 교반하여 젤(gel) 상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다. 하기 [표 1]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한 각 성분의 중량%이다. Ingredients shown in Table 1 below were added to water (purified water) at about 25 ° C, and the mixture was sufficiently mixed and stirred through a stirrer to prepare a gel composition. The specific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as shown in Table 1 below. In the following [Table 1],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is the weight percentage of each component based on the whole cosmetic composit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제2규산염으로서 다가 규산염(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다. The procedure of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polyvalent silicate (magnesium aluminum silicate) as the second silicate was different as compared with that of Example 1. The specific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is Comparative Example are as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2 내지 4][Examples 2 to 4]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제1규산염으로서 소듐실리케이트 대신에 소듐메타실리케이트(9수염)를 사용(실시예 2)하거나, 소듐실리케이트의 함량을 달리한 것(실시예 3 및 실시예 4)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실시예(2 ~ 4)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다. Compared with Example 1, except for using sodium methacylate (9 hydrate) instead of sodium silicate (Example 2) as a primary silicate or by using different amounts of sodium silicate (Example 3 and Example 4)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specific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each of Examples (2 to 4) are as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4와 비교하여, 안정제로서의 잔탄검과 가소제로서의 프로필렌글라이콜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다. The procedure of Example 4 was repeated, except that the amount of xanthan gum as a stabilizer and the content of propylene glycol as a plasticizer were different as compared with Example 4. The specific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is Comparative Example are as shown in Table 1 below.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pH와,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R)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The pH and the weight ratio (R) of the second silicate to the first silicate were evaluated for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백탁 현상을 평가하였다. 백탁 현상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성인 남녀 피시험자의 얼굴에 도포한 다음, 건조된 후의 육안 관찰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때, 백탁 현상은 아래의 기준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아울러,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의 얼굴에 도포, 건조한 후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image)이다. The whitening phenomenon was evaluated for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whitening phenomenon was evaluated by applying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to the face of an adult male and female subject and then visually observing it after drying. At this time, the whitening phenomenon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and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FIGS. 1 to 4 are image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after coating and drying on the face of the subject.

< 백탁 현상 평가 기준 > <Criteria for evaluation of cloudiness phenomenon>

- 없음 : 흰색의 얼룩이나 피막이 전혀 없는 경우- None: No white spots or no coating

- 약간발생 : 흰색의 얼룩이나 피막이 조금이라도 관찰된 경우 - Slight occurrence: white specks or slight coatings are observed.

- 발생 : 흰색의 얼룩이나 피막이 확연하게 관찰된 경우- Occurrence: White stain or coating is clearly observed.

<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 및 백탁 현상 평가 결과, 단위 : 중량% >  &Lt; Composition of cosmetic composition and evaluation result of cloudiness phenomenon, unit: wt% 성 분ingredient 실시예 1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제1규산염Primary silicate S1-1S1-1 44 44 -- 44 44 44 S1-2S1-2 -- -- 44 -- -- -- 제2규산염
(다가 규산염)
Second silicate
(Polyvalent silicate)
S2S2 0.250.25 33 0.450.45 0.450.45 0.50.5 0.50.5
안정제stabilizator XX 0.450.45 0.450.45 0.450.45 0.450.45 0.450.45 0.150.15 가소제Plasticizer PGPG 66 66 9.879.87 9.879.87 9.879.87 66 pH 조절제pH adjusting agent 구연산Citric acid 1.721.72 1.721.72 1.721.72 1.721.72 1.701.70 1.701.70 water 정제수Purified water 잔량Balance 잔량Balance 잔량Balance 잔량Balance 잔량Balance 잔량Balance 합계Sum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pHpH 8.708.70 8.748.74 8.718.71 8.748.74 8.828.82 8.828.82 R R 0.06250.0625 0.750.75 0.11250.1125 0.11250.1125 0.1250.125 0.1250.125 백탁 현상Cloudiness 없음none 발생Occur 없음none 약간발생Slight occurrence 약간발생Slight occurrence 발생Occur S1-1 :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S1-2 :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9수)
S2 :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5중량%의 수분산액, 점도 약 250cps at 20℃)
X : 잔탄검
PG : 프로필렌 글라이콜
R :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다가 규산염)의 중량비(R = S2/S1)
S1-1: sodium silicate
S1-2: sodium meta silicate (9 water)
S2: Magnesium aluminum silicate (5% by weight aqueous dispersion, viscosity about 250 cps at 20 캜)
X: xanthan gum
PG: Propylene glycol
R: weight ratio of the second silicate (polyvalent silicate) to the first silicate (R = S2 / S1)

