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339A - 대역 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이용한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 Google Patents

대역 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이용한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339A
KR20180011339A KR1020187001756A KR20187001756A KR20180011339A KR 20180011339 A KR20180011339 A KR 20180011339A KR 1020187001756 A KR1020187001756 A KR 1020187001756A KR 20187001756 A KR20187001756 A KR 20187001756A KR 20180011339 A KR20180011339 A KR 20180011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application
application data
register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056B1 (ko
Inventor
파르타사라티 크리쉬나모르티
프라샨트 모한
크리쉬나쿠마르 바산타세난
게오르기오스 치르치스
스루지트 레디 카탐레디
라지 다니엘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1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68Specific access rights for resources, e.g. using capability regis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8Discovery involving direct consultation or announcement among potential requesting and potential source peers
    • H04L67/107Discovery involving direct consultation or announcement among potential requesting and potential source peers with limitation or expansion of the discovery sco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72Discovery involving ranked list compilation of candidate peers
    • H04W76/02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피어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에 대역 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통신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어카운트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디바이스는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사용자 인증서들, 및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로컬 고유 표현을 생성할 수도 있다.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및 사용자 인증서들에 매칭하는 부근에서의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외부 고유 표현들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 중에서, 로컬 고유 표현과 연관된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의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갖는 외부 고유 표현과 연관된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어카운트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대역 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이용한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통신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피어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에 대역 외 D2D 통신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특히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를 포함한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전개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다중 사용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가용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공유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 은, 제 1 세대 아날로그 무선 폰 서비스 (1G), 제 2 세대 (2G) 디지털 무선 폰 서비스 (중간의 2.5G 및 2.75G 네트워크들을 포함) 및 제 3 세대 (3G) 및 제 4 세대 (4G) 고속 데이터/인터넷-가능 무선 서비스들을 포함한, 다양한 세대들을 통해 전개되고 있다. 현재, 셀룰러 및 개인용 통신 서비스 (PCS) 시스템들을 포함한, 많은 상이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사용 중이다. 예시의 셀룰러 시스템들은 셀룰러 아날로그 어드밴스드 모바일 폰 시스템 (AMP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AM),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직교 FDMA (OFDMA), 단일 캐리어 FDMA (SC-FDMA), 모바일 액세스를 위한 글로벌 시스템 (GSM) TDMA 변형에 기초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 및 TDMA 및 CDMA 기술들을 사용하는 최신 하이브리드 디지털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롱텀 에볼루션 (LTE) 이 모바일 폰들 및 다른 데이터 단말기들에 대한 고속 데이터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서 개발되고 있다. LTE 는 GSM 에 기초하며, 다양한 GSM 관련 프로토콜들 (예를 들어, GSM 에볼루션을 위한 강화된 데이터 레이트들 (EDGE)) 및 유니버셜 모바일 텔레통신 시스템 (UMTS) 프로토콜들 (예를 들어, 고속 패킷 액세스 (HSPA)) 로부터의 기여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해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기지국들 (또한 진화형 노드 B들, eNB들, 또는 액세스 노드들로서 지칭됨) 을 포함할 수도 있다. WAN 에서, UE 는 통상적으로 UE 와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다운링크 채널들을 통해 통신함으로써 기지국과 통신한다. 하지만, 2 이상의 UE들이 서로 충분한 근접도 내에 있는 경우, UE들은 직접, 즉 임의의 기지국을 통해 통신하지 않으면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UE 는 하나 이상의 다른 UE들과 피어-대-피어 (peer-to-peer; P2P) 또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TE 다이렉트 (LTE-D, 때때로 "LTE-어드밴스드" 로서 또한 지칭됨) 는 근접 발견을 위한 제안된 3GPP (릴리스 12) D2D 솔루션이다. LTE-D 는 큰 범위 (~500m, 시선) 내에서 다른 LTE-D 디바이스들 상의 서비스들에 대해 직접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위치 추적 및 네트워크 호출들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다른 이점들 중에서, LTE-D 는 동기 시스템에서 다른 LTE-D 디바이스들 상의 서비스들에 대해 직접 모니터링하고 동시에 연속적이며 배터리 효율적인 방식으로 근접한 많은 서비스들을 검출할 수 있다.
LTE-D 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서비스로서 허가 스펙트럼 (licensed spectrum) 상에서 동작하고 서비스 계층 발견을 가능하게 하는 D2D 솔루션을 제공한다. LTE-D 디바이스들 상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은 다른 디바이스들 상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그 자신의 서비스들을 다른 LTE-D 디바이스들 상의 서비스들에 의한 검출을 위해 물리 계층에 공지하도록 명령할 수 있으며, 이는 모니터에 대한 매치가 검출될 때 LTE-D 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그 작업을 행하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통지하는 동안 애플리케이션들이 폐쇄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LTE-D 는 그 기존 서비스들을 확장하도록 근접 발견 솔루션들을 전개하는 것을 추구하는 모바일 개발자들에게 매력적인 대안이다. 예를 들어, LTE-D 는 분산된 발견 솔루션 (현재 존재하는 중앙집중화된 발견과 대조적) 이며, 이에 의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이 관련성 매치들을 식별하는데 있어서 상술한 중앙집중화된 데이터베이스 프로세싱을 앞설 수 있는데, 이는 관련 속성들에 대한 송신 및 모니터링을 통해 디바이스 레벨에서 관련성이 대신 자체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LTE-D 는 근접도를 결정하기 위해 LTE-D 가 끊임없이 위치를 추적하지 않기 때문에 부가적인 전력 소비 이익을 제공을 제공하며, 사용자들이 외부 디바이스들과 공유된 정보를 통해 많은 제어를 갖도록 디바이스 상에서 발견이 유지될 수도 있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이익들을 제공한다.
더욱이, LTE-D 는 디바이스들이 셀룰러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를 활용하지 않으면서 셀룰러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직접 통신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LTE-D 는 허가 셀룰러 스펙트럼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허가 대역들에서의 D2D 통신과 달리) 셀룰러 커버리지가 확장될 수 있고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간섭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LTE-D 는 충분한 근접도 내에 있는 LTE-D 가능형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상당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이렉트 접속들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로부터의 트래픽을 오프로딩한다. 게다가, 높은 데이터 전송 레이트들을 허용하는 것에 부가하여, LTE-D 는 LTE-D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UE들에서 낮은 지연들 및 낮은 에너지 소비를 제공한다. 또한, LTE-D 는 국가 보안 및 공중 안전 네트워크들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는데, 이는 LTE 가 위기 상황들에서 긴급 인원 간 실시간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공하고 LTE 인프라스트럭처가 (예를 들어, 지진, 허리케인, 테러리스트 공격 등과 같은 재난 시나리오들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인에이블될 수도 있는 이벤트에서 D2D 기능성이 LTE 기반 공중 안전 네트워크들에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히 새로운 서비스들을 가능하게 하고, 기존 서비스들을 개선하고, 간섭을 제거 및/또는 감소시키고, 및/또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들 상의 트래픽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D2D 통신을 충분히 지원하는 기법들이 요망된다.
다음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관한 간략화된 개요를 제시한다. 이로써, 다음의 개요는 모든 고려된 양태들에 관한 광범위한 개관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하고, 또한 모든 고려된 양태들에 관한 핵심적인 또는 중요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기 위해 또는 임의의 특정 양태와 연관된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개요는 단지 하기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앞서 간략화된 형태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관한 소정의 개념들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만을 갖는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애플리케이션 동기화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D2D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에서,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 (credentials), 및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로컬 고유 표현 (local unique expression) 을 생성하는 단계, 제 1 디바이스에서, 제 1 디바이스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고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에 매칭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고유 표현들 (external unique expressions) 을 검출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 중에서, 로컬 고유 표현과 연관된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의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외부 고유 표현과 연관된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는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업데이트를 요청 시에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을 시작하고, 그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이 만료되지 않은 동안 D2D 접속을 통해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며,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이 만료된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이 방법은 선택적으로,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로컬 고유 표현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 중에서의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2D 접속을 통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로컬 고유 표현에서의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은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외부 고유 표현에서의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인,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D2D 접속을 통해 제 2 디바이스에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 및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로컬 고유 표현을 브로드캐스트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무선 디바이스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피어 무선 디바이스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외부 고유 표현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에 매칭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고유 표현들을 검출하고, 하나 이상의 피어 무선 디바이스들 중에서, 로컬 고유 표현과 연관된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의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외부 고유 표현과 연관된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식별하며, 그리고,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업데이트를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장치는,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 및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로컬 고유 표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장치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고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에 매칭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고유 표현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 중에서, 로컬 고유 표현과 연관된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의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외부 고유 표현과 연관된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업데이트를 요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을 그 위에 기록할 수도 있고, 이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은,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 및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로컬 고유 표현을 생성하게 하고,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및 사용자 인증서들에 매칭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외부 고유 표현들을 검출하게 하며,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 중에서, 로컬 고유 표현과 연관된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의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외부 고유 표현과 연관된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식별하게 하고, 그리고,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업데이트를 요청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태들과 연관된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에 기초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이하, '통상의 기술자' 라 함) 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개시의 양태들의 보다 완전한 이해 및 그 많은 수반된 이점들은, 본 개시의 제한이 아닌 예시를 위해서만 제시된 첨부 도면들과 연계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더 잘 이해됨과 동시에 쉽게 획득될 것이다.
도 1 은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통신을 지원하는 일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2 는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D2D 통신을 지원하는 일 예시적인 액세스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3 은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LTE 에서의 일 예시적인 다운링크 (DL)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4 는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LTE 에서의 일 예시적인 업링크 (UL)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5 는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일 예시적인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6 은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일 예시적인 진화형 노드 B (eNB) 및 사용자 장비 (UE) 를 나타낸다.
도 7 은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2 개의 무선 디바이스들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기 위해 대역 외 D2D 접속을 확립하고 그것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는 일 예시적인 무선 환경을 나타낸다.
도 8 은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들이 피어 무선 디바이스와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하고 발견할 수도 있는 일 예시적인 표현을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 는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가 피어 무선 디바이스와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수행할 수도 있는 일 예시적인 동기 프로시저 (procedure) 를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 는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가 피어 무선 디바이스와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수행할 수도 있는 일 예시적인 동기 프로시저를 나타낸다.
도 11 은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대역 외 D2D 통신을 이용한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를 지원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UE 들을 나타낸다.
도 12 는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대역 외 D2D 통신을 이용한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를 지원할 수도 있는 일 예시적인 장치에서의 상이한 모듈들, 수단들, 및/또는 컴포넌트들 사이의 일 예시적인 개념적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도 13 은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대역 외 D2D 통신을 이용한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를 지원할 수도 있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일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현을 나타낸다.
