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634A -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634A
KR20180011634A KR1020160094255A KR20160094255A KR20180011634A KR 20180011634 A KR20180011634 A KR 20180011634A KR 1020160094255 A KR1020160094255 A KR 1020160094255A KR 20160094255 A KR20160094255 A KR 20160094255A KR 20180011634 A KR20180011634 A KR 20180011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ile
cnc equipment
management devic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박성렬
Original Assignee
김현준
박성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준, 박성렬 filed Critical 김현준
Priority to KR1020160094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634A/ko
Publication of KR2018001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166USB, firewire, ieee-1394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3Director till display
    • G05B2219/33099Computer numerical control [CNC]; Software control [SW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CNC장비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은 물론 설정된 파라메타를 포함하는 가공 환경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CNC장비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각종 파라메타를 포함하는 가공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휴대 가능한 장치로, 가공프로그램과 파라미터값이 저장된 메모리; CNC장비와 가공프로그램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포트; 저장 및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출력 중일 때 관리장치의 온/오프 상태 및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출력작동표시램프(Tx)와, CNC장비로 데이터가 출력 중일 때 공작기계의 통신포트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수신통신표시램프(Rx)와, 관리장치가 데이터를 송신 중일 때 곤리장치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송신작동표시램프(Rt)와, CNC장비가 데이터를 전송 중일 때 CNC장비의 통신포트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수신통신표시램프(Ct))를 포함하는 모니터램프; 및 메뉴선택, 디렉토리 이동 및 입출력 조작 기능을 갖는 키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data and program management device of CNC machine tools}
본 발명은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CNC장비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은 물론 설정된 파라메타를 포함하는 가공 환경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 가공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공작기계(또는 가공기계, 이하"공작기계"라 통칭함)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여러 가공을 수행하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가공범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가 있다.
기 CNC장비는 공작물의 절삭가공을 하는 경우 가공치수, 형상, 필요한 공구, 이송속도 등을 선택적으로 지시하는 수치 데이터를 기록한 프로그램을 컴퓨터와 직접 연결시켜 자동적으로 절삭공구의 위치를 결정하거나 자동절삭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CNC장비는 프로그램, 즉 엔시코드 입력에 의해 X,Y,Z축 서보모터를 구동시키므로 가공툴에 의해 소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자동 가공하는 기계이다.
이와 같은 CNC장비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2를 비롯하여 다양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은 CNC 공작 기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가공 프로그램 지령을 확인한 후에, 해당 가공 프로그램 상에 지령 코드가 있는지를 감시하는 과정과; 지령 코드가 있는 경우에, 지령 코드의 토큰을 해석하여 지령 모드가 중량 보상 모드인지를 판별하는 과정과; 중량 보상 모드인 경우에, 가공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CNC 공작 기계를 자동 기동시켜 가공 소재의 중량 변화에 따른 서보 전류치를 측정하는 과정과; 측정된 전류치와 기설정된 비교 기준값을 비교하여 가공 소재의 중량 변화를 감지해 측정된 전류치를 회귀 방정식에 대입시켜 가공 소재의 중량을 계산하는 과정과; 계산된 중량에 따른 서보 조정파라미터 및 가감속 시정수를 변경시켜 CNC 공작 기계의 서보 모터를 제어하여 가공 소재의 가공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재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CNC장비에 공작물의 모델링정보를 입력하면 가공시 필요한 가공순서, 공구, 공구의 이동경로가 자동으로 선정되어 NC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NC데이터에 의해 공작물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가공시 가공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오차 확인시 즉시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적의 가공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자동가공기능을 갖는 지능형 CNC장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통상의 CNC장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프로그램과, 가공에 필요한 파리메타를 필요로 한다.