상기 [표 1]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pH 9 이하)은 비교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pH 9 이하)과 비교하여, 백탁 현상이 없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규산염의 종류와 다가 규산염의 함량 등에 따라 백탁 현상에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1 and Figures 1 to 4, the cosmetic composition (pH 9 or less) according to the Examples had a whitish appearance compared to the cosmetic composition (pH 9 or les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s Or almost no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whitening phenomenon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silicate and the content of polyvalent silicate.

먼저,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대비하면, pH 9 이하에서 다가 규산염(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의 함량이 높은 경우(비교예 1), 백탁 현상이 심하게 발생됨을 알 수 있다.(도 1 참조) First, comparing Example 1 with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content of polyvalent silicate (magnesium aluminum silicate) is high at pH 9 or lower (Comparative Example 1), the whitening phenomenon occurs severely (see FIG. 1).

또한, 실시예 2 ~ 4와 비교예 2를 대비하면, 소듐메타실리케이트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2)가 소듐실리케이트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3 및 비교예 2)보다 백탁 현상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즉, 중량비 R(= S2/S1)이 낮은 경우에 백탁 현상이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In contrast, in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whitening phenomenon was improved in the case of using sodium metasilicate (Example 2) than in the case of using sodium silicat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2) (See FIGS. 2 and 3). That is, when the weight ratio R (= S2 / S1) is low, the whitish phenomenon is not seen.

아울러, 실시예 4와 비교예 2를 대비하면, 안정제(잔탄검)와 가소제(프로필렌 글라이콜)의 함량이 높은 경우(실시예 4)가 그렇지 않은 경우(비교예 2)보다 백탁 현상이 적음을 알 수 있다.(도 4 참조) Comparing Example 4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whitening phenomenon is less than that in the case where the content of the stabilizer (xanthan gum) and the plasticizer (propylene glycol) is high (Example 4) (See Fig. 4)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4와 비교하여, 제1규산염으로서 소듐실리케이트 대신에 소듐메타실리케이트(9수염)를 사용하고, pH 조절제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하기 [표 2]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한 각 성분의 중량%이다. Compared with Example 4, the procedure of Example 4 was repeated, except that sodium methasilicate (9 hydrate) was used instead of sodium silicate as the primary silicate and the content of the pH adjuster was varied. The specific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as shown in Table 2 below. In the following [Table 2],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is the weight percentage of each component based on the whole cosmetic composition.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4와 비교하여, 백탁 개선제로서 EDTA염을 더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The procedure of Example 4 was repeated, except that EDTA salt was further added as a clouding improver in comparison with Example 4. The specific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as shown in Table 2 below.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6과 비교하여, 백탁 개선제로서 EDTA염을 첨가하지 않고, 다가 규산염(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The procedure of Example 6 was repeated, except that EDTA salt was not added as a cloudiness improving agent and the content of polyvalent silicate (magnesium aluminum silicate) was changed as compared with Example 6. [ The specific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is Comparative Example are as shown in Table 2 below.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3과 비교하여, pH 조절제(구연산)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Comparative Example 3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3, except that no pH adjusting agent (citric acid) was added. The specific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is Comparative Example are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6과 비교하여, 제1규산염으로서 소듐실리케이트 대신에 소듐메타실리케이트(9수염)를 사용하고, 소듐메타실리케이트(9수염)와 다가 규산염(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Compared with Example 6, except that sodium methasilicate (9 hydrate) was used instead of sodium silicate as the primary silicate and the content of sodium metasilicate (9 hydrate) and polyvalent silicate (magnesium aluminum silicate) was varied The procedure of Example 6 was repeated. The specific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as shown in Table 2 below.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실시예 7과 비교하여, 백탁 개선제로서 EDTA염을 첨가하지 않고, 다가 규산염(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The procedure of Example 7 was repeated, except that EDTA salt was not added as a clouding improver and the content of polyvalent silicate (magnesium aluminum silicate) was changed as compared with Example 7. [ The specific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is Comparative Example are as shown in Table 2 below.