다양한 양태들이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관한 특정 예들을 보여주는 다음의 기재 및 관련된 도면들에서 개시된다. 대안의 실시형태들이 이 개시물을 읽을 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고, 개시물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축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잘 알려진 엘리먼트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 및 양태들의 관련 상세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하게 기재되지 않을 것이고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단어 "예시적인" 은 본 명세서에서 "일 예, 예증, 또는 예시로서 작용하는" 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예시적인" 으로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형태가 다른 실시형태들보다 선호되거나 이로운 것으로 반드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용어 "실시형태들" 은 모든 실시형태들이 동작의 논의된 피처, 이점 또는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문용어는 특정 실시형태들만을 기술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형태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 "a", "an", 및 "the" 는, 문맥상 달리 명확히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용어들 "포함하다", "포함하는", "포함시키다", 및/또는 "포함시키는" 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특성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성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그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많은 양태들이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액션들의 시퀀스들에 관하여 기재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액션들은 특정 회로들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들)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액션들의 이들 시퀀스는 실행 시에 연관된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게 할 대응하는 컴퓨터 명령들의 셋트가 저장된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서 완전히 구현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 모두는 청구된 청구물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들 각각에 있어서, 임의의 이러한 실시형태들의 대응 형태는, 예를 들어 설명된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 으로서 본 명세서에 기재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법들은 CDMA, TDMA, FDMA, OFDMA, 및 SC-FDMA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셀룰러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들 "시스템" 및 "네트워크" 는 종종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유니버설 지상 무선 액세스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는 광대역 CDMA (WCDMA) 및 CDMA 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 은 IS-2000 표준, IS-95 표준, 및 IS-856 표준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GSM) 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시스템은 진화형 UTRA (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 (UMB),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AT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및 E-UTRA 는 유니버셜 모바일 텔레통신 시스템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의 일부이다. 3GPP 롱텀 에볼루션 (LTE) 은, 다운링크 상에서 OFDMA 를 그리고 업링크 상에서 SC-FDMA 를 활용하는 E-UTRA 를 사용하는 UMTS 의 릴리스이며,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 로 명명된 기관으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재된다. CDMA2000 및 UMB 는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 (3GPP2)" 로 명명된 기관으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재된다. 명료함을 위해, 소정의 양태들이 LTE 에 대해 하기에 기재되며, 하기의 기재에서는 대체로 LTE 용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도 1 은 대역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 (100) 를 도시하며,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 (100) 는 롱텀 에볼루션 (LTE)(또는 진화형 패킷 시스템 (EPS)) 네트워크 아키텍처 (10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네트워크 아키텍처 (100) 는 제 1 사용자 장비 (UE1)(102), 제 2 사용자 장비 (UE2)(104), 진화형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E-UTRAN)(110), 진화형 패킷 코어 (EPC)(120), 홈 가입자 서버 (HSS)(135), 및 오퍼레이터 (예를 들어,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MNO)) 와 연관된 인터넷 프로토콜 (IP) 서비스들 (140) 을 포함한다. EPS 네트워크 아키텍처 (100) 는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들 및 코어 네트워크들 (미도시), 예컨대 UMTS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IP 코어 네트워크와 상호접속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EPS 네트워크 아키텍처 (100) 는 패킷 교환형 서비스들을 제공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들이 회로 교환형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들로 확장될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E-UTRAN (110) 은 UE1 (102) 과 통신하는 제 1 진화형 노드 B (eNB1) (112) 및 UE2 (104) 와 통신하는 제 2 eNB (eNB2) (11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eNB 들 (112, 114) 은 UE들 (102, 104) 쪽으로 사용자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들을 제공할 수도 있고 백홀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 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도 있다. eNB 들 (112, 114) 은 또한, 기지국들, 노드 B 들, 액세스 포인트들, 기지국 트랜시버들, 무선 기지국들, 무선 트랜시버들, 트랜시버 기능부들, 기본 서비스 셋트 (BSS), 확장된 서비스 셋트 (ESS), 또는 몇몇 다른 적합한 전문용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eNB 들 (112, 114) 은 각각, 각각의 UE들 (102, 104) 에 대해 EPC (120) 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한다. 예시의 UE들 (102, 104) 은,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 (SIP) 폰, 랩톱,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태블릿,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제한 없이 포함한다. 더욱이, 통상의 기술자는 UE1 (102) 및/또는 UE2 (104) 가 또한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 무선 단말기, 원격 단말기,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eNB 들 (112, 114) 은 각각, Si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 (120) 에 접속할 수도 있고, EPC (120) 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MME)(122), 다른 MME들 (124), 서빙 게이트웨이 (126),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 게이트웨이 (130),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센터 (BM-SC)(132),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PDN) 게이트웨이 (12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MME (112) 는 UE들 (102, 104) 와 EPC (120) 간의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할 수도 있는 제어 노드이다. 일반적으로, MME (122) 는 베어러 및 접속 관리를 제공하는 한편, 모든 사용자 IP 패킷들은 서빙 게이트웨이 (126) 를 통해 전송되며, 이는 PDN 게이트웨이 (128) 에 접속될 수도 있다. PDN 게이트웨이 (128) 는 UE IP 어드레스 할당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PDN 게이트웨이 (128) 는 오퍼레이터 IP 서비스들 (140) 에 접속되며, 이는 인터넷, 인트라넷,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및 PS 스트리밍 서비스 (PSS), 및/또는 다른 적합한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BM-SC (132) 는 MBMS 사용자 서비스 프로비저닝 및 전달을 위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고, 콘텐츠 제공자 MBMS 송신에 대한 진입 포인트 (entry point) 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BM-SC (132) 는 PLMN 내에서 MBMS 베어러 서비스들을 승인 및 개시하고, MBMS 송신물들을 스케줄링 및 전달하고, 및/또는 다른 유사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MBMS 게이트웨이 (130) 는 특정 서비스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MBSFN) 영역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eNB들 (예를 들어, eNB들 (112, 114)) 에 MBMS 트래픽을 분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세션 관리 (시작/중단) 및 eMBMS 관련된 차징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UE 페어 (pair) (예를 들어, UE1 (102) 및 UE2 (104)) 는 각각의 eNB1 (112) 및 eNB2 (114) 를 이용함이 없이 직접 통신하기 위해 대역 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접속을 확립하고 후속하여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에서의 하나 이상의 엔티티들 (예를 들어, eNB들 (112, 114), EPC (120) 에서의 엔티티들 등) 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대역 외 D2D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보조하고, 레거시 모드와 대조적으로 D2D 모드에서의 사용을 제어하고, 보안 지원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UE 페어 (102, 104) 사이의 대역 외 D2D 통신을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대역 외 D2D 접속 (out-of-band D2D connection)", "D2D 모드" 및/또는 이들의 다른 변형들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기지국을 통과하지 않는 2 이상의 UE들 (102, 104) 사이의 다이렉트 통신을 지칭할 수도 있고, 용어 "레거시 접속 (legacy connection)", "레거시 모드", 및/또는 이들의 변형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한 (예를 들어, eNB들 (112, 114) 을 통한) 통신을 지칭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UE 페어 (102, 104) 는 대역 외 D2D 접속을 자율적으로 확립할 수도 있고, 여기서, 대역 외 D2D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초기 발견은 UE들 (102, 104) 사이에서 직접 신호들을 통신하는 능력에 기초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D2D 모드를 지원하지 않지만 D2D 모드를 허용하는 네트워크에 어태치되는 UE들, UE들 (102, 104) 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고 서빙 셀 및 위치 정보를 교환하여 D2D 모드가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단 D2D 모드가 진행 중이면, UE들 (102, 104) 은 그와 연관된 상대적 위치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게다가, 3 이상의 UE들을 포함하는 그룹이 D2D 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그룹에서의 일부 또는 모든 UE 페어들은 서로간 다이렉트 D2D 통신을 유지할 수도 있으며, 그룹에서의 일부 UE들은 그룹에서의 다른 UE들 사이의 D2D 통신을 릴레이하는 릴레이들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룹에서의 하나의 UE 는 그룹에서의 다른 UE(들)와의 다이렉트 D2D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릴레이 역할로 동작하도록 지정될 수도 있고 다른 UE(들)가 D2D 통신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릴레이 역할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릴레이 역할로 동작하는 UE 는 그룹에서의 다른 UE들 사이의 통신을 릴레이하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서로간 D2D 통신을 채용하는 몇몇 UE들을 포함하는 그룹은 그와 연관된 상대적 위치들을 모니터링하고 그와 연관된 현재의 상대적 위치들에 기초하여 그룹에서의 임의의 UE 에게 릴레이 역할을 할당 (및/또는 재할당) 할 수도 있다.
도 1 로 돌아가서, 다른 양태에서, 레거시 모드가 이용가능하지 않고 및/또는 불가능할 수도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혼잡하게 되거나 그 부분들이 일시적으로 실패했거나 양자의 UE들 (102, 104) 에 연속적인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는 D2D 모드에 진입하도록 2 이상의 UE들 (102, 104) 을 보조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네트워크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들) 는 D2D 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하고 D2D 모드와 레거시 모드 사이의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2 는 특정 디바이스들이 대역 외 다이렉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접속을 통해 (예컨대, LTE 다이렉트 (LTE-D), Wi-Fi 다이렉트 (WFD), 또는 다른 적합한 D2D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는 일 예시적인 액세스 네트워크 (200) 를 나타낸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 (200) 에서의 디바이스들은 또한 무선 광역 네트워크 (WWAN) 또는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에 접속할 수도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270) 는, 제 1 기지국 (232) 을 갖는 제 1 셀 (230) 에 그리고 제 2 기지국 (242) 을 갖는 제 2 셀 (240) 에 접속될 수도 있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270) 는 네트워크 링크 (220) (예컨대, Rx 링크, Gx 링크 등) 를 통해 제 1 기지국 (232) 및 제 2 기지국 (242) 에 추가로 커플링될 수도 있다. 주어진 기지국과 연관된 커버리지 영역은 주어진 기지국이 위치되는 셀을 통해 표현되고, 이에 의해, 도 2 에서, 제 1 셀 (230) 은 제 1 기지국 (232) 에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하고, 제 2 셀 (240) 은 제 2 기지국 (242) 에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200) 에서의 셀들 (230, 240) 은 각각의 기지국들 (232, 242) 과 통신하고 각각의 기지국들 (232, 242) 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270) 와 통신하는 여러 UE 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 에서, 제 1 셀 (230) 은 UE (234), UE (236), 및 UE (238) 를 포함하는 한편, 제 2 셀 (240) 은 UE (244), UE (246), 및 UE (248) 를 포함하며, 여기서, 액세스 네트워크 (200) 에서의 UE 들 중 하나 이상은 이동형 또는 정지형일 수도 있다. 