대량 생산을 필요로 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CNC장비에서만 기계 가공 또는 공작 과정을 수행할 경우, 생산성에 한계가 있으므로 다수의 CNC장비를 이용하여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각 CNC장비에 동일한 프로그램은 물론, 파라메터를 포함하는 가공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환경 설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 사용된 파라메타 값을 포함하는 가공 데이터를 다시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가공 데이터가 유실될 경우 다시 가공 데이터를 다시 설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48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72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CNC장비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은 물론 설정된 파라메타를 포함하는 가공 환경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는 CNC장비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각종 파라메타를 포함하는 가공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휴대 가능한 장치로, 가공프로그램과 파라미터값이 저장된 메모리; CNC장비와 가공프로그램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포트; 저장 및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관리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출력 중일 때 관리장치의 온/오프 상태 및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출력작동표시램프(Tx)와, CNC장비로 데이터가 출력 중일 때 공작기계의 통신포트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수신통신표시램프(Rx)와, 관리장치가 데이터를 송신 중일 때 관리장치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송신작동표시램프(Rt)와, CNC장비가 데이터를 전송 중일 때 CNC장비의 통신포트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수신통신표시램프(Ct))를 포함하는 모니터램프; 및 메뉴선택, 디렉토리 이동 및 입출력 조작 기능을 갖는 키보드; 및 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작동표시램프(Tx)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한 쌍을 이루고, 관리장치가 공작기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정상적으로 대기상태일 때에는 녹색등만 점등되고, 관리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적색등만 점등되며, 관리장치로부터 공작기계로 장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될 때에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점등되며, 상기 수신통신표시램프(Rx)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한 쌍을 이루고, 통신포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대기상태일 때에는 녹색등만 점등되고, 공작기계의 통신포트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적색등만 점등되며, 공작기계로부터 관리기계로 장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될 때에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점등되며, 상기 송신작동표시램프(Rt)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한 쌍을 이루고, 관리장치가 공작기계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정상적으로 대기상태일 때에는 녹색등만 점등되고, 관리장치가 공작기계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거나 수신 대기 상태일 때에는 적색등만 점등되며, 관리장치가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점등되며, 상기 수신통신표시램프(Rx)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한 쌍을 이루고, CNC장비의 통신포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대기상태일 때에는 녹색등만 점등되고, CNC장비가 파일을 전송중이거나 수신대기 중 일 때에는 적색등만 점등되며, 공작기계의 통신포트에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점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는 터치패드인 것이 바람직하고, 배면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CNC장비의 금속 프레임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관리장치에는 메모리를 추가로 탈착시킬 수 있는 USB포트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는 CNC장비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가공 데이터를 따로 관리하여 가공 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CNC장비에 동일한 가공 데이터를 설정하여 동시에 많은 양의 동일한 기계를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는 휴대가 용이하여 원하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CNC장비를 원하는 가공 데이터로 설정이 가능하여 기계 가공 장소의 제약을 덜 받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의 일예의 화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의 일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의 부팅화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의 메인화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고, CNS공작기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파라메타를 포함하는 가공 데이터를 쉽게 CNC장비와 송수신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가능하게 구성되며, 가공프로그램과 파라미터값이 저장된 메모리(10); CNC장비와 가공프로그램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포트(20); 저장 및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0); 관리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출력 중일 때 관리장치의 온/오프 상태 및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출력작동표시램프(Tx)와, CNC장비로 데이터가 출력 중일 때 공작기계의 통신포트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수신통신표시램프(Rx)와, 관리장치가 데이터를 송신 중일 때 관리장치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송신작동표시램프(Rt)와, CNC장비가 데이터를 전송 중일 때 CNC장비의 통신포트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수신통신표시램프(Ct))를 포함하는 모니터램프(40); 메뉴선택, 디렉토리 이동 및 입출력 조작 기능을 갖는 키보드(50); 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60)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0)는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상기 마이컴에서 불러들여 CNC장비로 전송하거나, 특정 CNC장비로부터 다운받아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관리장치에 의해 송수신된 프로그램이나 파라메타의 이력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를 보충할 수 있도록 또 다른 메모리를 탈착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장치의 일측에는 메모리를 추가로 탈착시킬 수 있는 USB포트(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포트(20)는 CNC장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통신모듈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CNC장비의 데어터를 수신하고, CNC장비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통신포트(20)는 본 발명의 관리장치에 별도의 전원공급용 전선이 연결되지 않아도 되도록 전원공급수단의 역할도 같이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파라메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며, 데어터를 송수신할 때 데이터의 흐름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장치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된 프로그램의 이력이나, 파라메타의 이력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램프(40)는 관리장치의 작동상태와 통신 상태를 알려주는 수단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신작동표시램프(Tx)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한 쌍을 이루고, 관리장치가 공작기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정상적으로 대기상태일 때에는 녹색등만 점등되고, 관리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적색등만 점등되며, 관리장치로부터 공작기계로 장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될 때에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점등된다.
상기 수신통신표시램프(Rx)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한 쌍을 이루고, 통신포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대기상태일 때에는 녹색등만 점등되고, 공작기계의 통신포트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적색등만 점등되며, 공작기계로부터 관리기계로 장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될 때에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점등된다.