상기 실시예 5 내지 7, 및 비교예 3 내지 5에 따른 각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pH와 중량비(R)를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백탁 현상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아울러,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의 얼굴에 도포, 건조한 후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image)이다. The pH and weight ratio (R) of each of the cosmetic compositions according to Examples 5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5 were evaluated. The white turbidity phenomenon was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sults are also shown in Table 2 below. 5 to 8 are image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after being applied to the face of the subject and dried.

<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 및 백탁 현상 평가 결과, 단위 : 중량% >   &Lt; Composition of cosmetic composition and evaluation result of cloudiness phenomenon, unit: wt% 성 분ingredient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6Example 6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7Example 7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제1규산염Primary silicate S1-1S1-1 44 -- 44 44 44 -- -- S1-2S1-2 -- 44 -- -- -- 3.53.5 3.53.5 제2규산염
(다가 규산염)
Second silicate
(Polyvalent silicate)
S2S2 0.50.5 0.50.5 0.50.5 1.51.5 1.51.5 0.750.75 0.50.5
안정제stabilizator XX 0.450.45 0.450.45 0.450.45 0.450.45 0.450.45 0.450.45 0.450.45 가소제Plasticizer PGPG 9.879.87 9.879.87 9.879.87 9.879.87 9.879.87 9.879.87 9.879.87 백탁 개선제
(EDTA염)
Cloudiness improving agent
(EDTA salt)
EDTA-2NaEDTA-2Na -- -- 0.120.12 -- -- 0.120.12 --
EDTA-4NaEDTA-4Na -- -- 0.500.50 -- -- 0.500.50 -- pH 조절제pH adjusting agent 구연산Citric acid 1.701.70 1.721.72 1.721.72 1.721.72 -- 1.721.72 1.721.72 water 정제수Purified water 잔량Balance 잔량Balance 잔량Balance 잔량Balance 잔량Balance 잔량Balance 잔량Balance 합계Sum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pHpH 8.828.82 8.718.71 8.718.71 8.748.74 11.2611.26 8.718.71 8.728.72 R R 0.1250.125 0.1250.125 0.1250.125 0.3750.375 0.3750.375 0.2140.214 0.1430.143 백탁 현상Cloudiness 약간
발생
slightly
Occur
없음none 없음none 발생Occur 약간
발생
slightly
Occur
없음none 발생Occur
S1-1 :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S1-2 :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9수)
S2 :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5중량%의 수분산액, 점도 약 250cps at 20℃)
X : 잔탄검
PG : 프로필렌 글라이콜
EDTA-2Na : Disodium EDTA
EDTA-4Na : Tetrasodium EDTA
R :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다가 규산염)의 중량비(R = S2/S1)
S1-1: sodium silicate
S1-2: sodium meta silicate (9 water)
S2: Magnesium aluminum silicate (5% by weight aqueous dispersion, viscosity about 250 cps at 20 캜)
X: xanthan gum
PG: Propylene glycol
EDTA-2Na: Disodium EDTA
EDTA-4Na: Tetrasodium EDTA
R: weight ratio of the second silicate (polyvalent silicate) to the first silicate (R = S2 / S1)

먼저, 실시예 4와 실시예 5를 대비하면, 소듐메타실리케이트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5)가 소듐실리케이트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4)보다 백탁 현상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First, comparing Example 4 with Example 5, it can be seen that the case of using sodium metasilicate (Example 5) is improved more than that of the case of using sodium silicate (Example 4).