비록 도 2 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지국들 (232, 242) 은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에 대해 접속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UE (234), UE (236), UE (238), UE (244), UE (246), 및 UE (248) 중 하나 이상은 다이렉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이러한 UE 들은 대역 외에서 직접적으로 (즉, 제 1 기지국 (232) 및 제 2 기지국 (242) 과 같은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엘리먼트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통신할 필요 없이) 서로와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UE 들은 추가적으로, 제 1 기지국 (232) 및/또는 제 2 기지국 (242) 과 같은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엘리먼트들을 통해 레거시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를 수반하는 레거시 통신에서, 신호들은 일반적으로, 제 1 셀 (230) 에서의 링크 (222) 및 제 2 셀 (240) 에서의 링크 (224) 를 포함할 수도 있는, 여러 UE 들 및 기지국들 (232, 242) 사이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접속들을 통해 송신 및 수신될 수도 있고, 여기서, 기지국들 (232, 242) 은 각각 대응하는 셀들 (230, 240) 에서의 UE 들에 대해 어태치 포인트로서 기능하고, 거기에서 서빙되는 UE 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UE (234) 및 UE (236) 와 같은 2 개 이상의 UE 들이 서로와 통신하기를 희망하고 서로 충분히 근접하게 위치되는 경우에, 다이렉트 D2D 링크가 그들 사이에서 확립될 수도 있고, 이는 UE 들 (234, 236) 을 서빙 (serving) 하는 기지국 (232) 으로부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고, UE 들 (234, 236) 이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하도록 허용하며, 또는, 통상의 기술자에 대해 자명할 다른 이점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UE (246) 는 링크 (224) 를 통해 중간 기지국 (242) 을 통해 UE (248) 와 통신할 수 있고, UE 들 (246, 248 은 추가적으로, D2D 링크 (256) 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참가하는 UE 들이 상이한 부근의 셀들에 있는 셀-간 통신을 위해, 다이렉트 D2D 통신 링크는 여전히 가능성이 있고, 이는 도 2 에서 도시되며, 여기서, UE (238) 및 UE (244) 는 점선 링크 (254) 에 의해 나타낸 다이렉트 D2D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특정 상황들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200) 에서의 2 개 이상의 UE 들은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쳐 동일한 사용자 명칭 및 인증서들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을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와 잠재적으로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동기화 알고리즘들 및 구현들 하에서, 동일한 사용자 명칭 및 인증서들을 가지고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은, 동일한 사용자 명칭 및 인증서들을 가지고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근접하여 위치된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서 이용가능할 수도 있는 최근의 동기화 데이터를 이용 또는 고려함이 없이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270) 와 동기화 프로시저를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이는 몇가지 이유들로 인해 비효율적인 접근법인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2 개의 UE 들 (예컨대, UE 페어 (234, 236), UE 페어 (238, 244), UE 페어 (246, 256) 등) 양자 모두가 동일한 사용자에 속하고, (예컨대, LTE-다이렉트, Wi-Fi 다이렉트 등을 통해) 다이렉트 D2D 통신을 지원하며, 동일한 사용자 인증서들로 애플리케이션 서버 (270) 내로 인스톨되고 로깅되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사용의 경우를 고려하자. UE 페어에서의 하나의 UE 가 UE 페어에서의 다른 UE 보다 더 최근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270) 와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행하였다고 추가적으로 가정하면, 다른 UE 가, 거기에 근접하여 위치한 다른 UE 상에서 이용가능한 보다 최근에 동기화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고려하기보다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270) 를 통해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데이터를 또한 동기화하는 경우에 비효율성들이 초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 (200) 가 셀룰러 네트워크 (예컨대, LTE 네트워크) 에 대응하고 UE (244) 가 UE (238) 보다 더 최근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270) 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한 상황에서, UE (238) 가 레거시 셀룰러 링크들 (222, 220) 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270) 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도록 셀룰러 리소스들을 이용하게 하는 것은 셀룰러 액세스 네트워크 (200) 에서의 리소스들을 불필요하게 소비할 수도 있고, 셀룰러 액세스 네트워크 (200) 에서의 부하에 따라 데이터 속도를 낮출 수도 있으며, 기지국 (232) 과의 루프를 닫도록 더 높은 전력에서 송신할 필요성 등으로 인해 UE (238) 에서의 더 높은 전력 소비를 초래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제 1 셀 (230) 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고 UE (234) 가 UE (236) 보다 더 최근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270) 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한 상황에서, UE (236) 가 레거시 Wi-Fi 링크들 (222, 220) 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270) 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Wi-Fi 네트워크 (230) 를 이용하게 하는 것은, 백홀 혼잡에 따라 더 높은 라운드-트립 타임 (RTT) 지연들, 더 낮은 데이터 속도들 등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문제점들은 레거시 링크들 (222, 224, 220) 보다는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는 것을 통해 경감될 수도 있고, 이는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행하는 UE 들에서의 퍼포먼스 (performance) 를 향상시키고,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 (200) 에서의 다른 사용자들로 하여금 기지국들 (232, 242) 로부터 더 많은 리소스 블록들이 할당되도록 허용하며, 이에 의해, 다른 이점들 중에서도, 높은 스루풋을 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레거시 통신 링크들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동기화하는 대신에 D2D 통신 링크를 통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및 동일한 사용자 인증서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을 UE 들이 근접하여 위치될 때 발생할 수도 있는 다양한 데이터 및 시그널링 문제들은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고, 도 3 및 도 4 는 각각, LTE 에서의 예시적인 다운링크 (DL) 프레임 구조 (300) 및 LTE 에서의 예시적인 업링크 (UL) 프레임 구조 (400) 를 나타낸다. 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이하의 설명은 본원에 제공된 논의를 단순히 하기 위해 LTE 의 맥락 내에서 상기 언급된 데이터 및 시그널링 문제들을 논의하고, 이에 의해, 동일 또는 유사한 문제들이 다른 D2D 무선 액세스 기술들 (예컨대,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ZigBee, NFC 등) 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적용가능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을 참조하면, LTE 에서의 DL 프레임 구조 (300) 는 10 밀리세컨드 (10ms) 프레임을 열 (10) 개의 동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들 (306) 로 분할할 수도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306) 은 두 (2) 개의 연속적인 타임 슬롯들 (308)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소스 그리드는 2 개의 타임 슬롯들을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고, 여기서, 각각의 타임 슬롯은 리소스 블록 (RB) (310) 을 포함한다. LTE 에서, 리소스 그리드는 다수의 리소스 엘리먼트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LTE 에서, RB (310) 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열둘 (12) 의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을, 그리고 각각의 OFDM 심볼에서의 정규 사이클릭 프리픽스에 대해, 시간 도메인에서 일곱 (7)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들을, 또는 팔십넷 (84) 의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에 대해, 리소스 블록은 시간 도메인에서 여섯 (6)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칠십둘 (72) 의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도 있다. 물리적 DL 제어 채널 (PDCCH), 물리적 DL 공유된 채널 (PD-SCH), 및 다른 채널들이 리소스 엘리먼트들에 대해 맵핑될 수도 있다. 또한, R (302, 304) 로서 표시된 바와 같이 몇몇 리소스 엘리먼트들은, 셀-특정적 참조 신호들 (CRS) (또한 때때로 공통 RS 라고도 불림) (302) 및 UE-특정적 참조 신호들 (UE-RS) (304) 을 포함할 수도 있는 DL 참조 신호들 (DL-RS) 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UE-RS (304) 는 오직 대응하는 PD-SCH 가 맵핑되는 리소스 블록 상에서만 송신될 수도 있다. 각각의 리소스 엘리먼트가 반송하는 비트들의 수는 변조 방식에 의존하여 변화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eNB 가 UE 에 대해 할당하는 RB 들이 더 많고 더 높은 변조 방식일 수록, UE 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는 더 높다.
LTE 다이렉트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대역 외 D2D 통신에 적용가능한, LTE 환경에서의 D2D 통신) 에서, D2D 통신 링크들은 분배된 스케줄링 메커니즘들의 대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잠재적인 D2D 페어에서의 각각의 디바이스가 대역 외 D2D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기를 시도하기 전에, 리퀘스트 투 센드 (request to send; RTS)/클리어 투 센드 (clear to send; CTS) 핸드쉐이크 시그널링 교환이 수행될 수도 있다. LTE 다이렉트 (LTE-D) 에서, RTS/CTS 시그널링을 위해 24 개의 RB 들이 이용가능할 수도 있다. 추가로, LTE-D 에서, RB 는 RTS 블록 (312) 으로서 할당될 수도 있고, 다른 RB 는 각각의 D2D 통신 링크에 대해 CTS 블록 (314) 으로서 할당될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각각의 D2D 통신 링크는 RTS/CTS 시그널링을 위해 RB 페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RB 페어는 접속 식별자 (CID) (316)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이제 도 4 를 참조하면, LTE 에서의 업링크 (UL) 프레임 구조 (400) 는 UL 상의 이용가능한 리소스 블록들을 데이터 섹션 및 제어 섹션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제어 섹션은 시스템 대역폭의 2 개의 에지들에서 형성될 수도 있고 구성가능한 사이즈를 가질 수도 있다. 제어 섹션에서의 리소스 블록들은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UE 들에 할당될 수도 있다. 데이터 섹션은 제어 섹션에 포함되지 않은 모든 리소스 블록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UL 프레임 구조는 데이터 섹션이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는 단일 UE 가 데이터 섹션에서의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의 모두에 할당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UE 는 제어 정보를 eNB 로 송신하기 위해 제어 섹션에서의 리소스 블록들 (410, 412) 을 할당받을 수도 있다. UE 는 또한 데이터를 eNB 로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섹션에서의 리소스 블록들 (420, 422) 을 할당받을 수도 있다. UE 는 제어 섹션에서의 할당된 리소스 블록들 상의 물리적 UL 제어 채널 (PUCCH) 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UE 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 양쪽 모두 또는 데이터만을 데이터 섹션에서의 할당된 리소스 블록들 상의 물리적 UL 공유 채널 (PUSCH) 에서 송신할 수도 있다. UL 송신물은 서브프레임의 슬롯들 양쪽 모두에 걸쳐 있을 수도 있고 주파수에 걸쳐 호핑될 수도 있다.
리소스 블록들의 셋트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 (PRACH) (430) 에서 초기 시스템 액세스를 수행하고 UL 동기화를 달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PRACH (430) 는 랜덤 시퀀스를 반송하고, 임의의 UL 데이터/시그널링을 반송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RACH 시퀀스는 아이들 모드에 있는 동안 UE 로부터의 ACK/NACK 정보의 통신을 위해 예약될 수도 있다. 각각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연속적인 여섯 개의 리소스 블록들에 대응하는 대역폭을 점유한다. 시작 주파수는 네트워크에 의해 특정될 수도 있다. 즉,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송신은 특정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로 제한된다. PRACH 에 대해 주파수 호핑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PRACH 시도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1ms) 에서 또는 연속적인 적은 수의 서브프레임들에서 반송될 수도 있고 UE 는 프레임 (10ms) 당 단일의 PRACH 시도만을 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2 개 이상의 UE 들이 각각, 특정 타겟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동일한 사용자 명칭 및 사용자 인증서들을 이용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동기화하는 상기 언급된 시나리오들의 상황에서, 각각의 UE 와 연관된 셀(들)에서의 eNB 는 타겟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레거시 셀룰러 통신 링크들을 사용하는 각각의 UE 들에 적어도 일부 리소스 블록들을 할당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그러면 각각의 셀(들)에서 다른 UE 들에 할당하기 위해 더 적은 리소스 블록들이 이용가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제 1 UE 가 타겟 애플리케이션 서버와의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행하여야 했고, 그 제 1 UE 에 충분히 근접한 제 2 UE 가 레거시 통신 링크들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보다는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제 1 UE 로부터 가장 최근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후속하여 획득하여야 했던 경우에, 제 2 UE 와 연관된 eNB 는 그것과 연관된 셀에서의 다른 UE 들에 보다 많은 리소스 블록들을 (즉, 더 이상 제 2 UE 와 타겟 애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할당될 필요가 없는 리소스 블록들로부터) 할당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한 면에서, 제 1 UE 와 제 2 UE 사이의 D2D 통신은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소정의 트래픽을 오프로딩할 수도 있고, 이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부하 및 백홀 혼잡을 감소시키고, 제 2 UE 와 연관된 셀에서의 다른 UE 들이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 및/또는 스루풋을 경험하도록 허용하며, 더 이상 eNB 와 루프를 닫기 위해 높은 전력을 송신할 필요가 없고 셀룰러 네트워크 등에서 존재할 수도 있는 임의의 부하 및 백홀 혼잡으로 인한 더 낮은 데이터 속도들로부터 잠재적으로 고통받을 필요가 없는 제 2 UE 에서의 퍼포먼스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5 는 eNB (504), SWG (526), 및 PDG 게이트웨이 (530) 를 통해 UE (502) 및 UE (532)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LTE 에서의 사용자 및 제어 평면들에 대한 예시저긴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쳐 (501) 를 나타낸다. 또한,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원에 기술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 및/또는 유사한 시그널링이 UE (532) (미도시) 를 지원하는 eNB, SWG, 및 PDN 게이트웨이 사이에 발생할 수도 있음을 여전히 이해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도 5 에서 도시된 UE (502) 는 UE (102) 에 대응할 수도 있고, UE (532) 는 도 1 에서 나타낸 UE (104)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유사한 점에서, eNB (504) 는 도 1 에서의 eNB (112) 에 대응할 수도 있고, SWG (526) 는 도 1 에서의 SWG (126) 에 대응할 수도 있으며, PDN 게이트웨이 (530) 는 도 1 에서의 PDN 게이트웨이 (128)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도 5 에서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엔티티들이 PDN 게이트웨이 (530) 와 UE (532) 사이의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을 운반하기 위해 존재할 수도 있다 (예컨대, eNB, SWG, PDN 게이트웨이 등).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UE (502) 및 eNB (504) 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 (501) 는 3 개의 계층들: 계층 1 (L1 계층), 계층 2 (L2 계층) 및 계층 3 (L3 계층) 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데이터/시그널링의 통신은 그 3 개의 계층들을 가로질러 UE (502) 와 eNB (504) 사이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L1 계층 (506) 은 가장 낮은 계층이고 여러가지 물리 계층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L1 계층 (506) 은 또한 물리 계층 (506), 물리적 L1 계층 (506), 또는 그들의 변형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L2 계층은 물리적 L1 계층 (506) 위에 있고, 물리적 L1 계층 (506) 을 통한 UE (502) 및 eNB (504) 사이의 링크를 담당한다. UE (502) 와 연관된 사용자 평면에서, L2 계층은 네트워크측 상의 eNB 에서 종단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 (MAC) 서브계층 (510), 무선 링크 제어 (RLC) 서브계층 (512), 및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 (PDCP) (514) 서브계층을 포함한다. UE (502) 는, L3 계층에 대응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측 상의 PDN 게이트웨이 (530) 에서 종단될 수도 있는 네트워크 계층 (예를 들어, IP 계층) (518), 및 연결의 다른 말단 (예를 들어, 먼 말단 UE (532), 서버 등) 에서 종단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520) 을 포함할 수도 있는 L2 계층 위의 수개의 상위 계층들을 가질 수도 있다.