상기 송신작동표시램프(Rt)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한 쌍을 이루고, 관리장치가 공작기계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정상적으로 대기상태일 때에는 녹색등만 점등되고, 관리장치가 공작기계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거나 수신 대기 상태일 때에는 적색등만 점등되며, 관리장치가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점등되며, 상기 수신통신표시램프(Rx)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한 쌍을 이루고, CNC장비의 통신포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대기상태일 때에는 녹색등만 점등되고, CNC장비가 파일을 전송중이거나 수신대기 중 일 때에는 적색등만 점등되며, 공작기계의 통신포트에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점등된다.
상기 키보드(50)는 상기 마이컴(60)에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 터치패드로 구성하여 구조를 단순화시켰다.
상기 키보드(50)는 메뉴이동,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착지 위한 디렉토리이동, 입출력의 시작과 정지 등의 실행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키보드(50)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은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ESC키는 메뉴의 복귀, 파일입출력 정지, 대화상자에서 (취소)기능을 실행하고, 4개의 방향키 중 좌향키는 파일명작성, 각종설정의 변경 등을 실행할 수 있고, 상향키는 메뉴의 이동, 파일이동, 강제전송을 실행하며, 하향키는 메뉴의 이동, 파일이동을 실행하며, 우향키는 파일명작성, 각종설정의 변경 등을 실행할 수 있다. ENT키는 메뉴의 전환, 파일선택결정, 대화상자에서 (허가)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장치의 배면에는 자석을 더 설치하여, CNC장비의 금속 프레임의 일측에 장치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조정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공작기계의 가공프로그램 입출력 기능, 각종 파일 입출력(파라메타,공구옵셋,피치에러) 기능, 파일 확장자 지정 기능, 전송시간 딜레이 설정 기능, 복수파일 동시전송 기능, 파일내의 지정위치부터 전송하는 중도시작 기능, 특정파일을 순서대로 전송하는 스케쥴 기능, RS-232C 라인 모니터링 기능, 파일내용 미리보기 기능, USB 메모리를 이용한 DNC가공기능, 컴퓨터와 DNC프로그램이 없이 전송 기능, 컴퓨터 누전에 의한 장비고장방지 기능, CNC장비의 부족한 메모리 대체 기능, 표준 RS-232C인터페이스 기능, 화낙 핸디파일과 100%호환 기능, 수신 시 파일명 자동인식기능, 및 파일 일괄 수신 시 분리저장기능을 갖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관리장치에 구비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반 과정을 설명한다.
CNC장비와 관리장치를 통신케이블로 연결 후 전원 스위치를 켜면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부팅화면이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
메모리를 외부 접속메모리 즉, USB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메모리가 접속되어있지 않거나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메인화면에서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 다.
메모리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인메뉴가 표시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메뉴에는 파일전송(Send File), 파일수신(Receive File), 파일보기(View File), 파일관리(File Command), 스캐쥴관리(Schedule Send), 환경설정(Setup Device) 메뉴가 있으며, 키보드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이러한 메뉴 중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파일전손 메뮤를 이용한 파일 전송 방법은, 메인메뉴 상에서 방향키를 조작하여 커서를 1.Send File로 이동하고 ENT키를 누른다.
파일전송메뉴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에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내의 파일리스트가 출력되고, 출력되는 파일의 종류(확장자)는 설정항목에서 조작자가 원하는 문자열로 확장자를 지정할 수 있으며, 기본값은 "NC"이다. 이때, 확장자가 DIR인 파일은 디렉토리를 의미하며, 확장자 설정값에 관계없이 항상 표시되고, 변경을 원하는 디렉토리로 커서를 이동 후 ENT키를 누르면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렉토리내부의 파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도 6b의 ‥에 커서를 이동시킨 후, ENT키를 누르면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하나의 파일만 전송할 때는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로 커서를 이동후 ENT키를 누른다.
여러개의 파일을 연속으로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하는 파일로 커서를 이동 후 우향키를 누르면 도 6d에 도시한바와 같이 확장자 뒤에 + 표시가 표시되어 해당 파일이 선택된 것을 알수 있고, 우향키를 한번 더 누르면 +표시가 사라지며 파일 선택이 취소된다.
현재 디렉토리 내에 표시되는 모든 파일을 선택 할 경우에는 좌향키를 누르면 모두 선택되고, 좌향키는 한번 더 누르면 +표시가 모두 사라지며 파일 선택이 취소된다.
파일의 전송은 파일 선택 후, ENT키를 누르면 파일 전송 대기상태가 되고, 각종 정보를 보여준다. CNC장비에서 파일입력 동작 또는 DNC모드가 작동될 때, 사이클 스타트를 실행한다.