또한, 실시예 4와 실시예 6, 및 비교예 3과 실시예 6을 서로 대비하면, 백탁 개선제로서 EDTA염을 사용한 경우(실시예 6)가 그렇지 않은 경우(실시예 4 및 비교예 3)보다 백탁 현상이 현저히 개선됨을 알 수 있다.(도 5 참조)  Further, comparing Example 4 with Example 6, and Comparative Example 3 with Example 6, it was found that the case where the EDTA salt was used as the clouding improver (Example 6) was not used (Example 4 and Comparative Example 3) The whitening phenomenon is remarkably improved (see FIG. 5).

아울러, 실시예 5과 실시예 6을 대비하면, 미세한 차이기는 하지만 실시예 6이 백탁 현상이 낮음을 알 수 있다.(도 6 참조)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n comparison with Example 5 and Example 6, the degree of whitening is low in Example 6 though it is a slight difference (see FIG. 6).

한편, 비교예 3과 비교예 4를 대비하면, pH가 9를 초과하여 높은 경우(비교예 4, pH 11.26)에는 백탁 현상이 낮음을 알 수 있다.(도 7 참조) On the other hand, when the pH is higher than 9 (Comparative Example 4, pH 11.26), the whitening phenomenon is low in Compara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4 (see FIG. 7).

아울러, 실시예 7과 비교예 5을 대비하면, 실시예 7의 경우 비교예 5보다 다가 규산염(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의 함량이 높음에도 백탁 개선제(EDTA염)에 의해 백탁 현상이 거의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도 8 참조)Comparing Example 7 and Comparative Example 5, it was found that the whitening phenomenon was hardly caused by the opacifying agent (EDTA salt) even though the content of polyvalent silicate (magnesium aluminum silicate) was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5 (See FIG. 8).

[실시예 8] < 용해도 실험 1 > [Example 8] < Solubility Experiment 1 >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와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The solubilities of sodium silicate and sodium meta silicate in water were evaluated as follows.

하기 [표 3]에 보인 바와 같이, 25℃의 증류수 96.5g에 소듐실리케이트 3.5g(시료 1)과 소듐메타실리케이트 3.5g(시료 2)을 각각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같은 교반속도로 30분 동안 충분히 용해시켰다. 이후, 각 시료를 투명 용기에 담아 용해도를 비교하였다. 도 9는 시료 1과 시료 2의 사진이다.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3, 3.5 g of sodium silicate (sample 1) and 3.5 g of sodium metasilicate (sample 2) were added to 96.5 g of distilled water at 25 ° C.,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the same stirring rate for 30 minutes Sufficiently dissolved. Each sample was then placed in a clear container to compare its solubility. 9 is a photograph of Sample 1 and Sample 2.

[실시예 9] < 용해도 실험 2 > [Example 9] < Solubility Experiment 2 >

또한, pH 8.5 ~ 9.0 범위에서,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와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In addition, the solubility of sodium silicate and sodium meta silicate in water was evaluated as follows in the range of pH 8.5 to 9.0.

하기 [표 4]에 보인 바와 같이, 25℃의 증류수 95g에 소듐실리케이트 3.5g(시료 3)과 소듐메타실리케이트 3.5g(시료 4)을 각각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같은 교반속도로 30분 동안 충분히 용해시켰다. 이후, 각 시료에 구연산 1.5g을 넣고 20분 동안 충분히 더 교반하여 용해시킨 다음, 각 시료를 투명 용기에 담아 용해도를 비교하였다. 도 10은 시료 3과 시료 4의 사진이다.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4, 3.5 g of sodium silicate (Sample 3) and 3.5 g of sodium metasilicate (Sample 4) were added to 95 g of distilled water at 25 ° C.,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the same stirring rate for 30 minutes . Thereafter, 1.5 g of citric acid was added to each sample, and the solution was further stirred and dissolved for 20 minutes, and then each sample was placed in a transparent container to compare its solubility. 10 is a photograph of Sample 3 and Sample 4.