PDCP 서브계층 (514) 은 상이한 무선 베어러들 및 논리 채널들 사이에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PDCP 서브계층 (514) 은 또한 무선 송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헤더 압축, 데이터 패킷들을 암호화하는 것에 의한 보안성, 및 eNB 들 사이의 UE 들에 대한 핸드오버 지원을 제공한다. RLC 서브계층 (512) 은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분할 및 리어셈블리, 손실된 패킷들의 재송신, 및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에 기인한 순서 외의 수신을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들의 재순서화를 제공할 수도 있다. MAC 서브계층 (510) 은 논리 및 전송 채널들 사이의 멀티플렉싱을 제공할 수도 있다. MAC 서브계층 (510) 은 또한 UE 들 중에서 하나의 셀 내에서 여러 무선 리소스들 (예를 들어, 리소스 블록들) 을 할당할 수도 있다. MAC 서브계층 (510) 은 또한 HARQ 동작들을 담당할 수도 있다. 동작적 양태에서, UE (502) 로부터의 사용자 평면 시그널링 (예를 들어, MAC (510) 계층 시그널링, RLC (512) 계층 시그널링 및 PDCP (514) 계층 시그널링) 은 일부 레벨 2 (L2) 프로토콜 (508),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IP (UDP/IP) (522) 및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GPRS) 터널링 프로토콜 - 사용자 평면 (GTP-U) (524) 과 같은 다른 프로토콜 계층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가로질러 운반될 수도 있다.
도 5 는 또한 UE (502) 와 UE (532) 사이의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LTE 에서의 사용자 평면에 대한 예시적인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 (503) 를 나타낸다. 일 양태에서, UE (502) 와 연관된 각 계층 (예를 들어, 계층들 (520, 518, 514, 512, 510 및 506) 은 UE (532) 와 연관된 대응하는 계층들과 직접 통신할 수도 있고,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쳐 (501) 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레거시 모드에서 UE (502) 와 eNB (504)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계층들일 수도 있다.
제어 평면에서, UE (502) 및 eNB (504) 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제어 평면에 대한 헤더 압축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물리적 L1 계층 (506) 및 L2 계층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어 평면은 또한 L3 계층에서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서브계층 (516) 을 포함한다. RRC 서브계층 (516) 은 무선 리소스들 (즉, 무선 베어러들) 을 획득하는 것 및 eNB (504) 와 UE (502) 사이의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하위 계층들을 구성하는 것을 담당한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6 은 예시적인 UE (650 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예시적인 LTE 네트워크 엔티티 (예컨대, eNB, MME, PDN 게이트웨이, CSCF 등) (610) 를 나타내고, 여기서, UE (650) 는 도 1 에서의 UE (102 또는 104) 일 수도 있고, LTE 네트워크 엔티티 (610) 는 도 1 에서의 E-UTRAN (110), EPC (120) 등과 연관된 엔티티들 중 임의의 것일 수도 있다. 다운링크 (DL) 상에서, 코어 네트워크들로부터의 상부 계층 패킷들은 상술된 L2 계층의 기능성을 구현하는 제어기/프로세서 (675) 에 제공된다. DL 에서, 제어기/프로세서 (675) 는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구분화, 및 리오더링, 논리 및 전송 채널들 사이의 멀티플렉싱, 및 다양한 우선순위 메트릭들에 기초한 UE (650) 로의 무선 리소스 할당들을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 (675) 는 또한 HARQ 동작들, 분실된 패킷들의 재전송, 및 UE (650) 로의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네트워크 엔티티 (610) 에서의 송신 (TX) 프로세서 (616) 는 L1 계층 (즉, 물리 계층) 에 대해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할 수도 있고, 여기서, TX 프로세서 (616) 에서 수행되는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은 UE (650) 에서 순방향 에러 정정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및 다양한 변조 스킴들 (예를 들어, 이진 위상-시프트 키잉 (BPSK), 직교 위상-시프트 키잉 (QPSK), M-위상-시프트 키잉 (M-PSK), M-직교 진폭 변조 (M-QAM)) 에 기초하여 콘스텔레이션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맵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코딩된 심볼 및 변조된 심볼은 그 후, 병렬 스트림들로 스플릿될 수도 있고, 각각의 스트림은 그 후,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참조 신호 (예를 들어, 파일럿) 와 멀티플렉싱된 OFDM 서브캐리어로 맵핑된 다음, 역 고속 푸리에 변환 (IFFT) 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되어 시간 도메인 OFDM 심볼 스트림을 반송하는 물리 채널을 생성한다. OFDM 스트림은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되어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을 생성한다. 채널 추정기 (674) 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코딩 및 변조 스킴을 결정하고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채널 추정치들은 UE (650) 에 의해 송신된 참조 신호 및/또는 채널 조건 피드백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그 후, 송신을 위한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각각 변조할 수도 있는 별개의 송신기들 TX (618) 를 통해 상이한 안테나 (620) 에 제공될 수도 있다.
UE (650) 에서, 각각의 수신기 RX (654) 는 각각의 안테나 (652) 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RF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변조된 정보를 수신 (RX) 프로세서 (656) 에 제공할 수도 있다. RX 프로세서 (656) 는 상술된 L1 계층과 연관된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RX 프로세서 (656) 는 변조된 정보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목적지가 UE (650) 인 임의의 공간 스트림들을 복원할 수도 있다. 다중 공간 스트림들이 목적지가 UE (650) 이면, RX 프로세서 (656) 는 다중 공간 스트림들을 단일의 OFDM 심볼 스트림으로 결합할 수도 있고, 여기서, RX 프로세서 (656) 는 그 후, 고속 푸리에 변환 (FFT) 을 사용하여 단일의 OFDM 심볼 스트림을 시간-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해 별개의 OFDM 심볼 스트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참조 신호 및 각각의 서브캐리어 상의 심볼들을 복원 및 복조하기 위해, LTE 네트워크 엔티티 (610) 로부터 송신된 가장 가능성있는 신호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이 결정될 수도 있고, 여기서, 이들 소프트 판정들은 채널 추정기 (658) 에서 계산된 채널 추정치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소프트 판정들은 그 후 물리 채널 상에서 LTE 네트워크 엔티티 (610) 가 원래 송신하였던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복원하기 위해 디코딩되고 디인터리브될 수도 있고, 여기서, 복원된 데이터 및 복원된 제어 신호들은 그 후 제어기/프로세서 (659) 에 제공된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제어기/프로세서 (659) 는 상술된 L2 계층을 구현할 수도 있고, 여기서 제어기/프로세서 (659) 는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660) 와 연관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메모리 (660)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UL 상에서, 제어기/프로세서 (659) 는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간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해독 (deciphering),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을 복원한다. 상위 계층 패킷들은 그 후, 상술된 L2 계층 위의 모든 프로토콜 계층들을 나타낼 수도 있는 데이터 싱크 (662) 에 제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제어 신호들은 또한, L3 프로세싱을 위해 데이터 싱크 (662) 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659) 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확인응답 (ACK) 및/또는 부정 확인응답 (NACK)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에러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UL 방향에서, UE (650) 에서의 데이터 소스 (667) 는 제어기/프로세서 (659) 에 상위 계층 패킷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 소스 (667) 는 상술된 L2 계층 위의 모든 프로토콜 계층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LTE 네트워크 엔티티 (610) 로부터의 DL 송신과 연관되어 상술된 기능성과 유사하게, 제어기/프로세서 (659) 는 LTE 네트워크 엔티티 (610) 가 할당했을 수도 있는 무선 리소스들에 기초하여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간에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분할 및 재순서화, 및 멀티플렉싱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성을 수반할 수도 있는,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에 대한 L2 계층을 구현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659) 는 또한 HARQ 동작들의 수행, 손실된 패킷들의 재송신, 및 LTE 네트워크 엔티티 (610) 로의 시그널링을 담당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TX 프로세서 (668) 는 LTE 네트워크 엔티티 (610) 로부터 송신된 참조 신호 및/또는 피드백으로부터 채널 추정기 (658) 에서 도출된 채널 추정치들을 사용하여 적절한 코딩 및 변조 스킴들을 선택하고 공간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TX 프로세서 (668) 에서 생성된 공간 스트림들은 송신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각각의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도 있는 별개의 송신기들 TX (654) 을 통해 상이한 안테나 (652) 에 제공될 수도 있다.
UL 송신물은 UE (650) 에서 수신기 기능과 연관되어 상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LTE 네트워크 엔티티 (610) 에서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특히, LTE 네트워크 엔티티 (610) 에서의 각각의 수신기 RX (618) 는 각각의 안테나 (620) 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RF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며, 변조된 정보를 RX 프로세서 (670) 에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 RX 프로세서 (670) 는 상술된 L1 계층을 구현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675) 는 L2 계층을 구현할 수도 있고, 여기서 제어기/프로세서 (675) 는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676) 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 (660) 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UL 상에서, 제어기/프로세서 (675) 는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간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해독,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UE (650) 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을 복원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675) 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은 코어 네트워크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675) 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ACK 및/또는 NACK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에러 검출을 수행하고, 손실된 패킷을 재송신하며, UE (650) 에 시그널링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7 은 예시적인 무선 환경 (700) 을 나타내고, 여기서, 2 개의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은, 2 개의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이 대역 외 D2D 접속 (750) 을 확립할 만큼 충분히 근접하여 위치되고 무선 디바이스 (710) 또는 무선 디바이스 (720) 중 어느 일방이 다른 무선 디바이스보다 더 최근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790) 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기 위해 대역 외 D2D 접속 (750) 을 확립하고 그것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 (710) 는, 무선 디바이스 (710) 가 무선 환경 (700) 내에서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근접장 통신 (NFC) 라디오 (711), 무선 광역 네트워크 (WWAN) 라디오 (713),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라디오 (715), 및 블루투스 라디오 (717) 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 (710) 는 WWAN 라디오 (713) 를 이용하여 WWAN 링크 (741) 를 통해 셀룰러 기지국 (740)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 (710) 는 또한, WLAN 라디오 (715) 를 이용하여 WLAN 링크 (761) 를 통해 Wi-Fi 액세스 포인트 (760) 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 (710) 는 블루투스 라디오 (717) 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링크들 (781, 783) 을 통해 블루투스 헤드셋 (780) 및 블루투스-가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782) 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여기서, 블루투스 헤드셋 (780) 및 블루투스-가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782) 는 블루투스 링크 (784) 를 통해 서로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할 수도 있다. 또 추가적으로, 무선 디바이스 (710) 는 자기장 유도를 통해 NFC 라디오 (711) 를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 (710) 의 "근접장 (near field)" 내에서 하나 이상의 NFC 디바이스들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는 마찬가지로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서 각각 동작하는 다수의 라디오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 (720) 가 무선 환경 (700) 내에서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NFC 라디오 (721), WWAN 라디오 (723), WLAN 라디오 (725), 및 블루투스 라디오 (727) 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 (720) 는 WWAN 라디오 (723) 를 이용하여 WWAN 링크 (745) 를 통해 셀룰러 기지국 (740) 과, WLAN 라디오 (725) 를 이용하여 WLAN 링크 (765) 를 통해 Wi-Fi 액세스 포인트 (760) 와, 블루투스 라디오 (727) 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링크들 (786, 788) 을 통해 블루투스 헤드셋 (785) 및 블루투스-가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787) 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여기서, 블루투스 헤드셋 (785) 및 블루투스-가능 웨어러블 디바이스 (787) 는 블루투스 링크 (789) 를 통해 서로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할 수도 있다. 