파일의 전송이 시작되면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전송상황이 디스플레이 되면서 파일 전송이 진행되고, 전송 도중 전송을 중지하고자 할 때에는 ESC키를 누르면 전송이 중지된다. 파일전송 초기에는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취소(SEND STOP : ESC) 및 강제전송(FORCE START : UP)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CNC장비에서 입력조작을 했지만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강제전송(FORCE START : UP) 키를 이용하여 강제로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파일 전송 메뉴 중에는 파일의 중간부터 보내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는 도 5에 도시한 메인메뉴에서 파일전송(Send File)를 선택한 상태에서, 좌향키를 누른 상태에서 ENT키를 누르면, 도 7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메뉴가 표시된다.
보조메뉴에서 MIDDLE를 선택하고 ENT키를 누르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할 파일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한 파일의 내용이 보여지며, 전송을 시작할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의 전송할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 ENT키를 누르면,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보조메뉴가 표시되고, 보조메뉴에서 GO SEND를 선택한 후 ENT키를 누르면 전송이 시작되고,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송취소(SEND STOP : ESC) 및 강제전송(FORCE START : UP)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CNC장비에서 입력조작을 했지만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강제전송(FORCE START : UP) 키를 이용하여 강제로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파일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ESC키를 눌러 전송을 중지하면 현재까지 전송 중이던 위치에서 Mid Offset값을 뺀 위치를 중간시작위치로 인식한다. Mid Offset값은 환경설정(Setup Device)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다. Mid Offset값은 CNC장비의 사양에 따라 다르게 설정해야하며 기본값은 3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파일 전송 메뉴에는 파일의 중간을 건너뛰고 전송할 수 있는 메뉴도 포함하고 있다.
즉, 메인메뉴에서 파일전송(Send File) 메뉴를 선택한 후, 좌향키를 누른 상태에서 ENT키를 누르면 도 7ㅁdp 도시한 바와 같은 서브메뉴가 표시되고, 이 서브메뉴 중에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CUT BLOCK 메뉴를 선택하면 파일의 중간을 건너뛰고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UT BLOCK 메뉴를 선택하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목록이 표시되고, 커서를 전송할 파일로 커서를 이동 후 ENT키를 누르면,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파일의 내용이 표시된다.
이때 라인의 선두에 #, ≫, ≪로 된 세 가지 코드가 표시되며, 이들 각각의 의미는 ≫는: 전송하지 않을 구간(커팅블록)의 시작, ≪는 커팅블록의 끝, #은 위의 두 구간이 겹쳐짐을 의미한다.
위의 코드에 커서를 이동시킨 후 ENT키를 누르면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보조메뉴가 표시되며, 방향키를 이용하여 보조메뉴를 이동한다.
보조메뉴는 특정문자열을 찾아 이동하는 FIND TEXT, 파일의 마지막으로 이동하는 GO BOTTOM, 파일의 처음으로 이동하는 GO TOP, 보조메뉴를 닫고 전송대기 상태로 이동하는 EXIT, 커팅블록의 시작 위치로 이동하는 GO CUT-S, 커팅블록의 끝 위치로 이동하는 GO CUT-E, 커팅블록의 시작 위치를 설정하는 SET CUT-S 및 커팅블록의 끝 위치를 설정하는 SET CUT-E가 있다.
커팅블록의 시작위치를 설정하기위해 SET CUT-S메뉴로 이동 후 ENT키를 누르면,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 중간부위에 반각으로 S(Start기호)가 표시되어 설정모드 중임을 나타낸다.
도 8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팅블록의 시작위치로 커서를 이동하여 ENT키를 누르면, 반각 S자가 사라지며 설정이 완료되고, 도 8g와 같이 커팅블록 시작위치 설정 시 커팅블록 끝 위치가 시작위치보다 앞쪽에 위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시작위치와 같은 위치로 설정 변경된다.
같은 방법으로 이번에는 커팅블록의 끝 위치를 설정하기위해 보조메뉴에서 SET CUT-E 메뉴를 선택하면, 도 8h와 같이 하단 중간부위에 반각으로 E(End기호)가 표시되면 설정모드 중임을 나타낸다.
커팅블록의 끝 위치로 커서를 이동하여 ENT키를 누르면, 반각E자가 사라지고 도 8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위치에 ≪기호가 표시되며 설정이 완료된다. 커팅블록 끝 위치설정 시 커팅블록 시작위치가 끝 위치 보다 뒤쪽에 위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끝 위치와 같은 위치로 설정 변경된다.
정상적으로 설정이 완료되면 도 8j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팅블록이 음영으로 표시되고, 음영으로 표시되는 부분은 내용이 전송되지 않으나, 파일에서 삭제되지는 않는다.