< 용해도 비교를 위한 시료의 조성, 단위 : 중량% >      &Lt; Composition of sample for solubility comparison, unit: wt% > 성 분ingredient 시료 1Sample 1 시료 2Sample 2 비 고Remarks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3.53.5 --
at 25℃

at 25 ℃
소듐메타실리케이트 (9수)Sodium metasilicate (9 water) -- 3.53.5 증류수Distilled water 96.596.5 96.596.5 합 계Sum 100100 100100

< 용해도 비교를 위한 시료의 조성, 단위 : 중량% >       &Lt; Composition of sample for solubility comparison, unit: wt% > 성 분ingredient 시료 3Sample 3 시료 4Sample 4 비 고Remarks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3.53.5 --
at 25℃
pH : 8.5 ~ 9.0

at 25 ℃
pH: 8.5 to 9.0
소듐메타실리케이트 (9수)Sodium metasilicate (9 water) -- 3.53.5 구연산Citric acid 1.51.5 1.51.5 증류수Distilled water 95.095.0 95.095.0 합 계Sum 100100 100100 pH pH 8.908.90 8.798.79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소듐메타실리케이트는 소듐실리케이트보다 용해성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동일량을 증류수에 용해시킬 때 소듐메타실리케이트는 더 낮은 pH에서도 소듐실리케이트보다 용해성이 더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용해성이 높은 소듐메타실리케이트가 소듐실리케이트보다 건조 후에도 석출되는 량이 적어 피부에 도포시 백탁 현상이 낮아짐을 뒷받침한다. As shown in FIGS. 9 and 10, sodium methacylate is more soluble than sodium silicate, especially when sodium methasilicate i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it is more soluble than sodium silicate at lower pH Higher results were obtained. This suggests that the soluble sodium methasilicate is less precipitated after drying than sodium silicate, resulting in reduced whitening on the skin.

[실시예 10] [Example 10]

하기 [표 5]에 보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cream form cosmetic composition was prepared with the ingredients and contents as shown in Table 5 below.

먼저, 교반기가 달린 용기에 하기 [표 5]의 (A)조성을 넣고, 교반을 계속 진행하면서 (B)조성 ~ (F)조성을 투입하여 교반, 혼합한 다음, 이후 (G)조성의 각 성분을 첨가 혼합하였다. 이때, (D)조성 및 (E)조성에서 각 식물 추출물은 에탄올을 이용한 용매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하기 [표 5]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한 각 성분의 중량%이다. First, the composition (A) of the following [Table 5] was put into a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and the composition (F) was added thereto while stirring was continued, followed by stirring and mixing. . At this time, solvent extracts using ethanol were used for each of the plant extracts in (D) composition and (E) composition. In the following [Table 5],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is the weight percentage of each component based on the whole cosmetic composition.