또 추가적으로, 무선 디바이스 (720) 는 자기장 유도를 통해 NFC 라디오 (721) 를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 (720) 의 "근접장" 내에서 하나 이상의 NFC 디바이스들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이 동일한 셀룰러 기지국 (740) 과 통신하는 것으로서 도 7 에서 도시되지만, 이 경우에, WWAN 링크들 (741, 745) 은 공통 엔드포인트를 가질 수도 있는 경우이며,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은 사실 각각의 WWAN 링크들 (741, 745) 을 통해 상이한 셀룰러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유사하게, 비록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이 동일한 Wi-Fi 액세스 포인트 (760) 와 통신하는 것으로서 도 7 에서 도시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은 사실 각각의 WLAN 링크들 (761, 765) 을 통해 상이한 Wi-Fi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이 셀룰러 기지국 (740) 과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WWAN 링크들 (741, 745), 및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이 Wi-Fi 액세스 포인트 (760) 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WLAN 링크들 (761, 765) 에 추가하여,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은,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이 서로 충분히 근접하여 위치되는 경우에 대역외 D2D 접속 (750) 을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이 대략적으로 500 미터 내에 있을 때,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은 LTE 다이렉트를 통해 D2D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WWAN 라디오들 (713, 723) 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이 WLAN 라디오들 (715, 725) 을 통해 서로를 발견하기에 충분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은 Wi-Fi 다이렉트를 통해 D2D 링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은,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이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의 범위의 동작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블루투스 라디오들 (717, 727) 을 이용하여, 또는,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이 각각의 다른 것의 근접장 내에 (예컨대, 약 10 센티미터 이하) 있는 경우에 NFC 라디오들 (711, 721) 을 이용하여 D2D 링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이 양자 모두 동일한 사용자와 연관되고 동일한 사용자 명칭 및 인증서들과 연관되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들 (718, 728) (예컨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을 실행하는 경우에, 기존의 동기화 알고리즘들 및 구현들은 통상적으로,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 (710, 720) 가 애플리케이션 (718, 728) 과 연관된 최근의 어카운트 (account) 데이터 (719, 729) 가 근접한 다른 디바이스 상에서 이용가능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용 또는 고려하지 않고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790) 와 동기화 프로시저를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수반하고, 이는 몇가지 이유들로 인해 비효율적인 접근법인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도 7 에서 예시된 사용 경우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은 양자 모두 동일한 사용자에 속하고, (예컨대, WWAN 라디오들 (713, 723) 을 이용하여 LTE-다이렉트를 통해, WLAN 라디오들 (715, 725) 을 이용하여 Wi-Fi 다이렉트를 통해, 등) 다이렉트 D2D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될 수도 있고, 양쪽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은 동일한 사용자 인증서들로 애플리케이션 서버 (790) 내로 인스톨되고 로깅된 동일한 애플리케애션 (718, 728) 을 갖는다. 제 1 무선 디바이스 (710) 가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보다 더 최근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790) 와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행하였다고 추가로 가정하면,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가 또한 거기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 1 무선 디바이스 (710) 상에서 이용가능한 더 최근에 동기화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719) 를 이용 또는 고려하기보다는 WWAN 링크 (745) 및/또는 WLAN 링크 (765) 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 (790) 를 통해 그것 위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728) 과 연관된 데이터를 또한 동기화하는 경우에 비효율성들이 초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가 애플리케이션 서버 (790) 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어카운트 데이터 (729) 를 동기화하기 위해 WWAN 링크 (745) 를 이용하여야 했던 경우에, 리소스들은 셀룰러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될 수도 있고,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는 셀룰러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부하에 따라 보다 낮은 데이터 속도들로 인해 고통받을 수도 있고, 셀룰러 기지국 (740) 과의 루프를 닫기 위해 더 높은 전력에서 송신할 필요성으로 인해 보다 많은 전력을 소비할 수도 있는 등이다. 마찬가지로,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가 레거시 WLAN 링크 (765) 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790) 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729) 를 동기화하기 위해 Wi-Fi 액세스 포인트 (760) 와 통신하여야 했던 경우에,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는 백홀 혼잡에 따라 더 높은 라운드-트립 타임 (RTT) 지연들, 더 낮은 데이터 속도들 등을 다루어야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추가적으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비효율성들은, 레거시 셀룰러 링크 (745) 및/또는 레거시 Wi-Fi 링크 (765) 를 통해서보다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710) 와의 대역 외 D2D 접속 (750) 을 통해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에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729) 를 동기화하는 것을 통해 경감될 수도 있고, 이는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에서의 퍼포먼스를 향상시키고, 셀룰러 및/또는 Wi-Fi 액세스 네트워크들에서의 백홀 혼잡 및 부하를 감소시키며, 그리고, 동일한 셀룰러 및/또는 Wi-Fi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사용자들로 하여금 더 높은 스루풋을 달성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는 그것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728) 과 연관된 어카운트 데이터 (729) 를 동기화하기 위한 프로시저를 개시하고,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는 마지막으로 알려진 업데이트가 약 한 시간 전에 수행되었기 때문에 성공적인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790) 로부터 다운로드하기 위해 50MB 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이 예에서,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에 근접한 제 1 무선 디바이스 (710) 는, 보다 최근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790) 와 그것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718) 과 연관된 어카운트 데이터 (719) 를 동기화하기 위해 프로시저를 수행하였고, 이에 의해 제 1 무선 디바이스 (710) 상에 저장된 어카운트 데이터 (719) 가 현재 최신의 것 (또는 적어도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상에 저장된 어카운트 데이터 (729) 보다 더 현재의 것) 이라고 추가적으로 가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현재의 동기화 알고리즘들 하에서,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는 WWAN 링크 (745) 및/또는 WLAN 링크 (765) 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790) 로부터 전체 50MB 를 다운로드할 것이고, 이는 다시 동기화 프로시저를 보다 최근에 수행하였던 제 1 무선 디바이스 (710) 에서 이용가능한 보다 최근의 어카운트 데이터 (719) 를 이용 또는 고려함이 없이 셀룰러 및/또는 Wi-Fi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제 2 무선 디바이스 (720) 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710) 상에 저장된 어카운트 데이터 (719) 를 이용하여 로컬 애플리케이션 (728) 과 연관된 어카운트 데이터 (729) 를 지능적으로 동기화하기 위해 대역 외 D2D 접속 (750) 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WWAN 라디오들 (713, 723) 사이에 형성된 LTE-다이렉트 D2D 접속 (750), WLAN 라디오들 (715, 725) 사이에 형성된 Wi-Fi 다이렉트 D2D 접속 (750) 등을 통해). 이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은, 대역 외 D2D 접속 (750) 을 통해 동기화 프로시저를 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718, 728) 과 연관된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718, 728) 과 연관된 사용자 명칭 및 인증서들, 어카운트 데이터 (719, 729) 와 연관된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캡슐화하는 하나 이상의 공적 (public) 및/또는 사적 (private) "표현들 (expressions)" 을 브로드캐스트 및 발견하도록 각각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대역 외 D2D 접속 (750) 을 통해 어카운트 데이터 (719, 729) 를 동기화하는 것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790) 와 통신하기 위해 셀룰러 링크들 (741, 745) 및/또는 Wi-Fi 링크들 (761, 765) 을 이용하여 어카운트 데이터 (719, 729) 를 동기화하기 위한 비효율적인 프로시저들을 회피할 수도 있고, 이는 어카운트 데이터 (719, 729) 를 동기화하기 위해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이용할 때 초래될 수도 있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것에 추가하여 D2D 통신을 지원하는 WWAN 라디오들 (713, 723), WLAN 라디오들 (715, 725), 및/또는 다른 라디오들에 값을 추가적으로 부가할 수도 있고, 감소된 RTT 지연들로 더 높은 데이터 속도들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로 하여금 대역 외 D2D 접속 (750) 을 통해 어카운트 데이터 (719, 729) 를 동기화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최소의 전력 및 리소스 소비로 더 나은 퍼포먼스를 보장할 수도 있고, 이는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대역폭 또는 다른 네트워크 리소스들에 대해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과 경쟁할 필요가 없는 다른 엔드 유저들, 대역 외 D2D 접속 (750) 으로 동기화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것으로 인해 더 적은 트래픽 및 백홀 혼잡을 가질 수도 있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들 등에게 혜택을 줄 수도 있다. 더욱이, 모든 관심 대상의 당사자들은 어카운트 데이터 (719, 729) 를 동기화하기 위한 송신 (Tx) 전력 요건들이, 네트워크 간섭이 감소될 수도 있도록 감소될 수도 있고,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은 더 적은 배터리 전력을 소비할 수도 있다는 것 등의 사실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들 (710, 720) 은, 대역 외 D2D 접속 (750) 을 통한 동기화가 실패하거나, 타임아웃되는 등의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790) 를 통해 어카운트 데이터 (719, 729) 를 동기화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레거시 셀룰러 링크들 (741, 745) 및/또는 레거시 Wi-Fi 링크들 (761, 765) 을 이용하는 것으로 되돌리는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8 은 무선 디바이스들이 피어 무선 디바이스와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및 발견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표현 (800) 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하의 설명은 본원에서 제공된 논의를 단순화하기 위해 LTE-다이렉트 표현에 관한 맥락에서 예시적인 표현 (800) 을 언급할 수도 있다. 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도 8 에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되는 표현 (800) 과 연관된 구조 및 특성들은 다른 D2D 무선 액세스 기술들 (예컨대, Wi-Fi 다이렉트) 에 대해 쉽게 적응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이, LTE 다이렉트 (LTE-D, 때로는 "LTE-어드밴스드" 로서 지칭됨) 는 근접 발견을 위한 제안된 3GPP (릴리스 12)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솔루션이다. LTE-D 는 큰 범위 (~500m, 시선) 내의 다른 LTE-D 디바이스들 상의 서비스들에 대해 직접 모니터링함으로써 위치 추적 및 네트워크 호들이 필요 없고, 동기 시스템에서 지속적으로 그렇게 함으로써 근접한 수천개의 서비스들을 검출하기 위한 능력 및 배터리 효율성을 제공한다. LTE-D 는 Wi-Fi 다이렉트 (WFD)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다른 D2D P2P 기술들보다 더 넓은 범위를 가지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서비스로서 허가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한다. LTE-D 는 서비스 계층 발견 및 또한 D2D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D2D 솔루션이고, 여기서, LTE-D 디바이스들 상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은 LTE-D 로 하여금 다른 디바이스들 상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물리 계층에서 (다른 LTE-D 디바이스들 상의 서비스들에 의한 검출을 위해) 로컬로 이용가능한 서비스들을 발표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이는, LTE-D 가 실질적으로 지속적인 방식으로 작업하고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확립된 "모니터 (monitor)" 에 대한 매치가 검출될 때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통지하는 동안, 애플리케이션들로 하여금 닫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동기화 이벤트들 (synchronization events)" 에 대해 모니터를 확립할 수 있고, LTE-D 발견 계층은 동기화-관련된 LTE-D 표현이 검출될 때 애플리케이션을 웨이크-업 (wake-up) 할 수 있다. LTE-D 는 따라서, 기존의 클라우드 서비스들의 확장판들로서 근접 발견 솔루션들을 전개하기 위해 찾고 있는 모바일 개발자들에 대한 매력적인 대안이다. LTE-D 는 (오늘날 존재하는 중앙집중화된 발견에 대해) 분산된 발견 솔루션이고, 이에 의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은 관련 속성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송신함으로써 디바이스 레벨에서 자율적으로 관련성을 결정하는 대신에 관련성 매치들을 식별함에 있어서 중앙집중화된 데이터베이스 프로세싱에 선행한다. LTE-D 는, LTE-D 가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해 지각적 위치 추적을 이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력 소비 뿐만 아니라 프라이버시의 면에서 소정의 혜택들을 제공한다. 클라우드에서보다는 디바이스 상에서 발견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는 무슨 정보가 외부 디바이스들과 공유되는지의 보다 많은 제어를 갖는다.