전송을 시작하기 위해 보조메뉴에서 GO SEND 메뉴를 선택하면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일 전송 대기상태로 되며 각종 정보를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블록의 끝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전송도중 ESC키를 눌러 전송을 중지하면 현재까지 전송 중이던 위치에서 Mid Offset값을 뺀 위치를 CUT-E(커팅블럭 끝)위치로 인식고, Mid Offset값은 환경설정(Setup Device)에서 설정할 수 있고, Mid Offset값은 CNC장비의 사양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나, 기본값은 30이다.
도 9는 커팅블록 조작의 일예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장치는 하나의 파일을 연속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파일을 연속하여 전송하는 방법은 메인메뉴에서 커서를 파일전송(Send File)로 이동하고, 좌향키를 누른 상태에서 ENT키를 누르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메뉴가 표시된다.
표시된 보조메뉴에서 CONTINUE 메뉴에서 ENT키를 누르면,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할 파일로 커서를 이동하고, 이 파일을 선택한 상태에서 ENT키를 누르면,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전송 대기 화면이 출력되고, CNC장비에서 파일입력 동작 또는 DNC모드 시 사이클 스타트를 실행한다.
전송이 완료되면 다시 파일 전송 대기상태로 되고, 이때 괄리장치에서는 어떤 조작도 하지 않고, CNC장비에서만 조작함으로써 같은 작업의 반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관리장치의 또 다른 기능으로는 파일명을 변경하여 파일받기가 있다.
파일명을 변경하여 파일받기 방법은 도 5의 메인메뉴에서 파일수신(Receive File)를 선택하면,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할 파일의 이름을 작성하기 위한 문자열 편집창이 나타나고, 화면의 일측에 설정된 문자열이 표시되며, 이문자열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파일명을 작성할 수 있다.
디렉토리를 변경하거나 현재 디렉토리내의 파일을 찾아 덮어쓰기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좌향키와 우향키를 동시에 누르면, 파일선택창이 나타나며 디렉토리 변경 또는 파일명 선택을 할 수 있다. 파일명 작성이 완료되어 ENT키를 누르면, 확장자를 작성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설정값의 확장자가 붙게 된다.
지정한 파일이 현재 디렉토리 내에 존재하고 있으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어쓸지의 여부를 묻는 대화창이 나타나고, 덮어쓰지 않고 다른 파일로 변경하려면 ESC키를 누르고, 덮어쓰려면 ENT키를 누른다.
도 11c와 같이 수신할 파일 정도가 표시되고, 파일을 받을 준비상태가 되며, CNC장비 측에서 파일 출력 조작을 실행하면, 관리장치의 메모리로 데이터가 입력되면서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의 양이 표시되며, 파일 수신이 완료되면 ESC키를 눌러 종료한다. 이때 ESC키를 누르지 않고 전원을 끄게 되면 받은 파일의 내용은 저장되지 않고 사라질 수 있다.
정상적으로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면 도 1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하여 저장된 내용이 자동으로 표시되고, 내용확인 후 ESC키를 누르면 메인메뉴로 복귀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장치는 CNC장비의 프로그램명과 동일한 파일명으로 파일받기기능을 갖추고 있다.
CNC장비의 프로그램명과 동일한 파일명으로 파일받기는 메인메뮤에서 파일수신(Receive File)메뉴를 선택함에 의해 이루어지고,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모리에 저장할 파일의 이름을 작성하기 위한 문자열 편집창이 나타나고, 디스플에이 창의 일측에 설정된 문자열이 나타나며 이 문자열 중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파일명을 작성할 수 있다.
파일명을 모두 지운 후 ENT키를 누르면,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명이 없는 상태에서 파일을 받을 준비상태가 되고, CNC장비 측에서 파일출력조작을 실행되면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파일명과 바이트수가 표시된다. 여러 개의 파일이 연속적으로 입력되어도 자동으로 파일명 변경 후 저장된다.
파일입력이 완료되면 ESC키를 눌러 종료하고, ESC키를 눌러 전원이 꺼져도 받은 파일의 내용이 지워지지 않게 한다.
상기 파일보기(View File)는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기능으로, 이 메뉴를 선택한 후, 전송할 파일로 커서를 이동 후 ENT키를 누르면,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한 파일의 내용을 보여준다. 상향키는 한 페이지 위로 이동하고, 하향키는 한 페이지 아래로 이동하며, 좌향키는 한 라인 위로 이동하고, 우향키는 한 라인 아래로 이동한다.