<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단위 : 중량% >             &Lt; Component and content of cosmetic composition, unit: wt% > 성 분ingredient 함 량content 주요 기능main function (A)조성(A) Composition 정제수Purified water 63.2763.27 용매menstruum S1-2S1-2 3.53.5 주름 개선 등Wrinkle improvement, etc. S2S2 0.250.25 안정화/증점Stabilization / thickening 잔탄검Xanthan gum 0.450.45 안정화/증점Stabilization / thickening 프로필렌 글라이콜Propylene glycol 9.879.87 가소화Plasticization (B)조성(B) Composition EDTA-2NaEDTA-2Na 0.120.12 백탁 개선
(EDTA염)
Cloudiness improvement
(EDTA salt)
EDTA-4NaEDTA-4Na 0.50.5 구연산Citric acid 1.561.56 pH 조절pH control (C)조성(C) Composition PVPPVP 0.280.28 필름막 형성Film formation 정제수Purified water 0.420.42 용매menstruum (D)조성(D) Composition 마치현 추출물Marchia extract 2.5262.526 피부 개선 등Skin improvement etc. 글리세린(Glycerin)Glycerin 0.30.3 피부 컨디셔닝Skin Conditioning 프로판디올(Propanediol)Propanediol 0.150.15 방부Preservation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Phenoxyethanol 0.0240.024 방부Preservation (E)조성(E) Composition 알로에베라잎 추출물Aloe vera leaf extract 0.9420.942 피부 개선 등Skin improvement etc.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Butylene glycol 0.050.05 피부 컨디셔닝Skin Conditioning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Phenoxyethanol 0.0080.008 방부Preservation (F)조성(F) Composition 아세틸헥사펩타이드-8Acetyl hexapeptide-8 0.0040.004 주름 개선 등Wrinkle improvement, etc.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Butylene glycol 0.050.05 피부 컨디셔닝Skin Conditioning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Phenoxyethanol 0.00320.0032 방부Preservation (G)조성(G) Composition 아데노신(Adenosine)Adenosine 0.040.04 주름 개선 등Wrinkle improvement, etc. 알란토인(Allantoin)Allantoin 0.10.1 피부 컨디셔닝Skin Conditioning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Dipotassium glycyrrhizate)
Dipotassium glycyrrhizate
(Dipotassium glycyrrhizate)
0.10.1 피부 컨디셔닝Skin Conditioning
1,2-헥산디올(1,2-Hexanediol)1,2-Hexanediol 0.10.1 방부Preservation 에칠헥산디올(Etylhexanediol)Etylhexanediol 0.560.56 방부Preservation 정제수Purified water 잔량(To 100)Remaining amount (To 100) 용매menstruum S1-2 :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9수)
S2 :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5중량%의 수분산액, 점도 약 250cps at 20℃)
EDTA-2Na : Disodium EDTA
EDTA-4Na : Tetrasodium EDTA
PVP : 폴리비닐피롤리돈
S1-2: sodium meta silicate (9 water)
S2: Magnesium aluminum silicate (5% by weight aqueous dispersion, viscosity about 250 cps at 20 캜)
EDTA-2Na: Disodium EDTA
EDTA-4Na: Tetrasodium EDTA
PVP: polyvinylpyrrolidone

상기 실시예 10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크림 제형)에 대하여, 50 ~ 60대 여성 피시험자들에게 얼굴에 사용(도포)하게 하였다. 첨부된 도 11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인 피시험자의 사용 전(Before)과 사용 후(After)의 이미지(image)로서, 도 11에서 사용 후의 이미지는 도포 약 8분 후의 모습이다. The cosmetic composition (cream formulation) according to Example 10 was applied (applied) to the face of female subjects in their 50s and 60s. Fig. 11 is an image of Before and After images of the tester showing the best results, and the image after use in Fig. 11 is the image after about 8 minutes of application.

Claims (10)