LTE-D 는 일반적으로 근접한 피어들을 발견하고 근접한 피어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현들" 을 이용한다. LTE-D 에서, 애플리케애션 계층 및/또는 서비스 계층에서의 표현들은 "표현 명칭들 (expression names)" (예컨대, ShirtSale@Gap.com, Jane@Facebook.com 등) 로서 지칭되고, 여기서, 애플리케애션 계층 및/또는 서비스 계층에서의 표현 명칭들은 물리 계층에서의 "표현 코드들" 로서 지칭되는 비트-스트링들에 대해 맵핑된다. 하나의 예에서, 각각의 표현 코드는 192-비트 길이 (예컨대, "11001111 ... 1011" 등) 를 가질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특정 표현에 대한 임의의 언급은 문맥에 따라 연관된 표현 명칭, 표현 코드, 또는 양자를 지칭할 수 있고, 또한, 표현들은 맵핑 타입에 기초하여 사적 또는 공적 중 어느 일방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적 표현들은 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반면, 사적 표현은 특정 청중들에 대해 타겟팅된다. LTE-D 에서의 발견은 LTE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는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동기 방식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FDD) 및/또는 시간 분할 듀플렉싱 (TDD) 은 세션 정보 블록 (SIB) 을 통해 서빙 eNB 에 의해 할당될 수도 있다. 서빙 eNB 는 또한, LTE-D 디바이스들이 서비스 발견 (또는 P2P 발견) 메시지의 송신을 통해 (예컨대, 매 20 초 마다 등) 그들 자신들에게 발표하는 간격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MHz FDD 시스템에 대해, eNB 는 매 20 초마다 발생하는 발견 주기에 따라서 발견을 위해 사용될 44 개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된 채널 (PUSCH) 라디오 베어러 (RB) 들을 할당할 수 있어서, 직접 발견 리소스 (DRID) 들의 수는 44 x 64 = 2816 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2 개 이상의 LTE-D 디바이스들이 서로를 발견하고 통신을 위해 LTE-D 세션을 확립하기를 희망한 후에, LTE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 보조된 접속 셋업으로서 지칭되는 LTE-D 세션의 확립을 허가하도록 요구될 수도 있다. LTE 네트워크가 LTE-D 세션을 허가하는 경우에, LTE-D 디바이스들 사이에 D2D 통신을 통해 실제 미디어가 교환되고, 여기서, LTE-D 능력들을 갖는 피어 디바이스들은 근접 서비스들, 애플리케이션들 및 컨텍스트를 발견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다이렉트 D2D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표현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8 은 LTE-D 디바이스들이 서로 발견하고 LTE-D 세션을 포함하는 적절한 대역 외 D2D 접속을 확립할 수 있도록 2 개 이상의 LTE-D 디바이스들이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는 LTE-D 표현 (800) 과 연관된 예시적인 구조를 예시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각각의 LTE-D 디바이스는 주기적인 간격들로 (예컨대, 매 이십 (20) 초 마다) LTE-D 표현 (800) 을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발견할 수도 있고, 여기서, 그것과 연관된 서빙 eNB(들)는 서비스 발견 메시지, P2P 발견 메시지, 또는 다른 적합한 메시지를 통해 주기적인 간격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도 8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LTE-D 표현 (800) 은 육 (6) 비트들을 갖는 표현 타입 필드 (810), 192 비트들을 갖는 표현 코드 필드 (820), 이십사 (24) 비트들을 갖는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 (CRC) 필드 (83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표현 타입 필드 (810), 표현 코드 필드 (820), 및 CRC 필드 (830) 는 콘볼루셔널 인코더를 통해 단일의 코딩 블록으로서 인코딩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표현 코드 필드 (820) 는 브로드캐스트하는 LTE-D 디바이스와 연관된 고유 식별자 (822), 및 다른 적합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필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충분하게 근접하여 위치된 2 개의 무선 디바이스들이 동일한 사용자 명칭 및 사용자 인증서들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D2D 접속을 형성하는 상술된 사용 경우에서, 도 8 에서 도시된 LTE-D 표현 (800) 에서의 콘텐츠 필드들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명칭 (824),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사용자 인증서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들 필드 (826), 표현 (800) 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디바이스가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데이터를 동기화한 마지막 시간을 표시하는 마지막 동기화된 시간 필드 (82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근접한 다른 피어 무선 디바이스들은 브로드캐스트된 LTE-D 표현 (800) 을 발견하고, 임의의 부근의 디바이스들이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보다 현재의 동기화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발견하는 무선 디바이스 및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레거시 셀룰러 및/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보다는 적절한 D2D 접속을 형성하고 그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9a 및 도 9b 는 무선 디바이스가 피어 무선 디바이스와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수행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기 프로시저 (900) 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 (910) 에서, D2D-기반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등록 요청이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여기서, D2D-기반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해 등록된 그들 애플리케이션들만이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그것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동기화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블록 (912) 에서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로컬 고유 표현을 생성할 수도 있고, 여기서, 로컬 고유 표현은 적어도 명칭,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 및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데이터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동기화되었던 마지막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D2D-기반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해 등록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로컬 고유 표현들을 포함하는 고유 표현 리스트에 로컬 고유 표현을 추가할 수도 있고, 고유 표현 리스트는, 선택적으로 보다 빠른 액세스를 위해 캐시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블록 (914) 에서 다음 발견 사이클 동안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각각의 로컬 고유 표현을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고, 무선 디바이스는 다음 발견 사이클 동안 근접한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이 브로드캐스트하는 표현들에 대해 추가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블록 (916) 에서 임의의 잠재적인 피어 디바이스들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아무런 잠재적인 피어 디바이스들도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블록 (926) 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각각의 로컬 고유 표현을 다시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다음 발견 사이클까지 대기하고, 근접한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이 브로드캐스트하는 표현들에 대해 모니터링함으로써 피어 디바이스 발견 프로세스를 재시도할 수도 있다. 하지만, 블록 (916) 에서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피어 디바이스들이 검출된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발견 사이클 동안 발견되었던 고유 표현들과 연관된 정보를 유지하고, 무선 디바이스에서 저장된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로컬 고유 표현들과 다른 피어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고유 표현들을 비교하며, 블록 (918) 에서 잠재적인 피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고유 표현(들)이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임의의 로컬 고유 표현들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잠재적인 피어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고유 표현(들)과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로컬 고유 표현들 사이에 매치들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926) 에서,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각각의 로컬 고유 표현을 다시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다음 발견 사이클까지 대기하고, 근접한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이 브로드캐스트하는 표현들에 대해 모니터링함으로써 피어 디바이스 발견 프로세스를 재시도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로컬 고유 표현에 매칭하는 잠재적인 피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고유 표현(들)을 발견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블록 (920) 에서 매칭하는 표현으로부터 관련 타이밍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세들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추출된 상세들은 적어도 명칭 및 사용자 인증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는 애플리케이션 명칭 및 사용자 인증서들이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의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매칭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체크될 수도 있다. 또한, 관련 타이밍 정보는 송신 디바이스가 동기화 프로시저 또는 네트워크 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프로시저를 수행한 마지막 시간 (TT-last)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매칭하는 표현으로부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상세들이 D2D-기반 어카운트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명칭 및 사용자 인증서들을 표시하는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922) 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행하였던 마지막 시간 (TT -last) 을 수신 무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행하였던 마지막 시간 (TR-last) 에 대해 비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송신 디바이스가 수신 무선 디바이스보다 더 최근에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행하였다고 (즉, TT -last 가 TR- last 보다 더 적음) 블록 (922) 에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924) 에서 피어 디바이스와 연관된 정보 및 피어 디바이스와 D2D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적합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피어 디바이스와 연관된 정보, 피어 디바이스와 D2D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적합한 정보, 및 매칭되는 표현들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명칭 및 사용자 인증서들을 적합한 디바이스 리스트에 추가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이 동기화 프로시저를 자동적으로 개시하는 것, 사용자가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동으로 개시하는 것 등에 응답하여) 필요할 때 D2D 접속을 빠르게 확립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보다 빠른 액세스를 위해 캐시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는, 적합한 디바이스 리스트를 참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수신 무선 디바이스보다 더 최근에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 시간에 수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행하였다고 (즉, TT -last 가 TR-last 이상) 블록 (922) 에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926) 에서 다음 발견 사이클까지 대기하고 다음 발견 사이클 동안 피어 디바이스 발견 프로세스를 재시도할 수도 있다.
이제 도 9b 를 참조하면, 약간의 차후의 시점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930) 에서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D2D-기반 어카운트 동기화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예컨대, 주기적 간격들에서, 몇몇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하여 등) 동기화 프로시저를 개시할 수도 있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동기화 프로시저를 개시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도,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블록 (932) 에서 무선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 적합한 디바이스 리스트가 빈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예컨대, 보다 최근에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행한 근접한 적합한 피어 디바이스들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블록 (946) 에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레거시 셀룰러 및/또는 Wi-Fi 링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단순히 동기화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블록 (932) 에서 적합한 디바이스 리스트가 빈 것이 아니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리스트로부터 제 1 적합한 피어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피어 디바이스와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시도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된 피어 디바이스와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를 시도함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934) 에서 동기화 업데이트 타이머 (Tupdate) 및 동기화 응답 타이머 (Tresponse) 를 시작할 수도 있고, 여기서, 동기화 업데이트 타이머 및 동기화 응답 타이머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간 타이머들, 시스템 클럭에 기초한 타이머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타이머 또는 타이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블록 (936) 에서 무선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 적합한 디바이스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피어 디바이스에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고, 블록 (938) 에서, 선택된 피어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선택된 피어 디바이스로부터 아무런 응답도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940) 에서 동기화 응답 타이머 (Tresponse) 가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방법 (900) 은 블록 (932) 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그 시점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적합한 디바이스 리스트가 빈 것인 경우에 블록 (946) 에서 레거시 셀룰러 및/또는 Wi-Fi 링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거나, 또는 아니면, 본원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합한 디바이스 리스트로부터 다음 적합한 피어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 적합한 피어 디바이스와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를 시도할 수도 있다. 하지만, 블록 (940) 에서 동기화 응답 타이머 (Tresponse) 가 만료되지 않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938) 에서 응답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체크할 수도 있고, 방법 (900) 은 응답이 수신되거나 또는 아니면 동기화 응답 타이머 (Tresponse) 가 만료될 때까지 블록들 (938, 940) 을 통해 루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가 현재 선택된 피어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고 가정하면,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블록 (942) 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피어 디바이스와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를 시도하는 동안 기다릴 수도 있다. 일단 동기화 프로시저가 피어 디바이스와 D2D 접속을 통해 가장 최근의 업데이트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다운로드하면, 방법 (900) 은 적절하게 종료될 수도 있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이 D2D 접속을 통한 동기화 프로시저를 완료하기를 기다리는 동안,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944) 에서 동기화 업데이트 타이머 (Tupdate) 가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도 있다. 하지만, 블록 (944) 에서 동기화 업데이트 타이머 (Tupdate) 가 만료되지 않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942) 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피어 디바이스와 D2D 접속을 통해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동안 계속 기다릴 수도 있고, 방법 (900) 은 D2D-기반 동기화 프로시저가 완료되거나 동기화 업데이트 타이머 (Tupdate) 가 만료될 때까지 블록들 (942, 944) 을 통해 루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10a 및 도 10b 는 무선 디바이스가 피어 무선 디바이스와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수행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기 프로시저 (1000) 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동기 프로시저 (1000) 는, 무선 디바이스가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명시적인 동기화 요청을 수신한 후에 적합한 디바이스 리스트를 통해 반복하기보다는 잠재적인 적합한 피어 디바이스를 발견 시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를 시도할 수도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된 동기 프로시저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 (1010) 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유사하게, D2D-기반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등록 요청을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여기서, D2D-기반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해 등록된 그들 애플리케이션들만이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그것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동기화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블록 (1012) 에서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로컬 고유 표현을 생성할 수도 있고, 여기서, 로컬 고유 표현은 적어도 명칭,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 및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데이터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동기화되었던 마지막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D2D-기반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해 등록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로컬 고유 표현들을 포함하는 고유 표현 리스트에 로컬 고유 표현을 추가할 수도 있고, 고유 표현 리스트는, 선택적으로 보다 빠른 액세스를 위해 캐시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블록 (1014) 에서 다음 발견 사이클 동안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각각의 로컬 고유 표현을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고, 무선 디바이스는 다음 발견 사이클 동안 근접한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이 브로드캐스트하는 표현들에 대해 추가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블록 (1016) 에서 임의의 잠재적인 피어 디바이스들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아무런 잠재적인 피어 디바이스들도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블록 (1026) 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각각의 로컬 고유 표현을 다시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다음 발견 사이클까지 대기하고, 근접한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이 브로드캐스트하는 표현들에 대해 모니터링함으로써 피어 디바이스 발견 프로세스를 재시도할 수도 있다. 