파일을 선택하고 ENT키를 누르면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메뉴가 나타난다. 보조메뉴에는 특정문자열을 찾아 이동하는 FIND TEXT, 파일의 마지막으로 이동하는 GO BOTTOM, 파일의 처음으로 이동하는 GO TOP 메뉴가 있다.
문자열 찾기를 위해 FIND TEXT를 선택하고, 좌향키를 누른 상태에서 ENT키를 누르면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의 문자열을 찾을 문자열로 자동 인식한다.
또한 도 13c에 도시한 비와 같이 문자열 작성을 위한 편집창이 나타나고, 창의 일측의 설정 문자열에서 원하는 문자열을 선택하여 입력한 후, ENT키를 누르면, 현재의 커서위치에서 아래쪽으로 문자열 찾기를 실행한다. 동일한 문자열이 더 이상 존재 하지 않을 때는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열을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 창이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은 메모리 내에 새 디렉토리 만들기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 내에 새 디렉토리 만들기 방법은 파일관리(File Command)를 선택함에 의해 도 14a와 같은 보조메뉴를 활성화시키고, 보조메뉴 중에서 MAKE DIR메뉴를 선택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MAKE DIR메뉴가 선택되면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렉토리 이름 작성을 위한 창이 생기고, 창에 원하는 드렉토리 명을 입력한 후, 후 ENT키를 누르면 새 디렉토리가 만들어진다.
상기 파일관리(File Command) 메뉴는 메모리내의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기능도 갖는다.
파일관리(File Command)를 선택함에 의해 도 15a와 같은 보조메뉴를 활성화시키고, 보조메뉴 중에서 DELETE메뉴를 선택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리스트가 표시되면 삭제를 원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로 커서를 이동하고 우향키를 누르면,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삭제 여부를 확인하는 대화상자가 나타나고, 이때 취소를 원하면 ESC키를 누르고, 삭제를 원하면 ENT키를 누른다.
또한 상기 파일관리 메뉴에는 메모리 내의 파일의 이름바꾸기 기능이 있다.
파일의 이름바꾸기는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메뉴에서 RENAME 메뉴를 선택함에 의해 이루어지고, RENAME메뉴가 선택되면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면,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이름을 작성하기 위한 편집창이 나타나며, 새로운 이름을 작성후 ENT키를 누르면, 파일이름이 변경된다. 이때 확장자는 작성하지 않더라도 현재 설정된 확장자가 자동으로 붙는다.
파일명의 변경이 완료되면 도 1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파일명과 새로 변경할 파일명이 보여지며,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대화창이 표시되고, 내용이 맞으면 ENT키를 누르고, 취소를 원하면 ESC키를 누른다.
상기 스캐쥴관리(Schedule Send) 메뉴는 DNC가공하기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는 메뉴에서 스캐쥴관리(Schedule Send) 메뉴를 선탱함에 의해 이루어지고, 스캐쥴관리(Schedule Send) 메뉴가 선택되면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메뉴가 표시되고, 보조메뉴 중 SCHEDULE을 선택하면,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작성되어있는 스케쥴 리스트가 표시된다. 내용이 표시되며, 없으면 공백상태로 표시된다. 파일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추가하고 싶은 위치에 커서를 이동 후 우향키를 누른다.
파일리스트가 표시되면 추가하기를 원하는 파일로 이동 후 ENT키를 누르면,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이 추가되어 표시되고, 파일을 리스트 내에서 삭제하고 싶은 경우에는 삭제를 원하는 파일로 이동 후 좌향키를 누른다. 이때 이 파일은 리스트에서만 삭제되고 원본파일은 삭제되지 않는다.
리스트 편집이 완료되었으면 ENT키를 누른다. 이때 사용할 수 없는 파일이 있을 경우에는 FILE OPEN ERROR라는 메시지가 창에 표시되고,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전송대기 화면으로 전환되며, CNC장비에서 CYCLE START를 실행하여 가공을 시작한다.
상기 환경설정(Setup Device) 메뉴는 전송환경을 설정하는 메뉴로, 이를 선택하면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송환경 관련 보조메뉴가 표시된다. 전손환경 설정 보조메뉴에는 다양한 것이 있고, 그 예로는 전송속도를 설정하는 Baud Rate, Data bit를 설정하는 Data Bit, Parity bit를 설정하는 Parity Bit, Stop bit를 설정하는 Stop Bit, 및 일전송, 파일받기, 파일보기 시 파일 확장자를 지정하는 Extension 등이 있다. 이들은 좌향, 우향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 밖에 다양한 키로 설정할 수도 있다.