소듐실리케이트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규산염;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제2규산염;
안정제;
가소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고,
pH가 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At least one primary silicate selected from sodium silicate and sodium metasilicate;
A secondary silicate selected from polyvalent silicates;
stabilizator;
Plasticizers; And
a pH adjusting agent,
wherein the pH is 9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는 0.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second silicate to the first silicate is 0.12 or les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H는 7 ~ 9이고,
상기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는 0.01 내지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H is 7 to 9,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second silicate to the first silicate is from 0.01 to 0.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실리케이트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규산염 0.2중량% 내지 12중량%;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제2규산염 0.001중량% 내지 1.2중량%;
안정제 0.05중량% 내지 6.0중량%;
가소제 0.5중량% 내지 20.0중량%; 및
pH 조절제 0.01중량%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 the cosmetic composition,
From 0.2% to 12% by weight of at least one primary silicate selected from sodium silicate and sodium metasilicate;
0.001 wt.% To 1.2 wt.% Of a second silicate selected from polyvalent silicates;
0.05% to 6.0% by weight of stabilizer;
From 0.5% to 20.0% by weight of a plasticizer; And
and 0.01 to 8.0% by weight of a pH adjusting agen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백탁 개선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탁 개선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smetic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 cloudiness improving agent,
Wherein the opacity improver comprises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sal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은 디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2Na) 및 테트라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4Na)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sal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2Na) and tetra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4N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제1규산염에 대해 0.01 내지 0.5의 중량비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abilizer is contained in a weight ratio of 0.01 to 0.5 based on the first silica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마치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smetic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plant extracts selected from a marigold extract and an aloe vera leaf extract.
제1규산염 0.2중량% 내지 12중량%;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제2규산염 0.001중량% 내지 1.2중량%;
안정제 0.05중량% 내지 6.0중량%;
가소제 0.5중량% 내지 20.0중량%; 및
pH 조절제 0.01중량% 내지 8.0중량%를 포함하고,
pH가 9 이하이며,
상기 제1규산염은 소듐메타실리케이트이고,
상기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는 0.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From 0.2 wt% to 12 wt% of the first silicate;
0.001 wt.% To 1.2 wt.% Of a second silicate selected from polyvalent silicates;
0.05% to 6.0% by weight of stabilizer;
From 0.5% to 20.0% by weight of a plasticizer; And
0.01 to 8.0% by weight of a pH adjusting agent,
the pH is 9 or less,
Wherein the first silicate is sodium metasilicate,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second silicate to the first silicate is 0.12 or les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백탁 개선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백탁 개선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이고,
상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은 0.05중량% 내지 10.0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cosmetic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clouding improver,
The clouding improver is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Wherein the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sal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05 to 10.0% by weight.
KR1020160158953A 2016-11-28 2016-11-28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800116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53A KR20180011698A (en) 2016-11-28 2016-11-28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53A KR20180011698A (en) 2016-11-28 2016-11-28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117A Division KR101681952B1 (en) 2016-07-25 2016-07-25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98A true KR20180011698A (en) 2018-02-02

Family

ID=6122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953A KR20180011698A (en) 2016-11-28 2016-11-28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69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976B1 (en) * 2019-05-16 2020-10-29 주식회사 미피션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rinkle removal, the maskpack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976B1 (en) * 2019-05-16 2020-10-29 주식회사 미피션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rinkle removal, the maskpack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9685B1 (en) Film forming complex,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it and their use as peel-off film mask
US10111825B2 (en) Oil-in-water emulsions enriched with salt which are highly viscous and stable over time
TW202114621A (en) Double-dosage-form moisturizing essen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716475B1 (en) Peel-off pack composition containing rice bran, kaolin and bentoni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7206095A (en) Percutaneous absorbtion base material containing lipid peptide type compound
KR20180045539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and method thereof
KR20140055689A (en) Gommage type cosmetic compostion for exfoliating skin having low irritant
CN109846740B (en) Skin car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20120136141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mediately improving skin wrinkle
KR101681952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90001136A (en) Composition of face-lifting pack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comprising oligopeptides
KR101465109B1 (en) The cosmetic composition both promoting a skin elasticity and improving a skin wrinkles in a short ti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of
KR20120119745A (en) Antioxidant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nelumbo nucifera flowers extract and prunus mume fruits extract
KR101596021B1 (en) Peeling cosmetic material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RU2295951C1 (en) Composition for face and eyelids skin care
KR20180011698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N116889528A (en) Water-light mask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876744B1 (en) A step 3 method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us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ginseng extract
KR101916824B1 (en)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Linum usitatissimum L. seed extract
KR101064038B1 (en) Cosmetic composition to relieve skin swelling
KR102086316B1 (e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percutaneous absorption property
KR102532994B1 (en) Costmetic compostions for skin lif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O/W type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KR100737391B1 (en) Nano particle composition comprising the aloe gel and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KR20210093498A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anake extract
JP2021098655A (en) Skin external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