하지만, 블록 (1016) 에서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피어 디바이스들이 검출된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발견 사이클 동안 발견된 고유 표현들을 추적하고, 발견 사이클 동안 다른 피어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고유 표현들을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로컬 고유 표현들과 비교하며, 블록 (1018) 에서 잠재적인 피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고유 표현(들)이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임의의 로컬 고유 표현들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잠재적인 피어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고유 표현(들)과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로컬 고유 표현들 사이에 아무런 매치들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1026) 에서,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각각의 로컬 고유 표현을 다시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다음 발견 사이클까지 대기하고, 근접한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이 브로드캐스트하는 표현들에 대해 모니터링함으로써 피어 디바이스 발견 프로세스를 재시도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고유 표현 리스트에서의 로컬 고유 표현에 매칭하는 잠재적인 피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고유 표현(들)을 발견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블록 (1020) 에서 매칭하는 표현으로부터 관련 타이밍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세들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추출된 상세들은 적어도 명칭 및 사용자 인증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는 애플리케이션 명칭 및 사용자 인증서들이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의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매칭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체크될 수도 있다. 또한, 관련 타이밍 정보는 송신 디바이스가 동기화 프로시저 또는 네트워크 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프로시저를 수행한 마지막 시간 (TT-last)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매칭하는 표현으로부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상세들이 D2D-기반 어카운트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명칭 및 사용자 인증서들을 표시하는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1022) 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행하였던 마지막 시간 (TT -last) 을 수신 무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행하였던 마지막 시간 (TR-last) 에 대해 비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송신 디바이스가 수신 무선 디바이스보다 더 최근에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행하였다고 (즉, TT -last 가 TR- last 보다 더 적음) 블록 (1022) 에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방법 (1000) 은 이하 보다 충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10b 에서 도시된 플로우로 진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수신 무선 디바이스보다 더 최근에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 시간에 수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동기화 프로시저를 수행하였다고 (즉, TT -last 가 TR-last 이상) 블록 (1022) 에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상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블록 (1026) 에서 다음 발견 사이클까지 대기하고 다음 발견 사이클 동안 피어 디바이스 발견 프로세스를 재시도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0b 를 참조하면, 무선 디바이스는 D2D-기반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에 매칭하고 수신 무선 디바이스보다 더 최근의 업데이트 시간을 표시하는 표현을 송신한 피어 디바이스와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를 시도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송신 피어 디바이스와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를 시도함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1034) 에서 동기화 업데이트 타이머 (Tupdate) 및 동기화 응답 타이머 (Tresponse) 를 시작할 수도 있고, 여기서, 동기화 업데이트 타이머 및 동기화 응답 타이머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간 타이머들, 시스템 클럭에 기초한 타이머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타이머 또는 타이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블록 (1036) 에서 피어 디바이스로부터 업데이트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할 수도 있고, 블록 (1038) 에서, 선택된 피어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선택된 피어 디바이스로부터 아무런 응답도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1040) 에서 동기화 응답 타이머 (Tresponse) 가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1046) 에서 레거시 셀룰러 및/또는 Wi-Fi 링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도 있다. 하지만, 블록 (1040) 에서 동기화 응답 타이머 (Tresponse) 가 만료되지 않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1038) 에서 응답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체크할 수도 있고, 방법 (1000) 은 응답이 수신되거나 또는 아니면 동기화 응답 타이머 (Tresponse) 가 만료될 때까지 블록들 (1038, 1040) 을 통해 루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가 동기화 응답 타이머 (Tresponse) 가 만료되기 이전의 일부 시점에서 피어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고 가정하면, 무선 디바이스는 그 다음, 블록 (1042) 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피어 디바이스와 D2D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를 시도하는 동안 기다릴 수도 있다. 일단 동기화 프로시저가 피어 디바이스와 D2D 접속을 통해 가장 최근의 업데이트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다운로드하면, 방법 (1000) 은 적절하게 종료될 수도 있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이 D2D 접속을 통한 동기화 프로시저를 완료하기를 기다리는 동안,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1044) 에서 동기화 업데이트 타이머 (Tupdate) 가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D2D 접속을 통한 동기화 프로시저를 완료하기 이전에 블록 (1044) 에서 동기화 업데이트 타이머 (Tupdate) 가 만료되는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1046) 에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동기화 업데이트 타이머 (Tupdate) 가 만료되기 이전에, 방법 (1000) 은 애플리케이션이 피어 디바이스와의 동기화 프로시저를 완료하거나 동기화 업데이트 타이머 (Tupdate) 가 만료될 때까지 블록들 (1042, 1044) 을 통해 루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11 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에 따른, 효율적으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대역 외 D2D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UE 들 (1100A, 1100B) 을 나타낸다. 도 11 을 참조하면, UE (1100A) 는 모바일 전화기로서 예시되고, UE (1100B) 는 터치스크린 디바이스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등) 로서 예시된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 (1100A) 의 외부 케이싱은,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도, 안테나 (1105A), 디스플레이 (1110A), 적어도 하나의 버튼 (1115A) (예를 들어, 전력 버튼, 볼륨 제어 버튼, PTT 버튼 등) 및 키패드 (1120A) 로 구성된다. 또한, UE (1100B) 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5B), 주변 버튼들 (1110B, 1115B, 1120B 및 1125B) (예를 들어, 전력 제어 버튼, 볼륨 또는 진동 제어 버튼, 비행기 모드 토글 버튼 등), 적어도 하나의 전면-패널 버튼 (1130B) (예를 들어, 홈 버튼 등) 으로 구성된 외부 케이싱을 갖는다. 또한, 도 11 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UE (1100B) 는 Wi-Fi 안테나들, 셀룰러 안테나들, 위성 포지션 시스템 (SPS) 안테나들 (예를 들어,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안테나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그것과 연관된 외부 케이싱 내로 구축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통합된 안테나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들 (1100A 및 1100B) 은 상이한 하드웨어 구성들에 따라 잠재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내부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지만, 내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에 대한 기본적인 하이-레벨 UE 구성은 도 11 에서 플랫폼 (1102) 으로서 도시된다. 특히,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플랫폼 (1102) 은, 궁극적으로는 오퍼레이터 IP 서비스들 (140), 인터넷, 및/또는 다른 원격 서버들 및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동일한 사용자 명칭 및 인증서들을 사용하는 UE 들 (1100A, 1100B) 상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로부터 나올 수도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데이터 및/또는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1102) 은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 또는 통신 없이, 국부적으로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을 독립적으로 실행하고, 및/또는, 그것에 충분히 근접하여 위치된 다른 UE 와의 대역 외 D2D 통신에 관련된 프로세싱 기능들을 지원할 수 있다. 플랫폼 (1102) 은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1108), 또는 다른 적합한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로직 회로,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트랜시버 (1106) 를 포함할 수 있다. ASIC (1108) 및/또는 다른 적합한 프로세서(들)는 메모리 (1112) 에서 상주하는 임의의 적합한 프로그램들과 인터페이싱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1110) 계층을 실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메모리 (1112) 는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EEPROM, 플래시 카드들, 및/또는 컴퓨터 플랫폼들에 공통적인 임의의 다른 적합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1102) 은 또한, 메모리 (1112) 에서 활성적으로 사용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들 뿐만 아니라 다른 적합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로컬 데이터베이스 (1114) 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데이터베이스 (1114) 는 통상적으로, 플래시 메모리 셀이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은 임의의 세컨더리 저장 디바이스, 예컨대 자기 매체, EEPROM, 광학 매체, 테이프, 소프트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일 실시형태는 본원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포함하는 UE (예를 들어, UE (1100A, 1100B)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각종 로직 엘리먼트들은 본원에 개시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세서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임의의 조합에서 실행되는 별개의 엘리먼트들, 소프트웨어 모듈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SIC (1108), 메모리 (1112), API (1110) 및 로컬 데이터베이스 (1114) 는 모두 협력하여 본원에 개시된 각종 기능들을 로딩, 저장 및 실행시키도록 사용될 수도 있고, 따라서 이들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은 각종 엘리먼트들에 걸쳐 분배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기능성은 하나의 별개의 컴포넌트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1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UE들 (1100A, 1100B) 과 연관된 특징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본 개시는 본원에 예시된 특징(들) 또는 배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UE들 (1100A, 1100B) 사이의, UE들 (1100A, 1100B) 과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및/또는 UE들 (1100A, 1100B) 과 다른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들 사이의 무선 통신은 CDMA, W-CDMA,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FDM), GSM,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다른 프로토콜들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는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되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음성 송신 및/또는 데이터는 다양한 네트워크들 및 구성들을 사용하여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UE들 (1100A, 1100B) 로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제공된 예시는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 제공된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을 설명하는 것을 보조하려는 것으로만 의도된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12 는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에 따른, 대역 외 D2D 통신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를 지원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장치 (1200) 에서의 상이한 모듈들, 수단들, 및/또는 컴포넌트들 사이의 예시적인 개념적 데이터 플로우를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장치 (1200) 는 제 2 UE (1260) 로부터 표현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모듈 (1210) 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수신된 표현은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 및 제 2 UE (1260) 가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어카운트 데이터를 동기화한 마지막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 모듈 (1210) 은 레거시 셀룰러 및/또는 Wi-Fi 링크와 연관된 현재의 기지국 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 (1270) 로부터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추가로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 2 UE (1260) 로부터 수신된 표현이 D2D-기반 어카운트 동기화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매칭한다는, 그리고 추가적으로, 제 2 UE (1260) 가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어카운트 데이터를 동기화한 마지막 시간이, 장치 (1200) 가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어카운트 데이터를 동기화한 마지막 시간보다 더 최근이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장치 (1200) 는 제 2 UE (1260) 와 D2D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D2D 통신 모듈 (1230) 을 이용하고, 그 D2D 접속을 통해 제 2 UE (1260) 상에 저장된 보다 최근의 애플리케이션 어카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를 시도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UE (1260) 로부터 수신된 표현이 장치 (1200) 상의 D2D-기반 어카운트 동기화를 위해 등록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에 매칭하지 않거나, 수신된 표현이, 제 2 UE (1260) 가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어카운트 데이터를 동기화한 마지막 시간이, 장치 (1200) 가 어카운트 데이터를 동기화한 마지막 시간보다 더 최근에 수행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장치 (1200) 는 액세스 포인트 (1270) 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1280) 상에 저장된 최근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레거시 통신 모듈 (1220) 을 이용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대안에서, 제 2 UE (1260) 상에 저장된 보다 최근의 애플리케이션 어카운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D2D 통신 모듈 (1230) 을 이용하기 위한 시도가 실패, 타임아웃, 또는 그 외에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에, 장치 (1200) 는 액세스 포인트 (1270) 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 (1280) 상에 저장된 최근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레거시 통신 모듈 (1220) 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장치 (1200) 는 D2D 링크를 이용하여 제 2 UE (1260) 에 직접 액세스 포인트 (1270) 와의 D2D 링크 및/또는 레거시 링크와 연관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 모듈 (1250) 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송신 모듈 (1250) 은 레거시 링크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1270) 에 D2D 링크 및/또는 레거시 링크와 연관된 정보를 추가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제 2 UE (1260) 가 장치 (1200) 와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장치 (1200) 상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제 2 UE (1260) 상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보다 더 최근에 업데이트되었던 경우에 제 2 UE (126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장치 (1200) 와 제 2 UE (1260) 사이에 D2D 접속이 확립될 수도 있다.