Extension 메뉴를 실행하는 방법은 설정된 키를 누르면,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자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표시되고, 리스트에 없는 확장자를 지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USER 항목에서 확장자를 임의대로 지정할 수 있다. 모든 확장자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에는 USER 항목의 내용을 비운상태에서 5번 항목을 선택한다.
또한 상기 환경설정 메뉴에는 1문자 전송 사이의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Send Delay 메뉴가 있고, 이는 본 발명의 관리장이에서 CNC장비로 파일 출력 시 처리속도가 느린 CNC장비에서 HAND SHAKE기능이 제대로 설정되어있지 않거나 동작불능상태에서는 OVER FLOW, BUFFER OVERUN등의 ALARM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문자와 문자 전송시간에 DELAY시간을 주어 원활한 전송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Bianry Mode 메뉴를 갖추고 있다. 이 Bianry Mode가 OFF된 경우에는 일반적인 문자(a~Z,0~9등)만 인식하여 입출력한다. 그러나 장비의 시스템파일등 반드시 바이너리 코드로 전송을 해야 하는 파일들의 경우에는 이 모드를 ON한 후 파일을 전송해야 한다.
또한. % Auto Send 메뉴를 갖추고 있으며, 이 모드는 일반적인 CNC가공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파일의 시작과 끝을 지시하는 코드(%)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 코드가 정상적으로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파일 입출력 시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구형 CNC장비에서 RS-232C로 데이터 출력 시 Null Code(0x00)가 대략 100개 이상 출력되므로 이 FeedHole을 무시할 수 있도록 LabelSkip 메뉴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Label Skip이 일반적으로 파일의 시작을 지시하는 % Code이다. CNC장비 -> 관리장치로 파일전송 시 LSK Enable이 ON되어 있으면 LabelSkip코드가 나오기 전의 모든 코드는 무시된다.
도 18c에는 LSK Enable OFF 후 수신된 파일의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Name Head은 파일 수신시 Auto Name 기능 Off상태에서는 저장할 파일명을 지정해 주어야 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파일명의 선두를 미리 등록하고, 파일명 입력 시 자동으로 파일명의 선두를 부여해 주는 기능이다. Auto Name기능이 ON된 상태에서 Name Head의 첫머리 문자로 시작하는 문자열을 프로그램 명으로 인식하게 된다.
Space Skip은 파일내부의 공백코드를 자동으로 제거하여 전체적인 파일의 크기를 줄여는 기능을 한다.
Start Code는 파일내용을 전송하기 전에 설정된 코드(Hex 값)을 전송하고, End Code는 파일내용을 전송한 후에 설정된 코드(Hex 값)을 전송하며, SLine Skip은 라인과 라인 사이의 공백 라인을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전체적인 파일크기를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 Add CRLF는 자동 % 코드 전송기능이 ON된 상태에서 %코드 전송 후 개행문자(0x0d,0x0a)를 출력할지 여부를 설정하며, SName Edit는 본 발명의 관리장치에서 CNC장비로 파일을 전송 할때, 전송할 파일명을 직접 기입하는 기능을 한다. 관리장치에서는 내부에 표시 가능한 파일개수가 100개로 제한되어 있어, 하나의 디렉토리에 파일이 100개 이상 있을 경우 이를 선택하고 출력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직접 파일명을 입력하여 파일을 전송 할 수 있다.
Mid Offset는 관리장치에서 장비로 파일전송도중 ESC키를 눌러 전송을 중지할 경우 현재 중지된 라인에서 얼마 이전의 라인을 중도시작위치로 지정할 지를 설정하고, CTS Enable은 관리장치에서 CNC장비로 파일을 전송할 때 핸드쉐이크 방식은 XON/XOFF, RTS/CTS의 두 가지를 동시에 병행하고 있으므로, CTS신호가 HIGH LEVEL이고 XON코드가 입력되어진 경우에만 전송이 진행되나, CNC장비의 CTS신호가 정상동작하지 않거나 하드웨어 적으로 연결되어있지 않은 경우, CTS신호를 인식하지 않더라도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CNC장비측에서 파일입력조작을 실행하였는데도 관리장치의 CT LAMP가 적색으로 바뀌지 않는 경우 이기능을 OFF하여 사용할 수 있다.
MSend Mode는 메인메뉴에서 파일전송(Send File)을 선택할 경우, 보조메뉴를 나타낼지 여부를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스케쥴 전송이나 커팅블록, 중간전송, 연속전송 등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설정을 OFF하여 불필요한 조작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 설정이 OFF되어있는 경우라도 파일전송(Send File)모드에서 좌향키를 누른 상태에서 ENT키를 누르면 일시적으로 전송보조메뉴를 호출 할 수 있다.
10: 메모리 20: 통신포트
30: 디스플레이 40: 모니터램프
50: 키보드 60: 마이컴
70: USB포트

Claims (5)

  1. CNC장비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각종 파라메타를 포함하는 가공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휴대 가능한 장치로,
    가공프로그램과 파라미터값이 저장된 메모리(10);
    CNC장비와 가공프로그램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포트(20);
    저장 및 전송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0);
    관리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출력 중일 때 관리장치의 온/오프 상태 및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출력작동표시램프(Tx)와, CNC장비로 데이터가 출력 중일 때 공작기계의 통신포트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수신통신표시램프(Rx)와, 관리장치가 데이터를 송신 중일 때 관리장치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송신작동표시램프(Rt)와, CNC장비가 데이터를 전송 중일 때 CNC장비의 통신포트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수신통신표시램프(Ct))를 포함하는 모니터램프(40);
    메뉴선택, 디렉토리 이동 및 입출력 조작 기능을 갖는 키보드(50); 및
    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작동표시램프(Tx)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한 쌍을 이루고, 관리장치가 공작기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정상적으로 대기상태일 때에는 녹색등만 점등되고, 관리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적색등만 점등되며, 관리장치로부터 공작기계로 장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될 때에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점등되며,
    상기 수신통신표시램프(Rx)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한 쌍을 이루고, 통신포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대기상태일 때에는 녹색등만 점등되고, 공작기계의 통신포트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적색등만 점등되며, 공작기계로부터 관리기계로 장상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될 때에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점등되며,
    상기 송신작동표시램프(Rt)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한 쌍을 이루고, 관리장치가 공작기계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정상적으로 대기상태일 때에는 녹색등만 점등되고, 관리장치가 공작기계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거나 수신 대기 상태일 때에는 적색등만 점등되며, 관리장치가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점등되며,
    상기 수신통신표시램프(Rx)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한 쌍을 이루고, CNC장비의 통신포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대기상태일 때에는 녹색등만 점등되고, CNC장비가 파일을 전송중이거나 수신대기 중 일 때에는 적색등만 점등되며, 공작기계의 통신포트에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녹색등과 적색등이 모두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터치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장치의 배면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CNC장비의 금속 프레임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장치에는 메모리를 추가로 탈착시킬 수 있는 USB포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

KR1020160094255A 2016-07-25 2016-07-25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 KR20180011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55A KR20180011634A (ko) 2016-07-25 2016-07-25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55A KR20180011634A (ko) 2016-07-25 2016-07-25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34A true KR20180011634A (ko) 2018-02-02

Family

ID=6122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55A KR20180011634A (ko) 2016-07-25 2016-07-25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6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0889B1 (en) Method for determining bending order in a machine tool
EP1189123B1 (en) Automatic programming and simulation apparatus
US10698872B2 (en) Data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ncoded with a program for managing collection of data of plurality of machines
JP6351738B2 (ja) 工作機械の制御装置
WO2012102472A1 (ko)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기계에서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가공 형상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30135331A1 (en) Project-data creating device and programmable display device
CN104007958A (zh) 用于创建和处理用于工业自动化装置的程序的程序编辑器和方法
US10386814B2 (en) Machining status display apparatus, and NC program generating apparatus and NC program edi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10635084B2 (en) Numerical control system coordinating with tool catalog database
CN105291118A (zh) 具备所比较的设定数据的差异反映功能的机器人控制装置
EP0511395A1 (en) Conversational type numerical control equipment
US20160314108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 ladder-logic program
WO2022009764A1 (ja) 設定コード生成装置、産業機械、設定コード生成方法及び設定コード生成プログラム
CN111610754A (zh) 画面制作装置和画面制作系统
JP6638979B2 (ja) 加工工程管理機能付き数値制御装置および加工工程管理プログラム
JPH11296217A (ja) Nc装置におけるプログラムファイルの転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80011634A (ko) Cnc장비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관리장치
JPH08328829A (ja) パラメータ変更履歴管理システム
KR101875391B1 (ko) Cnc 가공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JP2018014441A (ja) 最適化判定支援システム
KR102625973B1 (ko) 그래픽 이미지 방식의 공작기계 팔레트 모니터 장치 및 그 표시방법
WO2022107822A9 (ja) 制御装置
JP2533370B2 (ja) 制御プログラム作成方法
US20230176543A1 (en) Computer numerical control (cnc) machine and method for using
US20230143968A1 (en)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