장치 (1200) 는 상술된 효율적인 대역 외 D2D-기반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프로시저(들)의 단계들의 각각을 수행하는 추가적인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모듈은 전술된 대역 외 D2D-기반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프로시저(들)에서의 각각의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고, 장치 (1200) 는 이러한 모듈들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듈들은, 진술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실행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고, 진술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한 구현을 위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내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이들의 몇몇 조합일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13 은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에 따른, 대역 외 D2D 통신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를 지원할 수도 있는 무선 디바이스 (1300) 에 대응하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현을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디바이스 (1300) 는 버스 (1390) 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된,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1390) 는 무선 디바이스 (1300) 의 특정 용도 및 전체적인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하는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1390) 는, 프로세서 (1360),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370), 수신 모듈 (1310), 레거시 통신 모듈 (1320), D2D 통신 모듈 (1330),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모듈 (1340), 및 송신 모듈 (1350) 에 의해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들을 포함하는 여러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 (1390) 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주변장치들, 전압 조정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고, 이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디바이스 (1300)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382) 에 커플링될 수도 있는 트랜시버 (1380)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1380) 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LTE 다이렉트 모뎀, Wi-Fi 다이렉트 모뎀 등) 을 제공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300) 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370)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1360) 를 포함하고, 여기서, 프로세서 (1360) 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370)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 (1360) 에 의해 실행될 때, 그 프로세서 (1360) 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 장치를 위해 상기 더 자세히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370) 는 또한, 프로세서 (1360) 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조작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300) 는, 수신 모듈 (1310), 레거시 통신 모듈 (1320), D2D 통신 모듈 (1330),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모듈 (1340), 및 송신 모듈 (13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모듈들은 프로세서 (1360) 에서 실행되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70) 에 상주/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 프로세서 (1360) 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들, 또는 이들의 몇몇 조합일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추가적으로 UE 에 대응할 수도 있고,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들 (예컨대, 도 6 에서 UE (610) 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메모리, TX 프로세서, RX 프로세서, 제어기/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도 10 에서 도시된 장치 (1000) 및 도 11 에서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 (1100) 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 및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로컬 고유 표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에 매칭하는 제 1 디바이스에 근접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외부 고유 표현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서, 로컬 고유 표현과 연관된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의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외부 고유 표현과 연관된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업데이트를 요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상기-언급된 수단은 상술한 수단과 관련하여 인용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구성가능한 도 11 에 나타낸 UE들 (1100A, 1100B), 도 12 에 나타낸 장치 (1200), 및/또는 도 13 에 나타낸 무선 디바이스 (1300) 의 상술한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는 도 6 에 나타낸 UE (610) 와 연관된 소정의 컴포넌트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하나의 예에서, 상기-언급된 수단은 TX 프로세서 (668), RT 프로세서 (656), 제어기/프로세서 (659), 및/또는 상기-언급된 수단과 관련하여 인용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구성가능한 UE (610) 와 연관된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을 통해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입자들,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증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전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는 기재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기재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지정된 그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르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연계하여 설명된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직접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프로세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에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있을 수도 있다. ASIC 은 무선 디바이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에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개별 컴포넌트들로 있을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상술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고 적절히 칭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명령들이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및/또는 레이저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상술한 것은 개시물의 예시적인 양태들을 나타내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개시물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들 및 수정들이 본 명세서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개시물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임의의 특정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개시물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기재되거나 청구지만, 단수에 대한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복수가 고려된다.

Claims (30)

  1.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디바이스에서,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 및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로컬 고유 표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명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에 매칭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고유 표현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로컬 고유 표현과 연관된 상기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의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외부 고유 표현과 연관된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 시에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이 만료되지 않은 동안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2D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이 만료된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2D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더 최근의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외부 고유 표현을 발견 시에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요청되는, D2D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서 D2D 디바이스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로서, 상기 D2D 디바이스 리스트는,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명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에 매칭하는 외부 고유 표현이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업데이트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었던 상기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업데이트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D2D 디바이스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에서 유지된 상기 D2D 디바이스 리스트에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2D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D2D 디바이스 리스트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 시에 응답 타이머 및 업데이트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가 상기 응답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업데이트 요청에 대해 응답하는 경우에, 상기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동안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2D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가 상기 업데이트 요청에 대해 응답하기 전에 상기 응답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 상기 D2D 디바이스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다음 업데이트 디바이스와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다음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 시에 상기 응답 타이머를 재시작하는 단계; 및
    재시작된 상기 응답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다음 업데이트 디바이스가 상기 업데이트 요청에 응답하는 경우에, 상기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동안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2D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 시에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2D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상기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들로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2D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로컬 고유 표현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 중에서의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2D 접속을 통해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로컬 고유 표현에서의 상기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외부 고유 표현에서의 상기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인,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2D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를 위한 방법.
  11. 무선 디바이스로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 및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로컬 고유 표현을 브로드캐스트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피어 무선 디바이스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외부 고유 표현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명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에 매칭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고유 표현들을 검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피어 무선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로컬 고유 표현과 연관된 상기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의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외부 고유 표현과 연관된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식별하며; 그리고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업데이트를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 시에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을 시작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이 만료되지 않은 동안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이 만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서 D2D 디바이스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D2D 디바이스 리스트는,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명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에 매칭하는 외부 고유 표현이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업데이트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었던 상기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업데이트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D2D 디바이스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을 행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에서 유지된 상기 D2D 디바이스 리스트에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추가하며;
    상기 D2D 디바이스 리스트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 시에 응답 타이머 및 업데이트 타이머를 시작하고; 그리고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가 상기 응답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업데이트 요청에 대해 응답하는 경우에, 상기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동안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가 상기 업데이트 요청에 대해 응답하기 전에 상기 응답 타이머가 만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D2D 디바이스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다음 업데이트 디바이스와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하고;
    상기 다음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 시에 상기 응답 타이머를 재시작하며; 그리고
    재시작된 상기 응답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다음 업데이트 디바이스가 상기 업데이트 요청에 응답하는 경우에, 상기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동안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 시에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상기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들로 제한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피어 무선 디바이스들 중에서의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2D 접속을 통해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로컬 고유 표현에서의 상기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외부 고유 표현에서의 상기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인,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행하도록 더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 2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9. 장치로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 및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로컬 고유 표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장치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명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에 매칭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고유 표현들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상기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로컬 고유 표현과 연관된 상기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의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외부 고유 표현과 연관된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업데이트를 요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 시에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을 시작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이 만료되지 않은 동안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이 만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명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에 매칭하는 외부 고유 표현이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업데이트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었던 상기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업데이트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D2D 디바이스 리스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
    상기 D2D 디바이스 리스트에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추가하기 위한 수단;
    상기 D2D 디바이스 리스트로부터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 시에 응답 타이머 및 업데이트 타이머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가 상기 응답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업데이트 요청에 대해 응답하는 경우에, 상기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동안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가 상기 업데이트 요청에 대해 응답하기 전에 상기 응답 타이머가 만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D2D 디바이스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다음 업데이트 디바이스와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하기 위한 수단;
    상기 다음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 시에 상기 응답 타이머를 재시작하기 위한 수단; 및
    재시작된 상기 응답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다음 업데이트 디바이스가 상기 업데이트 요청에 응답하는 경우에, 상기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동안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 시에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상기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들로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로컬 고유 표현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수단;
    상기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 중에서의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2D 접속을 통해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로컬 고유 표현에서의 상기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외부 고유 표현에서의 상기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인, 상기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7.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은,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명칭,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 및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로컬 고유 표현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명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서들에 매칭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고유 표현들을 검출하게 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로컬 고유 표현과 연관된 상기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의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포함하는 외부 고유 표현과 연관된 업데이트 디바이스를 식별하게 하고; 그리고
    대역 외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업데이트를 요청하게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때, 추가적으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를 요청 시에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을 시작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이 만료되지 않은 동안 상기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업데이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게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때, 추가적으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이 만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동기화하게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은 추가적으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로컬 고유 표현을 브로드캐스트하게 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피어 디바이스들 중에서의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제 2 D2D 접속을 통해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로컬 고유 표현에서의 상기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외부 고유 표현에서의 상기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보다 더 최근인,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행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D2D 접속을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87001756A 2015-07-21 2016-05-25 대역 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이용한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KR101861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05,163 US9591685B2 (en) 2015-07-21 2015-07-21 Efficient application synchronization using out-of-ban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14/805,163 2015-07-21
PCT/US2016/034006 WO2017014834A1 (en) 2015-07-21 2016-05-25 Efficient application synchronization using out-of-ban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339A true KR20180011339A (ko) 2018-01-31
KR101861056B1 KR101861056B1 (ko) 2018-05-24

Family

ID=5611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756A KR101861056B1 (ko) 2015-07-21 2016-05-25 대역 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이용한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91685B2 (ko)
EP (1) EP3326327B1 (ko)
JP (1) JP6419385B2 (ko)
KR (1) KR101861056B1 (ko)
CN (1) CN107852345B (ko)
BR (1) BR112018001220A2 (ko)
WO (1) WO2017014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0748B2 (en) 2013-03-22 2019-04-23 Nok Nok Labs, Inc. Advanced authentica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US9699684B1 (en) * 2016-07-28 2017-07-04 Blackfire Research Corporation Low-latency multimedia using dual wireless adapters
US10362070B1 (en) * 2016-08-19 2019-07-23 Juniper Networks,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chieving user space intervention during connection-establishment handshakes
CN109379171A (zh) * 2017-08-10 2019-02-22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存储介质
US11868995B2 (en) 2017-11-27 2024-01-09 Nok Nok Labs, Inc. Extending a secure key storage for transaction confirmation and cryptocurrency
US11831409B2 (en) 2018-01-12 2023-11-28 Nok Nok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binding verifiable claims
US11799955B2 (en) * 2018-06-03 2023-10-24 Apple Inc. Data synchronization across multiple devices
US10841772B2 (en) * 2018-12-28 2020-11-17 Wipro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between internet-of-things (IOT) devices
CN110062357B (zh) * 2019-03-20 2022-02-11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强化学习的d2d辅助设备缓存系统及缓存方法
US11792024B2 (en) 2019-03-29 2023-10-17 Nok Nok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challenge-response authentication
US20210111902A1 (en) * 2019-10-11 2021-04-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information protection at a network function in the core network
US11132352B1 (en) * 2020-05-13 2021-09-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tilizing local IoT devices to reconcile data mismatches
US20230318982A1 (en) * 2022-03-29 2023-10-05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data unit architecture and signal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6881B1 (en) 2000-03-13 2004-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pplication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US7970017B2 (en) * 2005-07-13 2011-06-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eer-to-peer synchronization of data between devices
US8150987B2 (en) * 2006-01-30 2012-04-03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ed peer-to-peer file distribution
US8850045B2 (en) 2008-09-26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nd sharing resources amongst devices
EP2445149B1 (en) * 2010-10-25 2015-03-04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pplications to communicate using a peer-to-peer (P2P) system
JP5438140B2 (ja) * 2012-01-20 2014-03-12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修正プログラム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0028204B2 (en) 2012-08-24 2018-07-17 Blackberry Limited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rich communication service context
US9496971B2 (en) 2012-12-10 2016-11-1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etermining actual and/or near states of proximity between mobile devices
EP2768272B1 (en) * 2013-01-28 2017-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20140359637A1 (en) 2013-06-03 2014-12-04 Microsoft Corporation Task continuance across devices
BR112015031654A2 (pt) * 2013-07-09 2017-07-25 Ericsson Telefon Ab L M serviço de proximidade
JP6285549B2 (ja) 2013-07-10 2018-02-28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コンテキスト認識近接サービス
US9762562B2 (en) * 2013-09-13 2017-09-12 Facebook, Inc. Techniques for multi-standard peer-to-peer connection
KR101833652B1 (ko) * 2013-09-27 2018-02-28 코닌클리즈케 케이피엔 엔.브이. 공공 안전시스템
WO2015139179A1 (zh) * 2014-03-17 2015-09-24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终端间同步内容的方法和终端
EP3178172B1 (en) * 2014-08-06 2022-11-02 Sharp Kabushiki Kaisha Synchronization signal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91685B2 (en) 2017-03-07
CN107852345B (zh) 2019-09-10
CN107852345A (zh) 2018-03-27
KR101861056B1 (ko) 2018-05-24
JP2018529248A (ja) 2018-10-04
EP3326327A1 (en) 2018-05-30
BR112018001220A2 (pt) 2018-09-11
EP3326327B1 (en) 2020-10-28
JP6419385B2 (ja) 2018-11-07
US20170027008A1 (en) 2017-01-26
WO2017014834A1 (en)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056B1 (ko) 대역 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이용한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US9655039B2 (en) Dynamic cell reselection to improv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JP6522588B2 (ja) 公共安全アプリケーションのコンテキストにおけるデバイス間d2d通信のためのlte macサブヘッダ
AU2016243290B2 (en) UE-to-UE relay list and determination of floor arbitrator
JP660846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関する同期
US97815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etadata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EP30338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based service
KR20170003549A (ko) 롱텀 에볼루션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탐색을 위한 리소스 할당 제어
US9825840B2 (en) Link-quality-based resource allocation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20170180953A1 (en) Device-to-device remote proxy
US20220361280A1 (en) Config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drx) parameters for sidelink communications
WO20141578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based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